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548B1 -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548B1
KR102093548B1 KR1020180028105A KR20180028105A KR102093548B1 KR 102093548 B1 KR102093548 B1 KR 102093548B1 KR 1020180028105 A KR1020180028105 A KR 1020180028105A KR 20180028105 A KR20180028105 A KR 20180028105A KR 102093548 B1 KR102093548 B1 KR 10209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product
module
bas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251A (ko
Inventor
김태양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5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은, 매장에서 구매하려는 상품을 유저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구매 예정 상품 목록 작성 모듈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손잡이 측 또는 손잡이 반대 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통신을 통해 구매 예정 상품의 목록을 확인하는 구매 예정 상품 확인 모듈 및, 저장된 상품 데이터베이스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구매 예정 상품 확인 모듈에서 확인된 구매 예정 상품의 각 위치를 파악하는 구매 예정 상품 준비 모듈과, 확인된 상기 상품이 배치된 위치로 상기 유저가 이동할 동선을 생성하는 동선 생성 모듈 및, 상기 동선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동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동선 안내 모듈이 포함된 카트 서버를 포함하는 카트; 매장 내 설치된 비콘을 통해 상기 카트의 위치를 인식하여 저장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카트 서버에 매장 내 상기 카트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파악 모듈을 포함한 메인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Indoor Moving Route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에서 유저가 구매할 상품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유저가 사용하는 카트를 활용하여 이동 동선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재래시장보다는 대형 할인점 또는 쇼핑몰 등의 매장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하나의 매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상품 품목은 더욱 다양해지고, 상품 품목이 다양해진 만큼 소비자들은 휴대용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데, 검색에는 상품의 위치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는 자신이 구매하려는 상품이 어디에 배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려워 결과적으로 상품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 한다.
카트는 매장에서 소비자들이 구매를 위해 선택한 물품을 담아서 운반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카트를 사용할 때에는 항상 양 손을 사용해야 하여 소비자가 카트 사용과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카트에는 이러한 운반 기능 외에 유저의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술발전을 통해 실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현실과 가상을 넘나들며 안내하는 AR(Augmented Reality : 증강현실)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AR기술은 실제 현실에 부가적인 내용을 가상으로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에게 기존 기술보다 실감나고 이해하기 쉽게 목표하는 위치를 인식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국내등록특허 제 10-1013366호 “RFID를 이용한 매장안내시스템”은 RFID가 부착된 물품의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물품을 구매한 고객의 정보를 파악하여 고객에게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매장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당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RFID를 이용한 매장안내시스템에 있어서, RFID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진열되며, 상기 리더기에 정보를 제공하는 선반태그가 부착된 선반부와,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태그의 정보를 읽는 리더기와, 상기 카트부를 이용하는 고객이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매장서버에 상기 리더기에 의해 읽혀진 정보와 상기 정보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전송하는 카트통신부와, 상기 리더기에 의해 읽혀진 정보와 상기 정보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리더기, 정보입력부, 카트통신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카트제어부를 포함하는 카트부와, 상기 리더기에 의해 읽혀진 물품정보와 정보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매장서버를 포함한다.
해당 발명은 정보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카트에 포함시켜 매장 안내를 제공하지만 사은품 정보 제공으로 기능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유저가 구매할 상품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국내공개특허 제 10-2014-0026976호 “매장 단말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매장 단말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모바일 단말이 물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매장 내의 물품에 대한 위시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확인된 물품에 관한 물품 목록을 상기 매장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위시 리스트에 포함된 물품 및 상기 매장 단말로부터 수신된 물품 목록에 포함된 물품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목록은, 사용자의 쇼핑카트 내에 담겼는지가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확인된 물품에 관한 목록이다.
해당 발명은 카트와 유저의 휴대용 단말기를 연동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나 증강 현실을 이용한 안내는 제공하지 않아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에서 유저가 구매할 상품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유저가 보유한 휴대용 단말기를 유저가 사용하는 카트와 연동하여 증강 현실을 통해 이동 동선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장 내부에서 유저가 사용하는 카트와 유저가 보유한 휴대용 단말기를 연동하여 유저가 구매하려는 상품의 위치까지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저의 이동을 돕기 위해 캐릭터가 표시된 증강현실을 활용한 안내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트 손잡이의 진동을 통해 유저에게 모서리나 갈림길 등에서 방향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안내를 매장 내 거점 및 매장 내 혼잡도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은, 매장에서 구매하려는 상품을 유저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구매 예정 상품 목록 작성 모듈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손잡이 측 또는 손잡이 반대 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통신을 통해 구매 예정 상품의 목록을 확인하는 구매 예정 상품 확인 모듈 및, 저장된 상품 데이터베이스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구매 예정 상품 확인 모듈에서 확인된 구매 예정 상품의 각 위치를 파악하는 구매 예정 상품 준비 모듈과, 확인된 상기 상품이 배치된 위치로 상기 유저가 이동할 동선을 생성하는 동선 생성 모듈 및, 상기 동선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동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동선 안내 모듈이 포함된 카트 서버를 포함하는 카트; 매장 내 설치된 비콘을 통해 상기 카트의 위치를 인식하여 저장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카트 서버에 매장 내 상기 카트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파악 모듈을 포함한 메인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트 서버는, 상기 카트의 일 측에 설치된 카메라로 매장의 내부를 영상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동선을 상기 영상에 합성하는 동선 합성부 및, 상기 카트의 주변 영역에 위치한 상품을 파악하는 상품 위치 파악부와, 상기 카트의 주변 영역의 상품을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가상 안내 영상을 생성하는 상품 위치 합성부를 포함하는 증강 안내 생성 모듈 및, 상기 가상 안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현하는 증강 안내 모듈과, 상기 가상 안내 영상에 표시되어 상기 유저에게 상기 동선을 안내할 가상의 캐릭터를 생성하는 캐릭터 생성부 및, 상기 캐릭터를 변경 가능한 캐릭터 변형부와, 상기 캐릭터를 상기 가상 안내 영상에 표시하여 상기 동선을 안내하는 캐릭터 안내부 및, 상기 캐릭터가 상기 가상 안내 영상 내의 물체를 인식하여 상기 물체 주변의 특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캐릭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캐릭터 안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트는, 상기 손잡이 양 측에 위치한 것으로서 진동 가능한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선 생성 모듈은, 상기 동선의 진행 도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 방향 선택 지점에서 진행할 방향 안내를 생성하는 방향 안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선 안내 모듈은,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방향 선택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카트가 진행할 방향과 일치하게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방향 안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비콘을 통해 매장 내 상기 카트의 개체수를 파악하는 개체수 파악부와, 상기 개체수를 기준으로 매장 내에서 혼잡한 정도를 수치 처리한 혼잡도를 도출하는 혼잡도 판단부 및, 상기 혼잡도 수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상기 동선 이외의 복수 개의 비교 동선을 생성하여 상기 카드 서버에 제공하는 비교 동선 생성부를 구비한 매장 혼잡도 파악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잡도 판단부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혼잡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24081963-pat00001
(여기서, BD는 혼잡도, A1은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비콘에서 파악된 개체 수, A2는 상기 A1으로 지정된 상기 비콘과 비교동선을 형성한 상기 다른 비콘에서 파악된 개체 수, α는 상기 각 비콘에 적용되는 0과 1 사이의 가중치, D는 상기 비교동선의 길이, K는 기준으로 지정된 상기 카트와 상기 비콘 사이의 이격거리를 의미함.)
또한, 상기 카트 서버는, 매장의 복수 개의 특정 위치인 거점의 목록 및 위치를 저장하는 거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카트의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위치 중 상기 거점에 해당되는 특정 위치를 중간 거점으로 지정하는 중간 거점 판단부와, 상기 중간거점에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위치 중 상기 거점에 해당되는 특정 위치를 확장 거점으로 지정하는 확장 거점 판단부 및, 상기 지도와 별도로 생성되는 도표로서,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중간 거점을 계층 구조(Hierarchy Structure)로 배치하고, 상기 중간 거점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확장 거점을 계층 구조로 추가 배치한 비교도를 생성하는 비교도 생성부와, 상기 비교도에서 상기 카트의 위치 및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확장 거점 사이를 인디케이터로 연결하여 상기 카트의 예측 동선을 구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설정부를 구비한 거점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점 설정 모듈은, 상기 비교도에서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카트의 위치 사이 및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확장 거점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고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거점거리 판단부와, 상기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비교도에서 상기 카트 위치와 상기 중간 거점 및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확장 거점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가감하는 이격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도 생성부는, 상기 비교동선을 상기 예측 동선과 대조하는 혼잡도 확인부와, 상기 예측 동선과 상기 비교동선의 중복 발생 부위의 대소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상기 혼잡도에 비례하여 가감 제어하는 혼잡도 반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반영부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가감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24081963-pat00002
(여기서, L( x,y )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길이, LB는 기준 길이, B0는 최대 혼잡도, L1은 상기 중간 거점 및 상기 확장 거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상기 예측 경로 내 선택된 상기 거점의 혼잡도, L2는 선택된 상기 거점의 혼잡도, La는 전체 동선에서 선택된 상기 거점의 혼잡도를 의미함.)
한편, 상기 매장에는, 지주 프레임 및 상기 상품이 안착된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상품 진열대가 복수 개 연결 배치되며, 상기 시스템은, 한 쌍의 상기 지주 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수평 프레임이 맞닿아 십(十)자를 형성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면 부위를 감싸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지주 프레임의 측면 방향으로 변곡 연장되어 중앙에 상기 수평 프레임을 수용하는 관통홈이 구비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주 프레임의 후면으로 변곡 연장되는 후면부로 이루어진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는, 상기 유저 및 카트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접근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전면부의 전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돌출된 한 쌍의 지지 파트 및 상기 지지 파트 사이에 힌지 결합한 회전축으로 구성된 회동부 및, 상기 회전축의 측면 일 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품을 안내하는 표식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동을 통해 상기 전면부의 전면을 덮는 위치에서 상기 전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회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배너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유저의 접근을 감지 시 상기 회전축의 회동을 제어하는 배너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대향 측에 위치하여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함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 및 상기 함입부의 내주 면에는, 둘레를 따라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울림체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울림체 간 충돌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 중심에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보빈과, 일 측 단부가 상기 보빈과 신장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설치된 비콘 및 상품 표식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 상기 수평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에 부착되는 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상품 위치 파악부는, 상기 스트링에 설치된 상기 비콘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상품 진열대에서 상기 구매예정상품의 위치를 유저에게 안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상품 진열대는, 좌우 양 측 각각에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좌우 양 측에 설치된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 각각에서 연장된 상기 스트링이 만나는 부위에 위치한 것으로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면을 감싸며 상기 수평 프레임 측 후방에 상기 스토퍼의 형상 및 위치에 상응하도록 함입된 수용 홈이 구비되어 상기 스트링의 단부를 끼움결합하는 보조 전면부와, 상기 보조 전면부 상단 및 하단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 측으로 변곡 연장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을 감싸는 제 1 절곡부 및, 상기 각 절곡부의 끝단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후면 측으로 각각 변곡 연장되는 제 2 절곡부로 구성된 보조 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스트링의 단부에는 연결 단자를 구비한 스토퍼를 구비하고,상기 보조 연결장치는, 상기 수용 홈의 내측에 양 측에 각각 연결 단자를 구비한 연결 인식부와, 상기 연결 인식부에서 상기 스토퍼의 접촉 여부를 인식하는 연결 제어부 및, 상기 연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인 서버에 연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알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에 의하면,
1) 유저의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구매 예정 상품의 위치를 카트를 활용하여 안내할 수 있고,
2) 증강현실 및 캐릭터를 통해 유저에게 실감나고 친숙한 안내를 제공하여 유저가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3) 손잡이의 진동을 통해 유저가 모서리나 갈림길에서 방향을 잃지 않을 수 있고,
4) 유저가 혼잡도가 낮은 구간으로 이동함으로서 구매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캐릭터를 활용한 증강현실 안내장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 동선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혼잡도가 반영된 비교도가 표시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 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은 매장(3) 내 시스템을 총괄하는 메인 서버(300) 및, 유저(1)가 보유한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서버(100)와, 유저(1)가 끄는 카트(2)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서버(100)의 일 실시예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들 수 있고, 카트(2)는 일영역에 클라이언트 서버(100) 및 메인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는 카트 서버(200)를 포함하여, 카트 서버(200)가 클라이언트 서버(100)와 통신하여 유저(1)가 구매할 상품을 확인하고 유저(1)에게 해당 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선의 안내정보를 제공한다.
메인 서버(300)는 매장(3) 내부 전체의 지도를 저장해둔 지도 데이터베이스(220)를 포함하고, 매장(3) 내부에 설치된 비콘을 통해 카트 서버(200)를 인식하여 카트(2)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카트 서버(200)에 위치 정보를 통신으로 제공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서버(100)와 통신하여 매장(3)의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서버(100)는 메인 서버(300)에 이벤트 정보 제공에 필요한 유저(1)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비콘은 매장(3) 내 천장 또는 바닥 또는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통신장치로서, 카트(2)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로 CCTV도 가능하지만 CCTV로는 각 서버들과 통신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비콘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인다. 이러한 비콘은 특정 영역을 개별적으로 감지하지만 중첩적으로 감지하여 카트(2)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카트(2)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서버(100) 및, 카트 서버(200)와, 메인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 3을 참조하면, 카트(2)는 크래들(410), 디스플레이 모듈(420), 카메라(430), 진동부(450)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카트(2)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은 시스템과 연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클라이언트 서버(100)는, 구매 예정 상품 목록 작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구매 예정 상품 목록 작성 모듈은 유저(1)로부터 매장(3)에서 구매할 상품의 목록을 입력받아 저장하며, 마트 내 이벤트 상품 내지 추천 상품 목록을 입력 및 저장할 수도 있는데, 메인 서버(300)에는 매장(3)의 이벤트 정보 내지 상품 추천 정보를 관리하는 이벤트 관리 모듈(310)을 포함하고 있어 클라이언트 서버(1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이벤트 정보 내지 상품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트 서버(200)는 구매 예정 상품 확인 모듈(230)을 포함하여 클라이언트 서버(100)와 통신을 통해 구매 예정 상품 목록 작성 모듈에서 작성된 상품 목록을 전송받아 확인하고, 매장(3) 내 상품 목록이 기록된 상품 데이터베이스(210) 및 매장(3) 내부의 구조 및 상품 위치가 기록된 지도 데이터베이스(220)를 저장하여, 카트 서버(200)에 더 포함된 구매 예정 상품 준비 모듈(240)이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210)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220)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받은 구매 예정 상품 목록 내 상품이 진열된 진열대(10)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러한 카트 서버(200)는 바람직하게는 카트(2) 손잡이 내부 일 측에 위치하여 배터리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소형 컴퓨터로서 예를 들어 태블릿PC를 들 수 있고, 카트(2)의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 및, 메인 서버(300)와 클라이언트 서버(1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서버(100)와 카트 서버(200)간 통신이 이루어지는 부위는 카트(2) 손잡이 일 측에 위치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카트(2)에 거치시키는 크래들(cradle)(410)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카트 서버(200)는 메인 서버(300)와 통신하여 메인 서버(300)로부터 카트(2)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데, 자세하게는 매장(3) 내 설치된 비콘이 카트 서버(200)와 통신하여 카트(2)의 위치를 인식하면, 메인 서버(300)에 포함된 위치 파악 모듈(320)이 메인 서버(300) 내 저장된 지도 데이터베이스(220)를 기반으로 현재 카트(2)가 위치한 장소를 파악하여 카트 서버(200)에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그 다음으로, 카트 서버(200)는 앞서 메인 서버(300)에서 파악한 카트(2)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후, 카트 서버(200)에 포함된 동선 생성 모듈(250)에 구성된 기본 동선 생성부(251)가 지도 데이터베이스(220)를 기반으로 카트(2) 위치로부터 구매 예정 상품이 배치된 진열대(10)의 위치까지 이동 동선을 생성한다. 생성된 이동 동선은 카트 서버(200) 내 포함된 동선 안내 모듈(260)을 통해 카트(2)의 손잡이 측 또는 손잡이 반대 측 중 어느 한 부위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모듈(420)에 표시되는데, 이 때 지도와 함께 화살표 등의 표시/유도수단을 유저(1)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유저(1)가 보다 쉽게 원하는 상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최근에는 기술발전을 통해 지도를 활용한 안내와 진동을 통한 안내 외에 실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현실과 가상을 넘나들며 안내하는 AR(Augmented Reality : 증강현실)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AR기술은 실제 현실에 부가적인 내용을 가상으로 제공함으로서 유저(1)에게 기존 기술보다 실감나고 이해하기 쉽게 목표하는 위치를 인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카트 서버(200)는 증강 안내 생성 모듈(270) 및, 증강 안내 제공 모듈(280)을 더 포함하고, 증강 안내 생성 모듈(270)은 카트(2) 일 측에 설치된 카메라(430)로 매장(3) 내부를 영상으로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271)와, 상기 동선을 상기 영상에 합성하는 동선 합성부(272) 및, 메인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를 통해 카트(2)의 주변 영역에 위치한 상품을 파악하는 상품 위치 파악부(273)와, 상기 카트(2)의 주변 영역의 상품을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가상 안내 영상을 생성하는 상품 위치 합성부(274)를 포함하고, 증강 안내 제공 모듈(280)은 상기 동선 및 상품이 합성된 가상 안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20)에 구현한다.
가상 안내 영상은 디스플레이 모듈(420)에 단독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420)의 화면을 분할하여 기존의 지도를 통한 동선 안내와 함께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지도를 통한 동선 안내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안내를 제공하여 유저(1)가 목표한 상품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영상 촬영으로 제한되는 먼 위치로의 이동 동선은 지도를 통하여 동선을 제공받음으로서, 이를 통해 지도를 통한 동선 안내 기능과 가상 안내 영상을 통한 동선 안내가 상호 보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유저(1)에게 증강 현실을 제공하여 현실과 가상을 넘나들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캐릭터(440)를 활용한 증강현실 안내장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카트 서버(200)는 상기 가상 안내 영상에 캐릭터(440)를 표시하여 유저(1)에게 동선을 안내하기 위해 캐릭터 안내 모듈(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캐릭터 안내 모듈(290)은 유저(1)에게 동선을 안내할 가상의 캐릭터(440)를 생성하는 캐릭터 생성부(291)와, 캐릭터(440)의 형상을 유저(1)의 취향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캐릭터 변형부(292) 및, 캐릭터(440)를 상기 가상 안내 영상에 같이 표시하여 유저(1)에게 동선 안내를 제공하는 캐릭터 안내부(293)와, 캐릭터(440)가 상기 가상 안내 영상 내의 물체를 인식하여 물체 주변의 특정 영역(예를 들면 특정 구조물 또는 다른 사람의 뒤편)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릭터 구동부(29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릭터(440)의 형상은 예를 들면 해당 매장(3)의 마스코트 또는 점원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그 외 동물이나 물건 등 다양한 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릭터(440)가 실제 존재하는 것처럼 동선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디스플레이 모듈(420)에 표시하여 유저(1)는 캐릭터(440)의 이동 동선을 따라 그대로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유저(1)가 가상 안내 영상을 친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440)가 유저(1)에게 주변에 위치한 상품에 대한 짤막한 설명이나 방문 권유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광고 효과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유저(1)가 이동 동선이 표시된 지도를 보고 이동하더라도 모서리나 복잡한 갈림길 등에 위치하게 되면 당황하여 제대로 된 방향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 동선 생성 모듈(250)은 상기 동선의 진행 도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 선택 지점에서 진행할 방향 안내를 생성하는 방향 안내 생성부(2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선 안내 모듈(260)은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방향 선택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카트(2) 손잡이 양 측에 설치된 진동부(450)를 진행할 방향에 일치하도록 손잡이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의 진동부(450)를 선택적으로 진동시키는 방향 안내 제공부(2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디스플레이를 통한 시각적 동선 제공 외에 카트(2) 손잡이 내 진동부(450)를 진행 방향과 일치하게 진동시킴으로서 유저(1)가 모서리나 복잡한 갈림길에서도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목표한 위치까지 곧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 동선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혼잡도가 반영된 비교도(680)가 표시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더하여 상기 시스템은 매장(3)에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매장(3) 내 특정 위치를 거점으로 설정하여 거점의 혼잡도를 파악하고 혼잡도가 낮은 동선을 유저(1)에게 제공하여 유저(1)가 한산하게 매장(3)을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거점은 유저(1)의 구매 편의성에 초점을 맞춰 유저(1)의 구매 예정 상품의 위치를 거점으로 설정하는 고정 거점과 매장(3)의 관리 편의성에 초점을 맞춰 시간에 따라 변하는 이벤트 상품의 위치를 거점으로 설정하는 변동 거점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서버(300)에는 카트(2)의 개체수를 파악하여 매장(3)의 혼잡도를 도출할 수 있는 매장 혼잡도 파악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트 서버(200)에는 혼잡도가 낮은 거점을 연결하여 유저(1)에게 혼잡도가 낮은 동선을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는 거점 설정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장 혼잡도 파악 모듈(500)은, 각 비콘을 통해 매장(3) 내 카트(2)의 개체수를 파악하는 개체수 파악부(510)와, 개체수 파악부(510)에서 파악한 카트(2)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매장(3) 내 혼잡한 정도를 수치화된 혼잡도로 도출하는 혼잡도 판단부(520) 및, 혼잡도 수치 및 지도 데이터베이스(220)를 기반으로 기존의 동선 외에 복수 개의 비교동선을 생성하여 카트 서버(200)에 제공하는 비교동선 생성부(530)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비콘에서 판단된 개체 수가 5이고, 이와 비교동선으로 연결된 b라는 비콘에서 판단된 개체 수가 10인 경우, 가장 간단히 비교할 수 있는 합연산을 활용할 때 해당 비교동선은 혼잡도가 15가 된다. 나아가 다른 비교경로에 포함된 c라는 비콘에서 판단된 개체 수는 3이고, d라는 비콘에서 판단된 개체 수가 2라면, 해당 비교경로의 혼잡도는 5가 되어 두 비교경로의 차이를 수치로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혼잡도 제한 수치를 미리 지정해 두거나 혹은 결과에 따라 배제할 혼잡도 제한 수치를 정하게 되면, 해당 혼잡도 제한 수치를 초과하는 비교동선을 모두 제외시키게 되어 혼잡도가 낮은 동선만을 제공해 유저(1)가 상품을 구매할 때 시간을 단축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혼잡도는 앞선 합연산 방식의 경우 너무 단순하게 도출되며, 나아가 이러한 합연산은 비교동선 전체의 혼잡도만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 예시를 들기 위한 것이지 실제 적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제로 혼잡도 판단부(520)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혼잡도를 산출하게 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24081963-pat00003
여기서, BD는 혼잡도, A1은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비콘에서 파악된 개체 수, A2는 상기 A1으로 지정된 비콘과 비교동선을 형성한 다른 비콘에서 파악된 개체 수, α는 각 비콘에 적용되는 0과 1 사이의 가중치, D는 상기 비교동선의 길이, K는 기준으로 지정된 상기 카트(2)와 상기 비콘 사이의 이격거리를 의미한다.
이는 각 비교동선마다 혼잡도를 판단할 수 있는 공식으로서, 기준이 되는 비콘을 지정한 상태에서 해당 비콘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및 별도의 기준에 따라 적용된 가중치에 의거하여 혼잡도를 도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중치는 예를 들면 유저(1)의 동선과 너무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비콘의 경우 실질적으로 유저(1)가 해당 비콘을 향해 이동하였을 확률이 낮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1에서 0사이의 가중치값을 지정하여 도출된 값에 곱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확률이 낮은 비교동선을 더 많이 제외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거점 설정 모듈(600)은 매장(3) 내 거점의 목록 및 위치를 저장하는 거점 데이터베이스(610) 및, 지도 데이터베이스(220)를 통해 카트(2)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에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거점 데이터베이스(610)를 기반으로 그 위치를 거점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여 거점에 해당되는 특정 위치를 중간 거점으로 지정하는 중간 거점 판단부(620)와, 상기 중간 거점 다음에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위치 중 거점에 해당하는 특정 위치를 파악하여 확장 거점으로 지정하는 확장거점 판단부 및, 상기 지도와 별도로 생성되는 도표로서, 카트(2)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중간 거점을 계층 구조(Hierarchy Structure)로 배치하고, 상기 중간 거점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확장 거점을 계층 구조로 추가 배치한 비교도(680)를 생성하는 비교도 생성부(640)와, 상기 비교도(680)에서 상기 카트(2)의 위치와 상기 중간 거점 및 상기 확장 거점 사이를 인디케이터로 연결하는 인디케이터 설정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비교도(680)는 계층 구조된 도표로 카트(2)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하여 각 중간 거점을 배치하고, 이후 각 중간 거점과 연결되는 확장 거점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카트(2)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동선을 인디케이터 설정부(650)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20)에 지도와 별도로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여기서 확장 거점은, 확장 거점 이후에 도달할 수 있는 거점을 더 산출하여 이들을 다시 확장 거점으로 추가 지정할 수도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카트(2)의 위치와 중간 거점, 확장 거점은 모두 인디케이터를 통해 연결되어있으므로 인디케이터를 따라 해당 예측 동선에 어떠한 거점들이 포함되어있는지 쉽게 확인이 가능하며, 이처럼 지도와 별개의 동선을 제공함으로서 유저(1)가 타인의 예상 동선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다만, 무조건 이렇게 거점들로만 연결된 비교도(680)는 당연히 거점의 수가 적으면 짧고, 거점의 수가 많으면 길게 표현될 수밖에 없어 유저(1)의 판단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거점 설정 모듈(600)은, 상기 비교도(680)에서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카트(2)의 위치 사이 및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확장 거점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고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거점거리 판단부(660)와, 산출된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비교도(680)에서 상기 카트(2) 위치와 상기 중간 거점 및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확장 거점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가감하는 이격 적용부(6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제 카트(2)의 이동을 인디케이터에 반영시킴으로써 유저(1)가 현재 이동하는 동선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비교도 생성부(640)는 상기 비교동선을 상기 예측 동선과 대조하는 혼잡도 확인부(641)와, 상기 예측 동선과 상기 비교동선의 중복 발생 부위 대소에 따라 비교도(680) 내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상기 혼잡도에 비례하여 가감 제어하는 혼잡도 반영부(6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인디케이터의 길이가 동일한 조건과 방식을 통해 도출되어야 할 것이며, 따라서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가감 산출하도록 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24081963-pat00004
여기서, L( x,y )는 인디케이터의 길이, LB는 기준 길이, B0는 최대 혼잡도, L1은 중간 거점 및 확장 거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예측 경로 내 선택된 거점의 혼잡도, L2는 선택된 거점의 혼잡도, La는 전체 동선에서 선택된 거점의 혼잡도를 의미한다.
이 수학식은 기준이 되는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두고, 하나의 동선 안에서 선택된 거점의 혼잡도인 L1 및, 선택된 거점의 혼잡도인 L2 와 전체 동선 내 선택된 거점의 혼잡도인 La를 전부 고려하여 인디케이터의 길이 가감폭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A라는 특정 거점의 혼잡도가 10으로 도출되고, B라는 특정 거점의 혼잡도가 2로 도출되었을 때, 원래 A와 B의 길이는 동일하지만, 상기한 혼잡도의 차이에 의해 둘의 인디케이터 길이는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디케이터 길이의 차를 통해 유저(1)가 혼잡도가 낮은 동선을 용이하게 선택 가능하게 된다. 물론, 원래 A와 B의 길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라면, 이 혼잡도를 적용하더라도 A와 B의 길이 차이가 별로 나지 않거나 혹은 혼잡도와 반대로 나타날 수도 있는데, 이는 거리라는 특성이 기본으로 전제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필요에 따라 거리 특성을 배제시키고 혼잡도만을 적용해 비교도(680)를 생성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술한 비콘을 통해 매장(3) 내에 위치한 카트(2)의 현재 위치 정보를 알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비콘의 감지 범위가 넓어 비콘 신호가 중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유저(1) 입장에서는 상품 진열대(10)에 진열된 보다 구체적인 상품 위치를 매장(3)의 천장이나 기타 위치에 설치된 비콘만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다시 말해, 상술한 비콘으로 상품 진열대(10) 기준에서의 정확한 상품 위치를 유저(1)가 파악하기에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술한 비콘 외에 상품 진열대(10) 수준에서 유저(1)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상품 진열대(10)에 진열된 상품의 정확한 위치를 알릴 수 있는 감지 수단을 추가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유저(1)가 지나다닐 수 있는 동선을 사이에 두고 매장(3) 내에 행렬 구조로 배치된 상품 진열대(10)의 일 측에 상품 진열대(10) 연결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품 진열대(10)는 유저(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감지 센서(740)를 구비하여 유저(1)가 근처에 위치할 경우 해당 상품 진열대(10)에 진열된 상품의 구체적 위치를 유저(1)에게 알 수 있는 감지 기반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품 진열대(10) 사이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상품 진열대(10)는 1개의 단일 유닛이 길게 연장되기 보다는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의 상품 진열대(10)는 인접한 상품 진열대(10) 사이에 배치되어 일렬로 배치된 복수 개의 상품 진열대(10)가 서로 어긋나거나 삐뚤어지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는 상품 진열대(10)가 일렬로 배치되었을 때 상품 진열대(10)를 구성하는 지주 프레임 및 상품이 안착되는 수평 프레임(12)이 십(十)자를 형성하는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품 진열대(10)를 서로 인접하게 복수 개로 연결 설치할 때 서로 맞닿아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 프레임 및 한 쌍의 수평 프레임(12)의 외주면을 본 발명의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가 둘러싸 결합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상품 진열대(10) 간 충돌을 방지하고 나아가 상품 배열의 흐트러짐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의 전체적인 외관 구조는 전면부(710)와 측면부(720) 및 후면부(730)로 이루어진다.
전면부(710)는 상품 진열대(10)에서 지주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12)이 만나는 십(十)자 형성 부위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지주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12)의 전면 부위를 커버(980)하는 판재이고, 측면부(720)는 전면부(710)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지주 프레임의 측면 측으로 변곡 연장되는 판재이며, 중앙에 수평 프레임(12) 높이에 상응하도록 관통된 관통홈(721)을 구비하여 수평 프레임(12)이 관통홈(721)에 끼움결합하여 수용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측면부(720)가 지주 프레임의 측면 및 수평 프레임(12)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980)한다.
후면부(730)는 각 측면부(720)의 끝단에서 지지부의 후면을 감싸도록 변곡 연장된 것이며, 이를 통해 전면부(710) 및 측면부(720)와 후면부(730)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공간에 지지 프레임(11)이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전면부(710) 및 측면부(720)와 측면부(720) 및 후면부(730)가 형성하는 변곡 부위의 각도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지주 프레임의 외면을 끼움 방식으로 감쌀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의 재질은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관 구조를 가진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는 앞서 언급한 위치 감지 센서(740)를 전면부(710) 내에 구비하여 해당 상품 진열대(10)에 접근하는 유저(1)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감지 센서(740)는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의 특정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유저(1)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품 진열대(10)에 진열된 구체적인 상품 위치를 알리기 위한 방편으로 위치 감지 센서(740) 대신 비콘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비콘의 경우 센서에 비해 감지 범위가 넓기 때문에 유저(1)를 정밀하게 인식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후술할 스트링(810)에 상품의 정확한 위치를 알리는 비콘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품 진열대(10) 상에는 위치 감지 센서(740)의 설치가 바람직하다. 다만, 유저(1)가 끄는 카트(2)에 장착된 카드 서버 내지 유저(1)가 소지한 클라이언트 서버(100)와의 통신을 위해서 위치 감지 센서(740)는 카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비콘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치 감지 센서(740)는 근거리 감지를 통해 상품 진열대(10)에 근접한 유저(1)를 인식하는 기능이 기본 기능이라 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상품 진열대(10)와 이의 맞은편에 배치된 상품 진열대(10)와 이루는 간격의 이내(예를 들어, 절반 길이)로 인식 반경을 가짐으로서 맞은편의 진열대(10)에 위치한 위치 감지 센서(740)와 인식 범위가 겹치지 않도록 하며, 예를 들면 위치 감지 센서(740)에서 적외선을 발사하여 인식 범위 내 유저(1)의 유무를 확인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유저(1)가 진열대(10)로 근접 또는 이탈하는지 알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감지 센서(740)에 필요한 전원(후술할 배너(750) 내지 스트링(810) 등에 필요한 전원 역시 마찬가지)은 예를 들어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 내부에 배터리를 설치하여 공급하거나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에 설치된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의 전면부(710)에는 유저(1)의 접근 시 회동을 통해 유저(1)에게 광고 기능을 제공하는 배너(750)(banner)가 설치될 수 있다. 배너(750)는 디스플레이 패널(751), 회동부(752)로 구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는 위치 감지 센서(740)의 센싱 기반으로 배너(75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배너 구동 제어부(76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회동부(752)는 지지 파트(752(a))와 회전축(752(b))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지지 파트(752(a))는 전면부(710)의 전면에서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한 쌍의 판상 부재로서, 각 지지 파트(752(a)) 사이에는 회전축(752(b))을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며 회전축(752(b))이 전면부(710)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지지 파트(752(a))가 직접적으로 전면부(710)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파트(752(a))가 베이스(753)의 일 측에 결합되어 베이스(753)가 전면부(710)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배너(750)가 베이스(753)를 구비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회전축(752(b))은 측면 일 측에 디스플레이 패널(751)이 연결되어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 내부(도 7 기준으로는 베이스(753)의 내부) 일 측에 위치한 회전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75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751)에는 전자식 디스플레이를 장착하여 사진 또는 영상 광고를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피커를 장착하여 음성광고를 송출할 수도 있고, LED를 설치하여 광고를 강조하는 효과도 부여할 수 있으며, 그 외에 광고 메시지, 광고 그림 등이 인쇄되거나 스티커 등으로 부착되는 것, 포스터 등이 직접 붙여지거나 투명 패킹을 통해 붙여지는 것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배너(750) 근처에 접근하는 유저(1)가 배너(750)의 회동에 관심을 가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배너(750) 주변에 위치한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배너 구동 제어부(760)는 위치 감지 센서(740)를 통해 유저(1)의 접근을 감지하면 회전모터를 구동하여 회전축(752(b))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회전축(752(b))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751)이 전면부(710)의 전면을 덮는 위치에서 전면부(7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다시 말해 유저(1)가 디스플레이 패널(751)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유저(1)를 향해 회동된다.
더 나아가 배너 구동 제어부(760)는 위치 감지 센서(740)에 의해 유저(1)가 해당 위치(위치 감지 센서(740)의 감지 반경)에서 벗어나는 것을 감지할 때 회전축(752(b))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패널(751)을 원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배너 구동 제어부(760)는 디스플레이 패널(751)에 선택적으로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해당 위치를 벗어나는 유저(1)에게 예를 들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세요’와 같은 상품 구매 설득을 위한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여 유저(1)에게 재차 해당 상품을 광고하여 구매를 유도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스피커를 통한 음성 메시지는 유저(1)에게 식상함이나 부담을 느끼게 할 수 있으므로, 유저(1)에게 간편한 자극을 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751)의 배면에서 회전축(752(b))이 설치된 대향 측에 위치하여 패널의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돌출부(754)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710)의 전면에는 돌출부(754)에 대응하는 위치가 함입된 함입부(755)가 구비됨과 동시에, 돌출부(754)의 외주면 및 함입부(755)의 내주 면에는 내부에 울림 공간이 구비된 울림체(756)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751)이 원 위치로 복원될 때 각 울림체(756)가 서로 충돌하면서 소리를 발생시켜 클라베(clave)를 연주하는 것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려는 유저(1)가 이와 같은 충돌음을 듣고 배너(750)에서 광고하는 상품에 다시금 시선을 두게 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울림체(756) 재질의 일 실시예로서 나무 및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상품 진열대(10)의 구성으로 상품 진열대(10)에 근접한 유저(1)에게 특정 상품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앞서 말한 유저(1)의 상품 목록에 해당되는 상품 진열대(10) 상의 구체적인 상품의 위치를 유저(1)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품 진열대(10)의 선반에 안착된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선반 부위에 클라이언트 서버(100) 또는 카트 서버(200)와 통신하여 상품 목록의 상품 위치를 정확히 안내하는 비콘을 설치하되, 상술한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에서 부가되는 수단을 통해 이리한 비콘을 설치하여 구조적 일체성과 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는 상품 위치 인디케이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품 위치 인디케이터는 상품 진열대(10)의 측부에서 마치 줄자와 같이 스트링(810)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빈(bobbin)(미도시)과, 스트링(810)(string) 및, 스토퍼(820)(stopp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빈(미도시)은 상품 진열대(10)의 전면부(7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로서 후술할 스트링(810)이 감기는 틀 기능을 수행하며, 이 외에 판 스프링 등의 구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줄자의 공지 구성을 참조하면 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전면부(710) 내에 보빈과 같은 구성이 포함되기 때문에 전면부(710)는 박판 구조라기보다는 일정한 두께와 체적을 가진 구조로 이해할 수 있다.
스트링(810)은 일 측 단부가 보빈에 연결되어 보빈에 감겨 외부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박판으로,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의 측면부(720)에는 스트링(810)의 노출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스트링(810)이 관통하여 상품 진열대(10)에서 선반 전면에 부착되어 선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스트링(810) 내부에는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와 마찬가지로 위치 감지 센서(74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위치 감지 센서(740)는 카드 서버 내지 클라이언트 서버(100)와 통신 가능한 센서, 예를 들어 비콘으로 이루어져 스트링(8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스트링(81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스트링(810)에 장착된 비콘은 특정 상품 아래의 선반 전면에 위치하게 되어 유저(1)가 해당 위치에 근접하였을 때 유저(1)의 구매예정상품인 특정 상품의 구체적인 위치를 지칭할 수 있는바, 카트 서버(200)의 상품 위치 파악부(273)는 스트링(810)에 설치된 비콘과의 통신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구매예정상품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유저(1)에게 지도에 해당 구매예정상품을 표시하는 방법 등으로 유저(1)에게 해당 구매예정상품의 위치를 안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품 위치 파악부(273)는 스트링(810)에 설치되어 보다 구체적인 위치를 갖는 비콘과의 통신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인 구매예정상품의 위치를 유저(1)에게 지도 또는 캐릭터(440)의 모션과 같은 안내 수단으로써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니면 클라이언트 서버(100)와 직접적으로 통신하여 유저(1)가 해당 비콘이 설치된 위치에 근접할 경우 클라이언트 서버(100)에 안내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정리하면, 스트링(810)에 각각의 상품 위치를 나타내도록 설치된 비콘은 복수 개로 천장에 설치된 비콘보다 정확한 구매예정상품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유저(1)에게 안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스트링(810) 전면에 복수 개의 LED를 장착하여 비콘이 유저(1)의 접근을 감지 시 LED를 점등함으로서 유저(1)의 관심을 유도할 수도 있으며, 스트링(810) 전면에는 상품 표식부(830)를 설치하여 비콘이 위치한 선반 상의 특정 상품의 종류 및 가격 등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상품 표식부(830)의 실시예로서 상품 정보를 사진 또는 영상으로 표시 가능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기반으로 한 디스플레이, 상품 정보가 인쇄된 스티커를 접착 가능한 접착판, 상품 태그(tag)를 장착 가능한 표지 수용부 등이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LED 및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전원 역시 스트링(810) 내부에 전선을 설치하여 상품 진열대(10) 결합 장치 내 구비된 배터리 또는 외부 전력을 활용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구동에는 다량의 전력이 소모되므로 외부 전력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820)는 스트링(810) 끝단에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수평 프레임(12) 측으로 돌출되어‘ㄷ’자 구조 또는 ‘L’ 자 구조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스트링(810)이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 내에 불필요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 7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수평 프레임(12) 내지 선반의 일 측에 걸려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체결함으로서 스트링(810)이 다시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로 복권되지 않고 항시 연장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스토퍼(820)의 끝단에는 링 형상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스트링(810)의 진행 방향의 대향 측에 위치한 스토퍼(820)와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를 통하여 상품 진열대(10) 간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물리적 기능은 물론 유저(1)가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예정상품의 구체적인 위치나 매장(3)의 이벤트 상품을 유저(1)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 연결장치(9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의 설명에서 스토퍼(820)를 별도의 고정 수단으로 연결하는 경우 연결이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매장(3) 내에 수많은 상품 진열대(10)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에서 스트링(810)이 정상적으로 연장되어 상품 위치 안내 내지 표식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스트링(810)의 표식 및 상품 위치 안내 기능을 유지하면서 각 단부를 원활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정상 가동 여부를 편리하게 확인하도록,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보조 연결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8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보조 연결장치(900)는 보조 전면부(910)와 제 1 절곡부(920) 및 제 2 절곡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마치 ‘ㄷ’자 구조를 가진 상태에서 선반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스트링(810)이 최대로 연장된 위치, 예를 들어 상품 진열대(10)의 중앙 부위의 선반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전면부(910)는 수평 프레임(12)(선반의 전면)의 전면을 커버(980)하도록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토퍼(820) 두께보다 두꺼운 판재이고, 제 1 절곡부(920)는 보조 전면부(91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수평 프레임(12)의 내측으로 변곡 연장되어 수평 프레임(12)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는 것이다.
이어서, 제 2 절곡부(930)는 절곡부의 끝단에서 보조 전면부(910)의 중앙 부위 측, 즉 수평 프레임(12)의 후면 측으로 변곡 연장되어 수평 프레임(12)의 후면을 감싸도록 하여 보조 전면부(910) 및 제 1 절곡부(920)와 제 2 절곡부(930)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수평 프레임(12)의 외측 일부가 수용 고정되도록 한다. 보조 전면부(910)와 제 1 절곡부(920) 및 제 2 절곡부(930)의 변곡 부위의 각도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하여 끼움 방식으로 보다 쉽게 수평 프레임(12)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 연결장치(900)는 재질의 일 실시예로서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보조 전면부(910)는 얇은 박판이 아니라 일정 두께를 가진 체적을 구비한 구조체로서 양 측면에 수용 홈(940)이 형성되고 수용 홈(940)의 내부에는 좌우 양 측면 각각에 연결 단자(950)가 구비된 연결 인식부를 구비한다. 더불어, 수용 홈(940) 주변에는 개폐 가능한 커버(980)가 형성되고 이 커버(980)는 시건장치를 통해 잠금/해제가 가능하다. 이에 대응하여 스토퍼(820)의 단부에도 역시 연결 단자(950)가 구비되며, 연결 단자(950)는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의 전면부(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스트링(810)의 단부를 수용 홈(940)에 삽입하고 커버(980)를 덮어 잠그면 절곡 형상의 스토퍼(820) 구조가 빠지지 않고 수용 홈(940) 내부, 즉 보조 전면부(910)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더불어, 보조 연결장치(900)는 연결 제어부(960)를 구비하는바, 이러한 연결 제어부(960)는 보조 연결장치(900)를 기준으로 좌측의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 및 우측의 상품 진열대(10) 연결 장치에서 각각 연장된 스트링(810)의 연결 단자(950)가 수용 홈(940) 내부의 좌우측 연결 단자(950)에 각각 접촉된 상태(전기적 접촉 상태 또는 연결 단자(950)간 신호 교류 상태)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 제어부(960)를 통해 좌우측 스트링(810) 전부,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보조 연결장치(900)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보조 연결장치(900)의 알림부(970)는 연결 제어부(960)에서 스트링(81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 결과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조 전면부(910)의 전면에 부착된 LED의 색상 표시(예를 들어, 2개 연결 - 녹색, 어느 하나 연결 - 주황색, 어느 하나도 연결 안되었을 때 - 빨강색)를 통해 매장(3) 관리자의 육안 확인 수준으로 편리하게 스트링(810)의 연결 및 연장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보조 연결장치(900) 역시 통신부를 구비하여 이 통신부를 매개로 메인 서버(300)에 ‘2개’, ‘어느 하나’, ‘연결되지 않음’과 같은 연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보조 연결장치(900)는 내부 일 측에 위치 감지 센서(7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 전면부(910)에 배너(750) 및 상품 표식부(830)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그 실시예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700)에 설치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 연결장치(900)를 통하여 스트링(810)의 상품 표식 기능 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좌우 양 측에서 연장된 스트링(810)을 체결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를 활용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유저 2: 카트
3: 매장 10: 진열대
11: 지지 프레임 12: 수평 프레임
100: 클라이언트 서버 110: 구매 예정 상품 작성 모듈
200: 카트 서버 210: 상품 데이터베이스
220: 지도 데이터베이스 230: 구매 예정 상품 확인 모듈
240: 구매 예정 상품 준비 모듈 250: 동선 생성 모듈
251: 기본 동선 생성부 252: 방향 안내 생성부
260: 동선 안내 모듈 261: 동선 표시부
262: 방향 안내 제공부 270: 증강 안내 생성 모듈
271: 영상 촬영부 272: 동선 합성부
273: 상품 위치 파악부 274: 상품 위치 합성부
280: 증강 안내 제공 모듈 290: 캐릭터 안내 모듈
291: 캐릭터 생성부 292: 캐릭터 변형부
293: 캐릭터 안내부 294: 캐릭터 구동부
300: 메인 서버 310: 이벤트 관리 모듈
320: 위치 파악 모듈 410: 크래들
420: 디스플레이 모듈 430: 카메라
440: 캐릭터 450: 진동부
500: 매장 혼잡도 파악 모듈 510: 개체수 파악부
520: 혼잡도 판단부 530: 비교동선 생성부
600: 거점 설정 모듈 610: 거점 데이터베이스
620: 중간 거점 판단부 630: 확장 거점 판단부
640: 비교도 생성부 641: 혼잡도 확인부
642: 혼잡도 반영부 650: 인디케이터 설정부
660: 거점거리 판단부 670: 이격 적용부
680: 비교도 700: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
710: 전면부 720: 측면부
721: 관통홈 730: 후면부
740: 위치 감지 센서 750: 배너
751: 디스플레이 패널 752: 회동부
752(a): 지지 파트 752(b): 회전축
753: 베이스 754: 돌출부
755: 함입부 756: 울림체
760: 배너 구동 제어부 800: 테이프부
810: 스트링 820: 스토퍼
830: 상품 표식부 900: 보조 연결장치
910: 보조 전면부 920: 제 1 절곡부
930: 제 2 절곡부 940: 수용 홈
950: 연결 단자 960: 연결 제어부
970: 알림부 980: 커버

Claims (10)

  1.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으로서,
    매장에서 구매하려는 상품을 유저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구매 예정 상품 목록 작성 모듈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손잡이 측 또는 손잡이 반대 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통신을 통해 구매 예정 상품의 목록을 확인하는 구매 예정 상품 확인 모듈 및, 저장된 상품 데이터베이스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구매 예정 상품 확인 모듈에서 확인된 구매 예정 상품의 각 위치를 파악하는 구매 예정 상품 준비 모듈과, 확인된 상기 상품이 배치된 위치로 상기 유저가 이동할 동선을 생성하는 동선 생성 모듈 및, 상기 동선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동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동선 안내 모듈이 포함된 카트 서버를 포함하는 카트;
    매장 내 설치된 비콘을 통해 상기 카트의 위치를 인식하여 저장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카트 서버에 매장 내 상기 카트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파악 모듈을 포함한 메인 서버;
    상기 매장에 복수 개로 연결 배치된 것으로, 지주 프레임 및 상기 상품이 안착된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된 상품 진열대;
    한 쌍의 상기 지주 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수평 프레임이 맞닿아 십(十)자를 형성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주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면 부위를 감싸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지주 프레임의 측면 방향으로 변곡 연장되어 중앙에 상기 수평 프레임을 수용하는 관통홈이 구비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주 프레임의 후면으로 변곡 연장되는 후면부로 이루어진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 진열대 연결장치는,
    상기 유저 및 카트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접근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전면부의 전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돌출된 한 쌍의 지지 파트 및 상기 지지 파트 사이에 힌지 결합한 회전축으로 구성된 회동부 및, 상기 회전축의 측면 일 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품을 안내하는 표식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동을 통해 상기 전면부의 전면을 덮는 위치에서 상기 전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회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배너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유저의 접근을 감지 시 상기 회전축의 회동을 제어하는 배너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대향 측에 위치하여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함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 및 상기 함입부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울림체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울림체 간 충돌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서버는,
    상기 카트의 일 측에 설치된 카메라로 매장의 내부를 영상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동선을 상기 영상에 합성하는 동선 합성부 및, 상기 카트의 주변 영역에 위치한 상품을 파악하는 상품 위치 파악부와, 상기 카트의 주변 영역의 상품을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가상 안내 영상을 생성하는 상품 위치 합성부를 포함하는 증강 안내 생성 모듈 및,
    상기 가상 안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현하는 증강 안내 모듈과,
    상기 가상 안내 영상에 표시되어 상기 유저에게 상기 동선을 안내할 가상의 캐릭터를 생성하는 캐릭터 생성부 및, 상기 캐릭터를 변경 가능한 캐릭터 변형부와, 상기 캐릭터를 상기 가상 안내 영상에 표시하여 상기 동선을 안내하는 캐릭터 안내부 및, 상기 캐릭터가 상기 가상 안내 영상 내의 물체를 인식하여 상기 물체 주변의 특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캐릭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캐릭터 안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비콘을 통해 매장 내 상기 카트의 개체수를 파악하는 개체수 파악부와,
    상기 개체수를 기준으로 매장 내에서 혼잡한 정도를 수치 처리한 혼잡도를 도출하는 혼잡도 판단부 및,
    상기 혼잡도 수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상기 동선 이외의 복수 개의 비교 동선을 생성하여 상기 카트 서버에 제공하는 비교 동선 생성부를 구비한 매장 혼잡도 파악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판단부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혼잡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20500746727-pat00005

    (여기서, BD는 혼잡도, A1은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비콘에서 파악된 개체 수, A2는 상기 A1으로 지정된 상기 비콘과 비교동선을 형성한 다른 비콘에서 파악된 개체 수, α는 상기 각 비콘에 적용되는 0과 1 사이의 가중치, D는 상기 비교동선의 길이, K는 기준으로 지정된 상기 카트와 상기 비콘 사이의 이격거리를 의미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서버는,
    매장의 복수 개의 특정 위치인 거점의 목록 및 위치를 저장하는 거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카트의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위치 중 상기 거점에 해당되는 특정 위치를 중간 거점으로 지정하는 중간 거점 판단부와,
    상기 중간거점에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위치 중 상기 거점에 해당되는 특정 위치를 확장 거점으로 지정하는 확장 거점 판단부 및,
    상기 지도와 별도로 생성되는 도표로서,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중간 거점을 계층 구조(Hierarchy Structure)로 배치하고, 상기 중간 거점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확장 거점을 계층 구조로 추가 배치한 비교도를 생성하는 비교도 생성부와,
    상기 비교도에서 상기 카트의 위치 및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확장 거점 사이를 인디케이터로 연결하여 상기 카트의 예측 동선을 구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설정부를 구비한 거점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 설정 모듈은,
    상기 비교도에서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카트의 위치 사이 및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확장 거점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고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거점거리 판단부와, 상기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비교도에서 상기 카트 위치와 상기 중간 거점 및 상기 중간 거점과 상기 확장 거점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가감하는 이격 적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도 생성부는,
    상기 비교동선을 상기 예측 동선과 대조하는 혼잡도 확인부와,
    상기 예측 동선과 상기 비교동선의 중복 발생 부위의 대소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상기 혼잡도에 비례하여 가감 제어하는 혼잡도 반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반영부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가감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20500746727-pat00006

    (여기서, L( x,y )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길이, LB는 기준 길이, B0는 최대 혼잡도, L1은 상기 중간 거점 및 상기 확장 거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상기 예측 동선 내 선택된 상기 거점의 혼잡도, L2는 선택된 상기 거점의 혼잡도, La는 전체 동선에서 선택된 상기 거점의 혼잡도를 의미함.)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28105A 2018-03-09 2018-03-09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KR102093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05A KR102093548B1 (ko) 2018-03-09 2018-03-09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05A KR102093548B1 (ko) 2018-03-09 2018-03-09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51A KR20190107251A (ko) 2019-09-19
KR102093548B1 true KR102093548B1 (ko) 2020-04-24

Family

ID=6806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05A KR102093548B1 (ko) 2018-03-09 2018-03-09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976B1 (ko) * 2021-01-20 2023-06-07 동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장 내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23142255A (ja) * 2022-03-24 2023-10-05 株式会社ポケモン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925B1 (ko) * 2016-01-28 2016-04-12 영진앵글 주식회사 랙 연결용 커버링 장치
KR101822552B1 (ko) * 2017-09-20 2018-01-26 에스제이테크 주식회사 소비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품 광고를 출력하고 관리자에게 소비자 정보를 제공하는 진열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636A (ko) * 2004-08-23 2004-09-10 안재명 매장 관리 시스템
KR20110062866A (ko) * 2009-12-04 2011-06-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기간 통신 기반의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과, 그 방법
KR20120000709A (ko) * 2010-06-28 2012-01-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07280B1 (ko) * 2015-10-27 2023-03-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 기반 실내 이동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925B1 (ko) * 2016-01-28 2016-04-12 영진앵글 주식회사 랙 연결용 커버링 장치
KR101822552B1 (ko) * 2017-09-20 2018-01-26 에스제이테크 주식회사 소비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품 광고를 출력하고 관리자에게 소비자 정보를 제공하는 진열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51A (ko)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7398A1 (en) Contextually aware customer item entry for autonomous shopping applications
CN108573293B (zh) 一种基于增强现实技术的无人超市购物协助方法及系统
KR20200037833A (ko) 영상 모니터링에 기반하는 물품 감지 시스템 및 물품 감지 방법
CN107206601A (zh) 客户服务机器人和相关系统及方法
US9038905B2 (en) System, method, and storage unit for managing multiple objects in an object zone
WO2017030177A1 (ja) 展示装置、表示制御装置および展示システム
MX2007012658A (es) Metodo y sistema para medir automaticamente el cumplimiento de la exhibicion en tiendas al menudeo.
US20060109734A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CN110352116A (zh) 智能服务机器人和相关系统及方法
US20120130920A1 (en) Commodity processing supporting system and commodity processing supporting method
KR102093548B1 (ko) 카트를 활용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JP4742531B2 (ja) 情報表示装置
JP2015230236A (ja) 商品案内装置、端末装置、商品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1272A (ko) 물품 구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물품 구매 시스템
KR20160090198A (ko) 전시 안내 장치, 전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단말 장치와 전시 안내 방법
JP2003099629A (ja) 遠隔商品販売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913075B1 (ko) 이동형 쇼핑 관리 장치 및 쇼핑 관리 시스템
CN100538502C (zh) 地面显示系统
KR101815781B1 (ko)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
US20120130867A1 (en) Commod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mmodit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150022064A (ko) 미러월드 기반 인터랙티브 온라인 쇼핑몰 제품의 판매 지원 시스템
KR20140139945A (ko) 스마트 스토어 시스템
JP687433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JP2017217921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150123A (ja) 商品移動検出装置および商品移動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