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256B1 - Eye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 Google Patents

Eye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256B1
KR102093256B1 KR1020180143548A KR20180143548A KR102093256B1 KR 102093256 B1 KR102093256 B1 KR 102093256B1 KR 1020180143548 A KR1020180143548 A KR 1020180143548A KR 20180143548 A KR20180143548 A KR 20180143548A KR 102093256 B1 KR102093256 B1 KR 102093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utput
display device
image object
heirl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7869A (en
Inventor
권오상
수래야 자한 리자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0002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8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2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Abstract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은 제1 시간 구간에서 제1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화면에 영상 객체 출력이 중단되면 제2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제2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화면에 영상 객체 출력이 중단되면 상기 제2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은 사각파(square wave) 및 사인파(sine wave)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영상 객체를 매번 랜덤하게 출력하고, 상기 제1 화면은 사용자 기준으로 제1 거리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화면은 사용자 기준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거리에 영상 객체를 출력한다.A visual training method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includes outputting an image object on a first screen in a first time interval, and outputting an image object on a second screen when output of the image object is stopped on the first screen and a second time interval. And outputting an image object on the first screen, and outputting an image object on the second screen when output of the image object to the first screen is stopped. The first screen or the second screen randomly outputs an image object of any one of a square wave and a sine wave, and the first screen is an image object at a first distance based on a user And the second screen outputs an image object at a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based on a user.

Description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 및 시각 훈련 장치{EYE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EYE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Visual training method and visual training device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기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ques described below relate to visual training technique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지각적 학습(Perceptual Learning)은 사람에게 특정 자극을 주고, 해당 자극을 통해 일정한 과제에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시각에 일정한 자극을 주어 학습 효율 또는 시력 향상을 주는 종래 연구가 있었다. Perceptual learning is to give a specific stimulus to a person and to perform learning on a certain task through the stimulus.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conventional study that gives a certain stimulus to the vision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or vision.

Dov Sagi, "Perceptual learning in Vision Research", Vision Research 51 ,2011, 1552-1566 pagesDov Sagi, "Perceptual learning in Vision Research", Vision Research 51, 2011, 1552-1566 pages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특정한 영상 객체를 이용하여 시각(눈)에 자극을 주는 새로운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techniques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provide visual training technique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is intended to provide a new technique for stimulating the visual (eye) using a specific image object.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은 제1 시간 구간에서 제1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화면에 영상 객체 출력이 중단되면 제2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제2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화면에 영상 객체 출력이 중단되면 상기 제2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은 사각파(square wave) 및 사인파(sine wave)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영상 객체를 매번 랜덤하게 출력하고, 상기 제1 화면은 사용자 기준으로 제1 거리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화면은 사용자 기준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거리에 영상 객체를 출력한다.A visual training method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includes outputting an image object on a first screen in a first time interval and outputting an image object on a second screen when output of the image object is stopped on the first screen and a second time interval. And outputting an image object on the first screen, and outputting an image object on the second screen when output of the image object to the first screen is stopped. The first screen or the second screen randomly outputs an image object of any one of a square wave and a sine wave, and the first screen is an image object at a first distance based on a user And the second screen outputs an image object at a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based on a user.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장치는 제1 시간 구간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이후 제2 시간 구간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이 종료된 후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이 종료된 후 영상 객체를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각파(square wave) 및 사인파(sine wave)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을 갖는 영상 객체가 랜덤하게 출력되게 하고, 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객체 출력 순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사용자 기준으로 먼 거리에 위치한다.The visual training device based on the perceptual learning includes a first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n image object in a first time interval, and then outputs an image object in a second time interval, and the output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n the first time interval. A square wave is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to output an image object after the end, and output the image object after the output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s finished in the second time period. An image object having any one of (square wave) and sine wave types is randomly output,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are in the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It include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video object output order.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located farther from the user than the first display device.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을 통하여 시력을 향상시키고, 특히 노안 개선에 효율적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지각적 학습과 안구 근육 훈련을 동시에 수행하여 시력 개선에 효율적이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improves visual acuity through visual training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and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improving presbyopia.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is effective for improving eyesight by performing perceptual learning and eye muscle training simultaneously.

도 1은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장치의 구성에 대한 예이다.
도 2는 제1 화면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예이다.
도 3은 제2 화면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예이다.
도 4는 가보 이미지 유형에 대한 예이다.
도 5는 시각 훈련 장치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예이다.
도 6은 시간 흐름에 따른 시각 훈련 구성에 대한 예이다.
도 7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의 시각 훈련 장치에 대한 예이다.
도 8은 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예이다.
도 9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의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10은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의 효과에 대한 다른 실험 결과이다.
도 11은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의 효과에 대한 또 다른 실험 결과이다.
1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visual training device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2 is an example of a heirloom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3 is an example of a heirloom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4 is an example of a heirloom image type.
5 is an example of the heirloom image output to the visual training device.
6 is an example of a visual training configuration over time.
7 is an example of a visual training device in the form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8 is an example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rol device.
9 is an experimental result for the effect of visual training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10 is another experimental result for the effect of visual training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11 is another experimental result for the effect of visual training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etc.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and only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Used only.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a singular express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terpret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describe features, counts, steps, operations, and components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means tha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division of components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divided by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mponent.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in charge of the components,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of the components are different. Needless to say, it may also be carried out in a dedicated manner.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performing the method or the operation method, each of the processe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explicitly described in context. That is, each proces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시각적 자극을 통해 눈(시각)을 훈련하는 기법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이미지 객체를 이용하여 시각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가보 이미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기술은 사각파(square wave) 가보 이미지 및 사인파(sine wave) 가보 이미지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인파 가보 이미지를 가보 이미지(Gabor patch)라고 명명하기도 한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is a technique for training the eye (visual) through visual stimulation.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can stimulate a visual using various image objects.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based on the heirloom image. The following technique uses a square wave heirloom image and a sine wave heirloom image. In general, sine wave heirloom images are also called gabor patches.

이하 설명은 가보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지만, 사실 화면에 출력되는 객체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화면에 출력되는 객체는 두 가지 종류를 갖는다. 하나는 선명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흐릿한 이미지이다. 즉, 가보 이미지가 아니더라도, 선명한 이미지와 흐릿한 이미지로 구분되어 선명도를 판단할 수 있는 영상 객체는 이하 설명하는 시각 훈련에 사용할 수 있다.The following description is based on the heirloom image, but in fact,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various types. There are two types of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One is a clear image and the other is a blurry image. That is, even if it is not a heirloom image, an image object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clear image and a blurry image to determine sharpness can be used for visual training described below.

도 1은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장치(100)의 구성에 대한 예이다. 시각 훈련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제어 장치(150)를 포함한다. 1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visual training device 100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The visual training device 100 includes a first display device 110, a second display device 120, and a control device 150.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특정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다양한 형태의 출력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에 직접 디지털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도 1에 도시한 장치), 스크린에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are devices that output a specific image.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may be various types of output devices.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eans a monitor that outputs a digital image directly to a screen (a device shown in FIG. 1), a projector that outputs an image to a screen, and the like.

도 1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각각 특정한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특정 시점에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 중 어느 하나의 장치만 가보 이미지를 출력한다.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output specific heirloom images, respectively. However,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t a specific point in time, only on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or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outputs a heirloom image.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각각 사용자(5)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다. 여기서, 거리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사용자(5) 기준으로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사용자(5) 기준으로 제1 거리에 위치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사용자(5) 기준으로 제2 거리에 위치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다. 즉, 제2 거리 > 제1 거리이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보다 멀리 위치하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보다 큰 화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are each positioned at a certain distance based on the user 5. Here, the distance may be a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user's eyes.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are located at different distances based on the user 5.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is positioned at a first distance based on the user 5.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is positioned at a second distance based on the user 5.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is located at a greater distance tha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That is, it is the second distance> the first distance. Since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is located farther tha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may have a larger screen size tha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일정한 공간 주파수(spatial frequency)의 가보 이미지를 출력한다. 다양한 유형의 가보 이미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보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출력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device 110 outputs a heirloom image having a constant spatial frequency. Various types of heirloom image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repeatedly outputs a heirloom image over time. The position in which the heirloom image is output may be changed i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s time passes.

가보 이미지의 위치 변경은 몇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1) 하나는 물리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도 1은 별도의 장치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물리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장치를 변위 제어 장치라고 명명한다. 변위 제어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변위 제어 장치는 구동 장치(예컨대, 모터)의 구동을 통해 이동하는 레일 또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 또 다른 하나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출력하는 가보 이미지의 공간상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공간상 위치 변경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순하게 일정한 크기의 가보 이미지의 크기를 줄이면 가보 이미지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는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입체 공간(3차원 영상 또는 스테레오 영상)에서 가보 이미지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거리가 변경되는 대상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니고 가보 이미지이다.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eirloom image can be implemented in several forms. (1) One is a method of physical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lthough FIG. 1 does not show a separate device, a separate device is required to physical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eparate device is called a displacement control device. The displacement control devic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displacement control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ail or conveyor belt that moves through the drive of a driving device (eg, motor). (2) Another method is to change the spatial position of the heirloom image output by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in software. Changing the position in space can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imply reducing the size of the heirloom image of a certain size has the effect of moving the heirloom image away from the user. Alternatively, the heirloom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moved away from the use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 three-dimensional image or a stereo image) using image processing technology. In this case, the object whose distance is changed is not a display device, but a heirloom image.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사용자(5) 기준으로 고정된 자리에 위치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사용자(5)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보다 더 먼 거리에 위치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가보 이미지의 공간 주파수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간 주파수를 변경하여 가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is positioned at a fixed position based on the user 5.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is located at a greater distance tha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located farthest from the user 5.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may change and output the spatial frequency of the heirloom image. 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may output a heirloom image by changing the spatial frequency over time.

도 1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별도의 장치로 도시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가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거리가 변경된다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별도의 장치를 의미하기 보다는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공간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 가보 이미지가 제1 공간 또는 제2 공간에 출력된다라고도 설명한다. 실제 물리적인 공간 또는 가상의 디지털 공간에서 가보 이미지가 서로 다른 공간에서 출력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공간은 사용자(5)가 인지하는 가보 이미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하 제1 공간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는 공간을 의미하고, 제2 공간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제1 공간과 제2 공간은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르다. 3차원 공간에서 가보 이미지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z축을 기준으로 정의된다고 가정한다. 또 공간에서 가보 이미지의 위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1 공간과 제2 공간은 사용자 기준으로 서로 다른 z 값을 갖는다. 나아가 제1 공간과 제2 공간은 x축상의 x값과 y축 상의 y값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1 illustrates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as separate devices. If the distance of the gabor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is changed by a software method,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may be implemented in one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have a meaning of a space in which a heirloom image is output rather than a separate device. Therefore, it will also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at the heirloom image is output in the first space or the second space. This means that heirloom images are output in different spaces in a real physical space or a virtual digital space. Here, the space means the distance of the heirloom image perceived by the user 5. Hereinafter, the first space means a space in which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outputs a heirloom image, and the second space mean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outputs a heirloom image.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have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user. It is assum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irloom image and the user in 3D space is defined based on the z-axis. It is also assumed that the position of the heirloom image in space is based on the center point. In this case,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have different z values based on the user. Furthermore, at least one of the x value on the x-axis and the y value on the y-axis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제어 장치(15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150)는 가보 이미지의 형태 및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거리 내지 제1 공간의 거리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1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일정한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설치된 컴퓨터 장치(PC), 모바일 기기, 서버 등과 같은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프로그램을 통해 가보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의 형태 등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50 controls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The control device 150 may control the shape and type of the heirloom image. The control device 150 may control the distanc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to the distance of the first space. The control devic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by wire or wireless. The control device 150 may be any one of a device such as a computer device (PC), a mobile device, a server, and the like installed with a certain program (application).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heirloom image through a program and change a form of a heirloom image outpu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나아가 사용자(5)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10 또는 120)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가보 이미지는 사각파(square wave) 형태 또는 사인파(sine wave)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5)는 입력 장치(141)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5)가 가보 이미지의 형태를 판단하는 과제를 수행한다. 사용자(5)는 가보 이미지 형태 판단이라는 지각적 학습을 수행한다. 사용자(5)가 가보 이미지 형태를 판단하고, 선택하는 과정을 사용자 반응(response)라고 명명한다.Furthermore, the user 5 can determine the type of heirloom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0 or 120. The heirloom image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wave or a sine wave. The user 5 can select the form of a heirloom image that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screen through the input device 141. The user 5 performs the task of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heirloom image. The user 5 performs perceptual learning, such as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heirloom image. The process by which the user 5 determines the form of the heirloom image and selects it is called a user response.

입력 장치(141)는 두 개의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다. 예컨대, 입력 장치(141)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터치패널, 2개의 물리버튼을 갖는 인터페이스 장치 등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 반응에 대한 정답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5)에게 줄 수 있다. 정답은 사용자가 선택한 가보 이미지 유형이 화면에 출력된 유형과 동일한 경우를 의미한다. 제어 장치(150)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5)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다. 도 1은 헤드셋과 같은 소리 출력 장치(142)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피드백을 주는 예를 도시한다. 제어 장치(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 또는 120)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피드백을 출력할 수도 있다. It is sufficient if the input device 141 is a device capable of selecting one of two patterns.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141 may be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 touch panel, an interface device having two physical buttons, and the like. Furthermore, the control device 150 may provide the user 5 with feedback on whether or not the user response is correct. The correct answer means that the type of heirloom image selected by the user is the same as the typ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ntrol device 150 may provide feedback to the user 5 through sound.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feedback is provided to a user using a sound output device 142 such as a headset. The control device 150 may output feedback through the display device 110 or 120 or a separate display device.

도 2는 제1 화면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예이다. 도 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내지 제1 공간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예이다. 도 2(A)는 사용자(눈)로부터 일정한 이격 거리 d1을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도시한다. 도 2(A)는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10)와의 이격 거리를 도시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d1은 사용자가 인지하는 가보 이미지의 거리(내지 깊이)를 의미한다. 도 2(B)는 제1 화면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화면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는 제1 가보 이미지라고 명명한다. 제1 가보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2개의 유형(사각파 또는 사인파)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된다. 제1 가보 이미지는 사각파 또는 사인파 중 어느 하나로 랜덤하게 출력된다. 제어 장치(15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의 유형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2 is an example of a heirloom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2 is an example of a heirloom image outpu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to the first space. 2 (A) shows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having a constant separation distance d 1 from a user (eye). 2 (A) shows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physical display device 110. However, as described above, d 1 means the distance (to depth) of the heirloom image perceived by the user. 2 (B) is a description of the heirloom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heirloom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is called a first heirloom image. The first heirloom image is basically output to one of the two types described above (square or sine wave). The first heirloom image is randomly output as either a square wave or a sine wave. The control device 150 may randomly select the type of heirloom image outpu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제1 가보 이미지는 고정된 공간 주파수를 갖는다. 제1 가보 이미지는 일정한 시간 동안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출력된다. 예컨대, (1) 제1 가보 이미지는 한 번에 3초 동안 출력될 수 있다. (2) 또는 제1 가보 이미지는 3초 구간에서 1초 동안만 출력될 수 있다. 3초 구간에서 나머지 2초는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하는 시간일 수 있다. 제1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시간, 제2 가보 이미지에 대한 응답 대기 시간 및 각 시간의 조합은 다양할 수 있다. 이후 시간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에서 가보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가보 이미지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The first heirloom image has a fixed spatial frequency. The first heirloom image is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1) the first heirloom image may be output for 3 seconds at a time. (2) Alternatively, the first heirloom image may be output only for 1 second in a 3 second interval. The remaining 2 seconds in the 3 second period may be a time for waiting for a user response. The time at which the first heirloom image is output, the waiting time for the response to the second heirloom image, and the combination of each time may vary. Thereafter, a heirloom image may b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at a time. The first heirloom image may be repeatedly output at regular time intervals.

이때 제1 가보 이미지의 방향(orientation)은 매번 랜덤하게 선택된다. 제어 장치(150)가 제1 가보 이미지의 방향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가보 이미지의 유형을 입력(선택)할 수 있고, 시각 훈련 장치(100)는 소리 또는 시각(텍스트, 이미지 등)으로 피드백을 줄 수 있다.At this time, the orientation of the first heirloom image is randomly selected each time. The control device 150 may randomly select the direction of the first heirloom image. When the first heirloom image is output, the user may input (select) the type of heirloom image, and the visual train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feedback by sound or vision (text, image, etc.).

제1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거리 d1은 변경될 수 있다. 거리 d1은 다양한 기준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변경 가능한 거리(변위)도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d1은2cm ~ 70cm까지 범위 이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거리 d1은 사용자 반응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1) 현재 사용자 반응이 정답이라면, 거리 d1은 일정한 단위(예컨대, 수 cm)로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반응이 오답이라면, 거리 d1은 일정한 단위로 감소할 수 있다. 또는 (2) 현재 사용자 반응이 정답이라면, 거리 d1은 일정한 단위(예컨대, 수 cm)로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반응이 오답이라면, 거리 d1은 일정한 단위로 증가할 수 있다. The distance d 1 through which the first heirloom image is output may be changed. The distance d 1 can be changed by various criteria. The changeable distance (displacement) may also vary. For example, d 1 may be changed within a range from 2 cm to 70 cm. Basically, the distance d 1 can be changed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reaction. For example, (1) If the current user response is the correct answer, the distance d 1 may be increased in a certain unit (eg, several cm). Conversely, if the user's response is incorrect, the distance d 1 may decrease in a certain unit. Or (2) if the current user response is the correct answer, the distance d 1 may be reduced to a certain unit (eg, several cm). Conversely, if the user response is incorrect, the distance d 1 may increase in a certain unit.

거리 d1의 증감은 시각 훈련의 대상이나 질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시각 훈련 장치(100)는 1차 사용자 반응이 정답인 경우에도 d1 거리 변경없이 다시 한번 제1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고, 다시 출력한 가보 이미지에 대한 2차 사용자 반응이 정답인 경우에 거리 d1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반응에 따른 거리 d1 변경은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The increase or decrease in distance d 1 may vary depending on the subject of visual training or the type of disease. Furthermore, the visual training apparatus 100 outputs the first heirloom image once again without changing the distance d 1 even when the first user response is the correct answer, and the distance d when the second user response to the reprinted heirloom image is the correct answer You can also change 1 . That is, the distance d 1 change according to the user reaction may have various patterns.

도 3은 제2 화면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예이다. 도 3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 내지 제2 공간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예이다. 도 3(A)는 사용자(눈)로부터 일정한 이격 거리 d2을 갖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도시한다. 도 3(A)는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20)와의 이격 거리를 도시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d2은 사용자가 인지하는 가보 이미지의 거리(내지 깊이)를 의미한다. 도 3(B)는 제2 화면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화면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는 제2 가보 이미지라고 명명한다. 제2 가보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2개의 유형(사각파 또는 사인파)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된다. 제2 가보 이미지는 사각파 또는 사인파 중 어느 하나로 랜덤하게 출력된다. 제어 장치(15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의 유형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3 is an example of a heirloom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3 is an example of a heirloom image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to the second space. 3 (A) shows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having a constant separation distance d 2 from a user (eye). 3 (A) show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physical display device 120. However, as described above, d 2 means the distance (to depth) of the heirloom image perceived by the user. 3 (B) is a description of the heirloom image output on the second scree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heirloom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is called a second heirloom image. The second heirloom image is basically output as one of the two types described above (square or sine wave). The second heirloom image is randomly output as either a square wave or a sine wave. The control device 150 may randomly select the type of heirloom image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제2 가보 이미지의 거리 d2는 고정된다. 예컨대, d2는 사용자로부터 280cm일 수 있다. 제2 가보 이미지는 일정한 시간 동안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에서 출력된다. The distance d 2 of the second heirloom image is fixed. For example, d 2 may be 280 cm from the user. The second heirloom image is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for a predetermined time.

예컨대, (1) 제2 가보 이미지는 한 번에 3초 동안 출력될 수 있다. (2) 또는 제2 가보 이미지는 3초 구간에서 1초 동안만 출력될 수 있다. 3초 구간에서 나머지 2초는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하는 시간일 수 있다. 제2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시간, 제2 가보 이미지에 대한 응답 대기 시간 및 각 시간의 조합은 다양할 수 있다. 제2 가보 이미지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보 이미지의 방향은 매번 랜덤하게 선택된다. 제어 장치(150)가 제2 가보 이미지의 방향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2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가보 이미지의 유형을 입력(선택)할 수 있고, 시각 훈련 장치(100)는 소리 또는 시각(텍스트, 이미지 등)으로 피드백을 줄 수 있다.For example, (1) the second heirloom image may be output for 3 seconds at a time. (2) Alternatively, the second heirloom image may be output only for 1 second in a 3 second interval. The remaining 2 seconds in the 3 second period may be a time for waiting for a user response. The time when the second heirloom image is output, the waiting time for the response to the second heirloom image, and the combination of each time may vary. The second heirloom image may be repeatedly output at regular time intervals.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eirloom image is randomly selected each time. The control device 150 may randomly select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eirloom image. When the second heirloom image is output, the user may input (select) the type of heirloom image, and the visual train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feedback by sound or vision (text, image, etc.).

한편 제2 가보 이미지는 공간 주파수가 일정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공간 주파수는 CPD(Cycles per Degree), CPP(Cycles per Pixel)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CPD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CPD는 각도 1도에 얼마나 많은 사이클(파장)이 있는지를 정의한다. 높은 공간 주파수를 갖는 가보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가보 이미지보다 패턴이 밀집된 형태를 갖는다. 제2 가보 이미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간 주파수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보 이미지는 공간 주파수가 3.90 CPD에서 시작하여 29.21CPD까지 단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공간 주파수가 변경되는 정도는 시각 훈련의 전체 시간 및 하나의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단위 시간(시간 구간)의 개수에 따라 동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the spatial frequency of the second heirloom image may be constantly changed. The spatial frequency may be expressed as CPD (Cycles per Degree), CPP (Cycles per Pixel), or the lik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description is based on CPD. CPD defines how many cycles (wavelengths) are at an angle of one degree. The heirloom image having a high spatial frequency has a denser pattern than a relatively low frequency heirloom image. The second heirloom image may be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patial frequency increases as time passes. For example, the second heirloom image may be changed stepwise in spatial frequency starting from 3.90 CPD to 29.21 CPD. The degree to which the spatial frequency is changed may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total time of visual training and the number of unit times (time periods) in which one gabor image is output.

공간 주파수는 사용자 반응의 정확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사용자 반응이 정답이라면, 공간 주파수는 일정한 단위(예컨대, 수 CPD)로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반응이 오답이라면, 공간 주파수는 일정한 단위로 감소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반응의 정답 여부에 따라 난이도가 변경된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공간 주파수가 일정한 패턴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공간 주파수는 주파수가 높아지고 낮아지는 일정한 패턴을 반복할 수 있다.The spatial frequenc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ccuracy of the user's reaction. For example, if the current user response is the correct answer, the spatial frequency may increase in a certain unit (eg, several CPDs). Conversely, if the user's response is incorrect, the spatial frequency may decrease in a certain unit.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difficulty is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response is correct. Furthermore, the spatial frequency may be changed to a constant pattern. For example, the spatial frequency may repeat a certain pattern in which the frequency is increased and decreased.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는 두 가지 유형을 갖는다. 사각파 가보 이미지와 사인파 가보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랜덤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된다. 도 4는 가보 이미지 유형에 대한 예이다. 도 4(A)는 사각파 형태의 가보 이미지이다. 도 4(A)와 같은 형태가 패턴이 또렷하여 또렷한(sharp) 가보 이미지라고도 한다. 도 4(B)는 사인파 형태의 가보 이미지이다. 도 4(B)와 같은 형태가 상대적으로 패턴이 흐릿하여 흐릿한(blunt) 가보 이미지라고도 한다.Gabor image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have two types. Either a square wave heirloom image or a sine wave heirloom image is randomly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4 is an example of a heirloom image type. 4 (A) is a heirloom image in the form of a square wave. The shape shown in FIG. 4 (A) is also called a sharp heirloom image because the pattern is clear. 4 (B) is a sine wave-shaped heirloom image. The shape as shown in FIG. 4 (B) is also referred to as a blurry heirloom image because the pattern is relatively blurry.

도 5는 시각 훈련 장치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예이다. 도 5는 화면에 실제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는 아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보 패턴의 유형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의 방향은 랜덤하게 선택된다. 도 5(A)는 방향이 서로 다른 3개의 가보 이미지(a, b 및 c)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에서 3개의 가보 이미지 a, b 및 c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가보 이미지에 대한 예이다. 제2 가보 이미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간 주파수가 달라진다고 하였다. 도 5(B)는 공간 주파수가 서로 다른 3개의 가보 이미지(d, e 및 f)의 예를 도시한다. 도 5(B)에서 3개의 가보 이미지 d, e 및 f는 서로 공간 주파수가 다르다. 공간 주파수는 d < e < f 순서이다. 5 is an example of the heirloom image output to the visual training device. 5 is not a heirloom image actually output on the screen, but shows the type of heirloom patter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s of the heirloom image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are randomly selected. 5 (A) shows examples of three heirloom images a, b, and c having different directions. In FIG. 5 (A), three heirloom images a, b, and c are examples of heirloom image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It is said that the spatial frequency of the second Gabor image changes with the passage of time. 5 (B) shows examples of three heirloom images d, e, and f having different spatial frequencies. In FIG. 5 (B), the three heirloom images d, e, and f have different spatial frequencies. The spatial frequencies are in the order of d <e <f.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는 순서는 다양할 수 있다. 시각 훈련 장치(100)는 일정한 훈련 시간 동안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면서 사The order in which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output heirloom images may vary. The visual training device 100 is used while outputting a heirloom image to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for a certain training time.

용자에 대한 시각 훈련을 한다. 도 6은 시간 흐름에 따른 시각 훈련 구성에 대한 예이다. 사용자에 대한 한 번의 시각 훈련을 세션(session, S로 표시)이라는 구간으로 표시한다. 하나의 세션 S는 복수의 블록(block, B로 표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하나의 S가 10개의 블록(B1 내지 B10)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다. Do visual training for the suspect. 6 is an example of a visual training configuration over time. One visual training for the user is represented by a section called session (indicated by session S). One session S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block, indicated by B).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S is composed of 10 blocks B1 to B10.

하나의 블록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반복적으로 가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하나의 블록에서 제1 가보 이미지와 제2 가보 이미지가 서로 번갈아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하나의 블록에 20개의 제1 가보 이미지와 20개의 제2 가보 이미지가 반복되는 예(전체 40개)를 도시한다. 물론 하나의 블록은 40개보다 많은 가보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블록은 전체 80개의 가보 이미지 구간(40개의 제1 가보 이미지 + 40개의 제2 가보 이미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블록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동일한 규격의 가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블록에서 제1 가보 이미지는 사용자와의 거리 d1이 동일할 수 있고, 제2 가보 패치는 동일한 공간 주파수의 가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동일한 블록에서 가보 이미지의 방향은 동일할 수도 있고, 랜덤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 내지 제1 공간에 출력되는 제1 가보 이미지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 내지 제2 공간에 출력되는 제2 가보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출력되면, 시간 흐름에 따라 사용자는 시선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에 두어야 한다. 이를 통해 지각적 학습에 더하여 안구 근력 훈련이 수행될 수 있다. In one block,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may repeatedly output a heirloom image.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first heirloom image and a second heirloom image are alternately output in one block.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20 first heirloom images and 20 second heirloom images are repeated in one block (40 in total). Of course, one block may contain more than 40 heirloom images. For example, one block may be composed of a total of 80 heirloom image sections (40 first heirloom images + 40 second heirloom images). In the same block,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may output heirloom images of the same standard. That is, in the same block, the first heirloom image may have the same distance d 1 from the user, and the second heirloom patch may output the heirloom image having the same spatial frequency. In the same block, the direction of the heirloom image may be the same or may be changed randomly. When the first heirloom image that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to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heirloom image that is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 to the second space are repeatedly output, the user gazes over time. Must be placed i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Through this, in addition to the perceptual learning, eye strength training can be performed.

도 6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시간 구간인 B1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일정한 d1에서 제1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한 공간 주파수의 제2 가보 이미지를 출력한다. B1은 제1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구간과 제2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구간이 반복되면서 구성된다. 나아가 이후 시간인 제2 시간 구간 B2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제1 구간보다 거리가 멀어진 d1에서 제1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구간과 공간 주파수가 다른(공간 주파수가 증가한) 제2 가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이후 시간인 제3 시간 구간 B3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제2 구간보다 거리가 멀어진 d1에서 제1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구간과 공간 주파수가 다른(공간 주파수가 증가한) 제2 가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각 훈련 장치(10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시각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first time interval B1,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outputs a first heirloom image at a constant d 1 ,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outputs a second heirloom image of the same spatial frequency. do. B1 is configured by repeating a section in which a first heirloom image is output and a section in which a second heirloom image is output. Furthermore, in the second time period B2, which is a time afterwards,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outputs the first heirloom image at d 1 that is farther than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has a different spatial frequency from the first period ( A second heirloom image with an increased spatial frequency may be output. Furthermore, in the third time period B3, which is a subsequent time, the first display device 110 outputs the first heirloom image at d 1 that is farther away from the second section,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has a different spatial frequency from the second section ( A second heirloom image with an increased spatial frequency may be output. As described above, the visual training apparatus 100 may perform visual training while repeating a certain operation over time.

시각 훈련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거리감을 갖는 영상으로 제1 가보 이미지와 제2 가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MD) 형태의 시각 훈련 장치(200)에 대한 예이다. HMD는 일반적으로 가상의 3차원 공간을 제공한다. HMD는 사용자로부터 거리가 서로 다른 제1 가보 이미지와 제2 가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HMD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거리가 달라지는 제1 가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HMD는 가보 이미지의 방향, 가보 이미지의 공간 주파수 등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인지하는 두 개의 화면 (a)와 (b)를 도시한다. 화면 (a)는 특정 시점에 제2 가보 이미지보다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제1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는 예이고, 화면 (b)는 제1 가보 이미지 출력 종료 후에 제1 가보 이미지보다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2 가보 패치를 출력하는 예이다.The visual training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eirloom image and the second heirloom image may be output as an image having a sense of distance from one display device. 7 is an example of a visual training device 200 in the form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MD). HMD generally provides a virtual three-dimensional space. The HMD can output a first heirloom image and a second heirloom image having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 HMD can output a first heirloom image with a different distance over time. Of course, the HMD can also output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eirloom image and the spatial frequency of the heirloom image. Fig. 7 shows two screens (a) and (b) perceived by the user. The screen (a) is an example of outputting the first heirloom image located at a relatively shorter distance than the second heirloom imag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nd the screen (b) is relatively farther than the first heirloom image after the output of the first heirloom image This is an example of outputting the second Gabor patch.

시각 훈련 장치(200)는 저장장치(210), 메모리(220), 연산장치(230), 인터페이스 장치(240), 디스플레이 장치(250) 및 통신장치(260)를 포함한다.The visual training device 200 includes a storage device 210, a memory 220, a computing device 230, an interface device 240, a display device 250, and a communication device 260.

저장장치(210)는 시각 자극을 위한 제1 가보 이미지 및 제2 가보 이미지를 일정하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가보 이미지를 생성하는 코드, 가보 이미지를 일정한 공간에 출력하는 코드, 가보 패치가 출력되는 패턴(시간 구간)에 대한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사각파 가보 이미지 및 사인파 가보 이미지 중 랜덤하게 선택한 가보 이미지를 제1 공간 또는 제2 공간에 출력되게 한다. 또 프로그램은 선택한 가보 이미지의 출력 방향(orientation)을 랜덤하게 출력되게 한다. 또 프로그램은 제1 공간이 사용자 시선 방향에서 사용자 기준으로 제2 공간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게 출력되게 한다.The storage device 210 may store a program for constantly outputting the first heirloom image and the second heirloom image for visual stimulation. The program may include a code for generating a heirloom image, a code for outputting a heirloom image in a certain space, and a code for a pattern (time section) in which a heirloom patch is output. Therefore, the program causes a randomly selected gabor image from a square wave heirloom image and a sine wave heirloom image to be output in the first space or the second space. The program also randomly outputs the selected orientation of the heirloom image. In addition, the program causes the first space to be output at a distance closer than the second space based on the user in the user's gaze direction.

저장장치(210)는 훈련이 종료된 후 사용자의 가보 이미지 유형 선택에 대한 정답률 내지 분석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장치(210)는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빠른 접근이 필요한 정보 내지 연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메모리(220)는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210 may store the correct answer rate or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user's selection of the heirloom image type after the training is completed. The storage device 210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such as a hard disk or flash memory. The memory 220 temporarily stores information requiring fast access or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alculation. The memory 220 may be implemented as RAM or flash memory.

연산장치(230)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장치(250)에 출력되게 한다. 연산 장치(230)는 일련의 훈련 과정을 제어한다. 연산장치(230)는 프로세서, CPU, AP와 같이 일정한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및 연산이 가능한 장치에 해당한다. 연산장치(230)는 저장장치(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연산 장치(230)는 제1 공간의 제1 가보 이미지와 제2 공간의 제2 가보 이미지 출력을 제어한다. The computing device 230 causes the Gabor image to be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250 using a program. The computing device 230 controls a series of training courses. The computing device 230 corresponds to a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nd calculating certain data, such as a processor, CPU, and AP. The computing device 230 may perform certain processing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10. The computing device 230 controls the output of the first heirloom image i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heirloom image in the second space.

연산 장치(230)는 제1 시간 구간(예컨대, B1)에서 사용자 기준으로 제1 거리에 있는 제1 공간(제1 가보 이미지)이 제2 구간(B2)에서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산 장치(230)는 제2 공간에 출력되는 제2 가보 이미지가 제2 시간 구간(B2)에서 제1 시간 구간(B1)보다 높은 공간주파수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230 may have a first space (a first heirloom image) at a first distance based on a user in a first time interval (eg, B1) at a second distance farther than the first distance in the second section B2. It can be controlled to be positioned. The computing device 230 may control the second heirloom image output in the second space to have a higher spatial frequency than the first time period B1 in the second time period B2.

연산 장치(230)는 제1 시간 구간에 출력되는 제1 가보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가보 이미지 유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시간 구간에서 제1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연산 장치(330)는 제1 시간 구간에 출력되는 제2 가보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가보 이미지 유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시간 구간에서 출력되는 제2 가보 이미지의 공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230 receives a selection of a type of heirloom image from the user for the first heirloom image output in the first time period, and determines the distance at which the first heirloom image is output in the second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Can be changed.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330 receives a selection of a type of heirloom image from the user for the second heirloom image output in the first time period, and a space of the second heirloom image output in the second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You can change the frequency.

연산 장치(230)는 사용자가 가보 이미지 유형을 선택한 입력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정답률 및 정답률에 따른 훈련 성과 등을 분석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230 may analyze a user's correct answer rate and trai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orrect answer rate based on the input of the user selecting the heirloom image type.

인터페이스 장치(240)는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인터페이스 장치(240)는 입력 장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240)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는 장치,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하는 장치 등일 수 있다. The interface device 240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user input. The interface device 240 has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device. The interface device 240 may be a device that recognizes a user voice, a device that recognizes a user gesture, or the like.

디스플레이 장치(250)는 일정한 공간에 제1 가보 이미지와 제2 가보 이미지가 번갈아 가면서 반복적으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50)는 사용자의 선택한 가보 이미지 유형에 대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50)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회로 등으로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250 repeatedly outputs the first heirloom image and the second heirloom image alternately in a certain space. The display device 250 may output feedback on the type of heirloom image selected by the user. The display device 250 includes a display panel, a driving circuit, and the like.

나아가 도 7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시각 훈련 장치(200)는 피드백을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7, the visual training device 200 may include a speaker that delivers feedback.

통신장치(260)는 외부 객체(컴퓨터 장치, 서버, 사용자 단말 등)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일정한 정보를 주고받는 구성이다. 통신 장치(260)는 사용자가 별도 인터페이스 장치로 입력한 가보 이미지의 유형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260 is a component that exchanges certain information with external objects (computer devices, servers, user terminals, etc.)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260 may receive an input for a type of heirloom image input by the user as a separate interface device.

도 8은 제어 장치(300)의 구조를 도시한 예이다. 도 8은 도 1의 제어 장치(150)와 같은 장치에 대한 구조의 예이다. 제어 장치(300)는 저장장치(310), 메모리(320), 연산장치(330), 인터페이스 장치(340), 디스플레이 장치(350) 및 통신장치(350)를 포함한다.8 is an example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device 300. 8 is an example of a structure for a device such as the control device 150 of FIG. 1. The control device 300 includes a storage device 310, a memory 320, a computing device 330, an interface device 340, a display device 350, and a communication device 350.

저장장치(310)는 시각 자극을 위한 제1 가보 이미지 및 제2 가보 이미지를 일정하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가보 이미지를 생성하는 코드, 가보 이미지를 일정한 공간에 출력하는 코드, 가보 패치가 출력되는 패턴(시간 구간)에 대한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사각파 가보 이미지 및 사인파 가보 이미지 중 랜덤하게 선택한 가보 이미지를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게 한다. 또 프로그램은 선택한 가보 이미지의 출력 방향을 랜덤하게 출력되게 한다. 또 프로그램은 제1 가보 이미지가 사용자 시선 방향에서 사용자 기준으로 제2 가보 이미지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게 출력되게 한다. 또는 물리적으로 제1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가보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사용자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310 may store a program for constantly outputting the first heirloom image and the second heirloom image for visual stimulation. The program may include a code for generating a heirloom image, a code for outputting a heirloom image in a certain space, and a code for a pattern (time section) in which a heirloom patch is output. Therefore, the program outputs a randomly selected gabor image from a square wave heirloom image and a sine wave heirloom image to a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program causes the output direction of the selected heirloom image to be randomly output. In addition, the program causes the first gabor image to be output at a distance closer than the second heirloom image based on the user in the user gaze direction. Alternatively, the first display device physically outputting the first heirloom image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user than the second display device outputting the second heirloom image.

저장장치(310)는 훈련이 종료된 후 사용자의 가보 이미지 유형 선택에 대한 정답률 내지 분석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장치(310)는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20)는 빠른 접근이 필요한 정보 내지 연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메모리(320)는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orage 310 may store correct answer rate or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user's selection of a heirloom image type after training is finished. The storage device 310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such as a hard disk or flash memory. The memory 320 temporarily stores information requiring fast access or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alculation. The memory 320 may be implemented as RAM or flash memory.

연산장치(330)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장치(350)에 출력되게 한다. 연산 장치(330)는 일련의 훈련 과정을 제어한다. 연산장치(330)는 프로세서, CPU, AP와 같이 일정한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및 연산이 가능한 장치에 해당한다. 연산장치(330)는 저장장치(3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연산 장치(330)는 제1 공간(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가보 이미지와 제2 공간(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가보 이미지 출력을 제어한다. The computing device 330 causes the gabor image to be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350 using a program. The computing device 330 controls a series of training processes. The computing device 330 corresponds to a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nd calculating certain data, such as a processor, CPU, and AP. The computing device 330 may perform certain processing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310. The computing device 330 controls the output of the first heirloom image in the first space (or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heirloom image in the second space (or the second display device).

연산 장치(330)는 제1 시간 구간(예컨대, B1)에서 사용자 기준으로 제1 거리에 있는 제1 공간(제1 가보 이미지)이 제2 구간(B2)에서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산 장치(330)는 제2 공간에 출력되는 제2 가보 이미지가 제2 시간 구간(B2)에서 제1 시간 구간(B1)보다 높은 공간주파수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330 has a first space (a first heirloom image) at a first distance based on a user in a first time period (eg, B1) at a second distance farther than the first distance in the second period B2. It can be controlled to be positioned. The computing device 330 may control the second heirloom image output in the second space to have a higher spatial frequency than the first time period B1 in the second time period B2.

연산 장치(330)는 제1 시간 구간에 출력되는 제1 가보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가보 이미지 유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시간 구간에서 제1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 장치(33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물리적 장치에 거리 변경 명령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 연산 장치(330)는 제1 시간 구간에 출력되는 제2 가보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가보 이미지 유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시간 구간에서 출력되는 제2 가보 이미지의 공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330 receives a selection of a heirloom image type from a user for a first heirloom image output in the first time period, and determines a distance at which the first heirloom image is output in the second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Can be changed.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330 may transmit a distance change command to a physical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distanc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ired or wirelessly.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330 receives a selection of a type of heirloom image from the user for the second heirloom image output in the first time period, and a space of the second heirloom image output in the second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You can change the frequency.

연산 장치(330)는 사용자가 가보 이미지 유형을 선택한 입력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정답률 및 정답률에 따른 훈련 성과 등을 분석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330 may analyze a user's correct answer rate and trai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orrect answer rate based on the input of the user selecting the heirloom image type.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입력 장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는 장치,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하는 장치 등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의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다.The interface device 340 is configured to transmit user input. The interface device 340 has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device. The interface device 340 may be a device that recognizes a user voice, a device that recognizes a user gesture, or the like. The interface device 340 receives a user selection for the type of heirloom image to be output.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대상은 고령의 사용자일 수 있다. 고령자는 화면에 출력되는 가보 이미지의 종류를 판단하고, 이미지 종류를 선택한 명령을 입력할 때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가 입력하기 용이한 유형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버튼을 사용한다면 인터페이스 장치는 각이 있는(예컨대, 삼각형) 버튼과 둥근 버튼(각이 없는)을 사용할 수 있다. 고령자는 선명한 이미지를 각진 버튼으로 선택하고, 흐릿한 이미지를 둥근 버튼으로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 제스처 인식 장치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제스처(고개 끄덕임 등)를 인식할 수도 있다.The target of visual training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may be an elderly user. The elderly may be difficult when determining the type of heirloom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inputting a command for selecting the image ty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n interface device of a type that is easy for the elderly to input. For example, if an input button is used, the interface device may use an angled (eg, triangle) button and a rounded button (without angle). The elderly can select a sharp image with an angled button and a blurry image with a round button. 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face device may recognize a user's gesture (nodding head, etc.) by including a user gesture recognition device.

통신장치(350)는 외부 객체(컴퓨터 장치, 서버, 사용자 단말 등)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일정한 정보를 주고받는 구성이다. 통신 장치(360)는 사용자가 별도 인터페이스 장치로 입력한 가보 이미지의 유형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350 is a component that exchanges certain information with external objects (computer devices, servers, user terminals, etc.)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360 may receive a selection for the type of heirloom image input by the user as a separate interface device.

이하 전술한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에 대한 효과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실험 목표는 전술한 시각 훈련 방법이 실험참여자의 노안(presbyopia)을 개선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노안은 통상적으로 노화에 따른 시력 저하를 의미한다. 실험참여자는 건강한 3명의 여성이다. 3명의 실험참여자는 각각 70세, 51세 및 50세이고, 문서를 읽을 때 독서용 안경(돋보기 포함된 안경)을 사용하는 상태이다. 실험참여자는 실험 과정에서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았다. 참여자 각각은 실험 전 테스트(pre-test), 20일 기간의 실험 및 실험 후 테스트(post-test)를 받았다. Hereinafter, the results of the effect experiment on the visual training metho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erceptual learning will be described. The aim of the experiment is to confirm that the above-described visual training method improves the presbyopia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Presbyopia usually refers to a decrease in vision due to aging.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three healthy women. The three participants were 70, 51, and 50 years old, respectively, and were reading glasses (glasses with reading glasses) when reading documents. Participants did not wear glasses during the experiment. Each participant received a pre-test, a 20-day trial, and a post-test.

실험 장비 및 환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각 자극은 Matlab을 이용한 Psychtoolbox로 생성되었다. 실험참여자 기준 원거리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전술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DLP 프로젝터(DepthQ®HDs3D2, 해상도: 1920 × 1080, 80*46cm, 60Hz)를 사용하였다.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참여자 위치 기준으로 280cm 지점에 고정하였다. 참여자 기준 근거리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전술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Raspberry Pi 기반의 5-인치 모니터(해상도: 800 × 480, 11*6.5cm, 60 Hz)를 사용하였다.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참여자 기준으로 2cm ~ 70cm까지 거리를 이동하였다. 거리 이동을 위하여 로봇 팔(DOBOT Magician)을 사용하였다.Explain the experimental equipment and environment. Visual stimuli were generated with Psychtoolbox using Matlab. A DLP projector (DepthQ®HDs3D2, resolution: 1920 × 1080, 80 * 46cm, 60Hz) was used as a display device located at a long distance based o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the second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The long-distance display device was fixed at 280 cm based on the participant's location. A display devic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based on the participant (the first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was a Raspberry Pi-based 5-inch monitor (resolution: 800 × 480, 11 * 6.5cm, 60 Hz). The short-range display device moved the distance from 2cm to 70cm based on the participant. A robot arm (DOBOT Magician) was used for distance movement.

실험은 일정한 사각파 및 사인파를 갖는 동일한 가보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가보 이미지는 회색 배경의 화면에서 출력되었다. 가보 이미지가 출력되는 방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매번 랜덤하게 선택되었다. 암실 환경에서 가보 이미지가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와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번갈아 가면서 출력되었다. 시각 자극(가보 이미지)은 1초 동안 출력되었고, 실험참여자는 출력된 시각 자극이 사각파인(또렷한 이미지)지 사인파(흐릿한 이미지)인지 판단하였다. 실험참여자는 시각 자극 시점에서 5초 내에 시각 자극의 종류에 대한 응답을 하도록 하였다. 5초가 경과하면 해당 회차의 테스트는 카운트 하지 않고 지나가는 것으로 처리하였다. 시각 자극의 종류는 도 4에 도시한 이미지와 같다.The experiment used the same heirloom image with constant square wave and sine wave. Gabor images were displayed on a gray background scr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bor image is output was randomly selected each time as described above. In a dark room environment, heirloom images were alternately output from a long-distance display device and a short-distance display device. The visual stimulus (heirloom image) was output for 1 second, and the experiment participants determined whether the output visual stimulus was a square wave (clear image) or a sine wave (blurred imag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types of visual stimuli within 5 seconds from the time of visual stimulation. When 5 seconds elapsed, the test of the relevant round was treated as passing without counting. The kind of visual stimulation is the same as the image shown in FIG. 4.

실험 전 테스트 및 실험 후 테스트에서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간 주파수와 콘트라스트(contrast)에 대하여 고정된 값을 사용하였고,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간 주파수는 고정된 값을 사용하고, 콘트라스트는 세 가지 다른 레벨(0.35, 0.425, 0.5)을 사용하였다. 실험 과정에서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험 전 테스트/실험 후 테스트와 동일한 공간 주파수와 콘트라스트를 사용하였고,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험 전 테스트/실험 후 테스트와 동일한 콘트라스트를 사용하였고, 공간 주파수는 1만큼 올라가고 2만큼 떨어지는 과정(staircase)으로 변화를 주었다. 또 실험 과정에서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반응이 정확한지 여부에 따라 거리에 변화를 주었다. 즉, 사용자 반응이 정확하면 거리가 조금씩 멀어지는 것이다. 사용자 반응은 음성을 기준으로 판단하였다.In the pre-test and post-test tests, the short-range display device used a fixed value for spatial frequency and contrast, the far-field display device used a fixed value for spatial frequency, and the contrast had three different levels (0.35). , 0.425, 0.5).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the short-range display device used the same spatial frequency and contrast as the pre-test / post-test test, and the far-field display device used the same contrast as the pre-test / post-test test, and the spatial frequency increased by 1 and increased by 2 I changed it by a staircase. Also,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the short-range display device changed the distance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s reaction was correct. That is, if the user's reaction is correct, the distance is gradually increased. User reaction was judged based on voice.

실험 전 테스트 및 실험 후 테스트는 실험참여자가 가보 이미지를 편하게 구분할 수 있는 VA(visual acuity, 시력), DT(distance threshold, 거리 임계값) 및 SST(spatial suppression threshold)를 측정하였다. 양안 시력은 3미터 거리에서 스넬 렌 차트(Snellen char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DT는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리 변경하면서 시각 자극에 대한 정확한 반응의 횟수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SST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가보 이미지를 이용하여 크고 작은 자극에 대해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참여자는 하루에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40개의 시각 자극을 출력하는 10개의 블록만큼의 훈련을 받았다. 즉, 실험참여자는 하루에 전체 800개의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을 훈련하였다.The pre-test and post-test tests measured visual acuity (VA), distance threshold (DT), and spatial suppression threshold (SST) that allow participants to easily distinguish heirloom images. Binocular vision was measured using a Snellen chart at a distance of 3 meters. DT was measured based o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to visual stimuli while changing the distance of a short-distance display device. SST was individually measured for large and small stimuli using a heirloom image moving left or right. Participants were trained for 10 blocks in which each display device outputs 40 visual stimuli per day. That is, the experiment participants trained responses to a total of 800 visual stimuli per day.

도 9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의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9(A)는 실험 과정에서 실험참여자들이 정확한 응답을 보인 거리에 대한 평균값이다. 실험은 20일 동안 수행되었다. 도 9(A)를 살펴보면 실험참여자들이 정확한 응답을 보인 거리가 점차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참여자들이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자극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즉 실험참여자들의 근거리 시력이 향상되었다. 도 9(B)는 실험 과정에서 실험참여자들이 정확한 응답을 보인 공간주파수의 임계값의 평균이다. 도 9(B)를 살펴보면 실험참여자들이 정확한 응답을 보인 공간주파수 임계값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참여자들이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자극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9 is an experimental result for the effect of visual training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Figure 9 (A) is an average value for the distance that the experiment participants showed an accurate response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20 days. Referring to FIG. 9 (A), it can be seen that the distance that the test participants showed the correct response gradually decreases. The accuracy of the stimuli output from the near-field display device was improved. In other words, the short-range vision of the test participants improved. 9 (B) is an average of threshold values of spatial frequencies in which experimental participants showed an accurate response during the experiment. Referring to FIG. 9 (B), it can be seen that the threshold of the spatial frequency, which showed the correct response, was gradually increased. The accuracy of the stimuli output from the remote display device was improved.

도 10은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의 효과에 대한 다른 실험 결과이다. 도 10에서 pre는 실험 전의 테스트 결과이고, post는 실험 후의 테스트 결과이다. 도 10(A)는 실험 전후 실험참여자들의 시력(VA) 평균값이다. 도 10(A)를 살펴보면, 실험 전(VA = 0.9)에 비하여 실험 후(VA = 1.07)의 시력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p=0.04). 도 10(B)는 실험 전후 실험참여자들의 임계 거리(DT) 평균값이다. 도 10(B)를 살펴보면, 실험 전(DT = 28.83cm)에 비하여 실험 후(DT = 6.63cm)로 DT는 매우 향상되었다(p=0.04). DT의 감소는 실험참여자가 시각 훈련을 통하여 시각 기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10 is another experimental result for the effect of visual training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In FIG. 10, pre is a test result before the experiment, and post is a test result after the experiment. 10 (A) is an average value of visual acuity (VA) of test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ferring to FIG. 10 (A), it can be seen that the visual acuity increased after the experiment (VA = 1.07)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VA = 0.9) (p = 0.04). 10 (B) is an average value of the critical distance (DT) of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ferring to FIG. 10 (B), DT was significantly improved (p = 0.04) after the experiment (DT = 6.63 cm)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DT = 28.83 cm). The decrease in DT means that the visual function was improved by the experiment participants through visual training.

도 11은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의 효과에 대한 또 다른 실험 결과이다. 도 11은 실험참여자들에 대한 SST 평균값을 나타낸다. 도 11에서 pre는 실험 전의 테스트 결과이고, post는 실험 후의 테스트 결과이다. 도 11을 살펴보면 큰 크기의 자극이나 작은 크기의 자극 모두 실험 전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도 11(A)는 실험 전후 실험참여자들의 큰 크기 시각 자극에 대한 SST 평균값이다. 도 11(A)를 살펴보면, 실험 전 SST = 0.0410이고 실험 후는 SST = 0.0386이다. 도 11(B)는 실험 전후 실험참여자들의 작은 크기 시각 자극에 대한 SST 평균값이다. 도 11(B)를 살펴보면, 실험 전 SST = 0.0369이고 실험 후는 SST = 0.0.0321이다.11 is another experimental result for the effect of visual training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11 shows the mean value of SST for the test participants. In FIG. 11, pre is a test result before the experiment, and post is a test result after the experiment. Referring to FIG. 11, neither large-stimulation nor small-stimulation showed significant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FIG. 11 (A) is an average value of SST for large size visual stimuli of experimental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ferring to FIG. 11 (A), SST = 0.0410 before the experiment and SST = 0.0386 after the experiment. FIG. 11 (B) is an average value of SST for small size visual stimuli of experimental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ferring to FIG. 11 (B), SST = 0.0369 before the experiment and SST = 0.0.0321 after the experimen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sual training method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including an executable algorith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The program may be stored and provid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means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time, such as registers, caches, and memory. Specifically,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and provid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본 실시례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전술한 기술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기술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례는 모두 전술한 기술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present specification merely represent a part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and ar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pecification and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examples and specific examples that can be inferred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100 : 시각 훈련 장치
110 : 제1 디스플레이 장치(제1 화면)
120 : 제2 디스플레이 장치(제2 화면)
141 : 입력 장치
142 : 소리 출력 장치
150 : 제어 장치
200 : 시각 훈련 장치
210 : 저장 장치
220 : 메모리
230 : 연산 장치
240 : 인터페이스 장치
250 : 디스플레이 장치
260 : 통신 장치
300 : 제어 장치
310 : 저장 장치
320 : 메모리
330 : 연산 장치
340 : 인터페이스 장치
350 : 통신 장치
100: visual training device
110: first display device (first screen)
120: second display device (second screen)
141: input device
142: sound output device
150: control device
200: visual training device
210: storage device
220: memory
230: computing device
240: interface device
250: display device
260: communication device
300: control device
310: storage device
320: memory
330: computing device
340: interface device
350: communication device

Claims (15)

제1 시간 구간에서 제1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화면에 영상 객체 출력이 중단되면 제2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제2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화면에 영상 객체 출력이 중단되면 상기 제2 화면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은 사각파(square wave) 및 사인파(sine wave)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영상 객체를 매번 랜덤하게 출력하고, 상기 제1 화면은 사용자 기준으로 제1 거리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화면은 사용자 기준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거리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의 상기 제1 화면에서 영상 객체가 출력되는 거리가 변경되고,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의 상기 제2 화면에서 영상 객체의 공간 주파수가 변경되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
Outputting an image object to a first screen in a first time period, and outputting an image object to a second screen when output of the image object to the first screen is stopped; And
And outputting an image object to the first screen in a second time period, and outputting an image object to the second screen when output of the image object to the first screen is stopped.
The first screen or the second screen randomly outputs an image object of any one of a square wave and a sine wave, and the first screen is an image object at a first distance based on a user Outputs, and the second screen outputs an image object at a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based on a user's reference,
According to a user's response to the image object output on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a distance in which the image object is output on the first screen in the first time period and the second time period is changed, and the A visual training method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in which a spatial frequency of an image object is changed on the second screen in the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 각각에서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에 영상 객체를 일정한 횟수로 번갈아가면서 출력하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visual training method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that alternately outputs an image object to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each of the first time period and the second time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 객체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 객체보다 사용자 기준으로 먼 거리에서 출력되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visual training method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in which a video object output on the first screen in the second time period is output at a greater distance than a user object than a video object output on the first screen in the first time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2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 객체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2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 객체와 공간 주파수가 상이한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visual training method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in which a spatial object has a different spatial frequency from an image object output on the second screen in the second time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객체는 매번 랜덤한 방향(orientation)으로 출력되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visual object is a visual training method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that is output in a random orientation each time.
삭제delete 제1 시간 구간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이후 제2 시간 구간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이 종료된 후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이 종료된 후 영상 객체를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각파(square wave) 및 사인파(sine wave)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을 갖는 영상 객체가 랜덤하게 출력되게 하고, 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객체 출력 순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사용자 기준으로 먼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영상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객체가 출력되는 거리가 변경되고,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객체의 공간 주파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장치.
A first display device that outputs the image object in the first time period and then outputs the image object in the second time period;
A second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n image object after the output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s finished in the first time period, and outputs an image object after the output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s finished in the second time period;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cause a video object having any one type of a square wave or a sine wave to be randomly output, and the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It include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utput sequence of the image object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n a time period,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located farther away from the user than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control device outputs an image object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in the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according to a user's response to the image object outpu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A visual training apparatu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that controls a distance to be changed and a spatial frequency of an image object is changed in the second display device in the first time period and the second time peri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 각각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 객체를 일정한 횟수로 번갈아가면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device is a visual training device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that controls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to alternately output an image objec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each of the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 서로 다른 공간 주파수를 갖는 영상 객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device is a visual training device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that controls the second display device to output image objects having different spatial frequencies in the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영상 객체가 매번 랜덤한 방향(orientation)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device is a visual training device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that controls the image object to be output in a random orientation each time.
삭제delete 사각파(square wave) 영상 객체 및 사인파(sine wave) 영상 객체 중 랜덤하게 선택한 어느 하나의 영상 객체를 출력 방향(orientation)이 랜덤하게 제어하고, 제1 공간은 사용자 시선 방향에서 사용자 기준으로 제2 공간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게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상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공간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제2 시간 구간에 상기 제2 공간에서 영상 객체를 출력하고, 제3 시간 구간에 상기 제1 공간에 영상 객체는 출력하고, 제4 시간 구간에 상기 제2 공간에 영상 객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연산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에 출력되는 영상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상기 제3 시간 구간에서의 상기 제1 공간의 거리가 변경되고, 상기 제2 시간 구간과 상기 제4 시간 구간에서의 상기 제2 공간에서 출력되는 영상 객체의 공간 주파수가 변경되는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장치.
The output object (orientation) randomly controls any one of the square wave image object and the sine wave image object, and the first space is the second based on the user in the user gaze direction.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program that is controlled to be located at a distance closer to the space; And
Using the program, the display device outputs an image object in the first space in a first time period, outputs an image object in the second space in a second time period, and outputs the image object in the first space in a third time period. The image object is output, and includes a computing device for controlling to output the image object in the second space in a fourth time period,
The distance of the first space in the first time period and the third time period is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response to the image object output to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the second time period and A visual training apparatu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in which a spatial frequency of an image object output in the second space in the fourth time period is chan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컴퓨터에서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지각적 학습에 기반한 시각 훈련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visual training method based on the perceptual learn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n a computer.
KR1020180143548A 2018-09-05 2018-11-20 Eye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KR1020932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10 2018-09-05
KR20180105910 2018-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869A KR20200027869A (en) 2020-03-13
KR102093256B1 true KR102093256B1 (en) 2020-03-25

Family

ID=6993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548A KR102093256B1 (en) 2018-09-05 2018-11-20 Eye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25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454B1 (en) * 2021-04-02 2023-07-20 울산과학기술원 An apparatus for eye training device to improve vision
CN113679579B (en) * 2021-08-24 2024-01-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vision training method
CN115969677B (en) * 2022-12-26 2023-12-08 广州视景医疗软件有限公司 Eyeball movement train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96421A1 (en) 2016-04-15 2017-10-19 Dean TRAVERS Head-moun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enhancement of visual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137A (en) * 1995-03-14 1996-09-24 Sony Corp Visual acuity recovery training device
KR100896212B1 (en) * 2007-10-19 2009-05-07 이창선 Fusion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method of it
US9492344B2 (en) * 2009-08-03 2016-11-15 Nike, Inc. Unified vision testing and/or train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96421A1 (en) 2016-04-15 2017-10-19 Dean TRAVERS Head-moun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enhancement of visual func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5741호(2012.8.1. 공개)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243137호(1996.9.24.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869A (en)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256B1 (en) Eye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erceptual learning
JP6977134B2 (en) Field of view (FOV) aperture of virtual reality (VR) content on head-mounted display
US2023012157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rmining Interaction Intent in Three-dimensional (3D) Sensory Space
Sadihov et al. Prototype of a VR upper-limb rehabilitation system enhanced with motion-based tactile feedback
CN110837294B (en) Facial express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eyeball tracking
US11656693B2 (en) Multimodal kinematic template matching and regression modeling for ray pointing prediction in virtual reality
Chollet et al. Perception of virtual audiences
US201902170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ining memory using brain stimulation
Palmero et al. Openeds2020: Open eyes dataset
KR102073376B1 (en) Method for setting up difficulty of train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119422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environmental and entertaining elements of digital therapeutic content
Block et al. Sensory reweighting in targeted reaching: effects of conscious effort, error history, and target salience
KR20170106289A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feedback
CN112166602B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341929B2 (en) Operation resistance feeling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on resistance feeling control method
KR20170059300A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game control simulation based on natural user interface and natural user experience
CN104352340A (en) Comprehensive visual function training device and comprehensive visual function training method
CN116848495A (en) Apparatus,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selecting virtual objects for augmented reality interactions
KR1011751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ce identification game
Keetels et al. Motor-induced visual motion: hand movements driving visual motion perception
Wu et al. A vibro-tactile system for image contour display
US20230380740A1 (en) Sensor-based training intervention
KR102280944B1 (en) Method for eye state inspection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Martínez et al. Weight and size discrimination with vibrotactile feedback
KR20220169001A (en) Device and method for working memory training based on mobile aug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