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107B1 - Apparatus for cleaning fine dus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eaning fin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107B1
KR102095107B1 KR1020180058162A KR20180058162A KR102095107B1 KR 102095107 B1 KR102095107 B1 KR 102095107B1 KR 1020180058162 A KR1020180058162 A KR 1020180058162A KR 20180058162 A KR20180058162 A KR 20180058162A KR 102095107 B1 KR102095107 B1 KR 102095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ne dust
air
unit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3357A (en
Inventor
김기현
신인희
송우섭
정홍열
박형주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58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107B1/en
Publication of KR20190133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3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1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팬 구동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의 전측에 설치되고, 급수영역에 수용된 물을 수분입자로 무화(霧化)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무화부; 상기 수분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공기의 이동방향 전측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된 공기로부터 수분입자를 회수하여 드레인영역으로 배출하는 물 회수부; 및 상기 물 회수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분입자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물 분자에 흡착시켜 제거함으로써, 미세먼지 제거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없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device that easily mixes fine dust in the air with water molecules and increases the adsorption rat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to remove fine dust in the ai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etachably installed housings; A fan driving unit that introduces external air into the housing; An atomization uni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moves, atomized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region into water particles, and mixed with the introduced air; A water recovery uni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ir in which the water particles and air are mixed, and recovering water particles from the mixed air and discharging them into a drain region; And an air discharge unit installed inside the water recovery unit to discharge air from which water particles have been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simply without a filter for removing the fine dust removal by adsorbing and removing the fine dust in the air.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장치{APPARATUS FOR CLEANING FINE DUST}Fine dust removal device {APPARATUS FOR CLEANING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nd more specifically, it is easy to mix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in the air, and increases the adsorption rat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to remove fine dust in the air. It relates to a dust removal device.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건축물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실내에서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the air purifying device allows a comfortable life indoors by removing various pollutants contained in the air while circulating the indoor air of the building.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빈번히 발생하는 황사현상과 자동차 배기가스, 공사장의 비산먼지 등에 의한 대기오염 인자들, 거주공간과 생산시설현장의 공기 중 오염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may include air pollution factors caused by frequent yellow dust, automobile exhaust, and scattering dust at construction sites, and air pollutants in residential spaces and production facilities.

이러한 실내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는 건식 공기정화장치와 습식 공기정화장치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urifying indoor air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a dry air purifying device and a wet air purifying device.

건식방법은 필터를 이용한 방식으로서, 미세입자로 이루어진 먼지를 필터에서 포집하여 정화하는 방식이다.The dry method is a method using a filter, and is a method of collecting and purifying dust composed of fine particles from a filter.

그러나 필터방식은 먼지를 완전하게 포집하여 정화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분진이 함유된 기체가 유인되면 필터 표면에 누적되어 필터 막힘으로 인한 집진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ilter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dust cannot be completely collected and purified, and when dust-containing gas is attracted, it accumulates on the filter surface, and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due to clogging of the filter is rapidly reduced.

또한, 필터방식은 정기적인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가 필요하고, 폐기된 필터로 인하여 2차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thod requires maintenance according to regular replacem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occurs due to the discarded filter.

또한, 다른 건식방법으로 광촉매, 전기 집진, 플라즈마를 포함한 기체정화장치도 있으나, 기체정화효율이 낮으며, 음이온 발생장치는 인체에 유해한 오존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are other gas purification devices including photocatalyst,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plasma as dry methods, but the gas purification efficiency is low, and the anion generator has a problem of generating ozone harmful to the human body.

한편, 습식 공기정화장치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06088호(발명의 명칭: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체 내 상부에 물통이 형성된 물 공급구와; 상기 물 공급구 외부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한 공기 유도 안내구와; 상기 공기 유도 안내구 하방의 본체 내부에 공기 공급통로를 갖는 이물질 물통부와; 상기 이물질 물통부 하방의 본체 내부 내부에 설치한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wet air purifying devic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006088 (invention name: air purifier using water), a water supply port having a water tank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 air guiding guid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supply hole; A foreign material bucket portion having an air supply passage inside the main body under the air induction gu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ower fan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bucket.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이물질 및 미세먼지를 혼합한 공기가 물방울과 혼합되어 이물질 물통부 내부의 물속으로 낙하하여 여과되도록 이루어진다.The air purifier is configured such that air mixed with foreign matter and fine dust mixes with water droplets and falls into the water inside the water container portion to be filtered.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인입되는 공기를 공기 유도 안내구를 통해 본체로 이동시키고, 본체 내에서도 공기의 이동경로를 급격하게 변경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과 함께 이물질 물통부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공기와 혼합되도록 구성되어 물방울을 이용한 여과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nfigured to move the incoming air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air induction guide, and change the movement path of the air rapidly within the main body, so that the air flow is not smoo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ter droplets generated in the foreign material bucket portion are mixed with the air, so that the filtration function using the water droplets cannot be sufficiently performed.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27101호(발명의 명칭: 원심회전력을 이용한 싸이클론 타입의 가습기 겸용 습식 공기 정화장치)에는 공기중의 오염 물질을 유선형상의 공기 유도 하우징에서 초음파 진동자로 수납된 물을 미세 수분 입자로 전환하여 세척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27101 (Invention name: Cyclone type humidifier combined with wet air purifier using centrifugal rotation) stores contaminants in the air as ultrasonic vibrators in a streamlined air induction housing.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using a method of converting and washing the converted water into fine water particles.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는 별도의 유입구를 통해 송풍팬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초음파 진동자에서 발생된 미세수분입자가 각각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공기와 미세수분입자는 외통체로 혼합되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경로의 급격한 변경으로 인해 미세수분입자가 물방울로 맺혀 낙수(落水)되어 미세수분입자와 공기간에 혼합되는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fan and the fine moisture particles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vibrator are respectively supplied through separate inlets, and the supplied air and fine moisture particles are moved to be mixed into an outer cylinder. In the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portion of the fine moisture particles mixed with the air is remarkably reduced due to the rapid change of the movement path, causing the fine moisture particles to fall into water droplets.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 정화장치는 물방울 또는 미세 수분입자가 미세먼지와 접촉하여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수분입자와 미세먼지가 접촉하는 영역의 오염시 내부를 청소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or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water droplets or fine water particles can be mixed by contact with the fine dust, and thus cannot be sufficiently removed, and contamination of the area where the water particles and the fine dust contact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interior of the city.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 정화장치는 물방울 또는 미세 수분입자가 미세먼지와 접촉하여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혼합영역을 추가 및 확장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한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 정화장치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or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nd expanding a mixing region to expand a space in which water droplets or fine moisture particles can be mixed by contact with fine dust, but the air purifier 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air purifier needs to be increased.

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06088호(발명의 명칭: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Literature 1.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06088 (Invention name: air purifier using water) 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27101호(발명의 명칭: 원심회전력을 이용한 싸이클론 타입의 가습기 겸용 습식 공기 정화장치)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27101 (Invention name: Cyclone-type humidifier combined wet air purifier using centrifugal rotating pow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ne dust removal device for easily mixing of fine dust in the air with water molecules, and increasing the adsorption rat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to remove fine dust in the air. It is aimed a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팬 구동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방향 측에 설치되고, 급수영역에 수용된 물을 수분입자로 무화(霧化)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무화부; 상기 수분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공기의 이동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된 공기로부터 수분입자를 회수하여 드레인영역으로 배출하는 물 회수부; 및 상기 물 회수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분입자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etachably installed housings; A fan driving unit that introduces external air into the housing; An atomization unit installed on a side of a moving direction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nd atomiz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region with moisture particles to mix with the introduced air; A water recovery unit install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air in which the water particles and air are mixed, and recovering water particles from the mixed air and discharging them into a drain region; And an air discharge unit installed inside the water recovery unit to discharge air from which water particles have been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드레인영역으로 배출된 낙수을 정화하는 광촉매부; 및 상기 광촉매부로 일정 파장범위의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부에서 정화된 낙수는 상기 급수영역으로 순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hotocatalyst unit for purifying the water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And a light source unit outputting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wavelength range to the photocatalyst unit, wherein the purified water from the photocatalyst unit is circulated to the water supply reg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드레인영역으로 떨어진 낙수가 급수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저면에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falling water to the drain region moves to the water supply reg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물통에서 급수영역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pipe installed in the housing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water supply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영역으로 배출된 낙수를 수납하는 드레인팬; 및 상기 드레인팬의 수위를 검출하는 드레인팬 수위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 drain pan for receiving the drainage water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ain pan water level detect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drain p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부; 상기 급수영역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 및 상기 급수영역에 수용된 물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 water level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water level in the water supply area;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llu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reg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팬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유입구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n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either the air inlet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or the air outlet for discharging external air from the interior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화부는 초음파 진동자 또는 임의의 크기를 갖는 수분입자로 분사하는 노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tomiz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either an ultrasonic vibrator or a nozzle spraying water particles having an arbitrary siz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물 회수부는 혼합된 공기에서 수분입자가 분리되도록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발생하는 싸이클론 생성부; 및 상기 싸이클론 생성부로 혼합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혼합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clon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centrifugal force by rotation so that the water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mixed ai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xed air inlet for guiding the mixed air to flow into the cyclone generat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물 회수부는 미세먼지가 흡착된 수분입자가 충돌하여 물방울에 의한 낙수를 형성하도록 스펀지 또는 다공성 필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로 상기 미세먼지를 흡착한 수분입자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혼합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unit made of any one of a sponge or a porous filter so that the water particles adsorbed by fine dust collide with each other to form a falling water by water droplets;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xed air inlet for guiding the water particles adsorbing the fine dust to the filter unit to flow.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 배출부는 수분입자가 분리된 공기를 유입하는 말단부에 분리된 수분입자가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sh portion to prevent the re-inflow of the separated water particles in the distal end of the water particles are separated 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물 회수부의 내부면과 공기 배출부의 외부면은 수분입자가 표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수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covery uni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water-repellent coating layer to prevent moisture particles from being adsorbed on the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분입자와 미세먼지의 혼합 및 흡착 시간이 증가되도록 상기 무화부와 물 회수부 사이가 분리되고, 상기 무화부와 물 회수부 사이에 일정 길이 연장된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확장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separated between the atomization part and the water recovery part so that the mixing and adsorption time of the water particles and fine dust is increased, and the constant between the atomization part and the water recovery pa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th extension tube forming a length-long pat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드레인영역으로 떨어진 낙수가 급수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연결하는 유로 확장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low path expansion pipe connecting the falling water to the drain region to move to the water supply reg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로 확장관 및 유로 확장관은 상기 무화부와 물 회수부 사이에 탈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무화부와 물 회수부 사이에 확장 가능한 형상의 관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th expansion pipe and the flow path expans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ached between the atomization unit and the water recovery unit,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ipeline having an expandable shape between the atomization unit and the water recovery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영역으로 배출된 낙수를 수납하는 드레인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ain pan for receiving the drainage water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본 발명은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물 분자에 흡착시켜 제거함으로써, 미세먼지 제거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없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simply without a filter for removing the fine dust removal by adsorbing and removing the fine dust in the air.

또한, 본 발명은 팬 구동부와 무화부와 물 회수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혼합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fan driving unit, atomization unit, and water recovery unit to facilitate mixing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in the air, and to ensure that the flow of mixed air flows smooth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adsorption rate.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팬 구동부의 낮은 RPM에서도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remove the fine dust even at a low RPM of the fan drive by smoothing the flow of the introduced ai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7;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group", "‥ modul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can be divided into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제1 실시예)(First Examp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는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하우징(110, 120)과, 팬 구동부(130)와,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와, 공기 배출부(160)와, 광촉매부(170)와, 광원부(180)와, 입력부(190)와,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made of a mixtur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in the air, increases the adsorption rat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And a plurality of housings 110 and 120, a fan driving unit 130, an atomization unit 140, a water recovery unit 150, and an air discharge unit 160 to remove fine dust in the air. , A photocatalyst unit 170, a light source unit 180, an input unit 190, and a control unit 200.

상기 복수의 하우징(110, 120)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1)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공기 배출부(160)가 안착되도록 관통공(112)이 설치된다.The plurality of housings 110 and 120 are formed of a detachable first housing 110 and a second housing 120, and the first housing 110 has an air inlet 1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at one side. ) Is installed, the through-hole 112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air outlet 160 is seated.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무화된 수분입자가 혼합되는 영역과 물 회수부(150)가 설치되는 영역이 구획되도록 격벽(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rtition wall 113 to partition the area where the air and atomized moisture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re mixed and the area where the water recovery unit 150 is installed.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격벽(121)을 통해 물(300)이 수납되는 급수영역(122)과 낙수(300b)가 수납되는 드레인영역(123)으로 구획된다.The second housing 12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the water supply region 122 through which the water 300 is accommodat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121 and the drain region 123 through which the falling water 300b is stored. ).

또한, 상기 하우징(120)은 드레인영역(123)으로 떨어진 낙수(300b)가 급수영역(122)으로 이동하도록 저면에 경사면(123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12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123a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falling water 300b falling to the drain area 123 moves to the water supply area 122.

상기 팬 구동부(130)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1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fan driv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to be external through the air inlet 111. Allow air to enter.

상기 무화부(140)는 급수영역(122)에 수용된 물(300)을 수분입자로 무화(霧化)하여 상기 팬 구동부(13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와 혼합시켜 혼합공기(300a)를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물(300)을 수분입자로 쪼개는 초음파 진동자 또는 상기 물(300)을 임의의 크기를 갖는 수분입자로 분사하는 노즐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진다.The atomization unit 140 atomizes the water 300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region 122 with moisture particles, and mixes it with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fan driving unit 130 to generate mixed air 300a. As a configuration, it consists of an ultrasonic vibrator that splits the water 300 into water particles or a nozzle that sprays the water 300 into water particles having an arbitrary size, and preferably consists of an ultrasonic vibrator.

또한, 상기 무화부(140)는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무화된 수분입자의 혼합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유입된 공기의 이동방향 측에 설치되어 무화된 수분입자가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오염물질들과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tomization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troduced air so that mixing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nd atomized moisture particles can occur well. As the moisture particles move together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ir, they can be adsorbed by fine dust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상기 물 회수부(150)는 수분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공기의 이동방향 측 말단부, 즉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의 드레인영역(123)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된 공기로부터 수분입자를 회수하여 상기 드레인영역(123)으로 배출하는 구성으로서, 싸이클론 생성부(151)와, 혼합공기 유입구(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ter recovery unit 150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portion 123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i.e., the water particles from the mixed air. As a configuration for recovering and discharging it to the drain region 123, it includes a cyclone generating unit 151 and a mixed air inlet 152.

즉 상기 물 회수부(150)는 팬 구동부(1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배치되어 팬 구동부(130)의 작은 RPM에도 충분한 싸이클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water recovery unit 150 is arranged such that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fan driving unit 130 is maintained smoothly so that a sufficient cyclone can be formed even at a small RPM of the fan driving unit 130.

상기 싸이클론 생성부(151)는 혼합공기 유입구(152)로 유입되는 혼합된 공기에서 수분입자가 분리되도록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발생하는 구성으로서, 하부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또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cyclone generating unit 151 is configured to generate centrifugal force by rotation so that water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mixed air flowing into the mixed air inlet 152, and has a tapered shape (or conical shape) that narrows downward. Is done.

즉 싸이클론 생성부(151)는 혼합공기(300a)에서 미세먼지 또는 오염물질 등이 흡착된 수분입자를 분리하여 정화된 공기가 생성될 수 있도록 유입된 혼합공기(300a)가 회오리를 형성함으로써, 무거운 수분입자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수분입자는 하부로 이동하여 드레인영역(123)으로 낙수(300b)되도록 한다.That is, the cyclone generating unit 151 separates the moisture particles adsorbed by fine dust or contaminants from the mixed air 300a, and the mixed air 300a introduced to form a whirlwind so that purified air can be generated. The heavy water particles ar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the separated water particles move to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water falls 300b to the drain region 123.

또한, 상기 싸이클론 생성부(151)의 내부면은 수분입자가 표면에 흡착되지 않고 발수되도록 발수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repellent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clone generation unit 151 so that water particles are not adsorbed on the surface but are repelled.

상기 혼합공기 유입구(152)는 싸이클론 생성부(151)의 일측에 설치되어 혼합공기(300a)가 상기 싸이클론 생성부(151)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The mixed air inlet 15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yclone generating unit 151 to guide the mixed air 300a to flow into the cyclone generating unit 151.

상기 공기 배출부(160)는 물 회수부(15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물 회수부(150)에서 수분입자가 제거된 공기를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를 덮는 덮개부(161)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공(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ir discharge unit 160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recovery unit 150 so that air from which water particles are removed from the water recovery unit 1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s a configuration,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n open tapered shape, and includes a cover portion 161 covering the upper portion and an air outlet hole 162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또한, 상기 공기 배출부(160)는 물 회수부(150)에서 수분입자가 분리된 공기를 유입하는 말단부에 분리된 수분입자가 상기 공기 배출부(1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160a)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unit 160 is a mesh unit 160a that prevents the water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water recovery unit 150 from flowing into the air discharge unit 160 from the separated water particles at the distal end. ) May be formed.

상기 광촉매부(170)는 제2 하우징(120)의 격벽(121)에 설치되어 드레인영역(123)으로 배출된 낙수(300b)에 포함된 미세먼지, 오염물질 등이 산화, 분해되도록 정화하여 급수영역(12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The photocatalytic unit 170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121 of the second housing 120 to purify the fine dust, pollutants, etc. contained in the falling water 300b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123 to be oxidized and decomposed to supply water To be supplied to the region 122.

상기 광원부(180)는 상기 광촉매부(170)로 일정 파장범위의 빛을 출력하여 상기 광촉매부(170)가 동작되도록 하고,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출력한다.The light source unit 180 outputs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range to the photocatalyst unit 170 so that the photocatalyst unit 170 operates, and outputs ultraviolet light and visible light.

상기 입력부(190)는 사용자로부터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의 온/오프 동작신호, 팬 구동부(130)의 풍량 제어신호 등을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버튼 스위치,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진다.The input unit 190 is configured to detect an on / off operation signal of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100 and an air volume control signal of the fan driving unit 130 from a user, and is composed of input means such as a button switch and a keyp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는 급수영역(122)에 수용된 물(300)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191)와, 상기 급수영역(122)에 수용된 물(300)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 검출부(19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191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300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area 122, and the water 300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area 122.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ollution detection unit 192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상기 제어부(200)는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입력부(190)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동작 신호에 따라 팬 구동부(130)와, 무화부(140)로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200 is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100, when a user's opera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90, the fan driv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signal,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atomization unit 140.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수위 검출부(191)에서 검출한 수위를 이용하여 급수영역(122)의 물(300)이 부족으로 판단되면, 팬 구동부(130)와 무화부(140)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고, 물 부족 등을 표시부(미도시) 등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300 in the water supply area 122 is insufficient by using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91, the control unit 200 operates the fan driving unit 130 and the atomization unit 140. It is controlled to end, and the water shortage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not shown).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오염 검출부(192)에서 검출한 신호를 이용하여 급수영역(300)의 물 오염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면, 팬 구동부(130)와 무화부(140)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고, 물 부족 등을 표시부(미도시) 등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analyzes the degree of water contamination of the water supply region 300 by us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pollution detection unit 192,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nalysis result is more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fan driving unit 130 And the operation of the atomization unit 140 is terminated, and a water shortage, etc.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not shown).

따라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물 분자에 흡착시켜 제거함으로써, 미세먼지 제거를 제거하기 위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팬 구동부와 무화부와 물 회수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혼합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removing the fine dust in the air by adsorbing it to the water molecules, it can be easily used to remove the fine dust, and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fan driving part, atomization part, and water recovery part to improve the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in the air. Mixing is easy, and the flow of the mixed air is made smooth, so that the adsorption rat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can be increased.

(제2 실시예)(Second exampl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a)를 설명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a)는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하우징(110, 120)과, 팬 구동부(130)와,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와, 공기 배출부(160)와, 광촉매부(170)와, 광원부(180)와, 입력부(190)와,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와 대비하여 물 회수부(150')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kes mixing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in the air easy, and increases the adsorption rat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to remove fine dust in the air. Housings (110, 120), fan drive unit 130, atomization unit 140, water recovery unit 150 ', air discharge unit 160, photocatalytic unit 170, and light source unit 180 ), The input unit 190 and the control unit 200,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recovery unit 150 'compared to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2 실시예에 따른 물 회수부(150')는 미세먼지가 흡착된 수분입자가 서로 충돌하여 물방울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물방울에 의한 낙수(300b)를 통해 미세먼지가 배출되도록 스펀지 또는 다공성 필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필터부(151')와, 상기 필터부(151')로 미세먼지를 흡착한 수분입자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혼합공기 유입구(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water recovery unit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water particles adsorbed by the fine dust collide with each other to form water droplets, and the sponge or the porous filter so that the fine dust is discharged through the falling water 300b by the formed water droplets It comprises a filter unit 151 'made of any one of the, and the mixed air inlet 152 to guide the moisture particles adsorbed by the fine particles into the filter unit 151'.

상기 필터부(151')는 미세먼지의 크기보다는 크지만 수분입자 또는 물방울의 크기보다는 작은 크기의 구멍을 형성한다.The filter unit 151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ne dust but forms a hole of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water particles or water droplets.

또한, 상기 필터부(151')는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수분입자 또는 물방울이 상기 필터부(151')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의 흐름에 의해 가속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수분입자 또는 물방울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작게 분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151 'is formed to have a certain thickness,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particles or water droplets from being accelerated by the flow of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51', so that the water particles or water droplets It is possible to prevent small decomposition in the process of passing.

또한, 상기 필터부(151')는 수분입자가 표면에 흡착되지 않고 발수되도록 발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151 'may be formed with a water repellent coating layer so that water particles are repelled without being adsorbed on the surface.

따라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물 분자에 흡착시켜 제거함으로써, 미세먼지 제거를 제거하기 위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팬 구동부와 무화부와 물 회수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혼합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removing the fine dust in the air by adsorbing it to the water molecules, it can be easily used to remove the fine dust, and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fan driving part, atomization part, and water recovery part to improve the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in the air. Mixing is easy, and the flow of the mixed air is made smooth, so that the adsorption rat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can be increased.

(제3 실시예)(Example 3)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6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b)를 설명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ne dust removing device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b)는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하우징(110, 120)과, 팬 구동부(130')와,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와, 공기 배출부(160)와, 광촉매부(170)와, 광원부(180)와, 입력부(190)와,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와 대비하여 팬 구동부(130')가 배치된 위치에서 차이점이 있다.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kes mixing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in the air easy, and increases the adsorption rat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to remove fine dust in the air. Housing 110, 120, fan drive unit 130 ', atomization unit 140, water recovery unit 150, air discharge unit 160, photocatalytic unit 170, and light source unit 180 ), An input unit 190, and a control unit 200,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a position where the fan driving unit 130 'is disposed in comparison with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b)는 팬 구동부(130')를 공기 배출부(160)에 설치하여 하우징(110, 120)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낮아지도록 음압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유입구(111, 도 3 참조)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공기의 이동방향에 설치된 무화부(140)에서 무화된 수분입자와 쉽게 혼합하여 미세먼지가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orms a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housings 110 and 120 is lower than the external air pressure by installing the fan driving unit 130 'in the air discharge unit 160. By doing so,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s 110 and 120 through the air inlet 111 (see FIG. 3), and is easily mixed with atomized moisture particles in the atomization unit 140 install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air to fine Allow dust to be adsorbed.

따라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물 분자에 흡착시켜 제거함으로써, 미세먼지 제거를 제거하기 위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팬 구동부와 무화부와 물 회수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혼합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removing the fine dust in the air by adsorbing it to the water molecules, it can be easily used to remove the fine dust, and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fan driving part, atomization part, and water recovery part to improve the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in the air. Mixing is easy, and the flow of the mixed air is made smooth, so that the adsorption rat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can be increased.

(제4 실시예)(Example 4)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FIG.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와 대비하여 외부의 물통(400)에서 물을 제1 하우징(110a)으로 공급하고, 제2 하우징(120a)의 드레인팬(124)으로 낙수(300b)를 배출하는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7 and 8,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100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to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rom the external water bottle 400.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housing 110a and discharging the falling water 300b to the drain pan 124 of the second housing 120a.

즉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c)는 제1 하우징(110a)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물(300)을 공급하는 물통(400)과, 상기 물통(400)의 물(300)을 급수영역(122)으로 공급하는 급수관(114)이 설치된다.That is,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100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10a to supply a water bottle 400 and a water bottle 400 of the water bottle 400 Water supply pipe 114 for supplying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area 122 is installed.

또한,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c)는 제2 하우징(120a)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레인영역(123)으로 배출되는 낙수(300b)를 수납하는 드레인팬(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100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installed detachably from the second housing 120a, and the drain pan 124 for receiving the falling water 300b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123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즉 물통 체크밸브(410)를 통해 물통(400)에서 일정량이 공급되는 깨끗한 물(300)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상기 미세먼지가 융착된 낙수(300b)를 드레인팬(124)에 수용한 다음 일정 시기 또는 일정량이 수용되면 제2 하우징(120a)에서 분리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fine dust is removed using the clean water 300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400 through the water tank check valve 410, and the drip water 300b in which the fine dust is fused is accommodated in the drain pan 124. Then, when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amount is accommodated, the second housing 120a may be separated and discharged.

또한, 상기 드레인팬(124)은 낙수(300b)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드레인팬 수위 검출부(193)를 추가 구성하고, 상기 드레인팬 수위 검출부(193)에서 검출된 수위 정보는 제어부(200)에서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팬 구동부(130)와 무화부(140)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며, 물 부족 등을 표시부(미도시) 등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rain pan 124 further comprises a drain pan water level detector 193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falling water 300b, and the water leve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rain pan water level detector 19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0.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if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an driving unit 130 and the atomization unit 140 is terminated, such that water shortage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not shown).

(제5 실시예)(Example 5)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9를 참조하여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d)를 설명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ne dust removing device 100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제5 실시예에 다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b)와 대비하여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 제1 하우징(110b) 및 제2 하우징(120b)과, 상기 무화부(140)에서 무화된 수분입자와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혼합 및 흡착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상기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 사이에 일정 길이 연장된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확장관(500)과, 상기 제2 하우징(120b)의 드레인 영역(123)으로 떨어진 낙수(300b)가 급수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연결하는 유로 확장관(510)을 포함한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The fine dust removal device 100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atomization unit 140 in comparison with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110b and the second housing 120b in which the water recovery unit 150 is separable from each other, and the atomized moisture particles in the atomization unit 140 and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are mixed and mixed. A path extension pipe 500 forming a path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between the atomization unit 14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150 so that the time for adsorption is increased, and the drain region 123 of the second housing 120b There is a difference in configuration including a flow path expansion pipe 510 connecting the falling water 300b to move to the water supply area.

즉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d)는 수분입자와 미세먼지의 혼합 및 흡착 시간이 짧으면,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제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는 각각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분리된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 사이에는 경로 확장관(500)을 설치하여 상기 무화부(140)에서 무화된 수분입자와 외부에서 유입된 미세먼지가 혼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충분히 혼합된 미세먼지와 수분입자가 물 혼합부(15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100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improve the problem that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not easily removed when the mixing and adsorption time of the water particles and the fine dust is short. 14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150 are configured to be separable, and a path extension pipe 500 is installed between the separated atomization unit 14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150, so that the atomization unit 140 By forming a sufficient space for the atomized water particles and the fine dus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be mixed, the sufficiently mixed fine dust and water particles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mixing unit 150.

또한, 상기 경로 확장관(500)은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무화부(140)와 물 회부수(150) 사이에 확장 가능한 형상의 관로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ath expansion pipe 50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between the atomization unit 14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150, and the shape expandable between the atomization unit 140 and the water recovery number 150 The conduit of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즉 경로 확장관(500)을 상기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 사이에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주름관 등의 부피 및 길이의 변형이 가능한 관로를 이용하여 구성하면, 미세먼지 제거장치(100d)의 전체적인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고, 디자인 자유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f the path extension pipe 500 is configured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between the atomization unit 14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150 or by using a pipe capable of deforming the volume and length of the corrugated pipe,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While minimizing the overall size increase of (100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fine dust, and to further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또한, 상기 경로 확장관(500)을 분리하는 경우,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와 경로 확장관(500)의 분리가 용이하여 장시간 사용 후 오염물질이나 이물질 등의 제거를 위한 세척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eparating the path expansion pipe 500, it is easy to separate the atomization unit 140, the water recovery unit 150, and the path expansion pipe 500, and for removing contaminants or foreign substances after a long time use Washing can be carried out easily.

또한, 상기 유로 확장관(510)은 경로 확장관(500)과 함께 신장 또는 수축되어 드레인 영역(123)으로 배출된 낙수(300b)가 공급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low path expansion pipe 510 extends or contracts with the path expansion pipe 500 so that the drop water 300b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123 can be moved to the supply region.

(제6 실시예)(Example 6)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0을 참조하여 제6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e)를 설명한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제6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e)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b)와 대비하여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 제1 하우징(110c) 및 제2 하우징(120c)과, 상기 무화부(140)에서 무화된 수분입자와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혼합 및 흡착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상기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 사이에 일정 길이 연장된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확장관(500)과, 제2 하우징(120c)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레인영역(123)으로 배출되는 낙수(300b)를 수납하는 드레인팬(124)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atomization unit 140 in comparison with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110c and the second housing 120c, in which the water recovery unit 150 is separable from each other, and the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tomized moisture particles and the inflowing air from the atomization unit 140 are mixed and mixed. The path extension pipe 500 and the second housing 120c are formed to be detachably installed to form an extended path between the atomization unit 14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150 so that the time for adsorption is increase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 pan 124 for receiving the dropping water 300b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123.

즉 경로 확장관(500)을 통한 수분입자와 미세먼지의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진 후 미세먼지를 포함한 낙수(300b)를 드레인팬(124)에 수용한 다음 일정 시기 또는 일정량이 수용되면 제2 하우징(120c)에서 분리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fter sufficient mixing of the water particles and the fine dust through the path expansion pipe 500 is accommodated in the drip pan 300b containing the fine dust in the drain pan 124 and then the second housing 120c when a certain amount or time is accommodated ).

(제7 실시예)(Example 7)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1을 참조하여 제7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f)를 설명한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f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제7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f)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b)와 대비하여 외부 일측에 물(300)을 공급하는 물통(400)과, 상기 물통(400)의 물(300)을 급수영역(122)으로 공급하는 급수관(114)이 설치되고,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 제1 하우징(110d) 및 제2 하우징(120c)과, 상기 무화부(140)에서 무화된 수분입자와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혼합 및 흡착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상기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 사이에 일정 길이 연장된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확장관(500)과, 상기 제2 하우징(120c)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레인 영역(123)으로 배출되는 낙수(300b)를 수납하는 드레인팬(124)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f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fine dust removal apparatus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Is supplied with a water tank 400 for supplying, and a water supply pipe 114 for supplying the water 300 of the water tank 400 to the water supply area 122, and the atomization part 140 and the water recovery part 150 are provided. The first housing 110d and the second housing 120c, which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and the time for mixing and adsorbing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tomized moisture particles and the inflowing air in the atomization unit 140 are increased. A path extension pipe 500 forming a path extending a certain length between the atomization unit 14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150, and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second housing 120c and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123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 pan 124 for receiving the falling water 300b.

즉 제7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f)는 제1 하우징(110d)의 외부 일측에 물(300)을 공급하는 물통(400)과, 상기 물통(400)의 물(300)을 급수영역(122)으로 공급하는 급수관(114)을 통해 일정량의 깨끗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제1 하우징(110d)과 제2 하우징(110d)의 분리후 경로 확장관(500)을 통해 무화된 수분입자와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혼합 및 흡착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의 제거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 하우징(120d)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드레인팬(124)으로 낙수(300b)가 배출되도록 한다.That is,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100f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supplies a water bottle 400 for supplying water 300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10d and water 300 of the water bottle 400 A certain amount of clea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4 supplied to the region 122, and the atomized moisture particles are passed through the path expansion pipe 500 after separation of the first housing 110d and the second housing 110d. By allowing the time for mixing and adsorb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flowing air to increase, the removal rate of the fine dust can be increased, and the water is drained to the drain pan 124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second housing 120d. Let (300b) be discharged.

따라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물 분자에 흡착시켜 제거함으로써, 미세먼지 제거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없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팬 구동부와 무화부와 물 회수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중의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고, 혼합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먼지와 물 분자의 흡착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removing the fine dust in the air by adsorbing it to the water molecules, it can be used simply without a filter to remove the fine dust, and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fan driving part, atomization part and water recovery part to improve fine dust and water in the air. It is possible to easily mix the molecules and increase the adsorption rate of fine dust and water molecules by allowing the flow of mixed air to be smooth.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rawing numbers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re not limited thereto. In the cour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and thus, interpreta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 미세먼지 제거장치
110, 110a, 110b, 110c, 110d : 제1 하우징
111 : 공기 유입구 112 : 관통공
113 : 격벽 114 : 급수관
120, 120a, 120b, 120c, 120d : 제2 하우징
121 : 격벽 122 : 급수영역
123 : 드레인영역 123a : 경사면
124 : 드레인팬 130, 130' : 팬 구동부
140 : 무화부 150, 150' : 물 회수부
151 : 싸이클론 생성부 151' : 필터부
152 : 혼합공기 유입구 160 : 공기 배출부
160a : 메쉬부 161 : 덮개부
162 : 공기 배출공 170 : 광촉매부
180 : 광원부 190 : 입력부
191 : 수위 검출부 192 : 오염 검출부
193 : 드레인팬 수위 검출부 200 : 제어부
300 : 물 300a : 혼합공기
300b : 낙수 400 : 물통
410 : 물통 체크밸브 500 : 경로 확장관
510 : 유로 확장관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fine dust removal device
110, 110a, 110b, 110c, 110d: first housing
111: air inlet 112: through hole
113: bulkhead 114: water supply pipe
120, 120a, 120b, 120c, 120d: second housing
121: partition wall 122: water supply area
123: drain area 123a: slope
124: drain fan 130, 130 ': fan drive
140: atomization unit 150, 150 ': water recovery unit
151: cyclone generating unit 151 ': filter unit
152: mixed air inlet 160: air outlet
160a: mesh portion 161: cover portion
162: air outlet hole 170: photocatalyst
180: light source unit 190: input unit
191: water level detection unit 192: pollution detection unit
193: drain pan water level detection unit 200: control unit
300: water 300a: mixed air
300b: Falling water 400: Bucket
410: water tank check valve 500: path expansion pipe
510: Euro expansion tube

Claims (16)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하우징(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
상기 하우징(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팬 구동부(130, 130');
상기 하우징(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방향에 설치되고, 급수영역(122)에 수용된 물(300)을 수분입자로 무화(霧化)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에 있는 미세먼지가 상기 수분입자에 흡착되도록 하는 무화부(140);
상기 수분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공기의 이동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된 공기로부터 수분입자를 회수하여 드레인영역(123)으로 배출하는 물 회수부(150, 150');
상기 물 회수부(150, 150')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분입자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160); 및
상기 수분입자와 미세먼지의 혼합 및 흡착 시간이 증가되도록 상기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 150') 사이가 분리되고 상기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 150') 사이에 일정 길이 연장된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확장관(500)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 plurality of detachably installed housings 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
Fan driving units 130 and 130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housings 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and 120d;
The housing (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 is installed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into the inside, the water 300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area 122, water particles Atomization unit 140 to atomize (로 化) so that the fine dust in the introduced air is adsorbed to the moisture particles;
A water recovery unit (150, 150 ') install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air in which the water particles and air are mixed, and recovering water particles from the mixed air and discharging them to a drain region (123);
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recovery unit (150, 150 ') to discharge the water particles are removed ai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 Air outlet 160; And
The atomization part 140 and the water recovery parts 150 and 150 'are separated to increase the mixing and adsorption time of the water particles and fine dust, and the atomization part 140 and the water recovery parts 150 and 150' are separated. Fine dust removal device including a path extension pipe 500 to form a path extending a certain length betw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드레인영역(123)으로 배출된 낙수(300b)을 정화하는 광촉매부(170); 및
상기 광촉매부(170)로 일정 파장범위의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부(170)에서 정화된 낙수(300b)는 상기 급수영역(122)으로 순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includes a photocatalytic unit 170 for purifying the falling water 300b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123; And
Further comprising a light source unit 180 for outputting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range to the photocatalyst 170,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rified water from the photocatalyst 170 is made to be circulated to the water supply region 12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영역(123)은 배출된 낙수(300b)가 급수영역(122)으로 이동하도록 저면에 경사면(123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rain region 123 is a fine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123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discharged water (300b) is moved to the water supply region (1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외부의 물통(400)으로부터 급수영역(122)에 물(300)을 공급하는 급수관(1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pipe 114 for supplying the water 300 from the external water bottle 400 to the water supply area 12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드레인영역(123)으로 배출된 낙수(300b)를 수납하는 드레인팬(124); 및
상기 드레인팬(124)의 수위를 검출하는 드레인팬 수위 검출부(19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includes a drain pan 124 for receiving the drop 300b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123; And
And a drain pan water level detector (193)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drain pan (1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부(190);
상기 급수영역(122)에 수용된 물(300)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191); 및
상기 급수영역(122)에 수용된 물(300)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 검출부(19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includes an input unit 190 for detecting an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 water level detector 191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300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area 122; And
The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further comprising a pollution detection unit (192)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ter (300)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area (1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구동부(130, 130')는 상기 하우징(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유입구(111) 또는 상기 하우징(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의 내부에서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160)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an driving unit (130, 130 ') is the housing (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 the air inlet 111 or the housing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interior ( Fine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any one of the air discharge unit 160 for discharging external air from the inside of 110, 110a, 110b, 110c, 110d, 120, 120a, 120b, 120c, 120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140)는 초음파 진동자 또는 임의의 크기를 갖는 수분입자로 분사하는 노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tomization unit 140 is an ultrasonic vibrator or a fine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of nozzles sprayed with water particles of any siz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회수부(150, 150')의 내부면과 공기 배출부(160)의 외부면은 수분입자가 표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수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covery units 150 and 150 'and an outer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unit 160 are formed with a water-repellent coating layer to prevent moisture particles from being adsorbed on the surfa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회수부(150)는 미세먼지가 흡착된 수분입자가 분리되도록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발생하는 싸이클론 생성부(151); 및
상기 싸이클론 생성부(151)로 혼합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혼합공기 유입구(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water recovery unit 150 includes a cyclone generating unit 151 that generates centrifugal force by rotation so that moisture particles adsorbed by fine dust are separated; And
A fine dust removal device comprising a mixed air inlet 152 to guide the mixed air to the cyclone generating unit 15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회수부(150')는 미세먼지가 흡착된 수분입자가 충돌하여 물방울에 의한 낙수(300b)를 형성하도록 스펀지 또는 다공성 필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필터부(151'); 및
상기 필터부(151')로 상기 미세먼지를 흡착한 수분입자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혼합공기 유입구(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water recovery unit 150 'includes a filter unit 151' formed of either a sponge or a porous filter so that water particles adsorbed by fine dust collide and form a falling water 300b due to water droplets; And
And a mixed air inlet 152 for guiding the water particles adsorbing the fine dust into the filter unit 151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160)는 수분입자가 분리된 공기를 유입하는 말단부에 분리된 수분입자가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16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air discharge unit 160 is a fine dust remov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esh portion (160a) to prevent the re-introducing the separated water particles in the distal end of the water particles are introduced into the ai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드레인 영역(123)으로 배출된 낙수(300b)가 급수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연결하는 유로 확장관(5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flow path expansion pipe 510 connecting the falling water 300b discharged to the drain area 123 to move to the water suppl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확장관(500) 및 유로 확장관(510)은 상기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 150') 사이에 탈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무화부(140)와 물 회수부(150, 150') 사이에 확장 가능한 형상의 관로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th expansion pipe 500 and the flow path expansion pipe 510 are detachably attached between the atomization unit 140 and the water recovery units 150 and 150 ', or the atomization unit 140 and the water recovery unit 150 and 150 ') Fine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it of the expandable shape is formed in one 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드레인 영역(123)으로 배출된 낙수(300b)를 수납하는 드레인팬(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is a fine dust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ain pan (124) for receiving the falling water (300b) discharged to the drain region (123).
KR1020180058162A 2018-05-23 2018-05-23 Apparatus for cleaning fine dust KR1020951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162A KR102095107B1 (en) 2018-05-23 2018-05-23 Apparatus for cleaning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162A KR102095107B1 (en) 2018-05-23 2018-05-23 Apparatus for cleaning fine du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357A KR20190133357A (en) 2019-12-03
KR102095107B1 true KR102095107B1 (en) 2020-03-30

Family

ID=6883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162A KR102095107B1 (en) 2018-05-23 2018-05-23 Apparatus for cleaning fin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1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191B1 (en) * 2021-02-25 2021-05-21 (주)에스앤에스 Wet dust trap filter for perfluorinated compounds exhaust gas
CN113230811A (en) * 2021-06-16 2021-08-10 苏州微知电子科技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device based on aerosol removes dust
KR102560591B1 (en) * 2021-06-24 2023-07-31 이준범 air purifier
CN114409008A (en) * 2022-03-04 2022-04-29 广东中浩水务投资有限公司 Annular atomizing conduit and atomizing sepa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7691A (en) * 2010-03-03 2011-09-15 Takenaka Komuten Co Ltd Air cleaner
KR101527101B1 (en) * 2014-08-19 2015-06-10 (주) 다나전자 cyclone type humidifier and wet air purifier combina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143A (en) * 1993-08-20 1994-06-21 Nec Home Electron Ltd Air cleaner
JP2570632B2 (en) * 1994-10-21 1997-01-08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air purifier
KR20170006088A (en)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강앤비 Air Purifier with wa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7691A (en) * 2010-03-03 2011-09-15 Takenaka Komuten Co Ltd Air cleaner
KR101527101B1 (en) * 2014-08-19 2015-06-10 (주) 다나전자 cyclone type humidifier and wet air purifier combina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357A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107B1 (en) Apparatus for cleaning fine dust
US9316405B2 (en) Cyclone type humidifier and wet air purifier combina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KR101768009B1 (en) A Dust Clearing Device
EP2466085A2 (en) Centrifugal, wet-type air cleaner
US20120031275A1 (en)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utilizing a spin vaporizer and a spiral on the basis of a labyrinth effect
CN1146463C (en) Method and device for liquid purification of crude gas flows
JP3144551U (en) Air purification system
KR101527101B1 (en) cyclone type humidifier and wet air purifier combina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KR101882283B1 (en) A Cyclone Air Purifier having Electro Spraying
KR20170129334A (en) Deodorization dust scrubber
US9061230B2 (en) System to remove contaminants from air stream
CA2880360A1 (en) Portable wet scrubber
EP3359279A1 (en) Exhaust configuration for a wet scrubber
KR20130119336A (en) Gas purification apparatus
JP2009125647A (en) Excess atomized coating material collecting filter and coating system
JP2018001045A (en) Painting system
RU55647U1 (en) Vortex Dust Collector
JP2006175336A (en) Wet gas purifier
KR101955242B1 (en) A Hybrid Clouding Type a Scrubber System for Removing a Harmful Gas
KR101975526B1 (en) Wet-type fine dust collector
JPH08229334A (en) Dust collector
KR102568432B1 (en) A Multi-Cyclone Type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 Dust and a Odor Utilizing a Mist Cloud
RU2286831C1 (en) Centrifugal scrubber
JPH05285327A (en) Gas purifier
NZ513400A (en) Air cleaning apparatus suitable for small diameter flues with low gas flow 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