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927B1 -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927B1
KR102097927B1 KR1020197004110A KR20197004110A KR102097927B1 KR 102097927 B1 KR102097927 B1 KR 102097927B1 KR 1020197004110 A KR1020197004110 A KR 1020197004110A KR 20197004110 A KR20197004110 A KR 20197004110A KR 102097927 B1 KR102097927 B1 KR 102097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location reference
broadcast
network nod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217A (ko
Inventor
질란 시옹
미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9003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2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6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 G01S1/20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using a comparison of transit time of synchronised signals transmitted from non-directional antennas or antenna systems spaced apart, i.e. path-dif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방법 네트워크 노드, 사용자 장비 및 로케이션 서버가 개시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위치 기준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은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반복 패턴으로서 브로드캐스팅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들 각각 동안에,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을 각각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에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연속적인 서브블록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위치 기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의 시간 기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뮤팅된 서브블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어떤 위치 기준 또는 데이터 신호도 브로드캐스팅하지 않는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의 상이한 시간 기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에 관한 것이다.
OTDOA 또는 관측된 도착 시간 차이(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는 사용자 장비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포지셔닝 방법이다. 특히, 네트워크 노드들은 PRS 위치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이들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검출된다. 사용자 장비에서의 상이한 신호들의 도착 시간 및 특히 사용자 장비에서의 RSTD 기준 신호 시간 차이 측정은 그들의 위치의 표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OTDOA 솔루션들은 RSTD 측정 및 보고 메커니즘에 약간의 지연을 가지며 이는 이동하는 사용자 장비의 위치를 측정할 때 부정확성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160 ms 떨어진 16개의 PRS 기회(occasion)가 존재하고 이들 기회 중 상이한 것들에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이 뮤팅되면, RSTD 측정 시간은 적어도 16 X 160 ms = 2560 ms이고 이는 UE 속도가 예를 들어 30KM/h이었다면 UE는 각각의 RSTD 측정 기간에서 약 21m 이동했을 것이다. 더 빠르게 이동하는 UE들은 물론 더 멀리 이동할 것이다. 160ms가 PRS 기회에 가장 가까운 시간 기간이며, 더 긴 주기성들에 대해 에러가 증가될 것이다.
모든 UE에 적용가능하고, 이동 UE들에 대한 정확성을 증가시키고, 과도한 양의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은 개선된 포지셔닝 측정 스킴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위치 기준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은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반복 패턴으로서 브로드캐스팅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들 각각 동안에,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을 각각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에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연속적인 서브블록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위치 기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의 시간 기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뮤팅된 서브블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어떤 위치 기준 또는 데이터 신호도 브로드캐스팅하지 않는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의 상이한 시간 기간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을 시간 도메인에서 서브블록들로 분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에서 뮤팅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브블록에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기준 위치 신호가 블록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한편 블록의 일부 리소스가 뮤팅되어 그것을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이 그들 자신의 위치 기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데 이용할 수 있게 남겨둔다. 이는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의 리소스가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또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뮤팅된 서브블록들 내에 이용가능한 리소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은 하나 이상의 인접한 반송파 주파수 리소스 블록 및 인접한 서브프레임에 복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을 포함한다.
사실상 PRS 블록을 시간 도메인에서 서브블록들로 분할함으로써, 각각의 서브블록은 위치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데 또는 뮤팅되는 데, 즉 이 시간 주파수 리소스 서브블록에서 데이터 또는 위치 기준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뮤팅은 상보적인 뮤팅 패턴이 선택되는 것을 전제로 하나 이상의 추가 네트워크 노드가 동일한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을 사용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위치 기준 신호들이 하나의 PRS 블록 내에서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2개의 노드가 상이한 PRS 시간 기간들 또는 기회들에서 뮤팅하기보다는, 하나의 PRS 블록 내에서 뮤팅이 발생하여 둘 이상의 노드가 동일한 PRS 블록에서 그들의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의 PRS 신호들에 응답해야 한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 블록에서 상이한 노드들에 응답하는 것은 위치 검출의 시간 기간이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결국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고 특히 더 빠르게 이동하는 UE들에 대해, 정확성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는 점점 더 상이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되며, 따라서 매우 상이한 속성들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많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할 수 있는 광대역 수신기들을 갖는 스마트 폰 사용자 장비가 있다. 이들 광대역 수신기는 10 내지 30 MHZ 사이, 바람직하게는 10 MHZ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사용자 장비는 단순히 미터 판독과 같은 특정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잡성이 낮은 장비일 수 있다. 이들은 때때로 MTC 또는 머신 유형 사용자 장비라고 불리며 전형적으로 1 내지 2 MHZ 사이, 바람직하게는 1.4MHZ의 대역폭을 가진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은 아마도 100 내지 500 KHZ와 종종 180KHZ 사이의 한층 더 낮은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PRS 신호는 통상적으로 더 넓은 대역의 사용자 장비에 적합한 대역폭에서 브로드캐스팅되어 왔다. 이는 리소스가 비싸고 사용자 장비가 협대역 수신기를 갖는 경우 이 광대역 리소스가 낭비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PRS 신호들은 더 좁은 대역폭들, 아마도 협대역폭 사용자 장비의 대역폭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이는 신호들이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송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여전히 종래의 광대역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이한 주파수 신호들은 동일한 시간 기간에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거나 - 이 경우 상이한 신호들은 상이한 UE들로 지향될 수 있음 -, 그것들은 상이한 시간 기간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고 - 이 경우 그것들은 동일한 UE로 지향될 것임 -, 주파수를 변경하는 아이디어는 신호의 브로드캐스트를 위해 증가된 대역폭을 예약하지 않으면서 수신된 신호들의 주파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감소된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되는 리소스를 감소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그것은 측정의 정확성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 여전히 감소된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상이한 PRS 블록을 송신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넓은 주파수 범위를 통해 위치 기준 신호들이 송신되는 한편 감소된 대역폭만이 이들 신호에 대해 어느 하나의 시간에 예약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서브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뮤팅된 서브블록을 포함하는 반면,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의 서브세트가 브로드캐스팅 및 뮤팅된 서브블록들을 포함하는 한편 다른 서브세트는 모두 PRS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하거나 모두 뮤팅되는, 균일한 서브블록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 블록 각각은 미리 결정된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브로드캐스팅되고, 서로 후속하여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미리 결정된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만큼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는 주파수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시간에서 서로 가장 가까이에서 송신되는 위치 기준 신호들이 주파수에서 서로 가까이 있지 않다면, 즉 그것들이 인접한 주파수 대역폭들을 형성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주파수 대역폭들 중 적어도 하나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송신되는 신호의 전체 대역폭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고 간섭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후에 후속하는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위치 기준 시간 기간 내에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의 브로드캐스트 사이에 시간 갭이 존재하도록 한다.
위치 기준 신호들의 브로드캐스트 사이에 시간 갭을 남기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주파수 호핑이 수반되는 경우인데 이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가 기준 신호들의 주파수 호핑을 보상하기 위해 수신기의 주파수 대역폭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것이고 따라서, 시간 지연을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 장비가 이 신호를 수신하기에 양호한 시간에 이러한 액션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위치 기준 블록들 각각은 상기 위치 기준 서브블록 및 상기 뮤팅된 기준 서브블록의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패턴을 포함한다.
각각의 위치 기준 블록에 대해 동일한 패턴을 제공하는 것은 수반된 상이한 요소들을 정의하고 그에 통신하기에 더 용이한 구성 및 그에 상보적인 패턴을 실행하고 생성하기에 간단한 것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위치 기준 블록들 중 적어도 2개가 상기 서브블록들의 상이한 브로드캐스트 패턴을 포함한다.
비록 가장 간단한 솔루션은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의 모든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 내에서 동일한 서브블록 패턴들을 갖는 것일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그것들이 상이할 수 있다. 상이한 블록들을 갖는 것은 뮤팅된 및 신호 서브블록들에 대한 더 많은 패턴들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경우들에서는 전체 블록이 뮤팅되거나 전체 블록이 위치 기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뮤팅된 서브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뮤팅된 서브블록 전에 그리고 적어도 하나는 이후에 브로드캐스팅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기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뮤팅된 서브블록은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의 에지가 아닐 것이지만, 다른 경우들에서는 그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뮤팅된 서브블록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의 표시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이 브로드캐스팅되는 방법에 관한 구성 정보는 기지국(예를 들어, eNB) 또는 로케이션 서버일 수 있는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블록 내의 서브블록들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을 포함한다. 위치 기준 블록이 동일한 경우에는 하나의 블록에 대한 구성 정보로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위치 기준 시간 기간 내에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 기준 블록이 상이한 경우에는 복수의 그러한 구성 정보가 송신될 것이다. 이 추가 네트워크 노드는 그 후 일부 경우들에서 이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사용자 장비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 네트워크 노드는 브로드캐스팅된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해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의 반복의 기간, 제1 위치 기준 시간 기간 내의 제1 위치 기준 블록의 시작의 서브프레임의 표시, 상기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들 각각에서 송신된 물리 신호 블록의 수, 상기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의 주파수 위치들의 패턴의 표시자, 각각의 위치 기준 블록 내의 위치 기준 서브블록의 수, 위치 기준 시간 기간 내의 위치 기준 블록들의 송신 사이의 서브프레임의 수.
사용자 장비가 적절한 리소스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추가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PRS 신호에 관한 추가 구성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에 대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응답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답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그들이 PRS 블록들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리소스들을 나타내는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노드가 그 자신의 위치 기준 신호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것들 양쪽 모두에 대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응답들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적합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위치가 도출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는 네트워크 노드 자체에서 행해지지 않고 그보다는 비록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네트워크 노드 상에 있지만 종종 제어 노드 내에 원격으로 위치하는 로케이션 서버에서 행해진다. 위치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고 다시 사용자 장비, 특히 빠르게 이동하는 사용자 장비의 위치의 분석의 정확성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제2 양태는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반복 패턴으로서 위치 기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하는데,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송신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각각 내에서,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을,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을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위치 기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의 시간 기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어떤 위치 기준 또는 데이터 신호도 브로드캐스팅하지 않는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의 상이한 시간 기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뮤팅된 서브블록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상기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2개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구성된다.
제3 양태는 로케이션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뮤팅된 서브블록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은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서 브로드캐스팅되고 각각의 서브블록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상기 시간 기간 내의 상이한 시간 기간 동안 브로드캐스팅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를 향해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위치 기준 신호들에 대한 사용자 장비 응답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로케이션 서버는 상이한 위치 기준 신호들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응답들을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로케이션 서버는 위치 기준 신호들의 브로드캐스팅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구성 정보를 제공받을 것이다. 그것은 이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전달할 것이고 그것은 또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신호들에 대한 응답들을 분석하는 데 이를 사용할 것이고 그것은 또한 이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그것은 상보적인 뮤팅 및 브로드캐스트 패턴을 갖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로케이션 서버는 이 구성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고 동일한 PRS 시간 기간 동안 네트워크 노드들 각각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PRS 신호들에 대한 응답에 관한 사용자 장비 응답 신호들을 수신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에 대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2개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것을 나타낸다.
제4 양태는 사용자 장비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 및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의 표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의 각각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뮤팅된 서브블록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의 표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상기 위치 기준 신호의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각각의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턴들은 상보적인 브로드캐스트 패턴들임 -;
상기 표시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에서 상기 위치 기준 신호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 동안에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의 수신에 대한 응답들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PRS 블록의 시간 기간 내에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PRS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보다 많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신호들을 포함하는 PRS 블록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시간 도메인에서 서브블록들로 분할되고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상보적인 뮤팅 및 브로드캐스트 패턴을 갖는 PRS 블록을 이 시간 주파수 도메인에서 브로드캐스팅하여,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가 서브블록 시간 기간 동안 PRS 블록을 브로드캐스팅하고 그 동안 다른 노드는 뮤팅되고, 그 반대로도 된다. 이는 하나의 PRS 블록의 시간 기간 동안 2개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신호들이 수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장비의 응답 시간에서의 레이턴시를 감소시킨다. 사용자 장비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 연달아 2개의 신호에 응답하는 이 능력은 정확성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 중 적어도 2개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되고,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표시된 시간들 동안 상기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는데, 이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 각각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 각각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뮤팅된 서브블록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의 표시를 추가로 포함하고;
네트워크 노드 및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상기 위치 기준 신호의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각각의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턴들은 상보적인 브로드캐스트 패턴들임 -;
상기 표시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에서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회로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 동안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 동안에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의 수신에 대한 응답들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제1, 제3 또는 제5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제7 양태는 로케이션 서버를 제공하는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뮤팅된 서브블록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은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서 브로드캐스팅되고 각각의 서브블록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상기 시간 기간 내의 상이한 시간 기간 동안 브로드캐스팅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를 향해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위치 기준 신호들에 대한 사용자 장비 응답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한다.
추가의 특정한 및 바람직한 양태들은 첨부된 독립 및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적절하게, 그리고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이외의 조합들로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장치 특징이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이는 해당 기능을 제공하거나 해당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응 또는 구성되는 장치 특징을 포함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제,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RS 시그널링을 예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관련 기술에 따른 주파수 호핑을 수반하는 PRS 시그널링을 예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더 미세한 뮤팅 패턴들을 갖는 PRS 시그널링을 예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더 미세한 뮤팅 패턴들 및 주파수 호핑을 갖는 PRS 시그널링을 예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실시예들을 더 상세하게 논의하기 전에, 먼저 개요가 제공될 것이다.
OTDOA(observe time difference of arrival)는 사용자 장비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포지셔닝 방법이다. 특히, 네트워크 노드들은 PRS 위치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이들은 사용자 장비 UE에 의해 검출된다. 사용자 장비에서 검출된 상이한 신호들의 도착 시간 및 특히 사용자 장비에서의 RSTD 기준 신호 시간 차이 측정은 UE의 위치의 표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UE의 속도가 증가할 때, OTDOA 포지셔닝을 위한 기존의 PRS 구성 및 RSTD 보고 메커니즘들은 RSTD 측정 보고 지연으로 인해 심각한 포지셔닝 에러를 초래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PRS 신호들은 통상적으로 때때로 PRS 기회로 지칭되는 시간 기간 내에 다수의 PRS 블록으로서 송신된다. 이 시간 기간 내에서의 이들 신호의 송신은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통상적으로, PRS 신호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비교적 넓은 주파수 대역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되었고, 이웃하는 노드들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뮤팅 패턴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주기적인 반복 패턴으로 시간 기간들의 일부 동안 PRS 신호들을 송신하기보다는, 네트워크 노드는 뮤팅되어 PRS 신호들이 뮤팅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들에서, 어떤 PRS 및 어떤 데이터 신호도 브로드캐스팅되지 않도록 할 것이고, 이 PRS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이 그들의 PRS 신호들을 송신하는 데 이용할 수 있게 남겨둔다. 이는 사용자 장비가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PRS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시간 기간이 경과했을 것이고 따라서, 이들 상이한 신호들의 도착 사이의 상대적인 시간 차이들을 결정할 수 있기 전에 이들 다수의 시간 기간이 필요할 것임을 의미한다. 이는 사실상 더 미세한 뮤팅 및 브로드캐스트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해결되었다. 이는 PRS 블록을 시간 도메인에서 서브블록들로 분할하고 서브블록들 중 일부는 PRS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고 서브블록들 중 일부는 뮤팅되어, 네트워크 노드가 이들 뮤팅된 서브블록 동안에는 PRS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지 않도록, 각각의 블록에 대한 브로드캐스트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는 다른 협력 네트워크 노드들이 그들 자신의 PRS 신호들의 브로드캐스트를 위해 이들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협력 네트워크 노드들은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들에서 PRS 신호들 및 뮤팅 신호들에 대한 상보적인 브로드캐스트 패턴들을 가질 것이며,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 1이 PRS 신호를 갖는 제1 서브블록을, 뮤팅된 서브 블록으로서의 제2 서브 블록 및 PRS 신호로서의 제3 서브 블록을 송신하면,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에서 노드 2는 제1 서브 블록에서 뮤팅되고, 제2 서브블록에서 PRS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제3 서브블록에서 뮤팅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는 제1 서브 블록에서 네트워크 노드 1로부터의 PRS 신호, 제2 서브 블록에서 네트워크 노드 2로부터의 PRS 신호 및 제3 서브블록에서 네트워크 노드 1로부터의 PRS 신호를 수신할 것이다. 따라서 이 블록 내에서 2개의 노드에 대한 RSTD 측정들을 결정하고 그에 대한 응답들을 그것의 위치를 결정하는 로케이션 서버 또는 네트워크 제어 노드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에서의 지연들이 현저히 감소되고, 특히 빠르게 이동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더 정확한 결과가 결정될 수 있다.
블록들에 의해 사용되는 특정 뮤팅 패턴은 구성가능하고 사용될 패턴을 나타내는 구성 정보가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신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노드의 배치 시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블록들의 경우, 뮤팅된 서브블록이 없을 수 있으며 패턴은 전체 블록이 뮤팅되는 것 또는 전체 블록이 브로드캐스팅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의 경우, 시간의 일부에 일부 뮤팅이 있을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각각의 PRS 시간 기간 내의 각각의 블록은 동일한 뮤팅 및 브로드캐스트 패턴을 갖는 반면 다른 경우들에서는 특정 PRS 시간 기간 내의 블록들 사이의 패턴들이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반복되는 PRS 시간 기간들은 그들 내부에 동일한 PRS 블록들을 가질 것이다.
도 1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PRS 신호들의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종래의 솔루션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4개의 PRS 기회가 있으며 1010의 뮤팅 패턴이 있다. 게다가, PRS 신호는 4개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송신되고 10 MHz의 비교적 넓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송신된다.
종래의 솔루션에서는, PRS 기간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하나의 PRS 기회는 1, 2, 4 또는 6개의 PRS 서브프레임을 가질 수 있고, PRS 기회의 기간은 160, 320, 640 또는 1,280 ms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하나의 PRS 패턴은 2, 4, 8 또는 16개의 PRS 기회를 포함할 수 있다. PRS 기회는 PRS 신호들이 송신되는 시간 기간이다. PRS 뮤팅 패턴은 대응하는 PRS 기회에서의 PRS가 뮤팅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도 1의 예에서 뮤팅 패턴은 1010이고, 이는 신호가 제1 및 제3 기회들에 대해서는 뮤팅되지 않지만 제2 및 제4 기회들에 대해서는 뮤팅되는 것을 나타낸다. PRS 기회가 뮤팅되는 경우에는, 이 PRS 기회에, PRS 신호가 없고 데이터 송신이 없고 EPDCCH가 없다. 이는 다른 셀들로부터의 신호들에 대한 PRS 청취 가능성을 개선한다.
도 2a 및 도 2b는 노키아(Nokia)에 의해 고안되고 동시 계류중인 출원에서 상세 설명된 관련 기술에 따라 브로드캐스팅되는 PRS 신호들의 대안적인 패턴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PRS 신호는 종래의 PRS 시그널링에서 이용가능한 더 넓은 대역폭 내에서 좁은 대역폭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10 MHz 주파수 대역이 도시되었지만, 각각의 PRS 신호 블록은 이 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만을 사용할 것이고, 사실, 이 예에서, 각각의 PRS 신호 블록은 1.4MHz의 대역폭 및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커버하고 각각의 블록은 뮤팅된 신호 또는 PRS 신호를 갖는다. 신호들 사이에는 주파수 호핑이 있어 그들은 각각 상이한 주파수 범위에서 전송된다. PRS 시간 기간 및 각각의 시간 기간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PRS 신호의 수 및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에서의 그들의 폭은 모두 구성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상이한 PRS 신호 블록들 사이에, 신호의 대역폭, 즉, 1.4MHz와 동일한 주파수 갭이 또한 존재한다. 각각의 PRS 블록은 이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폭이 1.4MHz이고 시간 도메인에서는 폭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PRS 블록의 반송파 주파수들은 미리 정의된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다음의 PRS 서브프레임에서 변경될 것이며, 도 2b의 경우에는, 이들 PRS 블록들 사이에 PRS 호핑 갭이 있을 것이다.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송신되는 신호들 사이에 시간 갭을 남겨두는 것은 그것들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가 그의 수신기의 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인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것은 전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을 지연시키며 따라서, 빠르게 이동하는 UE들에 대해서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드 3은 노드 1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에 대응하는 뮤팅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PRS 신호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이 감소될뿐만 아니라, 뮤팅 대역폭도 감소되어 종래의 시스템에 비해 추가적인 리소스들이 다른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파수 호핑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이 증가되고 이는 측정의 정확성을 개선하면서도 여전히 리소스들을 절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뮤팅 패턴을 갖는 PRS 신호들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협대역 PRS 신호들이 브로드캐스팅되지만 주파수 호핑은 없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PRS 블록은 폭이 4개의 서브프레임이고, 제1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는, 노드 1이 PRS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반면 후속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는, 그것이 뮤팅되도록 각각의 PRS 블록 내에 뮤팅 패턴이 있다. 다음 2개의 서브프레임에서, 그것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것이다. 협력 노드인 노드 3은 이에 대해 상보적인 패턴을 가져서 제1 서브프레임 동안에는 그것이 뮤팅될 것이고, 제2 서브프레임 동안에는 그것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것이고 제3 및 제4 서브프레임들 동안에는 그것이 뮤팅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PRS 기회 동안,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가 상보적인 브로드캐스트 및 뮤팅 패턴들로 PRS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어서 이들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는 다수의 노드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것이다. 각각의 PRS 블록은 인접 반송파 주파수들에서 및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서 하나 이상의 물리 리소스 블록(PRB)을 포함한다.
게다가, 신호들이 종래의 신호들보다 더 좁은 대역폭에서 브로드캐스팅되기 때문에, 동일한 시간 기간 내에서 하나보다 많은 신호 세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PRS 신호가 동시에 브로드캐스팅되는 경우, 신호들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로 전송되는 구성 정보는 그들의 속성들에 의존할 것이다. 따라서 광대역 UE는 신호들 각각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협대역 UE는 하나의 시간 기간 동안 전송된 다수의 신호들 중 하나에 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다른 협대역 UE는 다수의 신호들 중 상이한 것에 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일한 시간 기간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것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에 대한 뮤팅 패턴은 동일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그것들이 상이할 수 있고 사실 제2 블록은 상이한 협력 노드와 공유되는 상보적인 브로드캐스트 및 뮤팅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보적인 패턴을 갖는 노드 3보다는, 노드 4가 제2 PRS 블록에 대해 그것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PRS 블록 내의 더 미세한 뮤팅 패턴을 도 2에서 제안된 주파수 호핑과 조합하는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감소된 주파수 대역폭 신호들이 각각의 블록에서 송신되고 블록들 사이에 주파수 호핑이 발생하지만, 각각의 블록 내에는 뮤팅 패턴이 있어서, 협력 노드들이 상보적인 뮤팅 패턴을 갖고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다. PRS 시간 기간 또는 기회 내에 PRS 신호들 사이에 주파수 호핑이 있기 때문에, PRS 신호들의 브로드캐스트 사이에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시간 갭이 있을 수 있어 사용자 장비가 그의 수신기의 주파수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물론 지연을 어느 정도 증가시키지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주파수 호핑은 수신되는 전체로서의 신호들의 대역폭을 증가시키고, 사용된 리소스들을 증가시키지 않고 어떤 주파수 호핑도 발생하지 않는 신호들과 비교하여 정확성을 증가시킨다.
도 4에 도시된 예는 종래의 예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PRS 시간 기간보다 더 긴 PRS 시간 기간을 갖지만, 더 많은 신호들이 이 시간 기간 동안 전송되고, 주파수 대역이 훨씬 감소된다(비록 그 시간 기간 동안 변화하는 것이 사용될지라도). 이 시간 기간은 구성가능하며 PRS 구성 정보의 나머지와 함께 전송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요약하면, PRS 신호들은 종래의 PRS 신호들의 뮤팅 패턴보다 더 미세한 뮤팅 패턴을 갖고, 더 좁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고, 동일한 시간 기간에 하나보다 많은 PRS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하여 리소스들을 절약하면서도 전체 신호의 대역폭을 넓힐 수 있다. 뮤팅을 사용한 솔루션은 특히 고속 사용자 장비에 적용가능하다. 더 좁은 대역폭은 MTC UE 또는 협대역 IoT UE와 같은 협대역 UE의 대역폭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PRS 기회에 다수의 PRS 블록이 있고 이들 PRS 블록의 반송파 주파수들은 미리 정의된 PRS 주파수 호핑 패턴들에 기초하여 변경된다. 이들 PRS 서브블록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뮤팅된 PRS 서브블록을 갖는다. 일부 경우들에서는 PRS 블록들 중 일부 내에 제로(zero) 뮤팅된 PRS 서브 블록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뮤팅된 PRS 서브블록에는 데이터 송신이 없다. 하나의 PRS 블록은 인접 반송파 주파수들 및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하나 이상의 PRB 물리 리소스 블록에 걸쳐 있다.
실시예들의 이점들은 그것들이 하나의 PRS 기회에 더 많은 셀에 대한 RSTD 측정들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들은 더 짧은 시간에 더 많은 셀에 대한 RSTD 측정들을 지원한다. 실시예들은 또한 포지셔닝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PRS 주파수 호핑을 지원하고, 협대역 신호들이 사용되는 경우 더 적은 리소스들이 요구된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eNB 기지국일 수 있는 로컬 노드 1 및 또한 기지국일 수 있지만, 로케이션 서버일 수 있는 노드 2가 있다. 로컬 노드 1은 로컬 노드 1이 브로드캐스트팅하는 PRS 신호에 대한 PRS 구성 정보를 결정할 것이고, 그것은 이것을 노드 2에 송신할 것이며, 노드 2는 그것을 UE들에 전달할 것이다. 이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PRS 기회의 기간, 임의의 PRS 기회의 서브프레임 오프셋, 즉 제1 PRS 블록이 발생하는 PRS 기회 시간 기간의 시작으로부터의 서브프레임;
하나의 PRS 기회 내의 PRS 블록의 수; 및
주파수 호핑이 있는 경우, PRS 블록들의 주파수 호핑.
이것은 주파수 호핑 오프셋, 하나의 PRS 기회에서 제1 PRS 블록의 협대역 표시 및 미리 정의된 테이블 내의 인덱스일 수 있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또한 하나의 PRS 블록 내의 PRS 서브프레임의 수, 임의의 PRS 주파수 호핑 갭 내의 서브프레임 수 및 또한 하나의 PRS 블록 내의 PRS 뮤팅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뮤팅 패턴이 각각의 PRS 블록에서 동일하지 않은 경우, 구성 정보에서 송신되는 다수의 뮤팅 패턴이 있을 수 있다.
노드 2로 그리고 사용자 장비로 전송되는 구성 정보는 사용자 장비가 PRS 신호들에 대한 적절한 시간 및 주파수에서 모니터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노드 2가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상이한 PRS 신호들을 수신하는 때 사이의 시간 차이들을 나타내는 UE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응답하여 위치 측정 계산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로컬 노드 1 및 노드 2는 동일한 위치에 있을 수 있고 그것들은 노드 및 새로운 UE 정보뿐만 아니라 PRS 구성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그것들은 대안적으로 상이한 디바이스들에 있을 수 있고 그 자체들 사이에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로컬 노드 1은 PRS 신호를 UE로 송신할 것이고 PRS 측정들 및 노드 2는 PRS 구성 정보를 UE로 송신할 것이고, 따라서 UE는 PRS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을 알게 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RS 구성 정보는 또한 각각의 로컬 노드가 그 자신의 PRS 구성을 다른 로컬 노드에 요청 및/또는 전송하고 있는 경우 2개의 로컬 노드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이는 로컬 노드에서 위치 계산들이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고 더 원격에 있을 수 있는 로케이션 서버로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위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의 단계들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부 실시예는 또한 머신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하고 머신-실행가능 또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프로그램들을 인코딩하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를 커버하도록 의도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위에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디지털 메모리들, 자기 디스크들 및 자기 테이프들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위에 설명된 방법들의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프로세서들" 또는 “로직”으로서 라벨링되는 임의의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연관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들은, 단일의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의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 또는 “로직”이라는 용어의 명시적인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특정 용도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소프트웨어 저장을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 장치 등을 제한 없이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및/또는 맞춤형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스위치들은 단지 개념적인 것이다. 그들의 기능은 프로그램 로직의 동작을 통해, 전용 로직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와 전용 로직의 상호작용을 통해, 또는 심지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특정한 기술은 컨텍스트로부터 더 구체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구현자에 의해 선택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블록 다이어그램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 도들을 표현한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인정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임의의 플로차트, 플로 다이어그램,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실질적으로 표현될 수 있고 그래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 아니든 상관 없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표현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설명과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비록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고 그의 사상과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배열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 인정될 것이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열거된 모든 예는 본 발명의 원리들 및 본 기술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발명자(들)이 기여한 개념들을 이해함에 있어서 독자를 보조하기 위하여 명백하게 단지 교육적인 목적들을 위한 것으로 주로 의도되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열거된 예들 및 조건들에 대한 제한이 없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예들을 열거하는 본 명세서에서의 모든 진술뿐만 아니라 그 구체적인 예들은 이들의 등가물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위치 기준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은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반복 패턴으로서 브로드캐스팅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들 각각 동안에,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을 각각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에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연속적인 서브블록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위치 기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의 시간 기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뮤팅된 서브블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어떤 위치 기준 또는 데이터 신호도 브로드캐스팅하지 않는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의 상이한 시간 기간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시간 기간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한 시간 기간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각각은 미리 결정된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브로드캐스팅되고, 시간에서 서로 후속하여 제공되는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 중 적어도 2개는 미리 결정된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만큼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는 주파수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후에, 후속하는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위치 기준 시간 기간 내에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의 브로드캐스트 사이에 시간 갭이 존재하도록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준 블록들 각각은 상기 위치 기준 서브블록 및 상기 뮤팅된 기준 서브블록의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패턴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위치 기준 블록들 중 적어도 2개가 상기 서브블록들의 상이한 브로드캐스트 패턴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뮤팅된 서브블록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에 대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응답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답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 내에 반복 패턴으로서 위치 기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송신기;
    상기 위치 기준 신호 시간 기간들 각각 동안에,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을 각각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에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연속적인 서브블록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위치 기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의 시간 기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뮤팅된 서브블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어떤 위치 기준 또는 데이터 신호도 브로드캐스팅하지 않는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내의 상이한 시간 기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12. 제11항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와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 기준 신호들을 수신 및 검출하고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검출된 위치 기준 신호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된 응답은 상기 검출된 위치 기준 신호에 기초한 측정 결과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들은 상기 위치 기준 신호의 도착 시간을 포함하는, 시스템.
  15. 로케이션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내의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뮤팅된 서브블록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은 시간 주파수 리소스 블록에서 브로드캐스팅되고 각각의 서브블록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 블록의 상기 시간 기간 내의 상이한 시간 기간 동안 브로드캐스팅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를 향해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위치 기준 신호들에 대한 응답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사용자 장비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 및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의 표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의 각각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뮤팅된 서브블록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의 표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상기 위치 기준 신호의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각각의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턴들은 상보적인 브로드캐스트 패턴들임 -;
    상기 표시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에서 상기 위치 기준 신호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 동안에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의 수신에 대한 응답들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사용자 장비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위치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 각각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위치 기준 신호 블록들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 각각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신호 서브블록 및 뮤팅된 서브블록의 브로드캐스트 패턴의 표시를 추가로 포함하고;
    네트워크 노드 및 추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상기 위치 기준 신호의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각각의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턴들은 상보적인 브로드캐스트 패턴들임 -;
    상기 표시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에서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회로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 동안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 동안에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위치 기준 신호들의 수신에 대한 응답들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추가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서브블록은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에서의 시간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뮤팅된 서브블록은 상기 위치 기준 신호 블록 내의 상이한 시간 기간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턴의 표시는, 각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상기 복수의 위치 기준 신호들 중 적어도 두 개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될 것이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0.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항,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7004110A 2016-08-12 2017-08-10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KR102097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306049.4A EP3282784B1 (en) 2016-08-12 2016-08-12 Position detection of user equipment with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EP16306049.4 2016-08-12
PCT/EP2017/070392 WO2018029326A1 (en) 2016-08-12 2017-08-10 Position detection of user equipment with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217A KR20190030217A (ko) 2019-03-21
KR102097927B1 true KR102097927B1 (ko) 2020-04-06

Family

ID=5685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110A KR102097927B1 (ko) 2016-08-12 2017-08-10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66175B2 (ko)
EP (1) EP3282784B1 (ko)
JP (1) JP6992051B2 (ko)
KR (1) KR102097927B1 (ko)
CN (2) CN112054884B (ko)
ES (1) ES2770678T3 (ko)
PL (1) PL3282784T3 (ko)
WO (1) WO2018029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0144A1 (en) * 2010-03-17 2011-09-22 Iana Siomina Method and Apparatus for Muting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102016010432B4 (de) * 2016-08-27 2023-01-05 Diehl Metering Systems Gmbh Verfahren zur Selektion der Frequenzkanäle eines Kommunikationssystems
US20210176022A1 (en) * 2018-08-02 2021-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ositional reference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625811B1 (ko) * 2018-09-27 2024-01-16 소니그룹주식회사 멀티빔 동작을 지원하는 기지국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사용자 장비 포지셔닝 추정
CN112166575B (zh) * 2018-11-02 2023-09-26 Lg电子株式会社 发送和接收定位参考信号的方法及其设备
CN111867050B (zh) * 2019-04-29 2023-03-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装置、节点和服务器
EP3942872A4 (en) 2019-05-02 2022-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GB2583520A (en) * 2019-05-02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sitioning reference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230366977A1 (en) * 2020-10-09 2023-11-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20240045015A1 (en) * 2020-12-22 2024-02-08 Nokia Technologies Oy Uplink-based and downlink-based positionings
US11317370B1 (en) * 2021-02-26 2022-04-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avoidance for ranging and positioning of distributed devices
WO2023069817A1 (en) * 2021-10-18 2023-04-27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resource allocation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time and frequency domain
CN117376967A (zh) * 2022-06-30 2024-01-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测量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2708A1 (en) 2012-05-14 2015-03-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296359A1 (en) * 2014-04-14 2015-10-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for indoor lo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1807A (ja) * 2008-11-19 2010-07-08 Panasonic Corp 無線測位装置及び座標構成方法
CN101808411B (zh) 2009-02-16 2014-0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信系统中控制信道的资源映射方法和装置
KR101738162B1 (ko) * 2009-04-10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002354B2 (en) * 2009-06-12 2015-04-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control, SINR optimization and signaling enhancement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OTDOA measurements
US8891480B2 (en) * 2009-07-01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110039583A1 (en) * 2009-08-17 2011-02-17 Motorola, Inc. Muting time masks to suppress serving cell interference for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location
CN101997568B (zh) 2009-08-18 2014-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定位参考信号进行加扰的方法及装置
KR20110037431A (ko) * 2009-10-06 2011-04-13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방법 및 그 송신장치, 이에 대응하는 수신장치
US10193678B2 (en) * 2009-10-08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Muting schem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and signaling thereof
US8600398B2 (en) * 2009-11-03 2013-1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fining positioning configur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110230144A1 (en) * 2010-03-17 2011-09-22 Iana Siomina Method and Apparatus for Muting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00781B2 (en) * 2010-07-16 2015-08-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location estimation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021097A2 (en) * 2010-08-11 2012-02-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of providing cell grouping for positioning and related networks and devices
CN103209475B (zh) * 2012-01-16 2016-05-25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方法、定位服务器、终端和基站
WO2014086409A1 (en) * 2012-12-05 2014-06-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odes for transmitting broadcas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90935B2 (en) * 2013-09-07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Blind search for networ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configuration parameters
CN105794266B (zh) * 2013-09-24 2019-06-11 Zte维创通讯公司 用于小区发现的修改的参考信号传输的方法和装置
CN105379376B (zh) * 2014-01-24 2020-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10439775B2 (en) * 2014-09-02 2019-10-08 Qualcomm Incorporated Randomization of PRS frequency offsets and muting patterns in LTE for EOTDOA
US10649064B2 (en) * 2017-02-02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or system for acquisition of a positioning sig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2708A1 (en) 2012-05-14 2015-03-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296359A1 (en) * 2014-04-14 2015-10-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for indoor 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96272A1 (en) 2020-06-18
CN109565780B (zh) 2020-11-13
EP3282784A1 (en) 2018-02-14
WO2018029326A1 (en) 2018-02-15
US10966175B2 (en) 2021-03-30
CN109565780A (zh) 2019-04-02
EP3282784B1 (en) 2019-12-18
KR20190030217A (ko) 2019-03-21
CN112054884B (zh) 2023-09-05
JP6992051B2 (ja) 2022-01-13
JP2019525188A (ja) 2019-09-05
PL3282784T3 (pl) 2020-08-10
CN112054884A (zh) 2020-12-08
ES2770678T3 (es)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927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KR102121155B1 (ko) 무선 전기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JP7266040B2 (ja) 測位方法及び関連機器
US11716158B2 (en) Mobile station and reception quality measurement method
EP3047692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ending or receiving assistance data
EP2564228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ference time acquisition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65624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porting RSTD values
CN109644422B (zh) 无线电信网络内的位置参考信号的传输
WO2022143288A1 (zh) 大尺度特性参数测量方法、装置、节点和存储介质
WO20240926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accuracy improvement for low-capability user equipment
GB2547724A (en) Adapting reference signal density
GB2547725B (en) Adaptive reference signal patterns
CN104602354A (zh) 一种在异构网络中确定信道质量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