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369B1 -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369B1
KR102095369B1 KR1020190126383A KR20190126383A KR102095369B1 KR 102095369 B1 KR102095369 B1 KR 102095369B1 KR 1020190126383 A KR1020190126383 A KR 1020190126383A KR 20190126383 A KR20190126383 A KR 20190126383A KR 102095369 B1 KR102095369 B1 KR 102095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flame
induction pipe
disconnector
flame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 내부에 발생된 아크화염을 소염배기장치로 신속하게 유도한 후, 소염시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에 따른 2차 화재 피해 및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설치되던 가스절연개폐장치 외부 보호커버나 상부 스커드 등의 부가적인 안전설비들을 생략할 수 있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구비되는 다수의 방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방압판 중 소정 방압판의 파열에 의해 유입되는 아크 화염을 소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소염배기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차단기(10)와, 상기 차단기(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단로기(20) 및, 상기 제1단로기(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모선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소염배기장치(60)는, 상기 차단기 외함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 일측은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측에서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차단기 메인 유도관(12);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 및 차단기 메인 유도관(1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차단기 방압판(13); 상기 제1단로기 외함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 일측은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전방 메인 유도관(70)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단로기 유도관(22);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 및 제1단로기 유도관(2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제1단로기 방압판(23); 상기 제1모선부 외함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 일측은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전방 메인 유도관(70)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모선부 유도관(32); 및,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 및 제1모선부 유도관(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제1모선부 방압판(33)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측 중앙에는 내외부 통공되게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가 형성되고, 상기 소염배기부(61) 상측 중앙에는 내외부 통공되게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62)가 형성되며, 상부단은 막혀있고 하부단은 개방된 원통형의 아크화염 분산관(64)이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된 하부단이 상기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아크화염 분산관(64)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아크화염 분산공(65)이 형성되고,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측면에는 소염배기층(66)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의 하측은 상기 제1단로기 유도관(22) 및 제1모선부 유도관(32)과 각각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측은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전방측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후방측은 후방 메인 유도관(72)의 상측과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메인 유도관(72)의 하측은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62)와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차단기 메인 유도관(12)의 타측은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with Flameless venting device}
본 발명은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 내부에 발생된 아크화염을 소염배기장치로 신속하게 유도한 후, 소염시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에 따른 2차 화재 피해 및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설치되던 가스절연개폐장치 외부 보호커버나 상부 스커드 등의 부가적인 안전설비들을 생략할 수 있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입부(6)에서 입력된 전류가 차단기부(5)를 통해 제1단로기부(3) 및 제2단로기부(4)로 통전되고, 상기 제1단로기부(3)와 제1모선부(1) 및, 상기 제2단로기부(3)와 제2모선부(2)를 각각 거쳐 계기용변압기(7)로 출력되도록 구성되며, 가스 구획은 상기 차단기부(5), 제1단로기부(3), 제2단로기부(4), 제1모선부(1) 및, 제2모선부(2) 각각의 독립 가스 구획으로 구성되어 있어 각 부의 가스 관리를 독립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입부(6)는 케이블(6a)과 이를 감싸고 있는 변류기(6b)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6a)은 케이블 플러그 인 시스템(Cable Plug-In system)이 적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인출입이 가능하다. 상기 차단기부(5)는 차단기 용기(5a)와 하부 인출입부(6)의 상기 케이블(6a)과 연결되는 회로차단 기구(5b)로 구성되며, 상기 회로차단 기구(5b)는 고 신뢰성 및 내구성의 진공 차단밸브(Vacuum Interrupter)를 용기에 내장시킨 구조로 영구자석 작동기(PMA, Permanent Magnetic Actuator) 조작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제1단로기부(3)는 상기 차단기부(5) 일측에 연결되는 1단로기 용기(3a)와 1단로기구(3b)로 구성되며, 상기 제2단로기부(4) 또한 상기 차단기부(5) 일측에 연결되는 2단로기 용기(4a)와 2단로기구(4b)로 구성된다. 단로기구에는 폐로-개로-접지의 3단 개폐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원격 제어가 가능한 모터 구동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제1모선부(1)는 하부 1단로기부(3)와 일측에 연결되는 1모선 용기(1a)와 1모선(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모선부(2)는 하부 2단로기부(4)와 일측에 연결되는 2모선 용기(2a)와 2모선(2b)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경우, 버스부 등의 통전부를 케이블로 감싼 후 제거하지 않거가, 유지 보수 후 공구류 등을 외함 내부에 남겨두는 등의 작업자의 실수나, 조작실수, 제품의 기계적 결함, 도체접촉상태 불량 또는 외함 내부 수분 침투 등의 이유로 외함 내부에 아크화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외함 내부에 발생된 아크화염 및 고압 가스는 외함의 다수 위치에 구비되는 방압판을 파열시킨 후, 외부로 분출하게 되는데, 이를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외부로 분출된 아크화염에 의해 대형 화재 및 인명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있다.
종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경우, 외함 내부에 발생된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에 따른 대형 화재 및 인명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좌, 우측 및, 후방측에 보호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보호커버의 상측에는 아크 캐노피를 설치하여 발생된 아크화염을 상부측으로 유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다수의 방압변을 설치한 후, 각 방압변에서 유입되는 아크화염을 소정위치 및 방향으로 유도하여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설비들을 설치하였으나,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의 여러 위치에 구비되는 방압변으로 인해 아크화염을 유도하기 위한 설비들이 복잡하게 얽혀 설치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공개특허 제10-2019-0094694호('가스절연개폐장치용 보호커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부 전체를 감싸도록 보호커버(100)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다수개의 방압변이 계폐장치에 산발적으로 위치하더라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방압변의 주변을 막아 방압변을 통해 아크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배출구(170)를 통해 외부로 유도 배출되게 구성되어 있으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보호커버(100)가 감싸도록 구비되고, 배출구(170)가 소정위치로 길게 연장 설치되어 가스절연개페장치의 설치공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발생된 아크화염이 배출구(170)를 통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2차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여전히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9-0094694호('가스절연개폐장치용 보호커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 내부에 발생된 아크화염을 소염배기장치로 신속하게 유도한 후, 소염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에 따른 2차 화재 피해 및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설치되던 가스절연개폐장치 외부 보호커버나 상부 스커드 등의 부가적인 안전설비들을 생략할 수 있게 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 공간,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스절연개폐장치에 대한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구비되는 다수의 방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방압판 중 소정 방압판의 파열에 의해 유입되는 아크 화염을 소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소염배기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차단기(10)와, 상기 차단기(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단로기(20) 및, 상기 제1단로기(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모선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소염배기장치(60)는, 상기 차단기 외함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 일측은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측에서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차단기 메인 유도관(12);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 및 차단기 메인 유도관(1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차단기 방압판(13); 상기 제1단로기 외함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 일측은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전방 메인 유도관(70)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단로기 유도관(22);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 및 제1단로기 유도관(2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제1단로기 방압판(23); 상기 제1모선부 외함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 일측은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전방 메인 유도관(70)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모선부 유도관(32); 및,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 및 제1모선부 유도관(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제1모선부 방압판(33)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측 중앙에는 내외부 통공되게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가 형성되고, 상기 소염배기부(61) 상측 중앙에는 내외부 통공되게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62)가 형성되며, 상부단은 막혀있고 하부단은 개방된 원통형의 아크화염 분산관(64)이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된 하부단이 상기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아크화염 분산관(64)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아크화염 분산공(65)이 형성되고,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측면에는 소염배기층(66)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의 하측은 상기 제1단로기 유도관(22) 및 제1모선부 유도관(32)과 각각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측은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전방측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후방측은 후방 메인 유도관(72)의 상측과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메인 유도관(72)의 하측은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62)와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차단기 메인 유도관(12)의 타측은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에 있어서,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제2단로기(50) 및 제2모선부(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단로기(20)는 상기 차단기(10)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모선부(30)는 상기 제1단로기(2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단로기(50)는 상기 차단기(10)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모선부(40)는 상기 제2단로기(5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소염배기장치(60)는, 상기 제2단로기 외함의 타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 일측은 상기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중간 메인 유도관(73)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단로기 유도관(52); 상기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 및 제2단로기 유도관(5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제2단로기 방압판(53); 상기 제2모선부 외함의 타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41); 일측은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중간 메인 유도관(73)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모선부 유도관(42); 및, 상기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41) 및 제2모선부 유도관(4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4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제2모선부 방압판(43)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의 하측은 상기 제2단로기 유도관(52) 및 제2모선부 유도관(42)과 각각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측은, 상기 후방 메인 유도관(72)과의 결합부위에서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에,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모선부 유도관(32) 및 제2모선부 유도관(42)은 각각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 및 중간 메인 유도관(73)의 상측 길이방향을 향해 소정각도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통 결합되고,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은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후방측 길이방향을 향해 소정각도 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통 결합되며,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은 상기 후방 메인 유도관(72)과의 연통 결합부위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더 수평연장되게 형성되고, 후방으로 수평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후단부에는 아크화염 충격 완충부(7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 내부에 발생된 아크화염을 소염배기장치로 신속하게 유도한 후, 소염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에 따른 2차 화재 피해 및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설치되던 가스절연개폐장치 외부 보호커버나 상부 스커드 등의 부가적인 안전설비들을 생략할 수 있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 공간,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가스절연개폐장치에 대한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및 상부 아크 캐노피를 나타내는 사진;
도 4은 종래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및 아크 배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에 있어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구비되는 다수의 방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방압판 중 소정 방압판의 파열에 의해 유입되는 아크 화염을 소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소염배기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차단기(10)와, 상기 차단기(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단로기(20) 및, 상기 제1단로기(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모선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소염배기장치(60)는,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소염배기부(61)와, 상기 차단기(10), 제1단로기(20) 및, 제1모선부(30)의 각 외함 일측에 구비되는 아크화염 배출구에 구비되는 방압판 및, 각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을 상기 소염배기부(61)로 유도 전달하는 각 유도관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소염배기장치(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하측에 구비되는 차단기 외함 후방에는 상기 차단기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가 통공되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와 연통되게 상기 차단이 외함 후방측에 결합되는 차단기 메인 유도관(12)의 타측은, 상측으로 수직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측에서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 및 차단기 메인 유도관(12) 사이에는 차단기 방압판(13)이 개재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를 밀폐시키며, 유사시 상기 차단기 외함 내부에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한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소정압력 이상일 경우 파열되면서 외부 즉, 상기 차단기 메인 유도관(12)을 통해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를 상기 소염배기부(61) 하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차단기(10) 상측에 구비되는 제1단로기 외함의 전방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로기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가 통공되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와 연통되게 상기 제1단로기 외함 전방에 결합되는 제1단로기 유도관(22)의 타측은 전방 메인 유도관(70)과 연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 및 제1단로기 유도관(22) 사이에는 제1단로기 방압판(23)이 개재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를 밀폐시키며, 유사시 상기 제1단로기 외함 내부에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한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소정압력 이상일 경우 파열되면서 외부 즉, 상기 제1단로기 유도관(22),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 수평 메인 유도관(71) 및, 후방 메인 유도관(72)을 통해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를 상기 소염배기부(61) 상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제1단로기(20) 상측에 구비되는 제1모선부 외함의 전방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선부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가 통공되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와 연통되게 상기 제1모선부 외함 전방에 결합되는 제1모선부 유도관(32)의 타측은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 및 제1모선부 유도관(32) 사이에는 제1모선부 방압판(33)이 개재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를 밀폐시키며, 유사시 상기 제1모선부 외함 내부에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한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소정압력 이상일 경우, 파열되면서 외부, 즉, 상기 제1모선부 유도관(32), 상기 메인 유도관, 수평 메인 유도관(71) 및, 후방 메인 유도관(72)을 통해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를 상기 소염배기부(61) 상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소염 배기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중앙에 내, 외부 통공되게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가 구비되고, 상측 중앙에는 내, 외부 통공되게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62)가 구비되며, 상부단은 막혀있고 하부단은 개방된 원통형의 아크화염 분산관(64)이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된 하부단이 상기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아크화염 분산관(64)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아크화염 분산공(65)이 형성되고,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측면에는 소염배기층(66)이 구비된다.
상기 제1단로기(20) 또는 제1모선부 외함 내부에서 발생 아크화염을 상기 소염배기부(61)로 유도 안내하는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의 하측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로기 유도관(22) 및 제1모선부 유도관(32)과 각각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측은,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전방측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 메인 연결관의 후방측은 후방 메인 유도관(72)의 상측과 통상의 엘보우 연결관 등을 통해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메인 유도관(72)의 하측은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62)와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차단기 메인 유도관(12)의 타측은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와 연통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소염배기장치(60)의 소염과정을 설명하면, 통상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경우, 상기 차단기 외함의 체적이 상기 제1단로기(20) 및 제2모선부 외함의 체적 보다 거의 두배 정도로 크게 형성되며, 체적이 큰 만큼 상기 차단기 외함 내부에 발생되는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의 폭발력도 제일 크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의 경우,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와 상기 소염배기부(61)를 독립적인 하나의 연결관인 상기 차단기 메인 유도관(12)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차단기 외함 내부에서 발생한 큰 폭발력의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를 빠르게 소염배기부(61)로 유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차단기 메인 유도관(12)을 통해 직접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와 연결되는 상기 소염배기부(61) 내부의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의 상측에는 상기 아크화염 분산관(64)이 구비되며, 상기 아크화염 분산관(64)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아크화염 분산공(65)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기 메인 유도관(12) 및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를 통해 유입된 큰 화력의 아크화염을 상기 다수의 아크화염 분산공(65)을 통해 작은 화력의 소화염으로 분산시켜 상기 소염배기층(66)으로 배출시키게 되며, 분산된 소화염은 상기 소염배기층(66)을 통해 효과적으로 소염되어 가스만이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소염배기층(66)에 대한 구성은 소염기능을 하는 금속재질의 메쉬층(68, 69) 및 단열재층(67)이 다수층으로 적층 구비되는 통상의 소염배기층(66)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기 외함 보다 그 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단로기(20) 및 제1모선부(30)의 경우, 작은 체적 만큼이나 폭발력 및 발생 아크화염도 상기 차단기(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상기 제1단로기(20) 및 제1모선부(30)를 각각 상기 소염배기부(61)에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을 통해 연통되게 형성한 후,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 및 후방 메인 유도관(72)을 거쳐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62)로 유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단로기(20) 및 제1모선부 외함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화염의 경우 그 크기가 작고,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 수평 메인 유도관(71) 및, 후방 메인 유도관(72)을 거쳐 갑자기 체적이 상기 유도관들에 비해 크게 확대되는 상기 소염배기부(61)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아크화염이 작은 화염들로 분산되며, 작은 관로의 상기 유도관에서 상기 소염배기부(61)의 넓은 내부 공간으로 유입 확산되면서 분산된 작은 화염들은 상기 소염배기층(66)을 통해 효과적으로 소염되어 가스만이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외부로 배출된다.
통상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로기(20) 및 제1모선부(30)의 각 후측에 제2단로기(50) 및 제2모선부(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에 있어서, 상기 소염배기장치(60)는, 상기 차단기(10) 상측 및 제1단로기(20)의 후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2단로기 외함의 후방에는 상기 제2단로기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가 통공되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와 연통되게 상기 제2단로기 외함 후방에 결합되는 제2단로기 유도관(52)의 타측은 중간 메인 유도관(73)과 연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 및 제2단로기 유도관(52) 사이에는 제2단로기 방압판(53)이 개재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를 밀폐시키며, 유사시 상기 제2단로기 외함 내부에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한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소정압력 이상일 경우 파열되면서 외부 즉, 상기 제2단로기 유도관(52),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 수평 메인 유도관(71) 및, 후방 메인 유도관(72)을 통해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를 상기 소염배기부(61) 상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차단기(10) 상측 및 제1모선부(30)의 후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2모선부 외함의 후방에는 상기 제2모선부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41)가 통공되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41)와 연통되게 상기 제2모선부 외함 후방에 결합되는 제2모선부 유도관(42)의 타측은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41) 및 제2모선부 유도관(42) 사이에는 제2모선부 방압판(43)이 개재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41)를 밀폐시키며, 유사시 상기 제2모선부 외함 내부에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한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소정압력 이상일 경우, 파열되면서 외부 즉, 상기 제2모선부 유도관(42),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 수평 메인 유도관(71) 및, 후방 메인 유도관(72)을 통해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를 상기 소염배기부(61) 상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하측에 상기 제2단로기 유도관(52) 및 제2모선부 유도관(42)과 각각 연통되게 구비되는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의 상측은, 상기 후방 메인 유도관(72)과의 결합부위에서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에 연통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단로기(50) 및 제2모선부(40) 역시, 상기 제1단로기(20) 및 제1모선부(30)와 동일하게, 상기 차단기 외함 보다 그 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 만큼이나 폭발력 및 발생 아크화염도 상기 차단기(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상기 제2단로기(50) 및 제2모선부(40)를 각각 상기 소염배기부(61)에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을 통해 연통되게 형성한 후,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 및 후방 메인 유도관(72)을 거쳐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62)로 유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단로기(50) 및 제2모선부 외함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화염의 경우 그 크기가 작고,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 수평 메인 유도관(71) 및, 후방 메인 유도관(72)을 거쳐 갑자기 체적이 상기 유도관들에 비해 크게 확대되는 상기 소염배기부(61)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아크화염이 작은 화염들로 분산되며, 작은 관로의 상기 유도관에서 상기 소염배기부(61)의 넓은 내부 공간으로 유입 확산되면서 분산된 작은 화염들은 상기 소염배기층(66)을 통해 효과적으로 소염되어 가스만이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외부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선부 유도관(32) 및 제2모선부 유도관(42)은 각각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 및 중간 메인 유도관(73)의 상측 길이방향을 향해 소정각도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통 결합되고,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은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후방측 길이방향을 향해 소정각도 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통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단로기 외함 또는 제2단로기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상기 제1모선부 방압판(33) 또는 제2모선부 방압판(43) 측으로 역류하지 않고 유도관을 따라 전진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을 따라 유동하는 제2단로기 외함 또는 제2모선부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상기 제1단로기 방압판(23) 또는 제1모선부 방압판(33) 측으로 역류하지 않고 유도관을 따라 상기 소염배기부(61) 측으로 전진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모선부 유도관(32)과 전방 메인 유도관(70)이 연통 결합되는 부위, 제2모선부 유도관(42)과 중간 메인 유도관(73)이 연통 결합되는 부위 및,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과 수평 메인 유도관(71)이 연통 결합되는 부위의 내부 관로에는 각각 역류 방지 리브(77)를 소정길이 연통 결합부위로 돌출되게 구비하여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의 역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을 상기 후방 메인 유도관(72)과의 연통 결합부위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더 수평연장되게 형성하고, 후방으로 수평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후단부에는 아크화염 충격 완충부(74)를 구비하여, 상기 제1단로기 외함 또는 제1모선부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 및 고압가스가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긴 길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속되어 증폭되는 아크고압가스의 폭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크화염 충격 완충부(74)의 일 실시예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 상기 소염배기층(66)과 동일하게 내, 외측 금속 메쉬층(68, 69) 및 상기 내, 외측 금속 메쉬층(68, 69)에 개재되는 단열재층(67)으로 형성되는 아크화염 충격완충층(7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화염 충격완충층(75)을 통과하면서 소염된 가스가 저장될 수 있도록 소정 체적의 가스 저장부(7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 내부에 발생된 아크화염을 소염배기장치(60)로 신속하게 유도한 후, 소염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에 따른 2차 화재 피해 및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아크화염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설치되던 가스절연개폐장치 외부 보호커버나 상부 스커드 등의 부가적인 안전설비들을 생략할 수 있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 공간,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가스절연개폐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의 경우 상기 외부 보호커버를 분해 및 재조립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를 보다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1 : 소음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10 : 차단기 11 :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
12 : 차단기 메인 유도관 13 : 차단기 방압판
20 : 제1단로기 21 :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
22 : 제1단로기 유도관 23 : 제1단로기 방압판
30 : 제1모선부 31 :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
32 : 제1모선부 유도관 33 : 제1모선부 방압판
40 : 제2모선부 41 :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
42 : 제2모선부 유도관 43 : 제2모선부 방압판
50 : 제2단로기 51 :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
52 : 제2단로기 유도관 53 : 제2단로기 방압판
60 : 소염배기장치 61 :소염배기부
62 :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 63 :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
64 : 아크화염 분산관 65 : 아크화염 분산공
66 : 소염배기층 67 : 단열재층
68 : 내측금속메쉬층 69 : 외측금속메쉬층
70 : 전방 메인 유도관 71 : 수평 메인 유도관
72 : 후방 메인 유도관 73 : 중간 메인 유도관
74 : 아크화염 충격 완충부 75 : 아크화염 충격완충층
76 : 가스 저장부 77 : 역류방지 리브

Claims (3)

  1.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구비되는 다수의 방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방압판 중 소정 방압판의 파열에 의해 유입되는 아크 화염을 소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소염배기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차단기(10)와, 상기 차단기(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단로기(20) 및, 상기 제1단로기(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모선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소염배기장치(60)는,
    상기 차단기 외함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
    일측은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측에서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차단기 메인 유도관(12);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 및 차단기 메인 유도관(1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 아크화염 배출구(1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차단기 방압판(13);

    상기 제1단로기 외함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
    일측은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전방 메인 유도관(70)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단로기 유도관(22);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 및 제1단로기 유도관(2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2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제1단로기 방압판(23);

    상기 제1모선부 외함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
    일측은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전방 메인 유도관(70)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모선부 유도관(32); 및,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 및 제1모선부 유도관(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제1모선부 방압판(33)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측 중앙에는 내외부 통공되게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가 형성되고, 상기 소염배기부(61) 상측 중앙에는 내외부 통공되게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62)가 형성되며, 상부단은 막혀있고 하부단은 개방된 원통형의 아크화염 분산관(64)이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된 하부단이 상기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아크화염 분산관(64)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아크화염 분산공(65)이 형성되고,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측면에는 소염배기층(66)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의 하측은 상기 제1단로기 유도관(22) 및 제1모선부 유도관(32)과 각각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측은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전방측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후방측은 후방 메인 유도관(72)의 상측과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메인 유도관(72)의 하측은 상기 소염배기부(61)의 상부 아크화염 유입구(62)와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차단기 메인 유도관(12)의 타측은 상기 소염배기부(61)의 하부 아크화염 유입구(63)와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제2단로기(50) 및 제2모선부(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단로기(20)는 상기 차단기(10)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모선부(30)는 상기 제1단로기(2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단로기(50)는 상기 차단기(10)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모선부(40)는 상기 제2단로기(5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소염배기장치(60)는,
    상기 제2단로기 외함의 타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
    일측은 상기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중간 메인 유도관(73)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단로기 유도관(52);
    상기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 및 제2단로기 유도관(5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단로기 아크화염 배출구(5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제2단로기 방압판(53);
    상기 제2모선부 외함의 타측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화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41);
    일측은 상기 제1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31)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중간 메인 유도관(73)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모선부 유도관(42); 및,
    상기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41) 및 제2모선부 유도관(4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모선부 아크화염 배출구(41)를 밀폐시키며 소정압력 이상에서 파열되는 제2모선부 방압판(43)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의 하측은 상기 제2단로기 유도관(52) 및 제2모선부 유도관(42)과 각각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측은, 상기 후방 메인 유도관(72)과의 결합부위에서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선부 유도관(32) 및 제2모선부 유도관(42)은 각각 상기 전방 메인 유도관(70) 및 중간 메인 유도관(73)의 상측 길이방향을 향해 소정각도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통 결합되고,
    상기 중간 메인 유도관(73)은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후방측 길이방향을 향해 소정각도 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통 결합되며,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은 상기 후방 메인 유도관(72)과의 연통 결합부위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더 수평연장되게 형성되고, 후방으로 수평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수평 메인 유도관(71)의 후단부에는 아크화염 충격 완충부(7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염배기장치(6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1).
KR1020190126383A 2019-10-11 2019-10-11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2095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383A KR102095369B1 (ko) 2019-10-11 2019-10-11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383A KR102095369B1 (ko) 2019-10-11 2019-10-11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369B1 true KR102095369B1 (ko) 2020-03-31

Family

ID=7000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383A KR102095369B1 (ko) 2019-10-11 2019-10-11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3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607A (ko) * 2021-06-08 2022-12-15 한국전력공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아크화염 소화장치
KR102602022B1 (ko) * 2023-06-15 2023-11-1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개별분리가 가능한 탱크를 구비하는 친환경 가스절연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007A (ja) * 1994-09-29 1996-04-16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の放圧装置
KR101336734B1 (ko) * 2013-08-08 2013-12-04 (주)은성엔지니어링 배치 및 연결구조 기법을 개선한 전면 보수 구조의 벽면 부착형 배전반
KR20190094694A (ko) 2018-02-05 2019-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007A (ja) * 1994-09-29 1996-04-16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の放圧装置
KR101336734B1 (ko) * 2013-08-08 2013-12-04 (주)은성엔지니어링 배치 및 연결구조 기법을 개선한 전면 보수 구조의 벽면 부착형 배전반
KR20190094694A (ko) 2018-02-05 2019-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607A (ko) * 2021-06-08 2022-12-15 한국전력공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아크화염 소화장치
KR102540141B1 (ko) * 2021-06-08 2023-06-07 한국전력공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아크화염 소화장치
KR102602022B1 (ko) * 2023-06-15 2023-11-1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개별분리가 가능한 탱크를 구비하는 친환경 가스절연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0387B2 (en) Passive arc protection for main breaker line side power conductors
US9966740B2 (en) Internal arc management and ventilation for electrical equipment
KR102095369B1 (ko)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CN108292830B (zh) 气体绝缘开关装置
US8369058B2 (en)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comprising a fault protection system, a method for fault protection in a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041098B1 (en) Method for treating internal arcs
CA2903721C (en) Passive arc protection for main breaker line side power conductors
CN110582818A (zh) 用于检测火灾并防止变压器爆炸的设备及其方法
US20110286165A1 (en) ARC Resistant Electrical Enclosure
KR102122585B1 (ko)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09206220A (ja) 油入変電機器の消火装置
KR20090059818A (ko) 가스차단기의 고온 가스 배출장치
NO332561B1 (no) Elektrisk koblingsutstyr for hoy- eller mellomspenning
AU2018204803A1 (en) Switchgear housing with arc capturing
KR101543224B1 (ko) 확장형 차단기 차단아크 확산방지장치
EP3570393B1 (en) Switchgear
KR20160001813A (ko) 가스절연 차단기
KR20130002471A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장치
KR102449100B1 (ko) 소화장치
KR102540141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아크화염 소화장치
KR102624477B1 (ko) 자체 화재 소화기능을 갖춘 제어함
CN107968348B (zh) 气体绝缘开关柜
CN207572836U (zh) 气体绝缘开关柜
WO2023239323A1 (en) Damping element used in medium and high voltage switching cells with metal housing for preventing or reducing explosion shock
JPH0921513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