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570B1 -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570B1
KR102097570B1 KR1020180098238A KR20180098238A KR102097570B1 KR 102097570 B1 KR102097570 B1 KR 102097570B1 KR 1020180098238 A KR1020180098238 A KR 1020180098238A KR 20180098238 A KR20180098238 A KR 20180098238A KR 102097570 B1 KR102097570 B1 KR 10209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ipe
power generation
fram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287A (ko
Inventor
최종승
이상각
장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9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5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02Evacuating and treating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1/00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D21/003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4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5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obviating the penetration of damaging objects or particles
    • F02C7/052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obviating the penetration of damaging objects or particles with dust-separa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8Heating air supply before combustion, e.g. by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제1 가스가 유입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된 제2 배관;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상기 터빈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및 상기 제1 배관 내에 제2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스는 상기 제1 가스보다 온도가 높은 발전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발전 장치{TOP GAS RECOVERY PLANT}
실시 예는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로가스(BFG, Blast Furnace Gas)는 제철소의 고로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로서, 코크스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 등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매우 낮은 발열량에도 불구하고 고로에 부속되어 있는 코크스로의 연료로 활용되고 있다.
다만, 고로가스는 다량의 분진도 포함하고 있어, 건식 집진기에서 1차 제진 및 습식 집진기에서 2차 제진한 후에 가스홀더에 저장되어 연료로 활용되고 있다.
노정압 발전 설비는 고압의 고로가스를 활용한 발전 설비로서, 고로와 가스 홀더 사이에 배치된다. 고로가스는 약 3atm 정도의 높은 압력에서 상압으로 되돌릴 때의 팽창력으로 노정압 발전 설비의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된 후 가스홀더에 저장된다.
그러나, 노정압 발전 설비에 공급되는 고로가스는 건식 집진기 및 습식 집진기에 의해 2차에 걸쳐 분진을 제거한 상태임에도 여전히 상당량의 분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노정압 발전에 사용되는 터빈 부품에 분진이 부착되어 유로를 폐색시키고 유량 저하를 야기하여 발전 효율의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터빈 부품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터빈의 가동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분해 소제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시간과 인력의 소모 이외에도 전력생산의 중단 및 고로의 정상적인 운전에도 영향을 주는 등 생산성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일본 특허공보 제5760681호(2015.08.12, 용광로 노정압 발전 장치의 제진수량 제어 방법 및 제진수량 제어 장치)
실시 예는 터빈 부품에 부착되는 분진을 줄이는 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장치는, 제1 가스가 유입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된 제2 배관;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상기 터빈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및 상기 제1 배관 내에 제2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스는 상기 제1 가스보다 온도가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가스에 포함된 분진은 상기 제2 가스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가스에 의해 건조된 분진을 수집하는 저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 입구를 통해 상기 제1 가스가 유입되고, 상기 제2 가스에 의해 건조된 분진은 상기 제1 배관의 하단에 연결된 상기 저수조에 수집되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1 배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고리 형상의 노즐 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내경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외경은 상기 제1 가스의 이동 방향을 향해 개방된 상기 노즐 공의 출구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터빈에서 배출된 배출 가스가 유입되는 제3 배관; 상기 제3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축기; 및 상기 배출 가스를 가열하여 상기 제2 가스로 변환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분리기;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히터 사이에 배치도는 제2 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시버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에 공급되는 상기 제2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상기 제1 가스의 온도 및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되어, 건식 집진기 및 습식 집진기를 거친 고로가스(BFG, Blast Furnace Gas)를 상기 제1 가스로 공급하는 공급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터빈에 공급되는 제1 가스에 고온의 제2 가스를 분사하여 제1 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건조시킴으로써, 분진의 부착력을 감소시키고, 터빈 부품에 부착되는 분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노즐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노즐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장치는 제1 배관(110), 제2 배관(120), 터빈(200), 발전기(300) 및 노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관(110)에는 제1 가스(G1)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가스(G1)는 고로(1)에서 배출되어 건식 집진기(dust catcher)(2) 및 습식 집진기(bischoff scrubber)(3)를 거치면서 2차에 걸쳐 분진이 제거된 고로가스일 수 있다. 고로가스는 건식 집진기(2) 및 습식 집진기(3)를 거친 후 제1 배관(110)에 공급되기 전 디미스터(demister)(4)를 거칠 수도 있다. 건식 집진기(2), 습식 집진기(3) 및 디미스터(4)는 고로(1)의 노정과 제1 배관(110)을 연결하는 공급배관(5)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관(1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배관(110)의 상단 입구를 통해 제1 가스(G1)가 유입될 수 있고, 제1 배관(110)의 하단에는 분진제거부가 배치될 수 있다.
분진제거부는 저수조(1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터, 전기집진장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저수조(111)는 밸브(V)가 구비된 배수관(113)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111)에 수용된 제진수의 수위가 적정 수준, 예를 들어 제2 배관(120)의 분기 위치보다 낮은 높이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배관(110)은 직관(straight pipe)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배관(120)은 제1 배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배관(120)은 제1 배관(1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분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스(G1)는 제1 배관(110)에서 제2 배관(120)으로 굽이쳐 유동하는 반면, 제1 가스(G1)에 포함된 분진은 관성에 의해 제1 배관(110)의 하단 공간에 수집될 수 있다. 특히, 제1 배관(110)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관성에 의한 분진의 이동 방향과 분진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이 거의 일치하게 되어 분진 수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배관(120)은 상향 만곡된 곡관(bending pipe)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200)은 제2 배관(120)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배관(120)을 통해 이송되는 제1 가스(G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터빈(200)에서 배출된 배출 가스는 이송배관(7)을 통해 가스홀더(6)로 이송될 수 있다. 배출 가스는 제1 가스(G1)가 터빈(200)을 거치면서 낮은 압력, 예를 들어 상압으로 변환된 동일 조성의 가스를 의미할 수 있다.
발전기(300)는 터빈(200)에 결합되어 터빈(20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노즐(400)은 제1 배관(110)에 배치되어, 제1 배관(110) 내에 제2 가스(G2)를 분사할 수 있다. 제2 가스(G2)는 제1 가스(G1)보다 고온의 가스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스(G1)에 포함된 분진은 제2 가스(G2)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즉, 분진과 결합된 수분이 제2 가스(G2)에 의해 증발할 수 있다. 그 결과, 분진의 부착력이 약화될 수 있고, 터빈 부품, 예를 들어 터빈 블레이드 등에 부착되는 분진 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1 배관(110)에 저수조(111)가 연결된 경우, 제2 가스(G2)에 의해 건조된 분진은 저수조(111)에 수집되어 제1 가스(G1)로부터 영구히 제거될 수도 있다.
노즐(400)은 제2 가스(G2)를 하향 경사지게 분사할 수 있다.
노즐(400)은 제3 배관(130)을 통해 이송배관(7)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배관(7)을 통해 이송되는 배출 가스 중 일부는 제3 배관(13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배관(130)에는 프리필터(131), 제1 분리기(132), 압축기(133), 리시버 탱크(134), 제2 분리기(135) 및 히터(136)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배관(130)에 유입된 배출 가스는 히터(136)를 거쳐 제2 가스(G2)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스(G2)는 제1 가스(G1)와 비교하여 온도, 압력 등 일부 물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제1 가스(G1)에 제2 가스(G2)를 분사하더라도 가스 발열량의 변동을 초래하지 않아 이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리필터(131)는 배출 가스의 이동 방향을 따라 압축기(13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배출 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분리기(132)는 배출 가스의 이동 방향을 따라 압축기(13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배출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압축기(133)는 배출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축기(133)는 배출 가스의 압력을 제1 가스(G1)보다 높게, 예를 들어 10kg/cm2 내지 14kg/cm2로 조절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kg/cm2로 조절할 수 있다.
리시버 탱크(134)는 압축기(133)를 거친 배출 가스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배출하여, 노즐(400)에 대한 가스 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왕복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맥동 현상을 해소할 수도 있다.
제2 분리기(135)는 배출 가스의 이동 방향을 따라 압축기(13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압축기(133)를 거치면서 응결된 배출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분리기(132) 및 제2 분리기(135)는 제2 가스(G2)의 절대 습도를 낮춰 제2 가스(G2)에 의한 분진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압축기(133)의 전방에 배치된 제1 분리기(132)는 압축기(133)에 의한 배출 가스의 압축 효율을 개선할 수도 있다.
히터(136)는 압축기(13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배출 가스를 가열하여 제2 가스(G2)로 변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히터(136)는 배출 가스의 온도를 제1 가스(G1)보다 높게, 예를 들어 150℃ 내지 250℃로 조절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로 조절할 수 있다.
히터(136)에서 노즐(400)로 공급되는 제2 가스(G2)의 온도 및 압력은 각각 온도센서(T) 및 압력센서(P)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온도센서(T)는 히터(136)에 설치될 수 있고, 압력센서(P)는 리시버 탱크(134)에 설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센서(T) 및 압력센서(P)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500)로 송신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온도센서(T) 및 압력센서(P)에서 측정된 제2 가스(G2)의 온도 및 압력이 제1 배관(110) 내로 유입되는 제1 가스(G1)의 온도 및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압축기(133) 및 히터(136)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노즐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노즐의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노즐(400)은 제1 프레임(410) 및 제2 프레임(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410)은 제3 배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20)은 제1 프레임(4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410)과 제2 프레임(420) 사이에 고리 형상의 노즐 공(430)을 형성할 수 있다.
노즐 공(430)의 출구는 제1 가스의 이동 방향(B)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제2 프레임(420)의 외경은 노즐 공(430)의 출구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 프레임(410)의 내경도 노즐 공(430)의 출구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배관(130)을 통해 이송된 제2 가스(G2)는 고리 형상의 노즐 공(430)을 통해 제1 가스의 이동 방향(B)에 대해 경사지게 분사되어 제1 배관의 단면 전체를 커버하는 가스 커튼을 형성함과 동시에, 분진의 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고로 2: 건식 집진기
3: 습식 집진기 4: 디미스터
5: 공급배관 6: 가스홀더
7: 이송배관 110: 제1 배관
111: 저수조 113: 배수관
120: 제2 배관 130: 제3 배관
131: 프리필터 132: 제1 분리기
133: 압축기 134: 리시버 탱크
135: 제2 분리기 136: 히터
200: 터빈 300: 발전기
400: 노즐 410: 제1 프레임
420: 제2 프레임 430: 노즐 공
500: 제어부

Claims (11)

  1. 제1 가스가 유입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된 제2 배관;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상기 터빈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상기 제1 배관 내에 상기 제1 가스보다 온도가 높은 제2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가스에 의해 건조된 분진을 수집하는 저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관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 입구를 통해 상기 제1 가스가 유입되고, 상기 제2 가스에 의해 건조된 분진은 상기 제1 배관의 하단에 연결된 상기 저수조에 수집되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1 배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분기되는 발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에 포함된 분진은 상기 제2 가스에 의해 건조되는 발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고리 형상의 노즐 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내경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외경은 상기 제1 가스의 이동 방향을 향해 개방된 상기 노즐 공의 출구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는 발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에서 배출된 배출 가스가 유입되는 제3 배관;
    상기 제3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축기; 및
    상기 배출 가스를 가열하여 상기 제2 가스로 변환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발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분리기;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히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분리기를 포함하는 발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리필터를 포함하는 발전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시버 탱크를 포함하는 발전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공급되는 상기 제2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상기 제1 가스의 온도 및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되어, 건식 집진기 및 습식 집진기를 거친 고로가스(BFG, Blast Furnace Gas)를 상기 제1 가스로 공급하는 공급배관을 포함하는 발전 장치.
KR1020180098238A 2018-08-22 2018-08-22 발전 장치 KR10209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238A KR102097570B1 (ko) 2018-08-22 2018-08-22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238A KR102097570B1 (ko) 2018-08-22 2018-08-22 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87A KR20200022287A (ko) 2020-03-03
KR102097570B1 true KR102097570B1 (ko) 2020-04-06

Family

ID=6993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238A KR102097570B1 (ko) 2018-08-22 2018-08-22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5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3891B2 (ja) * 2012-12-07 2015-11-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シャフト炉排ガスの除塵水量制御方法および除塵水量制御装置
JP6249920B2 (ja) * 2014-10-06 2017-12-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炉の炉頂圧発電設備におけるバイパス弁の操作方法
JP6343286B2 (ja) * 2012-11-02 2018-06-13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ガスタービン燃焼器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5428A (en) 1979-01-16 1980-07-19 Toshiba Corp Cassette tape recorder with stereo radio receiver
JPH03222828A (ja) * 1990-01-29 1991-10-01 Kawasaki Steel Corp 高炉ガス膨張タービン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3286B2 (ja) * 2012-11-02 2018-06-13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ガスタービン燃焼器制御システム
JP5803891B2 (ja) * 2012-12-07 2015-11-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シャフト炉排ガスの除塵水量制御方法および除塵水量制御装置
JP6249920B2 (ja) * 2014-10-06 2017-12-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炉の炉頂圧発電設備におけるバイパス弁の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87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929B1 (ko) 보일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U670138B2 (en) Process for cooling and cleaning gas, particularly blast furnace or producer gas, containing ultrafine particle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534589B1 (ko) 용광로 플랜트에서 축열식 히터들을 작동시키는 방법
CN101487422A (zh) 用于保护燃气涡轮机的进气道的系统
US3490204A (en) Gas cleaning scrubber
CN101550466A (zh) 转炉煤气高温袋式除尘系统
CN107034330B (zh) 一种高炉煤气除酸装置
US8329125B2 (en) Flue gas recirculation system
CN103589822B (zh) 一种转炉干法除尘蒸发冷却器出口温度的控制方法
KR20070107141A (ko) 습윤 원료의 건조 방법 및 장치
KR102097570B1 (ko) 발전 장치
KR101439884B1 (ko) 순산소 연소시스템
CN104569308B (zh) 转炉煤气中氧含量的分析检测装置
CN105648141A (zh) 转炉低温段烟气余热回收系统及工艺
CN207838342U (zh) 一种喷塔余热回收系统
US20160298042A1 (en) Char recycling system and char conveyance method
CN201176445Y (zh) 转炉煤气高温袋式除尘装置
KR101254977B1 (ko)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7217151B (zh) 一种转底炉锌粉烟气回收预处理装置及其预处理工艺
CN207035070U (zh) 一种锅炉启停阶段的蒸汽回收系统
CN206666575U (zh) 一种回收转炉烟气余热的干法除尘装置
CN205295383U (zh) 转炉低温段烟气余热回收系统
CN209399357U (zh) 一种吹扫密闭式给煤机内积粉尘的装置
CA3161923A1 (en) Blast furnace plant and shutdown process
CN201767007U (zh) 梗丝处理闪蒸设备中的加热去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