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909B1 -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 Google Patents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909B1
KR102097909B1 KR1020190094403A KR20190094403A KR102097909B1 KR 102097909 B1 KR102097909 B1 KR 102097909B1 KR 1020190094403 A KR1020190094403 A KR 1020190094403A KR 20190094403 A KR20190094403 A KR 20190094403A KR 102097909 B1 KR102097909 B1 KR 10209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pace
truss
slab
pipe tru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단
Original Assignee
임채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단 filed Critical 임채단
Priority to KR102019009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18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cantilevers or other provisions mounted in openings in the building, e.g. window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2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roof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多層) 구조의 건물을 시공할 때 건축자재, 폐기물 등의 반입이나 반출을 위해 건물 외측에 설치되는 가설 작업대로 운송 및 설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역 작업 또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경량 구조의 조립식으로 이루어진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슬래브의 내·외측에 걸쳐 설치되되 일정 높이의 벽체를 구성하는 한 쌍의 강관 트러스와, 슬래브 외측 공간에 하역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슬래브 외측으로 인출된 강관 트러스 하부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바닥판재와, 슬래브 외측으로 인출된 강관 트러스 단부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간격 버팀대와, 하역공간 외측으로 작업 통로를 개설하기 위해 강관 트러스에 조립 설치되는 통로 가설재 및, 슬래브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되고 클램프를 매개로 강관 트러스와 체결되어 바닥판재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파이프 서포트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다층(多層) 구조의 건물을 시공할 때 건축자재, 폐기물 등의 반입이나 반출을 위해 건물 외측에 하역공간이 조립형태로 마련함으로써 운송 및 설치, 보관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하역공간 외측으로 통로가 마련됨에 따라 하역작업시 건축자재와 작업자를 분리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SPACE EXPANSION SELF-ASSEMBLY TEMPORARY WORKING STAND}
본 발명은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多層) 구조의 건물을 시공할 때 건축자재, 폐기물 등의 반입이나 반출을 위해 건물 외측에 설치되는 가설 작업대로 운송 및 설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역 작업 또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경량 구조의 조립식으로 이루어진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 다층(多層) 구조의 건물은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벽체 거푸집의 상부에 슬래브패널(판넬)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및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층부에서 점차 상층부로 이동하면서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때, 슬래브가 양생되면 상층부 시공을 위해 벽체 거푸집, 슬래브패널, 동바리 등 건축자재를 해체하여 이를 상부로 옮겨 재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건축자재는 작업자들이 건물 내부 통로를 이용하거나 건물 외벽에 설치된 비계 가설물을 통해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옮기게 되는데,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우려도 있었다.
이에 따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8343호(2011. 9. 1. 공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과 같은 건물을 시공할 때 건축자재, 폐기물 등의 반입이나 반출을 위하여 건물 외측에 설치하는 가설 작업대 및 가설 작업대 설치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여기에는 길이 방향으로 실내측이 하부 슬래브 위에 놓이고 반대측의 실외측은 하부 슬래브 외부로 공중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거더와, 거더의 실외측에서 거더 위에 설치되어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물의 시공 중에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설 작업대로서, 거더의 외측면에는 전도방지 클램프장치가 구비되는데, 전도방지 클램프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모서리부재와, 회전모서리부재에 일체 결합되어 있는 수평부재와, 수평부 및 수직부가 ㄱ자로 결합되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수평부가 수평부재와 조립되는 절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거더가 하부 슬래브 위에 놓였을 때 수직부가 하부 슬래브의 하면에 밀착하고 수평부재가 하부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하여 거더의 하면과 수직부의 사이에 하부 슬래브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물려 있게 되도록 회전모서리부재를 관통한 회전축의 내측 단부가 거더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전도방지 클램프가 거더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전도방지 클램프장치의 구성으로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 전도 위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나 거더와 바닥판 및 방호울타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당한 부피를 차지함에 따라 운송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야적하는데 많은 부지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설 작업대 및 가설 작업대 설치 구조는 건축자재의 하역 공간과 작업자의 대기 공간이 서로 구획되지 않아 건축자재의 하역 공간 내에 작업자가 위치함으로써 하역 작업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층(多層) 구조의 건물을 시공할 때 건축자재, 폐기물 등의 반입이나 반출을 위해 건물 외측에 설치되는 가설 작업대로 운송 및 설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역 작업 또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경량 구조의 조립식으로 이루어진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슬래브의 내·외측에 걸쳐 설치되되 일정 높이의 벽체를 구성하는 한 쌍의 강관 트러스와, 슬래브 외측 공간에 하역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슬래브 외측으로 인출된 강관 트러스 하부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바닥판재와, 바닥판재에 의해 형성된 하역공간으로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강관 트러스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 바와, 슬래브 외측으로 인출된 강관 트러스 단부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간격 버팀대와, 하역공간 외측으로 작업 통로를 개설하기 위해 강관 트러스에 조립 설치되는 통로 가설재 및, 슬래브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되고 클램프를 매개로 강관 트러스와 체결되어 바닥판재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파이프 서포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강관 트러스는 프랫트러스, 하우트러스, 와렌트러스, K형트러스, 비렌딜트러스 중 하나 이상의 트러스 구조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강관 트러스 사이에 바닥판재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강관 트러스 하부에는 체결공이 천공된 제1플랜지가 설치되고, 바닥판재는 양 측면에 제1플랜지에 대응하여 체결공이 천공된 제2플랜지가 설치되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체결공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바닥판재는 강관 트러스로부터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강관 트러스가 건물 내로 진입시 슬래브의 난간 턱에 걸려 일정 깊이만 진입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강관 트러스는 슬래브의 난간 턱에 위치하는 부분에 보강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통로 가설재는 강관 트러스 측면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체결편이 마련된 수평바와 수평바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강관 트러스 수평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경사바가 마련되고 수평바 외측단에 난간 기둥이 설치된 측면용 비계 브라켓과; 측면용 비계 브라켓과 인접하는 측면용 비계 브라켓 사이의 수평바에 걸쳐 설치되는 발판 및; 측면용 비계 브라켓과 인접하는 측면용 비계 브라켓 사이의 난간 기둥에 조립 설치되는 난간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안전 바는 강관 트러스 내측에 돌출 형성된 핀 체결용 플랜지를 양단 내측에 수용한 상태에서 체결 핀에 의해 핀 체결용 플랜지에 체결되어 하역공간으로 출입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강관 트러스는 클램프를 매개로 슬래브 외측에 가설된 시스템 비계에 의해 더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多層) 구조의 건물을 시공할 때 건축자재, 폐기물 등의 반입이나 반출을 위해 건물 외측에 하역공간이 조립형태로 마련함으로써 운송 및 설치, 보관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하역공간 외측으로 통로가 마련됨에 따라 하역작업시 건축자재와 작업자를 분리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3은 트러스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의 일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의 간격 버팀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의 통로 가설재의 일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의 안전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슬래브(1)의 내·외측에 걸쳐 설치되되 일정 높이의 벽체를 구성하는 한 쌍의 강관 트러스(10)와, 슬래브(1) 외측 공간에 하역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슬래브(1) 외측으로 인출된 강관 트러스(10) 하부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바닥판재(20)와, 슬래브(1) 외측으로 인출된 강관 트러스(10) 단부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간격 버팀대(30)와, 하역공간 외측으로 작업 통로를 개설하기 위해 강관 트러스(10)에 조립 설치되는 통로 가설재(100) 및, 슬래브(1)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되고 클램프(2)를 매개로 강관 트러스(10)와 체결되어 바닥판재(20)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파이프 서포트(4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강관 트러스(10), 바닥판재(20), 간격 버팀대(30), 통로 가설재(100) 등이 개별 자재로 이루어져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해체하여 자재별로 적재함으로써 야적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 통로의 개설로 하역 공간과 작업자의 대기 공간이 구획되어 하역작업시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조립된 가설 작업대는 강관 트러스(10)에 로프를 걸어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다음 해당 층에 밀어넣게 되는데, 이때 강관 트러스(10)와 인접한 슬래브(1) 바닥과 천장 사이에 파이프 서포트(40)를 설치하고 클램프(2)를 이용하여 수평상태에서 강관 트러스(10)를 파이프 서포트(40)에 결속하고, 이어서 건물 외벽에 공지의 시스템 비계(7)가 설치된 경우에는 클램프를 매개로 강관 트러스(10)를 시스템 비계(7)에 추가 결속함으로써 견고한 상태로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첨부도면에서는 한쪽에 3개의 파이프 서포트(40)가 배치되고, 상단과 중단에 각각 클램프(2)가 체결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또한 파이프 서포트(40) 상부에는 파이프 서포트(40)를 상호 결속하여 강관 트러스(10) 어느 한쪽에 편향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버팀력을 갖도록 클램프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 바(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서포트(1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의 일종이고, 클램프(2)는 교차하는 비계를 결속하는 등 이 기술분야에서는 공지의 기술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1 및 3을 참조하면 상기의 강관 트러스(10)는 프랫트러스(Pratt Truss), 하우트러스(Howe Truss), 와렌트러스(Warren Truss), K형트러스(K-Truss), 비렌딜트러스(Vierendeel Truss) 중 하나 이상의 트러스 구조가 결합된다.
즉, 트러스는 횡하중에 의한 전단력이 좌우 기둥열로 전달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속된 단일 골조로 거동하게 되는데, 강관 트러스(10) 중심부에 경사재(1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강관 트러스(10) 사이에 바닥판재(20)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강관 트러스(10) 하부 내측에는 체결공(16)이 천공된 제1플랜지(15)가 형성되고, 바닥판재(20)는 양 측면에 제1플랜지(15)에 대응하여 체결공(26)이 천공된 제2플랜지(25)가 돌출 형성되며, 체결공(16,26)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구(3)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바닥판재(20)는 경량화를 위해 사각틀 형상으로 짜여진 바닥 프레임과 그 위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이 형성된 무늬철판이 용접 설치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바닥판재(20) 측면에 강관 트러스(10)를 위치시켜 제1플랜지(15)와 제2플랜지(25)에 천공된 체결공(16,26)에 체결구(3), 즉 볼트를 체결하여 너트로 조임으로써 현장에서 가설 작업대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 및 5를 참조하면 상기의 바닥판재(20)는 강관 트러스(10)로부터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강관 트러스(10)가 건물 내로 진입시 슬래브의 난간 턱(5)에 걸려 일정 깊이만 진입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조립된 가설 작업대는 강관 트러스(10)에 로프를 걸어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다음 해당 층에 밀어넣게 되는데, 이때 바닥판재(20)가 강관 트러스(10)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됨에 따라 강관 트러스(10)가 건물 내로 진입시 난간 턱(5)에 걸려 강관 트러스(10)가 건물 내로 과소 또는 과다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슬래브(1)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강관 트러스(10)는 난간 턱(5)에 놓일 시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슬래브의 난간 턱(5)에 위치하는 부분에 보강대(60)가 부착된다.
여기서, 보강대(60)는 소정 길이의 판재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강관 트러스(10) 측으로 분산하거나 강관 트러스(10)를 보강하여 휨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강관 트러스(10) 하부 프레임 양측면에 용접하여 부착한다.
따라서 강관 트러스(10)를 난간 턱(5)에 걸쳐 설치하더라도 보강대(60)에 의해 하중 분산 및 보강으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바닥판재(20)는 그 선단에 슬래브(1)의 바닥면과의 단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진 덮개판(70)이 설치된다.
이는 작업 중 작업자가 바닥판재(20)의 턱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손수레 등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구성이다.
다음, 도 1 및 6을 참조하면 상기의 간격 버팀대(30)는 슬래브(1) 외측으로 인출된 강관 트러스(10) 단부 사이에 조립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강관 트러스(10) 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핀 체결용 플랜지(31)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간격 버팀대(30)는 양단에 핀 체결용 플랜지(31)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에서 체결 핀(32)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간격 버팀대(30)의 체결부는 핀 체결용 플랜지(31)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양단 측면에 절개홈(36)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핀 공(37)이 천공된다.
따라서 마주보는 한 쌍의 강관 트러스(10) 사이에 간격 버팀대(30)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조립 설치가 가능하고 강관 트러스(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에서는 간격 버팀대(30)가 4단으로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다음, 도 1 및 7을 참조하면 상기의 통로 가설재(100)는 강관 트러스(10) 측면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체결편이 마련된 수평바(110)와 수평바(11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강관 트러스(10) 수평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경사바(120)가 마련되고 수평바(110) 외측단에 난간 기둥(130)이 설치된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과;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과 인접하는 측면용 비계 브라켓 사이의 수평바(110)에 걸쳐 설치되는 발판(150) 및;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과 인접하는 측면용 비계 브라켓 사이의 난간 기둥(130)에 조립 설치되는 난간대(16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통로 가설재(100)는 강관 트러스(10)와 간격 버팀대(30)에 의해 구획되는 하역공간 외측으로 작업 통로를 개설하기 위한 구성으로, 크게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과 발판(150) 및 난간대(160)로 이루어진다.
먼저,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은 통로 폭을 결정하는 수평바(110)와 수평바(11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수평바(110)를 떠받치기 위한 경사바(120) 및 수평바(110) 외측단에 일정 높이로 난간 기둥(130)이 설치된다.
또한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은 강관 트러스(10) 측면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수평바(110) 일측단에 체결편이 마련되는데, 체결편은 강관 트러스(10)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핀 체결용 플랜지와 핀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바(110) 일측단에 핀 체결용 플랜지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핀 공이 천공된다.
경사바(120)는 수평바(11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그 단부에 강관 트러스(10)의 수평 프레임을 일부 감싸 안착되는 호 형상의 안착편(121)이 마련된다. 물론 경사바(120) 단부에 전술한 바와 같은 체결편을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여 강관 트러스(10) 외측면에 핀 체결용 플랜지를 마련하여 핀 결합에 의해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을 강관 트러스(10) 측면에 탈부착 할 수도 있다.
발판(150)은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과 인접하는 측면용 비계 브라켓 사이의 수평바(110)에 걸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발판(150) 양측면에 복수개의 걸고리(151)가 마련되어 수평바(110)에 걸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난간대(160)는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과 인접하는 측면용 비계 브라켓 사이의 난간 기둥(130)에 조립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난간 기둥(130)에는 핀 체결용 플랜지(31)가 마련되고, 난간대(160)의 양단에는 체결편이 마련된다.
체결편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핀 체결용 플랜지(31)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절개홈(36)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핀 공(37)이 천공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강관 트러스(10) 측면에 서로 인접되게 측면용 비계 브라켓을 부착하고, 양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의 수평바(110)에 발판(150)을 걸친 다음 인접하는 난간 기둥(130) 사이에 난간대(160)를 설치함으로써 하역공간과 구획되는 작업통로가 마련된다.
또한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이 강관 트러스(10)와 나란하게 강관 트러스(10) 단부에 부착된 경우 양 측면용 비계 브라켓(140)에 발판(150) 및 난간대(160)를 설치함으로써 간격 버팀대(30)에 의해 구획되는 하역공간 외측으로 작업통로를 개설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역공간 외측에 'ㄷ'자 형태로 작업공간이 개설된 예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1 및 8을 참조하면 바닥판재(20)의 선단이 위치하는 강관 트러스(10) 내측에는 핀 체결용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핀 체결용 플랜지를 양단 내측에 수용한 상태에서 체결 핀에 의해 핀 체결용 플랜지에 체결되어 하역공간으로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안전 바(5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안전 바(50)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핀 체결용 플랜지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양단 측면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핀 공이 천공된다.
따라서 마주보는 한 쌍의 강관 트러스(10) 사이에 안전 바(50)를 위치시켜 핀 체결용 플랜지를 양단 내측에 수용시키고, 체결 핀을 핀 공에 끼워넣음에 따라 하역공간 입구 측에 안전 바(50)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에서는 안전 바(50)가 2단으로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건축자재, 폐기물 등의 반입이나 반출이 완료된 경우에는 안전 바(50)를 설치하여 하역공간으로의 출입을 금지함으로써 낙하물에 의한 사고, 추락 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슬래브
2 : 클램프
3: 체결구
5 : 난간 턱
7 : 시스템 비계
10: 강관 트러스
12: 경사재
15: 제1플랜지
16: 체결공
20: 바닥판재
25: 제2플랜지
26: 체결공
30: 간격 버팀대
31: 핀 체결용 플랜지
32: 체결 핀
36: 절개홈
37: 핀 공
40: 파이프 서포트
50: 안전바
60: 보강대
70: 덮개판
100: 통로 가설재
110: 수평바
120: 경사바
121: 안착편
130: 난간 기둥
140: 측면용 비계 브라켓
150: 발판
151: 걸고리
160: 난간대

Claims (8)

  1. 슬래브의 내·외측에 걸쳐 설치되되 일정 높이의 벽체를 구성하는 한 쌍의 강관 트러스와,
    상기 슬래브 외측 공간에 하역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슬래브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강관 트러스 하부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바닥판재와,
    상기 바닥판재에 의해 형성된 하역공간으로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강관 트러스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 바와,
    상기 슬래브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강관 트러스 단부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간격 버팀대와,
    상기 하역공간 외측으로 작업 통로를 개설하기 위해 상기 강관 트러스에 조립 설치되는 통로 가설재 및,
    상기 슬래브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되고 클램프를 매개로 상기 강관 트러스와 체결되어 상기 바닥판재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파이프 서포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트러스는 프랫트러스, 하우트러스, 와렌트러스, K형트러스, 비렌딜트러스 중 하나 이상의 트러스 구조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트러스 사이에 상기 바닥판재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상기 강관 트러스 하부에는 체결공이 천공된 제1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재는 양 측면에 상기 제1플랜지에 대응하여 체결공이 천공된 제2플랜지가 설치되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체결공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는 상기 강관 트러스로부터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강관 트러스가 건물 내로 진입시 상기 슬래브의 난간 턱에 걸려 일정 깊이만 진입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트러스는 상기 슬래브의 난간 턱에 위치하는 부분에 보강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가설재는 상기 강관 트러스 측면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체결편이 마련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강관 트러스 수평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경사바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바 외측단에 난간 기둥이 설치된 측면용 비계 브라켓과;
    상기 측면용 비계 브라켓과 인접하는 측면용 비계 브라켓 사이의 수평바에 걸쳐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측면용 비계 브라켓과 인접하는 측면용 비계 브라켓 사이의 난간 기둥에 조립 설치되는 난간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바는 상기 강관 트러스 내측에 돌출 형성된 핀 체결용 플랜지를 양단 내측에 수용한 상태에서 체결 핀에 의해 상기 핀 체결용 플랜지에 체결되어 상기 하역공간으로 출입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트러스는 클램프를 매개로 건물 외벽에 가설된 시스템 비계에 의해 더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KR1020190094403A 2019-08-02 2019-08-02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KR10209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403A KR102097909B1 (ko) 2019-08-02 2019-08-02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403A KR102097909B1 (ko) 2019-08-02 2019-08-02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909B1 true KR102097909B1 (ko) 2020-04-06

Family

ID=7028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403A KR102097909B1 (ko) 2019-08-02 2019-08-02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9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0972A (zh) * 2020-09-08 2020-11-10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用于电动葫芦的折叠式检修平台
CN114000695A (zh) * 2021-10-18 2022-02-01 西安安德固模架工程有限公司 一种多层混凝土结构支撑用脚手架及其安装方法
CN115030526A (zh) * 2022-07-18 2022-09-09 唐山国淼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物用自卸式卸料平台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115U (ja) * 1995-06-30 1996-01-19 株式会社淺沼組 資材受け用踊場の枠体
KR100761472B1 (ko) * 2006-11-20 2007-09-27 (주)대청공영 건축물 쓰레기 하역용 가설 발코니
JP3158359U (ja) * 2010-01-15 2010-03-25 有限会社ノース天 天蓋兼用足場
KR20110098343A (ko) * 2010-02-26 2011-09-01 대림산업 주식회사 건물 외측 설치가 용이한 가설 작업대 및 가설 작업대 설치 구조
JP2011252318A (ja) * 2010-06-02 2011-12-15 Shimizu Corp 荷取り構台およびその移設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115U (ja) * 1995-06-30 1996-01-19 株式会社淺沼組 資材受け用踊場の枠体
KR100761472B1 (ko) * 2006-11-20 2007-09-27 (주)대청공영 건축물 쓰레기 하역용 가설 발코니
JP3158359U (ja) * 2010-01-15 2010-03-25 有限会社ノース天 天蓋兼用足場
KR20110098343A (ko) * 2010-02-26 2011-09-01 대림산업 주식회사 건물 외측 설치가 용이한 가설 작업대 및 가설 작업대 설치 구조
JP2011252318A (ja) * 2010-06-02 2011-12-15 Shimizu Corp 荷取り構台およびその移設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0972A (zh) * 2020-09-08 2020-11-10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用于电动葫芦的折叠式检修平台
CN114000695A (zh) * 2021-10-18 2022-02-01 西安安德固模架工程有限公司 一种多层混凝土结构支撑用脚手架及其安装方法
CN114000695B (zh) * 2021-10-18 2022-11-08 西安安德固模架工程有限公司 一种多层混凝土结构支撑用脚手架及其安装方法
CN115030526A (zh) * 2022-07-18 2022-09-09 唐山国淼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物用自卸式卸料平台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0341A1 (en) Scaffolding
CN212453613U (zh) 模板支撑系统和用于安装在模板支撑系统中的横梁
KR102097909B1 (ko) 공간확장형 조립식 가설 작업대
US6059258A (en) Modular shoring frame and system
US9803384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US10415262B2 (en)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0873B2 (en)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5388663A (en) Portable walkway systems
US3787020A (en) Concrete forming structure
RU2762583C1 (ru) Сборный узел ста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подъем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US3899152A (en) Concrete form including extruded aluminum support structure
US10465399B2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4144690A (en) Concrete forming structures
US11976483B2 (en)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293194B2 (en)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20080295424A1 (en) Tower module, system and method
WO2019126187A1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377838B2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N108412206B (zh) 适用于高大空间施工的桁架操作平台的施工方法
AU2019204109B2 (en) A wall frame component used within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A2109501C (en) Portable walkway systems
AU2019205014A1 (en) Modular barrier system
OA19564A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Z295062B6 (cs) Dům se zdvihaným stropním dílem
JPS61206536A (ja) 鉄筋鉄骨複合柱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