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016B1 -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 - Google Patents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016B1
KR102095016B1 KR1020180012162A KR20180012162A KR102095016B1 KR 102095016 B1 KR102095016 B1 KR 102095016B1 KR 1020180012162 A KR1020180012162 A KR 1020180012162A KR 20180012162 A KR20180012162 A KR 20180012162A KR 102095016 B1 KR102095016 B1 KR 10209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layback device
media playback
information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887A (ko
Inventor
박성재
김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1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0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는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 상기 수신한 음성에 포함된 식별어를 인식하는 식별어 인식부,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구매 요청 정보를 광고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담원 단말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된다.

Description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MEDIA PLAY DEVICE, METHOD AND COMMERCIAL SERVER FOR PROVIDING PURCHASE SERVICE OF PRODUCT RELATED TO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란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영화와 방송프로그램과 같은 동영상 컨텐츠와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및 통신 서비스이다. 시청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MP3 등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IPTV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의 IPTV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홈쇼핑 채널에서 판매 중인 상품의 구매가 가능해 졌으며, 이러한 서비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 10-0616299호는 셋톱박스를 이용한 홈쇼핑 주문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IPTV의 홈쇼핑 채널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상품의 구매가 가능해지면서, 홈쇼핑 고객들은 상품 구매를 위해 주문 전화를 걸거나 상담원과의 통화를 하지 않고도 상품을 주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상품 구매에 절차가 복잡하여, 홈쇼핑 고객들로 하여금 상담원과의 직접 통화를 선호하게 만든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고객이 홈쇼핑 채널의 상품 구매를 위해 식별어(예를 들어, 콜미)를 발화함으로써, 홈쇼핑 채널에서 현재 판매 중인 상품에 대한 구매 의사를 제공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객이 홈쇼핑 채널의 상품 구매를 위한 ARS 상담 전화를 걸지 않고도, 해당 홈쇼핑 채널의 상담원으로부터 상담 전화가 걸려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품 구매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판매자 측면에서는 적극적으로 구매 의사를 표명한 고객에게 아웃바운드 콜을 제공함으로써, 판매 확률을 높이고 고객센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간 채널에서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상품 구매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 상기 수신한 음성에 포함된 식별어를 인식하는 식별어 인식부,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구매 요청 정보를 광고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담원 단말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음성에 포함된 식별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구매 요청 정보를 광고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담원 단말이 미디어 재생 장치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미디어 재생 장치가 컨텐츠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로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상기 상담원 단말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광고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고객이 홈쇼핑 채널의 상품 구매를 위해 식별어(예를 들어, 콜미)를 발화함으로써, 홈쇼핑 채널에서 현재 판매 중인 상품에 대한 구매 의사를 제공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이 홈쇼핑 채널의 상품 구매를 위한 ARS 상담 전화를 걸지 않고도, 해당 홈쇼핑 채널의 상담원으로부터 상담 전화가 걸려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품 구매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측면에서는 적극적으로 구매 의사를 표명한 고객에게 아웃바운드 콜을 제공함으로써, 판매 확률을 높이고 고객센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채널에서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상품 구매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와 관련된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의 가입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미디어 재생 장치(110), 디스플레이 장치(120), 모바일 단말(130), 광고 서버(140), 상담원 단말(150) 및 오프라인 매장 단말(160)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10), 디스플레이 장치(120), 모바일 단말(130), 광고 서버(140), 상담원 단말(150) 및 오프라인 매장 단말(160)은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서버(1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 또는 상담원 단말(150)과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115)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는 예를 들어,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115)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의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사용자(115)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사용자(115)에 의해 "콜미"라고 발화된 음성을 사전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수신한 음성에 포함된 식별어를 인식할 수 있다. 식별어는 예를 들어, "콜미(Call Me)"일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구매 요청 정보를 광고 서버(140)로 제공할 수 있다. 구매 요청 정보는 모바일 단말(130)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115)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콜미' 버튼을 통해 모바일 단말(130)의 전화번호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중인 컨텐츠가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 중인 컨텐츠인 경우, 구매 요청 정보는 광고 서버(14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150)로 전송되고,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담원 단말(150)이 미디어 재생 장치(110)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130)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재생 중인 컨텐츠가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인 경우, 구매 요청 정보는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한 오프라인 매장의 단말(160)이 모바일 단말(130)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의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하면,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 정보를 광고 서버(140)로 제공할 수 있다.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는 광고 서버(140)에 의해 복수의 기등록된 오프라인 매장 중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이 선택됨으로써, 선택된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모바일 단말(130)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재생 중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및 VOD 컨텐츠를 출력하고, 실시간 채널 및 VOD에 포함된 중간 광고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하단에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홈쇼핑 채널을 출력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홈쇼핑 채널의 하단에 "해당 상품의 주문/상담을 원하시면 '콜미'를 외쳐주세요."와 같은 문구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상담원 단말(150)로부터 전화를 수신하기까지의 전화연결 대기 메시지를 팝업 또는 전체 화면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10초 후 전화 예정입니다.", "예약주문 완료되었습니다. 잠시후 전화 예정입니다."와 같은 전화 연결 대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한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가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인 경우, 모바일 단말(130)은 광고 서버(14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150)을 통해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한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가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일 경우, 광고 서버(140)에 의해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이 선택되면, 모바일 단말(130)은 오프라인 매장 단말(160)로부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한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고 서버(1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가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인 경우에 대해 상품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가 홈쇼핑 채널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115)로부터 수신하여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구매 요청 정보를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150)로 구매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가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인 경우, 광고 서버(1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재생 중인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의 채널 정보 및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담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고 서버(1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가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인 경우에 대해 상품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가 실시간 채널 또는 VOD의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115)로부터 수신하여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구매 요청 정보를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가 컨텐츠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115)로부터 수신하여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복수의 기등록된 오프라인 매장 중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선택할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선택된 오프라인 매장으로 구매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광고주 단말(미도시)로부터 광고주 번호를 등록받을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등록받은 광고주 번호(예를 들어, 광고주1 번호, 광고주2 번호, 광고주3 번호 등)를 채널번호(채널번호1, 채널번호2, 채널번호3 등)와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서버(140)는 채널번호1에 광고주3의 번호를 매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채널 정보, 광고주 번호, 구매 요청 정보 및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홈쇼핑 채널에서 판매중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품 정보를 상담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담원 단말(150)은 홈쇼핑 채널에서 운영중인 고객센터의 상담원 단말(150)일 수 있으며, 광고주가 직접 운영하는 고객센터의 상담원 단말(미도시)일 수도 있다.
광고 서버(140)는 상담원 단말(150)과 미디어 재생 장치(110) 간의 전화 상담 연결 수를 집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 서버(140)는 집계된 전화 상담 연결 수를 통해 현재 방송되는 상품에 대한 실시간 광고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상담원 단말(150)은 광고 서버(14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한 전화 상담을 배정받고,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담원 단말(150)은 구매 요청 정보, 홈쇼핑 채널 정보 및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각 정보 등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10)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130)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 모바일 단말(130)과 전화가 연결되면, 상품의 구매를 위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 단말(160)은 광고 서버(140)에 의해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재생 중인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선택되면, 광고 서버(140)로부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 단말(160)은 수신한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10)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130)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 모바일 단말(130)과 전화가 연결되면,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위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음성 수신부(210), 식별어 인식부(220), 정보 제공부(230) 및 위치 측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수신부(210)는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115)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는 예를 들어,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수신부(210)는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115)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의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사용자(115)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115)로부터 발화된 음성은 예를 들어, "지니야, 콜미(Call Me)"일 수 있다.
식별어 인식부(220)는 수신한 음성에 포함된 식별어를 인식할 수 있다. 식별어는 예를 들어, "콜미(Call Me)"일 수 있으며, 식별어를 통해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사용자(115)의 구매 의사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정보 제공부(230)는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구매 요청 정보를 광고 서버(140)로 제공할 수 있다. 구매 요청 정보는 모바일 단말(13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구매 요청 정보는 광고 서버(14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150)로 전송되고,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담원 단말(150)이 미디어 재생 장치(110)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130)로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텐츠가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구매 요청 정보는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한 오프라인 매장의 단말(160)이 모바일 단말(130)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정보 제공부(230)는 식별어 인식부(220)에서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위치 측정부(240)에서 측정된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 정보를 광고 서버(1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는 광고 서버(140)에 의해 복수의 기등록된 오프라인 매장 중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이 선택됨으로써, 선택된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모바일 단말(130)로 제공될 수 있다.
위치 측정부(2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GPS 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측정부(2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사전 등록된 위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와 관련된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1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115)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수신한 음성에 포함된 식별어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구매 요청 정보를 광고 서버(140)로 제공할 수 있다. 구매 요청 정보는 광고 서버(14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150)로 전송되고,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담원 단말(150)이 미디어 재생 장치(110)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130)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고 서버(140)는 수신부(410), 전송부(420), 위치 정보 수신부(430) 및 오프라인 매장 관리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4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가 컨텐츠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115)로부터 수신하여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구매 요청 정보를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는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VOD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4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가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의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115)로부터 수신하여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구매 요청 정보를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420)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150)로 구매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매 요청 정보는 모바일 단말(130)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420)는 컨텐츠가 홈쇼핑 채널인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재생 중인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의 채널 정보 및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담원 단말(15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요청 정보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상담원 단말(150)이 미디어 재생 장치(110)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130)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송부(420)는 오프라인 매장 관리부(440)에서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이 선택되면, 선택된 오프라인 매장으로 구매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43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가 컨텐츠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115)로부터 수신하여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 관리부(440)는 복수의 기등록된 오프라인 매장 중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광고 서버(140)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140)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10에서 광고 서버(1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가 컨텐츠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115)로부터 수신하여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구매 요청 정보를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광고 서버(140)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150)로 구매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매 요청 정보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상담원 단말(150)이 미디어 재생 장치(110)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130)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2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의 가입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의 가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115)는 XX 홈쇼핑 채널의 재생(600) 중 리모트 컨트롤러의 '콜미' 버튼을 선택하거나, 메뉴 설정 내에서의 콜미 서비스의 선택을 통해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의 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115)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모바일 단말(130)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통해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에 대한 가입 완료 메시지(61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의 구매 서비스의 가입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115)는 도 6a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의 가입이 완료되면,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각각의 상품 구매 서비스의 가입이 없이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홈쇼핑'(620), 'B 홈쇼핑'(630)의 경우, 서로 다른 홈쇼핑 채널이지만, 사용자(115)는 각각의 채널에 대한 상품 구매 서비스의 가입 없이 상품 구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홈쇼핑 채널(700)을 출력하고, 사용자(115)가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가입한 경우, 상품 구매 서비스를 유도하는 메시지(710)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해당 상품 주문/상담을 원하시면 'Call Me'를 외쳐주세요."라는 메시지(710)를 홈쇼핑 채널의 하단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발화함으로써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가 진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720)가 홈쇼핑 채널에서 판매중인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720)는 "지니야, Call Me"(730)라는 음성을 발화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740)는 사용자(720)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하여, 음성에 포함된 식별어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720)의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 의사를 인지하고, 광고 서버(140)로 구매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의 재생 중인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115)가 실시간 채널로서 프로야구 채널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프로야구 1회의 중계 화면(800)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프로야구 1회(800)가 종료되면, 프로야구 2회(820)의 시작을 위한 공수 전환 시간에 중간 광고 화면(8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중간 광고 화면(810)의 출력 중에, 미디어 재생 장치(110)가 사용자(115)로부터 "기가지니, Call Me"라는 음성 발화를 수신한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음성 발화에 포함된 식별어를 인식하여, 중간 광고(810)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위한 구매 요청 정보를 광고 서버(140)로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광고 서버(140)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서버(1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GPS 좌표에 기초하여 지도(830)를 통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광고 화면(810)이 A사의 치킨 광고인 경우, 광고 서버(140)는 A사의 치킨 매장이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지를 판단한 후, A사의 치킨 매장이 범위 내에 위치하면, 해다 매장으로 구매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요청 정보는 사용자(115)의 모바일 단말(130)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 단말(160)은 광고 서버(140)에 의해 선택되면, 사용자(115)의 모바일 단말(130)로 치킨 구매를 위한 전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매장 단말(160)은 오프라인 매장의 전화번호로 모바일 단말(130)로의 전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달 주문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통해 모바일 단말(130)로의 전화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8b를 통해 설명된 미디어 재생 장치 및 광고 서버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8b를 통해 설명된 미디어 재생 장치 및 광고 서버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미디어 재생 장치
120: 디스플레이 장치
130: 모바일 단말
140: 광고 서버
150: 상담원 단말
160: 오프라인 매장 단말
210: 음성 수신부
220: 식별어 인식부
230: 정보 제공부
240: 위치 측정부
410: 수신부
420: 전송부
430: 위치 정보 수신부
440: 오프라인 매장 관리부

Claims (20)

  1.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
    상기 수신한 음성에 포함된 식별어를 인식하는 식별어 인식부; 및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구매 요청 정보를 광고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담원 단말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되,
    상기 컨텐츠는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 상기 홈쇼핑 채널의 채널 정보 및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 정보가 수신된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중인 홈쇼핑 채널에서 판매중인 상품에 대한 정보가 상기 광고 서버에 의해 파악되고, 상기 파악된 상품 정보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상담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파악된 상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원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되,
    상기 음성 수신부는 상기 실시간 채널 또는 VOD의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상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광고 서버로 더 제공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는 상기 광고 서버에 의해 복수의 기등록된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선택된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8.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음성 수신부에 의해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식별어 인식부에 의해 상기 수신한 음성에 포함된 식별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정보 제공부에 의해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구매 요청 정보를 광고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담원 단말이 미디어 재생 장치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되,
    상기 컨텐츠는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 상기 홈쇼핑 채널의 채널 정보 및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 정보가 수신된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중인 홈쇼핑 채널에서 판매중인 상품에 대한 정보가 상기 광고 서버에 의해 파악되고, 상기 파악된 상품 정보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상담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파악된 상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원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되,
    상기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채널 또는 VOD의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하는 것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위치 측정부에 의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보를 광고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면, 상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광고 서버로 더 제공하는 것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는 상기 광고 서버에 의해 복수의 기등록된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선택된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되는 것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15.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에 있어서,
    미디어 재생 장치가 컨텐츠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배정된 상담원 단말로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 상기 상담원 단말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되,
    상기 컨텐츠는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 상기 홈쇼핑 채널의 채널 정보 및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중인 홈쇼핑 채널에서 판매중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상품 정보를 상기 상담원 단말로 전송허고, 상기 파악된 상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원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인, 광고 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광고 서버.
  17. 삭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 또는 VOD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되,
    상기 수신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가 상기 실시간 채널 또는 VOD의 중간 광고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광고 서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가 상기 컨텐츠의 재생 중 식별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음성으로부터 식별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 서버.
  20. 제 19 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등록된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선택하는 오프라인 매장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선택된 오프라인 매장으로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광고 서버.
KR1020180012162A 2018-01-31 2018-01-31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 KR10209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62A KR102095016B1 (ko) 2018-01-31 2018-01-31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62A KR102095016B1 (ko) 2018-01-31 2018-01-31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87A KR20190092887A (ko) 2019-08-08
KR102095016B1 true KR102095016B1 (ko) 2020-03-30

Family

ID=6761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162A KR102095016B1 (ko) 2018-01-31 2018-01-31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659B1 (ko) * 2020-09-04 2022-03-07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온디맨드 요청을 처리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13B1 (ko) * 2013-03-06 2014-09-02 조윤상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쇼핑 및 구매 시스템 및 방법과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04B1 (ko) * 2005-12-06 2008-06-13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Ars 안내를 이용한 홈쇼핑 방송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109153A (ko) * 2008-04-15 2009-10-20 한국인포서비스 주식회사 아이피 티브이기반 상세 지역별 정보와 광고 제공을 통한주문, 결제 및 배송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13B1 (ko) * 2013-03-06 2014-09-02 조윤상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쇼핑 및 구매 시스템 및 방법과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87A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18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camera network
US10306314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obile application across smartphone platforms to enable consumer connectivity and control of media
US91251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WO2016202116A1 (zh) 信息处理方法、客户端、服务器和计算机存储介质
KR101511297B1 (ko) 객체에 대한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부가정보를 공유하는 서버
US8484687B2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remote video-on-demand (VOD)
CN104322030A (zh) 经由手持装置安排媒体记录
CN102129636A (zh) 用于提供基于识别的广告给观众的系统和方法
KR101969222B1 (ko)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JPWO2014199602A1 (ja) 話者識別方法、話者識別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KR100768653B1 (ko) 음성 인식 기반의 ip-tv 서비스 제어 시스템과 그방법 및 기록매체
KR102095016B1 (ko)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광고 서버
KR102145370B1 (ko) 화면을 제어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화면을 분석하는 서버
KR20140136752A (ko)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55885B1 (ko) 광고 중계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US113089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5590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ercializing avatars
KR102435506B1 (ko)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리뷰 컨텐츠 제공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WO2004088986A1 (ja) 放送と連携した情報処理方法
KR20100123124A (ko) 아이피 티비 주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9247044B2 (en) Remote control and call management resource
KR20180071238A (ko)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50071147A (ko) 선택된 쿼리 이미지를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57396B1 (ko)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73098B1 (ko)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