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893B1 - 해산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 및 점액 포자충에 의한 질환의 치료제 - Google Patents

해산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 및 점액 포자충에 의한 질환의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893B1
KR102092893B1 KR1020197009839A KR20197009839A KR102092893B1 KR 102092893 B1 KR102092893 B1 KR 102092893B1 KR 1020197009839 A KR1020197009839 A KR 1020197009839A KR 20197009839 A KR20197009839 A KR 20197009839A KR 102092893 B1 KR102092893 B1 KR 10209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eriola
belonging
tuna
fami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512A (ko
Inventor
노리타카 히라자와
코우스케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7604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9289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7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meprobamate, carbachol, ne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0Anthelmin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해산 어류(특히, 양식어)에 있어서의 미포자충 또는 점액 포자충의 경구 투여 약제에 의한 구제 방법을 제공한다. 알벤다졸, 페반텔, 플루벤다졸, 펜벤다졸, 옥스펜다졸, 메벤다졸 중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해산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에 의한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의 구제제이다.

Description

해산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 및 점액 포자충에 의한 질환의 치료제
본 발명은 해산 어류의 기생충의 구제제 및 기생충 구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해산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에 의하여 발증하는 베코병 (Beko disease) 또는 점액 포자충증을 경구 투여에 의하여 구제하는 약제 및 구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어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은 미크로스포리듐 세리오레(Microsporidium seriolae)이다. 미포자충에 있어서는, 신종인 것이 분명하고 속 레벨 이상의 분류학적 위치의 특정이 곤란한 경우, 미크로스포리듐(Microsporidium)이라고 하는 집합적인 속에 둘 수 있는데, 방어류의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의 경우에도 이에 해당한다. 본충이 방어에 기생하는 것은 1982년에 보고되었고, 그 후, 부시리, 잿방어에도 기생하는 것이 인정되었다. 이 증세의 특징은 이 병에 걸린 물고기의 몸쪽 근육에 백색 부정형의 수 mm에서 1 cm 정도의 기생체의 작은 시스트 집괴가 형성되는 것이다. 시스트 내에서 포자 형성이 완료되고, 시스트가 붕괴되면 주변의 근육은 융해되기 때문에, 그 부위의 체표가 함몰한 것처럼 보인다. 이 때문에, 외관적으로 체표에 요철이 생기는 것이 베코병이라 불리는 이유이다. 기생 부위가 몸통의 광범위에 걸쳐 있고, 때로는 물고기가 눈에 띄게 야위면서 사망한다. 환부가 국한되어 있고, 또한 이차적인 세균 등의 감염이 없으면, 시스트가 융해하여, 미포자충이 체외로 탈출한 후의 상처는 자연 치유된다. 그러나, 모든 시스트가 융해하여 본충이 체외로 탈출하는 것은 아니며, 출하까지의 긴 기간을 거쳐도 몸통에 시스트가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어서,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는 원인의 하나가 되고 있다. 본증에 대한 치료약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며, 그 피해는 계속되고 있다.
방어 이외의 어종에 있어서도, 참돔, 참다랑어 등에서 미포자충에 의한 베코병이 알려져 있다.
방어의 뇌점액 포자충증의 원인 기생충은 쿠도아 야스나가이(Kudoa yasunagai)이다. 본충은 1980년에 나가사키현의 양식 농어와 양식 돌돔에서 이상 유영을 수반하는 병든 어류의 뇌에서 발견되었다. 포자가 통상 7개의 포자껍질과 극낭을 가지고 있어서, 신종 Septemcapsula yasunagai로서 기재되었다. 그러나, 그 후의 분자 계통학적 해석에 의하여 Septemcapsulidae과 및 Septemcapsula속은 삭제되고, 이 종은 Kudoa속으로 속명이 바뀌었다. 이 병에 걸린 물고기는 몸을 굴곡시켜 선회하는 특징이 있는 유영을 한다. 방어의 경우, 체구가 만곡하는 경우도 있다. 뇌 주위에 작은 구상의 백색 시스트를 볼 수 있다. 본 질병을 방제하는데 유효한 대책은 없다.
방어 이외의 어종에 있어서도, 다랑어, 넙치 등에 있어서, 쿠도아속의 점액 포자충에 의한 쿠도아증이라고도 불리는 점액 포자충증이 알려져 있고, 복어에서는, 엔테로믹섬속 또는 렙토세카속의 점액 포자충에 의한 장관 점액 포자충증(복어 배마름병이라고도 불린다)이 알려져 있다.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는 항기생충약으로서 알려져 있고, 일본에서는, 메벤다졸이 요충증 치료약으로서, 알벤다졸이 포충증 치료약으로서, 플루벤다졸이 원충목, 회충목 선충용의 동물용 의약품으로서, 페반텔, 펜벤다졸이 선충이나 촌충에 대한 동물용 의약품으로서 인가되어 있다. 수산용에서는, 페반텔이 복어용으로 인가되어 있다.
무지개송어에 기생하는 미포자충인 Loma salmonae에 대한 알벤다졸의 효과를 시험한 보고가 있다(비특허 문헌 1). 무지개송어에 기생하는 단생류의 기생충 Gyrodactylus sp.에 대한 플루벤다졸, 메벤다졸, 옥시벤다졸, 파벤다졸, 트리클라벤다졸의 효과를 시험한 보고가 있다 (비특허 문헌 2). 가자미나 씨 배스에 기생하는 섬모충인 Philasterides dicentrarchi에 대한 플루벤다졸, 메벤다졸, 옥시벤다졸, 파벤다졸, 트리클라벤다졸의 효과를 시험관내(in vitro)로 시험한 보고가 있다 (비특허 문헌 3). 큰 가시고기에 기생하는 미포자충인 Glugea anomala에 대한 알벤다졸, 메벤다졸, 페벤다졸의 효과를 시험한 보고가 있다(비특허 문헌 4). 자지복에 기생하는 단생충인 헤테로보트륨 오카모토이에 대하여 벤조이미다졸계 약제가 유효하다고 하는 보고가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WO02/005649
본 발명은 해산 어류(특히, 양식어)에 있어서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의 경구 투여 약제, 해당 약제에 의한 구제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발명자들은 방어류의 양식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가 되는 베코병에 유효한 경구 투여 약제를 구하기 위하여, 기존의 동물용 각종 항기생충약이나 천연물 유래 물질 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동물용 항기생충약으로서 판매되고 있는 벤조이미다졸계 약제 가운데, 일부의 약제가 유효한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24)의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 또는 점액 포자충에 의한 질환의 치료제 등을 요지로 한다.
(1) 알벤다졸, 페반텔, 펜벤다졸, 옥스펜다졸, 메벤다졸, 및 플루벤다졸 중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해산 어류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의 치료제.
(2)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은 미크로스포리듐속(Microsporidium), 또는 스프라구에아속(Spraguea)에 속하는 미포자충인 (1)의 베코병의 치료제.
(3) 점액 포자충증의 원인 기생충은 쿠도아속(Kudoa), 엔테로믹섬속(Enteromyxum), 및 렙토세카속(Leptotheca)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점액 포자충인 (1)의 점액 포자충증의 치료제.
(4) 해산 어류는 농어목, 가자미목 또는 복어목의 어류인 (1) 내지 (3)의 치료제.
(5) 농어목의 어류는 방어속, 도미과 또는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이고, 가자미목의 어류가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이며, 복어목에 속하는 어류가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인 (4)의 치료제.
(6) 방어속에 속하는 어류는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잿방어(Seriola dumerili), 부시리(Seriola lalandi), 낫잿방어(Seriola rivoliana, Seriola carpenteri, Seriola fasciata), 남방잿방어(Seriola hippos, Seriola peruana, 및 Seriola zzonata) 중 어느 하나이고, 돔과에 속하는 어류는 남방감성돔(Acanthopagrus sivicolus), 실붉돔(Argyrops bleekeri Oshima), 황돔(Dentex tumifrons), 붉돔(Evynnis tumifrons), 참돔(Pagrus major),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i), 및 청돔(Rhabdosargus sarba, Sparus sarba) 중 어느 하나이며,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는 참다랑어 (Thunnus orientalis), 대서양참다랑어 (Thunnus thynnus), 남방참다랑어(Thunnus maccoyii), 눈다랑어(Thunnus obesus), 날개다랑어(Thunnus alalunga), 황다랑어(Thunnus albacares), 백다랑어(Thunnus tonggol), 및 대서양다랑어(Thunnus atlanticus) 중 어느 하나이고,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가주넙치(Paralichthys californicus), 여름넙치(Paralichthys dentatus), 점넙치(Pseudorhombus pentophthalmus), 별넙치(Pseudorhombus cinnamoneus), 눈가자미(Pseudorhombus dupliciocellatus), 라지투쓰 플라운더(Pseudorhombus arsius), 및 왜넙치(Tarphops oligolepis) 중 어느 하나이며,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가 자지복(Takifugu rubripes) 또는 검복(Takifugu porphyreus)인, (5)의 치료제.
(7) 1 일당, 유효 성분을 5 내지 100 mg/kg 물고기 체중 경구 투여하기 위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치료제.
(8) 알벤다졸, 페반텔, 펜벤다졸, 옥스펜다졸, 및 메벤다졸 중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해산 어류 베코병의 치료제.
(9) 알벤다졸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해산 어류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의 치료제.
(10) 알벤다졸 또는 플루벤다졸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점액 포자충증의 치료제.
(11) 해산 어류의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의 치료 방법으로서, 유효량의 알벤다졸, 페반텔, 펜벤다졸, 옥스펜다졸, 메벤다졸, 및 플루벤다졸 중 어느 하나를 해산 어류에 경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은 미크로스포리듐속(Microsporidium), 또는 스프라구에아속(Spraguea)에 속하는 미포자충인, (11)의 베코병의 치료 방법.
(13) 점액 포자충증의 원인 기생충은 쿠도아속(Kudoa), 엔테로믹섬속(Enteromyxum), 및 렙토세카속(Leptotheca)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점액 포자충인, (11)의 점액 포자충증의 치료 방법.
(14) 해산 어류는 농어목, 가자미목 또는 복어목의 어류인, (11) 내지 (13)의 방법.
(15) 농어목의 어류는 방어속, 도미과 또는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이고, 가자미목의 어류는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이며, 복어목에 속하는 어류가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인, (14)의 방법.
(16) 방어속에 속하는 어류는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잿방어(Seriola dumerili), 부시리(Seriola lalandi), 낫잿방어(Seriola rivoliana, Seriola carpenteri, Seriola fasciata), 남방잿방어(Seriola hippos, Seriola peruana, 및 Seriola zzonata) 중 어느 하나이고, 돔과에 속하는 어류는 남방감성돔(Acanthopagrus sivicolus), 실붉돔(Argyrops bleekeri Oshima), 황돔(Dentex tumifrons), 붉돔(Evynnis tumifrons), 참돔(Pagrus major),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i), 및 청돔(Rhabdosargus sarba, Sparus sarba) 중 어느 하나이며,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는 참다랑어 (Thunnus orientalis), 대서양참다랑어 (Thunnus thynnus), 남방참다랑어(Thunnus maccoyii), 눈다랑어(Thunnus obesus), 날개다랑어(Thunnus alalunga), 황다랑어(Thunnus albacares), 백다랑어(Thunnus tonggol), 및 대서양다랑어(Thunnus atlanticus) 중 어느 하나이고,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가주넙치(Paralichthys californicus), 여름넙치(Paralichthys dentatus), 점넙치(Pseudorhombus pentophthalmus), 별넙치(Pseudorhombus cinnamoneus), 눈가자미(Pseudorhombus dupliciocellatus), 라지투쓰 플라운더(Pseudorhombus arsius), 및 왜넙치(Tarphops oligolepis) 중 어느 하나이며,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는 자지복(Takifugu rubripes) 또는 검복(Takifugu porphyreus)인 (15)의 방법.
(17) 알벤다졸, 페반텔, 펜벤다졸, 옥스펜다졸, 메벤다졸, 및 플루벤다졸 중 어느 하나를 1 일당 5 내지 100 mg/kg 물고기 체중 경구 투여하는, (1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방법.
(18) 해산 어류의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알벤다졸, 페반텔, 펜벤다졸, 옥스펜다졸, 메벤다졸, 및 플루벤다졸 중 어느 하나의 사용.
(19)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은 미크로스포리듐속(Microsporidium), 또는 스프라구에아속(Spraguea)에 속하는 미포자충인 것인 (18)의 사용.
(20) 점액 포자충증의 원인 기생충은 쿠도아속(Kudoa), 엔테로믹섬속(Enteromyxum), 및 렙토세카속(Leptotheca)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점액 포자충인 것인 (18)의 사용.
(21) 해산 어류는 농어목, 가자미목 또는 복어목의 어류인 것인 (18) 내지 (20)의 사용.
(22) 농어목의 어류는 방어속, 도미과 또는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이며, 가자미목의 어류가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이며, 복어목에 속하는 어류가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인 것인 (21)의 사용.
(23) 방어속에 속하는 어류는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잿방어(Seriola dumerili), 부시리(Seriola lalandi), 낫잿방어(Seriola rivoliana, Seriola carpenteri, Seriola fasciata), 남방잿방어(Seriola hippos, Seriola peruana, 및 Seriola zzonata) 중 어느 하나이고, 돔과에 속하는 어류가, 남방감성돔(Acanthopagrus sivicolus), 실붉돔(Argyrops bleekeri Oshima), 황돔(Dentex tumifrons), 붉돔(Evynnis tumifrons), 참돔(Pagrus major),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i), 및 청돔(Rhabdosargus sarba, Sparus sarba) 중 어느 하나이며,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가, 참다랑어 (Thunnus orientalis), 대서양참다랑어 (Thunnus thynnus), 남방참다랑어(Thunnus maccoyii), 눈다랑어(Thunnus obesus), 날개다랑어(Thunnus alalunga), 황다랑어(Thunnus albacares), 백다랑어(Thunnus tonggol), 및 대서양다랑어(Thunnus atlanticus) 중 어느 하나이고,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가,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가주넙치(Paralichthys californicus), 여름넙치(Paralichthys dentatus), 점넙치(Pseudorhombus pentophthalmus), 별넙치(Pseudorhombus cinnamoneus), 눈가자미(Pseudorhombus dupliciocellatus), 라지투쓰 플라운더(Pseudorhombus arsius), 및 왜넙치(Tarphops oligolepis) 중 어느 하나이며,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가 자지복(Takifugu rubripes) 또는 검복(Takifugu porphyreus)인 (22)의 사용.
(24) 상기 의약은 알벤다졸, 페반텔, 펜벤다졸, 옥스펜다졸, 메벤다졸, 및 플루벤다졸 중 어느 하나를 1 일당 5 내지 100 mg/kg 물고기 체중 경구 투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18)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사용.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A1) 내지 (A5)의 방어속(Seriola)의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 또는 점액 포자충의 구제제를 요지로 한다.
(A1)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방어속(Seriola)의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 또는 점액 포자충의 구제제.
(A2) 미포자충 또는 점액 포자충이 미크로스포리듐 세리오레(Microsporidium seriolae), 스프라구에아속(Spraguea)에 속하는 미포자충, 쿠도아 야스나가이(Kudoa yasunagai), 믹소보루스 아칸소고비이(Myxobolus acanthogobii), 쿠도아 시오미츠이(Kudoa shiomitsui), 쿠도아 페리카르디알리스(Kudoa pericardialis), 쿠도아 아마미엔시스(Kudoa amamiensis) 중 어느 하나인 (A1)의 구제제.
(A3) 벤조이미다졸계 약제가 알벤다졸, 페반텔, 플루벤다졸, 트리클라벤다졸, 펜벤다졸, 옥스펜다졸, 치아벤다졸 중 어느 하나인 (A1) 또는 (A2)의 구제제.
(A4) 방어속의 어류가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잿방어(Seriola dumerili), 부시리(Seriola lalandi), 낫잿방어(Seriola rivoliana), Seriola carpenteri, Seriola fasciata, 남방잿방어(Seriola hippos), Seriola peruana, Seriola zonata) 중 어느 하나인 (A1) 내지 (A3) 중 어느 하나의 구제제.
(A5) 1 일당,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를 0.5 내지 500 mg/kg 물고기 체중 경구 투여하기 위한 (A1) 내지 (A4) 중 어느 하나의 구제제.
또한, 본 발명은 (A6) 내지 (A10)의 기생충 구제 방법을 요지로 한다.
(A6)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어속(Seriola)의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 또는 점액 포자충의 구제 방법.
(A7) 미포자충 또는 점액 포자충이 미크로스포리듐 세리오레(Microsporidium seriolae), 스프라구에아속(Spraguea) 미포자충, 쿠도아 야스나가이(Kudoa yasunagai), 믹소보루스 아칸소고비이(Myxobolus acanthogobii), 쿠도아 시오미트이(Kudoa shiomitsui), 쿠도아 페리카르디알리스(Kudoa pericardialis), 쿠도아 아마미엔시스(Kudoa amamiensis) 중 어느 하나인 (A6)의 방법.
(A8)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는 알벤다졸, 페반텔, 플루벤다졸, 트리클라벤다졸, 펜벤다졸, 옥스펜다졸, 티아벤다졸 중 어느 하나인 (A6) 또는 (A7) 방법.
(A9) 방어속의 어류는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잿방어(Seriola dumerili), 부시리(Seriola lalandi), 낫잿방어(Seriola rivoliana, Seriola carpenteri, Seriola fasciata), 남방잿방어(Seriola hippos, Seriola peruana, Seriola zonata) 중 어느 하나인 (A6) 내지 (A8) 중 어느 하나의 방법.
(A10) 1 일당,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를 0.5 내지 500 mg/kg 물고기 체중 경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6) 내지 (A9)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널리 양식되고 있는 해산 어류, 특히 방어속, 돔과, 다랑어속, 넙치과, 또는 복어과에 속하는 물고기에 기생하여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는 기생충증으로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을 경구 투여로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도 1] 실시예 7에 있어서, 사육 기간 중의 시험 사료 투여를 2 사이클로 한, 시험 스케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의 유효 성분은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로 분류되는 약제 중에서,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에 유효한 것이다.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란, 벤조이미다졸을 기본 골격으로서 가진 약제이며, 기생충 구제제나 살균제로서 알려져 있는 약제이다. 베코병에 유효한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로서는, 알벤다졸(Albendazole;메틸 N-(5-프로필설파닐-1H-벤즈이미다졸-2-일) 카바메이트), 페반텔(Febantel;메틸 (NE) -N-[[2-[(2-메톡시아세틸) 아미노]-4-페닐설파닐아닐리노]-(메톡시카보닐아미노) 메틸리덴]카바메이트), 펜벤다졸(Fenbendazole;메틸 N-(5-페닐설파닐-1H-벤즈이미다졸-2-일) 카바메이트), 옥스펜다졸(Oxfendazole;메틸 N-[5-(벤젠설피닐)-1H-벤즈이미다졸-2-일]카바메이트), 메벤다졸(Mebendazole;메틸 [5-(Benzoyl) 벤즈이미다졸-2-일]카바메이트)등을 들 수 있다. 페반텔은 전구약물인 것이 알려져 있고, 그 활성 성분은 펜벤다졸 및 옥스펜다졸이다. 또한, 점액 포자충증에 유효한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로서는, 알벤다졸, 플루벤다졸(Flubendazole;메틸 N-[5-(4-플루오로벤조일) -1H-벤즈이미다졸-2-일]카바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는 알벤다졸, 페반텔, 펜벤다졸, 옥스펜다졸, 및 메벤다졸 중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고, 해산 어류 베코병을 치료 대상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는 알벤다졸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해산 어류 베코병을 치료 대상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는 알벤다졸 또는 플루벤다졸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점액 포자충증을 치료 대상으로 한다.
베코병에 유효한 벤조이미다졸계 약제, 특히 알벤다졸은 시스트 형성 전의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을 구제하여, 시스트 형성 저해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트 형성에 이른 증세가 발생된 물고기에도 치료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의 항기생충 효과가 인정되는 기생충은 해산어에 속하는 어류에 기생하는 베코병의 원인이 되는 미포자충, 또는 점액 포자충증의 원인이 되는 점액 포자충이다. 베코병의 원인이 되는 미포자충으로서는, 미크로스포리듐속(Microsporidium sp.) 또는 스프라구에아속(Spraguea)에 속하는 미포자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어에 기생하는 미크로스포리듐 세리오레(Microsporidium seriolae), 미포자충성 뇌척수염증의 원인인 스프라구에아속(Spraguea)의 미포자충을 들 수 있다. 또 점액 포자충증의 원인이 되는 점액 포자충으로서는, 쿠도아증의 원인이 되는 쿠도아속(Kudoa)에 속하는 점액 포자충, 및 장관 점액 포자충증의 원인이 되는 엔테로믹섬속(Enteromyxum) 또는 렙토세카속(Leptotheca)에 속하는 점액 포자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뇌점액 포자충증의 원인인 쿠도아 야스나가이(Kudoa yasunagai), 점액 포자충성 측만증의 원인인 믹소보루스 부리(Myxobolus buri), 심장 쿠도아증의 원인인 쿠도아 시오미츠이(Kudoa shiomitsui) 및 쿠도아 페리카르디알리스(Kudoa pericardialis), 아마미 쿠도아증의 원인인 쿠도아 아마미엔시스(Kudoa amamiensis), 다랑어에 기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쿠도아 헥사푼크타타(Kudoa hexapunctata), 넙치에게 기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쿠도아 셉템푼크타타(Kudoa septempunctata), 복어에 기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엔테로믹섬 레이이(Enteromyxum leei), 엔테로믹섬 후구(Enteromyxum fugu), 렙토세카 후구(Leptotheca fugu)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해산 어류는 상기의 기생충이 기생하는 어류이다. 그러한 해산 어류로서는, 농어목에 속하는 어류를 들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농어목 전갱이과 방어속, 농어목 돔과, 또는 농어목 고등어과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이다.
방어속에 속하는 어종으로서는,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잿방어(Seriola dumerili), 부시리(Seriola lalandi), 낫잿방어(Seriola rivoliana, Seriola carpenteri, Seriola fasciata), 남방잿방어(Seriola hippos, Seriola peruana, Seriola zonata)가 예시된다.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는, 특히 많이 양식되고 있는 방어, 잿방어, 부시리, 낫잿방어 등의 양식어에 이용된다.
돔과에 속하는 어종으로서는, 남방감성돔(Acanthopagrus sivicolus), 실붉돔(Argyrops bleekeri Oshima), 황돔(Dentex tumifrons), 붉돔(Evynnis tumifrons), 참돔(Pagrus major),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i), 및 청돔(Rhabdosargus sarba, Sparus sarba)이 예시된다.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종으로서는, 참다랑어 (Thunnus orientalis), 대서양참다랑어 (Thunnus thynnus), 남방참다랑어(Thunnus maccoyii), 눈다랑어(Thunnus obesus), 날개다랑어(Thunnus alalunga), 황다랑어(Thunnus albacares), 백다랑어(Thunnus tonggol), 및 대서양다랑어(Thunnus atlanticus)가 예시된다.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로서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가주넙치(Paralichthys californicus), 여름넙치(Paralichthys dentatus), 점넙치(Pseudorhombus pentophthalmus), 별넙치(Pseudorhombus cinnamoneus), 눈가자미(Pseudorhombus dupliciocellatus), 라지투쓰 플라운더(Pseudorhombus arsius), 왜넙치(Tarphops oligolepis)가 예시된다.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로서는, 자지복(Takifugu rubripes), 검복(Takifugu porphyreus)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는 경구 투여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약제를 용해시킨 액에 물고기를 담그는 약욕에 의한 투여나 주사에 의한 투여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의 투여량은, 예를 들면, 어느 물고기에 있어서도 1 일당 물고기 체중 1 kg에 대하여 5 mg 내지 100 mg이며, 좋기로는 10 내지 50 mg, 10 내지 40 mg의 범위에서 경구 투여한다. 투여 기간은 1 내지 20일간, 좋기로는 3 내지 10일간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는 유효 성분인 상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 필요에 따라서 다른 물질, 예를 들면 담체, 안정제, 용매, 부형제, 희석제 등의 보조적 성분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형태도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 통상 이 화합물들에 사용되고 있는 형태 중 어느 하나이어도 좋다. 화합물의 맛이나 냄새에 민감한 물고기의 경우에는,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하여 사료의 기호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화합물이 누출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어류의 경우, 경구 투여의 약제는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를 사료에 첨가하는 경우, 각각의 어종용으로 필요로 하는 영양 성분이나 물성이 고려된 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어분, 조강(糟糠)류, 전분, 미네랄, 비타민, 어유 등을 혼합하여 펠릿 형태로 한 것, 또는 정어리 등의 냉동 물고기와 어분에 비타민 등을 첨가한 분말 사료 (매쉬)를 혼합하여 펠릿 형태로 한 것 등이 사용되고 있다. 물고기의 종류, 사이즈에 따라서, 1일의 섭이량은 거의 정해져 있으므로, 상기의 용법 용량이 되도록 환산한 양의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를 사료에 첨가한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기생충 구제제는 1일량을 1회에 투여하여도 좋고, 몇 차례 나누어 투여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치료제는 물고기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물고기가 1 일당 섭취하는 사료에 적절한 농도를 첨가하는데 적합한 제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재 중에 유효 성분이 1 내지 50중량%, 좋기로는 5 내지 30 중량%, 더 좋기로는 10 내지 20 중량% 함유하도록 제재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베코병에 대한 알벤다졸의 구충 효과>
육상 사육 시설에서, 모래 여과·자외선 살균 해수를 사용하여 방어 수정란으로부터 치어를 생산하였다. 생산한 치어를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에 가두어 몇 일간 사육한 후, 다시 육상 시설에 반입하였다. 이 해상 가두리 양식에 의하여 방어 치어를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에 자연 감염시켰다. 재차 육상 시설에 반입한 방어 치어를 대조구와 알벤다졸 경구 투여구의 2군으로 나누어, 각각을 200리터 수조에 수용하였다. 모래 여과·자외선 살균 해수를 2.4 리터/분의 조건으로 각 구의 수조에 주수하였다. 순응( 마지막 날에 물고기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순응 후에 10일간 연속으로 시험 사료를 급이하였다. 알벤다졸의 투여 조건은 40mg/kg 물고기 체중/일로 하고, 투여는 1일 1회로 하였다. 알벤다졸 첨가 사료의 조제는 폴리에틸렌 봉투에 소정량의 시판 사료 및 알벤다졸을 넣고, 거기에 2배 희석한 전착제 에스이 30(저당화 환원 물엿, 붓산후드사이언스가부시키가이샤)을 사료 중량의 4%량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조제하였다. 대조구의 사료의 조제는 희석한 에스이 30만을 사료 중량의 4%량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조제하였다. 10일간의 시험 사료 투여 후에는,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량은 물고기 체중의 2%로 하였다. 시험은 4회 실시하고, 각각의 해상 가두리 사육 일자, 활어조 사육시의 수온, 시설 반입 후의 순응 기간, 시험 개시시의 공시어 체중, 약제 경구 투여시의 급이율, 사육 시험의 기간, 시험 중의 수온 및 공시 마리 수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4회의 대조구만 500리터 수조에 수용하고, 모래 여과·자외선 살균 해수를 4.8리터/분의 조건으로 주수하여 사육하였다.
사육 시험 종료시에, 두 개의 구로부터 모든 물고기를 꺼내어 부검에 의하여 몸쪽 근육의 시스트 유무를 관찰하고, 시스트가 관찰된 물고기를 증세가 발현한 발증어로 하였다. 평가는 대조구와 알벤다졸 경구 투여구의 방증율(발증어 마리 수/공시 마리수×100)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항목

제1회

제2회

제3회

제4회

해상 가두리 사육 일수

10일

10일

7일

7일

해상 가두리 사육시 평균 수온

23.0℃

18.0℃

20.5℃

21.0℃

사육 시설 반입 후의 순응 기간

7일

2일

2일

2일

시험 개시시 평균 물고기 체중

16.1g

12.1g

42.4g

13.2g

사료 공급율 (물고기 체중에 대한 %)

1.5%

1.5%

1.5%

2.0%

사육 시험 일수

36일

39일

42일

37일

사육 시험시 평균 수온

20.0℃

19.6℃

21.1℃

22.4℃

공시 마리수(대조구)

30마리

46마리

20마리

112마리

공시 마리수(알펜다졸 투여구)

30마리

30마리

20마리

30마리
결과와 고찰
대조구에서는, 4회의 모든 시험에서 발증어가 관찰되었다. 한편, 알벤다졸 경구 투여구에서는 모든 시험에 있어서 시스트를 형성한 물고기가 관찰되지 않았고, 베코병 발증율은 0%였다(표 2). 따라서, 알벤다졸의 경구 투여는 물고기 체내에 침입한 본충을 구충하여, 본충의 시스트 형성을 저해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1회 제2회 제3회 제4회

대조구

3.3%

2.2%

5.0%

2.7%

알펜다졸 투여구

0%

0%

0%

0%
실시예 2
<베코병에 대한 벤조이미다졸계 약제의 구충 효과-1>
실시예 1에서 알벤다졸이 베코병 원인충의 구충에 유효한 것이 판명되었다. 이에, 벤조이미다졸계 약제의 베코병 원인충에 대한 구충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생산한 치어를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으로 옮겨서 10일간 사육한 후, 다시 육상 시설에 반입하였다. 이 해상 가두리 사육에 의하여 방어 치어를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에 자연 감염시켰다. 재차 육상 시설에 반입한 방어 치어를 각 40 마리로 10 군으로 나누어 (대조구 2군, 알벤다졸 투여구 2군, 페반텔 투여구 2군, 트리클라벤다졸구 2군, 플루벤다졸구 2군) 각각을 200리터 수조에 수용하였다. 수조에의 주수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순응 마지막 날에 물고기 체중을 측정하였더니, 공시어의 체중은 약 10 g이었다. 순응 후에 10일간 연속으로 시험 사료를 급이하였다. 벤조이미다졸계 약제의 투여 조건은 40mg/kg 물고기 체중/일로 하고, 투여는 1일 1회로 하였다. 벤조이미다졸계 약제 첨가 사료 및 대조구 사료의 조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였다. 10일간의 시험 사료 투여 후에는, 시판 사료를 급이하였는데, 급이량은 물고기 체중의 2%로 하였다. 시험은 2회 실시하였다. 사육 기간은 1회째의 시험을 37일간, 2번째의 시험을 40일간으로 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수온은 약 20.5℃이었다.
사육 시험 종료 시에, 전체 구로부터 모든 물고기를 꺼내어 부검에 의해 몸쪽 근육의 시스트 유무를 관찰하고, 시스트가 관찰된 물고기를 발증어로 하였다. 평가는, 대조구와 벤조이미다졸계 약제 투여구의 발증율(발증어 마리 수/공시 마리 수×100), 발증어의 시스트 수 및 시스트 길이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결과와 고찰
알벤다졸 투여구 및 페반텔 투여구는, 2회의 시험 모두 시스트를 형성한 물고기가 관찰되지 않고, 베코병 발증율은 0%이었다 (표 3, 4). 따라서, 알벤다졸이 본충을 구충하여, 본충의 시스트 형성을 저해하는 것이 재현되고, 또한 페반텔도 본충에 대한 구충 작용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트리클라벤다졸 투여구 및 플루벤다졸구는 2회의 시험 모두 발증어가 관찰되었고, 그 발증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발증어의 시스트 수나 시스트 길이의 값도 대조구와 동등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이 두 가지 제제는 본충을 구충하지 못하고, 반대로 발증을 조장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모든 벤조이미다졸계 약제가 본충에 대하여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아닌 것이 판명되었다.
시험구 발증율 발증어 시스트 수 시스트 길이

대조구
2.5%
(2마리/80마리)

6.5±3.5개/마리

9.6±5.6mm

알벤다졸 투여구
0%
(0마리/80마리)

-

-

페반텔 투여구
0%
(0마리/80마리)

-

-

트리클라벤다졸 투여구
3.8%
(3마리/80마리)

7.7±4.9개/마리

9.7±3.1mm

플루벤다졸 투여구
6.3%
(5마리/80마리)

5.6±4.0개/마리

11.1±3.6mm
시험구 발증율 발증어 시스트 수 시스트 길이

대조구
2.5%
(2마리/80마리)

4.5±3.5개/마리

11.8±3.1mm

알벤다졸 투여구
0%
(0마리/80마리)

-

-

페반텔 투여구
0%
(0마리/80마리)

-

-

트리클라벤다졸 투여구
3.8%
(3마리/80마리)

5.3±2.1개/마리

8.3±3.7mm

플루벤다졸 투여구
5.0%
(4마리/80마리)

4.5±1.3개/마리

11.4±3.9mm
실시예 3
<베코병에 대한 벤조이미다졸계 약제의 구충 효과-2>
실시예 2에 이어서 벤조이미다졸계 약제인 메벤다졸의 베코병 원인충에 대한 구충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생산한 치어를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에 가두어 11일간 사육한 후, 다시 육상 시설에 반입하였다. 이 해상 가두리 사육에 의하여 방어 치어를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에 자연 감염시켰다. 재차 육상 시설에 반입한 방어 치어를 각 40 마리로 6군으로 나누어 (대조구 2군, 알벤다졸 투여구 2군, 메벤다졸구 2군), 각각을 200리터 수조에 수용하였다. 수조에의 주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순응 마지막 날에 물고기 체중을 측정하였더니, 공시어의 체중은 약 10 g이었다. 순응 후에 10일간 연속으로 시험 사료를 급이하였다. 벤조이미다졸계 약제의 투여 조건은 40mg/kg 물고기 체중/일로 하고, 투여는 1일 1회로 하였다. 벤조이미다졸계 약제 첨가 사료 및 대조구 사료의 조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0일간의 시험 사료 투여 후에는,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량은 물고기 체중의 2%로 하였다. 사육 기간은, 40일간으로 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수온은 약 20.1℃이었다.
사육 시험 종료 시에, 전체 구로부터 모든 물고기를 꺼내어 부검에 의하여 몸쪽 근육의 시스트 유무를 관찰하고, 시스트가 관찰된 물고기를 발증어로 하였다. 평가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결과와 고찰
알벤다졸 투여구는 시스트를 형성한 물고기가 관찰되지 않고, 베코병 발증율은 0%이었다 (표 5). 따라서, 알벤다졸이 본충을 구충하여, 본충의 시스트 형성을 저해하는 것이 재현되었다. 메벤다졸 투여구의 발증율, 발증어 시스트 수, 시스트 길이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모두 낮고 본충에 대하여 구충 효과를 발휘하였다. 그러나, 그 효과는 알벤다졸과 비교할 때, 낮다고 생각되었다.
벤조이미다졸계 약제라도 약제에 따라서 구충 효과가 다른 것이 판명되었다.
시험구 발증율 발증어 시스트 수 시스트 길이

대조구
17.5%
(14마리/80마리)

8.3±5.1개/마리

13.2±5.3mm

알벤다졸 투여구
0%
(0마리/80마리)

-

-

메벤다졸 투여구
7.5%
(6마리/80마리)

6.2±1.8개/마리

10.8±3mm
실시예 4
<알벤다졸 및 페반텔의 방어의 섭이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로부터, 벤조이미다졸계 약제인 알벤다졸 및 페반텔은 방어류의 베코병의 원인이 되는 미크로스포리듐 세리오레에 대하여, 높은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밝혀졌다. 방어 양식에서 이용하려면, 이 약제들의 투여가 섭이에 악영향을 미치는 부작용이 없거나, 또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의 시험에서는 20℃ 이상의 수온에서 실시하고 있는데, 섭이에의 악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수온 약 18℃에서, 알벤다졸 및 페반텔 투여가 섭이에 악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방어 치어를 각 10 마리씩 6군으로 나누어 (대조구 2군, 알벤다졸 투여구 2군, 페반텔 투여구 2군), 각각을 200리터 수조에 수용하였다. 수조에의 주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순응 마지막 날에 물고기의 체중을 측정하였더니, 공시어의 체중은 약 73 g였다. 순응 후에 10일간 연속으로 약제 첨가 사료를 급이하고, 그 후 20일간, 시판 사료로 사육을 계속하고, 또한 10일간 연속으로 약제 첨가 사료를 급이하고, 그 후 다시 시판 사료로 29일간 사육하였다. 알벤다졸 및 페반텔의 투여 조건은 40mg/kg 물고기 체중/일로 하고, 투여는 1일 1회로 하였다. 약제 첨가 사료의 조제 및 대조구의 사료의 조제는 실시예 1에 따랐다. 공급량은 물고기 체중의 1.5%로 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수온은 약 18.3℃이었다.
사육 시험 종료시에 전체 구로부터 모든 물고기를 꺼내어 물고기의 체중 및 체장을 측정하였다.
결과와 고찰
알벤다졸 투여구에서는, 1회째의 약제 투여시에 약간 섭이 활성이 저하되어, 대조구와 비교하여 섭이에 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그 후의 급이나 약제 투여시에 섭이 활성의 저하는 관찰되지 않고, 시험 종료시의 물고기 체중 및 체장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동등하였다 (표 6). 한편, 페반텔 투여구는 1회째의 약제 투여시에 소정량의 약제 첨가 사료 모두를 먹지 않아 2할 정도의 사료가 남았다. 약제 투여 후의 시판 사료에 바뀌어도 10일간의 사이 약 2할의 사료 잔반이 관찰되었다. 2회째의 약제 첨가 사료 투여시에는 섭이 활성의 저하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약제 투여 후의 시판 사료로 바뀌고 나서 10일간 섭이 활성의 저하가 관찰되어, 소정량의 사료를 모두 먹이기 위하여 1일에 2회로 나누어 주었다. 시험 종료시의 본 구의 물고기 체중 및 체장은 대조구나 알벤다졸 투여구와 비교하여 분명히 낮은 값이 되었다. 따라서, 페반텔은 수온이 낮을 때에는 방어의 섭이 활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분명해졌다. 본 결과로부터 물고기에 대한 부작용은 알벤다졸보다 페반텔이 높은 것으로 추측되었다.
시험구 개시시
물고기 체중
종료시
물고기 체중
종료시
체장

대조구

74.2±6.4g

130.7±12.5g

20.2±0.7cm

알벤다졸 투여구

73.3±9.7g

130.5±34.2g

20.4±1.6cm

페반텔 투여구

72.8±10.1g

110.2±11.5g

19.2±0.8cm
실시예 5
<베코병 구충을 위한 알벤다졸 투여량의 검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생산한 치어를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에 옮겨서, 11일간 사육한 후 다시 육상 시설에 반입하였다. 이 해상 가두리 사육에 의해 방어 치어를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에 자연 감염시켰다. 재차 육상 시설에 반입한 방어 치어를 각 40 마리씩 12 군으로 나누어(대조구 0mg/kg 물고기 체중 2군, 5mg/kg 물고기 체중 투여구 2군, 10mg/kg 물고기 체중 투여구 2군, 20mg/kg 물고기 체중 투여구 2군, 30mg/kg 물고기 체중 투여구 2군, 40mg/kg 물고기 체중 투여구 2군), 각각을 200리터 수조에 수용하였다. 수조에의 주수는 실시예 1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순응 마지막 날에 물고기 체중을 측정하였더니, 공시어의 체중은 약 10 g이었다. 순응 후에 10일간 연속으로 시험 사료를 급이하였다. 투여는 1일 1회로 하였다. 알벤다졸 첨가 사료 및 대조구 사료의 조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였다. 10일간의 시험 사료 투여 후에는 시판 사료를 급이하였는데, 급이량은 물고기 체중의 2%로 하였다. 사육 기간은 40일간으로 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수온은 약 20.1℃이었다.
사육 시험 종료 시에, 전체 구로부터 모든 물고기를 꺼내어 부검에 의하여 몸쪽 근육의 시스트 유무를 관찰하고, 시스트가 관찰된 물고기를 발증어로 하였다. 평가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결과와 고찰
알벤다졸 5mg/kg 물고기 체중 투여구의 물고기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적지만, 베코병의 시스트가 관찰되었다 (표 7). 한편, 10mg/kg 물고기 체중 이상의 투여구에서는, 베코병의 시스트를 형성한 물고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베코병 구충을 위한 최소 유효 투여량은 10mg/kg 물고기 체중 정도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시험구 발증율 발증어 시스트 수 시스트 길이
대조구 0mg/kg 물고기 체중 17.5%
(14마리/80마리)

8.3±5.1개/마리

13.2±5.3mm

알벤다졸 5mg/kg투여구
6.3%
(5마리/80마리)

5.4±4.0개/마리

11.0±5.9mm

알벤다졸 10mg/kg투여구
0%
(0마리/80마리)

-

-

알벤다졸 20mg/kg투여구
0%
(0마리/80마리)

-

-

알벤다졸 30mg/kg투여구
0%
(0마리/80마리)

-

-

알벤다졸 40mg/kg투여구
0%
(0마리/80마리)

-

-
실시예 6
<베코병 구충을 위한 알벤다졸 투여 일수의 검토>
천연 포획 치어를 어장의 활어조에 도입하고, 21일간 사육하였다. 이 해상 가두리 사육에 의해 방어 치어를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에 자연 감염시켰다. 육상 시설에 반입한 방어 치어를 4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구 0mg/kg 물고기 체중·10일 90 마리, 40mg/kg 물고기 체중·3일간 투여구 70 마리, 40mg/kg 물고기 체중·6일간 투여구 70 마리, 40mg/kg 물고기 체중·10일간 투여구 70 마리). 각각의 군을 200리터 수조에 수용하였다. 수조에의 주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2일간의 순응 후에 시험 사료를 급이하였다. 투여는 1일 1회로 하였다. 개시시의 공시어의 체중은 약 8 g이었다. 알벤다졸 첨가 사료 및 대조구 사료의 조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시험 사료 투여 후에는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량은 물고기 체중의 3%로 하였다. 사육 기간은 22일간으로 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수온은 최초의 10일간을 20℃, 그 후 사육 종료까지 22℃로 하였다.
사육 시험 종료시에, 전체 구로부터 물고기를 모두 꺼내어 부검에 의하여 몸쪽 근육의 시스트 유무를 관찰하고, 시스트가 관찰된 물고기를 발증어로 하였다. 평가는,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결과와 고찰
알벤다졸 40mg/kg·10일간 투여구에 있어서, 발증어는 관찰되지 않았다. 3일간 및 6일간 투여구는 적기는 하나 발증어가 관찰되었지만, 발증율이나 발증어의 시스트 수, 시스트 길이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명히 낮고, 투여 기간이 3일이나 6일이라도 본충에 대하여 구충 효과를 발휘하였다. 또한, 알벤다졸 3일간 및 10일간 투여구에서 각 1마리가 먹이를 먹지 않아 야위어 사망하였다. 이 물고기들은 군을 나눈 시기부터 먹이를 먹지 않았다. 수송과 환경의 변화가 영향을 준 것이라고 추측되었다.
시험구 발증율 발증어 시스트 수 시스트 길이

대조구
26.7%
(24마리/90마리)

6.2±6.0개/마리

10.4±8.5mm
알벤다졸 40mg/kg
3일간 투여구
4.3%
(3마리/69마리)

4.0±2.6개/마리

7.3±2.2mm
알벤다졸 40mg/kg
6일간 투여구
2.9%
(2마리/70마리)

2.0±1.4개/마리

3.0±1.0mm
알벤다졸 40mg/kg
10일간 투여구
0%
(0마리/69마리)

-

-
실시예 7
<알벤다졸의 베코병 발증어에 대한 치료 효과>
천연 포획 치어를 어장의 활어조에 도입하여, 50일간 사육하였다. 이 해상 가두리 사육에 의하여 방어 치어를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에 자연 감염시켰다. 육상 시설에 반입한 방어 치어를 각 28 마리씩 10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구 0mg/kg 물고기 체중·10일간 2군, 10mg/kg 물고기 체중·3일간 투여구 2군, 10mg/kg 물고기 체중·10일간 투여구 2군, 40mg/kg 물고기 체중·3일간 투여구 2군, 40mg/kg 물고기 체중·10일간 투여구 2군). 각각의 군을 200리터 수조에 수용하였다. 수조에의 주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또한, 시험 개시시의 베코병의 발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9 마리를 부검하여 몸쪽 근육의 시스트 수 및 시스트 길이를 조사하였다. 3일간의 순응 후에 시험 사료를 급이하였다. 투여는 1일 1회로 하였다. 시험 개시시의 공시어의 체중은 약 21 g이었다. 알벤다졸 첨가 사료 및 대조구 사료의 조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시험 사료 투여 후에는,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량은 물고기 체중의 2%로 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사육 기간 중의 시험 사료 투여를 2 사이클로 하고, 시험 스케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사육 기간 중의 수온은 22℃로 하였다.
사육 시험 종료시에, 전체 구로부터 모든 물고기를 꺼내어 부검에 의하여 몸쪽 근육의 시스트 유무를 관찰하고, 시스트가 관찰된 물고기를 발증어로 하였다. 평가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결과와 고찰
모든 알벤다졸 투여구에 있어서, 시험 개시시와 비교하여 발증율 및 발증어 시스트 수, 시스트 길이가 감소하였고, 시스트가 이미 관찰된 발증어에서도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시험 종료시의 대조구의 발증어수 증가는 시스트 형성에까지 도달하지 않았던 스테이지의 본충이 시스트를 형성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재차 알벤다졸의 시스트 형성 저해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 알벤다졸 10mg/kg 물고기 체중·3일간 투여에서도 치료 효과 및 시스트 형성 저해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각 시험구 모두 수 마리의 사망어가 관찰되었다. 사망어는 야위어 있었는데, 실시예 6에서와 마찬가지로 거식이 원인이 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측되었다.
시험구 발증율 발증어 시스트 수 시스트 길이

개시시
17.2%
(5마리/29마리)

9.2±2.4개/마리

11.2±6.4mm

대조구
38.5%
(20마리/52마리)

7.6±7.3개/마리

17.8±4.9mm
알벤다졸 10mg/kg
3일간 투여구
11.5%
(6마리/52마리)

6.7±3.4개/마리

9.4±5.3mm
알벤다졸 10mg/kg
10일간 투여구
10.4%
(5마리/48마리)

5.0±3.5개/마리

8.6±3.6mm
알벤다졸 40mg/kg
3일간 투여구
10.4%
(5마리/48마리)

2.6±2.3개/마리

7.4±4.7mm
알벤다졸 40mg/kg
10일간 투여구
12.2%
(6마리/49마리)

6.3±4.9개/마리

8.7±4.7mm
실시예 8
<점액 포자충 쿠도아 야스나가이에 대한 벤조이미다졸계 약제의 구충효과>
벤조이미다졸계 약제의 쿠도아 야스나가이에 대한 구충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생산한 치어를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에 옮겨서, 10일간 사육한 후 다시 육상 시설에 반입하였다. 이 해상 가두리 사육에 의해 방어 치어를 쿠도아 야스나가이에 자연 감염시켰다. 재차 육상 시설에 반입한 방어 치어를 각 40 마리씩 10 개 군으로 나누고 (대조구 2군, 알벤다졸 투여구 2군, 페반텔 투여구 2군, 트리클라벤다졸 투여구 2군, 플루벤다졸 투여구 2군), 각각을 200리터 수조에 수용하였다. 수조에의 주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순응 마지막 날에 물고기 체중을 측정하였더니, 공시어의 체중은 약 10 g였다. 순응 후에 10일간 연속으로 시험 사료를 급이하였다. 벤조이미다졸계 약제의 투여 조건은 40mg/kg 물고기 체중/일로 하고, 투여는 1일 1회로 하였다. 벤조이미다졸계 약제 첨가 사료 및 대조구 사료의 조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10일간의 시험 사료 투여 후에는,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량은 물고기 체중의 2%로 하였다. 사육 기간은 40일간으로 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수온은 약 20.5℃이었다.
사육 시험 종료시에, 전체 구로부터 모든 물고기를 꺼내어 뇌의 도말 표본을 제작하고 딥퀵 염색을 하였다. 광학현미경 400배로 40시야를 관찰하여, 포자의 유무와 포자의 수를 조사하였다. 평가는 대조구와 벤조이미다졸계 약제 투여구의 검출율 (검출 물고기 마리 수/공시 마리 수·100), 검출어의 포자수를 비교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결과와 고찰
알벤다졸 투여구 및 플루벤다졸 투여구에서는 검출율 및 포자 수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명히 낮은 값이었다. 한편, 페반텔 투여구에서는 포자수가 대조구와 비교할 때 많았다. 따라서, 알벤다졸 및 플루벤다졸은, 본충에 대해 구충 효과를 발휘하고, 페반텔은 본충의 증식을 조장하는 것 등이 판명되었다.
모든 벤조이미다졸계 약제가 본충에 대하여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아니고, 베코병에 구충 효과를 가지고 있더라도 쿠도아 야스나가이에 효과가 있다고는 할 수 없는 것 등이 판명되었다.
또한, 대조구에서 7마리, 알벤다졸구에서 1마리의 사망어가 관찰되었다. 사망어는 야위어 있있는데, 실시예 6과 동일한 원인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추측되었다.
시험구 검출율 검출된 물고기의 포자 수

대조구
52.1%
(38마리/73마리)

4.0±4.2개/마리

알벤다졸 투여구
35.4%
(28마리/79마리)

2.9±2.1개/마리

페반텔 투여구
50.0%
(40마리/80마리)

8.1±13.2개/마리

트리클라벤다졸 투여구
55.0%
(44마리/80마리)

4.3±6.7개/마리

플루벤다졸 투여구
31.3%
(25마리/80마리)

2.9±2.6개/마리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여, 해산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에 의한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을 경구 투여로 구제할 수 있는 항기생충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알벤다졸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1일 당, 유효 성분을 10 내지 40 mg/kg 물고기 체중으로 경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 어류의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의 치료제로서,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은 미크로스포리듐(Microsporidium) 속에 속하는 미포자충이고, 점액 포자충증의 원인 기생충은 쿠도아(Kudoa) 속에 속하는 점액 포자충인, 원인 기생충이 기생하는 해산 어류를 치료하기 위한 상기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1일 당 유효 성분을 10 내지 30 mg/kg 물고기 체중으로 경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코병 및 점액 포자충증의 치료에 사용되기 위한 것인 치료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해산 어류는 농어목, 가자미목 또는 복어목의 어류인 치료제.
  5. 제4항에 있어서, 농어목의 어류는 방어속, 도미과 또는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이고, 가자미목의 어류는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이며, 복어목에 속하는 어류는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인 치료제.
  6. 제5항에 있어서, 방어속에 속하는 어류는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잿방어(Seriola dumerili), 부시리(Seriola lalandi), 낫잿방어(Seriola rivoliana, Seriola carpenteri, Seriola fasciata), 남방잿방어(Seriola hippos, Seriola peruana, 및 Seriola zzonata) 중 어느 하나이고, 돔과에 속하는 어류는 남방감성돔(Acanthopagrus sivicolus), 실붉돔(Argyrops bleekeri Oshima), 황돔(Dentex tumifrons), 붉돔(Evynnis tumifrons), 참돔(Pagrus major),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i), 및 청돔(Rhabdosargus sarba, Sparus sarba) 중 어느 하나이며,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는 참다랑어 (Thunnus orientalis), 대서양참다랑어 (Thunnus thynnus), 남방참다랑어(Thunnus maccoyii), 눈다랑어(Thunnus obesus), 날개다랑어(Thunnus alalunga), 황다랑어(Thunnus albacares), 백다랑어(Thunnus tonggol), 및 대서양다랑어(Thunnus atlanticus) 중 어느 하나이고,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가주넙치(Paralichthys californicus), 여름넙치(Paralichthys dentatus), 점넙치(Pseudorhombus pentophthalmus), 별넙치(Pseudorhombus cinnamoneus), 눈가자미(Pseudorhombus dupliciocellatus), 라지투쓰 플라운더(Pseudorhombus arsius), 및 왜넙치(Tarphops oligolepis) 중 어느 하나이며,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가 자지복(Takifugu rubripes) 또는 검복(Takifugu porphyreus)인 치료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의 투여 기간은 1 내지 20일간인 것인 치료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의 투여 기간은 3 내지 10일간인 것인 치료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 투여 후 10 내지 17일간의 유효 성분을 투여하지 않는 기간이 설정되는 것인 치료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치어를 해상 가두리에 도입 후, 9 내지 23일 째에 투여를 개시하는 것인 치료제.
  11. 알벤다졸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1일 당, 유효 성분을 10 내지 40 mg/kg 물고기 체중으로 경구 투여함으로써, 원인 기생충이 기생하는 해산 어류를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해산 어류의 베코병 또는 점액 포자충증의 치료 방법으로서, 베코병의 원인 기생충은 미크로스포리듐(Microsporidium) 속에 속하는 미포자충이고, 점액 포자충증의 원인 기생충은 쿠도아(Kudoa) 속에 속하는 점액 포자충인, 상기 치료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1일 당 유효 성분의 경구 투여량이 10 내지 30 mg/kg 물고기 체중인 것인 치료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해산 어류가 미포자충이 기생하는 해산 어류 및 점액 포자충이 기생하는 해산 어류를 포함하는 것인 치료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해산 어류는 농어목, 가자미목 또는 복어목의 어류인 치료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농어목의 어류는 방어속, 도미과 또는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이고, 가자미목의 어류는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이며, 복어목에 속하는 어류는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인 치료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방어속에 속하는 어류는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잿방어(Seriola dumerili), 부시리(Seriola lalandi), 낫잿방어(Seriola rivoliana, Seriola carpenteri, Seriola fasciata), 남방잿방어(Seriola hippos, Seriola peruana, 및 Seriola zzonata) 중 어느 하나이고, 돔과에 속하는 어류는 남방감성돔(Acanthopagrus sivicolus), 실붉돔(Argyrops bleekeri Oshima), 황돔(Dentex tumifrons), 붉돔(Evynnis tumifrons), 참돔(Pagrus major),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i), 및 청돔(Rhabdosargus sarba, Sparus sarba) 중 어느 하나이며,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는 참다랑어 (Thunnus orientalis), 대서양참다랑어 (Thunnus thynnus), 남방참다랑어(Thunnus maccoyii), 눈다랑어(Thunnus obesus), 날개다랑어(Thunnus alalunga), 황다랑어(Thunnus albacares), 백다랑어(Thunnus tonggol), 및 대서양다랑어(Thunnus atlanticus) 중 어느 하나이고, 넙치과에 속하는 어류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가주넙치(Paralichthys californicus), 여름넙치(Paralichthys dentatus), 점넙치(Pseudorhombus pentophthalmus), 별넙치(Pseudorhombus cinnamoneus), 눈가자미(Pseudorhombus dupliciocellatus), 라지투쓰 플라운더(Pseudorhombus arsius), 및 왜넙치(Tarphops oligolepis) 중 어느 하나이며, 복어과에 속하는 어류가 자지복(Takifugu rubripes) 또는 검복(Takifugu porphyreus)인 치료 방법.
  17.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의 투여 기간은 1 내지 20일간인 것인 치료 방법.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의 투여 기간은 3 내지 10일간인 것인 치료 방법.
  19.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 투여 후 10 내지 17일간의 유효 성분을 투여하지 않는 기간을 설정하는 것인 치료 방법.
  20.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치어를 해상 가두리에 도입 후, 9 내지 23일 째에 투여를 개시하는 것인 치료 방법.
KR1020197009839A 2016-09-27 2017-09-27 해산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 및 점액 포자충에 의한 질환의 치료제 KR102092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7723 2016-09-27
JP2016187723 2016-09-27
PCT/JP2017/034901 WO2018062246A1 (ja) 2016-09-27 2017-09-27 海産魚類に寄生する微胞子虫及び粘液胞子虫による疾患の治療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512A KR20190058512A (ko) 2019-05-29
KR102092893B1 true KR102092893B1 (ko) 2020-03-24

Family

ID=6176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839A KR102092893B1 (ko) 2016-09-27 2017-09-27 해산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 및 점액 포자충에 의한 질환의 치료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7) JP6489727B2 (ko)
KR (1) KR102092893B1 (ko)
WO (1) WO2018062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246A1 (ja) * 2016-09-27 2018-04-05 日本水産株式会社 海産魚類に寄生する微胞子虫及び粘液胞子虫による疾患の治療剤
JP7128466B2 (ja) * 2017-06-19 2022-08-31 国立研究開発法人水産研究・教育機構 海産魚のべこ病に有効な治療薬とその投与方法
JP6930947B2 (ja) * 2018-07-12 2021-09-01 日本水産株式会社 スズキ目魚類の寄生虫駆除剤及び駆除方法
KR20210056356A (ko) 2018-09-06 2021-05-18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연어목 어류의 근육의 융해를 방지하는 방법
JP2021029202A (ja) * 2019-08-28 2021-03-01 物産フードサイエンス株式会社 飼料用展着剤およびこれにより薬物が展着された固形飼料
JP7526770B2 (ja) 2022-10-14 2024-08-01 林兼産業株式会社 フグ科魚類用駆虫剤経口組成物、フグ科魚類用やせ病予防剤経口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フグ科魚類用粘液胞子虫駆虫方法及びフグ科魚類のやせ病の予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3019C (zh) 2000-07-13 2006-09-06 明治制果株式会社 用于河豚的杀寄生物药和杀寄生物方法
JP6481316B2 (ja) * 2014-09-30 2019-03-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表面の滑剤による被覆率の測定方法
JP6343796B2 (ja) * 2016-03-31 2018-06-20 林兼産業株式会社 魚介類の微胞子虫の防除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魚介類の微胞子虫の防除方法
WO2018062246A1 (ja) * 2016-09-27 2018-04-05 日本水産株式会社 海産魚類に寄生する微胞子虫及び粘液胞子虫による疾患の治療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Entomology and Nematology Vol. 4(2), pp. 12-14, February 2012
Parasitol Res 84:41-49 (1998)
Vaterinary Record, 175(22):561 (2014. 09. 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11313A (ja) 2019-01-24
JP6784866B1 (ja) 2020-11-11
JP6489727B2 (ja) 2019-03-27
JP2024045319A (ja) 2024-04-02
KR20190058512A (ko) 2019-05-29
JP2021001171A (ja) 2021-01-07
JP2023011718A (ja) 2023-01-24
WO2018062246A1 (ja) 2018-04-05
JP7474912B2 (ja) 2024-04-25
JP2024123104A (ja) 2024-09-10
JPWO2018062246A1 (ja) 2019-01-31
JP2021020940A (ja) 2021-02-18
JP6749966B2 (ja)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893B1 (ko) 해산 어류에 기생하는 미포자충 및 점액 포자충에 의한 질환의 치료제
Rodgers et al. Antimicrobial agents in aquaculture: practice, needs and issues
JP5806708B2 (ja) 魚の真菌症の治療のための殺真菌剤の使用
JP5771203B2 (ja) 魚類の寄生虫駆除剤及び駆除方法
Tonguthai Control of freshwater fish parasites: a Southeast Asian perspective
WO2022226660A1 (en) Use of isoxazoline for protection against parasitic pests in fish
JP2024040470A (ja) スズキ目魚類の寄生虫駆除剤及び駆除方法
Liao et al. The use of chemicals in aquaculture in Taiwan, Province of China
JP2010180185A (ja) 魚類のエラムシ駆除剤及び駆除方法
JP7424983B2 (ja) サケ目魚類の筋肉の融解を防ぐ方法
KR20090047491A (ko) 어류의 체표 기생충 구제 방법
JP4695766B2 (ja) 魚類寄生虫の駆除剤及び駆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