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493B1 - Smartphone holder system - Google Patents

Smartphone hold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493B1
KR102094493B1 KR1020180121950A KR20180121950A KR102094493B1 KR 102094493 B1 KR102094493 B1 KR 102094493B1 KR 1020180121950 A KR1020180121950 A KR 1020180121950A KR 20180121950 A KR20180121950 A KR 20180121950A KR 102094493 B1 KR102094493 B1 KR 10209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holder
camera
smart phone
rot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민규
강준모
김세현
김상형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1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4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4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holder system comprises: a smartphone holder including a smartphone holder portion and a nut portion; a first smartphone including a camera; and a second smartphone including a touch screen. The first smartphone can be mounted on the smartphone holder por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The nut por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can be coupled to a tripod. The smartphone holder can be rotated in three axes with respect to the nut portion. The first smartphone can transmit, to the smartphone holder, a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for the smartphone holder.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first smartphon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smartphone. The second smartphone can transmit, to the first smartphone, an image adjustment command for adjust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first smartphone and the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through changes in the positions of two contact point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The first smartphone can adjus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ccording to the received image adjustment command and can transmit the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to the smartphone holder. The smartphone holder adjusts the 3-axis rotation angle of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received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Therefore, the smartphone holder system can adjust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a smartphone in three axes.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SMARTPHONE HOLDER SYSTEM}Smartphone holder system {SMARTPHONE HOLDER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촬영영상을 원거리에서 조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cradl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phone cradle system that can remotely adjust a photographed image of a smart phone.

최근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자신의 사진을 찍는 경우가 많다.Recently, a smartphone camera is often used to take a picture of itself.

손으로 자신의 스마트폰을 잡고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경우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만 찍을 수 있다. If you take a picture of yourself while holding your smartphone with your hand, you can only shoot from a very close distance.

그러나 사진을 2 ~ 5 m 정도의 거리에서 찍어할 필요도 있는데, 이런 경우 셀카봉이나 삼각대를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take pictures at a distance of about 2 to 5 m, in which case a selfie stick or tripod is usually used.

그런데 셀카봉은 근접촬영만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삼각대에 스마프폰을 고정하고 타이머를 이용하는 경우, 비교적 먼 거리에서 촬영이 가능할 수는 있으나 촬영화면을 확인하면서 스마트폰의 촬영각도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다.However, selfie sticks have the disadvantage that only close-ups are possible. When fixing the smartphone on a tripod and using a timer, it may be possible to shoot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but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shooting angle of the smartphone while checking the shooting scree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를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특허문헌 1의 거치대는, 원하는 위치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외부 단말기의 무선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되는 방향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회전되도록 거치부에 내장된 정역회전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의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와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외부 단말기는 다른 스마트폰이 될 수도 있다.The cradle of patent document 1 is fixed to a desired position or fixed to a fixed position, and is freely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art, and a smart phone is mounted on the fixed part and a wireless remote control of an external terminal to the smart phone.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phone, a motor driving unit for driving a forward-reverse rotation motor built in the mounting unit so that the mounting unit rotat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receiving unit According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driving unit,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driving unit and the smartphone. At this time, the external terminal may be another smartphone.

즉 사진을 촬영하는 스마트폰은 거치대에 거치하고, 그 스마트폰은 그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변경하는 신호를 거치대에 보낼 수 있다. 그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으려는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예를 들면, 다른 스마트폰)으로 거치대 각도를 조절하는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사진을 촬영하는 스마트폰의 촬영 방향을 원거리에서 조절할 수 있다.That is, a smartphone for taking a picture is mounted on a cradle, and the smartphone can send a signal to the cradle to change the cradle angle of the cradle. A user who wants to take a picture with the smartphone can remotely control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smartphone taking the picture by sending a command to adjust the cradle angle to an external terminal (for example, another smartphone).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거치대는 1축 각도만 조절 가능하고 촬영 영상을 조정하기에 불편하다.However, the cradle of Patent Document 1 can only adjust the 1-axis angle and is inconvenient to adjust the captured image.

KR 10-2015-0075470 A (공개일: 2015.07.06.)KR 10-2015-0075470 A (Publication date: 2015.07.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는 하는 과제는, 3축으로 스마트폰의 촬영방향을 조정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촬영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holde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martphone in three axes and more conveniently adjust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smartphone.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은, 스마트폰 거치부와 너트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카메라가 포함된 제1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제2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스마트폰 거치부에 거치 가능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너트부는 삼각대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는 상기 너트부를 기준으로 3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스마트폰 거치대의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에는 제1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스마트폰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는 2개의 접촉점의 위치 변화를 통해 제1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조정하는 영상 조정 명령과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을 제1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마트폰은 전송받은 영상 조정 명령대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조정하고,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을 스마트폰 거치대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전송받은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에 따라 스마트폰 거치대의 3축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mart phone crad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hone cradle including a smart phone mounting portion and a nut portion; A first smartphone including a camera; A second smart phone including a touch screen; including, the first smart phone can be mounted on the smart phone mount of the smart phone holder, the nut part of the smart phone holder can be combined with a tripod, the smart phone The mounting portion is rotatable in three axes based on the nut portion, and the first smartphone is capable of transmitting a command for adjusting the three-axis rotation angle of the smartphone holder to the smartphone holder, and is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smartphone. An image adjustment command to adjust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of the first smartphone through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two contact points that touch the touch screen, and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of the 1 smartphone is displayed. And a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martphone, and the first smartphone may transmit the command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received video adjustment comm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hotographed image, and transmit a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to the smartphone holder, wherein the smartphone holder adjusts the 3-axis rotation angle of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received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do.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은, 스마트폰 거치부와 너트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카메라와 스크린이 포함된 제1 스마트폰;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2개의 손가락 착용물을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착용물은 손가락에 끼울 수 있고, 한쪽 면에는 인식 마커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제1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스마트폰 거치부에 거치 가능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너트부는 삼각대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는 상기 너트부를 기준으로 3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사용자는 상기 손가락 착용물의 위치와 방향을 조정하여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의 영상 조정 명령과 스마트폰 거치대의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을 상기 제1 스마트폰에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제 1스마트폰은 상기 손가락 착용물에 표시된 인식 마커의 위치 변화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영상 조정 명령과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을 인식한 후, 상기 영상 조정 명령대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조정하고 상기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전송받은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에 의해 스마트폰 거치대의 3축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mart phone crad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hone cradle including a smart phone holder and a nut portion; A first smartphone including a camera and a screen; It includes two finger wears that can be fitted on the finger, the finger wears can be put on the finger, a recognition marker is displayed on one side, and the first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holder of the smartphone holder. Mountable, the nut por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can be combined with a tripod, the smartphone holder is rotatable in three axes relative to the nut portion, the user adjust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inger wear to shoot the camera An image adjustment command of a video to be imaged and a command to adjust a 3-axis rotation angle of a smartphone holder can be input to the first smartphone, and the first smartphone is input by a user from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marker displayed on the finger worn object After recognizing the video adjustment command and the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adjust the captured imag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video adjustment command. And the three-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holder, the smartphone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three-axis rotation angle of the smartphone holder by the received three-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은, 3축으로 스마트폰의 촬영방향을 조정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촬영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smartphone hol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martphone in three axes, and can more conveniently adjust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smartpho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의 실시예 1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실시예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1 회전 방향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2 회전 방향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3 회전 방향
도 5는 하부받침의 사시도의 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의 실시예 1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도 5의 제1 스마트포의 2개의 터치 포인트의 예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의 실시예 1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의 실시예 2의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손가락 착용물의 실시예
1 is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holder of Example 1 of a smartphone hol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irst rotation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of FIG. 1
3 is a second rotation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of FIG. 1
4 is a third rotation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of FIG. 1
5 is an example of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upport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Embodiment 1 of a smartphone crad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two touch points of the first smart phone of FIG. 5;
8 is a block diagram of Embodiment 1 of a smartphone crad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Embodiment 2 of a smartphone crad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mbodiment of the finger wear of Figure 9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1의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은 스마트폰 거치대, 제1 스마트폰, 제2 스마트폰을 포함한다.The smartphone holder system of Example 1 includes a smartphone holder, a first smartphone, and a second smartphone.

제1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거치하고, 제1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제2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다. 제2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제2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을 2개의 손가락으로 터치하면서, 제1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조정하는 명령과 스마트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smartphone is mounted on a smartphone cradle,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first smartphon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smartphone. The user of the second smartphone is allowed to input a command for adjust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and a command for adjusting the mounting angle of the smartphone holder while touching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smartphone with two fingers.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의 실시예 1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실시예이다.1 is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holder of Example 1 of a smartphone hol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폰 거치대(100)은 스마트폰 거치부(110), 상부 서포터(120), 중부 서포터(130), 하부 서포터(140), 하부 받침(150)을 포함한다.The smartphone holder 100 includes a smartphone holder 110, an upper supporter 120, a middle supporter 130, a lower supporter 140, and a lower support 150.

스마트폰 거치부(110)는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부분이다. 도 1의 스마트폰 거치는 흡착판(빨판)으로 되어 있어서, 스마트폰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거칠할 수 있다.The smartphone holder 110 is a portion that mounts the smartphone. Since the smartphone holder of FIG. 1 is an adsorption plate (suckle plate), it may be rough by attaching a smartphone.

스마트폰 거치부(110)는 상부 서포터(120)와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채로 회전할 수 있다. 스마트폰 거치부(110)가 상부 서포터(120)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을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1 회전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1 회전 방향이다.The smartphone holder 11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er 120 and can be rotated while connec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martphone holder 1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pporter 12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rotation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FIG. 2 is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of FIG. 1.

상부 서포터(120)는 중부 서포터(130)와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채로 회전할 수 있다. 상부 서포터(120)가 중부 서포터(130)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을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2 회전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2 회전 방향이다.The upper supporter 12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upporter 130 and can be rotated while connec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pporter 120 rotates relative to the central supporter 13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3 is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of FIG. 1.

중부 서포터(130)는 하부 서포터(140)과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채로 회전할 수 있다. 중부 서포터(130)가 하부 서포터(140)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을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3 회전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3 회전 방향이다.The central supporter 13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er 140 and can be rotated while connec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ral supporter 130 rotates relative to the lower supporter 140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4 is a third rotation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of FIG. 1.

도 5는 하부받침의 사시도의 예이다. 5 is an example of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upport.

하부받침(150)의 양쪽으로 하부 받침 날개부(151)이 형성되어 있다.Lower support wing portions 15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 150.

하부받침(150)은 하부 서포터(14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The lower support 15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er 140.

하부받침(150)의 중심의 하부에는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lower support 150 is formed with a nut.

너트부를 카메라를 삼각대에 고정하기 위해 카메라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와 동일하다.The nut part is the same as the nut par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mera for fixing the camera to a tripod.

일반적으로 삼각대에는 돌출된 볼트부가 형성되어 있고, 카메라의 하부에는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삼각대의 볼트부를 카메라의 너트부에 삽입한 후 카메라를 회전시켜 단단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를 삼각대 위에 고정할 수 있다.In general, a protruding bolt portion is formed on a tripod, and a nut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mera. Therefore, the camera can be fixed on the tripod by inserting the bolt portion of the tripod into the nut portion of the camera and rotating the camera so that it is tightly coupled.

하부받침(150)의 중심의 하부에도 일반 카메라의 너트부와 동일한 형상의 너트부가 있어서, 하부받침(150)을 삼각대 위해 고정할 수 있다.There is also a nut portion of the same shape as the nut portion of the general camera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lower base 150, so that the lower base 150 can be fixed for a tripod.

삼각대가 없는 경우,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도 1과 같이, 세워둘 수도 있다.If there is no tripod, the smartphone holder 100 may be placed as shown in FIG. 1.

하부받침(150)은 하부 서포터(140)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도 1과 같이, 하부 받침(150)과 하부 서포터(140)가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쉽게 세울 수도 있다.The lower support 150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lower supporter 140. Therefore, the smartphone holder 100, as shown in Figure 1, the lower base 150 and the lower supporter 140 can be made to stand up easily by forming a 90-degree angle.

그리고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거치대로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는 동안에는 하부 받침(150)과 하부 서포터(140)가 평행하도록 회전시켜, 부피를 줄일 수 있다.And while carrying the smartphone cradle 100 without using it as a cradle, the lower pedestal 150 and the lower supporter 140 are rotated to be parallel to reduce the volume.

하부 받침(150)과 하부 서포터(140)가 서로 회전할 때, 하부 받침 날개부(151)이 하부 서포터(140)에 부딪쳐서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부 받침 날개부(151)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lower support 150 and the lower supporter 140 rotate with each other, the lower support wing portion 151 is a resilient material to prevent the lower support wing portion 151 from hitting the lower supporter 140 and preventing rotation. It is desirable to make.

하부 받침(150)과 하부 서포터(140)가 서로 회전할 때는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키지만,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1 회전 방향, 제2 회전방향, 제3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스마트폰 거치대 내부의 동력장치(예를 들면,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하게 된다.When the lower base 150 and the lower supporter 140 rotate with each other, the user rotates them by hand, but when rotating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and the third rotation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holder It is rotated using a power device (for example, a motor).

스마트폰 거치대에 거치된 제1 스마트폰은 3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 화면을 원하는 방향과 원하는 기울기로 조절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smartphone mounted on the smartphone holder can rotate in three directions, the smartphone screen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direction and a desired tilt.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의 실시예 1의 작동상태도이다.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Embodiment 1 of a smartphone crad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스마트폰(200)은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거치하고, 제1 스마트폰(200)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제2 스마트폰(300)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다. 제2 스마트폰(300)의 사용자는 제2 스마트폰(300)의 터치 스크린을 2개의 손가락으로 터치하면서, 제1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조정하는 명령과 스마트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smartphone 200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holder 100,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first smartphone 20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smartphone 300. The user of the second smart phone 300 touches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smart phone 300 with two fingers, a command to adjust the image taken by the first camera and a command to adjust the mounting angle of the smart phone holder So that you can enter

도 7은 도 5의 제1 스마트포의 2개의 터치 포인트의 예이다.7 is an example of two touch points of the first smart phone of FIG. 5.

사용자가 터치 포인트 A와 B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촬영화면을 확대하는 명령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포인트 A와 B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촬영화면을 축소하고 촬영범위를 넓히는 명령이 될 수 있다.When the user slides the touch points A and B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it may be a command to enlarge the photographing screen. If the user slides the touch points A and B toward each other, it may be a command to reduce the shooting screen and widen the shooting range.

만일 사용자가 터치 포인트 A와 B을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촬영방향)을 이동하라는 명령이 될 수 있다.If the user slides the touch points A and B in the same direction, it may be a command to move the direction (shooting direction) the camera is facing.

만일 사용자가 터치 포인트 A와 B가 회전하도록 슬라이딩하면, 카메라가 촬영하는 화면이 회전하도록 하라는 명령이 된다. 즉, 카메라(또는 카메라가 부착된 제1 스마트폰)이 회전하도록, 스마트폰 거치대를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라는 명령이 될 수 있다.If the user slides such that the touch points A and B rotate, the command to make the screen shot by the camera rotate is rotated. That is, it may be an instruction to rotate the smartphone holder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so that the camera (or the first smartphone to which the camera is attached) rotates.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의 실시예 1의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Embodiment 1 of a smartphone crad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은 스마트폰 거치대(100), 제1 스마트폰(200), 제2 스마트폰(300)을 포함하고, 스마트폰 거치대(100)은 제어부(160), 통신부(170), 각도조정부(180)를 포함한다.The smart phone holder system of FIG. 8 includes a smart phone holder 100, a first smart phone 200, and a second smart phone 300, and the smart phone holder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60 and a communication unit 170. , It includes an angle adjustment unit 180.

제어부(160)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The control unit 160 is a par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통신부(170)는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제어부(160)가 제1 스마트폰(200)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통신부(170)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제어부(160)는 제1 스마트폰(2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is a device that allows the control unit 160 of the smart phone holder 10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mart phone 20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70, the control unit 160 of the smartphone holder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martphone 200 by wire or wireless.

각도 조정부(180)는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스마트폰 거치부(110)가 3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각도를 조정하는 부분이다.The angle adjusting unit 180 is a portion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by rotating the smartphone holder 110 of the smartphone holder 100 in three directions using a driving device.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어부, 통신부, 각도조정부를 구현하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한 일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it is easy for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to implement a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n angle adjustment unit of a smartphone hold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2 스마트폰(300)은 제2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는 2개의 접촉점의 위치 변화를 통해 제1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조정하는 영상 조정 명령(촬영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 즉 카메라의 확대배율을 조정하는 명령)과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제1 스마트폰이 향하는 방향 및 기울기 방향을 결정하는 3축의 회전각도를 조정하는 명령)을 제1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smartphone 300 is an image adjustment command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d image) to adjust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of the first smartphone through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two contact points that touch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smartphone Command, that is, a command to adjust the magnification of the camera) and a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command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3 axes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tilt direction of the first smartphone) to the first smartphone You can.

상기 제1 스마트폰(200)은 전송받은 영상 조정 명령대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촬영 영상의 크기)을 조정하고,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을 스마트폰 거치대에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smartphone 200 may adjust the captured image (size of the captured imag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received image adjustment command, and transmit a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to the smartphone cradle.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전송받은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에 따라 스마트폰 거치대의 3축 회전 각도를 조정한다. 즉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제어부(160)는 통신부(170)을 통해 제1 스마트폰(200)으로부터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을 전송받고, 그 명령에 따라 각도 조정부(180)를 제어하여 스마트폰 거치대의 3축 회전 각도를 조정한다.The smart phone holder 100 adjusts the 3-axis rotation angle of the smart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received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That is, the control unit 160 of the smartphone holder 100 receives a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from the first smartphon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and controls the angle adjustment unit 180 according to the command to perform smart Adjust the 3-axis rotation angle of the phone holder.

상기 제1 스마트폰(200)과 상기 제2 스마트폰(300)이 상기와 같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이 그렇게 동작하도록 하는 앱(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In order for the first smart phone 200 and the second smart phone 300 to operate as described above, an app (application program) that allows the smart phone to operate as such must be installed on the smart phone.

실시예 1에서는 촬영을 위해 2대의 스마트폰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 2와 같이 손가락 착용물을 구비하면 1대의 스마트폰으로도 원거리에서 스마트폰의 촬영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In Example 1, two smartphones are required for shooting. However, a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if a finger wear is provided,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mart phone can be controlled from a long distance even with one smart phone.

(실시예 2)(Example 2)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의 실시예 2의 구성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Embodiment 2 of a smartphone crad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은 도 8의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은 스마트폰 거치대(100), 제1 스마트폰(200), 2개의 손가락 착용물(400)을 포함하고, 스마트폰 거치대(100)은 제어부(160), 통신부(170), 각도조정부(180)를 포함한다.The smart phone holder system of FIG. 9 includes the smart phone holder 100, the first smart phone 200, and two finger wear 400, and the smart phone holder 100 is It includes a control unit 160, a communication unit 170, an angle adjustment unit 180.

제어부(160)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The control unit 160 is a par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통신부(170)는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제어부(160)가 제1 스마트폰(200)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통신부(170)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제어부(160)는 제1 스마트폰(2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is a device that allows the control unit 160 of the smart phone holder 10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mart phone 20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70, the control unit 160 of the smartphone holder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martphone 200 by wire or wireless.

각도 조정부(180)는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스마트폰 거치부(110)가 3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각도를 조정하는 부분이다.The angle adjusting unit 180 is a portion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by rotating the smartphone holder 110 of the smartphone holder 100 in three directions using a driving device.

도 10은 도 9의 손가락 착용물의 실시예이다. 10 is an embodiment of the finger wear of FIG. 9.

손가락 착용물(400)의 한 쪽에는 손가락 삽입부(4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 착용물의 다른 한 쪽 면에는 인식마커 표시부(420)가 형성되어 있다.A finger insertion portion 4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nger wear object 400. In addition, a recognition marker display unit 42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nger wear.

인식마커 표시부(420)에는 인식마커가 표시된다.The recognition marker display unit 420 displays a recognition marker.

인식마커는 스마트폰 카메라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스마트폰 제어부가 영상 인식을 통해 가장 인식하기 쉬운 색깔이나 모양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마트폰 제어부는 카메라 촬영영상에 인식마커가 있으면 그 인식마커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The recognition marker consists of a color or shape that is most easily recognized by the smartphone control unit from the captured image of the smartphone camera through image recognition. Therefore, the smart phone control unit can easily recognize the recognition marker if there is a recognition marker in the camera image.

사용자는 양손의 손가락을 손가락 착용물(400)의 손가락 삽입부(410)에 삽입한 후 손가락 착용물(400)의 인식마커 표시부(420)가 카메라 쪽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2개의 인식마커가 제1 스마트폰(200)의 카메라 촬영영상에 확인되면, 그 2개의 인식마커가 인식되는 위치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서 터치한 위치처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 착용물의 방향을 회전시켜 카메라쪽에서 인식마커가 안 보이도록 하면, 터치스크린에서 터치한 손가락을 뗀 것처럼 취급할 수 있다. The user may insert the fingers of both hands into the finger inserting part 410 of the finger wear 400 and then allow the recognition marker display 420 of the finger wear 400 to face the camera. If two recognition markers are identified in the camera image captured by the first smart phone 200, the locations where the two recognition markers are recognized may be recognized as the location touched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if the user rotates the direction of the wear of the finger so that the recognition marker is not visible from the camera side, it can be treated as if the finger touched on the touch screen is removed.

만일 제1 스마트폰이 상기와 같이 동작하면,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제1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조정하는 것처럼 제1스마트폰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If the first smart phone operate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to the first smart phone as if adjusting the touch screen of the first smart phone remotely.

즉 터치 스크린에 터치할 때는 인식마커가 카메라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한 점을 슬라이딩하는 명령을 내릴 때는 인식마커가 카메라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면서 위치를 이동하면 되고, 터치를 해제하고 싶을 때는 인식마커가 카메라 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손가락 착용물을 회전하면 된다.That is, whe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the recognition marker is directed toward the camera, and when a command is made to slide the touched point in the touched state,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marker is directed toward the camera, and the position can be moved. If you want, you can rotate your finger wear so that the recognition marker does not face the camera.

그리고 손가락 착용물이 보이지 않게 된 후 일정한 시간(예르 들면, 1초 후)에 카메라 촬영이 되도록 하면, 실시예 2의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으로도 실시예 1의 거치대 시스템처럼 스마트폰으로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amera is photographed at a certain time (for example, after 1 second) after the wear of the finger becomes invisible, the smartphone holder system of Example 2 can also be photographed with a smartphone like the holder system of Example 1.

물론 제1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이 사용자에게서 꽤 먼 거리에 떨어져 있어서, 사용자에게 작게 보일 수는 있지만, 제1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보면서 필요한 명령을 내리는 것에는 지장이 없다.Of course, the touch screen of the first smartphone is quite far from the user, so it may appear small to the user, but it does not interfere with issuing necessary commands while looking at the touch screen of the first smartphone.

상기 제1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스마트폰 거치부에 거치 가능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너트부는 삼각대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martphone may be mounted on a smartphone holder of a smartphone holder, and the nut por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may be combined with a tripod.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는 상기 너트부를 기준으로 3축으로 회전 가능하다.The smartphone holder is rotatable in three axes based on the nut.

사용자는 상기 손가락 착용물의 위치와 방향을 조정하여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의 영상 조정 명령과 스마트폰 거치대의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을 상기 제1 스마트폰에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the image adjustment command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the command for adjusting the 3-axis rotation angle of the smartphone holder to the first smartphone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inger wear.

상기 제 1스마트폰은 상기 손가락 착용물에 표시된 인식 마커의 위치 변화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영상 조정 명령과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을 인식한 후, 상기 영상 조정 명령대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조정하고 상기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에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smart phone recognizes an image adjustment command and a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input by the user from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marker displayed on the finger worn object, and then adjusts the captured imag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image adjustment command and the The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cradle.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전송받은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에 의해 스마트폰 거치대의 3축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The smartphone holder can adjust the 3-axis rotation angle of the smartphone holder by the received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실시예 2에서는 스마트폰이 1대만 필요하므로, 제1 스마트폰을 그냥 스마트폰이라 할 수도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only one smartphone is required, the first smartphone may be referred to as a smartphone.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스마트폰 거치부에는 수평을 인식하는 센서(중력 센서)를 설치하여 자동 수평조절이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A sensor (gravity sensor) for recognizing the level may be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holder of the smart phone holder to implement automatic leveling.

또한 스마트폰에서 촬영 대상자의 얼굴(안면)을 인식하여 촬영 방향이 촬영 대상자의 얼굴을 추적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mart phone may recognize a person's face (facial face), and the shooting direction may be implemented to track the person's face.

100: 스마트폰 거치대
110: 스마트폰 거치부
120: 상부 서포터
130: 중부 서포터
140: 하부 서포터
150: 하부 받침
151: 하부 받침 날개부
160: 제어부
170: 통신부
180: 각도조정부
200: 제1 스마트폰
300: 제2 스마트폰
400: 손가락 착용물
410: 손가락 삽입부
420: 인식마커 표시부
100: smartphone holder
110: smartphone holder
120: upper supporter
130: Chubu Supporter
140: lower supporter
150: lower base
151: lower support wing
160: control unit
170: communication department
180: angle adjustment unit
200: first smartphone
300: second smartphone
400: finger wear
410: finger insert
420: recognition marker display

Claims (2)

삭제delete 스마트폰 거치부와 너트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카메라와 스크린이 포함된 제1 스마트폰;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2개의 손가락 착용물을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착용물은 손가락에 끼울 수 있고, 한쪽 면에는 인식 마커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제1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스마트폰 거치부에 거치 가능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너트부는 삼각대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는 상기 너트부를 기준으로 3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사용자는 상기 손가락 착용물의 위치와 방향을 조정하여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의 영상 조정 명령과 스마트폰 거치대의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을 상기 제1 스마트폰에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제 1스마트폰은 상기 손가락 착용물에 표시된 인식 마커의 위치 변화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영상 조정 명령과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을 인식한 후, 상기 영상 조정 명령대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조정하고 상기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에 전송할 수 있고,
인식마커가 제1 스마트폰의 카메라 촬영영상에 확인되면, 그 인식마커가 인식되는 위치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서 터치한 위치처럼 인식되고, 사용자가 손가락 착용물의 방향을 회전시켜 카메라쪽에서 인식마커가 안 보이도록 하면, 터치스크린에서 터치한 손가락을 뗀 것처럼 인식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전송받은 3축 회전 각도 조정 명령에 의해 스마트폰 거치대의 3축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시스템.
A smartphone holder including a smartphone holder and a nut;
A first smartphone including a camera and a screen;
Includes two finger wears that fit on your fingers,
The wearable finger can be fitted to the finger, and a recognition marker is displayed on one side,
The first smart phone can be mounted on the smart phone holder of the smart phone holder,
The nut por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can be combined with a tripod,
The smartphone holder is rotatable in three axes based on the nut,
The user can input the image adjustment command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the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of the smartphone holder to the first smartphone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inger wear,
The first smart phone recognizes an image adjustment command and a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input by a user from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marker displayed on the finger worn object, and then adjusts the captured imag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image adjustment command and the The 3-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comm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cradle,
When the recognition marker is confirmed on the camera image captured by the first smartphone, the location where the recognition marker is recognized is recognized as the location touched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and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recognition marker on the camera side by rotating the direction of the finger wear. When you make it visible, it is recognized as if you lifted the touched finger on the touch screen,
The smartphone holder is a smartphone hold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three-axis of the smartphone holder by the command received three-axis rotation angle adjustment.
KR1020180121950A 2018-10-12 2018-10-12 Smartphone holder system KR102094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950A KR102094493B1 (en) 2018-10-12 2018-10-12 Smartphone hold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950A KR102094493B1 (en) 2018-10-12 2018-10-12 Smartphone hold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493B1 true KR102094493B1 (en) 2020-03-27

Family

ID=6995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950A KR102094493B1 (en) 2018-10-12 2018-10-12 Smartphone hold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4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836A (en) 2020-05-14 2021-11-23 (주)대한솔루션 Seat for vehicle to use easly terminal
KR102427469B1 (en) * 2021-02-10 2022-07-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ace-focusing smartphone hol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868A (en) * 2007-11-14 2009-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20150075470A (en) 2013-12-26 2015-07-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KR20170119201A (en) * 2016-04-18 2017-10-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camera in smart 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868A (en) * 2007-11-14 2009-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20150075470A (en) 2013-12-26 2015-07-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KR20170119201A (en) * 2016-04-18 2017-10-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camera in smart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836A (en) 2020-05-14 2021-11-23 (주)대한솔루션 Seat for vehicle to use easly terminal
KR102427469B1 (en) * 2021-02-10 2022-07-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ace-focusing smartphone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1093B1 (en) Focus control for a plurality of cameras in a smartphone
US10924641B2 (en) Wearable video camera medallion with circular display
CN108591790B (en) Frame subassembly and stabilizer for stabilizer
KR100778926B1 (en) Rotation support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CN204420520U (en) A kind of hand-held from The Cloud Terrace of surely taking pictures
CN105937697A (en) Handheld stabilizer
CN205908975U (en) Handheld stabilizer
US20100259619A1 (en) Hmd with elevated camera
KR20130028060A (en) An attachment for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O2015013979A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terminal
KR102094493B1 (en) Smartphone holder system
US10191358B2 (en) Moving head projector system
WO2018233330A1 (en) Pan-tilt and camera assembly having same
CN102576237A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 tilt camera assembly
US10240716B2 (en) Ergonomic rig for a virtual camera device
KR102241073B1 (en) Mobile terminal
US9916771B2 (en) Portable vision aid with motion pan
CN105430131A (en) Angle adjustable camera assembly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EP3086016A1 (en) Motorized camera holder
US20150220114A1 (en) Devices,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Simplifying Control of Portable Computers
CN106716245A (en) Miniature camera
CN105611165B (en) Wearable robot of taking pictures
KR200469162Y1 (en) Camera mirror module for portable device
CN205039857U (en) Terminal
WO2020224640A1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intelligent wearable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