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328A -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328A
KR20110100328A KR1020100019220A KR20100019220A KR20110100328A KR 20110100328 A KR20110100328 A KR 20110100328A KR 1020100019220 A KR1020100019220 A KR 1020100019220A KR 20100019220 A KR20100019220 A KR 20100019220A KR 20110100328 A KR20110100328 A KR 2011010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main body
coupled
foreign mat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한봉
Original Assignee
신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봉 filed Critical 신한봉
Priority to KR102010001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0328A/ko
Publication of KR2011010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5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 E01H1/056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having horizontal axes
    • B08B1/12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를 이동하며 도로의 바닥면에 있는 낙엽, 눈과 같은 이물질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로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바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바퀴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연결되어 도로의 바닥면 이물질을 쓸어내는 이물질제거부와,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를 통하여 유동되는 도로의 바닥면 이물질을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와 인접하게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도로를 이동하며 도로의 바닥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로써 도로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이동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로의 바닥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 및 배출부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도로의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둘째, 도로의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하여 이동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물질제거부와 배출부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며 상기 본체와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를 통하여 도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배출부가 보다 넓은 범위로 상,하 유동되게 하여 도로의 급격한 경사면 변화에도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어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도로의 바닥면 청소작업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도로의 급격한 변화에도 원활하게 대응하는 연결부를 통하여 도로의 바닥면 청소를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배출부의 급격한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이물질제거부와 배출부의 파손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이에 따른 비용 절감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조립,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체, 이물질제거부, 배출부, 가이드부의 구성으로 상기 본체, 이물질제거부, 배출부,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제작원가 절감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본체에 결합되는 배출부, 가이드부, 수거함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로의 바닥면 청소작업을 도로의 상태에 따라 편리하게 선택하여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DUST REMOVAL APPARATUS FOR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서, 도로를 이동하며 도로의 바닥면 이물질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란 인간이나 차가 다닐 수 있는 비교적 큰 길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도로는 산업의 발전에 따라 현대의 자동차 시대에 필요한 고속도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도로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인위적인 움직임을 통해서 청소하는 방법과 살수차와 같은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도로의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도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나무에서 나뭇잎이 많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각종 쓰레기와 나뭇잎 등을 도로 청소를 하는 작업자가 빗자루를 이용하여 쓸어담는 방법이 있었으며, 도로의 오염 상태가 심각한 경우에는 도로에 물을 뿌릴 수 있는 살수차를 이용하여 도로 표면 물청소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람의 인위적인 움직임을 통해서 도로를 청소하는 종래의 청소 방법은 청소를 하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며 청소를 이룰 수 있는 본연의 목적은 이룰 수 있으나 도로 청소의 작업시간이 증대될 수 있고 도로를 청소하는 작업자의 피로누적에 따라 도로 청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었다.
또한, 과다한 육체노동 강도로 인하여 도로를 청소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청소를 이루고 난 뒤에도 지속적으로 더러워지는 도로 상태에 따라 도로 청소를 기피하는 문제 또한 발생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의 살수차를 이용한 물청소 방법은 여름과 같이 도로에 뿌려진 물이 손쉽게 증발될 수 있는 경우에는 도로 청소 본연의 목적을 이룰 수 있지만 봄이나 겨울과 같이 도로에 뿌려진 물이 얼어버릴 수 있는 경우에는 도로 청소를 수행하기가 어렵고 청소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청소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의 인위적인 청소방법 또는 살수차를 이용한 청소방법은 겨울철에 자주 내리는 눈으로 인하여 도로의 바닥면에 눈이 쌓이는 경우에는 도로의 바닥면에 있는 눈을 손쉽게 제거한 후 도로 청소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를 청소하고자 할 때 도로를 이동하며 도로의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격한 도로의 상태 변화에도 손상됨이 없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고, 파손의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도로 바닥면 청소를 이룰 수 있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바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바퀴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연결되어 도로의 바닥면 이물질을 쓸어내는 이물질제거부와,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를 통하여 유동되는 도로의 바닥면 이물질을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와 인접하게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출부를 감싸는 판 형상의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공이 구비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결합돌기가 체결볼트를 통하여 결합되는 제1결합공이 구비된 박스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배출부를 도로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상태가 조절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와 가이드부 간의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의 체결공이 상기 케이스의 제1결합공과 대응되게 위치된 후 체결불트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연결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연결프레임과, 제2결합공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에 개재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물질제거부 또는 배출부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상기 케이스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베어링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공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프레임과 베어링에 개재되도록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2결합공에 결합 된 상기 고정바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베어링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양측에 구비된 바 형상의 제1회전바와, 상기 제1회전바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브러쉬부와,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도로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시, 상기 제1회전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베어링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양측에 구비된 바 형상의 제2회전바와, 상기 제2회전바의 길이방향 일측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게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배출스크류와, 상기 체결돌기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도로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시, 상기 제2회전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바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외측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배출부와 가이드부를 분리한 후 수거함이 착탈 가능하게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거함은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내측에 열선이 구비되고, 체결홈이 형성된 수거통과,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수거통의 하단에 구비되는 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함과 본체 간의 결합시, 상기 수거통의 체결홈이 상기 케이스의 관통공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결합 된 후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후방에 연결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본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손잡이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도로를 이동하며 도로의 바닥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로써 도로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이동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로의 바닥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 및 배출부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도로의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둘째, 도로의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하여 이동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물질제거부와 배출부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며 상기 본체와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를 통하여 도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배출부가 보다 넓은 범위로 상,하 유동되게 하여 도로의 급격한 경사면 변화에도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어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도로의 바닥면 청소작업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도로의 급격한 변화에도 원활하게 대응하는 연결부를 통하여 도로의 바닥면 청소를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배출부의 급격한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이물질제거부와 배출부의 파손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이에 따른 비용 절감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조립,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체, 이물질제거부, 배출부, 가이드부의 구성으로 상기 본체, 이물질제거부, 배출부,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제작원가 절감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본체에 결합되는 배출부, 가이드부, 수거함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로의 바닥면 청소작업을 도로의 상태에 따라 편리하게 선택하여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요부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요부발췌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인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10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로(10)의 바닥면(11)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바퀴(100-1)가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바퀴(11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연결되어 도로(10)의 바닥면(11) 이물질(20)을 쓸어내는 이물질제거부(200)와,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를 통하여 유동되는 도로(10)의 바닥면(11) 이물질(20)을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300)와, 상기 배출부(300)와 인접하게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30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이물질(20)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배출부(300)를 감싸는 판 형상의 가이드판(410)과, 상기 가이드판(41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4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4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부(300)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돌기(420)는 상기 본체(100)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P)가 관통 결합 될 수 있는 체결공(421)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판(410)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부(300)의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100)에 결합 구성되어 상기 배출부(3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도로(10) 바닥면(11)의 이물질(20)이 상기 배출부(300)의 하단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즉, 상술한 이물질제거부(200)를 통하여 제거되는 도로(10) 바닥면(11)의 이물질(20)이 상기 배출부(30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판(410)을 통하여 상기 배출부(300)의 하단으로 떨어질 수 있는 이물질(20)이 상기 배출부(300)로 다시 이동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출부(300)와 가이드판(410)의 형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배출부(300)의 형상을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홈(321)을 갖는 나선형의 스크류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로부터 이동되는 이물질(20)을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밀어낼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을 적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체결공(421)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결합공(110a)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421)과 제1결합공(110a)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P)를 통하여 상기 결합돌기(4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박스형상의 케이스(110)와,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와 배출부(300)를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와 배출부(300)가 안정적으로 결합 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케이스(110)가 도로(10)의 바닥면(11) 상부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을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20)는 도 1, 도 3, 도 4,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에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가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를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케이스(110)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가 원활하게 유동 될 수 있도록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10)에는 도 3, 도 4,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를 원활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120)가 안착 결합 되어 고정될 수 있는 연결프레임(111)을 설치 구성하고, 상기 연결프레임(111)에는 제2결합공(112a)이 구비된 고정프레임(112)을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연결프레임(111)과 고정프레임(112)을 통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를 상기 케이스(110)에 원활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121)과, 상기 베어링(121)을 상기 고정프레임(112)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고정바(122)와, 상기 고정바(122)에 결합되는 스프링(123)과, 상기 고정바(1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12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124)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베어링(121)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11)의 중심부에 개재되도록 설치 구성되고, 상기 고정바(122)는 상기 베어링(121)이 상기 연결프레임(111)의 중심부에 위치된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12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12)에 구비된 제2결합공(112a)에 관통 결합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12)의 제2결합공(112a)에 상기 고정바(122)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베어링(121)의 사이에 t상기 스프링(123)이 결합 되도록 설치 구성하고, 상기 제2결합공(112a)을 관통한 상기 고정바(122)의 일측에는 상기 조절나사(124)가 결합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3, 도 4,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120)에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가 결합 된 후에라도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가 도로(10)의 바닥면(11)과 이격되는 거리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활하게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12)에 결합된 고정바(122)와 상기 고정바(122)의 일측에 결합 된 상기 조절나사(124)의 결합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정바(122)가 상기 고정프레임(112)에 결합되는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고정바(122)의 유동에 대응되게 유동되는 베어링(121)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즉, 상기 베어링(121)을 통하여 결합되는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4에서와 같이, 도로(10)의 바닥면(11)에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의 일측이 밀착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스프링(123)이 상기 베어링(121)과 고정프레임(112)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바(122)를 감싸도록 결합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부(120) 전체적인 상,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상기 연결부(120)에 결합 된 이물질제거부(200)가 도로(10)의 바닥면(11)에 원활하게 밀착 된 상태로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122)에 결합 된 조절나사(124)의 결합상태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바(122)가 상기 연결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바(122)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바(122)와 연결된 베어링(121)이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베어링(121)에 결합 된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가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100)가 이동하더라도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는 도로(10)의 바닥면에 닿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연결프레임(111) 및 고정프레임(112)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120)의, 베어링(121), 고정바(122), 스프링(123), 조절나사(124)가 상기 본체(100)의 케이스(110)에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에서도 상,하 유동이 원활하게 설치 구성됨으로써 상기 베어링(121)에 결합되는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의 상,하 유동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로(10)의 바닥면(11)을 청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가 상기 연결부(120)의 스프링(123)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되며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어 도로(10)의 급격한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베어링(121)은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가 결합 된 후에 원활하게 회전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베어링(121)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프레임(111)과 고정프레임(112)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120)를 상기 본체(100)의 케이스(110)에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서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상기 배출부(300)가 원활하게 상,하 유동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111) 및 고정프레임(112)의 형상은 물론이고 상기 케이스(110)의 구성 또한 원활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 더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120)의 베어링(121)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돌기(211)가 양측에 구비된 바 형상의 제1회전바(210)와, 상기 제1회전바(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브러쉬부(220)와, 상기 결합돌기(211)의 끝단에 결합되는 회전체(230)로 구성한다.
상기 제1회전바(2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20)의 베어링(121)에 결합 된 후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121)에 결합 될 수 있는 결합돌기(211)가 양측에 구비되어 구성되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211)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120)의 베어링(121)에 결합 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위치에 결합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브러쉬부(22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회전바(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23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120)의 베어링(121)에 관통 결합 된 상기 제1회전바(210)의 결합돌기(211) 끝단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본체(100)가 도로(10)의 바닥면(11)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바퀴(100-1)의 회전방향과 대응되게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바(2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회전바(210)의 결합돌기(211)는 상기 연결부(120)의 베어링(121)에 견고하게 관통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121)과 대응되는 회전방향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121)을 관통한 상기 제1회전바(210)의 결합돌기(211)에는 상기 회전체(230)가 결합 구성되어 상기 제1회전바(210), 베어링(121), 회전체(230)가 대응되는 회전방향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회전바(210)의 결합돌기(211)에 결합 된 상기 회전체(230)가 상술한 연결부(120)의 상,하 작용을 통하여 도로(10)의 바닥면(11)과 밀착되게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2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어링(121)과 결합돌기(211)가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제1회전바(21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회전바(21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회전바(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브러쉬부(220)가 상기 제1회전바(2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로(10)의 바닥면(11)과 밀착된 상태로 이물질(20)을 쓸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체(230)는 상기 제1회전바(210)의 결합돌기(211)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연결프레임(111)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어링(121)이 상,하 유동되게 조절하는 경우 도로(10)의 바닥면(11)과 밀착 또는 이격된 상태를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그 형상 및 크기를 선택하여 결합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회전바(2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홈(212)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브러쉬부(220)는 상기 제1회전바(210)의 결합홈(2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부(221)와, 상기 안착부(221)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브러쉬(2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바(2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상기 브러쉬부(22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브러쉬부(220)가 도로(10)의 바닥면(11)을 쓸어내는 작업중에 손상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손상된 브러쉬부(220) 만을 상기 제1회전바(210)에서 분리 한 후 새로운 브러쉬부(220)를 결합함으로써 편리하고 원활하게 도로(10)의 바닥면(11) 청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브러쉬부(220)의 안착부(221)는 상기 제1회전바(210)의 결합홈(212)에 상기 브러쉬부(220)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형태로서 상기 제1회전바(210)의 결합홈(212)과 상기 브러쉬부(220)의 안착부(22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상 및 결합 형태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러쉬부(220)와 상기 안착부(221)의 외측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브러쉬(222)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바(210) 및 안착부(221)는 금속, 플라스틱,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브러쉬(222)는 도로(10)의 바닥면(11)을 원활하게 쓸어내면서도 도로(10)의 바닥면(11)과 밀착되는 경우 탄성력을 형성하여 손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연결부(120)의 베어링(121)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돌기(311)가 양측에 구비된 바 형상의 제2회전바(310)와, 상기 제2회전바(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가이드홈(321)을 형성하며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배출스크류(320)와, 상기 체결돌기(311)의 끝단에 결합되는 회전체(3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부(300)의 제2회전바(310), 회전체(330)는 상술한 이물질제거부(200)의 제1회전바(210) 및 회전체(230)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의 일측과 인접하게 설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회전바(3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출스크류(320)는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의 브러쉬부(220)를 통하여 제거되는 도로(10)의 바닥면(11) 이물질(20)이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물질(20)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홈(321)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회전바(310)의 체결돌기(311)에 결합 된 회전체(330)의 회전방향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케이스(110) 내측에 설치 구성된 상기 이물질제거부(200)가 회전하여 도로(10)의 바닥면(11)에 있는 이물질(20)을 제거한 후에는 상기 배출스크류(320)의 방향으로 이물질(20)을 전달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배출스크류(32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로 부터 전달된 이물질(20)이 상기 배출스크류(320)의 가이드홈(321)을 따라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 밀려나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배출부(300)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기 배출스크류(320)가 가이드홈(321)을 갖는 나선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2회전바(310)와 회전체(330)가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배출스크류(320)로 전달된 이물질(20)이 상기 배출스크류(320)의 나선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배출스크류(320)의 하단을 감싸도록 설치 구성된 가이드부(400)를 통하여 상기 배출스크류(320)의 가이드홈(321)을 따라 이동되는 이물질(20)을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밀어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부(300)의 제2회전바(310), 배출스크류(320), 회전체(330)는 상술한 이물질제거부(200)의 제1회전바(210), 회전체(230)의 구성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바(310)의 체결돌기(311)가 상기 연결부(120)의 베어링(121)에 견고하게 관통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121)과 제2회전바(310)가 대응되는 회전방향을 이룰 수 있도록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121)을 관통한 상기 체결돌기(311)에는 상기 회전체(330)가 대응되는 회전방향을 이루도록 결합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2회전바(310), 배출스크류(320), 회전체(330)가 상기 회전체(330)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회전 방향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본체(100), 이물질제거부(200), 배출부(300), 가이드부(40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도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를 통하여 도로(10)의 바닥면(11) 이물질(20)을 원활하게 제거하고, 상기 배출부(300)를 통하여 제거된 이물질(20)을 도로(10)의 가장자리 쪽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출부(300)를 적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은 겨울철에 도로(10)의 바닥면(11)에 눈과 같은 이물질(20)이 쌓여 도로(10)의 통행이 방해되는 경우 이를 제거하여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도로(10)의 바닥면(11)에 낙엽과 같은 이물질(20)이 쌓여 이러한 이물질(20)을 제거한 후 저장하여 일정한 장소로 이송한 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후술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적용하여 도로 청소를 이룰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10)의 바닥면(11)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바퀴(100-1)가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바퀴(11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연결되어 도로(10)의 바닥면(11) 이물질(20)을 쓸어내는 이물질제거부(200)와,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를 통하여 유동되는 도로의 바닥면(11) 이물질(20)을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300)와, 상기 배출부(300)와 인접하게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30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이물질(20)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부(300)와 가이드부(400)를 분리한 후 수거함(500)이 착탈 가능하게 더 결합되도록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거함(500)은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수거통(510)과, 상기 수거통(5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돌출판(520)으로 구성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거통(510)을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수거함(510)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를 통하여 제거되는 이물질(20)이 상기 수거통(51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거통(510)에는 열선(510b) 및 체결홈(510a)이 구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로(10)의 바닥면(11)에 쌓인 눈이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를 통하여 상기 수거통(510)으로 담겨지는 경우에는 상기 수거통(510)에 담긴 눈이 얼어붙어 제거하기 힘든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체결홈(510a)에 결합되는 체결볼트(P)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케이스(1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케이스(110)에는 상기 체결홈(510a)과 대응되는 관통공(112b)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거함(500)과 본체(100) 간의 결합시, 상기 수거통(510)의 체결홈(510a)이 상기 케이스(110)의 관통공(112b)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결합 한 후 상기 관통공(112b)에 결합되는 체결볼트(P)를 통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돌출판(520)이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의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수거통(510)의 하단에 설치 구성됨으로써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를 통하여 제거되는 도로(10)의 바닥면(11) 이물질(200)이 상기 돌출판(520)을 따라 상기 수거통(51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즉, 도로(10)의 바닥면(11)에 쌓인 이물질(20)을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를 통하여 쓸어낸 후 상기 배출부(300)를 통하여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거함(500)을 통하여 도로(10)의 바닥면(11)에서 제거된 이물질(20)을 분리 저장한 후 일정한 장소로 이동하여 분리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구성에서 상기 본체(100), 이물질제거부(20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 적용된 본체(100), 이물질제거부(200)의 구성과 동일하고, 그 작용 또한 동일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차량(600)의 후방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130)와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손잡이(14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40)는 작업자가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며 작업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140)를 파지하여 편리하게 도로 청소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연결고리(130)는 작업자가 상기 본체(100)를 직접 이동시키지 않아도 차량(600)의 후방에 상기 연결고리(13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본체(100)가 차량(600)의 이동을 통하여 이동되며 도로(10) 바닥면(11) 청소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낙엽이나 먼지등이 도로(10)의 가장자리에 쌓이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며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켜 도로 청소를 이룰 수 있는 것이며, 도로(10)에 눈이 쌓여 작업자가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차량(600)의 후방에 상기 연결고리(13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를 결합하고 차량(600)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가 이동되도록 하여 도로(10)의 바닥면(11) 청소를 이룸으로써 효율적인 도로 청소 작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제1 실시예, 제2실시예는 물론이고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며 도로(10)의 바닥면(11) 이물질(20)을 제거하는 작업방법은 도로(10)의 상태와 날씨등에 따라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130)를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100)에 결합 된 상태로 차량(600)의 후방에 상기 본체(10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체인, 끈, 고리는 물론이고 그 형상 및 구성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나 작업환경등에 따라 사용자가 원활하게 작업방법을 선택하여 도로의 바닥면 청소 작업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로의 바닥면에 쌓인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서도 원활한 작업방법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로의 바닥면 청소 작업을 원활하고 편리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도로 11: 바닥면
20: 이물질 100: 본체
100-1: 바퀴 110: 케이스
110a: 제1결합공 111: 연결프레임
112: 고정프레임 112a: 제2결합공
112b: 관통공 120: 연결부
121: 베어링 122: 고정바
123: 스프링 124: 조절나사
130: 연결고리 140: 손잡이
200: 이물질제거부 210: 제1회전바
211: 결합돌기 212: 결합홈
220: 브러쉬부 221: 안착부
222: 브러쉬 230,330: 회전체
300: 배출부 310: 제2회전바
311: 체결돌기 320: 배출스크류
321: 가이드홈 400: 가이드부
410: 가이드판 420: 결합돌기
421: 체결공 500: 수거함
510: 수거통 510a: 체결홈
510b: 열선 520: 돌출판
600: 차량 P: 체결부재

Claims (9)

  1. 도로(10)의 바닥면(11)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바퀴(100-1)가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바퀴(11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연결되어 도로(10)의 바닥면(11) 이물질(20)을 쓸어내는 이물질제거부(200)와,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를 통하여 유동되는 도로의 바닥면(11) 이물질(20)을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300)와,
    상기 배출부(300)와 인접하게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30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이물질(20)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배출부(300)를 감싸는 판 형상의 가이드판(410)과, 상기 가이드판(41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공(421)이 구비된 결합돌기(4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결합돌기(420)가 체결볼트(P)를 통하여 결합되는 제1결합공(110a)이 구비된 박스형상의 케이스(110)와,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와 배출부(300)를 도로(10)의 바닥면(11)과 밀착되는 상태가 조절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와 가이드부(400) 간의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420)의 체결공(421)이 상기 케이스(100)의 제1결합공(110a)과 대응되게 위치된 후 체결불트(P)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연결부(12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연결프레임(111)과,
    제2결합공(112a)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11)에 개재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12)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이물질제거부(200) 또는 배출부(300)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121)과,
    상기 베어링(121)을 상기 고정프레임(112)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베어링(121)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공(112a)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바(122)와,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베어링(121)에 개재되도록 상기 고정바(122)에 결합되는 스프링(123)과,
    상기 제2결합공(112a)에 결합 된 상기 고정바(1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12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는
    상기 베어링(121)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돌기(211)가 양측에 구비된 바 형상의 제1회전바(210)와,
    상기 제1회전바(21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브러쉬부(220)와,
    상기 결합돌기(211)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가 도로(10)의 바닥면(11)을 따라 이동할 시, 상기 제1회전바(2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체(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베어링(121)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돌기(311)가 양측에 구비된 바 형상의 제2회전바(310)와,
    상기 제2회전바(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가이드홈(321)을 형성하게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배출스크류(320)와,
    상기 체결돌기(311)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가 도로(10)의 바닥면(11)을 따라 이동할 시, 상기 제2회전바(2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바(2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부(220)는
    상기 결합홈(2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부(221)와,
    상기 안착부(221)의 외측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브러쉬(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상기 배출부(300)와 가이드부(400)를 분리한 후 수거함(500)이 착탈 가능하게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500)은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내측에 열선(510b)이 구비되고, 체결홈(510a)이 형성된 수거통(510)과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의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수거통(5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돌출판(52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체결홈(510)과 대응되는 관통공(112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함(500)과 본체(100) 간의 결합시, 상기 수거통(510)의 체결홈(510a)이 상기 케이스(110)의 관통공(112b)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결합 된 후 상기 관통공(112b)에 결합되는 체결볼트(P)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차량(600)의 후방에 연결되는 연결고리(130)와,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손잡이(14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00019220A 2010-03-04 2010-03-04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100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20A KR20110100328A (ko) 2010-03-04 2010-03-04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20A KR20110100328A (ko) 2010-03-04 2010-03-04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328A true KR20110100328A (ko) 2011-09-14

Family

ID=4495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220A KR20110100328A (ko) 2010-03-04 2010-03-04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03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52B1 (ko) * 2012-06-08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 주행형 로봇장치
KR200483466Y1 (ko) * 2016-10-20 2017-05-18 김수빈 고양이용 배변 처리기구
KR102118684B1 (ko) * 2019-09-03 2020-06-26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의 벽면 청소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52B1 (ko) * 2012-06-08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 주행형 로봇장치
KR200483466Y1 (ko) * 2016-10-20 2017-05-18 김수빈 고양이용 배변 처리기구
KR102118684B1 (ko) * 2019-09-03 2020-06-26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의 벽면 청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0704A1 (en) Cleaning device
US4561145A (en) Continuous sweep for road planing and milling machines
US20170247846A1 (en) Road Sweeping Apparatus With Disposable Bag Mounted
US8012265B2 (en) Concrete/asphalt wet washing system
CN109162235A (zh) 一种用于道路清扫车的清扫机构
KR20110100328A (ko) 도로 바닥면 이물질 제거장치
CN211228309U (zh) 一种沥青路面养护装置
KR102118684B1 (ko) 도로 터널의 벽면 청소 장치
KR101319394B1 (ko) 줄눈부 보수용 진공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줄눈부 보수공법
US20130139332A1 (en) Device for cleaning a rain gutter
US20170056938A1 (en) Device for clearing an area around elevated objects
CN113529624A (zh) 一种用于街道清洗的路面干洗车
US7578885B2 (en) Concrete/asphalt wet washing system
CN209733863U (zh) 一种具有铲除功能的装修施工用垃圾清理装置
KR101976486B1 (ko) 먼지 비산 방지구조를 갖는 측구청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청소차
US20070277402A1 (en) Portable ice resurfacing device and method
CN110067224A (zh) 扫地车
US9422682B2 (en) Box broom sweeper with an adjustable bottom surface attachment
US20110011428A1 (en) Automatic chain cleaner for bicycles
KR101042566B1 (ko) 백필터장치가 설치된 도로 분진 흡입청소차
RU2709699C1 (ru) Руч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метла для уборки снега, льда, воды, земли, листьев и мусора
CN110788030A (zh) 一种便于收料的化工原料清除装置
JP2016048005A (ja) 芝生清掃車
KR20100003108U (ko) 건축구조물 표면청소용 브러시
CA2498582A1 (en) Turf sweeper and debris removal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