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115B1 -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115B1
KR102097115B1 KR1020190132099A KR20190132099A KR102097115B1 KR 102097115 B1 KR102097115 B1 KR 102097115B1 KR 1020190132099 A KR1020190132099 A KR 1020190132099A KR 20190132099 A KR20190132099 A KR 20190132099A KR 102097115 B1 KR102097115 B1 KR 102097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loy
mold
cover
cool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승두
Original Assignee
신승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두 filed Critical 신승두
Priority to KR102019013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1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1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22C1/026Alloys based on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02Castings of light metals
    • B22D21/007Castings of light metals with low melting point, e.g. Al 659 degrees C, Mg 6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with improved productivit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lting step of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by melting aluminum and additives; a molding step of injecting the aluminum alloy into a plurality of molds provided on a conveyor;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aluminum alloy; and a discharging step of discharging the aluminum alloy.

Description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성이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luminum allo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luminum alloy with improved productivity.

알루미늄은 비중이 2.7로 가볍고, 신전성(伸展性)이 양호하며, 내식성이 뛰어난 특징을 갖고 있다. 또 여러 가지 원소와 조합하여 다수의 합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금속이다.Aluminum has a light specific gravity of 2.7, good stretchability, and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It is also a very useful metal because it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elements to create multiple alloys.

알루미늄 합금(aluminum alloy)은 가볍고 강도가 높은 합금으로 항공기 부품, 피스톤 등 엔진 부품, LNG 탱크, 자동차 바디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발전이 현저한 알루미늄 합금으로는 고력(高力)알루미늄 합금, 내열 알루미늄 합금 등이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합금은 앞으로 항공기 분야를 중심으로 수요의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Aluminum alloy (aluminum alloy) is a light and high-strength alloy is widely used in aircraft parts, engine parts such as pistons, LNG tanks, automobile bodies, and the like. In recent years, high-strength aluminum alloys, heat-resistant aluminum alloys, and the like have been remarkably developed. The demand for these aluminum alloys is expected to increase mainly in the aircraft sector.

이러한 알루미늄 합금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용탕에 용도에 따라 실리콘, 마그네슘, 쿠리, 니켈, 리튬, 카드뮴 등을 첨가하여 주조함으로써 제조된다.These aluminum alloys are generally produced by adding silicon, magnesium, courier, nickel, lithium, cadmium and the like to aluminum molten metal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1281550호(이하 종래기술)는 마그네슘 합금 스크랩을 활용한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도금용 잉곳의 친환경적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0.2~10 중량%, 마그네슘 0.5~10 중량%, 나머지 아연과 불가피하게 존재하는 불순물로 구성되는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도금 층 제조에 소요되는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도금용 잉곳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아연-알루미늄 용융 금속을 준비하는 단계와; 아연-알루미늄 용융 금속의 온도를 아연-알루미늄 용융 금속의 조성비에 의하여 결정되는 융점보다 최소 1℃ 이상, 최대 60℃ 이하로 높게 조정하는 단계와; 마그네슘 합금을 제조하고자 하는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 잉곳의 마그네슘 농도로부터 계산되는 양만큼 주형 틀에 넣는 단계와; 주형 틀에 아연-알루미늄 용융 금속을 주입한 후 냉각시키는 단계와; 주형 틀로부터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 잉곳을 꺼내는 단계; 를 포함하여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용융 도금 층 형성에 필요한 잉곳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 경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 유해 물질 배출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ior art registration patent No. 10-128155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relates to an eco-friendly manufacturing method of a zinc-aluminum-magnesium alloy plating ingot utilizing magnesium alloy scrap, and more specifically, 0.2 to 10% by weight of aluminum. , 0.5 to 10% by weight of magnesium, in the zinc-aluminum-magnesium alloy plating ingot production method for zinc-aluminum-magnesium alloy plating layer composed of the remaining zinc and impurities inevitably present, zinc-aluminum melting Preparing a metal;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zinc-aluminum molten metal to a minimum of 1 ° C. or higher and a maximum of 60 ° C. or higher than a melting point determined by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zinc-aluminum molten metal; Placing the magnesium alloy in a mold mold in an amount calculated from the magnesium concentration of the zinc-aluminum-magnesium ingot to be produced; Injecting zinc-aluminum molten metal into the mold and then cooling it; Removing the zinc-aluminum-magnesium ingot from the mold;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ingots required for forming a zinc-aluminum-magnesium alloy hot-dip layer without using an inert gas, including,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reducing global warming emissions.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레이들 등으로 운반하여 다수의 형틀(주형)에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because the molten aluminum alloy has to be injected into a plurality of molds (molds) by transporting it to a ladle or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다수의 형틀에 효율적으로 주입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with improved productivity by efficiently injecting molten aluminum alloy into a plurality of molds.

또한 탈형 및 운반이 용이한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that is easy to demold and transport.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features.

알루미늄과 첨가제를 용융시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하는 용융단계, 컨베이어 상에 구비된 다수의 형틀에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성형단계,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한다.A melting step of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by melting aluminum and additives, a molding step of injecting the aluminum alloy into a plurality of molds provided on a conveyor,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aluminum alloy, and a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the aluminum alloy Includes.

또한 상기 성형단계는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알루미늄 합금을 분배로 이송하는 이송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상기 형틀로 배출하는 분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단계는 일 측이 상기 가열로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와 연결되는 이송로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분배단계는 상기 이송로의 타 측에 연결되고 상기 형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형틀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낙하 투입하는 분배로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이송로는 일 측이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수용부 및 일 측이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배출로와 연결되되 바닥이 상기 수용부보다 높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단계는 각각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최초, 중간 및 최종 냉각하는 1차냉각단계 내지 3차냉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컨베이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ming step includes a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aluminum alloy discharged from the heating furnace to the distribution and a distribution step of discharging the aluminum alloy to the mold, wherein the transfer ste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heating furnace. It is performed through a transfer path connected to an outlet, and the dispensing step is performed by a distribution path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path and disposed above the mold to drop and insert the aluminum alloy into the mold. The furnace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utlet and a connecting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outlet, but a bottom having a connection higher than that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cooling steps are respectively performed on the aluminum alloy. The first, intermediate and final cooling includes a first cooling step to a third cooling step, and the mold is detachable from the conveyor. Neunghage can be combined.

또한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형틀에서 상측의 개구된 부분이 하측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형틀 내에 배치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이 상기 컨베이어보다 하측에 구비된 운반기로 이동되는 탈형단계, 적재기가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파지하여 상기 운반기 상에서 분리시키는 파지단계, 상기 적재기가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적재판 상에 배치하는 적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은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호 이격된 복수의 안착돌기 및 상기 안착돌기의 돌출에 의해 인접한 두 안착돌기 사이에 형성된 포크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적재판의 일 변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상기 안착돌기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안착돌기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적재판은 하부에 상기 적재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ing step is a demolding step in which the aluminum alloy disposed in the mold is moved to a conveyer provided at a lower side than the conveyor, while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mold is disposed downward, and the loader grips the aluminum alloy. A gripping step for separating on a transporter, a loading step in which the stacker places the aluminum alloy on a stacking plate, wherein the stacking plate protrudes upward and is adjacent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trusion of the seating protrusions. It includes a fork groove formed between two seating projections, the seating projections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one side of the loading plate, the aluminum alloy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rojectio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projections Seated on, the loading plate is further rotated means for rotating the loading plate to the lower It can hamhal.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컨베이어 상에 구비된 다수의 형틀에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다수의 형틀에 효율적으로 주입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eatures includes a molding step of injecting molten aluminum alloy into a plurality of molds provided on a conveyor, thereby effectively injecting molten aluminum alloy into a plurality of molds to improve productivity. Have

또한 본 발명은 가열로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와 연결되는 이송로를 통해 수행되는 이송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경제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economic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re improved by including a transfer step performed through a transfer path connected to an outlet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heating furnace.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출단계에서 형틀에서 상측의 개구된 부분이 하측으로 배치되는 배출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탈형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veyor, and includes a discharging step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in the formwork is disposed downward in the discharging step,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easy demoulding.

또한 본 발명은 배출단계에서 알루미늄 합금이 적재되는 적재판이 포크홈과 회전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의 취급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handling of the aluminum alloy is easy because the loading plate on which the aluminum alloy is loaded in the discharge step includes a fork groove and a rotating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가열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이송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컨베이어 상의 구비된 형틀과 배출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형틀과 결합된 컨베이어가 통과되는 냉각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컨베이어 상에 구비된 형틀이 통과하는 냉각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운반기 및 컨베이어에 의해 형틀이 개구된 부분이 하측으로 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적재기 및 적재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n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ating furnac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port path.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ld provided on a conveyor and a discharge path.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ler through which a conveyor combined with a mold passes.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ler through which a mold provided on a conveyor passes.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portion of the mold opening by the transporter and the conveyor is directed downward.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cker and a stacking plate.
9 is a view show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changes and can have a variety of forms, the implementation (態 樣, aspect)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sun, 態 樣,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 include ~ or ~ consist of ~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1 ~, ~ 2 ~,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referred to only to distinguish that they are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and the name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It may not match.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개체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연결"은 유체 등이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object in between. do. Also, “connecting” includes cases in which fluid or the like is connected to mov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 상측, 상단, 하측, 하단은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측(상단)은 도 2를 기준으로 상측(상단)을 의미할 수 있고, 하측(하단)은 도 2를 기준으로 하측(하단)을 의미할 수 있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direction or position, the upper side,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described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Specifically, the upper side (upper side) may mean the upper side (upper side) based on FIG. 2, and the lower side (lower side) may refer to the lower side (lower side) based on FIG. 2.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2는 가열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n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ting furna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을 설명의 편의상 '본 방법'아라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luminum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this metho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용융단계(S1), 성형단계(S2), 냉각단계(S3) 및 배출단계(S4)를 포함한다.1 and 2, the method includes a melting step (S1), a molding step (S2), a cooling step (S3) and a discharge step (S4).

용융단계(S1)는 알루미늄과 첨가제를 용융시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용융단계(S1)는 가열로(1)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melting step (S1) is a step of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by melting aluminum and additives. Melting step (S1) may be performed in the heating furnace (1).

첨가제는 용도에 따라 구리, 니켈, 마그네슘, 카드뮴 등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The additive may be one or two or more of copper, nickel, magnesium, and cadmium,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가열로(1)에 의해 용융되는 알루미늄 합금은 투입되는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상응하여 용융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The aluminum alloy melted by the heating furnace 1 may have a melting temperature set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additives to be added.

도 3은 이송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컨베이어 상의 구비된 형틀과 배출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port path,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ld provided on a conveyor and a discharge path.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성형단계(S2)는 컨베이어(CB) 상에 구비된 다수의 형틀(2)에 알루미늄 합금(용융단계(S1) 이후의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성형단계(S2) 이전에 형틀(2)을 도장함으로써, 후술하는 배출단계(S4)에서 알루미늄 합금(중간재)이 형틀(2)로부터 용이하게 탈형 되도록 할 수 있다.1 to 4, the molding step (S2) is a step of injecting an aluminum alloy (melted aluminum alloy after the melting step (S1)) into a plurality of molds (2) provided on the conveyor (CB). . Although not shown, by coating the mold 2 prior to the forming step S2, the aluminum alloy (intermediate) can be easily demolded from the mold 2 in the discharge step S4 described later.

가열로(1)의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은 레이들 등에 의해 운반되어 레이들을 형틀(2)의 상측에서 기울여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형틀(2)에 주입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일 측이 가열로(1)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이송로(12)와 이송로(12)의 타 측에 구비되고 형틀(2)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형틀(2)로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낙하 투입하는 분배로(11)에 의해 가열로(1)에 수용된 알루미늄 합금(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이 형틀(2)에 주입될 수 있다.The molten aluminum alloy of the heating furnace 1 may be transported by a ladle or the like to inject the molten aluminum alloy into the mold 2 by tilting the lad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mold 2,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below. , Aluminum sid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path 12 and the transfer path 1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ting furnace (1)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than the mold (2) aluminum alloy melted into the mold (2) The aluminum alloy (melted aluminum alloy) accommodated in the heating furnace 1 may be injected into the mold 2 by the distribution furnace 11 for dropping.

컨베이어(CB)는 롤러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등 다양한 방식의 것일 수 있다.Conveyor (CB) may be of a variety of ways, such as roller conveyors, belt conveyors.

형틀(2)은 컨베이어(CB)와 볼팅 결합 등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형틀(2)은 컨베이어(CB)의 구동에 따라 후술하는 분배로(11)에서 후술하는 냉각기(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ld 2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veyor CB by bolting or the like. The mold 2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cooler 3 described later in the distribution furnace 11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conveyor CB.

이와 같이, 본 방법은 컨베이어(CB) 상에 구비된 다수의 형틀(2)에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성형단계(S2)를 포함함으로써, 다수의 형틀(2)에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기 위해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다수의 형틀(2) 각각으로 운반할 필요 없이, 다수의 형틀(2)이 이동하기 때문에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다수의 형틀(2)에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includes a molding step (S2) of injecting aluminum alloy into a plurality of molds 2 provided on a conveyor CB, so as to inject molten aluminum alloy into a plurality of molds 2 Without the need to transport the molten aluminum alloy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olds 2, since the plurality of molds 2 move, the molten aluminum alloy can be efficiently injected into the plurality of molds 2,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There is an advantag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성형단계(S2)는 가열로(1)에서 배출되는 알루미늄 합금을 분배로(11)로 이송하는 이송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단계(S21)는 일 측이 가열로(1)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미도시)와 연결되는 이송로(12)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1 to 4, the forming step (S2) may include a transfer step (S21) for transferring the aluminum alloy discharged from the heating furnace (1) to the distribution furnace (11). The transfer step (S21) may be performed through a transfer path 12,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an outlet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heating furnace 1.

또한 성형단계(S2)는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형틀(2)로 배출하는 분배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단계(S22)는 이송로(12)의 타 측에 연결되고 형틀(2)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형틀(2)로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낙하 투입하는 분배로(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ming step (S2) may include a dispensing step (S22) for discharging the molten aluminum alloy to the mold (2). The dispensing step (S22) may be performed by a dispensing furnace (11)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path (12) and is disposed above the mold (2) to drop the aluminum alloy melted into the mold (2). .

가열로(1)는 유출구(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미도시)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heating furnace 1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part (not show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not shown). Since the opening / closing part (not shown)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방법에서 성형단계(S2)는 이송로(12)에 의해 수행되는 이송단계(S21)와 배출로(11)에 의해 수행되는 분배단계(S22)를 포함함으로써, 가열로(1)를 기울이거나, 레이들 등으로 가열로(1)에 수용된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형틀(2)보다 상측으로 운반하고 레이들 등을 기울이는 등의 공정이 필요 없이, 가열로(1)의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을 형틀(2)에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단순화 되어 제조 용이성 및 경제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forming step (S2) in the present method includes a transfer step (S21) performed by the transfer path 12 and a distribution step (S22) performed by the discharge path 11, thereby heating the furnace 1 Without the process of tilting or carrying the molten aluminum alloy accommodated in the heating furnace 1 with a ladle or the like above the mold 2 and tilting the ladle, the molten aluminum of the heating furnace 1 is not required. Since the alloy can be injected into the mold 2, it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working process and improving manufacturing ease and economy.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로(12)는 일 측이 상기 유출구(미도시)와 연결된 수용부(121) 및 일 측이 상기 수용부(121)와 연결되고 타 측이 배출로(11)와 연결되되 바닥이 상기 수용부(121)의 바닥보다 높은 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transfer path 12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outlet 121 (not shown)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1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1, the other side is the discharge path 11 and It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122 higher than the bottom.

즉, 수용부(121)에 수용되는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의 높이가 수용부(121)의 타 측에 연결되는 연결부(122)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연결부(122)를 통해 배출로(11)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의도치 않게 유출구(미도시)를 통해 소량의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이 배출되는 경우 수용부(121)에 의해 용융된 알루미늄 합금이 수용되어 형틀(2)로 주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형틀(2) 및 연결부(122)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That is, when the height of the molten aluminum allo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1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portion 122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it is moved to the discharge path 11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22. It is possible. Through this, when a small amount of molten aluminum alloy is unintentionally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not shown), the molten aluminum alloy is accommodated by the accommodating part 121 and is suppressed from being injected into the mold 2, so that the mold 2 ) And the connection part 122 is easy to maintain.

도 5는 형틀과 결합된 컨베이어가 통과되는 냉각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컨베이어 상에 구비된 형틀이 통과하는 냉각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ler through which a conveyor associated with the mold is passed,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ler through which the mold provided on the conveyor passes.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냉각단계(S3)는 알루미늄 합금을 냉각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형틀(2)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베이어(CB)는 냉각기(3)를 통과하여 형틀(2)에 주입된 알루미늄 합금이 냉각기(3)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1, 5 and 6, the cooling step (S3) is a step of cooling the aluminum alloy. More specifically, the conveyor CB to which the mold 2 is detachably coupled may pass through the cooler 3 and the aluminum alloy injected into the mold 2 may be cooled by the cooler 3.

예시적으로 냉각기(3)는 형틀(2)에 주입된 알루미늄 합금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oler 3 may include an injection unit (not shown) for spraying water to the aluminum alloy injected into the mold 2.

냉각단계(S3)는 알루미늄 합금을 최초, 중간 및 최종 냉각하는 1차냉각단계(S31), 2차냉각단계(S32), 3차냉각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1차냉각단계(S31)는 제1분사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되고, 2차냉각단계(S32)는 제2분사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되며, 3차냉각단계(S33)는 제3분사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냉각기(3)는 제1분사부(미도시), 제2분사부(미도시) 및 제3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step (S3) may include a first cooling step (S31), a second cooling step (S32), and a third cooling step (S33) for first, intermediate, and final cooling of the aluminum alloy. The first cooling step (S31) is performed by the first injection unit (not shown), the second cooling step (S32) is performed by the second injection unit (not shown), and the third cooling step (S33) is It may be performed by a third injection unit (not shown). That is, the cooler 3 may include a first injection unit (not shown), a second injection unit (not shown), and a third injection unit (not shown).

도 7은 운반기 및 컨베이어에 의해 형틀이 개구된 부분이 하측으로 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적재기 및 적재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portion of the mold opening by the transporter and the conveyor is directed downward,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cker and the loading plate.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출단계(S4)는 알루미늄 합금을 배출하는 단계이다. 배출단계(S4)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냉각단계(S3) 이후의 것으로 중간재일 수 있다.1, 7 and 8, the discharge step (S4)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aluminum alloy. The aluminum alloy in the discharge step (S4) may be an intermediate material after the cooling step (S3).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출단계(S4)는 형틀(2)에서 상측의 개구된 부분이 하측으로 배치되면서 형틀(2) 내에 배치된 알루미늄 합금(중간재)이 컨베이어(CB) 하부에 구비된 운반기(41)로 이동되는 탈형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discharge step (S4) is an aluminum alloy (intermediate) disposed in the mold 2 while the upper open part is disposed downward in the mold 2, the carri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veyor CB ( It may include a demolding step (S41) is moved to 41).

예시적으로, 컨베이어(CB)는 각각 평행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부(CB1), 한 쌍의 회전부(CB1)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 한 쌍의 회전부(CB1)에 연결되어 한 쌍의 회전부(CB1)를 양축으로 회전하는 벨트부(CB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부(CB1)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벨트부(CB2)는 롤러가 연결된 것 또는 벨트 등의 다양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veyor CB is a motor (not shown) tha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pair of rotating parts CB1 and a pair of rotating parts CB1 rotating about parallel horizontal axes, respectively. A pair of rotating parts CB1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s CB1 may include a belt part CB2 rotating both axes. The pair of rotating parts CB1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belt parts CB2 may be various things such as rollers or belts.

이와 같이, 벨트부(CB2)가 한 쌍의 회전부(CB1)를 양축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벨트부(CB2)에서 형틀(2)이 결합된 결합면이 하측으로 향하는 경우 형틀(2) 또한 상측의 개구된 부분이 하측을 향하게 되어, 형틀(2)에 배치된 알루미늄 합금이 낙하하여 형틀(2)로부터 탈형 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형틀(2)은 탈형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해 도장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belt CB2 rotates the pair of rotating parts CB1 on both axes, when the mating surface 2 on the belt part CB2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the mold 2 is also opened at the upper side. The portion is turned downward, and the aluminum alloy disposed on the mold 2 may fall and be demolded from the mold 2. As mentioned above, the mold 2 can be painted to make demoulding easier.

이와 같이, 형틀(2)이 결합되는 컨베이어(CB)에서 벨트부(CB2)가 한 쌍의 회전부(CB1)를 양축으로 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다수의 형틀(2)에서 알루미늄 합금을 보다 용이하게 탈형 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in the conveyor CB to which the mold 2 is coupled, the belt part CB2 rotates with a pair of rotating parts CB1 as both axes, so that the aluminum alloy can be more easily demolded in a plurality of molds 2.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운반기(41)는 컨베이어(CB)보다 하측에 구비되는데, 형틀(2)에서 분리된 알루미늄 합금(중간재)이 운반기(41)에 적재되어, 후술하는 적재기(42) 방향으로 알루미늄 합금(중간재)을 운반할 수 있다. 운반기(41)는 예시적으로 컨베이어벨트일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orter 41 is provided below the conveyor (CB), the aluminum alloy (intermediate) separated from the mold 2 is loaded on the transporter 41, in the direction of the stacker 42 described later Aluminum alloy (intermediate material) can be carried. The transporter 41 may be, for example, a conveyor belt.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출단계(S4)는 적재기(42)가 알루미늄 합금을 파지하여 운반기(41) 상에서 분리시키는 파지단계(S42)를 포함할 수 있다. 1, 7 and 8, the discharge step (S4) may include a gripping step (S42) in which the stacker 42 grips the aluminum alloy and separates it on the transporter 41.

예시적으로 적재기(42)는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 되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플레이트(4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재기(42)는 마주보는 한 쌍의 플레이트(421)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이격조절부(422)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플레이트(421)를 승강시키는 승강부(423), 한 쌍의 플레이트(42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stacker 42 may include a pair of plates 421 that are bent or curved inward and face each other. In addition, the stacker 42 may include a spacer adjusting unit 422 that adjusts a separation distance of a pair of opposing plates 421, and a lifting unit 423 that lifts and lowers a pair of plates 421, one It may include a horizontal moving unit (not shown) for moving the pair of plates 4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여기에서 내측은 마주보는 한 쌍의 플레이트(421)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승강부(423)는 예시적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격조절부(422)는 예시적으로 유압실린더(4221) 및 일단이 한 쌍의 플레이트(421) 중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 결합되고 타단이 유압실린더(4221)에 결합되는 이격바(42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플레이트(421)는 내측벽에서 동일한 높이는 양 지점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미도시)와 상기 한 쌍의 돌기(미도시)의 끝단을 연결하는 브릿지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격바(4222)의 일단은 상기 브릿지축(미도시)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Here, one of the pair of plates 421 facing each other may be in a direction toward the other. The lifting unit 423 may be, for example, lifting by a hydraulic cylinder. In addition, the separation portion 422 is illustratively a hydraulic cylinder (4221)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any one of the pair of plates (421), the other end is a separation bar (4222) coupled to the hydraulic cylinder (4221) It may include. Exemplarily, the plate 421 has a bridge shaft (not shown) connecting the pair of protrusions (not shown) projecting inward at both points at the same height on the inner wall and the ends of the pair of protrusions (not shown). It may include, one end of the separation bar 4422 may b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ridge shaft (not shown) is formed.

즉, 유압실린더(4221)에 의해 유압실린더(4221)와 결합된 이격바(4222)의 타단의 높이가 플레이트(421)의 내측벽과 결합된 이격바(4222)의 일단과 높이와 가까워지면 한 쌍의 플레이트(421)의 이격거리는 커지고(이하 집음 해제 상태), 반대로 유압실린더(4221)에 의해 유압실린더(4221)와 결합된 이격바(4222)의 타단의 높이와 플레이트(421)의 내측벽과 결합된 이격바(4222)의 일단과 높이가 차이가 발생하도록 멀어지면 한 쌍의 플레이트(421)의 이격거리는 작아져 하단의 만곡 또는 절곡된 부분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중간재)이 파지(이하 집음 상태)될 수 있다.That is, as long as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separation bar 4222 coupled with the hydraulic cylinder 4221 by the hydraulic cylinder 4221 approaches the height and one end of the separation bar 4222 coupl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plate 421, on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plates 421 becomes large (hereinafter, the sound release state), and on the contrary,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separation bar 4222 coupled with the hydraulic cylinder 4221 by the hydraulic cylinder 4221 and the inner wall of the plate 421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one end and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bar 4222 combined with the distance increases,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plates 421 becomes small, and the aluminum alloy (intermediate material) is gripped by the curved or bent portion at the bottom (hereinafter collected). State).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출단계(S4)는 적재기(42)가 알루미늄 합금(중간재)을 적재판(43) 상에 배치하는 적재단계(S43)를 포함할 수 있다.1, 7 and 8, the discharge step (S4) may include a loading step (S43) in which the stacker 42 places an aluminum alloy (intermediate material) on the loading plate 43.

상기하였듯이, 예시적으로 적재기(42)의 한 쌍의 플레이트(421)는 운반기(41) 상의 알루미늄 합금을 파지한 이후 수평이동부(미도시)에 의해 수평 이동한 이후 집음 해제 상태에 놓여 알루미늄 합금을 적재판(43) 상에 적재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pair of plates 421 of the stacker 42 is placed in an uncollected state after being horizontally moved by a horizontal moving part (not shown) after gripping the aluminum alloy on the carrier 41 Can be loaded on the loading plate 43.

이때 적재판(43)은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호 이격된 복수의 안착돌기(431) 및 안착돌기(431)의 돌출에 의해 인접한 두 안착돌기(431) 사이에 형성된 포크홈(432)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cking plate 43 may include a fork groove 432 formed between two adjacent seating projections 431 by protrusions of the plurality of seating projections 431 and the seating projections 4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ave.

또한 안착돌기(431)는 적재판(43)의 일 변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고, 배출단계(S4)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적재기(42)에 의해 안착돌기(431)의 길이의 수직한 방향으로 안착돌기(43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projection 43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43, and in the discharge step (S4), the aluminum alloy is vertically aligned with the length of the seating projection 431 by the stacker 42. It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rojection (431).

이때 적재판(43)은 하부에 적재판(43)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43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수단(433)은 적재판(43)이 안착 고정되는 안착부(4331), 연직 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안착부(4331)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미도시), 상기 축(미도시)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ading plate 43 may include rotating means 433 for rotating the loading plate 43 at the bottom. The rotating means 433 is a seat (4331) to which the loading plate 43 is seated and fixed, ha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at (4331) (not shown), the shaft (not shown)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to rotate.

이와 같이, 본 방법은 배출단계(S4)에서 알루미늄 합금(중간재)을 운반기(41)를 통해 적재기(4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적재기(42)가 알루미늄 합금을 파지하여 적재판(43)에 적재시키되, 적재판(43)은 포크홈(432)을 형성하고, 적재판(43)이 회전수단(433)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지게차 등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을 취급 및 운반하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method moves the aluminum alloy (intermediate) in the discharge step (S4) in the direction of the stacker 42 through the transporter 41, and the stacker 42 grips the aluminum alloy and loads it on the stacker plate 43 However, the stacking plate 43 forms a fork groove 432, and the stacking plate 43 is rotated by the rotating means 433,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handle and transport the aluminum alloy by a forklift truck or the like.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5 및 도 6,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하였듯이 냉각단계(S3)를 수행하는 냉각기(3)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때 분사부(미도시)에 의해 분사되는 물은 형틀(2)에 주입된 알루미늄 합금, 형틀(2), 컨베이어(CB) 등에 부딪혀 작업 현장에 놓이는 기계 장비 등이 물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분사부(미도시)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 분사부(미도시)를 수용하는 하우징(H)을 포함할 수 있다.1, 5 and 6, 9, as described above, the cooler 3 performing the cooling step (S3) was said to include an injection unit (not shown) for spraying water. At this time, the water sprayed by the injection part (not shown) can be exposed to water by exposing the aluminum alloy injected into the mold 2, the mold 2, a conveyor (CB), etc. and mechanical equipment placed at the work site. In order to suppress the outflow of water sprayed through the sand (not shown) may include a housing (H) for receiving the spray (not shown).

이때 상술한 컨베이어(CB)는 하우징(H)을 통과한다. 즉, 컨베이어(CB) 상에 구비되는 형틀(2)이 냉각기(3)의 하우징(H)을 통과하되, 분사된 물이 하우징(H)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특히 물은 작업장의 기계 등을 부식시키므로 하우징(H) 구성은 냉각기(3)의 필수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conveyor (CB) passes through the housing (H). That is, the mold (2) provided on the conveyor (CB) passes through the housing (H) of the cooler (3), it is to suppress the sprayed water from flowing out of the housing (H). In particular, since water corrodes machines and the like in the workshop,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H can be said to be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ooler 3.

그러나 냉각기(3)는 하우징(H) 내측에 수용되는 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분사부(미도시)는 물탱크와 연결되는 파이프, 펌프, 노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각기(3)는 분사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하우징(H) 하측에 배수구(미도시)와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유입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상기 펌프 등과 연결되는 회수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it has been said that the cooler 3 may include an injection part (not shown)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H, and the injection part (not shown) may include a pipe, a pump, and a nozzle connected to a water tank. . In addition, the cooler 3 may include a recovery pipe connected to the pump or the like to recycle water introduced through a drain (not shown) and a drain (not shown) under the housing H to drain the sprayed water. You can.

이러한 냉각기(3)의 구성 중 노즐 등은 하우징(H)의 상측에 설치될 필요가 있고, 상기한 파이프, 펌프, 노즐, 회수관 등은 설치하기 위한 자재들은 작업자가 운반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중기 등으로 운반하기 위해 하우징(H)의 상측이 개구될 필요성이 있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cooler 3, a nozzle or the like needs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H, and the above-mentioned pipes, pumps, nozzles, and recovery pipes, etc. There is a need to ope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H) for transport.

상기 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냉각기(3)는 하우징(H)을 포함하되, 하우징(H)은 일 측에 개구부(H11)와 내부공간(H12)을 구비한 본체(H1), 본체(H1)와 결합되어 개구부(H11)를 덮는 커버(H2)를 포함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cooler 3 includes a housing H, but the housing H includes a main body H1 and a main body (H1) having an opening H11 and an internal space H12 on one side. It may include a cover (H2) coupled to H1) to cover the opening (H11).

상기 하우징(H)은 본 방법이 수행되는 작업장에서 기계 장비 등의 배치와 유지보수 등이 수행되는 도중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여도 형상을 유지하거나 내측에 수용되는 분사부(미도시) 등을 보호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H) maintains the shape even if an unexpected accident occurs during the arrangement and maintenance of mechanical equipment, etc., in the workplace where the method is performed, or protects an injection unit (not shown) accommodated inside. In order to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이때 냉각기(3)는 분사되는 물, 수증기 등이 본체(H1)와 커버(H2)의 틈 사이로 누수 되어 본체(H1)와 커버(H2)의 두께면(방수층이 형성되지 않은 두께면)이 부식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본체(H1)와 커버(H2)를 결합 및 밀폐시키는 밀폐결합수단(C)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ooler 3, water, water vapor, etc. to be sprayed leaks between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H1 and the cover H2, and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main body H1 and the cover H2 (thick surface where no waterproof layer is formed) is corroded. It may include a sealing coupling means (C) for coupling and sealing the main body (H1) and the cover (H2) to suppress the.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밀폐결합수단(C)은, 본체(H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속홈(C1), 결속홈(C1)의 벽면에 형성된 연장홈(C2), 연장홈(C2)의 벽면에서 커버(H2) 측으로 형성된 출입공(C3), 커버(H2)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결속홈(C1)에 삽입되는 결속돌기(C4), 커버(H2)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출입공(C3)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잠금홈(C5), 결속돌기(C4)의 외면에 구비된 밀폐부재(C6) 및 출입공(C3)에 수용되어 전후진하고 전진 시에 전단이 잠금홈(C5)에 삽입되는 잠금핀(C7)을 포함하고,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ure 9, the sealing coupling means (C), the binding groove (C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H1), the extension groove (C2)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binding groove (C1), extension The entrance hole (C3) formed on the wall (H2) side of the groove (C2),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H2) and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C1), the binding projection (C4),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H2) It is provided along and is accommodated in the sealing member (C6) and the exit hole (C3)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groove (C5), the binding protrusion (C4)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hole (C3), forward and backward, and sheared in advance It includes a locking pin (C7) inserted into this locking groove (C5),

밀폐부재(C6)는 임계치 이상의 충격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C61) 및 발열부(C61)의 외측에 구비되어 발열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C62)를 포함한다. The sealing member C6 includes a heating portion C61 that generates heat by an impact of a threshold or higher, and an expansion portion C62 provided outside the heating portion C61 to expand by heat.

이와 같이, 하우징(H)이 개구부(H11)를 가짐으로써, 내부공간(H12)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어 내부 구성에 대한 작업, 예컨대 조립, 배선, 교체, 납땜 등이 용이하다. 또한 밀폐결합수단(C)에 의해 상기한 개구부(H11)를 갖추기 위해 분체 결합 형태를 취하는 데에 따르는 밀폐성의 저하를 추가 장비, 추가 도구 및 숙련된 기술 없이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본체(H1)와 커버(H2) 간의 결합력 및 결합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having the opening H11 of the housing H, accessibility to the internal space H12 is improved, so that work on the internal configuration, such as assembly, wiring, replacement, soldering, and the like, is eas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ealing performance due to taking the powder bonding form in order to equip the opening H11 by the sealing coupling means C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additional tools, and skilled techniqu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and the holding force between the H1) and the cover H2.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를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향 특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요소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9. The specification of these direction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element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9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결속홈(C1)은 본체(H1)의 단부 측에 본체(H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으로, 이 결속홈(C1)의 전체 형상은 본체(H1)의 형상을 따른다. 이러한 결속홈(C1)은 상단에서 본체(H1)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9, in more detail, first, the binding groove C1 is a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H1 on the end side of the main body H1,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binding groove C1 is the main body. It follows the shape of (H1). The binding groove (C1) is formed by being recessed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H1) from the top.

그리고 연장홈(C2)은 결속홈(C1)의 벽면(도면 기준 측벽면)에 형성된 홈으로, 역시 연장홈(C2)의 전체 형상(H1)은 본체(H1)의 형상을 따른다. 상기한 결속홈(C1)과 연장홈(C2)은 본체(H1)의 둘레를 따라 연속된 홈 구조를 취한다.And the extended groove (C2) is a groove formed on the wall surface (side wall of the drawing reference) of the binding groove (C1), also the overall shape (H1) of the extended groove (C2) follows the shape of the body (H1). The binding groove C1 and the extension groove C2 have a continuous groove structu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H1.

그리고 출입공(C3)은 연장홈(C2)의 벽면에서 커버(H2) 측으로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출입공(C3)은 연장홈(C2)에서 커버(H2)와 인접한 상측 벽면과 본체(H1) 상단을 관통하는 통공일 수 있다.And the entrance hole (C3) is formed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extension groove (C2) to the cover (H2) side. For example, the access hole C3 may be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wall surface adjacent to the cover H2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H1 in the extension groove C2.

그리고 결속돌기(C4)는 커버(H2)의 둘레를 따라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본체(H1)와 커버(H2) 간의 결합 시에 결속홈(C1)에 삽입된다. And the binding projection (C4) i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H2)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C1)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H1) and the cover (H2).

그리고 잠금홈(C5)은 커버(H2)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된 홈으로, 마찬가지로 커버(H2)의 둘레를 따라 출입공(C3)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And the locking groove (C5) is a groove recess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ver (H2), similar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it hole (C3) along the perimeter of the cover (H2).

그리고 밀폐부재(C6)는 결속돌기(C5)의 외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밀폐부재(C6)는 임계치 이상의 충격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C61) 및 발열부(C61)의 외측에 구비되어 발열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C6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열부(C61)는 아세트산나트륨 80 중량부 대비 물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열전도체(C63)에 수용된다. 발열부(C61)는 아세트산나트륨을 물에 과포화 상태로 용해시킴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And the sealing member (C6)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inding projection (C5). The sealing member C6 includes a heat generating part C61 that generates heat by an impact of a threshold or higher, and an expansion part C62 provided outside the heat generating part C61 to expand by heat generation. In more detail, the heating unit C61 includes 50 parts by weight of water compared to 80 parts by weight of sodium acetate, and is accommodated in the heat conductor C63. The heating part C61 may be provided by dissolving sodium acetate in water in a supersaturated state.

이러한 발열부(C61)는 커버(H2)와 본체(H1) 간의 결합 과정에서 커버(H2)와 결속홈(C1)의 하단벽에 의해 가압되면서 임계치 이상의 충격을 받아 발열하게 되며, 그 발열 온도는 약 50 ~ 90℃이다.The heat generating unit C61 is heated by the impact of a threshold or higher while being pressed by the lower wall of the cover H2 and the binding groove C1 during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cover H2 and the main body H1, and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It is about 50 ~ 90 ℃.

팽창부(C62)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100 중량부 대비, 폴리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 및 하이드로 플루오르 에테르 1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panded part (C6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1 part by weight of polyol di (meth) acrylate and 13 parts by weight of hydrofluoric ethe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ester.

상기에서, 셀룰로스 에스테르는 중합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고분자로서 사용되고,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120℃인데, 후술하는 가교제에 의해 유리전이온도가 55℃까지 낮아진다. 팽창부(C62)의 기타 조성물은 이 셀룰로스 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In the above, cellulose ester is used as a thermoplastic polymer constituting the polymerizable monome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30 to 120 ° C., bu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owered to 55 ° C. by a crosslinking agent described later. The other composition of the expanded portion (C62)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is cellulose ester.

폴리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는 가교제로서 첨가되며, 가교점간 분자량이 커 고분자 수지의 가교밀도를 지나치게 크게 하지 않고도 하이드로 플루오르 에테르의 발포 특성 저하 없이 팽창부(C62)의 점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팽창부(C62)의 유리전이온도를 낮추어 낮은 온도에서 발포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폴리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는 너무 적으면 증점 효과가 미미하여 발포 도중 쉽게 찢어질 수 있고, 과도하면 가교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발포배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발포 특성을 보이는 함량은 4 중량부였다.Polyol di (meth) acrylate is added as a crosslinking agent, and the molecular weight between the crosslinking points is large, thereby increasing the viscosity of the expanded portion (C62) without deteriorating the foaming properties of the hydrofluoric ether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polymer resin.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expansion portion (C62) is lowered to enable foaming at a low temperature. If the polyol di (meth) acrylate is too small, the thickening effect is insignificant and can be easily torn during foaming. If excessive, the crosslinking density is too high to lower the foaming magnification. As a result of repeated experiments, the content showing optimal foaming properties was 4 parts by weight.

하이드로 플루오르 에테르는 발포제로서 첨가되고, 그 함량은 1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부(C62)는 발열부(C61)에 의해 가열되면 열가소성 고분자가 연화되면서 동시에 발포제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Hydrofluoric ether is added as a blowing agent, and the content is preferably 13 parts by weight. When the expansion portion (C62) is heated by the heating portion (C61), the thermoplastic polymer softens,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lowing agent rises to expand the volume.

그리고 잠금핀(C7)은 전후진(도면 기준 상하)으로 이동하도록 출입공(C3)에 수용되며, 전진 시 전단이 잠금홈(C5)에 삽입된다. 이러한 잠금핀(C7)이 출입공(C3) 내에 수용되는 구체적인 사항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통상의 지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And the locking pin (C7) is accommodated in the access hole (C3)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up and down based on the drawing), the front end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C5).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matters in which the locking pin C7 is accommodated in the entrance hole C3 is omitted, and it is assumed that normal knowledge is followed.

상기한 밀폐결합수단(C)은 크게 두 가지 효과를 제공하는데, 하나는 본체(H1)와 커버(H2) 간의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완전하게 밀폐하는 것,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본체(H1)와 커버(H2) 간의 결합력, 결합 유지력 향상 및 커버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다.The above-described sealing engagement means (C) largely provides two effects, one of which completely closes the gap occurring in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H1) and the cover (H2), and the other is the main body (H1) ) And improves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cover (H2), the holding force and the shaking of the cover.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밀폐결합수단(C)의 동작 및 효과를 정리하면, 도 9 [A] 상태에서, 발열부(C61)는 본체(H1)아 커버(H2) 간의 결합 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열되면서 팽창부(C62)를 팽창시키고, 이에 도 9 [B]와 같이 본체(H1)와 커버(H2) 간의 틈새가 메워져 완전히 밀폐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팽창부(C62)가 팽창하여 연장홈(C2)에 충진됨으로써, 잠금핀(C7)을 전진시켜 잠금핀(C7)이 잠금홈(C5)에 삽입되도록 하여, 본체(H1)와 커버(H2) 간의 결합 및 잠금 구조를 실현한다.In summary,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hermetic coupling means (C) with reference to FIG. 9, in the state of FIG. 9 [A], the heat generating part (C61) is an impact applied upon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H1) and the cover (H2). As the heat is generated by the expansion, the expansion portion C62 is expanded, and thus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H1 and the cover H2 is filled as shown in FIG. 9 [B] to completely seal the gap. And in this process, the expansion portion (C62) is expanded to be filled in the extended groove (C2), so that the locking pin (C7) is advanced so that the locking pin (C7)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C5), the main body (H1) And a lock structure between the cover H2 and the cover H2.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열로: 1 분배로: 11
이송로: 12 수용부: 121
연결부: 122 형틀: 2
냉각기: 3 운반기: 41
적재기: 42 적재판: 43
안착돌기: 431 포크홈: 432
회전수단: 433 컨베이어: CB
Furnace: 1 Distribution furnace: 11
Transport path: 12 Receptacle: 121
Connection: 122 Form: 2
Cooler: 3 Carrier: 41
Stacker: 42 Stacker: 43
Seating projection: 431 Fork groove: 432
Rotary means: 433 Conveyor: CB

Claims (4)

알루미늄과 첨가제를 용융시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하는 용융단계;
컨베이어 상에 구비된 다수의 형틀에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성형단계;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배출하는 배출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단계는 냉각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냉각기는 일 측에 개구부와 내부공간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결합 및 밀폐시키는 밀폐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결합수단은,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속홈, 상기 결속홈의 벽면에 형성된 연장홈, 상기 연장홈의 벽면에서 상기 커버 측으로 형성된 출입공, 상기 커버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결속홈에 삽입되는 결속돌기, 상기 커버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출입공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잠금홈, 상기 결속돌기의 외면에 구비된 밀폐부재 및 상기 출입공에 수용되어 전후진하고 전진 시에 전단이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는 잠금핀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재는 임계치 이상의 충격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발열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는 아세트산나트륨 80중 량부 대비 물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100 중량부 대비, 폴리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 및 하이드로 플루오르 에테르 1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
A melting step of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by melting aluminum and additives;
A molding step of injecting the aluminum alloy into a plurality of molds provided on a conveyor;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aluminum alloy; And
A discharging step of discharging the aluminum alloy;
Including,
The cooling step is performed by a cooler,
The cool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nd an internal space on one side, a cove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cover the opening, and a housing including a sealing coupling means for coupling and seal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he sealing coupling means, a binding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an extension groove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binding groove, an entrance hole formed toward the cover side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extension groov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and the binding groove The bind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ver, the locking groov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ver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hole, the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inding protrusion, and accommodated in the entrance hole to move back and forth and shear at the time of advancement It includes a locking pin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The sealing member includes a heat generating part that generates heat by an impact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and an expansion part that is provided outside the heat generating part to expand by heat generation,
The heating portion comprises 50 parts by weight of water compared to 80 parts by weight of sodium acetate,
Wherein the expanded portion is 100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ester, polyol di (meth) acrylate 1 parts by weight of hydrofluoric ether and 13 parts by weight of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는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알루미늄 합금을 분배로로 이송하는 이송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상기 형틀로 배출하는 분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단계는 일 측이 상기 가열로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와 연결되는 이송로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분배단계는 상기 이송로의 타 측에 연결되고 상기 형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형틀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낙하 투입하는 분배로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이송로는 일 측이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수용부 및 일 측이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배출로와 연결되되 바닥이 상기 수용부보다 높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단계는 각각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최초, 중간 및 최종 냉각하는 1차냉각단계 내지 3차냉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컨베이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rming step includes a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aluminum alloy discharged from the heating furnace to the distribution path and a distribution step of discharging the aluminum alloy into the mold,
The transfer step is carried out through a transfer path,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le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ting furnace,
The dispensing step is performed by a dispensing furnace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path and is disposed above the mold to drop the aluminum alloy into the mold.
The transporting path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utlet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outlet, but having a bottom higher than the receiving portion,
Each of the cooling steps includes a primary cooling step to a tertiary cooling step of first, intermediate, and final cooling of the aluminum alloy,
The mold is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vey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형틀에서 상측의 개구된 부분이 하측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형틀 내에 배치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이 상기 컨베이어보다 하측에 구비된 운반기로 이동되는 탈형단계, 적재기가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파지하여 상기 운반기 상에서 분리시키는 파지단계, 상기 적재기가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적재판 상에 배치하는 적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은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호 이격된 복수의 안착돌기 및 상기 안착돌기의 돌출에 의해 인접한 두 안착돌기 사이에 형성된 포크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적재판의 일 변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상기 안착돌기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안착돌기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적재판은 하부에 상기 적재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ing step is a demolding step in which the aluminum alloy disposed in the mold is moved to a conveyer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conveyor while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mold is disposed downward, and the loader grips the aluminum alloy to move the conveyer. Gripping step for separating the phase, and the loading step of the stacker placing the aluminum alloy on the loading plate,
The loading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projecting upwar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ork groove formed between two adjacent seating protrusions by the protrusion of the seating protrusions,
The seating projec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one side of the loading plate, the aluminum alloy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roj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projection,
The loading plate further comprises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loading plate at the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the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삭제delete
KR1020190132099A 2019-10-23 2019-10-23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KR1020971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99A KR102097115B1 (en) 2019-10-23 2019-10-23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99A KR102097115B1 (en) 2019-10-23 2019-10-23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115B1 true KR102097115B1 (en) 2020-04-03

Family

ID=7028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099A KR102097115B1 (en) 2019-10-23 2019-10-23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11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041B1 (en) * 2022-12-28 2023-07-04 주식회사 에스금속 Copper-ingot manufacturing equipment with structural intensive
KR102551044B1 (en) * 2022-12-28 2023-07-04 주식회사 에스금속 Copper-ingot manufactur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loa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749A (en) * 1997-03-27 1998-10-06 Kawasaki Steel Corp Production of molded pig iron and apparatus therefor
JPH10305360A (en) * 1997-05-06 1998-11-17 Furness Kakoki Kk Ingot inserting device
KR20040075836A (en) * 2004-08-11 2004-08-30 주식회사 에이엘에프 Continual casting device for non-iron metal
KR101814786B1 (en) * 2017-07-03 2018-01-03 조용철 Aluminum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749A (en) * 1997-03-27 1998-10-06 Kawasaki Steel Corp Production of molded pig iron and apparatus therefor
JPH10305360A (en) * 1997-05-06 1998-11-17 Furness Kakoki Kk Ingot inserting device
KR20040075836A (en) * 2004-08-11 2004-08-30 주식회사 에이엘에프 Continual casting device for non-iron metal
KR101814786B1 (en) * 2017-07-03 2018-01-03 조용철 Aluminum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041B1 (en) * 2022-12-28 2023-07-04 주식회사 에스금속 Copper-ingot manufacturing equipment with structural intensive
KR102551044B1 (en) * 2022-12-28 2023-07-04 주식회사 에스금속 Copper-ingot manufactur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loa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115B1 (en) Aluminum alloy manufacturing method
CN201855937U (en) Magnesium alloy double-furnace continuous low-pressure casting device
US7923095B2 (en) Method of forming a molded plastic article having molded extensions
KR20130053143A (en) A casting goods making device and making method which uses magnesium alloy
CN105834409B (en) A kind of magnesium alloy thin wall pieces integration system is for former
US10046386B2 (en) Device for casting
CN201596759U (en) Double-crucible low pressure casting machine
US20110037198A1 (en) Method of forming a molded plastic article having at least one molded extension
CN109746403B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preparing metal matrix composite blank
CN106481016A (en) A kind of production method of composite plate and process units
CN107363238A (en) A kind of die casting machine for industrial processes
US20190217380A1 (en) Multi-directional unibody casting machine for a vehicle frame and associated methods
EP1742870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the production of blocks of a semiconductor material
CA2338502A1 (en) Casting system for thixoforms
CN108907150A (en) A kind of circulating foamed aluminium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es and production line
CN112662911A (en) Tin-lead alloy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CN112276072A (en) Casting line for pouring multi-group series castings horizontally superposed and combined sand molds at one time
CN101294246B (en) Deslagging method for reduction furnace, deslagging system of reduction furnac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method
CN101885046A (en) Automobile part die-casting method
CN107398540A (en) A kind of die casting machine for industrial processes
CN106378435B (en) Material equipment is pulled in one kind automation
KR101275866B1 (en) Apparatus for regenerating the wasted aluminium and wasted aluminium regeneration method
KR101482453B1 (en) Horizontal type strip casting apparatus
CN116079003B (en) Novel tool for iron mold sand-coated four-cylinder crankshaf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N213801976U (en) Cooling system is transported with high temperature melting material to tungsten carbide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