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354B1 -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 - Google Patents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354B1
KR102095354B1 KR1020180046533A KR20180046533A KR102095354B1 KR 102095354 B1 KR102095354 B1 KR 102095354B1 KR 1020180046533 A KR1020180046533 A KR 1020180046533A KR 20180046533 A KR20180046533 A KR 20180046533A KR 102095354 B1 KR102095354 B1 KR 102095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nipple
screw nipple
surface near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968A (ko
Inventor
김민정
하세령
노아나
Original Assignee
(주) 마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마더케이 filed Critical (주) 마더케이
Priority to KR102018004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35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61J11/008Protect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8Protective covers for bottles
    • A61J9/085Lids for closing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를 구비한 베이스부;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 나사선과 결합 가능하게 배설된 나사홈과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를 구비한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상기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 나사선과 결합 가능하게 배설된 나사홈을 구비한 덮개통을 포함하는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200)에 관한 것으로, 이 보관케이스(200)는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스크류 젖꼭지를 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산모가 필요에 따라 보관케이스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Storage Cases for Teats and Screws thereof}
본 발명은 유아용 젖병의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를 동반하는 외출시에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평균 2~3회의 수유작업을 위생적으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사회 진출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서 과거에는 유아 수유가 모유에서 분유로 급속히 교체되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모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모유 수유가 크게 다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과거에는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한 젖병을 끓는 물에 1차로 살균 소독한 후 이를 다시 건조 시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해서 사용하였으므로, 이에 따른 많은 불편과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였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41913호(2001.10.15.)에는 통상 사용되는 유아용 젖병의 젖꼭지와 몸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비닐 팩의 형태로 만든 1회 용 유아용 젖병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 7,073,674 B2(2006. 7. 11.)에는 수유시에 젖병의 몸체 대용으로 사용하는 일회용 비닐백이 개시되어 있으며, 또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3-0002710호(2013.5.6.)에는 이 일회용 비닐백을 플라스틱 케이스에 결합해서 사용하는 젖병이 기재되고 있어, 이 고안에서는 수유가 종료된 후 일회용 비닐백만을 폐기해 버리고 나머지 플라스틱 케이스 등은 다시 보관하였다가 다음 수유 시에 사용함으로써 젖병 몸체의 살균 및 건조와 같은 번거로움을 크게 생략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고안에서의 일회용 젖병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출시에는 젖꼭지와 이 젖꼭지를 일회용 비닐백에 결합시키는 스크류의 살균 소독은 할 수가 없으므로 필히 살균 소독한 여유분의 젖꼭지와 스크류(이후 이 2개를 '스크류 젖꼭지'로 한다)를 별도로 휴대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이 휴대 하여야만 하는 스크류 젖꼭지가 여럿인 관계로 그 보관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또 사용한 후에는 오염된 스크류 젖꼭지를 새것과 분리해서 보관하기가 어려워서, 위생상으로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는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2015/0096916A1(2015. 4. 9.)과 등록특허 10-1714914호(2017. 3. 3.)가 있다.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2015/0096916A1 (2015. 4. 9.)는 사용전의 스크류 젖꼭지를 보관하기 위한 상부 원통형 관상체와 사용후의 스크류 젖꼭지를 보관하기 위한 하부 원통형 관상체를 포함하며, 이 상부 원통형 관상체와 하부 원통형 관상체를 구분하는 내수성 분리막이 관상체 내벽을 따라 임의로 상하 이동하는 투시 가능한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부 원통형 관상체 내에 보관되어 있는 스크류 젖꼭지를 차례로 꺼내어 사용하고, 사용한 스크류 젖꼭지는 순차적으로 하부 원통형 관상체 내에 추가해서 보관하는 스크류 젖꼭지 보관함을 기재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상부 원통형 관상체와 하부 원통형 관상체 사이에 관상체 내벽을 따라 임의로 상하 이동하는 내수성 분리막을 사용함으로써 분리막이 고정된 스크류 젖꼭지 보관함에 비하여 공간 활용도는 개선되었으나, 수유작업시에 사용한 젖꼭지를 젖병에서 분리해서 보관케이스에 보관하는 작업과 사용전의 젖꼭지를 보관케이스에서 꺼내서 젖병에 결합하는 작업이 번잡하고, 또 관상체 내벽을 따라 이동하는 내수성 분리막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오염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등록특허 10-1714914호(2017. 3. 3.)는 사용후의 스크류 젖꼭지들, 이 위에 적층시킨 사용전의 스크류 젖꼭지들, 이들 젖꼭지 스크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사용후의 스크류 젖꼭지들과 사용전의 스크류 젖꼭지들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중간 캡, 상기 사용전의 스크류 젖꼭지들 최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캡, 및 상기 사용후의 스크류 젖꼭지들 최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캡을 포함하는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를 기재하고 있다.
이 발명은 사용후의 스크류 젖꼭지들과 사용전의 스크류 젖꼭지들만을 나사형식으로 결합해서 보관하는 것이므로, 보관공간 활용도 면에서는 아주 우수하지만, 스크류 젖꼭지들, 상부캡 및 하부캡이 나사 형태로 결합하고 있어, 사용한 젖꼭지의 분리,보관 작업과, 사용전의 젖꼭지를 보관케이스로부터 꺼내서 젖병에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번잡해서 실용상에 문제가 있다.
2001년 10월 15일에 공고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41913호(고안자 김용호) 2006년 7월 11일에 특허된 미국특허 7,073,674 B2(발명자 Rosemary F. Knuth 등) 2013년 5월 6일에 공개된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3-0002710호(고안자 김민정) 2015년 4월 9일에 공개된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2015/0096916A1(발명자 Eric Peter Marseglia) 2017년 3월 3일에 특허된 등록특허공보 10-1714914호(발명자 이이화)
본 발명의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는 유아를 동반하는 외출시에 통상 휴대하게 되는 살균 소독한 여유분의 스크류 젖꼭지를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는 외출시에 그 크기를 임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고, 또 사용한 스크류 젖꼭지의 교체 작업단계를 크게 단축시킴으로써 기존의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본 발명은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를 구비한 베이스부;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 나사선과 결합 가능하게 배설된 나사홈과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를 구비한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상기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 나사선과 결합 가능하게 배설된 나사홈을 구비한 덮개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를 과제 해결의 수단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는 사용전의 스크류 젖꼭지와 사용후의 스크류 젖꼭지를 안전하게 분리 보관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젖병의 스크류 젖꼭지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특히 외출시간에 따라 산모가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회용 비닐백을 사용하는 젖병의 분해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동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22)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21) 및 지지턱(24)을 구비한 베이스부(20)와,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22)과 결합 가능하게 배설된 나사홈(33)과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32)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31)를 구비한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과,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32)과 결합 가능하게 배설된 나사홈(43)을 구비한 덮개통(40)을 포함하는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는 사용전의 스크류 젖꼭지와 사용후의 스크류 젖꼭지를 안전하게 분리 보관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스크류 젖꼭지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특히 산모가 외출 시간에 따라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는 특징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회용 비닐백을 사용하는 젖병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공지의 일회용 젖병(100)은 크게 일회용 비닐백(11)과 젖병 본체(12)와 스크류(13)와 젖꼭지(14)와 젖병뚜껑(15)으로 구성된다.
일회용 비닐백(11)은 개방된 상단부 외측으로 신장해서 구비되어 젖병 본체(12) 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날개부(11d, 11e)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회용 비닐백(11)을 젖병 본체(12)의 개방된 하부삽입구(12b)를 통해 상부 개구부 위까지 삽입 관통한 후, 날개부(11d, 11e)를 양방향 외측으로 펼쳐서 이를 젖병 본체(12)의 숫나사홈(12c)에 씌운다. 이어, 유아에 수유하고자 하는 우유 또는 모유를 일회용 비닐백(11) 안에 넣고, 젖꼭지(14)가 결합된 스크류(13) 안쪽에 배설된 암나사홈(13a; 도시되지 않음)을 젖병 본체(12)의 숫나사홈(12c)와 결합하고, 젖병을 거꾸로 세워 흔들어서 젖꼭지 구멍(14a)이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한 연후에 유아수유를 한다.
유아수유가 종료하면, 역으로 스크류(13)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열고, 일회용 비닐백(11)을 분리하여 버린 후에 스크류(13)를 다시 젖병 본체(12)에 결합하고, 젖병뚜껑(15)을 닫아 다음 사용시까지 보관한다.
젖꼭지(14)는 매 사용 후에 살균 소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회용 젖병(100)의 나머지 구성품, 즉 젖병본체(12)와 스크류(13)와 젖병뚜껑(15)의 살균소독 회수는 크게 줄일 수가 있다.
도 1 에서 설명한 공지된 일회용 젖병을 한번 사용하면, 스크류(13)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열고, 일회용 비닐백(11)을 분리하여 버린 후에 스크류(13)를 다시 젖병 본체(12)에 결합하고, 젖병뚜껑(15)을 닫아 다음 사용시까지 보관하게 된다.
다음번 사용시에는 일회용 비닐백(11)은 새것을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품들 중에서 젖병 본체(12)와 젖병뚜껑(15)은 모유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매번 살균 소독을 필요로 하는 부분은 아니나, 모유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스크류(13)와 젖꼭지(14)를 다시 사용하는 것은 위생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사정이 이와 같으므로, 유아를 동반하는 외출시에는, 살균소독하여 건조한 스크류(13)와 젖꼭지(14)(이후 '스크류 젖꼭지'로 한다)를 통상적으로 2~3개, 경우에 따라서는 6~7개를 소지하게 되는데 그 개수가 많아서 효율적으로 소지하는데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는 사용한 스크류 젖꼭지를 새것과 분리해서 보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의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따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또 도 3은 동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200)는 크게 베이스부(20)와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과 덮개통(4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부(20)의 상단 모서리 부근에는 외면을 따라 나사선(22)이 배설되어 있으며, 그 상단 면에는 스크류(13)와 젖꼭지(14)를 고정시키는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21)와 지지턱(24)이 배설된다.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의 하단 모서리 부근에는 내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20)의 나사선(22)과 결합할 수 있는 나사홈(33)이 배설되고, 그 상단 모서리 부근에는 외면을 따라 나사선(32)이 배설되며,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의 상단에는 스크류(13)와 젖꼭지(14)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31)가 배설된다.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31)의 형상은 반구형, 젖꼭지형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젖꼭지형이 바람직하다. 반구형의 경우에는 그 둘레를 따라 스크류 젖꼭지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홈을 배설할 수 있다.
덮개통(40)은 그 하단 모서리 부근에서 내면을 따라 상기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의 나사선(32)과 결합 가능하게 나사홈(43)이 배설된다.
도 2의 스크류젖꼭지 보관케이스(200)에서, 나사선(22)과 나사홈(33)을 분리해서 살균 소독한 스크류 젖꼭지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21)위에 고정한 후에 다시 나사선(22)과 나사홈(33)을 결합하고, 이어 나사선(32)과 나사홈(43)을 분리한 후, 살균 소독한 스크류 젖꼭지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31)위에 올려놓고 나사선(32)과 나사홈(43)을 다시 결합함으로써 살균 소독한 스크류 젖꼭지를 보관케이스(200)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 외출 중 유아에게 다시 수유할 때에는 (1) 사용한 스크류 젖꼭지를 젖병에서 분리하는 단계, (2) 나사선(22)/나사홈(33) 또는 나사선(32)/나사홈(43)의 결합을 해체하는 단계, (3) 살균 소독한 스크류 젖꼭지를 꺼내서 수유할 젖병에 결합하는 단계, (4) 사용한 후 젖병에서 분리한 스크류 젖꼭지를 젖꼭지 지지대(21) 또는 젖꼭지 지지대(31)위에 올려놓는 단계와 (5) 나사선(22)/나사홈(33) 또는 나사선(32)/나사홈(43)을 다시 결합하는 간편한 단계를 거침으로써, 위생적으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스크류 젖꼭지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스크류 젖꼭지 보관 케이스는 산모가 외출시간에 따라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다.
본 발명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200)는 선행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2015/0096916A1(2015년 4월 9일) 발명과 비교하여, 위생적으로 보다 안전할 뿐만 아니라, 스크류 젖꼭지를 보다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산모가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는 탁월한 장점이 있으며, 또 등록특허공보 10-1714914호(2017년 3월 3일) 발명과 비교해서는 스크류 젖꼭지의 교환 단계가 크게 단축되었다.
본 발명은 스크류 젖꼭지를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사용전의 스크류 젖꼭지와 사용후의 스크류 젖꼭지를 분리해서 보관해야만 한다는 종래의 통상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개념을 출발점으로 하여 창출된 것이다. 또,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의 재질로 투명한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보관중인 스크류 젖꼭지의 상태를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 스크류 젖꼭지의 사용 및 보관 절차를 크게 간소화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300)의 단면도이다.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300)는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200)에서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과 상기 덮개통(40) 사이에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을 1개 내지 5개 추가하여 결합한 것으로, 추가하는 하는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의 수는 산모가 필요에 따라 임의 조절할 수가 있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300)에 스크류 젖꼭지들을 적재한 사용 상태도이다.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과 덮개통(40)의 형상은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 원통형의 외벽을 사각기둥, 육각기둥, 파지가 용이한 막대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킬 수있으며, 외형을 변형시켜 전체적 미감을 높일 수도 있다.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과 덮개통(40)의 재질은 플라스틱, 유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스틸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가볍고 또 스크류 젖꼭지의 보관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명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불투명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위에 보관중인 스크류 젖꼭지의 사용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를 추가해서 설치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는 나사선(22)/나사홈(33) 또는 나사선(32)/나사홈(43)의 결합/분리 방식을 나사결합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방식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덮개의 외측면을 보관통의 내측면에 끼워 맞추는 플라스틱통의 결합방식 등, 기존의 공지된 결합방식을 포함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변형이 가능하다.
100 일회용 비닐백을 사용하는 공지의 젖병,
11 일회용 비닐백, 12: 젖병본체, 13 스크류, 14 젖꼭지, 15 젖병뚜껑, 11d, 11e 날개부, 12a 몸체부, 12b 하부삽입부, 12c 숫나사홈, 13a 암나사홈, 14a 젖꼭지구멍
200, 300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
20 베이스부, 30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 40 덮개통,
21, 31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 22, 32 나사선, 33, 43 나사홈
24 지지턱.

Claims (4)

  1.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22)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21) 및 지지턱(24)을 구비한 베이스부(20)와,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22)과 결합 가능하게 배설된 나사홈(33)과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32)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31)를 구비한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과,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32)과 결합 가능하게 배설된 나사홈(43)을 구비한 덮개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200).
  2.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22)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21) 및 지지턱(24)을 구비한 베이스부(20)와,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22)과 결합 가능하게 배설된 나사홈(33)과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32)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31)를 구비한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과,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 위쪽으로 나사선(32)과 나사홈(33)의 결합으로 순차적으로 추가되는 1개 내지 5개의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과
    추가되는 마지막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의 나사선(32)과 결합 가능하게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홈(43)을 구비한 덮개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300).
  3. 하단 모서리 부근 내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홈(33)과 상단 모서리 부근 외면을 따라 배설된 나사선(32)과 스크류 젖꼭지 지지대(31)를 구비한 스크류 젖꼭지 보관통(30).

  4. 삭제
KR1020180046533A 2018-04-23 2018-04-23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 KR102095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33A KR102095354B1 (ko) 2018-04-23 2018-04-23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33A KR102095354B1 (ko) 2018-04-23 2018-04-23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968A KR20190122968A (ko) 2019-10-31
KR102095354B1 true KR102095354B1 (ko) 2020-04-01

Family

ID=6842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533A KR102095354B1 (ko) 2018-04-23 2018-04-23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3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429Y1 (ko) * 2003-01-27 2003-05-12 김동민 유아용 젖꼭지 휴대 용기
KR200415613Y1 (ko) * 2006-02-23 2006-05-04 안종덕 다단 적층형 다용도 보관용기
KR101714914B1 (ko) * 2015-11-06 2017-03-22 이이화 적층형 젖꼭지 세트, 및 그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9446B4 (de) 2000-10-06 2004-04-01 Sig Kautex Gmbh & Co. Kg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ohlkörperförmigen Artikel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urch Saugblasen
KR20130002710U (ko) 2013-04-16 2013-05-06 김민정 결합 날개부를 구비한 모유저장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429Y1 (ko) * 2003-01-27 2003-05-12 김동민 유아용 젖꼭지 휴대 용기
KR200415613Y1 (ko) * 2006-02-23 2006-05-04 안종덕 다단 적층형 다용도 보관용기
KR101714914B1 (ko) * 2015-11-06 2017-03-22 이이화 적층형 젖꼭지 세트, 및 그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968A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9891A (en) Nursing bottle
US3116152A (en) Baby food container and spoon combined
US5687861A (en) Squeezeable baby bottle
EP2709919B1 (en) Disposable baby bottle kit
US3289874A (en) Nursing container
KR102095354B1 (ko) 스크류 젖꼭지 보관케이스
ES2325231T3 (es) Envase desechable para bebidas.
WO2017197461A1 (en) Baby bottle assembly
EP0345694A2 (en) Nursing bottles
WO2021181713A1 (ja) 直付け構造を有する乳首
KR100806760B1 (ko) 분리형 젖병
US5193239A (en) Baby food bottle tool
US20110278303A1 (en) Food or drink container
KR200478743Y1 (ko) 휴대용 이유식 용기
KR101823641B1 (ko)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ES2700374T3 (es) Contenedor con parte superior de una pieza
JP6839435B2 (ja) ボトル装着型定量コップ
KR200259683Y1 (ko) 휴대용 젖병
CN208470512U (zh) 瓶盖附带汤匙组成结构
KR102472331B1 (ko) 기능성 젖병
CN213157881U (zh) 一种防止灭菌中变形的奶瓶
CN202843288U (zh) 一种套接式消毒暖奶器
CN105836273B (zh) 便携软包装容器
CN201308638Y (zh) 一次性安全卫生哺乳杯
BR202020000360U2 (pt) Disposição construtiva em recipiente bi-parti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