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385B1 -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 - Google Patents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385B1
KR102092385B1 KR1020180036294A KR20180036294A KR102092385B1 KR 102092385 B1 KR102092385 B1 KR 102092385B1 KR 1020180036294 A KR1020180036294 A KR 1020180036294A KR 20180036294 A KR20180036294 A KR 20180036294A KR 102092385 B1 KR102092385 B1 KR 10209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tirring blade
blade
screen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110A (ko
Inventor
이범섭
Original Assignee
블레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레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레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38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01F15/0048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3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3Mixing liquids with solids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1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stirrers having central axial inflow and substantially radial outflow
    • B01F27/81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stirrers having central axial inflow and substantially radial outflow the stirrers co-operating with surrounding stators, or with intermeshing stators, e.g. comprising slits, orifices or screens
    • B01F3/0853
    • B01F3/088
    • B01F3/1221
    • B01F3/127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7/00341
    • B01F7/00633
    • B01F7/16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품이나 제약, 화장품 또는 식품 등의 교반물을 배치타입에서 교반하는 것으로서, 특히 구동 샤프트에 연동되는 교반익을 상하 방향 2개 구비하여 다양한 비중의 파우더와 점도가 서로 다른 물질아라도 유화 분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교반익 방식의 분산 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이다.

Description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HOMO-MIXER APPARATUS AND METHOD FOR STIRRING BY DOUBLE VORTEX}
본 발명은 의약품이나 페인트, 잉크, 전자재료, 화장품 또는 식품 등의 교반물을 배치타입에서 교반하는 것으로서, 특히 구동 샤프트에 연동되는 교반익을 상하 방향 2개 구비하여 유체와 잘 섞이지 않는 다양한 비중의 파우더와 점도가 서로 다른 물질이라도 유화 분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 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이다.
호모믹서(Homo-mixer)는 균질한 혼합을 뜻하는 기계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스테이터 내부에 임펠러 형상의 로터를 회전시켜 유체를 교반하는 배치 타입의 분산 유화 기술로 식품, 화장품, 잉크, 페인트 등 다양한 유체의 유화, 균질, 분산, 혼합에 사용되고 있는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계장치이다.
이러한 호모믹서의 개선을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공개 제1998-0006782호 “이중 임펠러를 갖는 호모믹서의 고속교반장치”가 제안 되었는 바, 이와 같은 장치는 고속회전하는 내/외측임펠러로 구성된 고속구동체와, 이 고속구동체 사이에 개재되어 저속으로 고속구동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고속구동체와 상호작용에 의해 교반물을 교반하는 지지체로 이루어져 있어 교반력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종래 기술은 다양한 비중의 파우더와 점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분산 유화시키는 경우 비중이 가벼운 파우더나 기름 등은 상층부에 떠있거나 분리되어 유화 분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어 왔다.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998-000678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 샤프트에 연동되는 교반익을 상하 방향 2개 구비하여 유체와 잘 섞이지 않는 다양한 비중의 파우더와 점도가 서로 다른 물질이라도 유화 분산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 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반조(20) 일 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M)와, 상기 교반조(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M)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 샤프트(SH)와, 상기 구동 샤프트(SH)에 연동되어 교반조(200) 내부 물질을 분산 및 유화시키는 이중 교반익 방식의 교반부(10)와, 상기 교반조(2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부(10)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부(10)를 고정하는 고정 바아(B)를 포함하는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 유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교반부(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SH)에 설치되는 보조익(AP)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SH)가 연결되는 제어부(CON)와, 상기 교반조(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이동 수단(30)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교반부(10)는 상기 구동 샤프트(SH)에 의해 각각 회전되고 상하 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교반익(PL)과, 상기 교반익(PL)이 내부에 삽입되는 교반 스크린(100)과 상기 한 쌍의 교반익(PL)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400)와 상기 교반 스크린(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 플랜지(50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스크린(10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된 교반 스크린 본체(110)와 상기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앙은 개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SH)가 진입하는 고정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익(PL)은 상기 교반 스크린 본체(110) 내부에서 스페이서(400)의 상하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 교반익(200) 및 하부 교반익(3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랜지(500)는 중앙이 개방되고 고정공(511)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플랜지 본체(51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랜지 본체(510)는 상기 교반 스크린(100)의 고정판(120)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바아(B)는 상기 고정 플랜지의 고정공(511)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이중 교반익 방식의 분산 유화 시스템을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으로서, 구동 샤프트(SH)의 회전에 의해 상부 교반익(200)과 하부 교반익(300)이 회전하여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하측으로 부터 유체가 흡입되고,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내측면과 하부 교반익(300) 사이 공간에서 유체가 분산되고 유화되어 하부 슬릿부(140)를 통해 교반 스크린(100)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스페이서(400)를 통과한 유체는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내측면과 상부 교반익(200) 사이 공간에서 유체가 분산되고 유화되어 상부 슬릿부(130)를 통해 교반 스크린(100) 외부로 배출되는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분산 유화 장치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유동공(112)과 스페이서 설치부(150)의 유동공(152)과 슬리브(410)의 유동공(413)을 통해 슬리브(410)와 회전 실린더(420) 사이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슬리브(410)의 요홈부(416)를 통해 상향 이동하며 분산 유화된다.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해 배치타입의 호모믹서에 적용하면 비중이 낮아 액상위에 뜨는 파우더나 기름뿐 아니라 비중이 높아 가라앉는 파우더나 첨가물도 강한 2중 와류로 유화 분산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유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유화 시스템의 교반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유화 시스템의 교반 스크린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유화 시스템의 스페이서와 교반익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유화 시스템의 교반 스크린부와 스페이서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유화 시스템의 스페이서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유화 시스템의 교반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다음은 도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유화 시스템(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조(20) 일 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M)와, 상기 교반조(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M)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 샤프트(SH)와, 상기 구동 샤프트(SH)에 연동되어 교반조(200) 내부 물질을 분산 및 유화시키는 이중 교반익 방식의 교반부(10)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부(10)는 교반익이 상하 방향 2개 구비된 이중 교반익 방식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상하 2개의 교반익에서 2중의 와류가 형성되어 각각 분산 및 유화 작용이 일어나서 다양한 비중의 파우더 또는 점도가 서로 다른 물질아라도 유화 분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반익(PL)은 상하 방향 배치된 상부 교반익(200)과 하부 교반익(300)을 포함한다. 하부 교반익(300)의 회전에 의해 교반조(20) 하측에 위치한 유체(1-1)가 상측 방향으로 흡입되어 하부 교반익(300)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하부 교반익(300) 내부로 투입된 유체(1-1)는 교반 스크린(100)과의 사이 공간에서 분산 유화되고 교반 스크린(100)의 하부 슬릿부(140,도 2 참조)을 통해 유체(1-2)는 교반 스크린(10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부 교반익(200)의 회전에 의해 교반조(20) 상측에 배치된 유체(2-1)가 하측 방향으로 흡입되어 상부 교반익(200)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상부 교반익(200) 내부로 투입된 유체(2-1)는 교반 스크린(100)과의 사이 공간에서 분산 유화되고 교반 스크린(100)의 상부 슬릿부(130,도 2참조)를 통해 유체(2-2)는 교반 스크린(100) 외부로 배출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교반익(200)과 하부 교반익(300)에 의해 각각 유체가 흡입되고 분산 및 유화되므로 종래보다 분산 효율이 향상되어 다양한 비중의 파우더 또는 점도가 서로 다른 물질이라도 유화 분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M)는 널리 알려진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M)는 제어부(CON)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M)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조(20)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불과한 것이며, 상기 구동 샤프트(SH)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상기 액츄에이터(M)의 설치 위치나 종류 등이 변경 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기 교반조(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분산 및 유화 대상이 되는 물질이 내부에 저장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교반조(20)가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분산 및 유화 대상이 되는 물질이 내부에 저장되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기 교반부(10)는 고정 바아(B)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 바아(B)는 상기 교반조(2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부(10)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부(10)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 바아(B)가 교반부(10)를 고정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 교반익 방식의 교반부(10)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SH)에 설치되는 보조익(AP)을 더 포함하여 분산 및 유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교반부(10)와 상기 보조익(AP)의 협력에 의해 유체의 유동을 더욱 강화시켜 분산 및 유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익(AP)은 도 1에서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널리진 임펠러 형상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임펠러 형상 자체는 널리 알려진 관계로 자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교반조(20) 하측에는 이동 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 수단(30)에 의해 본 발명의 분산 유화 시스템(1)을 보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필요한 장소에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30)은 널리 알려진 대차(31)와 상기 대차(31)의 하측에 구비되는 바퀴(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반부(10)는 이중 교반익 방식으로서 상기 구동 샤프트(SH)에 의해 각각 회전되고 상하 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교반익(PL)과, 상기 교반익(PL)이 내부에 삽입되는 교반 스크린(100)과 상기 한 쌍의 교반익(PL)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교반 스크린(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바아(B)와 연결되는 고정 플랜지(500)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 스크린(10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된 교반 스크린 본체(110)와 상기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앙은 개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SH)가 진입하는 고정판(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 플랜지(500)는 중앙이 개방되고 고정공(511)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플랜지 본체(51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랜지 본체(510)는 상기 교반 스크린(100)의 고정판(120)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 플랜지(500)의 고정공(511)에 상기 고정 바아(B)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판(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개방된 원판 형상의 고정판 본체(121)와 상기 고정판 본체(121) 상측에 고정공(122)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플랜지(500)의 고정공(511)과 고정판(120)의 고정공(122)에 상기 고정 바아(B)가 관통하여 고정 플랜지(500)와 교반 스크린(10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랜지(500)의 고정공(511)과 고정판(120)의 고정공(122)은 원주 방향으로 4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 바아(B) 역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익(PL)은 상기 교반 스크린 본체(110) 내부에서 스페이서(400)의 상하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 교반익(200) 및 하부 교반익(300)을 포함한다. 즉, 상부 교반익(200)과 하부 교반익(300)이 구비되어 이중으로 배치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분산 및 유화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교반익(PL)과 스페이서(400)가 내부에 구비되는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슬릿부(130)와 하부 슬릿부(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슬릿부(130) 및 하부 슬릿부(140)는 특정 형상의 개방부가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슬릿부(130)와 하부 슬릿부(140)는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슬릿부(130)와 하부 슬릿부(140) 사이의 교반 스크린 본체(110) 내측으로 중앙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스페이서 설치부(150)가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40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슬릿부(130)와 하부 슬릿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 형상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 슬릿부(130)와 하부 슬릿부(140)가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교반 스크린 본체(110) 내외측이 연통되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당연하다.
상부 슬릿부(130)와 하부 슬릿부(140)는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릿부(130)가 형성되는 위치에 상부 교반익(200)이 배치되고, 하부 슬릿부(140)가 형성되는 위치에 하부 교반익(300)이 배치된다.
상기 상부 슬릿부(130)와 하부 슬릿부(140) 사이의 교반 스크린 본체(110) 내측으로 중앙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스페이서 설치부(150)가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4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페이서(400)의 상측에 상기 상부 교반익(200)가 배치되고, 스페이서(400)의 하측에 하부 교반익(300)이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교반익(20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상하측면은 개방된 상부 교반익 본체(210)와 상기 상부 교반익 본체(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날개부(220)와 상기 상부 교반익 본체(210)의 저면에 형성되는 핀 삽입공(2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교반익(30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상하측면은 개방된 하부 교반익 본체(310)와 상기 하부 교반익 본체(3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날개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교반익(200)의 날개부(220)와 하부 교반익(300)의 날개부(32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날개부(220,320)가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기 상부 교반익 본체(210)와 하부 교반익 본체(310)에 구동 샤프트(SH)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구동 샤프트(SH)에 상기 상부 교반익 본체(210)와 하부 교반익 본체(310)가 각각 연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교반익 본체(210)의 개방된 부분 즉, 관통공(211) 일 측에 키 홈(212)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SH)에 키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 샤프트(SH)와 상부 교반익 본체(210)를 연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교반익 본체(310)의 경우도 키홈(312)을 형성하여 구동 샤프트(SH)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교반 스크린 본체(110)에 형성되는 상부 슬릿부(130)와 하부 슬릿부(140) 사이에 고정공(111)과 유동공(112)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상호 교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400)는 상기 상부 교반익(200)에 연동되는 회전 실린더(420)와, 상기 회전 실린더(420)가 내부에 구비되는 슬리브(4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실린더(4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상하측면이 개방되어 구동 샤프트(SH)가 관통하는 회전 실린더 본체(4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 실린더(420)는 회전 실린더 본체(421)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공(4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교반익(200)의 상부 교반익 본체(210)의 하측에는 핀 삽입공(213)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공(423)과 핀 삽입공(213)이 핀(P)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 실린더(420)는 상부 교반익(200)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4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상하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회전 실린더 본체(421)가 내부에 구비되는 슬리브 본체(411)와 상기 슬리브 본체(411)의 일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유동공(413)과 상기 유동공(413) 사이에 상기 슬리브 본체(41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고정공(414)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공(414)과 유동공(413)은 상기 슬리브 본체(411)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 스크린 본체(110) 내부에 형성되는 스페이서 설치부(150)의 측면에는 고정공(153)과 유동공(152)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고 상호 교대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공(153)과 유동공(152)의 경우도 스페이서 설치부(150)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 설치부(150)의 유동공(152)은 상기 슬리브 본체(411)의 유동공(413)에 연통되고, 상기 스페이서 설치부(150)의 고정공(153)은 상기 슬리브 본체(411)의 고정공(414)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설치부(150)의 유동공(152)은 상기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유동공(112)에 연통되고, 상기 스페이서 설치부(150)의 고정공(151)은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고정공(111)과 연통된다.
따라서, 스크린 본체(110)의 외부에 있는 유체는 상기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고정공(111)을 통해 스페이서 설치부(150)의 유동공(152)으로 유동하고 최종적으로 슬리브 본체(411)의 유동공(413)을 통과하여 회전 실린더(420)와 슬리브(410) 사이 공간으로 투입된다.
또한, 고정구(도시되지 않음)는 스크린 본체(110)의 고정공(111)에 삽입된 후 스페이서 설치부(150)의 고정공(153)을 통과하여 슬리브 본체(411)의 고정공(414)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410)가 고정되도록 한다.
즉, 구동 샤프트(SH)는 상기 상부 교반익(200)을 통과한 후 스페이서(400)와 하부 교반익(300)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상부 교반익(200)과 회전 실린더(420) 그리고 하부 교반익(300)은 구동 샤프트(SH)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슬리브(410)는 교반 스크린(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슬리브(410)는 슬리브 본체(4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홈부(4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홈부(416)은 슬리브 본체(41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요홈부(416)에 의해 유체의 유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본체(411)의 상면 두께면에 유동공(415)을 추가로 설치하여 유동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분산 유화 시스템을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구동 샤프트(SH)의 회전에 의해 상부 교반익(200)과 하부 교반익(300)이 회전하여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하측으로 부터 유체가 흡입된다. 이때, 상기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내측면과 하부 교반익(300) 사이 공간에서 유체가 분산되고 유화되어 하부 슬릿부(140)를 통해 교반 스크린(10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400)를 통과한 유체는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내측면과 상부 교반익(200) 사이 공간에서 유체가 분산되고 유화되어 상부 슬릿부(130)를 통해 교반 스크린(100) 외부로 배출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교반익(200)과 하부 교반익(300)에 의해 각각 상하 2중의 와류가 형성되어 분산되고 유화되므로 다양한 비중의 파우더와 점도가 서로 다른 물질이라도 유화 분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유동공(112)과 스페이서 설치부(150)의 유동공(152)과 슬리브(410)의 유동공(413)을 통해 슬리브(410)와 회전 실린더(420) 사이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슬리브(410)의 요홈부(416)를 통해 상향 이동하며 분산 유화되어 분산 및 유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교반익(300)의 저면에 와셔(600)를 배치한 후 상기 와셔(600)와 하부 교반익(300)에 고정구(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상기 하부 교반익(300)과 와셔(600)를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는 하부 교반익(300)에 삽입되는 구동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교반부 20 : 교반조
30 : 이동 수단 100 : 교반 스크린
110 : 교반 스크린 본체 111 : 고정공
112 : 유동공 120 : 고정판
121 : 고정판 본체 130 : 상부 슬릿부
140 : 하부 슬릿부 150 : 스페이서 설치부
151 : 스페이서 설치부 본체 ` 152 : 유동공
153 : 고정공 200 : 상부 교반익
300 : 하부 교반익 400 : 스페이서
410 : 슬리브 411 : 슬리브 본체
412 : 관통공 413 : 유동공
416 : 요홈부 420 : 회전 실린더
500 : 플랜지 600 : 와셔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구동 샤프트(SH)의 회전에 의해 상부 교반익(200)과 하부 교반익(300)이 회전하여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하측으로 부터 유체가 흡입되고,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내측면과 하부 교반익(300) 사이 공간에서 유체가 분산되고 유화되어 하부 슬릿부(140)를 통해 교반 스크린(100) 외부로 배출되고,
    스페이서(400)를 통과한 유체는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내측면과 상부 교반익(200) 사이 공간에서 유체가 분산되고 유화되어 상부 슬릿부(130)를 통해 교반 스크린(100) 외부로 배출되는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 유화 장치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에 있어서,
    교반 스크린 본체(110)의 유동공(112)과 스페이서 설치부(150)의 유동공(152)과 슬리브(410)의 유동공(413)을 통해 슬리브(410)와 회전 실린더(420) 사이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고 슬리브(410)의 요홈부(416)를 통해 상향 이동하며 분산 유화되는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 유화 장치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
  6. 삭제
KR1020180036294A 2018-03-29 2018-03-29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 KR10209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94A KR102092385B1 (ko) 2018-03-29 2018-03-29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94A KR102092385B1 (ko) 2018-03-29 2018-03-29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110A KR20190114110A (ko) 2019-10-10
KR102092385B1 true KR102092385B1 (ko) 2020-03-23

Family

ID=6820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94A KR102092385B1 (ko) 2018-03-29 2018-03-29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02867B (zh) * 2023-07-19 2023-10-17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六医学中心 一种麻醉科浓度调节式麻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3252B2 (ja) * 2002-10-01 2007-01-24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浸漬型媒体分散装置
JP2017051929A (ja) * 2015-09-11 2017-03-16 株式会社井上製作所 回分式媒体分散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782U (ko) 1996-07-01 1998-04-30 황중창 이중 임펠러를 갖는 호모믹서의 고속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3252B2 (ja) * 2002-10-01 2007-01-24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浸漬型媒体分散装置
JP2017051929A (ja) * 2015-09-11 2017-03-16 株式会社井上製作所 回分式媒体分散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110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386B1 (ko)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분산 유화 장치
KR101002216B1 (ko) 배플을 이용한 교반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반능력이 향상된 교반기
KR100738643B1 (ko) 교반 장치
CN1113685C (zh) 垂直搅拌装置
CN104827568B (zh) 一种卧式砂浆搅拌机
KR950002846A (ko) 분산장치
KR102092385B1 (ko)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호모믹서 분산유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 유화 방법
JPH05154368A (ja) 高粘性液体用ミキサー
JP6869414B1 (ja) 攪拌装置
CN107875889A (zh) 能够进行快速移动的高速搅拌系统
JP4614913B2 (ja) 高粘度・非ニュートン流体用竪型攪拌装置を用いた攪拌方法
JPH08108057A (ja) 上下動回転攪拌機
JP2005514195A (ja) 2つの混合不能な液体を乳状化するための攪拌器並びに攪拌方法
CN202538686U (zh) 具有搅拌功能的高速升降分散机
JP6251547B2 (ja) 撹拌装置
CN104043371B (zh) 一种离心分散器
KR100913875B1 (ko) 분산 펌프
CN202570004U (zh) 能够进行多层搅拌的搅拌系统
CN215196501U (zh) 一种乳化机及热胶胶液混合装置
CN203507921U (zh) 一种离心分散器
KR102558152B1 (ko) 디졸버 믹서
KR200459067Y1 (ko) 교반기의 배플구조
CN214389923U (zh) 一种混砂搅拌装置及混砂车
KR101176966B1 (ko) 초고속 회전식 호모 믹서
CN215782864U (zh) 一种用于高粘度物料的乳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