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342B1 -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342B1
KR102094342B1 KR1020190162542A KR20190162542A KR102094342B1 KR 102094342 B1 KR102094342 B1 KR 102094342B1 KR 1020190162542 A KR1020190162542 A KR 1020190162542A KR 20190162542 A KR20190162542 A KR 20190162542A KR 102094342 B1 KR102094342 B1 KR 10209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road
node
lane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형
김영진
김진욱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2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변속구간 분류부는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와 A3_LINK 레이어를 분석하여 도로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면교차로 도로들의 변속구간을 감속구간 및 가속구간 중 하나로 분류하고,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는 도로들의 변속구간이 분류되면,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를 분석하여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을 판단하고, 기준점 판단부는 판단된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에 기초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설정을 위한 기준점을 판단하고, 금지구간 설정부는 판단된 기준점과 각 도로 별 설계속도에 따른 제한거리를 이용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하며, 표출부는 설정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정밀도로지도에 표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access-restricted sections in at-grade intersections based on high definition maps}
본 발명은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학적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정밀도로지도를 이용하여 평면교차로에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교통기능은 크게 이동성과 접근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와 간선도로는 접근성보다 지역간 이동성이 강조되고, 집산도로와 국지도로는 이동성보다 접근성을 강조한 도로에 해당한다.
『도로법』제52조에 따른 도로연결허가 제도는 지역간 이동성이 강조되어야 하는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일반국도, 지방도, 4차로 이상의 도로에 다른 도로나 통로, 그 밖의 시설을 연결하는 경우에 도로관리청의 허가를 받게 함으로써 도로의 접근성을 제한하고, 이동성을 보장하고자 하는 법적 제도이다.
이와 같은 도로 연결허가 업무를 위하여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에 관한 규칙』(이하 도로연결규칙)은 도시지역을 벗어난 읍·면·리 지역에 위치한 일반국도가 지역간 이동성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반국도에 인접한 토지가 일반국도와 연결되기 위한 조건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도로연결규칙 [별표 4]는 교차로의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정의하고 있으나, 도로관리청 업무담당자가 연결허가 조건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도로점용허가 및 도로연결허가는 2018년 기준 전국 국토관리사무소 전체 민원업무의 약 70%를 차지하는 등 업무담당자에게 과도한 업무부담을 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무담당자의 재량권을 존중하는 도로연결허가 업무의 특성상 민원인은 도로연결허가 여부에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다. 객관적 판단기준의 미비로 도로연결허가 행정의 신뢰성이 저하되거나, 무분별한 도로연결허가가 이루어질 경우, 지역간 광역 연결을 담당하는 일반국도의 이동성이 훼손되어 그 기능의 상실우려가 있다.
따라서, 공학적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합리적 도로연결허가가 이루어질 수 있고, 민원인이 사전에 손쉽게 도로연결허가 가능 여부를 검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의 제안이 필요하다.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7-0099818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밀도로지도와 공학적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합리적 도로연결허가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일반인이 사전에 손쉽게 도로연결허가 가능 여부를 검토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는,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 A3_LINK 레이어, A1_LANE 레이어 및 A2_STOP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도로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면교차로 도로들의 변속구간을 감속구간 및 가속구간 중 하나로 분류하는 변속구간 분류부; 상기 도로들의 변속구간이 분류되면,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를 분석하여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을 판단하는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 상기 판단된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에 기초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설정을 위한 기준점을 판단하는 기준점 판단부; 상기 판단된 기준점과 각 도로 별 설계속도에 따른 제한거리를 이용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하는 금지구간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정밀도로지도에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속구간 분류부는, 상기 C1_NODE 레이어가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면, 상기 C1_NODE 레이어의 노드 ID(Node ID)를 추출하는 노드 ID 추출부; 상기 추출된 노드 ID(Node ID)와 상기 A3_LINK의 시점 노드(FROM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도로들 중 시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가속구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추출된 노드 ID(Node ID)와 상기 A3_LINK의 종점 노드(TO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도로들 중 종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감속구간으로 분류하는 가감속 분류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상기 C1_NODE 레이어의 평면교차로 노드와 이웃하는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를 비교하는 제1노드 비교부; 상기 제1노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가 없거나, 상기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는 있지만 바깥차로 증가가 아니면, 상기 도로를 일반 차로로 판단하는 일반 차로 판단부; 및 상기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바깥차로가 증가하면, 상기 도로를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비도류화 변속차로로 판단하는 비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점 판단부는, 상기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모두에 대해 도류화 여부 및 변속차로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도로가 변속차로가 미설치된 일반 차로로 판단되면, C1_NODE 레이어의 노드 타입(Node Type)이 1인 지점의 본선 정지선과 본선 시작부를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모두 상기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각각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가속구간은 상기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고, 감속구간은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의 본선 정지선과 가속구간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며,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감속구간은 상기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고, 가속구간은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의 테이퍼 끝과 가속구간의 본선 시작부를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며,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모두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부간의 본선 정지선과 가속구간의 본선 시작부를 상기 기준점으로 정한다.
상기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상기 C1_NODE 레이어의 평면교차로 노드와 이웃하는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를 비교하는 제1노드 비교부; 상기 제1노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다르고, 상기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제1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적으면, 상기 도로는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2노드 비교부; 상기 제2노드 비교부에서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를 비교하는 제3노드 비교부; 및 상기 제3노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많으면, 상기 도로는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도류화 비변속차로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점 판단부는, 상기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모두에 대해 도류화 여부 및 변속차로 유무가 판단되면,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회전차로가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에 해당하는 도로의 본선 정지선과 도류화 차로 정지선 중 후방을 상기 감속구간의 기준점으로 정하고, 가속구간에 해당하는 도로의 본선과 도류화 차로의 합류부를 상기 가속구간의 기준점으로 정한다.
상기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3노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더 많지 않으면, 상기 도로는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인 것으로 판단하는 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 및 상기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된 도로의 변속차로 종점을 탐색하여 테이퍼 끝으로 정하는 종점 탐색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준점 판단부는,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로 판단된 감속부 또는 가속부에 대하여, 상기 종점 탐색부에서 탐색된 감속구간의 테이퍼 끝 또는 가속구간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로 판단되지 않는 감속구간 또는 가속구간은 각 유형에 따라 기준점을 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은, (A) 전자장치가,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 A3_LINK 레이어, A1_LANE 레이어 및 A2_STOP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도로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면교차로 도로들의 변속구간을 감속구간 및 가속구간 중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도로들의 변속구간이 분류되면,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를 이용하여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에 기초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설정을 위한 기준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기준점과 각 도로 별 설계속도에 따른 제한거리를 이용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정밀도로지도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C1_NODE 레이어가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A2)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면, 상기 C1_NODE 레이어의 노드 ID(Node ID)를 추출하는 단계; (A3) 상기 추출된 노드 ID(Node ID)와 상기 A3_LINK의 시점 노드(FROM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도로들 중 시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가속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A4) 상기 추출된 노드 ID(Node ID)와 상기 A3_LINK의 종점 노드(TO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도로들 중 종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감속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B1) 상기 C1_NODE 레이어의 평면교차로 노드와 이웃하는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가 없거나,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는 있지만 바깥차로 증가가 아니면, 상기 도로를 일반 차로로 판단하는 단계; 및 (B3) 상기 (B1)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바깥차로가 증가하면, 상기 도로를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비도류화 변속차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모두에 대해 상기 (B1) 내지 (B3) 단계가 수행되면, (C1)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도로가 변속차로가 미설치된 일반 차로로 판단되면, C1_NODE 레이어의 노드 타입(Node Type)이 1인 지점의 본선 정지선과 본선 시작부를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 (C2)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모두 상기 (B3) 단계에서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각각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 (C3)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가속구간은 상기 (B3) 단계에서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고, 감속구간은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의 본선 정지선과 가속구간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 및 (C4)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감속구간은 상기 (B3) 단계에서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고, 가속구간은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의 테이퍼 끝과 가속구간의 본선 시작부를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B4) 상기 C1_NODE 레이어의 평면교차로 노드와 이웃하는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B5) 상기 (B4)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다르면, 상기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제1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적은지 판단하는 단계; (B6) 상기 (B5) 단계에서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제1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적으면, 상기 도로는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B7) 상기 (B6) 단계에서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B8) 상기 (B7)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많으면, 상기 도로는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모두에 대해 상기 (B4) 내지 (B8) 단계가 수행되면, (C5)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회전차로가 상기 (B8) 단계에서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에 해당하는 도로의 본선 정지선과 도류화 차로 정지선 중 후방을 상기 감속구간의 기준점으로 정하고, 가속구간에 해당하는 도로의 본선과 도류화 차로의 합류부를 상기 가속구간의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B9) 상기 (B7)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더 많지 않으면, 상기 도로는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B10) 상기 도로의 변속차로 종점을 탐색하여 테이퍼 끝으로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C6)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 또는 가속구간이 상기 (B9) 단계에서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로 판단되면, 상기 (B10)단계에서 판단된 감속구간의 테이퍼 끝과 가속구간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 및 (C7)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로 판단되지 않은 감속구간 또는 가속구간은 각 유형에 따라 기준점을 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밀도로지도는 다양한 도로 및 시설물 속성정보와 연결허가에 필요한 정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 타 지도데이터보다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에 적합하다. 따라서, 정밀도로지도 기반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자동으로 추출함으로써 합리적 도로연결허가를 제공할 수 있고, 일반 사용자가 사전에 손쉽게 도로연결허가 가능 여부를 검토함으로써 사회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정밀도로지도의 구축 범위가 확대될수록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산정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켜 폭넓게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도류화된 평면교차로의 Corner Clearance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한거리(Road Access Prohibited Section) 선정 기준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평면교차로의 물리적 교차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선에서 수직으로 잘라진 변속차로 유형을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분리대 또는 안전지대가 설치된 형태, 즉 도류화된 변속차로 유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가 이루어진 평면교차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7 및 도 8은 정밀도로지도 중 C1_NODE 레이어의 명세서와 A3_LINK 레이어의 명세서를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정밀도로지도 중 A1_LANE 레이어의 명세서와 A2_STOP 레이어의 명세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를 자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도 12의 S1100단계를 자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도 12의 S1200단계를 자세히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스마트 시설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설정을 위해 필요한 도로연결 제한거리 산정의 기준점 도출, 변속차로의 정의 및 교차로 도류화의 정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1. 도로연결 제한거리 산정의 기준점 도출
도 1a 및 도 1b는 도류화된 평면교차로의 Corner Clearance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한거리(Road Access Prohibited Section) 산정 기준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평면교차로의 물리적 교차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로연결규칙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산정은 크게 변속차로가 있는 교차로와 변속차로가 없는 교차로로 분류된다. 도로연결규칙 [별표 4]에서 교차로 연결금지 구간을 도로가 교차하는 물리적 영역과 제한거리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량과 점용지 진출입 차량간 엇갈림 상충에 의한 사고위험을 줄이기 위해 진출입로를 교차로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시키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제한거리는 교차로의 물리적 영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산정되므로 교차로의 다양한 형태를 고려한 교차로의 물리적 영역의 경계를 판단하는 기준점 설정이 중요하다.
도로연결규칙에서의 물리적 교차로 영역은 교차로 내 회전차량 간 교차/분류/합류 상충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교차로의 물리적 영역은 감속부의 정지선으로부터 가속부의 차로 시작점까지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우회전 차로가 도류화된 교차로의 경우,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곡선반경의 크기에 따라 Corner Clearance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US Access Management(2014) 참조). 곡선반경이 증가할수록 회전차량이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정지거리도 증가하게 되어, 차량이 회전을 마친 지점으로부터 진출입로까지 필요한 이격거리(Corner Clearance)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도류화 차로를 이용하는 회전 차량과 본선을 이용하는 본선 차량간 상충이 발생하는 지점까지 교차로의 물리적 범위가 확장된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변속차로의 설치 없이 우회전 차로가 도류화된 경우, 교차로의 물리적 영역의 확장과 제한거리 산정 기준점의 수정이 필요하다. 도 1b에서 빨강색 점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으로 추출되는 기준점이고, 화살표 방향은 기준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의미한다. '기준점'은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지점 또는 물리적 영역의 경계를 판단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비도류화된 평면교차로의 물리적 영역과 도류화된 평면교차로의 물리적 영역은 각각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교차로의 물리적 영역과 그 제한거리 내 연결허가를 금지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점은 교차로 감속부의 도류화 여부 또는 가속부의 도류화 여부에 따라 [표 1]과 같이 4개의 교차로 유형(①~ ④)별로 분류될 수 있다.
기준점 위치 ①변속차로 모두 있는 교차로 ②가속부만 변속차로 있는 교차로 ③감속부만 변속차로 있는 교차로 ④변속차로가 없는 교차로
감속부
(감속구간)
도류화 테이퍼 끝(1) 본선과 도류화 차로 정지선 중 후방(3) 테이퍼 끝(6) 본선과 도류화 차로 정지선 중 후방(9)
비도류화 본선 정지선(4) 본선 정지선(10)
가속부
(감속구간)
도류화 테이퍼 끝(2) 테이퍼 끝(5) 도류화 차로와 본선 합류부(7) 도류화 차로와 본선 합류부(11)
비도류화 본선 시작부(8) 본선 시작부(12)
[표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평면교차로의 감속부는 도류화된 변속차로가 설치되고, 가속부는 변속차로 설치없이 도류화만 이루어진 경우, 감속부의 연결허가 기준점은 테이퍼 끝이 되고, 가속부의 연결허가 기준점은 도류화 차로와 본선 차로의 합류부가 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여 평면교차로의 기준점이 확인되면, 확인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도 2a 또는 도 2b와 같은 물리적 교차로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로연결허가를 금지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규칙을 [표 1]과 같이 제안하고, 이 기준점을 정밀도로지도 기반으로 추출하며,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정밀도로지도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에 표출하기 위하여 도류화와 변속차로를 정의할 수 있다.
2. 도류화와 변속차로의 정의
도 3a 및 도 3b는 본선에서 수직으로 잘라진 변속차로 유형을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분리대 또는 안전지대가 설치된 형태, 즉 도류화된 변속차로 유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평면교차로는 양방향 주행이 아닌 단방향 주행을 위한 교차로이다.
도로연결규칙 제2조(정의) 제1호에 따르면, 변속차로는 자동차를 가속하거나 감속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차로를 의미하므로, 감속차로와 가속차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로연결규칙 제7조 제1항은 접속되는 도로부분을 수직으로 잘라낸 부분에 변속차로의 도로포장을 하도록 한다. 또한 제10조 제1호와 제12조 제2호에 따르면 변속차로는 분리대를 설치하거나, 분리대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안전지대 표시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평면교차로에서 도로 연결금지를 위한 변속차로는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본선에서 수직으로 잘라낸 형태이면서 비도류화 유형이거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교차로 인근에 분리대(도류화된 교통섬 등) 또는 안전지대가 설치된 도류화 유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변속차로 길이가 매우 긴 경우 국토해양부(2013)에서 연결로 접속부 영향권을 400미터로 설정한 것을 감안하여 변속차로의 길이가 400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일반 차로로 간주하였으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최대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일반차로로 간주할 수 있다. 즉 변속차로의 길이의 일 예인 400미터는 국토해양부에서 설정된 길이를 예로 든 것으로서, 변속차로의 최대길이는 도로 환경, 교통 환경, 사용자의 요구, 관련 법규 혹은 매뉴얼 변경 등에 따라 축소 또는 연장 가능하다.
3. 정밀도로지도 기반의 분류 알고리즘
첫째, 평면교차로에 변속차로가 설치된 경우, 도류화 유무와 무관하게 변속차로와 테이퍼 끝점으로부터의 제한거리를 이용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둘째, 분리대 또는 안전지대 형태로 변속차로가 설치된 경우, 평면교차로가 도류화되어 있으므로 '첫째'와 유사하게 본선에 분류/합류하는 노드점을 탐색하고, 변속차로의 길이를 산정하여 도류화 여부와 변속차로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가 이루어진 평면교차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셋째, 도 5에서와 같이 변속차로 설치없이 도류화가 이루어진 경우, 연결허가 기준점을 탐색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는 변속차로가 매우 짧은 도류화된 교차로와 유사하며, 본선에 분류 또는 합류를 위한 도류화 차로가 존재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6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6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600)는 후술할 컴퓨팅 시스템이거나 또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서(1320)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600)는 변속구간 분류부(610),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620), 기준점 판단부(630), 금지구간 설정부(640) 및 표출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속구간 분류부(610)와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620)는 평면교차로 내의 도로들 단위 또는 도로들에 위치하는 노드 단위로 수행되며, 모든 도로들 또는 모든 노드들에 대한 도류화 여부와 변속차로 유무가 판단되면, 기준점 판단부(630)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변속구간 분류부(610)는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와 A3_LINK 레이어를 분석하여 도로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면교차로 도로들의 변속구간을 감속구간 및 가속구간 중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즉, 변속구간 분류부(610)는 평면교차로의 위치와 감속구간, 가속구간을 분류하기 위하여 노드타입이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는 1값을 가지고, 해당 노드를 시종점 노드로서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감속구간 또는 가속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란 도로의 교차점 등 도로를 하나의 선으로 표시할 때 선과 선이 만나는 점을 의미하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교차로, 터널 시종점 등 다수의 유형이 있다. '링크'는 노드와 노드를 연결한 차로, 또는 차로중심선일 수 있다.
정밀도로지도는 도로의 규제선(차선, 도로 경계선, 정지선, 차로중심선), 도로시설(중앙분리대, 터널, 교량, 지하차도 등), 표지시설(교통안전표지, 노면표시, 신호기) 등을 3차원으로 표현한 정밀 전자지도로,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한다. 정밀도로지도는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60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거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원하는 구간을 클릭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실시간으로 다운로딩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레이어들에 대한 명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밀도로지도 중 C1_NODE 레이어의 명세서와 A3_LINK 레이어의 명세서는 각각 도 7 및 도 8에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C1_NODE 레이어는 차로의 증가 및 감소, 교차로 등 차로의 변화나 터널 등의 도로시설로 구분해야 하는 경우를 표현하기 위해서 생성하는 가상객체 피쳐 클래스로서, 지형지물 명칭은 노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3_LINK 레이어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로의 중심을 표현하기 위한 피쳐 클래스로 차로의 연결성을 표현하며, 지형지물 명칭은 차로중심선이다.
또한, 후술할 금지구간 설정부(640)에서 사용되는 A1_LANE 레이어와 A2_STOP 레이어의 명세서는 각각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A1_LANE 레이어는 교통사고 예방 및 원활한 소통을 위한 규제와 지시, 노면상태, 통행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규제차선을 표현하기 위한 피쳐 클래스로서, 지형지물 명칭은 규제선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A2_STOP 레이어는 신호정지선과 횡단보도 정지선을 표현하기 위한 피쳐 클래스로서, 지형지물 명칭은 정지선이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변속구간 분류부(610)는 노드 ID 추출부(612) 및 가감속 분류부(614)를 포함한다.
노드 ID 추출부(612)는 C1_NODE 레이어가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면, C1_NODE 레이어의 노드 ID(NODE ID)를 명세서에서 추출할 수 있다. 노드 ID 추출부(612)는 C1_NODE 레이어의 노드 타입(NODETYPE)=1로 설정되어 있으면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노드 ID를 추출한다.
가감속 분류부(614)는 노드 ID 추출부(612)에서 추출된 노드 ID와 A3_LINK의 시점 노드(FROM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중 해당 시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가속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가감속 분류부(614)는 추출된 노드 ID에 해당하는 노드를 시점노드로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가속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가감속 분류부(614)는 추출된 노드 ID와 A3_LINK의 종점 노드(TO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도로들 중 종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감속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가감속 분류부(614)는 추출된 노드 ID에 해당하는 노드를 종점노드로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감속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620)는 도로들의 변속구간이 모두 분류되면,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를 분석하여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또는 평면 교차로에 대해 또는 회전차로에 대해)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회전차로는 우회전을 위한 차로로서 감속부(또는 감속구간)와 가속부(또는 가속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는 도 6에 도시된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620)를 자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620)는 제1노드 비교부(621), 일반차로 판단부(622), 비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623), 제2노드 비교부(624), 제3노드 비교부(625), 도류화 비변속차로 판단부(626), 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627) 및 종점 탐색부(6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노드 비교부(621)는 C1_NODE 레이어의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와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도 3a 또는 도 3b를 참조하면, 평면교차로 노드는 빨강색 점으로 표기된 노드로서, A 지점(본선의 정지선 또는 본선의 시작선)에 위치한다.
제1이웃 노드는 평면교차로의 노드를 기준으로 상류부 또는 하류부에 위치하는 노드(즉, 이전(이후) 노드)로서, 감속구간의 경우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A 지점의 이전인 B 지점에 위치하고, 가속구간의 경우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A 지점의 이후인 B 지점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 3a의 경우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즉, A 지점의 노드 개수)와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즉, B 지점의 노드 개수)는 각각 4개이다.
이하에서는 평면교차로의 노드를 A 지점의 노드라 하고, 제1이웃 노드(이전(이후) 노드)를 B 지점의 노드라 하고, 제2이웃 노드를 (B+n, n=1 이상의 상수) 지점의 노드라 하며,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일반차로 판단부(622)는 제1노드 비교부(621)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예를 들어, 400미터)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가 없으면, 도로를 일반 차로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차로 판단부(622)는 C1_NODE 레이어를 분석하여 A 지점 노드로부터 일정 반경(예를 들어, 400미터) 이내에 노드타입(NODETYPE)=7이 존재하면 도로 차로수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노드타입=7은 도로차로수 변화 속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노드타입=7이 아니면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와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면서 정해진 반경(예를 들어, 400미터)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가 없는 것이므로, 일반차로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일반차로 판단부(622)는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는 있으나, 바깥차로 증가가 아니면, 도로를 일반 차로로 판단할 수 있다.
비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623)는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예를 들어, 400미터) 이내에서 바깥차로가 증가하면, 도로를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비도류화 변속차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비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623)는 도 3a의 B 지점을 변속차로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판단하여, B 지점부터 A 지점까지의 링크(차로)를 감속을 위해 비도류화된 변속차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b의 경우, 비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623)는 B 지점을 변속차로가 종료되는 지점을 판단하여, A 지점부터 B 지점까지의 링크(차로)를 가속을 위해 비도류화된 변속차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1노드 비교부(621)의 비교 결과,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와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2노드 비교부(624)는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제1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적은지 비교할 수 있다. 제2노드 비교부(624)는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제1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적으면, 도로는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3노드 비교부(625)는 제2노드 비교부(624)에서 현재 노드의 도로가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감속구간에서 제2이웃 노드(즉, (B+n) 지점의 노드, n=1, 2, 3, …)는 제1이웃 노드(B 지점의 노드)의 이전 노드이고, 가속구간에서 제2이웃 노드는 제1이웃 노드의 이후 노드이다.
도류화 비변속차로 판단부(626)는 제3노드 비교부(625)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많으면, 도로는 B 지점에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도류화 비변속차로 판단부(626)는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상하류 1개의 노드만 개수변화가 있을 경우, 회전차로는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교차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627)는 제3노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많지 않으면, 도로는 변속차로가 설치되어 있으면서 도류화된 도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종점 탐색부(628)는 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627)에서 판단된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된 도로의 변속차로 종점을 탐색하여 테이퍼 끝으로 정할 수 있다. 종점 탐색부(628)는 제1이웃 노드(B 지점)의 개수와 제n이웃 노드(B+n지점)의 개수가 다를 때까지 노드 개수를 비교하여, 제n이웃 노드가 위치하는 지점을 도류화된 변속차로의 종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도 4와 같이 도류화된 변속차로 유형은 A 지점의 노드 수보다 B 지점의 노드 수가 더 많으므로, B 지점의 노드 수와 그 이전(이후) 노드 수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변속차로의 종점을 탐색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기준점 판단부(630)는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620)에서 판단된 평면교차로(또는 우회전을 위한 회전차로)의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에 기초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설정을 위한 기준점을 [표 1]을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준점 판단부(630)는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모두에 대해 도류화 여부 및 변속차로 유무가 판단되면 기준점을 판단할 수 있다.
먼저, 기준점 판단부(630)는 감속부와 가속부를 나누어 변속차로가 설치된 경우는 종점 탐색부(628)에서 탐색된 감속구간의 테이퍼 끝 또는 가속구간의 테이퍼 끝을 기준점으로 정할 수 있다([표 1]의 1, 2, 5, 6).
또한, 기준점 판단부(630)는 변속차로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도류화 유무에 따라서, 도류화 되어 있으면서 변속차로가 설치되지 않은 감속부는 본선과 도류화 차로 정지선 중 후방을 기준점으로 정한다([표 1]의 3, 9, 도 1b, 도 2b, 도 5 참고).
또한, 기준점 판단부(630)는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회전차로가 도류화되어 있고, 변속차로가 설치되지 않은 가속부는 도류화 차로와 본선 합류부를 기준점으로 정한다([표 1]의 7, 11, 도 1b, 도 2b, 도5 참고).
또한, 기준점 판단부(630)는 변속차로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도류화되지 않고, 변속차로가 설치되지 않은 감속부는 본선 정지선을 기준점으로 정한다([표 1]의 4, 10, 도 2a 참고).
또한, 기준점 판단부(630)는 도류화되어 있지 않고, 변속차로가 설치되지 않은 가속부는 본선 시작부를 기준점으로 정한다([표 1]의 8, 12, 도 2a 참고). 즉, 기준잠 판단부(640)는 평면교차로 중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모두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의 본선 정지선과 가속구간의 본선 시작부를 기준점으로 정할 수 있다.
이로써, 일반차로, 변속차로의 유형, 변속차로의 설치 여부, 도류화 여부에 따라 평면교차로의 물리적 범위가 확장되고,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점이 교차로의 물리적 범위에 따라 적응적으로 수정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금지구간 설정부(640)는 기준점 판단부(630)에서 판단된 기준점과 각 도로 별 설계속도에 따른 제한거리를 이용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표출부(650)는 금지구간 설정부(640)에서 설정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정밀도로지도의 A1_LANE 레이어(규제선 레이어)에 오버랩하여 표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교차로의 도로가 변속차로가 아닌 일반차로인 경우, 금지구간 설정부(640)는 C1_NODE 레이어의 노드 타입=1인 지점(즉, 평면교차로)을 기준으로 해당 도로의 설계속도에 따른 연결 제한거리만큼의 버퍼를 생성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하고, 표출부(650)는 설정된 금지구간과 A1_LANE 레이어와의 교점을 탐색하여 화면에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변속차로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차로의 경우는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교차로의 물리적 교차로 영역의 기준점을 C1_Node 레이어의 Node type 1을 이용하여 탐색하고 금지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변속차로가 설치된 경우, 금지구간 설정부(640)는 변속차로와 회전차로 내 모든 연결을 금지하고, 예를 들어, 변속차로 테이퍼 종점으로부터 10미터(지구단위계획 구역 또는 제2단계 집행계획 수립구역) 또는 20미터(그 밖의 지역)까지를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으로 설정한다. 10미터와 20미터는 관계 법령을 참고하여 설정된 값으로서, 추후 법령 개정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변속차로 테이퍼 종점은 C1_NODE Node Type=7(도로 차로수 변화) 또는 B 지점 노드수와 (B+n)지점 노드수 간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B+n-1)지점의 노드가 테이퍼 끝점에 해당한다(도 4 참조).
또한, 변속차로가 설치되지 않은 도류화 교차로이면서 감속구간인 경우, 금지구간 설정부(640)는 도류화 차로와 본선 차로의 정지선(A2_STOP 레이어)을 모두 검토하여 후방을 기준으로 A2_STOP 레이어와 A1_LANE 레이어의 교점을 탐색하고, 탐색된 교점으로부터 설계속도에 따른 제한거리를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변속차로가 설치되지 않은 도류화 교차로이면서 가속구간인 경우, 금지구간 설정부(640)는 도 5의 B지점 노드부터 설계속도에 따른 제한거리를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표출부(650)는 금지구간 설정부(640)에서 설정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들을 정밀도로지도의 A1_LANE 레이어(규제선 레이어)의 Lane Code 07(길 가장자리 구역선)에 시각화되도록 오버랩하여 표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는 상술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600) 또는 도 15에 도시된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와 A3_LINK 레이어를 분석하여 도로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면교차로 도로들의 변속구간을 감속구간 및 가속구간 중 하나로 분류한다(S1100).
도 13은 도 12의 S1100단계를 자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입력되는 C1_NODE 레이어의 노드 타입=1인지 확인하여 현재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이 평면교차로인지 확인한다(S1110, S1120).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면(S1120-Yes), 전자장치는 C1_NODE 레이어의 노드 ID(Node ID)를 추출한다(S1130).
전자장치는 A3_LINK 레이어가 입력되면, 추출된 노드 ID가 A3_LINK의 시점 노드(FROMNODE)와 동일하면,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중 현재 분석대상인 도로의 노드를 시점노드로서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가속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S1140, S1150-Yes, S1160).
또한, 전자장치는 S1130단계에서 추출된 노드 ID(Node ID)와 A3_LINK의 종점 노드(TO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도로들 중 종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감속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S1170, S1180).
반면, S1120단계에서 노드 타입=1이 아니면, 전자장치는 C1_NODE 레이어에 해당하는 도로는 비평면교차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90).
S1160, S1180 및 S1190단계에서 판단된 결과는 메모리(1330) 또는 스토리지(136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12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S1100단계에서 도로들의 변속구간이 모두 분류되면,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를 이용하여 각 도로의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을 판단한다(S1200).
도 14는 도 12의 S1200단계를 자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C1_NODE 레이어가 입력되면(S1205), 도 13에 의해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C1_NODE 레이어의 평면교차로 노드 개수(A 지점)와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B 지점)를 비교한다(S1200, S1210).
전자장치는 S1210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S1210-Yes),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가 없으면(S1215-No) 도로를 일반 차로로 판단할 수 있다(S1220).
또한, 전자장치는 S1210단계의 비교 결과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S1210-Yes),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는 있으나(S1215-Yes), 바깥차로 증가가 아니면(S1225-No), 도로를 일반 차로로 판단할 수 있다(S1220).
또한, 전자장치는 S1225단계에서 노드 타입=7에서 바깥차로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1225-Yes), 도로를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할 수 있다(S1230).
한편, S1210 단계에서 평면교차로 노드 개수의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가 다르면(S1210-No), 전자장치는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제1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적은지 판단할 수 있다(S1235).
S1235단계에서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제1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적으면(S1235-Yes), 전자장치는 도로는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하고(S1240), n=1로 설정한다(S1245).
그리고, 전자장치는 제1이웃 노드(B 지점)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B+n) 지점, n=1)의 개수보다 더 많은지 비교한다(S1250).
S1250단계에서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많으면(S1250-Yes), 전자장치는 회전도로가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B 지점을 변속차로 종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S1255, S1260).
반면, S1250단계에서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더 많지 않으면(S1250-No), 전자장치는, 분석대상인 도로는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인 것으로 판단하고, 도로의 변속차로 종점을 탐색하여 테이퍼 끝으로 정할 수 있다(S1265~S1280). S1270단계에서, B 지점 노드 개수와 (B+n) 지점 노드 개수가 다르면, 전자장치는 (B+n-1) 지점을 변속차로 종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12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S1200단계에서 판단된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에 기초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설정을 위한 기준점을 판단한다(S1300). S1300단계의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준점 판단부(630)의 동작과 동일하다.
전자장치는 S1300단계에서 판단된 기준점과 각 도로 별 설계속도에 따른 제한거리를 이용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정밀도로지도에 표출한다(S1400). S1400단계의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금지구간 설정부(640)의 동작과 동일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스마트 시설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1300)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300)은 버스(131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20), 메모리(13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3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350), 스토리지(136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2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30) 및/또는 스토리지(136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30) 및 스토리지(136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30)는 ROM(Read Only Memory)(13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32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30) 및/또는 스토리지(136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32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3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32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600: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610: 변속구간 분류부
620: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
630: 기준점 판단부
640: 금지구간 설정부
650: 표출부

Claims (16)

  1.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 A3_LINK 레이어, A1_LANE 레이어 및 A2_STOP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도로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면교차로 도로들의 변속구간을 감속구간 및 가속구간 중 하나로 분류하는 변속구간 분류부;
    상기 도로들의 변속구간이 분류되면,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를 분석하여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을 판단하는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
    상기 판단된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에 기초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설정을 위한 기준점을 판단하는 기준점 판단부;
    상기 판단된 기준점과 각 도로 별 설계속도에 따른 제한거리를 이용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하는 금지구간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정밀도로지도에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구간 분류부는,
    상기 C1_NODE 레이어가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면, 상기 C1_NODE 레이어의 노드 ID(Node ID)를 추출하는 노드 ID 추출부;
    상기 추출된 노드 ID(Node ID)와 상기 A3_LINK의 시점 노드(FROM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도로들 중 시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가속구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추출된 노드 ID(Node ID)와 상기 A3_LINK의 종점 노드(TO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도로들 중 종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감속구간으로 분류하는 가감속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상기 C1_NODE 레이어의 평면교차로 노드와 이웃하는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를 비교하는 제1노드 비교부;
    상기 제1노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가 없거나, 상기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는 있지만 바깥차로 증가가 아니면, 상기 도로를 일반 차로로 판단하는 일반 차로 판단부; 및
    상기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바깥차로가 증가하면, 상기 도로를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비도류화 변속차로로 판단하는 비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판단부는, 상기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모두에 대해 도류화 여부 및 변속차로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도로가 변속차로가 미설치된 일반 차로로 판단되면, C1_NODE 레이어의 노드 타입(Node Type)이 1인 지점의 본선 정지선과 본선 시작부를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모두 상기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각각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가속구간은 상기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고, 감속구간은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의 본선 정지선과 가속구간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며,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감속구간은 상기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고, 가속구간은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의 테이퍼 끝과 가속구간의 본선 시작부를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며,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모두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부간의 본선 정지선과 가속구간의 본선 시작부를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상기 C1_NODE 레이어의 평면교차로 노드와 이웃하는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를 비교하는 제1노드 비교부;
    상기 제1노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다르고, 상기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제1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적으면, 상기 도로는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2노드 비교부;
    상기 제2노드 비교부에서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를 비교하는 제3노드 비교부; 및
    상기 제3노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많으면, 상기 도로는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도류화 비변속차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판단부는, 상기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모두에 대해 도류화 여부 및 변속차로 유무가 판단되면,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회전차로가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에 해당하는 도로는 본선 정지선과 도류화 차로 정지선 중 후방을 상기 감속구간의 기준점으로 정하고, 가속구간에 해당하는 도로는 본선과 도류화 차로의 합류부를 상기 가속구간의 기준점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류화 및 변속차로 판단부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3노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더 많지 않으면, 상기 도로는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인 것으로 판단하는 도류화 변속차로 판단부; 및
    상기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된 도로의 변속차로 종점을 탐색하여 테이퍼 끝으로 정하는 종점 탐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판단부는,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로 판단된 감속부 또는 가속부에 대하여, 상기 종점 탐색부에서 탐색된 감속구간의 테이퍼 끝 또는 가속구간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로 판단되지 않는 감속구간 또는 가속구간은 각 유형에 따라 기준점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9. (A) 전자장치가,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 A3_LINK 레이어, A1_LANE 레이어 및 A2_STOP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도로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면교차로 도로들의 변속구간을 감속구간 및 가속구간 중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도로들의 변속구간이 분류되면, 정밀도로지도의 C1_NODE 레이어를 이용하여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도류화 여부, 변속차로 설치 여부 및 변속차로 유형에 기초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설정을 위한 기준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기준점과 각 도로 별 설계속도에 따른 제한거리를 이용하여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을 정밀도로지도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C1_NODE 레이어가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A2) 평면교차로에 해당하면, 상기 C1_NODE 레이어의 노드 ID(Node ID)를 추출하는 단계;
    (A3) 상기 추출된 노드 ID(Node ID)와 상기 A3_LINK의 시점 노드(FROM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도로들 중 시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가속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A4) 상기 추출된 노드 ID(Node ID)와 상기 A3_LINK의 종점 노드(TONODE)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도로들 중 종점노드를 가지는 링크가 속한 부분을 감속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B1) 상기 C1_NODE 레이어의 평면교차로 노드와 이웃하는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가 없거나, 상기 (B1)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도로 차로수의 변화는 있지만 바깥차로 증가가 아니면, 상기 도로를 일반 차로로 판단하는 단계; 및
    (B3) 상기 (B1)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평면교차로 노드로부터 정해진 반경 이내에서 바깥차로가 증가하면, 상기 도로를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비도류화 변속차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모두에 대해 상기 (B1) 내지 (B3) 단계가 수행되면,
    (C1)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도로가 변속차로가 미설치된 일반 차로로 판단되면, C1_NODE 레이어의 노드 타입(Node Type)이 1인 지점의 본선 정지선과 본선 시작부를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
    (C2)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모두 상기 (B3) 단계에서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각각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
    (C3)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가속구간은 상기 (B3) 단계에서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고, 감속구간은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의 본선 정지선과 가속구간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 및
    (C4)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감속구간은 상기 (B3) 단계에서 수직으로 잘려진 형태의 변속차로로 판단되고, 가속구간은 일반차로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의 테이퍼 끝과 가속구간의 본선 시작부를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B4) 상기 C1_NODE 레이어의 평면교차로 노드와 이웃하는 제1이웃 노드의 노드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B5) 상기 (B4)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다르면, 상기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제1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적은지 판단하는 단계;
    (B6) 상기 (B5) 단계에서 평면교차로의 노드 개수가 제1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적으면, 상기 도로는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B7) 상기 (B6) 단계에서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이웃 노드의 개수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B8) 상기 (B7)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많으면, 상기 도로는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평면교차로 내 도로들 모두에 대해 상기 (B4) 내지 (B8) 단계가 수행되면,
    (C5)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회전차로가 상기 (B8) 단계에서 변속차로의 설치없이 도류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감속구간에 해당하는 도로의 본선 정지선과 도류화 차로 정지선 중 후방을 상기 감속구간의 기준점으로 정하고, 가속구간에 해당하는 도로의 본선과 도류화 차로의 합류부를 상기 가속구간의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변속구간이 분류된 도로들 각각에 대해,
    (B9) 상기 (B7) 단계의 비교 결과 제1이웃 노드의 개수가 제2이웃 노드의 개수보다 더 많지 않으면, 상기 도로는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로 판단하는 단계; 및
    (B10) 상기 도로의 변속차로 종점을 탐색하여 테이퍼 끝으로 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6)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 또는 가속구간이 상기 (B9) 단계에서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로 판단되면, 상기 (B10)단계에서 판단된 감속구간의 테이퍼 끝과 가속구간의 테이퍼 끝을 상기 기준점으로 정하는 단계; 및
    (C7) 상기 평면교차로 중 우회전을 위해 연결되는 감속구간과 가속구간 중 변속차로가 설치된 도류화 도로로 판단되지 않은 감속구간 또는 가속구간은 각 유형에 따라 기준점을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방법.
KR1020190162542A 2019-12-09 2019-12-09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209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42A KR102094342B1 (ko) 2019-12-09 2019-12-09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42A KR102094342B1 (ko) 2019-12-09 2019-12-09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342B1 true KR102094342B1 (ko) 2020-03-27

Family

ID=6995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542A KR102094342B1 (ko) 2019-12-09 2019-12-09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1289A (zh) * 2024-01-04 2024-04-05 北京明树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公路交通数据分析系统
CN117831289B (zh) * 2024-01-04 2024-05-24 北京明树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公路交通数据分析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4404A (ja) * 2000-09-04 2002-03-15 Kokusai Kogyo Co Ltd 地図データを活用した3次元道路設計支援システム
KR101649937B1 (ko) * 2015-05-22 2016-08-30 (주) 한길아이티 인터체인지 자동 설계 툴을 제공하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70099818A (ko) 2017-08-14 2017-09-01 옥은호 자율주행 자동차 전용 고속도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4404A (ja) * 2000-09-04 2002-03-15 Kokusai Kogyo Co Ltd 地図データを活用した3次元道路設計支援システム
KR101649937B1 (ko) * 2015-05-22 2016-08-30 (주) 한길아이티 인터체인지 자동 설계 툴을 제공하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70099818A (ko) 2017-08-14 2017-09-01 옥은호 자율주행 자동차 전용 고속도로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준형 외 3. 정밀도로지도 내 평면교차로 구조적 특성을 반영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자동 추출방법론 연구. 국토연구 제103권, 2019.12.31., pp.27-3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1289A (zh) * 2024-01-04 2024-04-05 北京明树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公路交通数据分析系统
CN117831289B (zh) * 2024-01-04 2024-05-24 北京明树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公路交通数据分析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622B1 (ko) 씬 평가 장치, 주행 지원 장치, 씬 평가 방법
CN108922185B (zh) 一种快捷部署交叉口渠化系统的方法
US20200073977A1 (en) Validating road intersections
KR102092484B1 (ko) 씬 평가 장치, 주행 지원 장치, 씬 평가 방법
WO2022082851A1 (zh) 用于矿山运输车辆的交通控制方法、平台及其系统
WO2011023333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oad data
CN109841078B (zh) 导航数据处理方法及其装置、存储介质
CN111429741A (zh) 交通管理方法、装置和系统、服务器和存储介质
KR102094342B1 (ko) 정밀도로지도 기반 평면교차로 도로연결허가 금지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CN114020856A (zh) 一种交通限制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Boroujerdian et al. Pedestrian gap acceptance logit model in unsignalized crosswalks conflict zone
JP5434863B2 (ja) 車群運行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Nikitin et al. Efficiency analysis of roundabout with traffic signals
Stupin et al. Control of traffic congestion by improving the rings and optimizing the phase lengths of traffic lights with the help of anylogic
CN113177046B (zh) 路网拓扑图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716480B2 (ja) 道路ネットワーク変化検出装置、道路ネットワーク変化検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11814724B (zh) 车道数的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30159052A1 (en) Method for processing behavior data,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 and autonomous vehicle
Easa Modeling of unsymmetrical single-lane roundabouts based on stopping sight distance
KR20210050150A (ko) 도로교통 운행환경정보 기반 교통사고 영상을 활용한 자율주행 테스트 시나리오 도출 방법 및 절차
CN116295336A (zh) 一种地图分层结构的构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2333829A (ja) 電子地図データ
Chu et al. Modeling gap choice behavior at urban expressway merging sections
CN113450584B (zh) 井下信号灯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5014345A (zh) 一种可应用于无人天车非直线运行的路径规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