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876B1 -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876B1
KR102094876B1 KR1020180097805A KR20180097805A KR102094876B1 KR 102094876 B1 KR102094876 B1 KR 102094876B1 KR 1020180097805 A KR1020180097805 A KR 1020180097805A KR 20180097805 A KR20180097805 A KR 20180097805A KR 102094876 B1 KR102094876 B1 KR 102094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bearing
lubricant
limiting device
temperature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099A (ko
Inventor
이동윤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7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8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3Controlled cooling or heating of lubricant; Temperature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5Pressure control for supplying lubricant; Circuits or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1B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어링 앞 부분에 윤활유 유입구를 형성하여 구동시 저온 환경 상태에서 윤활성능을 극대화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윤활유가 공급되는 윤활유 유입구 위치를 베어링의 앞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윤활유 유입구와 대향하는 베어링의 타 일 측 부분 앞 부분에는 윤활유 배출구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윤활유는 고온 환경에서는 점도가 낮기 때문에 빠르게 이동하므로 정체 현상이 없어 이동로를 거쳐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 사이로 유동하지 못하고 외륜 바깥쪽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tia for Automotiv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어링 앞 부분에 윤활유 유입구를 형성하여 구동시 저온 환경 상태에서 윤활성능을 극대화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차륜까지 전달하는 장치. 클러치, 변속기, 중간 변속기, 추진축, 종감속 장치, 차동기,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동력 전달 장치(Power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즉, 구동계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는 저온 환경에서 윤활유의 점성이 높아 유동성이 저하되어 윤활성능이 좋지 않아 마모 발생과 내구성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저온 환경 상태에서 윤활유의 윤활성능을 높일 경우 고온 환경에서는 윤활유의 추가 온도 상승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윤활유의 변질에 의한 윤활 성능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10-139656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 환경에서 윤활유의 윤활성능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고온 환경에서 윤활유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여 윤활유의 변질을 예방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윤활유가 공급되는 윤활유 유입구 위치를 베어링의 앞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윤활유 유입구와 대향하는 베어링의 타 일 측 부분 앞 부분에는 윤활유 배출구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윤활유는 고온 환경에서는 점도가 낮기 때문에 빠르게 이동하므로 정체 현상이 없어 이동로를 거쳐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 사이로 유동하지 못하고 외륜 바깥쪽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저온 환경에서는 윤활성능을 극대화 하고, 고온 환경에서는 윤활유의 변질을 예방하여 제품의 내구성 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의 요부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의 외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의 윤활유가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100)에 윤활유가 공급되는 윤활유 유입구(110) 위치를 베어링(140)의 앞 부분에 형성하여 베어링(140)의 회전동작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저온 환경에서 윤활유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여 회전 부품의 윤활성능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윤활유 유입구(110)는 베어링(140)의 바로 앞 부분 일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윤활유 유입구(110)의 위치를 베어링(140)의 바로 앞 부분 일 측에 형성하여 공급되는 윤활유가 베어링(140)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겨울 또는 온도가 낮은 저온 환경에서 차량을 운행하거나 시동을 걸게 되면 차량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100)로 공급되는 윤활유는 상기 윤활유 유입구(110)로 유입된 후 윤활유 이동로(120)를 거쳐 회전동작에 의해 발열하는 베어링(140)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하여 점도가 낮아져 윤활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윤활유 유입구(110)와 대향하는 베어링(140)의 타 일측 앞 부분에는 윤활유 배출구(1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베어링(140)의 바로 앞 부분 일 측에 형성되는 윤활유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윤활유는 이동로(120)를 거쳐 베어링(140)을 통과한 후, 윤활유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어 내부 회전 부품 각 부분으로 확산되면서 윤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윤활유 유입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윤활유는 저온 환경에서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이동이 빠르지 않아 정체 현상 유발로 인해 이동로(120)를 거쳐 베어링(140)의 내륜(141)과 외륜(142)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윤활유의 점도가 높은 저온 환경에서는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회전동작으로 인해 발열하는 베어링(140)의 내륜(141)과 외륜(142)을 반드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윤활유의 온도를 상승시켜 윤활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윤활유 유입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윤활유는 고온 환경에서는 점도가 낮기 때문에 빠르게 이동하므로 정체 현상이 없어 윤활유 이동로(120)를 거쳐 베어링(140)의 내륜(141)과 외륜(142) 사이로 유동하지 못하고 외륜(142) 바깥쪽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윤활유의 점도가 낮은 고온 환경에서는 유동성이 빠르기 때문에 회전동작으로 인해 발열하는 베어링(140)의 내륜(141)과 외륜(142)을 통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윤활유의 추가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여 윤활유의 변질은 막고 윤활성능은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 배출구(130)는 윤활유 유입구(110)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저온 환경과 고온 환경에서 윤활유의 흐름을 좀 더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윤활유 배출구(130)의 크기가 윤활유 유입구(110)에 비해 크게 형성됨에 따라 저온 환경에서는 크기가 작은 윤활유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윤활유는 점도가 높아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윤활유 이동로(120)를 거쳐 베어링(140)의 내륜(141)과 외륜(142) 사이로 느리게 유동하면서 온도 상승이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고온 환경에서는 윤활유의 점도가 낮아 유동성이 빠르기 때문에 윤활유 이동로(120)를 거쳐 베어링(140)의 내륜(141)과 외륜(142) 사이로 유입될 시간도 없이 외륜(142)의 바깥쪽을 통과하여 윤활유 유입구(110)에 비해 크기가 큰 윤활유 배출구(130)를 통해 빠르게 배출되므로 고온에 의한 윤활유의 변질을 최소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즉, 상기 윤활유 유입구(110)와 윤활유 배출구(130)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거나 윤활유 유입구(110)의 크기를 윤활유 배출구(130)의 크기에 비해 크게 하는 것보다 윤활유 배출구(130)의 크기를 윤활유 유입구(110)의 크기에 비해 크게 하는 것이 저온 환경과 고온 환경에서 윤활유의 흐름을 좀 더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전자식 차동제한장치(100)를 장착한 자동차(미도시)를 더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차동제한장치(100)가 장착된 자동차(미도시)를 운행하게 되면 상기 전자식 차동제한장치(100)가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저온 환경에서 상기 윤활유 유입구(110)를 통해 윤활유가 공급되면 점도가 높기 때문에 이동이 빠르지 않아 정체 현상 유발로 인해 이동로(120)를 거쳐 발열하는 베어링(140)의 내륜(141)과 외륜(142)을 통과하게 되므로 윤활유는 온도가 상승되어 구동계(100)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 부품의 윤활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반대로, 고온 환경에서는 상기 윤활유 유입구(110)를 통해 윤활유가 공급되면 점도가 낮아 유동성이 빠르기 때문에 윤활유 이동로(120)를 거쳐 베어링(140)의 내륜(141)과 외륜(142) 사이로 유입될 시간도 없이 외륜(142)의 바깥쪽을 통과하여 윤활유 배출구(130)를 통해 빠르게 배출되어 구동계(100)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 부품의 윤활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윤활유는 베어링(140)의 내륜(141)과 외륜(142) 사이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고온에 의한 윤활유의 변질을 최소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는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저온 환경에서는 윤활유의 온도를 상승시켜 원활한 윤활성능을 이루도록 하고, 고온 환경에서는 윤활유가 발열하는 베어링의 내부로 통과하지 않고 바깥쪽으로 신속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고온으로 인한 윤활유의 변질을 최소화하거나 예방하여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의 성능향상과 내구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110 : 윤활유 유입구
120 : 이동로 130 : 윤활유 배출구
140 : 베어링 141 : 내륜
142 : 외륜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윤활유가 공급되는 윤활유 유입구 위치를 베어링의 앞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윤활유 유입구와 대향하는 베어링의 타 일 측 부분 앞 부분에는 윤활유 배출구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윤활유는 고온 환경에서는 점도가 낮기 때문에 빠르게 이동하므로 정체 현상이 없어 이동로를 거쳐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 사이로 유동하지 못하고 외륜 바깥쪽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097805A 2018-08-22 2018-08-22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KR102094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05A KR102094876B1 (ko) 2018-08-22 2018-08-22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05A KR102094876B1 (ko) 2018-08-22 2018-08-22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099A KR20200022099A (ko) 2020-03-03
KR102094876B1 true KR102094876B1 (ko) 2020-03-30

Family

ID=6993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805A KR102094876B1 (ko) 2018-08-22 2018-08-22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8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890A (ja) 2005-06-09 2006-12-21 Fuji Heavy Ind Ltd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2013011302A (ja) * 2011-06-29 2013-01-17 Toyota Motor Corp ディファレンシャルギヤ装置の潤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178A (ja) * 1998-02-17 1999-08-27 Nippon Seiko Kk 円筒ころ軸受装置
KR101396561B1 (ko) 2013-09-09 2014-05-20 주식회사 에코텍 차량 베어링의 가변예압을 이용한 연료 절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890A (ja) 2005-06-09 2006-12-21 Fuji Heavy Ind Ltd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2013011302A (ja) * 2011-06-29 2013-01-17 Toyota Motor Corp ディファレンシャルギヤ装置の潤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099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6257A (en) Variable speed accessory drive
CN102695898B (zh) 变速机构的润滑结构
CN106567921A (zh) 在齿轮啮合处减少油的可变挡板
JP2010525234A (ja) 寒冷気候でのターボシャフト・エンジンの始動方法とシステム
JP2005233426A (ja) 振動ダンパを備えたクラッチアセンブリー
US10465790B2 (en) Torque transmission arrangement, and drive module comprising same
US7757485B2 (en) Hydrodynamic coupling
EP2349768B1 (de) Hybridantriebseinrichtung
US20160121899A1 (en) System with slippable torque-transmission device connecting engine crankshaft and engine-driven component and vehicle
KR20160088240A (ko) 하이브리드 차의 구동 제어 시스템
KR20160144425A (ko) 클러치에 있어서의 냉각 구조
KR102094876B1 (ko) 자동차용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KR101602586B1 (ko) 클러치 유닛
US8342997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1620190B1 (ko) 하이브리드 오일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64757B1 (ko) 오일 윤활 구조를 갖춘 차량 동기장치
US20180323682A1 (en) Vehicle propulsion system and electric motor for a vehicle propulsion system
US20160047457A1 (en) Shaft supporting structure of belt-driv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140360835A1 (en) Fluid friction clutch
CN105987092A (zh) 变速操作装置、变速器及板
RU2714358C2 (ru) Привод вентилятор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9268263A (zh) 一种能够防止转子反转的油泵
US10436081B2 (en) Method for reducing noise of electric oil pump for vehicle
JP2009236233A (ja) 動力伝達装置
KR100828753B1 (ko) 무단 변속을 이용한 차량용 오일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