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818B1 -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818B1
KR102094818B1 KR1020190106876A KR20190106876A KR102094818B1 KR 102094818 B1 KR102094818 B1 KR 102094818B1 KR 1020190106876 A KR1020190106876 A KR 1020190106876A KR 20190106876 A KR20190106876 A KR 20190106876A KR 102094818 B1 KR102094818 B1 KR 102094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inwater
frame
rain water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종
Original Assignee
(주)이노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밴 filed Critical (주)이노밴
Priority to KR1020190106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산의 빗물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제거된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이에 우산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빗물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aratus for drying wet umbrell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산의 빗물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제거된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가 오는 날에 건물에 들어갈 때에는 우산에 묻은 빗물을 털어내고 건물 내부에 빗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우산에 비닐을 씌우게 된다.
상기한 우산에 묻은 빗물을 털어내기 위해서는 우산을 사용하는 사람이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우산을 흔들어서 빗물을 일부 털어내고, 상기한 우산을 비닐 봉지에 넣어서 건물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한 우산을 비닐 봉지에 넣는 것은 우산을 넣을 수 있게 길게 형성된 다수의 비닐봉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한 비닐 봉지에 하나씩 우산을 꽂을 수 있도록 설치된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는 비닐 꽂이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비가 오는 날에 우산에 묻은 빗물이 실내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비닐 봉지에 우산을 넣어서 들어가게 되면 우산에서 떨어진 빗물이 비닐 봉지에 비교적 많이 고이게 되고, 비닐 봉지가 파손되기라도 하면 실내에 많은 양의 빗물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등록실용 제20-0393832호에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우산을 세운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홈이 형성되고 내부 저면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부가 형성되고 이동홈 저면에 빗물이 흘러내리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한 저장부에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배수마개가 탈착되는 배수구멍과, 상기한 하우징에서 이동홈의 양측면에 교체 수단에 의해 설치됨과 아울러 우산이 이동할 때 우산과 접촉되면서 우산의 빗물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초극세사 타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종래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각 구성들의 결합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세척 및 건조가 어려워 부식이 발생하기 쉽고, 특히 우산과 물리적으로 접하게 되는 부분 등에 손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어, 구성의 교체, 건조, 청소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88873호 등록실용 제20-03938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산의 빗물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제거된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제거부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빗물제거부의 교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이에 우산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빗물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 중앙부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 개방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면에 타측에서 상기 배수구 측으로 하향기울기를 갖는 배수유도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부가 형성된 일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의 전후방 사이에는 상부면에 "U"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보호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제거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에 구비되는 흡수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판에는 날개부의 사이에 빗물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판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플레이트에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판은 후면에 "ㄱ" 형상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구가 고정 설치되는 "ㄴ" 형상의 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베이스부, 프레임부의 소재를 절단하는 소재절단단계와, 상기 소재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소재를 절곡하는 절곡단계와, 상기 절곡된 소재를 방청 가공하는 1차방청단계와, 상기 소재를 2차 방청 가공하는 2차방청단계와, 상기 소재를 조립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곡단계는 베이스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배수구 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가압하여 배수유도로를 형성하는 프레스단계와,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프레임을 절곡하는 벤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단계는 가이드부에 보호커버를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빗물제거부는 실리콘 사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립단계는 빗물제거부에 흡수패드가 조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우산의 빗물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제거된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제거부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빗물제거부의 교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베이스부의 배수유도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빗물제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빗물제거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베이스부의 배수유도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빗물제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빗물제거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우산의 빗물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제거된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5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200)와, 상기 프레임부(2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빗물제거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부(100)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50)를 지지하며, 후술할 빗물제거부(300)에 의해 우산에서 제거된 빗물을 취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빗물이 취수되는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 중앙부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 개방되어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배수구(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120)에는 밸브(122)가 구비되어 취수된 빗물을 선택적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베이스부(100)의 하부에는 이동바퀴(140)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부면에는 상기 배수구(120)측으로 하향기울기를 갖는 배수유도로(130)가 형성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배수유도로(13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배수구(120)가 형성된 타측의 양측 모서리에서 배수구(120)측으로 하향기울기를 갖도록 "V"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에 취수된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구(120)로 배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100)의 개방부(110)가 형성된 일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측면플레이트(210)와, 상기 측면플레이트(21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측면프레임(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200)의 사이로 우산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후술할 빗물제거부(300)에 의해 우산의 빗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측면플레이트(210)는 후술할 빗물제거부(3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100)에 일측 또는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래서, 빗물제거부(300)의 설치 및 교체시 상기 프레임부(200)를 회동시켜 측면플레이트(210)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함으로써 빗물제거부(300)의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220)은 상기 측면플레이트(2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측면플레이트(210)를 커버함으로써 측면플레이트(210)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빗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측면프레임(220)의 단부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200)의 전후방 사이에는 가이드부(23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부(230)는 프레임부(200)의 사이에 우산이 진입할 때 베이스부(100) 등에 우산이 부딪혀 베이스부(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30)의 상부면에는 "U" 형상의 가이드홈(232)이 형성되어 우산의 진입 시 걸림을 최소화하고, 가이드홈(232)에는 보호커버(234)가 구비되어 우산의 진입 시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가이드부(230)를 보호하고, 빗물의 접촉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빗물제거부(300)는 상기 프레임부(200)에 설치되는 설치판(310)과, 상기 설치판(310)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날개부(320)와, 상기 날개부(320)에 구비되는 흡수패드(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플레이트(210)에는 "ㄴ" 형상의 고정턱(212)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판(310)은 후면에는 상기 고정턱(212)에 대응되도록 "ㄱ" 형상의 고정구(316)가 구비되어 빗물제거부(300)를 상기 측면플레이트(2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판(310)에는 자석(312)이 구비되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측면플레이트(210)에 자성에 의해 부착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날개부(320)는 상기 설치판(310)의 일측면에 다수개가 일렬로 돌출형성되어 우산이 프레임부(200) 사이를 지나갈때 우산을 쓸어주어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빗물 제거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빗물제거부(300)의 설치판(310) 및 날개부(320)는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어 제조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판(310)의 날개부(320)가 형성된 사이에는 빗물유도홈(314)이 형성되어 날개부(320)에 의해 우산에서 제거된 빗물이 빗물유도홈(314)을 따라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판(310)이 빗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320)에는 흡수패드(330)가 구비되는데, 상기 흡수패드(330)는 극세사 직물재질로 형성되어 날개부(320)에 의해 우산에서 제거된 빗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50)의 제조방법은, 베이스부(100), 프레임부(200)의 소재를 절단하는 소재절단단계(S10)와, 상기 소재절단단계(S10)에서 절단된 소재를 절곡하는 절곡단계(S20)와, 소재를 서로 용접결합하는 용접단계(S30), 상기 절곡된 소재를 방청 가공하는 1차방청단계(S40)와, 상기 소재를 2차 방청하는 2차방청단계(S50)와, 상기 방청가공한 소재를 조립하는 조립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재절단단계(S10)는 베이스부(100), 프레임부(200)의 각 구성을 일정 크기 및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빗물제거부(300)의 설치판(310) 및 날개부(320)는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어 제조가 용이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절곡단계(S20)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부면에 배수유도로(130)를 형성하는 프레스단계(S21)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프레스단계(S21)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배수구(120)가 형성된 타측의 양측 모서리에서 배수구(120)측으로 하향기울기를 갖도록 "V" 형상으로 가압하여 배수유도로(13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곡단계(S20)에서는 상기 프레임부(200)의 측면프레임(220)을 절곡 형성하는 측면프레임 벤딩단계(S22)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프레임 벤딩단계(S22)는 상기 측면프레임(220)을 상기 측면플레이트(21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양단을 절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220)은 부식 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단계(S30)는 측면프레임(220)의 용접 및 베이스부(100) 용접, 베이스부(100)와 측면프레임(220)의 힌지용접, 측면플레이트(210)에 고정턱(121)용접, 설치판(310)에 곶어구(316) 용접 등 용접 부의의 용접을 한다.
다음, 상기 1차방청단계(S40)는 상기 베이스부(100), 프레임부(200)의 소재를 도금하여 빗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상기 2차방청단계(S50)는 상기 베이스부(100), 프레임부(200)의 각 부를 분체도장함으로써 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조립단계(S60)는 가공한 각 소재를 조립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100)에 프레임부(200)를 조립하고, 가이드부(230)에 보호커버(234)를 조립하며(S61), 빗물제거부(300)의 날개부재(320)에 흡수패드(330)를 조립하고(S62), 빗물제거부(300)를 프레임부(200)에 조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우산의 빗물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제거된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빗물제거부(300)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빗물제거부(300)의 교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산의 빗물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제거된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50: 우산 빗물 제거장치 100: 베이스부
110: 개방부 120: 배수구
122: 밸브 130: 배수유도로
140: 이동바퀴 200: 프레임부
210: 측면플레이트 220: 측면프레임
230: 가이드부 232: 가이드홈
234: 보호커버 300: 빗물제거부
310: 설치판 312: 자석
314: 빗물유도홈 316: 고정구
320: 날개부 330: 흡수패드

Claims (14)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이에 우산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빗물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빗물제거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에 구비되는 흡수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판에는 날개부의 사이에 빗물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 중앙부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 개방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면에 타측에서 상기 배수구 측으로 하향기울기를 갖는 배수유도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부가 형성된 일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의 전후방 사이에는 상부면에 "U"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보호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플레이트에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은 후면에 "ㄱ" 형상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구가 고정 설치되는 "ㄴ" 형상의 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10.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베이스부, 프레임부의 소재를 절단하는 소재절단단계와,
    상기 소재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소재를 절곡하는 절곡단계와,
    상기 절곡된 소재를 방청 가공하는 1차방청단계와,
    상기 소재를 2차 방청 가공하는 2차방청단계와,
    상기 소재를 조립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단계는 베이스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배수구 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가압하여 배수유도로를 형성하는 프레스단계와,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프레임을 절곡하는 벤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단계는 가이드부에 보호커버를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제거부는 실리콘 사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단계는 빗물제거부에 흡수패드가 조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제조방법.
KR1020190106876A 2019-08-29 2019-08-29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4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876A KR102094818B1 (ko) 2019-08-29 2019-08-29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876A KR102094818B1 (ko) 2019-08-29 2019-08-29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818B1 true KR102094818B1 (ko) 2020-03-31

Family

ID=7000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876A KR102094818B1 (ko) 2019-08-29 2019-08-29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067Y1 (ko) * 2020-10-14 2021-01-26 하상욱 우산 빗물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832Y1 (ko) 2005-05-31 2005-08-30 박진영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1173237B1 (ko) * 2012-01-16 2012-08-10 김광년 우산 빗물 제거기
KR20180032212A (ko) * 2018-01-12 2018-03-29 정태봉 물 털기 장치
KR200488873Y1 (ko) 2018-11-30 2019-04-01 이중용 우산 빗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832Y1 (ko) 2005-05-31 2005-08-30 박진영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1173237B1 (ko) * 2012-01-16 2012-08-10 김광년 우산 빗물 제거기
KR20180032212A (ko) * 2018-01-12 2018-03-29 정태봉 물 털기 장치
KR200488873Y1 (ko) 2018-11-30 2019-04-01 이중용 우산 빗물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067Y1 (ko) * 2020-10-14 2021-01-26 하상욱 우산 빗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4714B2 (en) Movable filter grid for a drain inlet
KR102094818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393832Y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1963564B1 (ko) 우산 탈수기
US20150305575A1 (en) Soap keeper
CN117526118B (zh) 一种防尘箱式变电站
KR200490191Y1 (ko)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US5797410A (en) Clear view wash shield
KR20200007407A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US20210364234A1 (en) Umbrella water removing apparatus
KR20180087271A (ko) 배수관 입구용 고정 구조를 가진 필터 망
CN108882824B (zh) 储藏容器,特别是一种储藏箱体
CN205851535U (zh) 玻璃基板切割除尘装置
US20090242441A1 (en) Paint Brush Protection Device
KR20049092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JP3951295B2 (ja) ヘアーキャッチャー
KR20080057911A (ko) 배수구의 머리카락 수거판
KR101331450B1 (ko) 신발주머니
KR20110100328A (ko)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JP3224504B2 (ja) 外壁の汚れ防止用水切り
TWI586875B (zh) A drain filter with a fixed structure
KR102029866B1 (ko) 우산 장착용 빗물받이
KR20200094923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210581213U (zh) 一种儿童鞋
TWI667396B (zh) 溝蓋防蚊防臭之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