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493B1 - 드라이브 베이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드라이브 베이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493B1
KR102097493B1 KR1020190093125A KR20190093125A KR102097493B1 KR 102097493 B1 KR102097493 B1 KR 102097493B1 KR 1020190093125 A KR1020190093125 A KR 1020190093125A KR 20190093125 A KR20190093125 A KR 20190093125A KR 102097493 B1 KR102097493 B1 KR 10209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base plate
bay
plat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치영
Original Assignee
(주)레드스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드스톤시스템 filed Critical (주)레드스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9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7Mounting of fixed and removable disk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드라이브 베이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는,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고 마주보며 마련되며, 제1 드라이브가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라이브 베이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DRIVE BAY AND COMPUTER CASE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드라이브 베이 기술과 관련된다.
컴퓨터는 하나의 완전한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기본적인 중앙 처리 장치(CPU) 이외에 보조 기억 장치 및 입출력 장치 등 일련의 주변 기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각종 주변 기기를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 베이(Bay)이다.
일반적으로, 하드 디스크(HDD) 및 CD-ROM 등은 컴퓨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하드 디스크 베이 및 CD-ROM 베이에 볼트로 체결되며, 하드 디스크 베이 및 CD-ROM 베이의 경우도 컴퓨터 케이스 내에 리벳 고정,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하드 디스크 등을 베이에 장착하는 과정 및 하드 디스크 등을 교체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시간 및 노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드 디스크 등을 교체할 때 컴퓨터 케이스에 체결된 하드 디스크 베이를 꺼내고, 볼트 체결된 하드 디스크를 하드 디스크 베이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하드 디스크를 하드 디스크 베이에 볼트 체결하고, 하드 디스크 베이를 컴퓨터 케이스에 볼트 체결하여야 하는 등 그 과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68915호(2007.01.12)
개시되는 실시예는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한 드라이브 베이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는,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고 마주보며 마련되며, 제1 드라이브가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조작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라이브는,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라이브는,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드라이브의 양측 하단이 상기 경사 돌기를 타고 미끄러지면서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를 외측으로 밀어내고, 상기 제1 드라이브의 양측 상단이 상기 경사 돌기에 의해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개구를 가로지르며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드라이브의 양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드라이브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하나 이상의 한 쌍의 측면 진동 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진동 흡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진동 흡수부는,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개구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제1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부는,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 날개부의 양 측이 절개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날개부의 상단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날개부의 하단은 상기 제2 개구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드라이브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드라이브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하나 이상의 한 쌍의 바닥 진동 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닥 진동 흡수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바(Bar) 형태로 마련되는 제2 날개부; 및 상기 제2 날개부의 양 측면 및 타단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개되어 마련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에 마련되고, 제2 드라이브가 슬라이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드라이브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드라이브 장착부는, 상기 제2 드라이브의 하면 일측을 가이드하는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 상기 제2 드라이브의 하면 타측을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드라이브의 상면을 압박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제2 드라이브의 상면 전단부를 가압하는 제1 탄성 가압부; 및 상기 제2 드라이브의 상면 후단부를 가압하는 제2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개되어 마련되는 제1 탄성 개구; 및 상기 제1 탄성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양 측면 및 타단이 상기 제1 탄성 개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하여 마련되는 제1 탄성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 가압부는, 상기 제1 탄성 개구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개되어 마련되는 제2 탄성 개구; 및 상기 제2 탄성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양 측면 및 타단이 상기 제2 탄성 개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부를 향하여 마련되는 제2 탄성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바는, 상기 제1 탄성 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하부로 경사지다가 상부로 굴곡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탄성 바는, 상기 제2 탄성 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하부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드라이브 베이를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 및 탈착되도록 하는 베이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 장착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후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 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마련되는 장착 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는, 상기 장착 공간의 입구 양측에 장착홈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드라이브 베이가 상기 장착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장착홈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상기 장착홈의 단부가 상기 걸림 돌기를 지나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걸림되면서 상기 드라이브 베이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는,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배면 플레이트; 상기 배면 플레이트에 상기 배면 플레이트를 따라 마련되는 삽입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고 마주보며 마련되며, 상기 삽입구를 통해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1 드라이브를 가이드하여 장착시키는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에 마련되고, 제2 드라이브가 슬라이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드라이브 장착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는,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드라이브 베이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장착 공간에 슬라이드 장착 및 탈착되도록 하는 베이 장착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HDD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가압하기만 하면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HDD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HDD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한 쌍의 측면 진동 흡수부 및 한 쌍의 바닥 진동 흡수부에서 흡수하여 진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SSD는 드라이브 베이의 전방에서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 및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를 통해 제2 드라이브 장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탄성 가압부가 SSD의 상면을 가압함에 따라 SSD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SSD를 슬라이드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바, SSD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라이브 베이의 양측에 베이 장착부가 마련됨에 따라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도 드라이브 베이를 컴퓨터 케이스에 용이하게 슬라이드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에 HDD 및 SDD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가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가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에 ODD 및 SDD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에 HDD 및 SDD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드라이브 베이(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2), 제1 측면 플레이트(104), 제2 측면 플레이트(106), 및 배면 플레이트(10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일면(예를 들어, 상면)에는 HDD(Hard Disk Drive)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타면(예를 들어, 하면)에는 SSD(Solid State Drive)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104)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104)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104)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일측 테두리에서 상부 및 하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106)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106)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106)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타측 테두리에서 상부 및 하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면 플레이트(108)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후단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브 베이(100)가 컴퓨터 케이스로 삽입되는 부분을 전단이라고 하고, 그 반대편을 후단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배면 플레이트(108)는 베이스 플레이트(102),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면 플레이트(108)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후단 테두리에서 상부 및 하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면 플레이트(108)의 양 측단은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 되고 마주보며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는 각각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와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에서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가 형성되는 부분에 제1 개구(113)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는 각각 제1 지지 플레이트(111a) 및 조작 플레이트(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11a)는 제1 개구(113)의 상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11a)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길이 방향으로 제1 개구(113)를 가로지르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11a)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11a)의 상단에는 경사 돌기(111a-1)가 마련될 수 있다. 경사 돌기(111a-1)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경사 돌기(111a-1)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1a)의 상단 내면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조작 플레이트(111b)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1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작 플레이트(111b)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1a)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플레이트(111b)를 잡고 외측으로 각각 벌림에 따라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 사이에 장착된 HDD(10)를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에서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각각 개방 홀(125)이 마련될 수 있다. 개방 홀(125)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111a)가 외측에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지지 플레이트(111a)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 삽입홀(111a-2)이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개방 홀(125) 및 나사 삽입홀(111a-2)을 통해 HDD(10)를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부에는 한 쌍의 제1 측면 진동 흡수부(115) 및 한 쌍의 제2 측면 진동 흡수부(117)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측면 진동 흡수부(115)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면 전단부에서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에서 한 쌍의 제1 측면 진동 흡수부(115)가 형성되는 부분에 제2 개구(119)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측면 진동 흡수부(115)는 제2 지지 플레이트(115a) 및 제1 날개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115a)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115a)의 일단은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115a)의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전단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수직하게 마련되는 마감 플레이트(121)와 연결될 수 있다. 마감 플레이트(121)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전단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 날개부(115b)는 제2 개구(119)의 상부에서 제2 지지 플레이트(115a)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날개부(115b)는 제2 지지 플레이트(115a)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날개부(115b)는 제2 지지 플레이트(115a)에서 제1 날개부(115b)의 양 측이 절개됨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날개부(115b)는 상단이 제2 지지 플레이트(115a)와 연결되고, 하단은 제2 개구(119)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부(115b)는 탄성력을 지니게 된다.
한 쌍의 제2 측면 진동 흡수부(117)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면 후단부에서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에서 한 쌍의 제2 측면 진동 흡수부(117)가 형성되는 부분에 제3 개구(123)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측면 진동 흡수부(117)는 제3 지지 플레이트(117a) 및 제2 날개부(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 플레이트(117a)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지지 플레이트(117a)의 일단은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3 지지 플레이트(117a)의 타단은 배면 플레이트(108)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날개부(117b)는 제3 개구(123)의 상부에서 제3 지지 플레이트(117a)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날개부(117b)는 제3 지지 플레이트(117a)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날개부(117b)는 제3 지지 플레이트(117a)에서 제2 날개부(117b)의 양 측이 절개됨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날개부(117b)는 상단이 제3 지지 플레이트(117a)와 연결되고, 하단은 제3 개구(123)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날개부(117b)는 탄성력을 지니게 된다.
여기서, HDD(Hard Disk Drive)(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HDD(10)는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HDD(10)를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 사이에 위치시킨 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HDD(10)의 양측 하단이 경사 돌기(111a-1)를 타고 미끄러지면서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HDD(10)가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 HDD(10)의 양측 상단은 경사 돌기(111a-1)에 의해 걸림되어 고정되게 된다. HDD(10)가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 사이에 장착된 경우, HDD(10)의 양 측면은 한 쌍의 제1 측면 진동 흡수부(115) 및 한 쌍의 제2 측면 진동 흡수부(117)에 밀착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HDD(10)를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부에서 가압하기만 하면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HDD(10)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HDD(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한 쌍의 제1 측면 진동 흡수부(115) 및 한 쌍의 제2 측면 진동 흡수부(117)에서 흡수하여 진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1 바닥 진동 흡수부(127) 및 한 쌍의 제2 바닥 진동 흡수부(129)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바닥 진동 흡수부(127)는 제3 개구(123)에서 한 쌍의 제2 측면 진동 흡수부(117)를 향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바닥 진동 흡수부(127)는 일측이 제3 개구(123)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바닥 진동 흡수부(127)의 타측은 한 쌍의 제2 측면 진동 흡수부(117)와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바닥 진동 흡수부(127)는 바(Bar)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바닥 진동 흡수부(127)는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연결되고, 양측 및 타단은 제3 개구(123)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바닥 진동 흡수부(129)는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111)와 한 쌍의 제1 측면 진동 흡수부(115)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바닥 진동 흡수부(129)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와 각각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바닥 진동 흡수부(129)는 제3 날개부(129a) 및 슬릿(12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날개부(129a)는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날개부(129a)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와 각각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3 날개부(129a)는 바(Bar)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슬릿(129b)은 제3 날개부(129a)의 양 측면 및 타단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2)가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바닥 진동 흡수부(127) 및 한 쌍의 제2 바닥 진동 흡수부(129)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장착되는 HDD(10),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1 SSD(20), 및 제2 SSD(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하면에는 제2 드라이브 장착부(131) 및 제3 드라이브 장착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드라이브 장착부(131) 및 제3 드라이브 장착부(133)에는 제1 SSD(Solid State Drive)(20) 및 제2 SSD(3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브 장착부(131)는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135),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137), 및 탄성 가압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135)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4)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135)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4)의 하단에서 제1 측면 플레이트(104)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하면에는 격벽(14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137)는 격벽(141)의 종단에서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135)와 대응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137)는 격벽(141)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141)은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하면 중앙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 가압부(139)는 제1 SSD(20)가 제2 드라이브 장착부(131)로 슬라이드 장착될 때, 제1 SSD(20)를 가압하여 제1 SSD(20)가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 가압부(139)는 제1 탄성 가압부(139-1) 및 제2 탄성 가압부(13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가압부(139-1)는 제1 SSD(20)의 전단부를 가압하고, 제2 탄성 가압부(139-2)는 제1 SSD(20)의 후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탄성 가압부(139-1)는 제1 탄성 개구(139-1a) 및 제1 탄성 바(139-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개구(139-1a)는 베이스 플레이트(102)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탄성 바(139-1b)는 제1 탄성 개구(139-1a)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탄성 바(139-1b)는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연결되고, 양 측면 및 타단이 제1 탄성 개구(139-1a)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탄성 바(139-1b)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전단부를 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탄성 바(139-1b)는 하부로 경사지다가 상부로 굴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가압부(139-2)는 제2 탄성 개구(139-2a) 및 제2 탄성 바(139-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 개구(139-2a)는 제1 탄성 개구(139-1a)의 후방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2)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바(139-2b)는 제2 탄성 개구(139-2a)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바(139-2b)는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연결되고, 양 측면 및 타단이 제2 탄성 개구(139-2a)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탄성 바(139-2b)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후단부를 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바(139-2b)는 하부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드라이브 장착부(133)는 제2 드라이브 장착부(131)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3 드라이브 장착부(133)는 격벽(141)을 기준으로 제2 드라이브 장착부(131)와 좌우 대칭하여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2 SSD(20)는 드라이브 베이(100)의 전방에서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135) 및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137)를 통해 제2 드라이브 장착부(13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SSD(20)의 하면이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135) 및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137)에 안착되면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가압부(139)가 제2 SSD(20)의 상면을 가압함에 따라 제2 SSD(2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SSD(30)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3 드라이브 장착부(133)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SSD(20)를 슬라이드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바, 제2 SSD(20)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에는 각각 베이 장착부(143)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 장착부(143)는 배면 플레이트(108)와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베이 장착부(143)는 드라이브 베이(100)를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 및 탈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가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가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베이 장착부(143)는 연결부(143a) 및 조작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3a)의 일단은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43a)의 일단부는 배면 플레이트(108) 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43a)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43a)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6)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연결부(143a)의 외면에는 걸림 돌기(143c)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걸림 돌기(143c)는 연결부(143a)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걸림 돌기(143c)는 연결부(143a)의 일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43b)는 연결부(143a)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143b)는 연결부(143a)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작부(143b)는 연결부(143a)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43b)의 단부는 배면 플레이트(108) 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드라이브 베이(100)를 컴퓨터 케이스(50)의 장착 공간(S)으로 삽입시켜 장착할 수 있다. 컴퓨터 케이스(50)의 장착 공간(S)의 입구 양측에는 장착홈(51)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드라이브 베이(100)가 장착 공간(S)으로 삽입되는 경우, 드라이브 베이(1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베이 장착부(143)의 연결부(143a)가 장착홈(51)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홈(51)의 단부가 걸림 돌기(143c)를 지난 후 걸림 돌기(143c)에 의해 걸림되면서 드라이브 베이(100)가 컴퓨터 케이스(50)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부(143b)를 누른 상태에서 드라이브 베이(100)를 컴퓨터 케이스(50)의 외측으로 빼내면, 장착홈(51)이 걸림 돌기(143c)에서 빠지면서 드라이브 베이(100)를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 베이(100)는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도 컴퓨터 케이스(50)에 용이하게 슬라이드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베이에 ODD 및 SDD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드라이브 베이(2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2), 제1 측면 플레이트(204), 제2 측면 플레이트(206), 및 배면 플레이트(20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202)의 일면(예를 들어, 상면)에는 ODD(Optical Disc Drive)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2)의 타면(예를 들어, 하면)에는 SSD(Solid State Drive)가 장착될 수 있다.
배면 플레이트(208)에는 ODD(40)가 삽입되는 삽입구(208a)가 마련될 수 있다. ODD(40)는 드라이브 베이(200)의 후방에서 삽입구(208a)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02)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2)의 일면에는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ODD(40)는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211) 사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02)의 일면으로 슬라이드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211)는 한 쌍의 제1-1 드라이브 장착부(211-1) 및 한 쌍의 제1-2 드라이브 장착부(2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1 드라이브 장착부(211-1)는 각각 제1 측면 플레이트(2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06)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1 드라이브 장착부(211-1)는 배면 플레이트(208)와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1 드라이브 장착부(211-1)의 상단에는 ODD(40)의 상면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부(211-1a)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2 드라이브 장착부(211-2)는 각각 제1 측면 플레이트(2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06)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2 드라이브 장착부(211-2)는 베이스 플레이트(202)의 전단부와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2 드라이브 장착부(211-2)의 상단에는 ODD(40)의 상면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부(211-2a)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2)의 타면에는 제2 드라이브 장착부(231) 및 제3 드라이브 장착부(233)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드라이브 장착부(231) 및 제3 드라이브 장착부(233)에는 제1 SSD(Solid State Drive)(20) 및 제2 SSD(3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드라이브 장착부(231) 및 제3 드라이브 장착부(233)의 탄성 가압부(239)는 각각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2)에는 하나 이상의 방열 홀(251)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열 홀(251)은 베이스 플레이트(202)의 길이 방향(또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플레이트(20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06)에는 각각 베이 장착부(243)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 장착부(243)를 이용한 드라이브 베이(200)의 장착 및 탈착 방식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HDD
20 : 제1 SSD
30 : 제2 SSD
40 : ODD
50 : 컴퓨터 케이스
51 : 장착홈
100, 200 : 드라이브 베이
102, 202 : 베이스 플레이트
104, 204 : 제1 측면 플레이트
106, 206 : 제2 측면 플레이트
108, 208 : 배면 플레이트
111 :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
111a : 제1 지지 플레이트
111a-1 : 경사 돌기
111a-2 : 나사 삽입홀
111b : 조작 플레이트
113 : 제1 개구
115 : 한 쌍의 제1 측면 진동 흡수부
115a : 제2 지지 플레이트
115b : 제1 날개부
117 : 한 쌍의 제2 측면 진동 흡수부
117a : 제3 지지 플레이트
117b : 제2 날개부
119 : 제2 개구
121 : 마감 플레이트
123 : 제3 개구
125 : 개방 홀
127 : 한 쌍의 제1 바닥 진동 흡수부
129 : 한 쌍의 제2 바닥 진동 흡수부
129a : 제3 날개부
129b : 슬릿
131, 231 : 제2 드라이브 장착부
133, 233 : 제3 드라이브 장착부
135 :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
137 :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
139, 239 : 탄성 가압부
139-1 : 제1 탄성 가압부
139-1a : 제1 탄성 개구
139-1b : 제1 탄성 바
139-2 : 제2 탄성 가압부
139-2a : 제2 탄성 개구
139-2b : 제2 탄성 바
141 : 격벽
143 : 베이 장착부
143a : 연결부
143b : 조작부
143c : 걸림 돌기
211 :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
211-1 : 한 쌍의 제1-1 드라이브 장착부
211-1a : 제1 가이드부
211-2 : 한 쌍의 제1-2 드라이브 장착부
211-2a : 제2 가이드부
251 : 방열 홀

Claims (19)

  1.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고 마주보며 마련되며, 제1 드라이브가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 및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드라이브 베이를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 및 탈착되도록 하는 베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 장착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후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 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마련되는 장착 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는, 상기 장착 공간의 입구 양측에 장착홈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드라이브 베이가 상기 장착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장착홈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상기 장착홈의 단부가 상기 걸림 돌기를 지나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걸림되면서 상기 드라이브 베이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조작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라이브는,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라이브는,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드라이브의 양측 하단이 상기 경사 돌기를 타고 미끄러지면서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를 외측으로 밀어내고, 상기 제1 드라이브의 양측 상단이 상기 경사 돌기에 의해 걸림되어 고정되는, 드라이브 베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개구를 가로지르며 마련되는, 드라이브 베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드라이브의 양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드라이브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하나 이상의 한 쌍의 측면 진동 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드라이브 베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진동 흡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진동 흡수부는,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개구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제1 날개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베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는,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 날개부의 양 측이 절개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날개부의 상단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날개부의 하단은 상기 제2 개구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마련되는, 드라이브 베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드라이브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드라이브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하나 이상의 한 쌍의 바닥 진동 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드라이브 베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닥 진동 흡수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바(Bar) 형태로 마련되는 제2 날개부; 및
    상기 제2 날개부의 양 측면 및 타단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개되어 마련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드라이브 베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에 마련되고, 제2 드라이브가 슬라이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드라이브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드라이브 베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라이브 장착부는,
    상기 제2 드라이브의 하면 일측을 가이드하는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
    상기 제2 드라이브의 하면 타측을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드라이브의 상면을 압박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베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제2 드라이브의 상면 전단부를 가압하는 제1 탄성 가압부; 및
    상기 제2 드라이브의 상면 후단부를 가압하는 제2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개되어 마련되는 제1 탄성 개구; 및
    상기 제1 탄성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양 측면 및 타단이 상기 제1 탄성 개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하여 마련되는 제1 탄성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 가압부는,
    상기 제1 탄성 개구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개되어 마련되는 제2 탄성 개구; 및
    상기 제2 탄성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양 측면 및 타단이 상기 제2 탄성 개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부를 향하여 마련되는 제2 탄성 바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베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바는, 상기 제1 탄성 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하부로 경사지다가 상부로 굴곡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탄성 바는, 상기 제2 탄성 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하부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드라이브 베이.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배면 플레이트;
    상기 배면 플레이트에 상기 배면 플레이트를 따라 마련되는 삽입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고 마주보며 마련되며, 상기 삽입구를 통해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1 드라이브를 가이드하여 장착시키는 한 쌍의 제1 드라이브 장착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에 마련되고, 제2 드라이브가 슬라이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드라이브 장착부; 및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드라이브 베이를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 및 탈착되도록 하는 베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 장착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후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 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마련되는 장착 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는, 상기 장착 공간의 입구 양측에 장착홈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드라이브 베이가 상기 장착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장착홈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상기 장착홈의 단부가 상기 걸림 돌기를 지나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걸림되면서 상기 드라이브 베이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
  18.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드라이브 베이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장착 공간에 슬라이드 장착 및 탈착되도록 하는 베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 장착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후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 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브 베이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마련되는 장착 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는, 상기 장착 공간의 입구 양측에 장착홈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드라이브 베이가 상기 장착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장착홈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상기 장착홈의 단부가 상기 걸림 돌기를 지나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걸림되면서 상기 드라이브 베이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베이.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청구항 17, 및 청구항 1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드라이브 베이가 장착되는 컴퓨터 케이스.
KR1020190093125A 2019-07-31 2019-07-31 드라이브 베이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KR10209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125A KR102097493B1 (ko) 2019-07-31 2019-07-31 드라이브 베이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125A KR102097493B1 (ko) 2019-07-31 2019-07-31 드라이브 베이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493B1 true KR102097493B1 (ko) 2020-04-06

Family

ID=7028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125A KR102097493B1 (ko) 2019-07-31 2019-07-31 드라이브 베이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4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349A (ja) * 1997-02-21 1998-09-11 Nec Shizuoka Ltd ファイル装置固定構造
KR0130883Y1 (ko) * 1994-02-02 1998-12-15 김광호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 착탈장치
KR20020072751A (ko) * 2001-03-12 2002-09-18 이수길 선택식 하드디스크 랙
KR100668915B1 (ko) 2002-11-11 200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용 멀티 베이
KR100826152B1 (ko) * 2007-09-07 2008-04-30 주식회사 다오코리아 로우프로파일 타입 컴퓨터 케이스
KR100878382B1 (ko) * 2008-04-02 2009-01-13 송수현 조립이 용이한 슬림형 컴퓨터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883Y1 (ko) * 1994-02-02 1998-12-15 김광호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 착탈장치
JPH10241349A (ja) * 1997-02-21 1998-09-11 Nec Shizuoka Ltd ファイル装置固定構造
KR20020072751A (ko) * 2001-03-12 2002-09-18 이수길 선택식 하드디스크 랙
KR100668915B1 (ko) 2002-11-11 200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용 멀티 베이
KR100826152B1 (ko) * 2007-09-07 2008-04-30 주식회사 다오코리아 로우프로파일 타입 컴퓨터 케이스
KR100878382B1 (ko) * 2008-04-02 2009-01-13 송수현 조립이 용이한 슬림형 컴퓨터 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문서, "MB343SP SSD 업그레이드 키트" 및 "ICY DOCK Flex-Fit Trio MB343Sp"(동일 제품에 관한 사진 및 동영상 리뷰로 인용발명 1로 통합함), https://www.icydock.com/korea/goods.php?id=155 및 https://www.youtube.com/watch?v=IV8yRaweFsU (공개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8025B2 (en) Fixing frame assembly and server
US6667880B2 (en) Fix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s
US9412418B2 (en) In-box quick release access device structure
US9212668B2 (en) Fan device
US6614654B2 (en) Fix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s
CN101377703B (zh) 数据存储器固定装置
US7586757B2 (en) Mounting apparatus for expansion cards
US20090109609A1 (en) Storage server
US20130342990A1 (en) Hard drive tray device
EP2031596A2 (en) Fixing apparatus for hard disk drive
KR930009771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착 구조물
JPH0542005B2 (ko)
US9959909B1 (en) HDD tray and HDD rack assembly
US6018457A (en) Locking bracket for a drive housing and method of assembly
US8755178B2 (en) Frame assembly for detachably fixing an electrica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US200600234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component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20200183466A1 (en) Partitioning member, hard disk fixing mechanism and server
US10264696B2 (en) Top loading cartridge
US20130092807A1 (en) Moun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JP5237405B2 (ja) サーバーケース
US20110233349A1 (en) Support frame
US20120320519A1 (en) Storage device assembly
US8437133B2 (en) Latching module mounting system
KR102097493B1 (ko) 드라이브 베이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CN106598164B (zh) 可拆式门板扣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