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042B1 -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042B1
KR102096042B1 KR1020190104594A KR20190104594A KR102096042B1 KR 102096042 B1 KR102096042 B1 KR 102096042B1 KR 1020190104594 A KR1020190104594 A KR 1020190104594A KR 20190104594 A KR20190104594 A KR 20190104594A KR 102096042 B1 KR102096042 B1 KR 102096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optical fiber
light
light source
conca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신
Priority to KR102019010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LED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연결포트가 케이스의 전면에 배열되어 구성된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로서, 상기 연결포트의 내부에는 LED에서 발광하는 빛을 직진시키는 오목렌즈; 및 상기 오목렌즈를 통해 직진하는 빛을 광섬유 다발로 전달하는 반사경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LED의 전방에 오목렌즈가 배치되고, 상기 오목렌즈의 전방에 반사경이 배치되어 LED에서 발광하여 확산한 빛이 상기 오목렌즈와 반사경을 거쳐 광섬유 다발 측으로 전달된다.

Description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CONTROLLER FOR LIGHT EMITTING BOARD}
본 발명은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형 표지판의 광섬유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광섬유는 소비전력이 적으면서도 고휘도의 발광이 가능하고, 자유변형이 좋은 장점이 있어 표지판뿐만 아니라 광고판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섬유에 빛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LED를 광원으로 하는 컨트롤러(Controller)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는 LED에서 발광한 빛이 커넥터의 일단에 노출된 광섬유 다발의 끝단을 통해 각 광섬유의 타단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되어 있어 LED에서 발광한 빛이 확산하여 빛의 전달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LED에서 발광하는 빛의 조도를 높여야 하였고, 이에 따라 소비전력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LED에서 빛을 발산함에 따라 커넥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데 반해, 이를 외부로 발산하기 위한 구성이 결여되어 있어 LED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14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94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러의 구성을 개선하여 LED에서 발산된 빛을 광섬유 측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ED에서 발생한 고온의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하여 LED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는 보드에 형성된 홀에 광섬유가 클립홀더를 통해 삽입 고정되어 구성된 발광형 표지판의 상기 광섬유에 빛을 조사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LED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광섬유 다발을 고정한 커넥터가 연결되는 연결포트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설치되고 연결포트가 전면외부에 배열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일 방향 회전을 통해 걸려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삽입절개부 및 상기 삽입절개부와 연결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로서,
상기 연결포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LED에서 발산하여 확산한 빛을 모아 직진시키는 평면오목렌즈; 및
상기 연결포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평면오목렌즈를 통해 직진하는 빛을 광섬유 다발 측으로 전달하는 반사경;
을 포함하고,
상기 LED의 전방에 평면오목렌즈가 배치되고, 상기 평면오목렌즈의 전방에 반사경이 배치되어 LED에서 발산하여 확산한 빛이 상기 평면오목렌즈와 반사경을 거쳐 광섬유 다발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방열판 사이에는 열을 전달하는 유체물질인 써멀 그리스(Thermal Grease)가 개재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클립홀더는 선단에 경사면을 갖는 전방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노출부의 중심부에 광섬유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노출부와 연이어지게 몸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후단에 보드의 홀에 삽입을 제한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와 플랜지부까지 일체로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광섬유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광섬유의 선단부를 밀어 넣고, 절개부를 통해 수용공간에 상기 광섬유를 수용한 상태에서 클립홀더를 보드의 홀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클립홀더의 전방노출부에 형성되는 삽입공의 선단에 광섬유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부는 삽입공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LED에서 발산하여 확산한 빛을 평면오목렌즈에서 모아 직진성을 갖도록 한 다음 반사경을 통해 광섬유 다발 측으로 전달하므로 LED의 빛을 광섬유 다발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방열판을 통해 LED의 점등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LED 수명연장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에 걸림돌기를 구성하고, 연결포트에 걸림홈을 구성할 경우 별도의 부품 및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커넥터를 연결포트에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립홀더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립홀더에 광섬유가 삽입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의 클립홀더에 스토퍼부가 구비된 상태의 종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LED 광원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이하 'LED 광원 컨트롤러'라 한다.)는 보드(도 4의 180)에 형성된 홀에 광섬유(도 4의 170)가 클립홀더(도 4의 100)를 통해 삽입 고정되어 구성된 발광형 표지판의 상기 광섬유(170)에 빛을 조사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LED 광원 컨트롤러(200)를 구성하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서로 다른 빛(예컨대 백색, 적색, 파란색, 녹색 등)을 발산하는 LED(220)가 인쇄회로기판(221)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의 전면외부에는 광섬유 다발(230)이 고정된 커넥터(240)가 연결되는 연결포트(250)가 배열되어 구성된다.
또한, 각 연결포트(250)의 내부에는 LED(220)에서 발산하는 빛을 직진시킬 수 있도록 한쪽 면은 납작하고 다른 한쪽 면은 오목한 평면오목렌즈(260)가 설치되어 상기 LED(220)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평면오목렌즈(260)의 전방에는 직진하는 빛을 광섬유 다발(230)로 전달하는 반사경(270)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LED(220)에서 발산하여 확산한 빛을 평면오목렌즈(260)에서 모아 직진성을 갖도록 한 다음 반사경(270)을 통해 광섬유 다발(230)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적은 수의 LED(220)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광섬유 다발(230)에 LED(220)의 빛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포트(250)와 커넥터(240)의 연결은 예컨대, 볼트나 스크루 등으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커넥터(240)를 연결포트(250)에 연결한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연결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21)에는 LED(220)의 반대편으로 방열판(280)이 전술한 체결수단 또는 접착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방열판(280)과 인쇄회로기판(221) 사이에는 열을 전달하는 유체물질인 써멀그리스(Thermal Grease)가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방열판(280)을 통해 LED(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어 LED(22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LED 광원 컨트롤러(200)에서 빛을 전달받는 각각의 광섬유(170)를 발광형 표지판의 보드(180)에 클립홀더(100)를 통해 고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립홀더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클립홀더에 광섬유가 삽입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립홀더(100)는 쐐기형으로 형성되도록 선단에 경사면을 갖는 전방노출부(110)와, 상기 전방노출부(110)의 중심에 형성되어 광섬유(170)가 삽입되는 삽입공(120)과, 상기 전방노출부(110)와 연이어지게 형성된 몸통부(130)와, 상기 몸통부(130)의 후단에 형성되어 보드(180)의 홀(이하 '관통홀'이라 한다.)에 삽입을 제한하는 플랜지부(140)와, 상기 몸통부(130) 및 플랜지부(140)까지 일체로 형성된 절개부(150)와, 상기 절개부(150)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광섬유(17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60)이 마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홀더(100)를 통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광섬유(170)를 보드(180)의 관통홀(19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140)는 원형, 타원형, 구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형상을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클립홀더(10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60)의 내경(Ø1)을 삽입공(120)의 내경(Ø2)과 동일하게 형성하여도 되지만, 상기 클립홀더(10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60)의 내경(Ø1)을 삽입공(120)의 내경(Ø2)보다 크게 형성하고 몸통부(130)의 외경(Ø3)을 보드(180)의 관통홀(190)의 내경(Ø4)보다 크게 형성하여 클립홀더(100)를 보드(180)의 관통홀(190)에 삽입하면 몸통부(130)가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광섬유(170)를 압압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의 클립홀더에 스토퍼부가 구비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써, 상기 클립홀더(100)의 전방노출부(110)에 형성되는 삽입공(120)의 선단에 광섬유(17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121)가 구비되어 있다.
즉 도 7a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121)를 삽입공(120)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하거나, 도 7b와 같이 상기 클립홀더(100)에 형성되는 전방노출부(110)에 연장부(111)를 일체로 형성한 다음 삽입공(120)을 연장부(111)까지 형성하여 스토퍼부(121) 역할을 하는 걸림턱이 삽입공(120)의 선단에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립홀더(100)의 몸통부(130) 외주면에 클립홀더(100)의 삽입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압돌기(131)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드(180)의 관통홀(190)에 삽입된 클립홀더(100)의 위치가 가변하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편의상 보드(180)에 형성된 각 관통홀(190)에 광섬유(170)가 삽입된 클립홀더(100)를 삽입 고정하는 작업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관통홀(190)에 1개의 클립홀더(100)를 삽입 고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클립홀더(100)를 보드(180)의 관통홀(190)에 삽입 고정하기 전에 클립홀더(100)에 형성된 삽입공(120)에 광섬유(170)를 삽입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공(120)이 클립홀더(100)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이 아니라, 경사면을 갖는 전방노출부(110)의 중심부에만 형성되어 있어 몸통부(130) 및 플랜지부(140)에 형성된 절개부(150)를 통해 삽입공(120)으로 광섬유(170)를 삽입한 다음 삽입공(120)에 삽입된 광섬유(170)의 후단을 절개부(150)를 통해 수용공간(160)의 내부로 밀어넣기만 하면 클립홀더(100)에 광섬유(170)를 삽입하는 작업이 완료되므로 광섬유(170)의 삽입작업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용이하다.
이때, 상기 삽입공(120)의 선단에 스토퍼부(121)로서 걸림턱이 형성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광섬유(170)의 삽입깊이를 육안으로 식별하지 않고도 광섬유(170)를 항상 일정깊이로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170)가 삽입된 클립홀더(100)를 보드(180)의 관통홀(190)으로 밀어넣으면 플랜지부(140)가 보드(180)의 후면에 닿아 삽입깊이가 제한되므로 클립홀더(100)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클립홀더(100)의 몸통부(130) 외주면에 삽입방향을 따라 압압돌기(131)가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클립홀더(100)를 보드(180)에 견고한 상태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보드(180)에서 클립홀더(100)가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절개부(150)와 통하여지게 형성된 수용공간(160)의 내경(Ø1)이 삽입공(120)의 내경(Ø2)보다 크게 형성되고 몸통부(130)의 외경(Ø3)이 보드(180)에 형성된 관통홀(190)의 내경(Ø4)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에는 광섬유(170)의 선단을 삽입공(120)에 밀어 넣은 다음 광섬유(170)의 후단을 수용공간(160)의 내부로 밀어넣는 작업이 더욱 수월해지게 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홀더(100)의 내부에 광섬유(170)를 삽입한 상태에서 클립홀더(100)를 보드(180)의 관통홀(190)로 밀어 넣으면 몸통부(130)의 외경(Ø3)이 관통홀(190)의 내경(Ø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클립홀더(100)의 몸통부(130)가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수용공간(160)의 내부에 위치하는 광섬유(170)를 압압 고정하게 되므로 보드(180)의 관통홀(190)에 클립홀더(100)를 삽입 고정하는 과정에서 광섬유(170)의 위치가 가변하거나, 클립홀더(100)를 보드(180)에 고정한 상태에서 클립홀더(100)에서 광섬유(170)가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보드(180)에 형성된 관통홀(190)에 광섬유(170)가 삽입된 클립홀더(100)를 전부 삽입 고정할 때까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광섬유(170)가 삽입된 클립홀더(100)를 보드(180)에 고정하고 나면 여러 가닥의 광섬유(170) 타단을 광섬유 다발(230)이 되게 커넥터(240)에 고정한 후 상기 커넥터(240)를 LED 광원 컨트롤러(200)에 형성된 각기 다른 빛을 발산하는 어느 하나의 연결포트(250)에 조립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LED 광원 컨트롤러(200)에 광섬유 다발(230)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LED 광원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LED 광원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2 내지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LED 광원 컨트롤러(200)는 연결포트(250)에 삽입절개부(251) 및 상기 삽입절개부(251)와 연결되는 걸림홈(252)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커넥터(240)에는 상기 삽입절개부(251)를 통해 걸림홈(252)에 삽입되었다가 상기 커넥터(2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 걸림홈(252)에 걸려 조립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24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홈(252)과 걸림돌기(241)의 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240)에 형성된 걸림돌기(241)를 연결포트(250)의 삽입절개부(251)를 통해 조립한 다음 커넥터(2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241)가 걸림홈(252)에 걸리게 되므로, 볼트 또는 스크루 등의 체결수단 및 이를 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커넥터(240)의 연결 및 분해작업이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LED 광원 컨트롤러(200)에 전원을 인가하면 LED(220)가 점등되어 빛을 발산하고, 상기 LED(220)에서 발산하여 확산한 빛은 평면오목렌즈(260)를 통과하면서 직진성을 갖은 다음 반사경(270)을 통과하면서 커넥터(240)의 후단에 위치하는 광섬유 다발(230) 측으로 반사되므로 빛은 클립홀더(도 4의 100)가 고정되어 있는 보드(도 4의 180)의 표면으로 발산되고, 이에 따라 발광형 표시판에 표시된 문구 또는 그림을 발광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LED 광원 컨트롤러 210: 케이스
220: LED 230: 광섬유 다발
240: 커넥터 241: 걸림돌기
250: 연결포트 251: 삽입절개부
252: 걸림홈 260: 평면오목렌즈
270: 반사경 280: 방열판

Claims (6)

  1. 보드에 형성된 홀에 광섬유가 클립홀더를 통해 삽입 고정되어 구성된 발광형 표지판의 상기 광섬유에 빛을 조사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LED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광섬유 다발을 고정한 커넥터가 연결되는 연결포트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설치되고 연결포트가 전면외부에 배열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일 방향 회전을 통해 걸려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삽입절개부 및 상기 삽입절개부와 연결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로서,
    상기 연결포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LED에서 발산하여 확산한 빛을 모아 직진시키는 평면오목렌즈; 및
    상기 연결포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평면오목렌즈를 통해 직진하는 빛을 광섬유 다발 측으로 전달하는 반사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LED의 전방에 평면오목렌즈가 배치되고, 상기 평면오목렌즈의 전방에 반사경이 배치되어 LED에서 발산하여 확산한 빛이 상기 평면오목렌즈와 반사경을 거쳐 광섬유 다발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
    을 더 포함하는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방열판 사이에는 써멀 그리스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홀더는 선단에 경사면을 갖는 전방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노출부의 중심부에 광섬유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노출부와 연이어지게 몸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후단에 보드의 홀에 삽입을 제한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와 플랜지부까지 일체로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광섬유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광섬유의 선단부를 밀어 넣고, 절개부를 통해 수용공간에 상기 광섬유를 수용한 상태에서 클립홀더를 보드의 홀에 삽입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립홀더의 전방노출부에 형성되는 삽입공의 선단에 광섬유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부는 삽입공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KR1020190104594A 2019-08-26 2019-08-26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KR102096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594A KR102096042B1 (ko) 2019-08-26 2019-08-26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594A KR102096042B1 (ko) 2019-08-26 2019-08-26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042B1 true KR102096042B1 (ko) 2020-04-01

Family

ID=7027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594A KR102096042B1 (ko) 2019-08-26 2019-08-26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0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52Y1 (ko) * 2002-07-23 2002-10-25 최재필 디스플레이용 광섬유 고정구조
KR101291425B1 (ko) 2012-12-12 2013-07-30 투인산업 주식회사 발광형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9887B1 (ko) * 2013-06-26 2014-12-08 김강 발광형 제한속도 표시장치
KR101511049B1 (ko) * 2014-12-18 2015-04-20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KR20160050352A (ko) * 2014-10-29 2016-05-11 (주)유브이에스엠티 4단으로 적층되는 led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09418B1 (ko) 2018-03-28 2018-10-17 이석헌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52Y1 (ko) * 2002-07-23 2002-10-25 최재필 디스플레이용 광섬유 고정구조
KR101291425B1 (ko) 2012-12-12 2013-07-30 투인산업 주식회사 발광형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9887B1 (ko) * 2013-06-26 2014-12-08 김강 발광형 제한속도 표시장치
KR20160050352A (ko) * 2014-10-29 2016-05-11 (주)유브이에스엠티 4단으로 적층되는 led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11049B1 (ko) * 2014-12-18 2015-04-20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KR101909418B1 (ko) 2018-03-28 2018-10-17 이석헌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703B1 (ko)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 광원 및 조명 장치
TWI387126B (zh) 在軸配置中具有直接光學耦接的led燈
JP4838580B2 (ja) Ledバルブ
EP1640753A1 (en) LED Lamp
US8267565B2 (en) LED illumination device and LED illumination module for generating uniform stripped light source
US9927100B2 (en) LED lamp with LED board brace
US20160273745A1 (en) Detachable led lighting device
US20100110391A1 (en) Projector
US20110038175A1 (en) Illuminator
EP3208519A1 (en) Led lamp unit
JP4905630B2 (ja) 照明装置
KR20090034056A (ko) 바 형상의 발광장치
WO2018196564A1 (zh) 一种发光模组及应用该发光模组的照明装置
KR102096042B1 (ko) 발광형 표지판용 led 광원 컨트롤러
US10302256B2 (en)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JP5238123B2 (ja) ファイバ用の光源及びファイバ光源装置とそれを用いた内視鏡
JP6497501B2 (ja) 発光装置
JP6410033B2 (ja) ランプ装置
JP6540953B2 (ja) ランプ装置
US8246217B2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ghost image of point light sources
KR101179172B1 (ko)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20120055794A (ko) 조명 모듈 결합용 접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79335B1 (ko) 광섬유 고정구조를 개선한 발광형 표지판
JP2014135202A (ja) 照明装置
JP7144736B2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