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121B1 -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121B1
KR102094121B1 KR1020180113977A KR20180113977A KR102094121B1 KR 102094121 B1 KR102094121 B1 KR 102094121B1 KR 1020180113977 A KR1020180113977 A KR 1020180113977A KR 20180113977 A KR20180113977 A KR 20180113977A KR 102094121 B1 KR102094121 B1 KR 10209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blockchain
reliability
pay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예준
Original Assignee
(주)블록체인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록체인오에스 filed Critical (주)블록체인오에스
Priority to KR1020180113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04L63/123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received data contents, e.g. message 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보험사 서버로부터 고객 단말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의 데이터와 고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에서 지급해야 할 보험금의 지급 발생 정보를 고객 단말 및 보험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지급 발생 정보의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는 단계, 및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통과한 지급 발생 정보를 블록체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분산 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BLOCKCHAIN BASED FOREIGN INFORAMTION VALIDATING SERVICE IN INSURANCE PROCESSING PROCEDURE}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체인으로 유입되는 데이터의 검증을 미리 실시함으로써 위변조된 데이터가 분산저장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역사적 전환기에 금융시장에서도 인터넷 전문은행, 각종 크라우드펀딩, 인공지능에 의한 로보어드바이저, 빅데이터 기반 금융서비스, 생체인증 등 바이오금융, 블록체인 기반 신금융서비스 등의 혁신이 진행중이다. 모든 것이 융합되고 연결되며, 탈중개와 초지능의 사회로 이행해 가고 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최근 보험업은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그 경계가 무너지면서 보험과 기술이 결합된 인슈어테크가 등장했고, 인슈어테크 산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핀테크 산업 활성화 기반 사업 가운데 하나로 시행되고 있다.
이때, 인슈어테크의 일환으로 보험사에서 보상발생사유에 대한 데이터 신뢰도를 높이고 손해를 사정하는 방법을 자동으로 진행하는 방법을 연구 및 개발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8600호(2015년08월28일 공개)에는 고객의 중고폰 매입 요청을 수신하여 현재의 중고폰 매입 가격을 확인하며, 고객이 단말기 회수 연계 보험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중고폰 매입 가격이 통신 단말기에 대한 중고폰 보장 가격에 미달하고 해당 고객이 단말기 회수 연계 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고폰 매입 가격과 통신 단말기에 대한 중고폰 보장 가격 간의 차액 중 적어도 일부를 단말기 회수 연계 보험에 대한 보험 보상금으로 산정하고, 중고폰 매입 가격과 보험 보상금을 합한 금액을 고객 보상금으로 산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보험보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대부분의 경우 배상을 받을 고객이 제출하는 경우가 많고, 손해사정을 거쳐 보상금이 지급되는 형식을 지니고 있는데, 인슈어테크가 진행되어 보험이 블록체인과 결합되고, 블록체인 내에 보상금 발생사유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내에 저장되는 경우 고객이 보상금발생정보를 위조했거나 데이터 입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일지라도 블록체인으로 유입되는 정보 자체를 검증할 신뢰 기관이 없어 오류 또는 위변조된 데이터가 공유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일단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가 유입된 후에는 분산저장의 특성상 위변조가 어려운 문제로 수정도 불가하게 되므로 블록체인의 네트워크로 유입되기 전에 이를 검증할 플랫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부 과제로 진행되고 있는 인슈어테크 산업에서 블록체인으로 보험 데이터를 분산저장하고 공유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내로 유입되는 정보를 검증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서 블록체인 내로 오류가 있거나 위변조된 데이터가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유입이 되었을지라도 공유된 장부의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추출해냄으로써 2차적으로 공유된 정보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자문 회신시 일반인에게 주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감성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험사 서버로부터 고객 단말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의 데이터와 고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에서 지급해야 할 보험금의 지급 발생 정보를 고객 단말 및 보험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지급 발생 정보의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는 단계, 및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통과한 지급 발생 정보를 블록체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분산 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정부 과제로 진행되고 있는 인슈어테크 산업에서 블록체인으로 보험 데이터를 분산저장하고 공유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내로 유입되는 정보를 검증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서 블록체인 내로 오류가 있거나 위변조된 데이터가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유입이 되었을지라도 공유된 장부의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추출해냄으로써 2차적으로 공유된 정보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자문 회신시 일반인에게 주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감성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보험사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하고, 보험지급사유가 발생한 경우 증명 데이터를 전송하고, 보험사로부터 보험금을 지급받는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블록체인 내의 어느 하나의 노드를 이루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전송한 증명 데이터의 검증 및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GTTP(Generic Trusted Third Party)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보험사 서버(500) 및 고객 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검증 및 위변조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보험계약체결에서부터 보상과정에 이르는 전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검증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보험의 종류는 다양한 손해를 보상하는 보험일 수 있고 특정 종류의 보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보험 프로세스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검증하도록 인공지능 알고리즘, 이상 데이터 탐지 알고리즘(FDS: Fraud Detect System)을 이용하거나 수동으로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검증을 실시하도록 하며, 해당 데이터를 블록체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분산장부에 공유되도록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3 신뢰기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 부인 방지(non-repudiation), 키 관리(key management) 등에서 당사자들로부터 신뢰를 얻고 중재, 인증, 증명, 관리 등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증명서 관리, 증거 관리, 키 관리, 타임 스탬프(time stamp), 암호 키 위탁(key escrow)을 수행할 수 있으나, 상술한 기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400)은,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위변조를 검증하고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400)은, 모든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말일 수도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알고리즘으로 탐지된 결과 중 오류가 발생하거나 이상 데이터로 추출된 데이터만을 검토한 결과를 입력받는 단말일 수도 있다. 어느 구성을 실시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술한 조합의 경우의 수로 한정하지는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는,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는,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검증하여 블록체인으로 입력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보험 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보험사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는 블록체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대응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집부(310), 수신부(320), 실시부(330), 저장부(340), 업데이트부(350), 계약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로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는,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집부(310)는, 보험사 서버(500)로부터 고객 단말(100)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의 데이터와 고객 단말(100)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명보험 또는 손해보험과 같은 경우 이하 표 1과 같은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다만, 하기의 목록이나 정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정보 보험상품명, 증권번호, 계약상태, 보험료
납입정보 납입횟수, 납입총액, 최종납입일, 납입주기/방법, 해지환급금, 환급율, 납입기간
계약정보 계약일, 만기일, 계약자, 피보험자, 수익자, 계약금액, 보장기간시작일, 보장기간종료일
대출정보 대출가능금액, 기대출금액, 대출이율
이체정보 계좌이체) 예금주, 은행명, 계좌번호 / 카드이체) 카드사명, 카드번호
담당자정보 지점명, 휴대폰번호, 담당컨설턴트
특약정보 주보험 및 특약명, 가입금액, 보험료, 보험기간, 납입기간, 납입상태
수신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에서 지급해야 할 보험금의 지급 발생 정보를 고객 단말(100) 및 보험사 서버(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험금 심사 및 지급절차는 고객으로부터 보험금 청구권 행사 기간 내에 보험금 청구 요청이 접수되면, 보험심사팀이 심사를 하고, 서류 심사와 현지 조사를 포함한 손해사정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 지급 또는 부지급을 결정하여 그 결과를 고객에게 통지하고 지급이 결정된 경우에는 고객의 통장으로 입금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험금은 이행청구권 또는 채권의 성격을 띄므로 이행청구기간, 즉 청구권이 소멸시효로 소멸되기 이전에 청구를 해야 지급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건 등이 발생한 시기를 증명하는 서류, 사건 자체가 발생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 등을 채권자인 고객이 증명하기 위해 준비를 하는데, 보상금 처리 및 구상 절차의 첫 단추인 증명 서류가 위변조가 되거나 보험 시스템 내에 저장되기 전에 무결성이 입증되지 않는다면, 이후 보험절차를 처리하는데 오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을 처리하게 되고, 신뢰성이 검증되지 않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참조함에 따른 손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신부(320)는 초기 입력 데이터의 상호참조 오류를 1차적으로 발견하기 위하여 보험사와 고객으로부터 모두 데이터를 받게 된다.실시부(330)는, 지급 발생 정보의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또는 FDS(Fraud Prevent System)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관리자 단말(400)에서 입력된 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실시부(330)에서 실행되는 방법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사람이 일부러 위변조를 실시하는 경우를 검증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위변조 여부 또는 신뢰도 흠결의 문제를 검증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경우에 따른 데이터를 검증하는 방법은 이하와 같다.
보험금 지급은 카드 결제나 이체 거래와 같이 즉시성을 요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분석시간이 길고, 추가적인 정보 수집이 가능하나, 하루에도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보험금 지급 요청이 들어오고 있어서 이를 수작업을 통해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보험금 지급 요청 시 요구되는 최소한의 정보를 이용하여 의심사고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 년간 순차적으로 3 개의 생명보험을 가입하고, 사고 3 개월 직전 계약변경으로 사망보험금을 증액시키고, 이후 아내는 운전자 과실로 위장하여 바다로 고의 후진/추락시켜 살해 한 후, 사망보험금 지급 신청을 한다고 가정한다. 보험가입 상황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아내의 과실로 인한 사망이 정상적으로 비춰질수 있지만, 과도한 생명보험 가입 및 사망보험금 증액의 경우 보험사기조사팀을 통해 정말조사를 거쳐 보험금 지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금융회사에서는 사고의 종류에 따라 수집 및 활용 될 수 있는 정보는 각각 상이하며, 주로 자동차보험사기와 관련해서는 모집자, 병원(평판, 의사 등), 지급횟수, 사고자와의 관계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보험사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험사기 인지시스템을 구축하여 조직화·지능화되는 보험사기를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보험계약 과다 가입여부, 보험금 지급횟수, 사고 유형 등에 따른 보험사기지표를 이용하여 인별·그룹별 혐의도를 산정하여 조사대상을 선정할 수 있으며, 단계별로 가해자, 피해자, 동승자 관계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혐의자를 확장하면서 사고관련성 및 공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 혐의가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보험금 예상편취규모 및 사기유형을 확인 할 수 있도록 다각화하여 보험사기를 탐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생명보험협회에서는 보험계약과 사고정보, 보험대출 정보를 가지며, 손해보험협회는 실본보험 계약정보를, 보험개발원에서는 자동차보험 계약정보와 보험효율 산정을 위한 광범위한 보험금 지급 정보를 활용하여 보험사기를 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험금 청구 접수가 되면, 심사 여부를 결정하고, 이후 사고유형 및 위협 수준에 따라 심사 혹은 추가 조사 프로세스를 걸친 후 지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험금이 지급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사후 분석을 통해 보험사기와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부당반환 청구 등의 조치를 통해 지급된 보험금을 환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허위보고서 주입 공격으로부터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해 통계적 여과기법 (statistical en-route filtering scheme, SEF), 인터리브드 홉단위 인증 기법 (inter-leaved hop-by-hop authentication, IHA), 동적 여과기법(dynamic en-route filtering scheme, DEF), 그리고 키 상속 기반 여과 기법 (key inheritance-based filtering) 등의 대응기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두 번째 경우에 따른 데이터를 검증하는 방법은 이하와 같다.
TPA(Third Pary Authority)와 Batch Auditing, Challenge-Response 프로토콜, Data Structure 기법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TPA(Third Pary Authority)와 Batch Auditing은, 사용자가 직접 매번 Challenge를 생성하고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각 사용자가 TPA에게 그 작업을 위임한 후 TPA가 여러 사용자를 대표하여 데이터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하는 방법인데, TPA가 여러 사용자들을 대표할 경우 batch auditng이 가능하면 좀 더 효율적이다. Batch auditing은 여러 사용자의 서로 다른 데이터를 검증할 때 하나의 challenge로 해결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TPA는 관리자 단말(400)로 구현될 수 있고, 고객 단말(100) 및 보험사 서버(500)와,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의 작업과 통신 횟수가 줄어들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두 번째로, Challenge-Response 프로토콜은, Signature 기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Signature는 사용자가 생성한 특정 메시지가 변형되었는지를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시그니처의 특징을 이용하여 블록체인으로 유입될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고객 단말(100)이나 보험사 서버(500)에서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될 데이터를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눈 후, 각 블록에 해당하는 시그니처를 생성하고, 데이터와 생성된 시그니처를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때, 고객 단말(100)이나 보험사 서버(500)에서 전송하는 시그니처는 homomorphism 특징을 가져야 하는데, 각 블록들의 연산결과와 그 블록들에 대응하는 시그니처들의 연산결과 같의 매핑이 보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그니처를 생성하여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 후에 사용자가 데이터 무결성 검증을 위해 보내는 challenge는 특정 블록들의 인덱스가 된다. Challenge를 받은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정된 인덱스와 블록의 연산결과, 이 블록에 대응하는 시그니처의 연산결과를 만들어서 응답을 생성하는데, 이때 두 연산 결과는 homomorphism 특징에 의해 서로의 매핑이 보존된다. 이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가 변형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는데, 전체 데이터의 1%가 변형되더라도 460개의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면 99%이상의 신뢰도로 데이터 변형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무결성 검증이 이용될 수 있다.
세 번째로, Data Structure 기법은, 사용자가 데이터에 대한 특정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데이터와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 구조를 전송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는 인증 스킵 리스트(authenticated skip list)와 머클트리(Merkle tree)가 이용될 수 있다. 머클트리의 검증방식은 Signature 기법과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를 특정 크기의 블록으로 나눈 후 각 블록에 해쉬함수를 적용하고, 각 블록에 해쉬함수를 적용시킨 값은 머클트리의 리프노드(leaf node)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각 리프노드를 2개씩 묶어 해쉬 함수를 적용시키는데, 그 값은 묶여진 2개의 리프노드의 부모노드가 된다. 사용자는 이 과정을 반복해서 루트노드까지의 값을 생성하고 이는 트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머클트리를 생성하는 사용자는 루트노드의 값만 저장하고, 자신이 올리고자 하는 데이터와 머클트리를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함께 전송하게 되는데, 루트노드의 값을 비교하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던 값을 확인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인공지능 및 FDS 알고리즘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증거 제출자(고객, 보험사)가 위변조한 경우를 1차적으로 추출해내고, 2차적으로 데이터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무결성 및 신뢰성 흠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저장부(340)는,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통과한 지급 발생 정보를 블록체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분산 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확보해주는 방법에 따라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자격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경우가 퍼블릭 블록체인이며, 제한을 두는 경우를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이때, 퍼블릭 블록체인의 합의 메커니즘으로는 컴퓨팅 파워에 의존하는 작업증명(PoW : Proof of Work), 암호화폐 보유량에 의존하는 지분증명(PoS : Proof of Stake), 평판 및 투표에 의해 일종의 국회를 구성하는 방식인 위임지분방식(DPoS : Delegated Proof of Stake) 등이 있으며, 퍼블릭 블록체인의 합의방식은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목적은 본질적으로 TTP(신뢰기관)를 제거한 p2p 네트워크의 신뢰성 확보 기술이다. 그러나 여기서 신뢰성이란 상호 신뢰하지 않는 네트워크 참여자 간의 장부의 무결성(immutability)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일반적으로 정보보호 4 대 서비스, 즉 비밀성, 인증, 무결성, 부인봉쇄서비스 중에서 무결성과 부인봉쇄 서비스 중 일부의 기능을 내포하고 있다. 다만, 상술한 블록체인의 무결성 보장은 입력된 데이터가 위변조되지 않았을 때 또는 신뢰성이 보장되었을 때 그 이후의 무결성을 보장한다는 것이지, 입력된 데이터가 위조되어 분산저장 및 공유되었을 때에도 무결성을 보장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사람이 인위적으로 조작을 가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른 유입 정보에 대한 무결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후 조작이 불가해지므로 블록체인의 무결성 및 신뢰성이 무너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 내의 생태계 유지를 위하여 유입되는 정보를 GTTP로 통제하도록 한다.
업데이트부(350)는, 저장부(340)에서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통과한 지급 발생 정보를 블록체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분산 장부에 저장한 후, 보험사 서버(500)로부터 고객 단말(100)로 보험금이 지급되는 경우 지급 발생 정보에 매핑하여 보험금 지급을 완료처리하여 블록체인 내의 분산 장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계약부(360)는, 수집부(310)에서 보험사 서버(500)로부터 고객 단말(100)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의 데이터와 고객 단말(100)의 정보를 수집한 후에, 고객 단말(100)의 고객과 보험사 서버(500)의 보험사 간의 체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계약 데이터를 수집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고, 고객 단말(100) 및 보험사 서버(5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계약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 무결성 확보하기 위한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은, 공연 티켓팅, 대중교통, 상품 배송, 및 숙박 예약을 포함하는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분야에서 손해를 보상하는 보험일 수 있고, 고객 단말(100) 및 보험사 서버(500)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고객 단말(100) 및 보험사 서버(500)는 서버기반컴퓨팅(Serve Based Computing) 또는 데스크탑 가상화(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를 실행함으로써 정보나 데이터의 조작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에 데이터가 유입되기 전에 해당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는지, 즉 외부에서 들어온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 데이터의 정확성이나 신뢰도 등에 대한 검증이나 보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검증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보험을 프로세싱함에 따른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분산저장하기 전에 무결성을 검증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어, 공연 티케팅 서비스에서 공연이 취소되거나 연기될 때의 피해보상, 항공 기차 등의 출발지연에 대한 보상, 상품 택배의 지연이나 분실보상, 숙박이나 식당 예약, 즉 예약이 되지 않았거나 예약한 사항과 실제가 다른 경우를 대비한 보상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공연 티케팅 서비스에서 공연이 취소되거나 연기될 때의 피해보상과 같은 경우에는, 고객이 제출하는 증거자료 이외에도 공연 주최측으로 해당 날짜의 공연이 취소되거나 지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자료를 수집하고, 고객, 보험사, 행사주최측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모두 비교대조하는 방법으로 무결성을 입증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100)을 보유한 고객과 보험사 서버(500)를 봉한 보험사 간의 체결된 보험계약 데이터를 수집하고(S4100, S4200), 데이터의 상호비교검증, 위변조 검증 등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실시하여(S4300, S4400), 무결성을 확인하고(S4500), 무결성이 확인된 보험 계약 데이터를 블록체인 내 노드에 분산되도록 저장한다(S4600). 이때, 무결성이 입증되지 않은 보험 계약 데이터는 각 당사자에게 확인을 요청하거나(S4600), 자체적으로 검증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100)에서 보험사 서버(500)로 보험금 지급 요청을 하면서 사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S4810), 이를 보험사 서버(500)로부터 수집하여(S4810), 상술한 무결성 확인 및 블록체인으로의 저장과정을 거친다(S4830 내지 S4900). 그리고, 보험금이 지급되는 경우(S4910), 보험금 지급 사유에 대하여 지급완료 사항을 고객과 보험사 간의 보험 데이터에 히스토리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한다(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보험사 서버로부터 고객 단말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의 데이터와 고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고(S5100),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에서 지급해야 할 보험금의 지급 발생 정보를 고객 단말 및 보험사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5200). 그리고,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급 발생 정보의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고(S5300),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통과한 지급 발생 정보를 블록체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분산 장부에 저장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보험사 서버로부터 고객 단말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의 데이터와 상기 고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의 고객과 상기 보험사 서버의 보험사 간의 체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계약 데이터를 수집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에서 지급해야 할 보험금의 지급 발생 정보를 고객 단말 및 상기 보험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급 발생 정보의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통과한 지급 발생 정보를 블록체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분산 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보험사 서버로부터 고객 단말로 보험금이 지급되는 경우 상기 지급 발생 정보에 매핑하여 보험금 지급을 완료처리하여 상기 블록체인 내의 분산 장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및 FDS(Fraud Prevent System)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상기 FDS 알고리즘을 기초로, 증거 제출자가 위변조한 경우를 1차 추출하고, 데이터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결성 및 신뢰성 흠결의 문제를 2차 추출하며,
    상기 2차 추출은 TPA(Third Pary Authority), Batch Auditing 및 Challenge-Response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되고,
    상기 Challenge-Response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생성한 특정 메시지가 변형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시그니처(signature)를 이용한 기법이 적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은, 공연 티켓팅, 대중교통, 상품 배송, 및 숙박 예약을 포함하는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분야에서 손해를 보상하는 보험이고,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 및 보험사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계약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위변조 여부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보험사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보험사 서버는 서버기반컴퓨팅(Serve Based Computing) 또는 데스크탑 가상화(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13977A 2018-09-21 2018-09-21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9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977A KR102094121B1 (ko) 2018-09-21 2018-09-21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977A KR102094121B1 (ko) 2018-09-21 2018-09-21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121B1 true KR102094121B1 (ko) 2020-03-26

Family

ID=6995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977A KR102094121B1 (ko) 2018-09-21 2018-09-21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1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5188A (zh) * 2023-06-07 2023-07-07 湖南元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保险投保流程数据存储方法及系统
KR102556677B1 (ko) * 2022-06-10 2023-07-17 최화인 디지털 콘텐츠의 보전절차를 이용한 디지털 보험 시스템
KR20230167581A (ko) 2022-06-02 2023-12-11 주식회사 리파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거래의 위험을 보험 및 조사를 통해 분산시키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nft 플랫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851B1 (ko) * 2001-12-22 2005-01-05 서정수 온라인 보험 청구 시스템
KR100474206B1 (ko) * 2002-08-20 2005-03-10 (주)나노씽크 민영 의료보험 자동화처리 방법
KR100657542B1 (ko) * 2005-01-20 2006-12-15 대한민국 감시카메라의 왜곡보정을 통한 신장계측 장치,방법,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기준점 설정장치
KR101084029B1 (ko) *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KR20180036628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디레몬 보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851B1 (ko) * 2001-12-22 2005-01-05 서정수 온라인 보험 청구 시스템
KR100474206B1 (ko) * 2002-08-20 2005-03-10 (주)나노씽크 민영 의료보험 자동화처리 방법
KR100657542B1 (ko) * 2005-01-20 2006-12-15 대한민국 감시카메라의 왜곡보정을 통한 신장계측 장치,방법,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기준점 설정장치
KR101084029B1 (ko) *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KR20180036628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디레몬 보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581A (ko) 2022-06-02 2023-12-11 주식회사 리파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거래의 위험을 보험 및 조사를 통해 분산시키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nft 플랫폼
KR102556677B1 (ko) * 2022-06-10 2023-07-17 최화인 디지털 콘텐츠의 보전절차를 이용한 디지털 보험 시스템
CN116405188A (zh) * 2023-06-07 2023-07-07 湖南元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保险投保流程数据存储方法及系统
CN116405188B (zh) * 2023-06-07 2023-08-22 湖南元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保险投保流程数据存储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42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ed access to policy data on blockchain
US20200219109A1 (en) Debit-based identity theft monitoring and prevention
US107831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ata
CN110633963B (zh) 电子票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设备
US9384231B2 (en) Data lineage management operation procedures
US84840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evaluating requests for insurance proposals
KR102094121B1 (ko) 블록체인 기반 보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입 정보 신뢰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60271457A1 (en) Identity theft monitoring and prevention
US20050257045A1 (en) Secure messaging system
CN110728494B (zh) 不动产业务的办理方法、不动产权信息系统及装置
WO2004008290A3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rporate governance-related services
US85434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compliance risk of regulated institutions
US20220207615A1 (en) Blockchain Insurance Verification System
CN111709718A (zh) 基于人工智能的智能保理资产服务平台、方法和存储介质
US201803657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ication of a Trust Status
KR102405956B1 (ko) 비대면 부동산 계약을 위한 계약 체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80265014A1 (en) Credit Relationship Management
US20180114270A1 (en) Operational due diligence method and system
Parlak Blockchain-based Immutable Evidence and Decentralized Loss Adjustment for Autonomous Vehicle Accidents in Insurance
US10460116B2 (en) Access control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2330451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企业信用信息服务平台
Antoni et al. Use of Blockchain for Designing Digital Documents in Public Services
US11985139B2 (en)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xecuting data verification operations between independent computing resources
CN114697114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Averin et al. Review of Existing Blockchain-Based Insurance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