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412B1 -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412B1
KR102094412B1 KR1020180116290A KR20180116290A KR102094412B1 KR 102094412 B1 KR102094412 B1 KR 102094412B1 KR 1020180116290 A KR1020180116290 A KR 1020180116290A KR 20180116290 A KR20180116290 A KR 20180116290A KR 102094412 B1 KR102094412 B1 KR 10209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honeycomb structure
storage material
bind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수
이재용
서두원
김시경
김태우
김혁주
김근회
임태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1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06Honeycomb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04B35/0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based on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03Inorganic addi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thermochemical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5Alkaline earth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eryllium oxide
    • C04B2235/3206Magnesium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27Silicates other than clay, e.g. water glass
    • C04B2235/3463Alumino-silicates other than clay, e.g. mul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9Clays, e.g. bentonites, smectites such as montmorillonite, vermiculites or kaolines, e.g. illite, talc or sepi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0Aspects relating to the preparation, properties or mechanical treatment of green bodies or pre-forms
    • C04B2235/602Making the green bodies or pre-forms by moulding
    • C04B2235/6021Extrusion mou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화마그네슘(Mg(OH)2)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성형용 배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성형용 배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허니컴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허니컴 구조체를 열처리하여,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벤토나이트(bentoni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THERMOCHEMICAL HEAT STORAGE MATERIAL OF HONEYCOMB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에너지효율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에너지 저장 기술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전기저장뿐 아니라 열저장 기술도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열 저장 기술 가운데 가장 오랫동안 열을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 열화학 축열 기술이다. 열화학 축열 기술은 화학 반응이 가역적으로 일어나는 물질에 흡열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열을 저장하고, 발열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열을 얻는 기술로서 아래와 같은 반응이 대표적인 열화학 축열 반응이다.
(흡열반응) Mg(OH)2 → MgO + H2O
(발열반응) MgO + H2O → Mg(OH)2
잠열 저장이나 현열 저장은 축방열 과정 중 액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성형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열화학 축열 기술은 고체 상태를 유지하면서 축방열을 일으키기 때문에 성형된 형태가 중요하다. 앞에서 기술한 MgO는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하고 고온의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흡열하므로 기체와 고체가 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허니컴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축방열 속도를 빠르게 하는데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세라믹 분말은 가소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 바인더와 물을 세라믹 분말에 첨가하고 혼련과 반죽을 거쳐 적당한 가소성을 얻은 후 압출을 통해 허니컴을 얻는다. MgO는 물을 섞으면 발열하면서 Mg(OH)2로 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화학 반응 결과 생성된 물질이 딱딱해져서 가소성을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압출하기 어려운 소재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7171호는 압출용 세라믹 반죽을 만들기 전에, MgO와 물을 먼저 반응시켜 Mg(OH)2를 얻고, 이 Mg(OH)2에 바인더와 함께 물을 첨가하여 가소성을 부여함으로써, 발열 반응 없이 압출용 세라믹 반죽을 만들어, 압출 허니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압출 허니컴을 열 저장재로서 사용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바인더가 제거되면서 강도가 매우 약해질 수 있으며, 또한, 바인더가 제거되면서 Mg(OH)2는 다시 MgO로 변화되며, 이 MgO가 수분과 반응하면서 발열 반응을 하게 되는데, MgO는 수분과의 반응 속도가 느려 발열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7171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처리 후에도 강도가 유지되어 수명이 향상되고, 축방열 속도가 향상된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산화마그네슘(Mg(OH)2)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성형용 배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성형용 배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허니컴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허니컴 구조체를 열처리하여,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벤토나이트(bentoni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을 얻는 단계는,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에 제올라이트(zeolite)를 첨가한 뒤, 바인더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산화마그네슘과 상기 제올라이트는 80:20 내지 95: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A type, L type, X type, Y type, ZSM-5 type, beta type, ferrierite type 및 mordenite typ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을 얻는 단계 전에, 산화마그네슘에 과량의 물을 첨가하여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의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처리 후에도 강도가 유지되어 수명이 향상되고, 축방열 속도가 향상된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수산화마그네슘의 XRD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열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의 XRD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X type 제올라이트의 XRD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수산화마그네슘의 DSC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실험예 1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의 압출 사진이다.
도 6은 실험예 2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의 압출 사진이다.
도 7은 실험예 3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의 압출 사진이다.
도 8은 실험예 4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의 압출 사진이다.
도 9는 실험예 5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의 압출 사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실시예 1에 따른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의 1회(도 10) 및 50회(도 11)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다.
도 12 및 도 13은 실시예 2에 따른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의 1회(도 12) 및 50회(도 13)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다.
도 14 및 도 15 는 실시예 3에 따른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의 1회(도 14) 및 50회(도 15)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다.
도 16 및 도 17은 실시예 4에 따른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의 1회(도 16) 및 50회(도 17)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다.
도 18 및 도 19 는 실시예 5에 따른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의 1회(도 18) 및 50회(도 19)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는 열 저장 기술에 관한 것으로, 화학 반응을 통해 열을 저장했다가 다시 화학 반응을 통해 열을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화학 축열 기술을 이용하는 데, 이는 현열 저장, 잠열 저장과 달리 화학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과의 접촉을 차단하면 영구적으로 열을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의 제조 방법은, 수산화마그네슘(Mg(OH)2)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성형용 배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성형용 배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허니컴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허니컴 구조체를 열처리하여,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이하, 열 저장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벤토나이트(bentonit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을 얻는 단계는,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에 제올라이트(zeolite)를 첨가한 뒤, 바인더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을 얻는 단계 전에, 산화마그네슘에 과량의 물을 첨가하여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무기 바인더 및 유기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 바인더와 상기 유기 바인더는 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바인더는 벤토나이트(bentonite)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 바인더는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 및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상기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허니컴 구조체를 열처리하면, 상기 유기 바인더가 제거되면서 열 저장재의 강도가 약화되어 열 저장재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기 바인더, 특히, 상기 벤토나이트는 열처리 과정에서는 물론이고 축방열 과정에서도 분해되지 않아 열 저장재의 강도가 유지되고, 따라서 열 저장재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상기 수산화마그네슘 및 상기 제올라이트의 합계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를,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압출 성형 시 충분한 가소성이 제공되지 않아 압출할 수 없으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할 경우 열처리 후에 열 저장재의 저장재의 압축강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수산화마그네슘과 상기 제올라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산화마그네슘과 상기 제올라이트는 80:20 내지 95: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A type, L type, X type, Y type, ZSM-5 type, beta type, ferrierite type 및 mordenite typ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A type 또는 X type 중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허니컴 구조체를 열처리하면,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은 산화마그네슘으로 변하는데,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 반응을 하게 된다. 이 때, 수분과의 반응 속도가 빠른 상기 제올라이트가 먼저 발열 반응하면서 수분과의 반응 속도가 느린 상기 산화마그네슘의 발열 속도를 증가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 저장재의 축방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열 저장재의 축방열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제올라이트 대신 황산마그네슘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황산마그네슘의 경우 산화마그네슘과 비가역적 반응하여 열 저장재의 축방열량을 감소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허니컴 구조체를 열처리(heating)하는 것은, 구성 성분의 녹는점 가까이 가열하여 구성 성분의 입자들 간 인접 면에서 접합이 이루어지는 소결(sintering)과는 상이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실험예, 비교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험예: 수산화마그네슘 및 제올라이트 분석
이하, 본 발명의 시험예, 실험예 및 비교실험예에서 사용되는 수산화마그네슘은 Martin Marietta Magnesia Specialties사의 MagShield S이며, 제올라이트(X type)는 Tosoh사의 F-9으로 입자 직경이 100㎛ 이하인 흰색 분말이다.
수산화마그네슘 분말을 XRD(X-ray Diffraction) 분석하여 XRD 패턴을 도 1에 나타내었고, 상기 수산화마그네슘 분말을 600℃에서 3시간 동안 열처리한 뒤 XRD 분석하여 XRD 패턴을 도 2에 나타내었고, 제올라이트를 XRD 분석하여 XRD 패턴을 도 3에 나타내었고, 상기 수산화마그네슘 분말을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산화마그네슘의 XRD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산화마그네슘 및 산화마그네슘의 XRD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산화마그네슘이 열처리되는 경우, 산화마그네슘으로 변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X type 제올라이트의 XRD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산화마그네슘은 313℃에서 888J/g의 흡열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산화마그네슘은 축방열 특성이 우수하여, 화학적 열저장재의 출발 물질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및 비교실험예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의 제조
수산화마그네슘 800g과 무기바인더로써 벤토나이트 40g과 유기 바인더로써 YB-132A(Yuken사 제조) 40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에 물 280g을 첨가하여 성형용 배합물을 제조한 뒤, 직경이 40mm인 60cells/in2의 원형 압출용 몰드를 이용하는 Sanko Shoji사의 진공압출기(V-20)로 상기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여 30cm 길이의 실험예 1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도 5는 실험예 1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의 압출 사진이다.
수산화마그네슘 760g과 제올라이트 40g과 무기바인더로써 벤토나이트 40g과 유기 바인더로써 YB-132A 40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에 물 280g을 첨가하여 성형용 배합물을 제조한 뒤, 직경이 40mm인 60cells/in2의 원형 압출용 몰드를 이용하는 Sanko Shoji사의 진공압출기(V-20)로 상기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여 30cm 길이의 실험예 2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도 6은 실험예 2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의 압출 사진이다.
수산화마그네슘을 720g으로, 제올라이트를 80g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예 3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수산화마그네슘을 680g으로, 제올라이트를 120g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예 4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수산화마그네슘을 620g으로, 제올라이트를 160g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예 5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무기 바인더인 벤토나이트를 첨가하지 않고 유기 바인더인 YB132A를 80g으로 변경한 것과, 물을 280g에서 300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실험예 1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내지 5 및 비교실험예 1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의 성분 및 조성비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단위: g)
수산화마그네슘
(A)
제올라이트
(B)
A:B 중량비 바인더
무기 유기
실험예 1 800 - 100:0 40 40 280
실험예 2 760 40 95:5
실험예 3 720 80 90:10
실험예 4 680 120 85:15
실험예 5 640 160 80:20
비교실험예 1 800 - 100:0 - 80 300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열 저장재의 제조
실험예 1 내지 5 및 비교실험예 1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를 500℃에서 500분 동안 열처리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 따른 열 저장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열처리 전, 후의 압축강도 분석
실험예 및 비교실험예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열 저장재를 직경 35mm, 높이 40mm 크기의 원기둥 형태의 시편으로 가공하고, crosshead speed가 1mm/min으로 설정된 Instron Series IX Automated Material Testing System을 이용하여, 열처리 전과 후의 압축강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열처리 전 압축강도 (MPa) 열처리 후 압축강도 (MPa)
실험예 1 5.98±2.30 실시예 1 1.02±0.71
실험예 2 7.98±3.28 실시예 2 2.13±0.93
실험예 3 7.30±2.76 실시예 3 2.83±0.20
실험예 4 8.40±0.35 실시예 4 3.93±0.52
실험예 5 9.66±0.39 실시예 5 3.23±0.27
비교실험예 1 2.22±2.29 비교예 1 0.14±0.11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열처리 전, 실험예 1 내지 5는 약 6 MPa 내지 10 MPa의 압축강도를 나타내며, 열처리 후, 실시예 1 내지 5는 약 1 내지 3 MPa의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열 저장재로서 적합한 수준의 압축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바인더로 벤토나이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도 함께 포함하는 경우, 압축강도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열처리 전, 비교실험예 1은 약 2.22 MPa의 압축강도를 나타내며, 열처리 후, 비교예 1은 약 0.14 MPa의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통해, 무기 바인더, 특히, 무기 바인더로써 벤토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열 저장재로서 적합한 수준의 압축강도를 갖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실시예에 따른 열 저장재의 축방열 특성 평가
실시예 1에 따른 열 저장재를 물과 반응시켜, 열 저장재에 저장된 열을 방열시키고, 다시 5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 저장재에 열을 저장하는 축방열 싸이클을 1회 또는 50회 반복한 뒤, DSC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열 저장재의 1회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고, 도 11은 50회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열 저장재는 1회 축방열 시 905 J/g의 흡열량을 보이고 있으며, 50회 축방열 시 920 J/g의 흡열량을 보이고 있어, 축방열 싸이클의 반복에도 우수한 축방열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내지 5에 따른 열 저장재를 물과 반응시켜 열 저장재에 저장된 열을 방열시키고, 120℃에서 24시간 건조한 뒤 DSC 분석(1회 축방열)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5에 따른 열 저장재를 100℃의 증기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열 저장재에 저장된 열을 방열시키고, 5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는 축방열 싸이클을 50회 반복한 뒤 DSC 분석(50회 축방열)을 수행하였다.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열 저장재의 1회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고, 도 13은 50회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른 열 저장재는 1회 축방열 시 590 J/g의 흡열량을 보이고 있으며, 50회 축방열 시 674 J/g의 흡열량을 보이고 있어, 축방열 싸이클의 반복에도 초기값 대비 약 114%의 우수한 축열 밀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실시예 3에 따른 열 저장재의 1회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고, 도 15는 50회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 3에 따른 열 저장재는 1회 축방열 시 508 J/g의 흡열량을 보이고 있으며, 50회 축방열 시 396 J/g의 흡열량을 보이고 있어, 축방열 싸이클의 반복에도 초기값 대비 약 78%의 축열 밀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실시예 4에 따른 열 저장재의 1회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고, 도 17은 50회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예 4에 따른 열 저장재는 1회 축방열 시 492 J/g의 흡열량을 보이고 있으며, 50회 축방열 시 233 J/g의 흡열량을 보이고 있어, 축방열 싸이클의 반복에도 초기값 대비 약 47%의 축열 밀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실시예 5에 따른 열 저장재의 1회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고, 도 19는 50회 축방열 후 DSC 분석 결과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실시예 6에 따른 열 저장재는 1회 축방열 시 444 J/g의 흡열량을 보이고 있으며, 50회 축방열 시 93 J/g의 흡열량을 보이고 있어, 축방열 싸이클의 반복에도 초기값 대비 약 21%의 축열 밀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수산화마그네슘(Mg(OH)2)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성형용 배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성형용 배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허니컴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허니컴 구조체를 열처리하여,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무기 바인더 및 유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기 바인더는 벤토나이트(bentonite)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유기 바인더는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 및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얻는 단계는,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에 제올라이트(zeolite)를 첨가한 뒤, 바인더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제조 방법.
  3. 청구항 2 있어서,
    상기 수산화마그네슘과 상기 제올라이트는 80:20 내지 95: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제조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A type, L type, X type, Y type, ZSM-5 type, beta type, ferrierite type 및 mordenite typ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얻는 단계 전에,
    산화마그네슘에 과량의 물을 첨가하여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의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혼합되는 것인,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제조 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KR1020180116290A 2018-09-28 2018-09-28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90A KR102094412B1 (ko) 2018-09-28 2018-09-28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90A KR102094412B1 (ko) 2018-09-28 2018-09-28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412B1 true KR102094412B1 (ko) 2020-03-27

Family

ID=6995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290A KR102094412B1 (ko) 2018-09-28 2018-09-28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995A (ko) 2022-07-07 2024-01-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축방열 싸이클에 안정한 다공성 구조의 고밀도 열저장 성형체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6519A (ja) * 2008-04-18 2009-11-05 Toyota Central R&D Labs Inc 化学蓄熱材複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06339A1 (ja) * 2014-07-11 2016-01-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孔質体および蓄熱デバイス
JP2017218492A (ja) * 2016-06-06 2017-12-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化学蓄熱材及び化学蓄熱材を使用した蓄熱容器
KR20180027124A (ko) * 2016-09-06 2018-03-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허니컴 구조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6519A (ja) * 2008-04-18 2009-11-05 Toyota Central R&D Labs Inc 化学蓄熱材複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06339A1 (ja) * 2014-07-11 2016-01-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孔質体および蓄熱デバイス
JP2017218492A (ja) * 2016-06-06 2017-12-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化学蓄熱材及び化学蓄熱材を使用した蓄熱容器
KR20180027124A (ko) * 2016-09-06 2018-03-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허니컴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867171B1 (ko) 2016-09-06 2018-07-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허니컴 구조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995A (ko) 2022-07-07 2024-01-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축방열 싸이클에 안정한 다공성 구조의 고밀도 열저장 성형체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9554B2 (ja) チタン酸アルミニウムに基づく、ガラス相を含むセラミック体
KR101283793B1 (ko) 기능성 무기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5114644A (en) Fabrication of cordierite bodies
JP2009532311A5 (ko)
JP2010503605A (ja) 低cte高等方性黒鉛
KR102094412B1 (ko) 허니컴 구조의 열화학 열 저장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18158886A (ja) セラミック構造体
US20110175263A1 (en) Glass encapsulated hot isostatic pressed silicon carbide
BR112015002060B1 (pt) implante compreendendo um corpo básico e uma superfície funcional e seu processo de produção
JP2004535909A (ja) 低cteを持つポルサイトベースのセラミック
EP2539301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low thermal expansion ceramic bodies
JP2009256519A (ja) 化学蓄熱材複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00905A (ja) ジオポリマー硬化体の製造方法
KR100808976B1 (ko) 다공성 세라믹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228863B1 (ko) 허니컴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허니컴 구조의 열저장재 제조 방법
EP2551251B1 (en) Columnar aluminum tita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102015001547A1 (de) Aluminiumoxid-Sinterkörp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1867171B1 (ko) 허니컴 구조체의 제조방법
DE112022001506T5 (de) Wärmemanagement-Verbundplat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Artikel, die diese verwenden
JP2017171577A (ja) セラミック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12384A (ja) 高強度の軽量多孔質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5949B2 (ja) ヘキサアルミネート多孔質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Putri et al. Fabrication of an interconnected porous β-tricalcium phosphate structure by polyacrylic acid-mediated setting reaction and sintering
JP2003192885A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040076427A (ko) 흑연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흑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