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022B1 - 토션빔 및, 토션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토션빔 및, 토션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022B1
KR102098022B1 KR1020180121351A KR20180121351A KR102098022B1 KR 102098022 B1 KR102098022 B1 KR 102098022B1 KR 1020180121351 A KR1020180121351 A KR 1020180121351A KR 20180121351 A KR20180121351 A KR 20180121351A KR 102098022 B1 KR102098022 B1 KR 102098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
torsion beam
protruding
width direc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우
석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2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6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of specific articles made from metal rods, tubes, or profiles, e.g. crankshafts, by specially adapted methods 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 단면이 폐단면을 형성하는 빔본체; 상기 빔본체에서 길이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내입홈부; 및, 상기 내입홈부에서 상기 폐단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라인;을 포함하는 토션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토션빔 및, 토션빔의 제조방법{TORSION BEAM AND MANUACTURING METHOD FOR TORSION BEAM}
본 발명은 내구성을 향상시킨 토션빔 및, 토션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서스펜션은 차량의 주행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고 주행성능을 결정하는 장치로서 프런트 서스펜션과 리어 서스펜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스펜션은 차량이 요구하는 성능, 중량, 제조비용 등의 기준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리어 서스펜션의 경우 경차, 준중형 승용차에는 낮은 제조비용과 상대적으로 주행안정성이 뛰어난 토션 빔 형태가 주로 적용되고 있다.
토션 빔은 양측 끝단이 트레일링 암과 결합되어 주행 중 휠에 외부 하중이 전달될 경우 부재의 비틀림에 의해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서스펜션이며, 다양한 형상의 토션 빔이 존재한다.
KR 20-1997-0008526 U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용접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토션빔 및, 토션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토션빔의 제조과정에서 용접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 등의 제조상의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토션빔 및, 토션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 단면이 폐단면을 형성하는 빔본체; 상기 빔본체에서 길이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내입홈부; 및, 상기 내입홈부에서 상기 폐단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라인은, 상기 내입홈부의 홈부센터에서 상기 폐단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라인은, 상기 내입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부센터의 길이방향 전체 및, 상기 홈부센터의 단부에서 상방경사가 형성되는 상기 내입홈부의 양측 단부경사지점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판재를 가공한 블랭크를 준비하는 블랭크 준비단계; 하형으로 블랭크를 가압하여 토션빔의 내입홈부를 형성하는 내입홈부 형성단계;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말아올리는 롤업단계; 측면캠에 의해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형의 돌출부분이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를 가압하여 평탄하게 소성변형시키는 평탄화단계; 및, 평탄화된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를 용접 접합하는 용접접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단계 이전에, 돌출부분이 형성된 상형으로 상기 블랭크를 가압하여 상기 내입홈부의 내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라인을 형성하는 돌출라인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토션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평탄화단계는,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의 매칭면을 수평하게 가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탄화단계는,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의 매칭면이 수평상태에서 - 3.5 도 내지 + 3.5 도의 경사각의 범위를 가지도록 평탄화 가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탄화단계는, 상형의 돌출부분이 상기 블랭크의 돌출라인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소성변형을 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형에 형성된 돌출부분의 크기는 상기 돌출라인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롤업단계는, 상형과 패드로 부품을 고정하고 상기 블랭크를 하형에 밀어넣어 상기 블랭크가 'U'자형의 단면이 되도록 말아올리는 U형 가공단계; 및,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가 용접 가능한 위치까지 대향되도록 말아올리는 'O'자형의 단면이 되도록 말아올리는 O형 가공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롤업단계는, 상기 블랭크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고정금형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를 상기 돌출라인의 내입 방향으로 말아올릴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토션빔의 용접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토션빔의 제조과정에서 용접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 등의 제조상의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3a는 본 발명의 상형에 돌출부분이 형성된 본 발명의 토션빔의 제조방법이 적용된 경우의 도면이다.
도 2b 및, 도 3b는 본 발명과 대비되는 상형에 돌출부분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토션빔의 제조방법이 적용된 경우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의 제조방법의 블랭크 준비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의 제조방법의 내입홈부 형성단계 및, 돌출라인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의 제조방법의 롤업단계 중 U형 가공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의 제조방법의 롤업단계 중 O형 가공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10)은 빔본체(100), 내입홈부(200) 및, 돌출라인(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을 참조하면, 토션빔(10)은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D2) 단면이 폐단면을 형성하는 빔본체(100)와, 상기 빔본체(100)에서 길이방향(D1)으로 내입 형성된 내입홈부(200) 및, 상기 내입홈부(200)에서 상기 폐단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라인(30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빔(10)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토션빔(10)의 양측 단부에는 트레일링 암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션빔(10)은 780 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토션빔(10)은 980 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빔본체(100)는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D2) 단면은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빔본체(100)는 단면이 폐단면을 형성함으로써, 토션빔(10)의 단면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빔본체(100)의 단면은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중공부분이 형성된 폐단면을 형성함으로써, 토션빔(10)의 단면강성을 증가시키면서 토션빔(10)을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빔본체(100)의 길이방향(D1) 양단부에는 트레일링 암이 접합될 수 있다.
일례로, 빔본체(100)의 길이방향(D1) 양단부에는 트레일링 암이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빔본체(100)의 길이방향(D1) 양단부에 트레일링 암에 설치된 결합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빔본체(100)는,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S)의 매칭면을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빔본체(100)는,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S)의 매칭면이 수평상태에서 - 3.5 도 내지 + 3.5 도의 경사각의 범위를 가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매칭면이 수평상태에서 -3.5 도인 경우는,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하향으로 3.5도 정도 기울어진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매칭면이 수평상태에서 +3.5 도인 경우는,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상향으로 3.5도 정도 기울어진 것을 의미한다.
내입홈부(200)는 빔본체(100)에서 내입되도록 형성되고, 내입홈부(200)는 빔본체(100)의 길이방향(D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내입홈부(200)는 빔본체(100)에서 'V'자형으로 내입 형성되거나, 빔본체(100)에서 만곡진 'U'자형으로 내입 형성될 수 있다.
돌출라인(300)은 내입홈부(200)에서 빔본체(100)의 폐단면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라인(300)은 내입홈부(200)과 함께 복수 개의 변곡지점(R)을 형성하여 토션빔(10)의 단면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내입홈부(200)는 빔본체(100)의 폐단면 내측방향으로 내입된 상태에서, 돌출라인(300)이 내입홈부(200)에서 빔본체(100) 폐단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내입홈부(200) 상에서 적어도 3곳 이상의 변곡지점(R)을 형성하여 토션빔(10)의 단면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돌출라인(300)은 내입홈부(200)에서 빔본체(100)의 폐단면 외측방향으로 'U'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라인(300)은 빔본체(100)의 폐단면의 내측방향으로 'U'자형의 개방된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돌출라인(300)은 내입홈부(200)에서 빔본체(100)의 폐단면 외측방향으로 'V'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라인(300)은 빔본체(100)의 폐단면의 내측방향으로 'V'자형의 개방된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라인(300)이 'U'자형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V'자형으로 돌출 형성될 경우, 돌출라인(300)은 내입홈부(200)과 함께 3개의 변곡지점(R)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돌출라인(300)은 내입홈부(200)에서 빔본체(100)의 폐단면 외측방향으로 'ㄷ'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라인(300)은 빔본체(100)의 폐단면의 내측방향으로 'ㄷ'자형의 개방된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라인(300)이 'ㄷ'자형으로 돌출 형성될 경우, 돌출라인(300)은 내입홈부(200)과 함께 4개의 변곡지점(R)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돌출라인(300)은, 상기 내입홈부(200)의 홈부센터(210)에서 상기 폐단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라인(300)은 내입홈부(200)의 홈부센터(210)를 따라 길이방향(D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라인(300)은 내입홈부(200)의 홈부센터(210)를 따라 길이방향(D1)으로 형성되되, 내입홈부(200)의 홈부센터(210) 전체 길이의 적어도 80% 이상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돌출라인(300)은 상기 내입홈부(200)의 길이방향(D1)을 따라 형성된 홈부센터(210)의 길이방향(D1)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을 참조하면, 돌출라인(300)은, 상기 내입홈부(200)의 길이방향(D1)을 따라 형성된 홈부센터(210)의 길이방향(D1) 전체 및, 상기 홈부센터(210)의 단부에서 상방경사가 형성되는 상기 내입홈부(200)의 양측 단부경사지점(23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내입홈부(200)는 내입홈부(200)의 저점에 대응되고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센터(210)와, 홈부센터(210)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단부경사지점(230)이 형성될 수 있다.
홈부센터(210)와 단부경사지점(230)의 경계부분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돌출라인(300)을 내입홈부(200)의 홈부센터(210) 및, 양측 단부경사지점(230)에 걸쳐서 형성함으로써, 돌출라인(300)이 홈부센터(210)와 단부경사지점(230)의 경계부분을 보강하여 응력집중에 대한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토션빔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의 제조방법은 블랭크 준비단계(S1), 내입홈부 형성단계(S2), 롤업단계(S3), 평탄화단계(S4), 용접접합단계(S5) 및, 돌출라인 형성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토션빔(10) 제조방법은 판재를 가공한 블랭크(S)를 준비하는 블랭크 준비단계(S1)와, 하형(30)으로 블랭크(S)를 가압하여 토션빔(10)의 내입홈부(200)를 형성하는 내입홈부 형성단계(S2)와,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말아올리는 롤업단계(S3)와, 측면캠(40)에 의해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형(20)의 돌출부분(21)이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를 가압하여 평탄하게 소성변형시키는 평탄화단계(S4) 및, 평탄화된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를 용접 접합하는 용접접합단계(S5)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단계(S4) 이전에, 돌출부분(21)이 형성된 상형(20)으로 상기 블랭크(S)를 가압하여 상기 내입홈부(200)의 내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라인(300)을 형성하는 돌출라인 형성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블랭크 준비단계(S1)는 판재를 가공하여 설정된 형상으로 제작된 블랭크(S)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블랭크 준비단계(S1)에서는 판재를 재단하여 설정된 형상의 블랭크(S)를제작할 수 있다.
일례로, 강재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된 판재를 절단하여 설정된 형상의 블랭크(S)를 준비할 수 있다.
일례로, 블랭크(S)는 780 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블랭크(S)는 980 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내입홈부 형성단계(S2)는 하형(30)으로 블랭크(S)를 가압하여 토션빔(10)의 내입홈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내입홈부 형성단계(S2)는 하형(30)으로 블랭크(S)를 가압하여 블랭크(S)의 하부면을 상방으로 변형시켜 토션빔(10)의 내입홈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형(20)과 홀더(70)로 블랭크(S)의 유입을 조절하고, 상형(20)과 하형(30)의 사이에 블랭크(S)를 배치한 상태에서, 하형(30)으로 블랭크(S)를 가압하여 토션빔(10)에 내입홈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형(20)과 홀더(70)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60)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롤업단계(S3)는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말아올릴 수 있다.
롤업단계(S3)는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를 상기 돌출라인(300)의 돌출 방향으로 말아올릴 수 있다.
롤업단계(S3)는 하형(30) 또는 측면캠(40)에 의해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말아올릴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롤업단계(S3)는, 상형(20)과 패드(80)로 부품을 고정하고 상기 블랭크(S)를 하형(30)에 밀어넣어 상기 블랭크(S)가 'U'자형의 단면이 되도록 말아올리는 U형 가공단계(S3-1) 및,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용접 가능한 위치까지 대향되도록 말아올리는 'O'자형의 단면이 되도록 말아올리는 O형 가공단계(S3-2)를 구비할 수 있다.
토션빔(10)은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캠(40)에 의해 'O'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측면캠(40)에 의해 'O'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가공할 경우에는 상형(20)의 돌출부분(21)에 토션빔(10)이 접촉되지 않아야 한다.
이는, 측면캠(40)에 의해 'O'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가공시에 상형(20)의 돌출부분(21)이 블랭크(S)의 용접이음부(W)에 걸려서 원하지 않는 변형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상형(20)의 돌출부분(21)이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측단부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면캠(40)에 의해 'O'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가공될 경우, 상형(20)의 돌출부분(21)에 의해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측단부의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 후, 토션빔(10)은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캠(40)에 의해 'O'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가공되면 상형(20), 하형(30), 측면캠(40) 등을 조정하면서 토션빔(10)의 최종 형상에 맞도록 미세한 조정을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롤업단계(S3)는, 상기 블랭크(S)의 길이방향(D1) 양측 단부영역에 고정금형(50)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를 상기 돌출라인(300)의 내입 방향으로 말아올릴 수 있다.
블랭크(S)의 길이방향(D1) 양측 단부영역에 고정금형(50)을 배치함으로써, 빔본체(100)의 양단부의 형상을 트레일링 암의 결합을 위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평탄화단계(S4)는 측면캠(40)에 의해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형(20)의 돌출부분(21)이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를 가압하여 평탄하게 소성변형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평탄화단계(S4)는,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S)의 매칭면을 수평하게 가공할 수 있다.
즉,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측 단부영역이 대향된 상태에서 상부면 및, 하부면이 수평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일례로, 평탄화단계(S4)는,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S)의 매칭면이 수평상태에서 - 3.5 도 내지 + 3.5 도의 경사각의 범위를 가지도록 평탄화 가공될 수 있다.
일례로,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서로 맞대진 상태에서 대향된 상기 블랭크(S)의 매칭면을 평탄하게 가공할 수 있다.
적어도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근접한 상태에서, 상형(20)이 근접한 블랭크(S)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매칭면을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형(20)의 가압에 의해 근접하게 배치되었던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평탄화단계(S4)는,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서로 맞대진 상태에서 대향된 상기 블랭크(S)의 매칭면을 평탄하게 가공할 수 있다.
평탄화단계(S4)는,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형(20)이 접촉된 상기 블랭크(S)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매칭면을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평탄화단계(S4)는, 상형(20)의 돌출부분(21)이 상기 블랭크(S)의 돌출라인(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소성변형을 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3a의 경우는, 상형(20)에 돌출부분(21)이 형성된 본 발명의 토션빔의 제조방법이 적용된 경우이다.
도 2b 및, 도 3b의 경우는, 본 발명과 대비되는 상형(20)에 돌출부분(21)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토션빔의 제조방법이 적용된 경우이다.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토션빔(10) 제조방법은 상형(20)의 돌출부분(21)이 블랭크(S)의 매칭면을 눌러주면서 소성변형을 유도하여 롤업단계(S3)를 거친 블랭크(S)가 탄성복원되려는 힘을 줄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칭면을 평탄하게 평탄면(T1)이 형성되면서 용접이음부(W)의 형상정밀도를 확보하여 용접이음부(W)의 건전성을 확보하여 용접이음부(W)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달리 상형(20)에 돌출부분(21)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매칭면이 평탄화되지 않고 매칭면이 수평상태에서 상당한 경사각을 가는 만곡면(T2)이 형성되면서 용접이음부(W)에서 크랙(X)이 발생하는 등의 내구성능이 저하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평탄화단계(S4)에 적용되는 상형(20)에 형성된 돌출부분(21)의 크기는 상기 돌출라인(300)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일례로, 평탄화단계(S4)에 적용되는 상형(20)에 형성된 돌출부분(21)의 크기는 상기 돌출라인(300)의 크기와 동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평탄화단계(S4)에 적용되는 상형(20)에 형성된 돌출부분(21)의 크기는 상기 돌출라인(300)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용접접합단계(S5)는 평탄화된 상기 블랭크(S)의 폭방향(D2) 양단부를 용접 접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돌출라인 형성단계(S6)는 평탄화단계(S4) 이전에, 돌출부분(21)이 형성된 상형(20)으로 상기 블랭크(S)를 가압하여 상기 내입홈부(200)의 내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라인(300)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돌출라인 형성단계(S6)는 내입홈부 형성단계(S2)와 롤업단계(S3)의 사이에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돌출라인 형성단계(S6) 이후에 내입홈부 형성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
일례로, 토션빔의 제조방법은 블랭크 준비단계(S1), 내입홈부 형성단계(S2), 돌출라인 형성단계(S6), 롤업단계(S3), 평탄화단계(S4), 용접접합단계(S5)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토션빔의 제조방법은 블랭크 준비단계(S1), 돌출라인 형성단계(S6), 내입홈부 형성단계(S2), 롤업단계(S3), 평탄화단계(S4), 용접접합단계(S5)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션빔의 제조방법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토션빔(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토션빔의 제조방법에서 활용되는 토션빔(10)의 빔본체(100), 내입홈부(200) 및, 돌출라인(3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토션빔(1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본 발명의 토션빔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서 예시하는 것으로, 상술한 순서 이외에도 구체적인 현장상황에 따라 다른 순서에 따라 변형실시되거나 혹은 기타 부수적인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토션빔 20: 상형
21: 돌출부분 30: 하형
40: 측면캠 50: 고정금형
60: 가이드 70: 홀더
80: 패드
100: 빔본체 200: 내입홈부
210: 홈부센터 230: 단부경사지점
300: 돌출라인 D1: 길이방향
D2: 폭방향 R: 변곡지점
S: 블랭크 S1: 블랭크 준비단계
S2: 내입홈부 형성단계 S3: 롤업단계
S3-1: U형 가공단계 S3-2: O형 가공단계
S4: 평탄화단계 S5: 용접접합단계
S6: 돌출라인 형성단계 T1: 평탄면
T2: 만곡면 W: 용접이음부
X: 크랙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 단면이 폐단면을 형성하는 빔본체;
    상기 빔본체에서 길이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내입홈부; 및,
    상기 내입홈부에서 상기 폐단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라인은,
    상기 내입홈부의 홈부센터에서 상기 폐단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라인은,
    상기 내입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부센터의 길이방향 전체 및, 상기 홈부센터의 단부에서 상방경사가 형성되는 상기 내입홈부의 양측 단부경사지점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
  5. 판재를 가공한 블랭크를 준비하는 블랭크 준비단계;
    하형으로 블랭크를 가압하여 토션빔의 내입홈부를 형성하는 내입홈부 형성단계;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말아올리는 롤업단계;
    측면캠에 의해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형의 돌출부분이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를 가압하여 평탄하게 소성변형시키는 평탄화단계; 및,
    평탄화된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를 용접 접합하는 용접접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단계 이전에,
    돌출부분이 형성된 상형으로 상기 블랭크를 가압하여 상기 내입홈부의 내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라인을 형성하는 돌출라인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토션빔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단계는,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의 매칭면을 수평하게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단계는,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의 매칭면이 수평상태에서 - 3.5 도 내지 + 3.5 도의 경사각의 범위를 가지도록 평탄화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단계는,
    상형의 돌출부분이 상기 블랭크의 돌출라인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소성변형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에 형성된 돌출부분의 크기는 상기 돌출라인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업단계는,
    상형과 패드로 부품을 고정하고 상기 블랭크를 하형에 밀어넣어 상기 블랭크가 'U'자형의 단면이 되도록 말아올리는 U형 가공단계; 및,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가 용접 가능한 위치까지 대향되도록 말아올리는 'O'자형의 단면이 되도록 말아올리는 O형 가공단계;를 구비하는 토션빔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업단계는,
    상기 블랭크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고정금형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블랭크의 폭방향 양단부를 상기 돌출라인의 내입 방향으로 말아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의 제조방법.
KR1020180121351A 2018-10-11 2018-10-11 토션빔 및, 토션빔의 제조방법 KR102098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351A KR102098022B1 (ko) 2018-10-11 2018-10-11 토션빔 및, 토션빔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351A KR102098022B1 (ko) 2018-10-11 2018-10-11 토션빔 및, 토션빔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022B1 true KR102098022B1 (ko) 2020-04-07

Family

ID=7029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351A KR102098022B1 (ko) 2018-10-11 2018-10-11 토션빔 및, 토션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73401A (zh) * 2023-08-03 2023-09-01 泓欣科创(北京)科技有限公司 肌腱缝合器压配成型装置及肌腱缝合器压配成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526U (ko) 1995-08-29 1997-03-27 팩키지에 유리한 자동차용 토션빔 구조
JP2007069674A (ja) * 2005-09-05 2007-03-22 Futaba Industrial Co Ltd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891721A (zh) * 2017-11-01 2018-04-1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扭力梁及汽车悬架装置
KR20180110042A (ko) * 2016-03-10 2018-10-0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자동차용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부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526U (ko) 1995-08-29 1997-03-27 팩키지에 유리한 자동차용 토션빔 구조
JP2007069674A (ja) * 2005-09-05 2007-03-22 Futaba Industrial Co Ltd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10042A (ko) * 2016-03-10 2018-10-0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자동차용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부품
CN107891721A (zh) * 2017-11-01 2018-04-1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扭力梁及汽车悬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73401A (zh) * 2023-08-03 2023-09-01 泓欣科创(北京)科技有限公司 肌腱缝合器压配成型装置及肌腱缝合器压配成型方法
CN116673401B (zh) * 2023-08-03 2023-10-24 泓欣科创(北京)科技有限公司 肌腱缝合器压配成型装置及肌腱缝合器压配成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850B2 (en) Arm component for vehicl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7748743B2 (en) Structural or chassis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uch a structural or chassis component
US20180009050A1 (en) Welding structure of press formed part, structural part for automotive body including the we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lding part (as amended)
KR101230592B1 (ko) 일체형 트레일링 암 및 그 제조방법
US9828034B2 (en) Vehicle bodywork structure device
WO2016171230A1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プレス成形品及びプレス装置
KR101814943B1 (ko) 프레스 성형품 및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장치
JPH10329503A (ja) アクスルケ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アクスルケース
KR102497745B1 (ko) 차량 차축용 폐쇄 중공형 프로파일의 제조 방법
CN110480154B (zh) 激光拼焊板的焊接方法
US20200023424A1 (en) Front axle bea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WO2016171229A1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プレス成形品及びプレス装置
KR102098022B1 (ko) 토션빔 및, 토션빔의 제조방법
KR20200066448A (ko) 토션빔의 제조방법
KR102609315B1 (ko) 프레스 성형 방법
JP5406559B2 (ja) 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60744A (ko) 횡 부재의 제조를 위한 뒤틀림-보 후 차축
US1133170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ipe
JP4006848B2 (ja) サスペンション用リンク
JP5077211B2 (ja) 異形コ字状部を有する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248283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の製造方法
CN109664709B (zh) 管式扭转梁
WO2014167686A1 (ja) 中空円筒部材
KR100551814B1 (ko) 자동차용 분할형 프레임 접합구조
JP4102731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中空形材の曲げ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