KR102098339B1 -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 Google Patents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339B1
KR102098339B1 KR1020180160564A KR20180160564A KR102098339B1 KR 102098339 B1 KR102098339 B1 KR 102098339B1 KR 1020180160564 A KR1020180160564 A KR 1020180160564A KR 20180160564 A KR20180160564 A KR 20180160564A KR 102098339 B1 KR102098339 B1 KR 102098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bar
main body
running
upper body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윤
최광수
Original Assignee
정성윤
최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윤, 최광수 filed Critical 정성윤
Priority to KR102018016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올라서서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순환매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순환매트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 사용자가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때에 손으로 잡고 상체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스윙바; 및 상기 스윙바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TREADMILL WITH SWING BAR FOR UPPER BODY MOTION}
본 발명은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런닝(워킹)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감속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본체를 슬림화 및 경량화시킬 수 있고, 러닝 또는 워킹 운동 중에 사용자의 상체를 반복 회전시키는 상체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스윙바의 사용, 수납 및 보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드밀(Treadmill)이라고도 불리는 러닝머신은 사용자가 제자리에서 자신에 적합한 속도 및 기울기로 원하는 시간만큼 걷거나 달리면서 주로 심폐기능을 강화시키고 다리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운동기구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러닝머신은,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구동제어되는 전동모터와,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동모터의 모터축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되는 전동롤러와, 전동롤러의 반대쪽에 임의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공회전롤러와, 전동롤러와 공회전롤러의 바깥쪽에 감싸여지게 설치되어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순환매트와, 프레임의 앞쪽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제어패널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러닝머신은 사용자가 순환매트 위에 올라선 상태에서 제어패널부에 설치된 제어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전동모터가 구동됨과 동시에 전동모터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전동롤러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순환매트가 회전되며, 순환매트의 회전속도에 맞추어 사용자가 제자리에서 걷거나 달리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기호에 따라 전동모터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면서 러닝운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러닝머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된 속도로 걷거나 달리는 운동을 일정 시간동안 지속하는 경우에 육체적인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러닝머신을 구성하는 순환매트의 경우 재질이 단순히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시간 순환매트 위에서 달리는 경우에 발의 피로도가 증가되어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기존 대중적이고 대표적인 운동기구라 할 수 있는 러닝 머신은 속도조절을 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속도를 빠르게 할 경우 이에 체력적으로 충분히 대처하지 못한 경우에 넘어지면서 다치게 되는 사고의 위험을 동반하는 사례를 흔히 볼 수가 있었다.
그리고 야외에서 설치되는 러닝머신은 전동식이 아닌 수동식 러닝머신을 채용하고 있으나, 운동자의 하체 부위에 집중적인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신 운동의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한편, 러닝머신 외에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한 수많은 운동 중에는 체력단련장과 같은 곳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고정된 장소에서 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하면서 폴을 들고 걷는 엑서스트라이딩(Exerstriding; 다른 이름으로는 폴 워킹(Polewalking), 노르딕 워킹(Nordicwalking)이라고 함)이라는 운동이 있다.
기존 엑서스트라이딩 운동은 1985년 미국에서 시작된 운동으로서, 폴을 들고 걷게 됨에 따라 하체와 상체가 동시에 운동이 되어 전신 운동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엑서스트라이딩 운동은 전신 운동이 되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폴을 들고 이동하는 운동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어 실내에서 운동하기에는 다소 제약이 뒤따르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잡이가 구비된 러닝머신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러닝머신은, 하부면이 바닥면에 배치되는 러닝머신 본체와, 러닝머신 본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측면에 연장되도록 결합되고 상하 이동 가능한 손잡이 본체를 갖는 손잡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4487호(2009년 05월 13일 공개, 고안의 명칭 : 손잡이가 구비된 러닝머신)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러닝머신은, 구동모터의 동력을 감속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러닝머신 본체의 크기를 줄이기 어렵고, 러닝머신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어패널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없기 때문에 러닝머신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구매자의 집에 설치기사가 제품을 직접 운반하고, 구매자의 자택에 방문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러닝머신의 단가를 낮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러닝머신은, 손잡이부가 프레임에 설치되기 때문에 손잡이부의 유동 범위가 좁아 사용자의 상체를 일정 각도 이상 크게 회전시키는 상체운동을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러닝머신은, 손잡이부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손잡이부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 이상 크게 회전시키는 상체운동을 행하기 어렵고, 사용자가 러닝 또는 워킹만을 행하고 상체운동을 행하지 않는 경우, 또는 러닝머신을 이동시키는 운송작업을 행할 때와 같이 손잡이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손잡이부를 러닝머신 본체에 밀착되게 배시키거나 손잡이부를 러닝머신 본체 또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어 러닝머신의 이송,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감속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본체를 슬림화 및 경량화시킬 수 있고, 러닝 또는 워킹 운동 중에 사용자의 상체를 반복 회전시키는 상체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스윙바의 사용, 수납 및 보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올라서서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순환매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순환매트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 사용자가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때에 손으로 잡고 상체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스윙바; 및 상기 스윙바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감속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상기 순환매트가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윙바는, 상기 본체에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둥부재; 및 상기 제1기둥부재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사용자가 잡고 상체운동을 행하는 레버부재를 구비하는 제2기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윙바가 유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스윙바를 지지하고 상기 안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윙바가 일정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안착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량을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윙바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모양으로 곡선을 이루면서 굴곡되는 장공부; 상기 장공부 일측에 구비되는 잠금홀부; 및 상기 스윙바를 사용하는 상체운동을 행할 때에는 상기 장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스윙바의 회전운동을 구속할 때에는 상기 스윙바를 상기 본체에 인접하게 배치시킨 후에 상기 잠금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스윙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스윙바가 안착되는 거치패널; 및 상기 스윙바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패널에 안착되는 밀착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패널 또는 상기 밀착블록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윙바에 구비되는 회전편; 및 상기 회전편이 상기 지지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편과 상기 회전편에 체결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고, 상기 스윙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힌지부는,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는 힌지홈부; 및 상기 힌지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스윙바에 구비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은, 스윙바를 직접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므로 스윙바를 본체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크게 회전되는 스윙바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하면서 스윙바를 잡고 상체운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은, 스윙바의 회전운동을 특정 범위로 제한하는 각도제한부가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상체운동이 필요 이상으로 크게 이루어지면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윙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바를 본체에 밀착되게 배치시켜 고정할 수 있어 스윙바의 보관이 용이하고, 러닝 워킹 머신을 이송할 때에 스윙바의 수납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어 러닝 워킹 머신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은, 구동부의 슬림화 및 경량화에 의해 본체의 크기가 감소되고, 스윙바를 본체에 밀착되게 수납하거나 별도로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으므로 구매자의 주문에 의해 러닝 워킹 머신을 이송할 때에 설치기사가 구매자의 자택에 방문하지 않고 택배서비스를 이용하여 간편한 이송을 행할 수 있어 물류비가 감소되고, 이에 따른 러닝 워킹 머신의 단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구동부가 도시된 평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본체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스윙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스윙바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스윙바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수납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연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연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연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구동부가 도시된 평명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본체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스윙바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스윙바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스윙바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수납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은, 사용자가 올라서서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순환매트(14)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순환매트(14)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구동부(30)와, 사용자가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때에 손으로 잡고 상체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구비되는 스윙바(50)와, 스윙바(50)를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10)에 올라서서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하면서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윙바(50)를 잡고, 양팔을 교호로 밀거나 당기면서 상체운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스윙바(50)는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1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별도의 구조물 없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상체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본체(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구조물이 생략되어 본체(10)는 지면에 넓게 배치되는 평면 구조물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게 되어 러닝머신의 크기 및 부피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러닝머신의 이송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별도의 구조물이 없는 경우에는 스윙바(50)를 본체(10)에 인접하게 접어 밀착시키면 본체(10) 및 스윙바(50)를 낮은 육면체 모양의 포장 박스에 담아 택배로 배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러닝 워킹 머신을 포장박스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스윙바(5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고정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사용자가 손쉽게 직접 설치할 수 있어 판매자는 러닝 워킹 머신의 설치를 위한 설치기사가 요구되지 않아 물류비용이 현전하게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부(30)는, 본체(10)에 설치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2)와, 모터(32)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모터(32)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감속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34)와, 감속기(34)에 연결되고, 순환매트(14)가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구동축(36)을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32)의 동력이 감속기(34)를 통과하면서 회전속도는 감속되지만 구동축(36)의 회전운동에 의한 토크는 증가되므로 구동축(36)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32)의 용량에 비해 향상된 토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목표치의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32)보다 적은 용량의 모터(32)를 사용하여도 회전력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게 되고, 작은 크기의 경량 모터(32)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본체(1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러닝 워킹 머신의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스윙바(50)는, 본체(10)에 연결부(7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둥부재(52)와, 제1기둥부재(52)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사용자가 잡고 상체운동을 행하는 레버부재(58)를 구비하는 제2기둥부재(54)를 포함한다.
본체(10)에 설치되는 제1기둥부재(5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홀부(52a)가 형성되며, 제1기둥부재(52) 하단에 형성되는 관통홀부(52a)에는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머지 관통홀부(52a)에는 연결부(70)가 설치된다.
제1기둥부재(52)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홀부(52b)는 제1기둥부재(52)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기둥부재(54)와 제1기둥부재(52)를 연결하여 제2기둥부재(54)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핀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신장에 맞는 스윙바(50)를 구현시킬 수 있도록 체결핀을 관통홀부(52a)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제2기둥부재(54)를 승강시키면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스윙바(50) 높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기둥부재(52)의 하부 배면 측에는 거치홀부(52c)가 형성되는데, 거치홀부(52c)는 스윙바(50)의 회전운동이 완전히 해제된 후에 작업자가 스윙바(50)를 본체(10)에 양측면에 밀착되게 배치시킨 후에 체결핀을 거치홀부(52c)와 본체(10)에 동시에 삽입하여 스윙바(50)가 누운 상태에서 본체(10)의 양측면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윙바(50)가 본체(10)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면 작업자는 본체(10)를 거치하여 손쉽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제2기둥부재(54)의 둘레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의 조절홀부(56)가 형성되어 체결핀이 관통될 수 있고, 제2기둥부재(54)의 상부에는 후방 측으로 일정 각도 굴곡되는 굴곡부(57)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2기둥부재(54)의 상단에 구비되는 레버부재(58)를 잡고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서 상체운동을 행할 때에 사용자가 레버부재(58)를 잡은 손의 위치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레버부재(58)의 각도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제1기둥부재(52)의 상단에는 제2기둥부재(54)가 출몰되는 홀부의 테두리를 감싸고 제1기둥부재(52) 내부로 출몰되는 제2기둥부재(54)와 마찰되면서 제2기둥부재(54)의 출몰운동이 너무 쉽게 이루어지면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부재(59)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장에 맞게 제2기둥부재(54)를 제1기둥부재(52)의 상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출몰시키면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레버부재(5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제2기둥부재(54)의 돌출량이 결정되어 제1기둥부재(52)와 제2기둥부재(54)의 결합을 행할 때에는 체결핀을 조절홀부(56) 및 거치홀부(52c)에 삽입하여 제1기둥부재(52)와 제2기둥부재(54)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금속재질 또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직사각 모양으로 이루어져 순환매트(14)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구동축(3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재(12)와, 프레임부재(12)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저면을 이루는 하부케이스(12a)와, 프레임부재(12)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양측부를 이루는 한 쌍의 측부케이스(12b)와, 프레임부재(12)에 설치되고, 하부케이스(12a) 및 측부케이스(12b)와 결합되며, 구동부(30)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상부케이스(12c)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12c)에는 순환매트(14)의 구동을 개시하거나 순환매트(14)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조작부(16)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순환매트(14)에 선 상태로 조작부(16)를 손 또는 발로 조작하여 순환매트(14)의 구동여부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측부케이스(12b)는, 프레임부재(12)의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순환매트(14)의 측단부를 마감한다.
하부케이스(12a) 전방에는 제1경사조절바(17)가 출몰 가능하게 수납되고, 하부케이스(12a)의 후방에는 제2경사조절바(18)가 출몰 가능하게 수납되므로 사용자는 제1경사조절바(17) 또는 제2경사조절바(18)를 하부케이스(12a)로부터 출몰시키면서 순환매트(14)의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결부(70)는, 본체(10)로부터 연장되고, 스윙바(50)가 유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재(74)와, 스윙바(50)를 지지하고 안착부재(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케이스(76)를 포함한다.
안착부재(74)는 프레임부재(12)의 양측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거치대(72)에 일체로 형성되고, '⊂'모양으로 굴곡되어 굴곡된 내부에 제1기둥부재(52)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안착부재(74)와 제1기둥부재(52)를 동시에 감싸도록 연결케이스(76)가 설치된다.
연결케이스(76)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회전축은 연결케이스(76) 및 안착부재(74)를 관통하여 제1기둥부재(52)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스윙바(50)의 상단부를 잡고 전후 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상체운동을 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안착부재(74)는 전방부 및 양측부는 폐쇄되고, 후방부가 개구되는 평면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제1기둥부재(5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스윙바(50)는 전방 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후방 측으로는 180도 가까이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스윙바(5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본체(10)의 양측부에 스윙바(50)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결케이스(76)는, 제1기둥부재(52)의 하부 일측을 감싸는 제1케이스(77)와, 제1기둥부재(52)의 하부 타측을 감싸도록 제1케이스(77)와 결합되는 제2케이스(78)를 포함하고, 제1케이스(77)는 안착부재(7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단부에 절개부(77a)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케이스(78)와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연결보스(77b)가 돌출되며, 제2케이스(78)는, 절개부(77a)를 통해 삽입되는 안착부재(7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마감하는 마감부(78a)가 구비되고, 마감부(78a)에는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동홀부(78b)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케이스(77)와 제2케이스(78)가 결합되면 제1기둥부재(52)의 하단부와 안착부재(74)를 동시에 감싸면서 구동홀부(78b)를 통해 삽입되는 회전축에 제1기둥부재(52)와 안착부재(74)에 동시에 삽입되면서 스윙바(50)를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부재(12)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안착부재(74)는 프레임부재(1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거치대(72)에 고정되고, 안착부재(74)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기둥부재(52)의 하단부는 회전축에 의해 안착부재(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착부재(74)와 제1기둥부재(52)의 연결부(70)위는 제1케이스(77)와 제2케이스(78)에 의해 미려하게 마감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스윙바(50)가 일정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부(70)와 안착부재(74) 사이의 상대 회전량을 제한하는 각도제한부(80)를 더 포함하므로 각도제한부(80)를 조작하여 스윙바(50)의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스윙바(50)가 직립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각도제한부(80)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면 스윙바(50)를 본체(10)에 평형한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러닝머신의 수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윙바(50)를 사용하지 않거나 러닝 워킹 머신을 수납할 때에는 각도제한부(80)를 스윙바(50)로부터 해제하여 스윙바(50)를 본체(10)의 양측부에 나란히 배치시켜 수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각도제한부(80)는, 연결부(70)에 구비되고, 스윙바(50)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모양으로 곡선을 이루면서 굴곡되는 장공부(82)와, 장공부(82) 일측에 구비되는 잠금홀부(84)와, 스윙바(50)를 사용하는 상체운동을 행할 때에는 장공부(82)를 관통하여 본체(10)에 체결되고, 스윙바(50)의 회전운동을 구속할 때에는 스윙바(50)를 본체(10)에 인접하게 배치시킨 후에 잠금홀부(84)를 관통하여 본체(10)에 체결되는 고정핀(86)을 포함한다.
장공부(82)는, 구동홀부(78b)의 주변에 곡선의 호 모양으로 형성되고, 장공부(82)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장공부(82)의 연장선상에 잠금홀부(84)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정핀(86)을 장공부(82)를 통해 삽입하여 안착부재(74)에 체결하면 장공부(82)의 길이만큼 제1케이스(77) 및 제2케이스(78)가 회전 가능하게 회전 각도가 제한되므로 제1케이스(77) 및 제2케이스(78)에 의해 하단부가 고정되는 스윙바(50)의 회전 각도가 장공부(82)의 길이만큼 회전 가능하게 제한된다.
스윙바(5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고정핀(86)을 장공부(82)로부터 분리시키고, 스윙바(50)를 본체(10)와 나란하게 하측으로 회전시킨 후에 잠금홀부(84)에 고정핀(86)을 삽입하여 안착부재(74)에 체결하면 스윙바(50)가 본체(10)의 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이 구속되어 러닝 워킹 머신의 수납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안착부재(74)에는 구동홀부(78b)에 대향되고 회전축이 체결되는 제1작동홀부(74a)와, 고정핀(86)이 체결되는 제2작동홀부(74b)가 형성되므로 러닝 워킹 머신을 최초 제작할 때에는 제2케이스(78)의 구동홀부(78b)에 회전축을 삽입하여 제1작동홀부(74a) 및 제1기둥부재(52)의 하단을 관통시켜 스윙바(50)를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에 설치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고정핀(86)을 장공부(82)와 제2작동홀부(74b)에 삽입하거나 잠금홀부(84)와 제2작동홀부(74b)에 삽입하여 스윙바(50)의 회전운동을 일정 각도 이내로 제한하거나 스윙바(5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러닝 워킹 머신을 설치할 때에는 지면에 본체(10)를 안착시킨 후에 고정핀(86)을 잠금홀부(84)로부터 분리시키고, 스윙바(5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직립시킨 후에 고정핀(86)을 장공부(82)에 삽입하여 스윙바(50)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킨다.
이후에, 사용자가 순환매트(14)에 올라서서 조작부(16)를 누르면 모터(32)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32)의 동력이 제1벨트부재(37), 감속기(34), 제2벨트부재(38) 및 구동축(36)에 전달되어 순환매트(14)가 순환되면서 사용자가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체운동을 원하는 경우에는 스윙바(50)의 상단에 구비되는 레버부재(58)를 잡고 스윙바(5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거나 당기면서 상체를 롤링시키는 상체운동을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과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연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연결부(170)는, 본체(10)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재(172)와, 레일부재(1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174)과, 이동블록(174)에 구비되고, 스윙바(5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7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10)를 이루는 프레임부재(12) 양측 단부에는 프레임부재(12)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레일부재(172)가 설치되고, 각각의 레일부재(172)에는 이동블록(17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블록(174)에는 스윙바(5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순환매트(14)의 상면에 올라서서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하는 사용자는 한 쌍의 스윙바(50)를 잡고 후방으로 당기면서 노르딕 스키를 타는 동작과 같이 스윙바(50)를 사용자의 후방으로 당기면서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윙바(50)의 하단이 사용자의 등 뒤 후방까지 슬라이딩되면서 회전되므로 사용자는 상체의 롤링운동을 극대화시키면서 상체운동을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과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등 뒤 후방으로 슬라이딩된 이동블록(174)을 다시 전방으로 당기면서 사용자의 팔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본 실시예의 각도제한부(180)는, 본체(10)의 프레임부재(12)에 구비되는 고정블록(186)에 설치되고, 스윙바(50)가 안착되는 거치패널(182)과, 스윙바(50)에 구비되고, 거치패널(182)에 안착되는 밀착블록(184)을 포함하고, 거치패널(182) 또는 밀착블록(184)은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레일부재(172)의 전방측 단부에 대향되는 프레임부재(12)에는 평면형상이'⊂'모양으로 굴곡되고, 수직방향을 길게 형성되어 스윙바(50)의 하단을 지지하는 거치패널(182)이 직립되게 설치되고, 스윙바(50)의 하단에는 거치패널(182)의 내부에 안착되어 스윙바(50)를 직립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밀착블록(184)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하는 동안에 스윙바(50)를 잡고 사용자의 후방으로 스윙바(50)를 당기면서 상체운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스윙바(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일부재(172)의 전단부까지 이동블록(174)을 이동시킨 후에 스윙바(5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밀착블록(184)이 거치패널(182) 내부로 삽입된 후에 자력에 의해 밀착되므로 스윙바(50)는 직립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에의 힌지부(176)는, 이동블록(174)에 구비되는 지지편(176a)과, 지지편(176a)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스윙바(50)에 구비되는 회전편(176b)과, 회전편(176b)이 지지편(176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지지편(176a)과 회전편(176b)에 체결되는 힌지핀(176c)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스윙바(50) 하단은, 지지편(176a), 회전편(176b) 및 힌지핀(176c)에 의해 이동블록(174)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스윙바(50)의 상단을 잡고 이동블록(174)을 후방으로 당기면서 상체운동을 행할 때에 스윙바(50)의 하단과 이동블록(174)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변화가 힌지부(176)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는 다양하게 변경되는 스윙바(50)의 각도에 따라 팔을 앞뒤로 밀거나 당기면서 상체가 좌우로 롤링되는 상체운동을 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레일부재(172) 전단부에는 거치패널(182)을 지지하는 고정블록(186)이 설치되고, 고정블록(186)의 상단부는 레일부재(172) 측으로 굴곡되어 거치패널(182)이 설치되고, 거치패널(182)이 스윙바(50)의 하단부에 대향되도록 고정블록(186)이 거치패널(182)을 지지하게 된다.
고정블록(186)은, 이동블록(174)이 프레임부재(12)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에 필요 이상으로 이동되면서 레일부재(172)로부터 이동블록(17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일부재(172)의 전단부에 대향되게 고정블록(186)이 설치되고, 레일부재(172) 전단부에 대향되는 고정블록(186)의 하부에는 이동블록(174)이 충돌될 때에 충격을 상쇄시켜 완충작동을 행하는 탄성재질의 스토퍼(188)가 설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연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연결부(170)는,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거치대(72)와, 거치대(72)에 구비되고, 스윙바(5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7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달리 스윙바(5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프레임부재(12)에 설치되는 거치대(72)에 스윙바(50)의 하단이 힌지부(1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스윙바(50)이 하단을 중심으로하여 스윙바(5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상체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되고, 스윙바(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윙바(50)에 구비되는 밀착블록(184)을 거치패널(182) 내부에 안착시키고, 밀착블록(184)에서 제공되는 자력에 의해 밀착블록(184)과 거치패널(182)이 밀착되면서 스윙바(50)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연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의 힌지부(276)는, 거치대(72)에 구비되는 힌지홈부(272)와, 힌지홈부(272)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스윙바(50)에 구비되는 볼부재(27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스윙바(50)는 본체(10)에 고정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스윙바(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10)로부터 간편하게 스윙바(50)를 분리시켜 별도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체운동을 행하는 경우에는 스윙바(50)의 하단에 구비되는 볼부재(274)를 거치대(72) 상면에 형성되는 힌지홈부(272)에 안착시켜 스윙바(5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거나 당기면서 상체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동이 종료된 후에 스윙바(50)를 보관할 때에는 스윙바(5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밀착블록(184)을 거치패널(182) 내부에 안착시키면 밀착블록(184) 또는 거치패널(182)에 구비되는 자력에 의해 밀착블록(184)과 거치패널(182)이 밀착되므로 스윙바(50)를 직립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감속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본체를 슬림화 및 경량화시킬 수 있고, 러닝 또는 워킹 운동 중에 사용자의 상체를 반복 회전시키는 상체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스윙바의 사용, 수납 및 보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러닝 워킹 머신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프레임부재
12a : 하부케이스 12b : 측부케이스
12c : 상부케이스 14 : 순환매트
16 : 조작부 17 : 제1경사조절바
18 : 제2경사조절바 30 : 구동부
32 : 모터 34 : 감속기
36 : 구동축 37 : 제1벨트부재
38 : 제2벨트부재 50 : 스윙바
52 : 제1기둥부재 52a : 관통홀부
52b : 고정홀부 52c : 거치홀부
54 : 제2기둥부재 56 : 조절홀부
57 : 굴곡부 58 : 레버부재
59 : 마찰부재 70, 170, 270 : 연결부
72 : 거치대 74 : 안착부재
74a : 제1작동홀부 74b : 제2작동홀부
76 : 연결케이스 77 : 제1케이스
77a : 절개부 77b : 연결보스
78 : 제2케이스 78a : 마감부
78b : 구동홀부 80, 180 : 각도제한부
82 : 장공부 84 : 잠금홀부
86 : 고정핀

Claims (11)

  1. 사용자가 올라서서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순환매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순환매트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
    사용자가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때에 손으로 잡고 상체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스윙바; 및
    상기 스윙바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윙바가 유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스윙바를 지지하고 상기 안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케이스(76)는,
    상기 스윙바(50)의 하부 일측을 감싸는 제1케이스(77);
    상기 스윙바(50)의 하부 타측을 감싸도록 상기 제1케이스(77)와 결합되는 제2케이스(78)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77)는 상기 안착부재(7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단부에 절개부(77a)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2케이스(78)와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연결보스(77b)가 돌출되며, 상기 제2케이스(78)는, 상기 절개부(77a)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안착부재(7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마감하는 마감부(78a)가 구비되고, 상기 마감부(78a)에는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동홀부(78b)가 형성되고,
    상기 스윙바가 일정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안착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량을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윙바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모양으로 곡선을 이루면서 굴곡되는 장공부;
    상기 장공부 일측에 구비되는 잠금홀부; 및
    상기 스윙바를 사용하는 상체운동을 행할 때에는 상기 장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스윙바의 회전운동을 구속할 때에는 상기 스윙바를 상기 본체에 인접하게 배치시킨 후에 상기 잠금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장공부(82)는, 상기 구동홀부(78b)의 주변에 곡선의 호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공부(82)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장공부(82)의 연장선상에 상기 잠금홀부(8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86)을 상기 장공부(82)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안착부재(74)에 체결하면 상기 장공부(82)의 길이만큼 상기 제1케이스(77) 및 상기 제2케이스(78)가 회전 가능하게 회전 각도가 제한되므로 상기 제1케이스(77) 및 상기 제2케이스(78)에 의해 하단부가 고정되는 상기 스윙바(50)의 회전 각도가 상기 장공부(82)의 길이만큼 회전 가능하게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감속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상기 순환매트가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바는,
    상기 본체에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둥부재; 및
    상기 제1기둥부재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사용자가 잡고 상체운동을 행하는 레버부재를 구비하는 제2기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사용자가 올라서서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순환매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순환매트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
    사용자가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때에 손으로 잡고 상체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스윙바; 및
    상기 스윙바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스윙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바가 일정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본체 사이의 상대 회전량을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본체의 프레임부재에 구비되는 고정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스윙바가 안착되는 거치패널; 및
    상기 스윙바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패널에 안착되는 밀착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패널 또는 상기 밀착블록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윙바에 구비되는 회전편; 및
    상기 회전편이 상기 지지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편과 상기 회전편에 체결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8. 삭제
  9. 삭제
  10. 사용자가 올라서서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순환매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순환매트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
    사용자가 러닝운동 또는 워킹운동을 행할 때에 손으로 잡고 상체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스윙바; 및
    상기 스윙바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고, 상기 스윙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는 힌지홈부; 및
    상기 힌지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스윙바에 구비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11. 삭제
KR1020180160564A 2018-12-13 2018-12-13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KR102098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564A KR102098339B1 (ko) 2018-12-13 2018-12-13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564A KR102098339B1 (ko) 2018-12-13 2018-12-13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339B1 true KR102098339B1 (ko) 2020-04-08

Family

ID=7027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564A KR102098339B1 (ko) 2018-12-13 2018-12-13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3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9829A (ja) * 1992-09-16 1994-11-22 William T Wilkinson 脱着式腕部エクササイズ装置
KR20090004487U (ko) * 2007-11-08 2009-05-13 김정욱 손잡이가 구비된 러닝 머신
KR20120038273A (ko) * 2010-10-13 2012-04-23 전정호 비전동식 런닝머신
JP2014113440A (ja) * 2012-11-15 2014-06-26 Daito Denki Kogyo Kk 歩行運動機
US20150209610A1 (en) * 2014-01-30 2015-07-30 Icon Health & Fitness, Inc. Low Profile Collapsible Treadmill
CN108905062A (zh) * 2018-08-16 2018-11-30 陈科明 多重安全持杆倒走机及其持杆倒走健身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9829A (ja) * 1992-09-16 1994-11-22 William T Wilkinson 脱着式腕部エクササイズ装置
KR20090004487U (ko) * 2007-11-08 2009-05-13 김정욱 손잡이가 구비된 러닝 머신
KR20120038273A (ko) * 2010-10-13 2012-04-23 전정호 비전동식 런닝머신
JP2014113440A (ja) * 2012-11-15 2014-06-26 Daito Denki Kogyo Kk 歩行運動機
US20150209610A1 (en) * 2014-01-30 2015-07-30 Icon Health & Fitness, Inc. Low Profile Collapsible Treadmill
CN108905062A (zh) * 2018-08-16 2018-11-30 陈科明 多重安全持杆倒走机及其持杆倒走健身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17383A1 (en) Drop-in Pivot Configuration for Stationary Bike
CN206499815U (zh) 具有拉筋效果的走步式运动机结构
US8500611B2 (en) Dual track exercise device
US6068579A (en) Treadmill with a Y-shaped yoke
US9227101B2 (en) Endless belt multi-function training system
US6923745B2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US9265984B2 (en) Exercise device using undulation members
US20160096064A1 (en) Treadmill with removable handles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US9079070B2 (en) Soft kettlebell
US20120238409A1 (en) Treadmill-style stairstep exercise machine
KR101566613B1 (ko) 자전거를 이용한 뇌기능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TW201534371A (zh) 輕省型可折疊跑步機
US7806808B2 (en) Athletic apparatus with non-parallel linear sliding track
JP5371089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およ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
US11400339B2 (en) Movably supported exercise device
WO2021164384A1 (zh) 攀爬机
US20180036619A1 (en) Bicycle exercise apparatus
US20140187395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exercise device
US20030211920A1 (en) Light weight and portable exercise device with bench seat
KR102098339B1 (ko) 상체운동용 스윙바를 구비하는 러닝 워킹 머신
US6132341A (en) Cycling exerciser having a rotatable handle
EP3175891B1 (en) Cycling training apparatus with stationary movement
TW201200202A (en) Upper body exercise and flywheel enhanced dual deck treadmills
US11992725B2 (en) Movably supported exercise device
KR20120038273A (ko) 비전동식 런닝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