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950B1 -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950B1
KR102092950B1 KR1020180166752A KR20180166752A KR102092950B1 KR 102092950 B1 KR102092950 B1 KR 102092950B1 KR 1020180166752 A KR1020180166752 A KR 1020180166752A KR 20180166752 A KR20180166752 A KR 20180166752A KR 102092950 B1 KR102092950 B1 KR 10209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water
poultry
drink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재
Original Assignee
장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재 filed Critical 장형재
Priority to KR102018016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2Drinking appli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리, 닭과 같은 가금류용 축사 바닥의 토양이 습하지 않고 항상 건조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여러 질병이나 전염병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수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공급부; 가금류의 머리 및 목부분의 통과는 허용하되 몸통의 통과는 불가능한 간격의 통과공간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조 내의 식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수음용망(130); 상기 수조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식수음용망(130)에 이르기까지 구성되되, 식수음용망(130)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낙수받이부(140); 상기 수조, 식수음용망(130) 및 낙수받이부(140)가 고정설치되고, 지면상에 거치가능한 하기 위한 기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가금류가 식수를 음용하는 과정에서 토양으로 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건조하고 쾌적한 상태의 토양이 유지될 수 있고, 운반수레를 이용한 자재, 재료 등의 이송시에 작업자에게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축사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의 낭비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Drinking water supply equipment for poultry housing only to prevent falling of water into bottom soil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본 발명은 가금류 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리, 닭과 같은 가금류용 축사 바닥의 토양이 습하지 않고 항상 건조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여러 질병이나 전염병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금류의 질병으로 인하여 가금농가의 피해가 심각해짐은 물론 국민건강까지도 해칠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금류용 축사는 자연상태의 토양 위에 벽과 지붕을 설치하고 축사 내의 토양 위에는 왕겨만 깔아 두는 정도의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대부분인데, 이와 같은 단순한 구조의 종래 가금류용 축사는 왕겨 등을 포함하는 토양으로 물이 스며들어 토양이 습하고 축축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질병의 발생확률을 더더욱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오리 축사의 경우를 예로 들어 물이 발생되고 습해지는 원인을 살펴보기로 한다.
보통 가금농가인들은 오리가 소변을 보지 않아서 축사내의 토양이 건조한 상태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오리들에게 먹는 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축사내에 설치한 가금류 식수제공장치로부터 물이 떨어져 토양은 항상 습하고 축축한 상태가 된다. 이는 실제로 축사를 청소하는 경우에 바닥의 토양을 경운(耕耘, tillage)하여 보면 토양에 물기가 가득하여 습하고 축축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금류 식수제공장치는 물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니플급수기를 통해 가금류가 물을 먹을때만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통상적인 장치인데,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수조로부터 물의 공급이 가능한 별도의 물공급장치와 연결되거나 또는 수도시설과 곧바로 연결되는 물파이프, 및 상기 물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일정 조건에서만 외부로 배출(토출)시킬 수 있는 니플급수기로 구성되는데, 상기 니플급수기는 급수통로의 하부토출구를 막고 있는 콕크를 가금류의 주둥이로 밀어서 작동시키면 급수통로가 개방되어 하부토출구로 물이 토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가금류가 물을 먹을때만 물이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장치이다.
이러한 니플급수기는 축사내에 사육되는 수많은 가금류가 물을 먹을때마다 수 십 방울씩 지속적으로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축사내의 토양을 습하고 축축하게 만들고 있다. 특히, 부리를 갖고 있는 오리(가금류)의 경우 물을 먹을 때 길다란 상,하부리의 사이로 물이 흘러내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토양으로 흘러내리는 물의 양이 더더욱 많을 수밖에 없다.
또한, 물을 좋아하는 습성을 가진 오리들은 굳이 물을 먹기 위한 목적이 아니더라도 수시로 니플급수기의 콕크를 작동시키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바닥의 토양으로 떨어지는 물은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이 떨어지게 된다.
종래의 다른 가금류 식수제공장치로써 상부가 개방된 단순한 물통을 바닥에 구비해놓는 경우도 있는데, 오리(가금류)의 물먹는 특성상 물통 바깥으로 상당한 물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리와 같은 가금류는 긴 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닥에 있는 물에 부리를 담근상태에서 곧바로 목넘김을 할 수가 없어서 물을 머금은 후 머리를 하늘(위쪽)로 치켜들고 목으로 넘기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물을 마시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때 물을 목으로 넘기기 위하여 머리를 치켜드는 과정에서 길다란 상,하 부리의 사이로 물이 흘러넘쳐내리기 때문에 물통 바깥의 토양에 물이 떨어져 토양은 항상 습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축산농가에서는 토양을 보다 건조하게 하기 위하여, 자연적인 토양 위에 모래나 마사토 등을 복토를 한 다음 왕겨를 깔기도 하는데, 사육의 초기에만 일시적으로 건조할 뿐 조금만 시간이 지나게 되면 토양은 똑같이 축축하고 건조한 상태가 되어버리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가금농가에서는 토양을 건조시키고자 연작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휴경을 하고는 있으나, 이역시도 일시적일 뿐 결국에는 토양이 축축하고 습한상태가 되어 질병이나 전염병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오리의 습성을 관찰하여 보아도, 비록 오리가 물을 좋아하여 물에서 일정시간동안 생활을 하기는 하나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잘 때는 건조하고 뽀송뽀송한 장소를 찾아가는 습성이 있다. 즉 털을 말리기 위하여 쾌적한 환경의 장소를 선호하는 습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니플급수기와 같은 식수제공장치를 구비하는 종래의 가금류 축사에서는 토양이 항상 습하고 축축한 상태가 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어서, 가금류 사육시에 질병이나 전염병으로부터의 안전성이 심각하게 저하된 상태이고 가금류의 성장/발육도 둔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토양으로 떨어지는 물로 인한 과다한 물소비가 발생될 수밖에 없음은 물론, 바닥에 까는 보조재료인 왕겨가 쉽게 축축해져서 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축사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의 낭비도 상당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식수제공장치로써 종래의 니플급수기를 이용하는 경우, 상방의 지붕쪽에 축사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된 식수공급관과 연결되어 가금류의 키높이만큼 하부로 내려오도록 니플급수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니플급수기가 사람의 무릎이나 허벅지 정도인 가금류의 키높이로 축사를 가로지르면서 작업자의 이동을 방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자가 왕겨를 수거하고 다시 복토하는 왕겨교체작업이나 알 난(卵)수거 또는 여타한 작업을 행할시에 운반수레를 이용하여 자재들을 이동시키는 것이 통상적인데, 축사를 가로지르는 니플급수기로 인해 운반수레를 자유롭게 원하는 공간으로 이동시키기가 상당히 불편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금류 축사에 사용되는 종래의 식수제공장치에서 제반되는 문제점을 일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특히 가금류 축사 내에 설치된 종래의 식수제공장치를 통해 가금류가 식수를 음용하는 과정에서 토양으로 어쩔 수 없이 토양으로 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건조하고 쾌적한 상태의 토양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작업자의 이동도 용이하도록 한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수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조(110); 상기 수조에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공급부; 가금류의 머리 및 목부분의 통과는 허용하되 몸통의 통과는 불가능한 간격의 통과공간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조 내로 가금류가 들어가지는 못하는 상태에서 머리와 목만 투입하여 수조 내의 식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수음용망(130); 상기 수조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식수음용망(130)에 이르기까지 구성되되, 식수음용망(130)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낙수받이부(140); 상기 수조, 식수음용망(130) 및 낙수받이부(140)가 고정설치되고, 지면상에 거치가능한 하기 위한 기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가금류 축사 내에 설치된 종래의 식수제공장치(특히 니플급수기)에서 가금류가 식수를 음용하는 과정에서 토양으로 어쩔 수 없이 토양으로 물이 낙하되었던 것을 방지하여 항상 건조하고 쾌적한 상태의 토양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운반수레를 이용한 자재, 재료 등의 이송시에도 작업자가 본 발명 식수제공장치의 사이사이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의 용이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축사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의 낭비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식수제공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요부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벽 및 바닥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상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안착부를 나타낸 참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수공급통 내부의 수면높이유지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거치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수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조(110)와; 상기 수조(110)에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공급부와; 가금류의 머리 및 목부분의 통과는 허용하되 몸통의 통과는 불가능한 간격의 통과공간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조(110) 내로 가금류가 들어가지는 못하는 상태에서 머리와 목만 투입하여 수조(110) 내의 식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수음용망(130)과; 상기 수조(11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식수음용망(130)에 이르기까지 구성되되, 식수음용망(130)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낙수받이부(140)와; 상기 수조(110), 식수음용망(130) 및 낙수받이부(140)가 고정설치되고, 지면상에 거치가능한 하기 위한 기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가금류가 상기 식수음용망(130)의 사이로 머리와 목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수조(110)에 담겨있는 물을 마실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가금류가 물을 마실때, 가금류가 수조(110)내의 식수를 부리 내에 머금은 상태에서 머리를 치켜들고 목으로 넘기는 과정(이하 '목넘김 과정'이라 칭함)에서 가금류의 특성상 어쩔 수 없이 상,하 부리의 사이로 흘러내려 낙하되는 물은 낙수받이부(140)에 떨어지게 되고 경사에 의해 다시 수조(110) 쪽으로 집수되므로 토양으로 물이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조(110)는 식수공급부로부터 식수를 공급받기 위한 식수공급관(124)이 연결되는 식수공급공(111)이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의 식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112)이 하부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공(112)에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배수관이 결합될 수 있다.(도2 참조)
상기 수조(110)와 낙수받이부(140)는 그 사이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일체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나, 서로 밀페결합시키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어린 가금류의 경우 목이 짧기 때문에 부리가 상기 낙수받이부(140)를 거쳐 수조(110)에까지 다다를 수가 없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수조(110)내의 식수가 낙수받이부(140)의 끝단에 다다를 정도까지 차오르도록 식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물이 넘쳐흐를 수 있으므로 상기 낙수받이부(140)의 외측 끝단은 상부로 일정높이를 갖도록 구성한다.(도4 참조)
상기 식수음용망(130)은 일정 간격의 통과홈(131)이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가금류가 식수를 음용할 때에 머리와 목만 통과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구성되며, 이때 가금류의 몸통은 통과될 수 없는 정도의 간격으로 구성되므로 식수음용망(130)의 안쪽으로 머리와 목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부리에 물을 머금은 후 목넘김 동작을 반복하는 식수음용과정이 식수음용망(130) 안쪽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수공급부는, 항상 일정한 수면높이를 유지시키는 수면높이유지수단(121)을 포함하여 상기 기대(150)에 설치되는 식수공급통(122); 및 상기 수면높이유지수단(121)의 개폐에 따라 상기 식수공급통(122)에 일정 수면높이만큼만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저장탱크(123);로 구성되되,
상기 식수공급통(122) 및 수조(110)와 연결되어 식수의 이동이 가능한 식수공급관(124)을 구비하여, 상기 수조(110)의 수면높이가 상기 식수공급통(122)의 수면높이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식수공급통(122)은 상기 기대(150)의 일측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180)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식수공급통(122)의 높이에 따라 식수공급통(122) 내부 수면높이가 지면을 기준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조(110)의 수면높이도 함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80)은, 상기 식수공급통(122)에 고정결합되는 프레임(181)과;
상기 프레임(181)의 상부 일정높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기대(150)의 일측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판(182)과; 일측은 상기 식수공급통(122)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높이조절판(182)에 축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183)와;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볼트(183)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판(182) 상부면에 안착걸림되는 높이조절너트(184);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너트(184)의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볼트(183)가 승하강되고 동시에 상기 높이조절볼트(183)에 고정결합된 상기 식수공급통(122)의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수면높이유지수단(121)은, 수면에 뜨게 한 부력통이 일정 수면높이에 상승하면 폐쇄되고 일정 수면높이보다 저하되면 개방되는 플로트밸브(Float valve)를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수면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도6 참조)
한편, 성장이 완료된 가금류의 키와 목 길이에 식수제공장치를 맞춰놓게되면, 어린 가금류의 경우에는 키가 짧고 목이 짧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있는 낙수받이를 거쳐 수조(110)내에 있는 식수에까지 부리가 닿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키를 보상할 수 있도록 식수제공장치의 좌,우 외측에 발판(16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발판(160)의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어린 가금류에서부터 성장완료된 가금류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키 높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기대(150)의 좌,우 외측에는 가금류가 딛고 올라서서 식수를 음용하기 용이한 발판(160)을 구비하되, 상기 발판(160)은 상기 기대(150)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발판거치대(170)에 일측이 안착되도록 구성하여, 목의 길이 및 부리의 높이가 서로 다른 어린 가금류에서 다 자란 가금류 모두가 식수를 음용가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
이때, 높낮이 조절가능한 상기 발판거치대(170) 구성의 일 예로써,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기대(150)에는 다수의 높낮이조절공(151)을 구비하고 상기 발판거치대(170)에는 결합공(171)을 구비한 다음 상기 결합공(171)과 높낮이조절공(151) 간에 고정볼트(B)를 결합시켜, 높낮이를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판(160)의 구성은 혹시라도 부리에 잔존하는 극소량의 물이 바닥으로 떨어져 가금류의 발바닥에 흡착되어 다른 공간으로 물기가 전파될 가능성도 미비하나마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작은 물기마저도 방지하게 되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에 더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 발판(160)에는 가금류의 발은 빠지지않도록 하면서 물은 아래로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는 배수통공(161)을 다수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도4 참조)
이때, 다수의 배수통공(161)이 구비된 상기 발판(160)의 하부로 배수되는 물은 부리에 한두방울 이내로 잔존할 수도 있는 극소량이기 때문에 자연 증발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나, 발판(160) 하부를 단절된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하게 되면 완벽하게 건조한 상태의 쾌적한 축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의 일 예로써, 상부가 개방된 일정높이의 외곽틀(191); 상기 외곽틀(191)의 내면 전체에 구비되는 배수방지막(192); 상기 외곽틀(191) 및 배수방지막(192)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수구(193);로 구성되는 발판안착부(19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발판안착부(190)의 배수방지막(192) 상부에 왕겨가 빠져나가지 않는 정도의 촘촘한 그물망(194)을 구비하고 상기 그물망(194) 상부에 일정높이로 왕겨 등을 깔아놓은 다음 그 위에 상기 발판(160)을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외곽틀(191) 내에서 물이 배수구(193)를 통해 배수될 뿐 타공간과는 단절가능하게 된다. 이는 발판(160) 하부의 공간을 축사 내의 타공간과는 완전히 단절된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4 및 도5 참조)
또 한편,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측벽 및 바닥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가금류 축사는 그 내부와 외부의 토양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단절시킴으로써 축사 외부 토양으로부터의 물의 유입을 단절시키게 되면 외부 토양으로부터 스며드는 습기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축사 외부 토양으로부터의 물의 흐름을 단절시키는 다수의 측벽(10)과; 상기 측벽(10)들의 하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바닥체(20);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벽(10) 및 바닥체(20)는 내구성이나 설치의 편리성 등을 감안하였을 때, 콘크리트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체(20)는, 상부에 일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동시에 물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일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배수로(22)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배수로(22)는 상기 식수제공장치(100)를 따라 그 하방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로(22)의 상부에는 배수덮개(3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배수덮개에는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10)은 외부에서부터 가금류들이 사육되는 축사 내부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양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한다. 동시에, 상기 바닥체(20)는 하방의 토양으로부터의 물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축사 측방 및 하방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닥체(20)의 상부에는 가금류들이 선호하는 왕겨를 일정 두께로 깔아서 구성되는데, 왕겨는 토양에 비해 입자가 크면서 적의의 쿠션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물을 흡수하지 않고 아래로 배출시키기가 용이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가금류 축사에서 가장 선호하는 최종 바닥재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식수제공장치 내의 식수를 교체하는 등 배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수조(110)의 하부일측에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된 배수공(112) 또는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하방의 경사진 배수로(22)를 따라 일방향으로 흘러나가서 축사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가금류 축사 내에 설치된 종래의 식수제공장치(특히 니플급수기)에서 가금류가 식수를 음용하는 과정에서 토양으로 어쩔 수 없이 토양으로 물이 낙하되었던 것을 방지하여 항상 건조하고 쾌적한 상태의 토양이 유지될 수 있고, 아울러 운반수레를 이용한 자재, 재료 등의 이송시에도 작업자가 본 발명 식수제공장치의 사이사이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의 용이성이 뛰어나며, 또한 축사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의 낭비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 측벽 20 : 바닥체
22 : 배수홈 100 : 식수제공장치
110 : 수조 121 : 수면높이유지수단
122 : 식수공급통 123 : 식수저장탱크
124 : 식수공급관 130 : 식수음용망
140 : 낙수받이부 150 : 기대
160 : 발판 161 : 배수통공
170 : 발판거치대 180 : 높이조절수단
181 : 프레임 182 : 높이조절판
183 : 높이조절볼트 184 : 높이조절너트
190 : 발판안착부

Claims (8)

  1. 가금류를 성장/발육시키기 위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수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조(110);
    상기 수조(110)에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공급부;
    가금류의 머리 및 목부분의 통과는 허용하되 몸통의 통과는 불가능한 간격의 통과공간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조(110) 내로 가금류가 들어가지는 못하는 상태에서 머리와 목만 투입하여 수조(110) 내의 식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수음용망(130);
    상기 수조(11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식수음용망(130)에 이르기까지 구성되되, 식수음용망(130)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낙수받이부(140);
    상기 수조(110), 식수음용망(130) 및 낙수받이부(140)가 고정설치되고, 지면상에 거치가능한 하기 위한 기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식수공급부는, 항상 일정한 수면높이를 유지시키는 수면높이유지수단(121)을 포함하여 상기 기대(150)에 설치되는 식수공급통(122); 및 상기 수면높이유지수단(121)의 개폐에 따라 상기 식수공급통(122)에 일정 수면높이만큼만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저장탱크(123);로 구성되되,
    상기 식수공급통(122) 및 수조(110)와 연결되어 식수의 이동이 가능한 식수공급관(124)을 구비하여, 상기 수조(110)의 수면높이가 상기 식수공급통(122)의 수면높이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수공급통(122)은 상기 기대(150)의 일측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180)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식수공급통(122)의 높이에 따라 식수공급통(122) 내부 수면높이가 지면을 기준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조(110)의 수면높이도 함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150)의 좌,우 외측에는 가금류가 딛고 올라서서 식수를 음용하기 용이한 발판(160)을 구비하되, 상기 발판(160)은 상기 기대(150)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발판거치대(170)에 일측이 안착되도록 구성하여, 목의 길이 및 부리의 높이가 서로 다른 어린 가금류에서 다 자란 가금류 모두가 식수를 음용가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60)에는 가금류의 발은 빠지지않도록 하면서 물은 아래로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는 배수통공(161)을 다수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80)은,
    상기 식수공급통(122)에 고정결합되는 프레임(181)과;
    상기 프레임(181)의 상부 일정높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기대(150)의 일측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판(182)과;
    일측은 상기 식수공급통(122)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높이조절판(182)에 축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183)와;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볼트(183)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판(182) 상부면에 안착걸림되는 높이조절너트(184);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너트(184)의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볼트(183)가 승하강되고 동시에 상기 높이조절볼트(183)에 고정결합된 상기 식수공급통(122)의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높이유지수단(121)은, 수면에 뜨게 한 부력통이 일정 수면높이에 상승하면 폐쇄되고 일정 수면높이보다 저하되면 개방되는 플로트밸브를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수면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는 외부 토양으로부터의 물의 흐름을 단절시키는 다수의 측벽(10)과; 상기 측벽(10)들의 하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바닥체(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KR1020180166752A 2018-12-20 2018-12-20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KR10209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752A KR102092950B1 (ko) 2018-12-20 2018-12-20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752A KR102092950B1 (ko) 2018-12-20 2018-12-20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950B1 true KR102092950B1 (ko) 2020-03-24

Family

ID=7000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752A KR102092950B1 (ko) 2018-12-20 2018-12-20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9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180U (ja) * 2010-01-06 2010-03-18 ルイス アルベルト コルテス 自動給水装置
KR20120034488A (ko) * 2010-10-01 2012-04-12 한국그린에너지 주식회사 축사의 냉난방시스템
US20160007563A1 (en) * 2014-07-14 2016-01-14 Dean Allen Swager Combination system for feeding and watering livestock
KR101814327B1 (ko) * 2017-02-08 2018-01-03 김호용 축사용 물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180U (ja) * 2010-01-06 2010-03-18 ルイス アルベルト コルテス 自動給水装置
KR20120034488A (ko) * 2010-10-01 2012-04-12 한국그린에너지 주식회사 축사의 냉난방시스템
US20160007563A1 (en) * 2014-07-14 2016-01-14 Dean Allen Swager Combination system for feeding and watering livestock
KR101814327B1 (ko) * 2017-02-08 2018-01-03 김호용 축사용 물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3645B2 (ja) ボウフラ駆除容器
US7654225B2 (en) Recycling bird seed feeder
ES2900800T3 (es) Establo, en particular para la cría de cerdos
US5873327A (en)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amphibians in captivity
US4175515A (en) Sanitary unit for confined environmental controlled feeding of hogs
US20170127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ultry house floor
KR102231299B1 (ko) 축사용 급수장치
KR20090077363A (ko) 가금류 사육장
NO343211B1 (en) Fish farm equipment and systems
US20210307300A1 (en) Bird-Friendly Water Fountain Apparatus
KR102092950B1 (ko)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으로의 물기낙하방지가 용이한 가금류축사 전용 식수제공장치
JP2007532143A (ja) 動物を飼育する飼料となる植物用生育プラットフォーム
KR20060082344A (ko) 사료공급용 파리애벌레 사육통
US20090205575A1 (en) Pet Watering Device
RU2369092C1 (ru) Способ содержания ку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23612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животных
EP3326454B1 (en) Pasture barn
KR100780737B1 (ko) 사향쥐 사육장
US4998506A (en) Piggy deck
KR101304533B1 (ko) 애견 휴식장치
KR101942895B1 (ko) 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바닥토양 건조가 용이한 가금류 전용 축사구조
KR200369071Y1 (ko) 축사용 급수장치
Singh et al. Basic considerations for engineered livestock housing
RU177368U1 (ru) Клетка-автомат для птицы
KR102138200B1 (ko) 사육용 가금류의 모이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