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168B1 -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168B1
KR102094168B1 KR1020190097432A KR20190097432A KR102094168B1 KR 102094168 B1 KR102094168 B1 KR 102094168B1 KR 1020190097432 A KR1020190097432 A KR 1020190097432A KR 20190097432 A KR20190097432 A KR 20190097432A KR 102094168 B1 KR102094168 B1 KR 10209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able
electric vehicle
lifting device
rollers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섭
황의지
Original Assignee
김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섭 filed Critical 김기섭
Priority to KR102019009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168B1/ko
Priority to PCT/KR2020/010294 priority patent/WO20210295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는 외주면에 충전 케이블이 감겨지는 몸체, 몸체를 관통하는 회전축,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충전 케이블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 및 복수의 롤러 각각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스틱을 포함하되, 몸체는 정사다리꼴 원기둥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충전 케이블의 승강시 몸체에 충전 케이블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Electric car charging cable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충전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어 충전 케이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완속충전방식과 급속충전방식으로 나뉜다. 이때, 완속충전방식에 사용되는 충전케이블은 전력 공급량이 적으므로 직경이 가는 케이블 사용한다. 이에 반하여 급속충전방식에 사용되는 충전케이블은 전력 공급량이 매우 크므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직경이 큰 케이블을 사용한다.
급속충전에 사용되는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은 내부의 전선의 직경이 클 뿐만 아니라, 절연을 위한 외피도 두꺼운 것을 사용하므로 무게가 무겁다.
급속충전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주로 충전 케이블이 충전기 본체의 옆단에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충전 케이블의 무게가 무거워 이동에 불만을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며, 충전 후 충전 케이블을 바닥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게 바닥에 방치된 충전 케이블은 자동차가 지나가면서 밟게 되므로 외피손상이 발생한다. 또한, 충전시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쓸려 외피 손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8-0001337호(고안의 명칭 :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는 충전케이블과 연결된 자동 권취되는 와이어를 사용하는 방식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8-0001337호는 사용자가 충전케이블을 이동시켜야 하고, 충전중에 권취릴의 장력이 계속 작용하고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충전 케이블의 외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면에 충전 케이블이 감겨지는 몸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충전 케이블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 및 상기 복수의 롤러 각각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스틱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정사다리꼴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는 상기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몸체에 감겨지고, 상기 회전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몸체에서 풀려 상기 충전 케이블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어느 하나는 메인 롤러로서, 그 직경이 나머지 롤러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상기 메인 롤러의 인접한 두 롤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롤러들 중 가장 직경이 작은 롤러이며, 상기 메인 롤러와 상기 직경이 가장 작은 롤러의 직경의 차이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직경의 차이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스틱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방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는 상기 몸체 바깥쪽에 상기 충전 케이블을 보호하는 원통형의 보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이송장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배치된 충전 케이블 사용시 바닥에 쓸리거나, 자동차가 밟고 지나감으로써 발생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이송장치는 노약자, 장애인 등의 교통 약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충전 케이블을 승강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용 충전 케이블을 천정 또는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충전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후에 설명하는 내용은 충전 케이블의 승강 동작시 충전 케이블을 승하강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는 몸체(100), 모터(120), 회전축(130), 제1 내지 제5 연결스틱(210 내지 250) 및 제1 내지 제5롤러(310 내지 3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의 외주면에는 충전 케이블(10)의 감겨진다. 몸체(100)는 중앙에 회전축(130)이 삽입되는 중심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두개의 지지바(500)에 결합되어 천정에 고정되거나, 지지물에 거치될 수 있다.
모터(120)는 몸체(100) 상부에 형성되거나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축(130)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모터(120)가 몸체(100)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모터(12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축(130)은 모터(1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1 내지 제5 연결스틱(210 내지 250)은 일단이 회전축(130)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5 연결스틱(210 내지 250)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5 연결스틱(210 내지 250)은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5개의 연결스틱(210 내지 250)으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5 롤러(310 내지 350) 각각은 제1 내지 제5 연결스틱(210 내지 250)에 각각 결합된다. 제1 내지 제5 롤러(310 내지 350)는 충전 케이블(10)을 지지하여, 충전 케이블(10)의 승강에 따라 몸체(100)에 충전 케이블(10)이 감겨지거나, 풀릴 수 있도록 가이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내지 제5 롤러(310 내지 350)는 충전 케이블(10)이 몸체(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롤러(310 내지 350)는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100)의 바깥쪽에 몸체(100)에 감겨진 충전 케이블(10)을 보호하는 보호부(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호부(400)은 몸체(100)에 감겨진 충전 케이블(1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력으로부터 충전 케이블(10)을 보호할 수 있다. 보호부(400)은 몸체(100)의 외부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몸체(100)에 비해 외면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부(400)는 그 직경이 몸체(100)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부(400)는 제1 내지 제5 롤러(310 내지 350)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보호부(400)은 제1 내지 제5 롤러(310 내지 350)의 바깥쪽 끝단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충전 케이블(10)이 승강 중에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400)는 몸체(100)와 제1 내지 제5 롤러(310 내지 3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및 도면 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원기둥 형태로서 정면에서 보면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가 사다리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몸체(100)의 외주면에 감겨진 충전 케이블(10)은 모터의 하강동작을 위한 회전시 중력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충전 케이블(10)의 승강 동작에서, 몸체(100)의 최하단에 감겨진 충전 케이블(10)을 밀어 올릴 때, 몸체(100) 직경이 줄어들어 해당 위치에서의 충전 케이블(10)이 몸체(100)를 감고 있는 장력이 해소되므로 해당 층의 충전 케이블이 상부로 밀려간다.
또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케이블(10)을 몸체(100)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힘은 회전축(130)이 회전할 때, 제1 롤러(310)에 의해 발생된다.
제1 롤러(310)는 메인 롤러로서 충전 케이블(10)의 인입부에 형성된다. 제1 롤러(310)는 충전 케이블(10)이 거치되며, 회전한다. 이때, 회전축(130)이 일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 제1 내지 제5 연결스틱(210 내지 250)가 회전하면서 충전 케이블(10)이 몸체(100)에 감겨진다. 이때, 제1 롤러(310)의 반경은 충전 케이블의 직경과 근접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충전 케이블(10)을 몸체(100)의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작용한다.
제2 내지 제5 롤러(320 내지 350)는 제1 롤러(310)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롤러(310)에 비해 제2 롤러(320)의 직경이 작고, 제2 롤러(320)에 비해 제3 롤러(330)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며, 제3 롤러(330)에 비해 제4 롤러(340)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고, 마지막으로 제4 롤러(340)에 비해 제5 롤러(350)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이때, 제1 롤러(310)의 직경과 제5 롤러(350)의 직경의 차이는 충전 케이블(10)의 직경에 비해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 롤러(310)와 제5 롤러(350)의 직경 차이가 충전 케이블(10)의 직경 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됨으로써, 충전 케이블(10)이 몸체(100)를 감기는 동안 경사도가 최소가 되며, 몸체(100)의 최하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충전 케이블(10)이 밀려 올라가는 동안 상단에 위치하는 충전 케이블(10)의 장력이 해제되어 용이하게 몸체(100) 상부로 충전 케이블(10)이 밀려 올라간다.
모터가 역방향 회전을 하면 중력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충전 케이블(10)이 하강한다.
여기서, 충전 케이블(10)은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안 제1 연결스틱(210)의 회전반경을 따라 회전하므로, 일정한 승강범위를 갖도록 승강가이드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부(미도시)는 몸체 밖으로 이동하는 충전케이블의 좌우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형식으로 형성되며, 기둥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이송장치는 충전 케이블이 몸체에 감기는 방식을 적용하여 충전 케이블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모터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이송장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배치된 충전 케이블 사용시 바닥에 쓸리거나, 자동차가 밟고 지나감으로써 발생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이송장치는 노약자, 장애인 등의 교통 약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충전 케이블을 승강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충전 케이블
100: 몸체
120: 모터
130: 회전축
210 내지 250: 제1 내지 제5 연결스틱
310 내지 350 : 제1 내지 제5 롤러
400: 지지바
500: 보호부

Claims (6)

  1.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 케이블을 급지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로서,
    외주면에 충전 케이블이 감겨지며, 정사다리꼴 원기둥형태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충전 케이블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 및
    상기 복수의 롤러 각각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스틱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충전 케이블이 외부로 배출되는 측에 형성되는 메인 롤러와 나머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나머지 롤러의 직경은 상기 메인 롤러를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커지거나,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메인 롤러와 직경이 가장 작은 롤러의 직경의 차이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직경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몸체에 감겨지고, 상기 회전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몸체에서 풀려 상기 충전 케이블을 승강시키는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스틱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방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바깥쪽에 상기 충전 케이블을 보호하는 원통형의 보호부가 더 구비된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 장치.
KR1020190097432A 2019-08-09 2019-08-09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KR102094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432A KR102094168B1 (ko) 2019-08-09 2019-08-09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PCT/KR2020/010294 WO2021029593A1 (ko) 2019-08-09 2020-08-05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432A KR102094168B1 (ko) 2019-08-09 2019-08-09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168B1 true KR102094168B1 (ko) 2020-03-27

Family

ID=6995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432A KR102094168B1 (ko) 2019-08-09 2019-08-09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4168B1 (ko)
WO (1) WO202102959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0965A (zh) * 2020-08-14 2020-11-06 安徽华通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组装的新型新能源汽车电缆
WO2021029593A1 (ko) * 2019-08-09 2021-02-18 제일정보기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CN113644615A (zh) * 2021-08-17 2021-11-12 库珀(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式扭缆止扭装置及组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0793A1 (de) * 1981-04-02 1982-10-28 Reinhard 6361 Niddatal Napierski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kabels
JP5737402B2 (ja) * 2011-07-14 2015-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用ケーブル収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818B1 (ko) * 2006-05-09 2007-11-19 이종국 케이블드럼 받침대
JP2012201468A (ja) * 2011-03-25 2012-10-22 Chuo Spring Co Ltd コード収容装置
US9950634B2 (en) * 2014-07-10 2018-04-24 Control Module, Inc. Overhead cable management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KR102094168B1 (ko) * 2019-08-09 2020-03-27 김기섭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0793A1 (de) * 1981-04-02 1982-10-28 Reinhard 6361 Niddatal Napierski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kabels
JP5737402B2 (ja) * 2011-07-14 2015-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用ケーブル収容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593A1 (ko) * 2019-08-09 2021-02-18 제일정보기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CN111890965A (zh) * 2020-08-14 2020-11-06 安徽华通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组装的新型新能源汽车电缆
CN113644615A (zh) * 2021-08-17 2021-11-12 库珀(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式扭缆止扭装置及组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9593A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168B1 (ko)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승강장치
KR20190089847A (ko) 파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파력 에너지 변환 시스템 및 방법
CN105692320A (zh) 一种电力设施规划用电缆线放线装置
CN109160366A (zh) 一种输电线路架设用收放线装置
CN109132732A (zh) 一种野外线路架设用收放线装置
CN113734914A (zh) 车载线缆自动伸缩收纳设备及具有其的车辆
CN210366896U (zh) 伸缩式可升降爬梯
JP3524901B2 (ja) 移動体におけるピットカバー開閉装置
CN219031382U (zh) 一种充电枪卷线盘
CN111039076A (zh) 一种电缆用收放装置
CN206014056U (zh) 电缆放线装置
CN211470292U (zh) 推力球轴承放线架
CN210029563U (zh) 一种电缆绞线机的线盘上料装置
CN215710866U (zh) 车载线缆自动伸缩收纳设备及具有其的车辆
CN216785274U (zh) 一种市政工程施工用电缆放线设备
JP4256225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及び日射遮蔽装置
CN214527466U (zh) 港口电缆引导装置
CN215905634U (zh) 一种单排螺旋排缆滑环式电缆卷筒
CN214455680U (zh) 一种电线释放机
CN219906597U (zh) 一种中心线全时旋转同步电缆收放线装置
CN110249128B (zh) 用于平行于风力涡轮机塔架升高或降低负载的方法和设备
US20240010084A1 (en) Dual wire rope motor reel
CN219839275U (zh) 通信工程放线装置
CN210557347U (zh) 一种伸缩输送机专用吊索机构
CN211569777U (zh) 一种可固定电缆的通信电缆收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