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008B1 -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008B1
KR102096008B1 KR1020170096833A KR20170096833A KR102096008B1 KR 102096008 B1 KR102096008 B1 KR 102096008B1 KR 1020170096833 A KR1020170096833 A KR 1020170096833A KR 20170096833 A KR20170096833 A KR 20170096833A KR 102096008 B1 KR102096008 B1 KR 10209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s
point group
unit
us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244A (ko
Inventor
이다솜
이재혁
이현종
차현준
박수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09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0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트를 이용하여 신체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포인트로 이루어진 점군을 출사하는 가상좌표 조사부, 사용자의 신체에 투영된 포인트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준위치 측정부, 포인트들을 사용자의 신체 상에 재배치하는 점군 맵핑부, 이동된 포인트들 좌표를 측정하는 좌표 연산부, 및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도출하는 치수 도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BODY MEASURING SYSTEM USING POINT GROUP}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인은 현재 유행하는 패션 및 자신에게 맞는 패션을 찾기 위한 정보 획득 수단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이러한 흐름으로 인해 인터넷에서는 다양한 쇼핑몰들이 생겨났으며, 이 중에서 가장 각광받는 분야 중의 하나가 의류 및 이를 포함한 패션 상품몰이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패션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시간적, 공간적 자유를 십분 활용하여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육체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여 이용한다.
사용자가 패션 상품몰의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확인하고 게시된 상품의 이미지에 관심이 있는 경우 이를 선택하여 상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구매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매 방식은 패션 상품의 경우, 이미지에서 좋게 보이던 상품이 실제로 수령했을 때 이미지와 다른 느낌을 받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반송, 반품 등이 발생되어 몰 운영자, 제품 생산자 및 구매자에게 시간적, 금전적 손해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 인터넷을 통한 패션 정보 제공 방법이 있다. 인터넷을 통한 패션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품과 체형을 합성하여 보여주는 코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가상의 모델을 만들어 의류 상품 즉, 의상, 안경, 신발, 모자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미리 입혀봄으로써 코디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인터넷 상의 코디 서비스 제공은 실물이 아닌 사이버 공간 상에서 가상의 모델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신의 몸에 실제로 의류, 모자 등의 패션 제품을 걸쳤을 때 자신의 취향, 신체 특성, 피부, 헤어 색깔과의 전체적인 조화가 정확하게 맞는지 확인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구입 후 제품에 만족하지 못하여 반품하는 사례가 빈번했다.
게다가 소비자는 오프라인의 백화점이나 쇼핑몰을 찾아가서 의류를 몸에 걸쳐본 후 현장에서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판단하지 못하고 구입한 후 집에 와서 입어 보거나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 보면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도 많아서 의류를 반품 또는 교환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소비자가 오프라인에서 입어보고 패션 제품을 사서도 반품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인터넷 상에서 구입한 패션 제품의 경우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가 훨씬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 당연한 결과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온라인 상에서의 쇼핑 제공 서비스가 소비자 입장에서 신뢰도와 만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8733호 한국공개특허 제2012-019410호
본 발명은 포인트를 이용하여 신체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포인트로 이루어진 점군을 출사하는 가상좌표 조사부, 사용자의 신체에 투영된 포인트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준위치 측정부, 포인트들을 사용자의 신체 상에 재배치하는 점군 맵핑부, 이동된 포인트들 좌표를 측정하는 좌표 연산부, 및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도출하는 치수 도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상좌표 조사부는 점군이 형태를 제어하는 형상 제어 모듈과 출사되는 포인트들의 개수를 제어하는 수량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위치 측정부는 사용자의 신체 상에 투영된 포인트들을 추출하는 포인트 선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위치 측정부는 선택된 포인트들에 절대 위치 좌표를 부여하는 기준좌표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위치 측정부는 선택된 포인트들의 간격을 측정하는 기준간격 연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군 맵핑부는 사용자 신체의 테두리 라인을 설정하는 테두리 설정 모듈과 포인트들의 이동의 기준이 되는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는 기준 설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군 맵핑부는 상기 기준 포인트를 중심으로 포인트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점군의 제일 외측에 위치한 포인트들이 테두리 라인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간격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 연산부는 포인트들의 절대 위치 좌표의 변화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모듈과 이동된 포인트들의 간격을 측정하는 간격 측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수 도출부는 신체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포인트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둘레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 라인의 길이를 연산하는 둘레 측정 모듈과, 신체의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포인트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길이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 라인의 길이를 연산하는 길이 측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배치된 포인트들을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여 점군으로 이루어진 가상신체를 생성하는 가상신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포인트들을 조사하고 포인트들을 조절하여, 포인트들의 위치와 간격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측정 시스템에서 형성된 점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측정 시스템의 점군 맵핑부에 의하여 점군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측정 시스템의 점군 맵핑부에 의하여 점군 사이의 간격이 증가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측정 시스템에서 형성된 점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101)은 가상좌표 조사부(10), 기준위치 측정부(20), 점군 맵핑부(30), 좌표 연산부(40), 치수 도출부(50), 및 가상신체 생성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좌표 조사부(10)는 복수의 포인트(P1)로 이루어진 점군(PG)을 출사한다. 가상좌표 조사부(10)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120)에 점군(PG)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좌표 조사부(10)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포인트(P1)로 이루어진 점군(PG)을 사용자의 신체(120)에 조사할 수 있다. 가상좌표 조사부(10)는 형상 제어 모듈(11)과 수량 제어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형상 제어 모듈(11)은 측정 위치와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점군(PG)을 사용자의 신체에 조사할 수 있다. 형상 제어 모듈(11)은 상체에 점군(PG)을 조사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들(P1)을 티셔츠 형상으로 배열하여 티셔츠 형상의 점군(PG)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제어 모듈(11)은 하체에 점군(PG)을 조사하는 경우 포인트들을 바지 형상으로 배열할 수 있다.
한편, 형상 제어 모듈(11)은 기 입력된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고려하여 점군(PG)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 제어 모듈(11)은 성인 남성과 어린이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점군(PG)을 출사할 수 있다. 형상 제어 모듈(11)은 점군(PG)의 크기를 기본적으로 신체의 크기보다 작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량 제어 모듈(12)은 점군(PG)의 형상에 따라 점군(PG)을 이루는 포인트들(P1)의 개수를 제어한다. 또한, 수량 제어 모듈(12)은 측정될 신체 치수의 정확도에 따라 포인트들(P1)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 수량 제어 모듈(12)은 포인트의 개수를 수 백개에서 수 천개로 제어할 수 있다.
기준위치 측정부(20)는 사용자의 신체에 투영된 포인트들(P1)의 위치를 측정한다. 스캐너는 프로젝터와 함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며, 기준위치 측정부(20)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투영된 포인트들(P1)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기준위치 측정부(20)는 포인트 선택 모듈(21)과 기준좌표 생성 모듈(22)과 기준간격 연산 모듈(23)을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 선택 모듈(21)은 사용자의 신체 상에 투영된 포인트들(P1)을 추출하고, 사용자의 신체 외부에 투영된 포인트들(P1)을 제외시킨다. 가상좌표 조사부(10)에서 출사된 포인트들 중 일부는 사용자 신체 이외의 곳에 위치할 수 있는 바, 포인트 선택 모듈(21)은 이러한 포인트들을 탐지하여 제외시킨다.
기준좌표 생성 모듈(22)은 선택된 포인트들에 절대 위치 좌표를 부여한다. 기준좌표 생성 모듈(22)은 포인트들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포인트들(P1)에 좌표를 부여할 수 있다.
기준간격 연산 모듈(23)은 선택된 포인트들(P1)의 간격(L1)을 측정한다. 포인트들(P1)은 가상좌표 조사부(10)에서 출사될 때 기 설정된 간격으로 출사되지만 사용자 신체(120)에 형성된 굴곡 때문에 포인트들의 간격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기준간격 연산 모듈(23)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변화된 포인트들(P1)의 간격(L1)을 측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측정 시스템의 점군 맵핑부에 의하여 점군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측정 시스템의 점군 맵핑부에 의하여 점군 사이의 간격이 증가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점군 맵핑부(30)는 포인트들(P1)을 사용자의 신체 상에 재배치한다. 점군 맵핑부(30)는 포인트들(P1)이 사용자의 신체 상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도록 포인트들(P1)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에 배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군(PG)이 티셔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신체보다 작은 영역에 형성된 경우, 점군 맵핑부(30)는 점군을 확장시킨다. 점군 맵핑부(30)는 테두리 설정 모듈(31), 기준 설정 모듈(32), 간격 제어 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 설정 모듈(31)은 사용자 신체(120)의 테두리 라인을 설정한다. 사용자의 신체(120)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신체의 윤곽을 특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에 테두리 설정 모듈(31)은 촬영된 화면에서 사용자 신체의 테두리 라인을 설정한다.
기준 설정 모듈(32)은 포인트들의 이동의 기준이 되는 기준 포인트를 설정한다. 기준 포인트는 점군(PG)의 중심에 위치하는 포인트가 될 수 있으며, 기준 포인트는 이동하지 않는다.
간격 제어 모듈(33)은 기준 포인트를 중심으로 포인트들(P1)의 간격을 조절하여 점군(PG)의 제일 외측에 위치한 포인트들(P1)이 테두리 라인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간격 제어 모듈(33)은 포인트들(P1)을 이동시켜서 테두리 라인 내에 포인트들(P1)이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포인트들(P1)의 간격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좌표 연산부(40)는 이동된 포인트들(P1)의 좌표를 측정한다. 좌표 연산부(4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재배치된 포인트들(P1)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측정한다. 좌표 연산부(40)는 위치 측정 모듈(41)과 간격 측정 모듈(42)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 모듈(41)은 포인트들(P1)의 절대 위치 좌표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위치 측정 모듈(41)은 간격 제어 모듈(33)에서 전달된 정보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포인트들(P1)의 절대 위치 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간격 측정 모듈(42)은 이동된 포인트들 사이의 간격(L2)을 측정한다. 간격 측정 모듈(42)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포인트들(P1) 사이의 간격(L2)을 측정한다.
치수 도출부(50)는 포인트들(P1) 사이의 간격을 연산하여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도출한다. 치수 도출부(50)는 둘레 측정 모듈(51)과 길이 측정 모듈(52)을 포함할 수 있다.
둘레 측정 모듈(51)은 기 설정된 부분에서 신체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포인트들(P1)을 연결하는 가상의 둘레 라인을 형성하고 둘레 라인의 길이를 연산하여 사용자 신체 둘레를 측정한다. 둘레 측정 모듈(51)은 사용자의 전면에 조사된 점군(PG)과 사용자의 후면에 조사된 점군(PG)을 통합하여 점군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군 데이터의 포인트들(P1)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신체 둘레를 측정할 수 있다.
둘레 측정 모듈(51)은 가슴 둘레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가슴의 둘레 방향으로 일자로 배열된 포인트들을 연결하여 라인을 형성하고 라인의 길이를 연산하여 둘레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길이 측정 모듈(52)은 기 설정된 부분에서 신체의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포인트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길이 라인을 형성하고 길이 라인의 길이를 연산하여 사용자 신체의 길이를 측정한다.
길이 측정 모듈(52)은 팔 길이를 측정하는 경우, 어깨에서 팔의 끝까지 팔의 길이방향으로 일자로 배열된 포인트들을 연결하여 라인을 형성하고 라인의 길이를 연결하여 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가상신체 생성부(60)는 사용자의 신체에 배치된 포인트들을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여 점군으로 이루어진 가상신체를 생성한다. 가상신체 생성부(60)는 포인트들 위치 좌표를 바탕으로 3차원으로 배열된 포인트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신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가상신체 구현 시스템
120: 신체
10: 가상좌표 조사부
11: 형상 제어 모듈
12: 수량 제어 모듈
20: 기준위치 측정부
21: 포인트 선택 모듈
22: 기준좌표 생성 모듈
23: 기준간격 연산 모듈
30: 점군 맵핑부
31: 테두리 설정 모듈
32: 기준 설정 모듈
33: 간격 제어 모듈
40: 좌표 연산부
41: 위치 측정 모듈
42: 간격 측정 모듈
50: 치수 도출부
51: 둘레 측정 모듈
52: 길이 측정 모듈
60: 가상신체 생성부
P1: 포인트
PG: 점군
L1, L2: 간격

Claims (10)

  1. 복수의 포인트로 이루어진 점군을 사용자의 신체에 출사하는 가상좌표 조사부;
    사용자의 신체에 투영된 포인트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준위치 측정부;
    포인트들을 사용자의 신체 상에 재배치하는 점군 맵핑부;
    이동된 포인트들 좌표를 측정하는 좌표 연산부; 및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도출하는 치수 도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좌표 조사부는 점군이 형태를 제어하는 형상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 제어 모듈은 측정 위치와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점군을 사용자의 신체에 조사하되, 점군의 크기를 신체의 크기보다 작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좌표 조사부는 출사되는 포인트들의 개수를 제어하는 수량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 측정부는 사용자의 신체 상에 투영된 포인트들을 추출하는 포인트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 측정부는 선택된 포인트들에 절대 위치 좌표를 부여하는 기준좌표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 측정부는 선택된 포인트들의 간격을 측정하는 기준간격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군 맵핑부는 사용자 신체의 테두리 라인을 설정하는 테두리 설정 모듈과 포인트들의 이동의 기준이 되는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는 기준 설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군 맵핑부는 상기 기준 포인트를 중심으로 포인트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점군의 제일 외측에 위치한 포인트들이 테두리 라인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간격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연산부는 포인트들의 절대 위치 좌표의 변화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모듈과 이동된 포인트들의 간격을 측정하는 간격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 도출부는 신체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포인트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둘레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 라인의 길이를 연산하는 둘레 측정 모듈과, 신체의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포인트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길이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 라인의 길이를 연산하는 길이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배치된 포인트들을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여 점군으로 이루어진 가상신체를 생성하는 가상신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KR1020170096833A 2017-07-31 2017-07-31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KR10209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33A KR102096008B1 (ko) 2017-07-31 2017-07-31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33A KR102096008B1 (ko) 2017-07-31 2017-07-31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244A KR20190014244A (ko) 2019-02-12
KR102096008B1 true KR102096008B1 (ko) 2020-04-02

Family

ID=6536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33A KR102096008B1 (ko) 2017-07-31 2017-07-31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0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1995A (ja) * 2011-03-25 2012-10-22 Bunka Gakuen 体型測定方法及び体型測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733A (ko) 2008-10-31 2010-05-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사용자 고유 디자인을 지원하는 아바타 기반 의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8649575B2 (en) 2010-08-24 2014-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a gesture based biometric system
KR101671649B1 (ko) * 2014-12-22 2016-11-01 장석준 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조합한 3d 합성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1995A (ja) * 2011-03-25 2012-10-22 Bunka Gakuen 体型測定方法及び体型測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244A (ko)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649B1 (ko) 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조합한 3d 합성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시스템
US1139316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lothing selection
US9842255B2 (en) Calculation device and calculation method
CN110609617B (zh) 虚拟镜子的装置、系统和方法
CA2989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dular online product selection, visualization and design services
US202201888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body measurements and providing clothing size recommendations
CN108875524A (zh) 视线估计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JP6242768B2 (ja) 仮想試着装置、仮想試着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20365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23970A (ko) 가상 피팅 지원 시스템
KR20100019067A (ko) 3d 아바타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6188B1 (ko) 맞음새 여유량 선호를 반영한 의류 사이즈 제안 시스템
JP2016038810A (ja) 仮想試着装置、仮想試着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44129B1 (ko) 가상착의 이미지를 이용한 원단 두께별 의류 패턴 자동 보정 시스템
Zong et al. An exploratory study of integrative approach between 3D body scanning technology and motion capture systems in the apparel industry
KR102096008B1 (ko) 점군을 이용한 신체 측정 시스템
US114038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shape of object
KR101563617B1 (ko) 사용자의 인체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44347B1 (ko) 가상의류 피팅미러 장치를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KR102086227B1 (ko) 신체 치수 계측 장치
KR20170084901A (ko)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KR20010088701A (ko) 3차원 신체모형을 이용한 온라인쇼핑몰 시스템 제공방법및 장치
KR101995277B1 (ko) 가상신체 구현 시스템
KR20170143223A (ko) 3d 실감체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42549B1 (ko)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