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551B1 - 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 - Google Patents

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551B1
KR102091551B1 KR1020190066818A KR20190066818A KR102091551B1 KR 102091551 B1 KR102091551 B1 KR 102091551B1 KR 1020190066818 A KR1020190066818 A KR 1020190066818A KR 20190066818 A KR20190066818 A KR 20190066818A KR 102091551 B1 KR102091551 B1 KR 10209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bile rack
locking
whe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이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Priority to KR102019006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5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5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21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 B60B35/122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using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more specifically, to a 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 which is configured to solve a problem of security reduced as wheels perform a sliding movement on a rail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a plurality of mobile racks are moved in a lock state in which the mobile racks are close to each other to prevent goods accommodated therein from being drawn out or viewed. To this end, the rail portion includes a wheel gear accommodation body to limi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wheels. Therefore, security of the mobile racks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

본 발명은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건 등을 꺼내거나 볼 수 없는 잠금상태에 있어서, 외력으로 인하여 바퀴가 레일부 상에서 미끄러짐 운동을 하여 모빌랙이 이동함으로써 모빌랙의 보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부는 바퀴기어 수용체를 포함하여 상기 바퀴의 미끄러짐 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모빌랙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mobile racks adjacent to each other, in a locked state in which objects or the like accommodated therein cannot be viewed or viewed, and wheels slide on the rail due to external for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ecurity of the mobile rack is deteriorated by the movement of the mobile rack by movement, the rail part is provided to limit the sliding motion of the wheel including the wheel gear receptor to improve the security of the mobile rack. It relates to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characterized by being able.

일반적으로, 이동식 서가나 수장고 등을 포함하는 모빌랙은 다수 개의 랙이 배열되어 그 내부에 다량의 책이나 서류, 사무용품 및 각종 자료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수납 보관할 시에 랙과 랙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 하여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빌랙은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 위에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랙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각의 랙이 주행부재를 매개로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소정 랙의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랙 내부에 소정 물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물품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mobile rack including a movable bookshelf or a storage rack is arranged between a rack and a rack when storing and storing various kinds of items, including a large amount of books, documents, office supplies, and various materials therein. It is configured to efficiently use space by minimizing space. The mobile rac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acks that are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rails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and as each rack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s through the traveling memb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 predetermined The interior of the rack is selectively opened, and is configured to store a certain item in the rack or take out the stored item.

상기 모빌랙을 구성하는 각각의 랙은 대략 바(bar)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부재를 매개로 대략 직육면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측면 등에는 패널이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선반이 일정 간격(높이)을 이루도록 적층 설치되어 그 상면에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동식이나 자동식, 또는 수자동 겸용식의 모빌랙을 구성하는 각 랙의 일측면에는 해당 랙의 주행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핸들이나 주행모터의 구동을 위한 조작패널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 또는 조작패널의 조작을 통해 해당 랙에 주행을 위한 외력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Each of the racks constituting the mobile rack is composed of a frame formed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rough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bar shape, and panels are installed on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frame, and the inside thereof In a plurality of shelves are stacked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height) is configured to store various items on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a handle for operating a traveling member of the rack or a driving panel for driving a driving motor is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rack constituting a mobile rack of a manual type, an automatic type, or a manual combination type. It is made to apply an external force for driving to the corresponding rack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anel.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모빌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모빌랙의 전면패널과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모빌랙의 구동조작부의 구조는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b)와 연결된 제1회동축(a)상에 잠금기어(c)(이때, 잠금기어(c)의 상부에는 잠금돌기(d)가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잠금돌기(d)가 하향 이동하여 잠금기어(c)의 기어치와 결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잠금기어(c)의 회동이 정지되어 구동조작부 전체의 구동이 정지하게 된다)와 제1구동기어(e)가 형성되어 손잡이부(b)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구동기어(e)에는 체인(p)이나 벨트 등에 의해 제2구동기어(f)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2구동기어(f)와 연결된 제2회동축(g)상에는 제3구동기어(h)가 형성되어 제2구동기어(f)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구동기어(h)에는 체인(p)이나 벨트 등에 의해 모빌랙 하부의 휠과 연결된 휠기어(i)들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bile rack in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ront panel and a driving unit of the conventional mobile rack. 1 and 2,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control unit of the conventional mobile rack is locked on the first rotational shaft (a) connected to the handle unit (b) that can be rotated by a user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gear (c) (at this time, the locking projection (d)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cking gear (c)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d) moves downward by the user's manipulation to engage the gear teeth of the locking gear (c). In this case, the rotation of the locking gear (c) is stopped and the entire driving operation part is stopped) and the first driving gear (e) is formed to rotate in cooperation with the handle part (b), and the first driving The gear (e) is rotated by a second driving gear (f) interlocked by a chain (p) or a belt, and the third driving gear (h) on the second driving shaft (g)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gear (f) ) Is form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driving gear (f), and the third driving gear (h) is connected to a chain (p) or a belt. Mobile gear wheel (i) of the rack bottom is associated with the wheel that has a structure that is rotated in associa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상기 회동축들이 모두 전면패널(j)에 고정수단(o)으로 결합고정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구동조작부의 모든 구성들의 하중이 전면패널(j)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b)의 회전시 회전력만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키다 보니 갑작스런 하중 전달로 인해 책 등이 수납되어 무거워진 모빌랙의 자중에 의한 관성으로 전면패널(j)이 뒤틀어져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단순한 선반(k)과 프레임의 조합에 있어서는 모빌랙을 확장하거나 조립하는 것에 있어 각기 다른 부재가 필요하여 경제성과 신속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structure, since all of the rotation shafts are supported by being fixed to the front panel (j) by a fixing means (o), the loads of all components of the driving control unit are transmitted to the front panel (j) as well as the handle. When the mobile rack is moved with only the rotational force when the part (b) is rotated, the front panel (j) is distorted or deformed due to the inertia due to the weight of the mobile rack, which is heavy because the book is stored due to sudden load transfer. Is done. In addition, in the combination of the simple shelf (k) and the frame, different members are required to expand or assemble the mobile rac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conomic efficiency and speed are reduced.

나아가, 도 1과 같이 모빌랙이 이동하는 상황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기타 물체가 모빌랙의 이동가능한 영역 내에 존재하며 모빌랙과 충돌하거나 모빌랙 밑에 깔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지진 등으로 인한 외력 때문에 모빌랙이 흔들리거나 비틀림 또는 예상치 못한 하중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 모빌랙의 자중으로 인하여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모빌랙과 연동되어 돌아가는 핸들부에 의해 주변 사물이나 사람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며, 모빌랙의 시스템에도 손상이 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Further, in the situation where the mobile rack moves as illustrated in FIG. 1, a user or other object may exist in the mobile rack's movable area and collide with the mobile rack or may be laid under the mobile rack, and external forces due to earthquakes, etc. Therefore, the mobile rack may be shaken, twisted, or an unexpected load may occur. At this time, a safety problem may occur due to the weight of the mobile rack, and it may be a threat to nearby objects or people by the steering wheel that is connected to the mobile rack.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damage to the mobile rack system.

또한 모빌랙을 임의로 조작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 모빌랙 내에 수용된 문서들에 대한 보안성이 떨어지는 점, 모빌랙을 오래 사용하는 경우 바퀴나 바퀴축 또는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등이 느슨해서 변형되어 이동시 소음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원활한 구동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rack can be arbitrarily manipulated and moved to reduce the security of documents accommodated in the mobile rack, and when the mobile rack is used for a long time, the wheels, axles, or chains that transmit power may be loosely deformed, resulting in noise during movement. This occurs, of cours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smooth drive.

한국등록특허공보 10-1622241호(2016.05.12)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22241 (2016.05.1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544호(2008.04.10)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39544 (2008.04.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모빌랙의 잠금 시 임의로 이동부의 바퀴가 레일부 위에서 미끄러짐 운동을 통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빌랙이 사용가능하도록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that can prevent the mobile rack from being opened to be usable by randomly moving the wheel of the mobile unit through a sliding motion on the rail when the mobile rack is lock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퀴기어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바퀴기어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바퀴기어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바퀴기어의 이로부터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도록 구비되어 바퀴기어가 미끄러짐 운동을 할 시 바퀴기어 수용체에 의해 그 변위가 제한됨으로써 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 모빌랙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eel gear receptor capable of accommodating a tooth of a wheel gear, wherein the wheel gear receptor has a distance from one side to the center of the wheel gear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tooth gear to the center of the wheel gear.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mobile rack by preventing the wheel from slipping because the displacement is limited by the wheel gear receptor when the wheel gear is sli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퀴기어 수용체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그 전후방으로의 길이가 상기 체결수단의 전후방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어 바퀴기어 수용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바퀴기어가 수용체 내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gear receptor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from one side to include a fastening hole for receiving the fastening means, the fastening hole so that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is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fastening means It is formed to be provided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wheel gear receptor to prevent damage to the wheel gear receptor and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so that the wheel gear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to the recep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일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모빌랙이 배열된 경우,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상기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한 잠금상태 시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됨으로써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mobile racks provided to be movable on a rail portion is arranged, the wheel gear receptor is where the plurality of mobile racks are located where the mobile unit of the outermost mobile rack is located in an adjacent locked state.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by being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재와 거치부재의 거치와 체결이 용이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지지부재의 양방향에 거치할 수 있으며 탈거가 용이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rack having improved assembly and expandability that facilitates mounting and fastening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unting member, and allows the mounting member to be mounted in both directions of the support member and is easy to rem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치부재의 거치를 보조하는 거치수단과 거치수단이 삽입되는 거치공을 포함하여 거치수단을 매개로 거치부재가 거치되어 거치 및 탈거가 용이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d assembly and expandability that is easy to mount and remove because the mounting member is mounted via the mounting means, including a mounting means to assist mounting of the mounting member and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the mounting means is inserted.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치수단이 지지부재의 거치공에 거치되면서 탈락을 방지하고, 양측에 거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rack having improved assembly and expandability that is provided so that the mounting means is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of the support member to prevent dropping and to mount the mounting member on both sid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재와 거치부재가 모듈화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전체적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균일한 응력을 가지는 것을 통해 조립 및 확장이 용이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unting member are modular, and the support member has an overall symmetrical shape so that it has a uniform stress and has improved assembly and expandability for easy assembly and expansion. It is to provide a rac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치된 거치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양호한 체결력을 부여하고, 나아가 모빌랙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부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od fastening force between the mounted mountin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nd further improve the assembly and expandability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frame part by allow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mobile rack to be closed.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가 저항을 감지함에 따라 구동부의 운전을 정지시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enhanced stability when detecting a resistance that can improve stability by stopping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s the control unit senses the resist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부가 모빌랙의 진행방향에 대한 저항을 감지하고 저항감지부에서 계산되는 속력과 기 하달된 속력을 비교하여 모빌랙의 진행방향에 물체가 존재하여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판단가능한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resistanc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bile rack and compares the speed calculated by the resistance detection unit with a predetermined speed, and the presence of an object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bile rack to generate resistance.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enhanced stability when detecting a detectable resist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신체에서 발신된 전자기파가 수신체에 수신되는 주기를 통하여 이동부의 속도를 계산하고, 출력부에 하달된 속력과 비교하여 각 속력이 다른 경우 모빌랙에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부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lculate the speed of the moving part through a cycle in which electromagnetic wave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re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when each speed is different compared to the speed delivered to the output, resistance to the mobile rack occurs.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enhanced stability upon detection of resistance that can determine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moving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신체에서 발신된 전자기파는 저항감지부의 날개 사이 공간으로 진행하고, 저항감지부가 바퀴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바퀴의 회전속도에 따라 수신주기가 달라짐으로써 모빌랙의 속력 및 물체에 의한 저항을 판단하여 모빌랙을 정지시킴으로써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proceeds to the space between the wings of the resistance detector, and the resistance detector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so that the reception cycle varie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enhanced stability when detecting a resistance capable of enhancing stability by stopping the mobile rack by determining the speed and resistance by an obje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빌랙의 전후방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물체감지부를 포함하여 모빌랙의 진행방향에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구동부의 운전을 정지시켜 물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n object detection unit provided to detect an object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mobile rack, when the object is present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bile rack,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stopped to prevent the object from being pinched.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enhanced stability when detecting resistance.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 등으로 인하여 모빌랙의 측방 또는 상하변위가 발생하여 전도가 발생하는 상황에 있어서, 프레임부의 측방 및 상하변위를 제한하여 모빌랙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lateral or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mobile rack occurs due to an earthquake, and thus conduction occurs, the lateral and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frame portion is limited to prevent the mobile rack from falling through.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모빌랙 사이에서 모빌랙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보조체 및 상기 이동보조체를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하도록 구비된 결합체를 포함하여 모빌랙의 이동을 지지체를 통해 가이드함으로써 모빌랙의 상부에서 외력에 대한 지지를 통해 모빌랙 하부에 토크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to the front and rear, the support for guid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the support member for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rack between the support and the mobile rack, and the moving support member in the frame part Provides a mobile rack including an anti-conduction unit that prevents torque from acting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rack through support for external for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rack by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rack through a support, including a coupling body provided to connect to the Is to d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보조체는 내부에 상기 지지체를 관통수용하여 지지체를 따라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모빌랙을 기준으로 한 지지체의 수직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support is formed to enabl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along the support by allowing the support to penetrate therein to prevent the fall of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upport relative to the mobile rack constant.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containing wealt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보조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회전체는 중심축이 상기 결합체와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모빌랙의 수직 및 측방변위를 제한할 수 있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auxiliary body includes at least one rotating body, the rotating body guides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through a rotational movement, and the rotating body has a central axis engaged with the coupling body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including a fall preventing portion that can limit the vertical and lateral displacement of the mobile rack by being fix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보조체는 2개의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각각 상기 지지체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체를 따라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모빌랙와 지지체의 상하변위를 제한하여 모빌랙이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auxiliary body includes two rotating bodies, and the rotating bodies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body, respectively, and are formed to allow the mobile rack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support body.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including a fall preventing portion to prevent the mobile rack from falling off the rail by limit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mobile rack and the support.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레일부 상에서 이동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핸들부가 구동부의 핸들기어와 선택적으로 연동되거나 연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빌랙의 구동방식에 따라 회전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핸들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모빌랙 주변환경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otate the handle part so that it does not rotate or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mobile rack by preventing the handle part from selectively interlocking or interlocking with the handle gear of the driving part in the mobile rack that is electrically or manually moved on the rail part.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including a handle unit with improved stability to control the safe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mobile rac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들부는 핸들바디와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 또는 연결하도록 구비된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핸들부와 핸들기어의 연동을 선택적으로 단절시켜 모빌랙의 이동 시 주변의 물건이나 사람이 핸들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including a clutch portion provided to cut off or connect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handle gear and the handle body selectively by selectively disconnecting the handle portion and the steering gear interlocking when the mobile rack is moved around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comprising a handle portion with improved stability to prevent the object or person from colliding with the handl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의 조작을 통해 핸들부와 핸들기어의 연동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rack including a handle portion with improved stability that can be easily used by a user by controlling the linkage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handle gear through manipulatio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빌랙이 전동식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동되지 않도록 하여 회전하지 않아 전동식으로 모빌랙이 이동할 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rack is moved electrically, the handle part does not rotate by not interlocking with the driving part, so that the mobile part includes a handle part with improved stability for safety of the user when the mobile rack is moved electrically. It is to provide a rac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구동부가 수동식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동되어 회전하여 핸들로부터의 동력을 전달가능한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rack including a handle portion with improved stability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from the handle by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portion when the drive portion is manually moved.

본 발명의 목적은, 모빌랙의 이동부 및/또는 각 부분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인에 있어서, 고하중 및 반복하중이 재하됨에 따라 상기 체인이 신장되어 각 기어에서 탈락함으로써 동력전달이 불완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ain provided to transmit power to the mobile part and / or each part of the mobile rack, the chain is extended as the high load and repetitive load is loaded, the power transmission by falling off each gear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including a driv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provided to prevent incompletene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동력전달부는 체인과 연동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텐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조절부는 소정거리 이동가능하여 상기 체인의 텐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체인의 길이 변화량에 따라 텐션조절부를 이동시켜 체인의 신장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tension adjustment unit provided to be rotatable in conjunction with a chain, and the tension adjustment unit is movable to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chain so as to change the length of the chain. Accordingly,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including a driv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by moving the tension adjusting unit to adjust the elongation of the chai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텐션조절부는 이동플레이트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소정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여 상기 체인의 텐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동력전달이 불완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adjusting portion is provided to be rotatable on the movable plate, the movable plate is mov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o as to be possibl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chain, thereby preventing power transmission from being incomplete. It is to provide a mobile rack including a driv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tension.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레일부 및 상기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기 레일부 상에서의 미끄러짐 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forming the frame of the mobile rack, the moving portion for supporting and moving the frame portion under the frame portion, and provided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It includes a rail portion and a power transmission portion that transmits power to the moving portion, and includes a driving portion provided to move the mobile rack manually or electrically, wherein the rail portion prevents sliding movement on the rail portion of the mov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바퀴의 회전을 제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art includes a wheel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rail part, and the driving part further includes a locking part that selectively restricts rotation of the wheel.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바퀴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바퀴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바퀴기어의 전후방으로의 미끄러짐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includes a wheel gear provided to transmit power to the wheel, the rail portion can limi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wheel gea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는 상기 바퀴기어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바퀴기어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바퀴기어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바퀴기어의 이로부터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portion includes a wheel gear receptor that can accommodate the wheel gear, the wheel gear receptor is the distance from one side to the center of the wheel gear is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gear whee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gear receptor is movable back and fort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그 전후방으로의 길이가 상기 체결수단의 전후방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gear receptor is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from one side to include a fastening hole for receiving the fastening means, the fastening hole has a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fastening It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wheel gear recept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잠금부는 잠금체와 잠금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체와 잠금돌기는 선택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의 기어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locking body and a locking projection, and the locking body and the locking projection are provided to selectively limit the rotation of the gear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d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부는 잠금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체와 잠금돌기는 상기 잠금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lock gear, and the lock body and the lock protrusion are provided to limit rotation of the lock gea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잠금돌기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상을 갖고 하향이동하여 상기 주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의 이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rojection has a bar (bar) as a whole and is moved downward to be provided to limit rotation by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between the main gear or the driven gear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모빌랙이 배열된 경우,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상기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한 잠금상태 시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mobile racks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rail portion is arranged, the wheel gear receptor is the outermost mobile when the plurality of mobile racks are in an adjacent locked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here the moving part of the rack is loc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레일부 및 상기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기 레일부 상에서의 미끄러짐 운동을 방지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portion forming a frame of a mobile rack, a moving portion supporting and moving the frame portion under the frame portion, a rail portion provided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s of the mobile rack, and power to the moving portion. 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includes a drive unit provided to move the mobile rack by electric or manual, wherein the rail unit provides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to prevent sliding movement on the rail unit of the moving unit It works.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바퀴의 회전을 제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여 잠금 시 바퀴의 회전과 미끄러짐운동을 제한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portion includes a wheel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rail portion, the drive portion furth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security to limit the rotation and sliding movement of the wheel when lock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improved castle.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바퀴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바퀴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바퀴기어의 전후방으로의 미끄러짐 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바퀴기어가 레일부 상에서 미끄러져 모빌랙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includes a wheel gear provided to transmit power to the wheel, the rail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limi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wheel gear to the front and rear wheel gear sliding on the rail porti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mobile rack.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는 상기 바퀴기어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바퀴기어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바퀴기어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바퀴기어의 이로부터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도록 구비되어 바퀴기어가 미끄러짐 운동을 할 시 바퀴기어 수용체에 의해 그 변위가 제한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수반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portion includes a wheel gear receptor that can accommodate the teeth of the wheel gear, the wheel gear receptor has a distance from one side to the center of the wheel gear than the distance from this to the center of the wheel gear It is provided to be short, and it carries the effect of providing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in which the displacement is restricted by the wheel gear receptor when the wheel gear is sliding.

본 발명은,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바퀴기어에 의해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gear receptor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to prevent the wheel gear receptor from being damaged by the wheel gear.

본 발명은,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그 전후방으로의 길이가 상기 체결수단의 전후방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어 바퀴기어 수용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바퀴기어가 수용체 내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gear receptor is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from one side to include a fastening hole for receiving the fastening means,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fastening means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fastening means It is provided to guide the front-rear movement of the wheel gear recepto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wheel gear receptor and deriving an effect of providing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that allows the wheel gear to be easily accommodated into the receptor.

본 발명은, 상기 잠금부는 잠금체와 잠금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체와 잠금돌기는 선택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의 기어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잠금시 바퀴의 회전을 제한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locking body and a locking projection, and the locking body and the locking projection are provided to selectively limit the rotation of the gear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ereby improving security to limit rotation of the wheel when locked.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obile rack.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부는 잠금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체와 잠금돌기는 상기 잠금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가 존재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includes a lock gear, the lock body and the locking projec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provid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ock gear.

본 발명은, 상기 잠금돌기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상을 갖고 하향이동하여 상기 주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의 이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되어 동력전달부의 기어 회전 단속을 통해 모빌랙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rojection has a bar shape as a whole and is moved downward to be provided to limit rotation by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therebetween of the main gear or the driven ge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that restricts movement.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모빌랙이 배열된 경우,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상기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한 잠금상태 시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되어 모빌랙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mobile racks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rail is arranged, the wheel gear receptor is provided where the moving parts of the outermost mobile rack are located when the plurality of mobile racks are in an adjacent locked state. The effect of providing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to prevent the rack from opening is derived.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모빌랙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모빌랙의 전면패널과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R)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의 문서 등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모빌랙의 구동부를 포함한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1)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12)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12)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체(13)의 사시도.
도 11은 상기 거치체(13)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2는 도 7의 A 부분에서 상기 거치체(13)가 삽입공(111a)에 삽입되고 정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 및 구동부(2)가 결합지지되는 지지패널(18)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1체인(210b)을 중심으로 한 동력전달부(21)의 기어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보조기어(216)가 제2체인(210a)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조기어(219)가 제1체인(210b)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상기 이동부(3) 내의 바퀴축(33)과 바퀴(34) 및 바퀴기어(218)가 레일부(6) 위를 진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를 도시한 블록도.
도 20은 도 17의 B부분에서 저항감지부(411)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의 중앙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19의 물체감지부(413)가 프레임부(1)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5)의 정면도.
도 23은 상기 핸들부(5)의 배면도.
도 24는 상기 핸들부(5)의 클러치부(53)가 핸들부 회전에 따라 핸들기어(219)에 걸리는 거동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부(53)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기어 수용체(61)가 레일부(6) 상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레일부(6) 상에 구비된 바퀴기어 수용체(61)에 바퀴기어(218)가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8은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가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한 잠금상태 시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7)가 프레임부의 지지부재(11)와 거치부재(12) 상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상기 전도방지부(7)의 이동보조체(71) 및 결합체(73)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mobile rack.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ront panel and a driving unit of a conventional mobile rack.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stem including a mobile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rack (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ocuments of a mobile ra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including the driving portion of the mobile rack.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11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member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member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1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of the mounting body 13 as viewed from the front.
1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mounting body 1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1a and settled in part A of FIG. 7.
13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anel 18 to which the driving unit 2 and the driving unit 2 are coupled and supp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gear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1 centering on the first chain 210b.
15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auxiliary gear 2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chain 210a.
16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uxiliary gear 21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chain 210b.
17 is a view showing a moving part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that the wheel axle 33, the wheel 34, and the wheel gear 218 in the moving part 3 run on the rail part 6.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that the resistance detection unit 411 is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able support frame 32 in part B of FIG. 17.
21 is a view showing that the object detection unit 413 of FIG. 19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frame unit 1.
22 is a front view of the handle part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rear view of the handle portion 5.
24 is a view showing the behavior of the clutch portion 53 of the handle portion 5 is caught by the handle gear 219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25 is a view showing a clutch portion 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gear receptor 6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rail part 6.
2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gear 218 is accommodated in the wheel gear receptor 61 provided on the rail part 6.
FIG. 28 is a view showing that the wheel gear receptor 61 is provided where a moving portion of the outermost mobile rack is located when a plurality of mobile racks are in an adjacent locked state.
29 is a view showing that the fall prevention unit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11 and the mounting member 12 of the frame.
30 is a view showing a moving auxiliary body 71 and the coupling body 73 of the fall prevention portion 7.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f there is a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 used herein It follows the definition used in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요소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간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끼리 직접 접촉하며 체결된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체결되어있지 않더라도 소정의 힘이나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an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term "~ unit" described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n addition, when it is said to be "connected" between certain components, it is not limited to being directly contacted and fastened between components, but includes fastening through other components, and can transmit a certain force or energy even if it is not fastened. It can mean that it is arranged.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R)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모빌랙(R)은 이동식 서가나 수장고 등을 포함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거치부재의 거치와 체결이 용이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지지부재의 양방향에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된 거치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양호한 체결력을 부여하고, 나아가 모빌랙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부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빌랙(R)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프레임부(1), 구동부(2), 이동부(3), 제어부(4, 도 19 참조), 핸들부(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레일부(6) 및 전도방지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표시된 축을 기준으로 할때, x축 방향을 전후방, y축 방향을 측방, z축 방향을 상하방이라고 정의하고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stem including a mobile ra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rack 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mobile rack (R) is a mobile rack or a mobile rack or a storage rack, such that the mounting and fastening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unting member is easy, and the mounting member is mounted in both directions of the support mem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ood fastening force between the mounted mountin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nd furthermore, to at least partially block the mobile rack, thereby preventing distortion of the frame portion. The system including the mobile rack (R) may include a frame unit (1), a driving unit (2), a moving unit (3), a control unit (4, see FIG. 19), a handle unit (5), additionally It may include a part (6) and the fall prevention portion (7). Hereinafter, based on the axis shown in FIG. 4, the x-axis direction is defined as the front-rear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is lateral, and the z-axis direction is defined as up and dow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의 문서 등을 수용하는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모빌랙의 구동부를 포함한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프레임부(1)는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프레임부(1)를 통해 형성된 모빌랙의 골조 내부에는 문서 등의 사물이 수용되고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는 지지부재(11), 거치부재(12) 및 거치수단(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측면패널(14,15) 및 후면패널(16)을 포함할 수 있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ccommodating a document or the like of a mobile ra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including a driving part of the mobile rack. 5 and 6, the frame part 1 is provided to form the frame of the mobile rack, and objects such as documents may be accommodated and stored inside the frame of the mobile rack formed through the frame part 1. have. The frame part 1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11, a mounting member 12, and a mounting means 13,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side panels 14, 15 and a rear panel 16.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1)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재(11)는 수용공간의 측면에 구비되어 모빌랙 프레임부의 측벽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선반 등 후술하는 거치부재(12)를 거치할 수 있되, 상기 거치부재(12)를 양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좌우 구분없이 사용가능하여 모빌랙 조립시 경제성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탈거가 용이하여 수용공간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는 직선부(111), 전방절곡부(112), 전방비드(113) 및 후방절곡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1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5 to 7, the support member 11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can function as a side wall of the mobile rack frame portion, in detail, it is possible to mount a mounting member 12 to be described later, such as a shelf. However, by allowing the mounting member 12 to be mounted in both directions, it can be us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left and right, so that economic and convenience can be achieved when assembling a mobile rack, and it is easy to remove to effectively change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support member 11 may include a straight portion 111, a front bent portion 112, a front bead 113 and a rear bent portion 114.

상기 직선부(111)는 상기 프레임부(11)의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선부(111)는 수용공간의 측면을 폐색할 수 있으며, 수용된 물건들을 측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직선부(111)에는 후술하는 거치수단(1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거치공(11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단 또는 하단에 후술하는 거치부재(12)와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straight part 111 may be provided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of the frame part 11. Accordingly, the straight portion 111 can occlude th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an support the accommodated objects from the side. A mounting hole 111a may be formed in the straight portion 111 to accommodate the mounting means 13 to be described later, and a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at the upper or lower end to be fastened with the mounting member 12 described below. have.

상기 거치공(111a)은 지지부재(11)의 직선부(111)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상하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선부(111)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재(12)의 거치 또는 탈거를 통한 수용공간의 변화 시 용이하게 거치수단(13)을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다.The mounting hole (111a)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up and down the front and / or rear of the straight portion 111 of the support member 11, preferably the front and rear of the straight portion 111 It can be formed vertically aligned to the side. Accordingly, the mounting means 13 can be easily inserted or removed when the accommodation space is changed through the mounting or removal of the mounting member 12.

상기 전방절곡부(112)는 상기 직선부(111)의 전단에서 절곡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절곡부(112)는 도 7에서와 같이 먼저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이후 반대로 절곡연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직선부의 전단에서 양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곡된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일 수 있다. 직선부의 전단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절곡연장된 길이가 같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바 이로 인하여 거치부재(12)의 거치 시 균일한 응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절곡부(11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절곡되어 형상을 이루어 단면이 'ㅜ' 모양을 형성하고, 절곡에 따라 겹쳐지게 함으로써 강도와 강성을 높여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The front bent portion 112 may be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at the front end of the straight portion 111.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bent portion 112 is first bent to be extended to one side as shown in FIG. 7, and then bent and extended to the opposite side, and thus may have a shape bent to both sides at the front end of the straight portion as a whole, The bent angle may preferably be approximately 90 degrees. It is formed so that the lengths bent and extended from the front end of the straight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are the same to form a horizontally symmetric plane as a whole, so that uniform stress can be provided when the mounting member 12 is mount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front bent portion 112 preferably has a shape in which a metal plate is bent to form a 'TT' shape, and overlaps according to the bending, thereby increasing strength and rigidity. High to prevent torsion.

상기 전방비드(113)는 전방절곡부(112)의 소정 위치에 절곡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의 하중, 비틀림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직선부(111)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된 직선과 전방절곡부(112)가 교차하는 위치, 즉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방절곡부(112)의 중앙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ront bead 113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ront bent portion 112, and may be provided to support a load in a vertical direction, torsion, etc., preferably a straight portion 111 )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front and the front bent portion 112 intersect, that is, in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bent portion 112.

상기 후방절곡부(114)는 상기 직선부(111)의 후단에서 절곡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절곡부(114)는 도 7에서와 같이 먼저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이후 반대로 절곡연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직선부의 후단에서 양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곡된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일 수 있다. 직선부의 후단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절곡연장된 길이가 같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평면을 형성하여 거치부재(12)의 거치 시 균일한 응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전방절곡부(112)와 같이, 후방절곡부(114) 또한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절곡되어 형상을 이루어 단면이 'ㅜ' 모양을 형성하고, 절곡에 따라 겹쳐지게 함으로써 강도와 강성을 높여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절곡부(1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14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ar bent portion 114 may be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at the rear end of the straight portion 111.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bent portion 114 may be first bent and extended to one side as shown in FIG. 7, and then bent and extended oppositely, to have a shape bent to both sides at the rear end of the straight portion as a whole, The bent angle may preferably be approximately 90 degrees. It is formed so that the lengths bent and extended from the rear end of the straight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are the same to form a horizontally symmetric plane as a whole, thereby providing uniform stress when the mounting member 12 is mounted. Like the front bent portion 112 described above, the rear bent portion 114 is also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plate which is bent to form a cross-section to form a 'TT', and overlap and bend according to the strength and rigidity. To prevent twisting. The rear bent portion 114 may include at least one fastening hole 114a.

상기 체결공(114a)은 후방절곡부(114) 상에 구비된 구멍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후방절곡부(114) 상에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후면패널(16)을 좌측, 우측 또는 양측에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결합수용할 수 있다.The fastening hole 114a is a hole provided on the rear bent portion 114 and may be formed vertically aligned. 16) can be accommodated by fastening through the fastening means on the left, right or both side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12)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12)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 및 9를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거치부재(12)는 상기 지지부재(11)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후술하는 거치수단(13)을 통해 지지부재(11)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12)가 지지부재(11)에 직접 체결 또는 거치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별도로 구비되는 거치수단(13)을 통해 지지부재(11)에 거치됨으로써 조립성과 확장성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12)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직사각형의 평면을 가지도록 구비되면서 바람직하게는 양측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전후방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부(121), 길이측절곡부(122) 및 폭측절곡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member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member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8 and 9, the mounting member 12 is provided to be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11, preferably extending horizontally as a whole, and mounting means 13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support member 11 may be mounted. The mounting member 12 can be directly fastened or mounted to the support member 11, but can be further assembled and expandable by being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11 through a separate mounting means 13. . The mounting member 12 may be formed to have a flat rectangular plane as a whole, and preferably, a length extending in both sides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a length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flat portion 121 and the length side bending portion may be formed. It may include a (122) and the width side bent portion (123).

상기 평면부(121)는 거치부재(12)의 상면을 형성하면서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구비되어 평면부(121) 상에 물건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평면부(121)는 복수개의 삽입공(121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삽입공(121a)을 통해 파티션 등이 삽입되어 수용공간을 격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공(121a)은 전후방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lat part 121 may be provided to be generally flat whil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12 to accommodate objects and the like on the flat part 121. The flat portion 1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21a, through which the partition or the like may be inserted to isolate the receiving space. Accordingly, preferably, the insertion hole 121a may be formed by being alig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길이측절곡부(122)는 상기 거치부재(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치부재의 전후단에서 절곡연장된 구성으로, 거치부재(12)의 깊이(depth)를 증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부가적으로 선택적으로 체결공을 포함함으로써 체결수단을 통해 지지부재(11) 또는 후술하는 베이스부재(17)와 체결됨으로써 후술하는 거치수단(13)에 거치되는 것 이상의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거치부재(12)가 지지부재(11) 및 후술하는 베이스부재(17)와 체결됨으로써 수용공간의 상면 및 하면을 폐색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로 인해 모빌랙의 상면 및 하면을 폐색하는 것에 대하여 다른 부재가 사용되지 않고 거치부재(12)가 사용되므로 조립성과 확장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length-side bending portion 122 is a configura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ounting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member 12, and increases the depth of the mounting member 12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In addition, by selectively including a fastening hole, the fastening means can exhibit a fastening force that is higher than that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11 or the base member 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fastening mean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member 12 is provided to be able to clos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ceiving space by being fastened with the support member 11 and the base member 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reby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rack And since the other member is not used for clos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mounting member 12 is used, assembling and expandability can be increased.

상기 폭측절곡부(123) 또한 거치부재의 양측단이 절곡연장된 것으로, 거치부재(12)의 깊이(depth)를 증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부가적으로 체결공(123a)을 포함함으로써 지지부재(11)와 체결되어 수용공간의 상면 또는 하면을 폐색시킬 수 있다.The width-side bent portion 123 is also a bent extension of both sides of the mounting member, increasing the depth (depth) of the mounting member 12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additionally by including a fastening hole (123a) the supporting member It can be closed with (11) to close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상기 거치부재(12)는 보강부(12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24)는 평면부(121)의 아래, 즉 거치부재(12)의 하면에 구비되는데, 거치부재(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처짐을 방지하고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면, 제1보강부(124a)는 거치부재(12)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2보강부(124b)는 상기 제1보강부(124a)의 양옆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보강부(124a)보다 적은 깊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처짐을 방지하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거치부재(12)의 하중을 지지하며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어떠한 형상에 대해서도 미칠 수 있다.The mounting member 12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ement portion 124. The reinforcing portion 124 is provided below the flat portion 121, that 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12, and is provid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member 12 to prevent sagging and to effectively support the load. have. Referring to the bar shown in FIG. 9,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24a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mounting member 12 and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24b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24a, and preferably has a depth less than that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24a to prevent sagging and load Can support.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can extend to any shape provid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mounting member 12 and prevent sagging.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13)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상기 거치수단(13)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7의 A 부분에서 상기 거치수단(13)이 거치공(111a)에 삽입되고 정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를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거치수단(13)은 거치부재(12)의 거치를 보조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거치수단(13)이 지지부재의 거치공(111a) 내에 삽입되어 정착되고, 그 위에 거치부재(12)가 거치되어 조립성과 확장성이 증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수단(13)은 거치공(111a)에 삽입될 시 지지부재(11)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거치공(111a)을 지나 타측으로 돌출되고, 그 중앙이 삽입공에 정착되어 안정적으로 거치부재(12)를 거치할 수 있다. 모빌랙의 경우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조립 시 물건이 수용되는 부분의 측면에 돌기 또는 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선반 등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치수단(13)이 거치공(111a)에 삽입되고 정착됨에 의해 거치부재(12)를 거치하게 되는 바, 거치수단(13)이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거치부재(12)가 거치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용되는 공간을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며, 거치수단(13)의 삽입 및 탈거가 용이한 바 조립과 확장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means 1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ront view of the mounting means 13 as viewed from the front. In addi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mounting means 13 ar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mounting hole 111a in part A of FIG. 7. Referring to Figures 10 to 12, the mounting means 13 may be provided to assist the mounting of the mounting member 12, the mounting means 13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11a) of the support member It can be settled, and the mounting member 12 is mounted thereon to be provided to increase assembly and expandability. When the mounting means 13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11a, it is inserted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 and passes through the mounting hole 111a and protrudes to the other side, and the center is fixed to the insertion hole to stably mount the member (12) can be mounted. In the case of the mobile rack, the shelf or the like is fixed because the protrusions or jaws exist on the side of the part where the object is accommodated when manufactured in one piece or assembl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member 13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unting hole 111a, thereby mounting the mounting member 12.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which the mounting means 13 is inserted, the mounting member 12 is provided. The position to be mounted is changed, and accordingly, the space accommodated is freely adjustable, and assembling and expansion can be easily performed as the mounting means 13 can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13)은 전체적으로 양측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지지부재(11)를 기준으로 할 때 대칭되는 길이만큼 돌출되어 거치부재(12)를 양쪽으로 거치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수단(13)은 평활부(131), 굴곡부(132), 중앙부(133) 및 스토퍼(134)를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means 13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as a whole, protruding a symmetrical length relative to the support member 11 to mount the mounting members 12 on both sides. And can be provided to support. The mounting means 13 may include a smooth portion 131, a bent portion 132, a central portion 133 and a stopper 134.

상기 평활부(131)는 거치수단(13)의 양쪽으로 전체적으로 평활하게 연장된 부분으로, 거치부재(12)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활부(131)는 양쪽으로 연장된 길이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어떤 측으로 거치부재를 거치하더라도 지지력과 응력이 균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moothing part 131 is a part that extends smoothly to both sides of the mounting means 13 and is provided to mount the mounting member 12.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oothing portion 131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extending on both sides,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and stress are uniform even when the mounting member is mounted on any side.

상기 굴곡부(132)는 거치공(111a)으로부터 거치수단(13)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굴곡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삽입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굴곡부(132)는 좌우대칭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132)는 평활부(131)로부터 연장된 상부에서는 내측으로 굴곡진 오목부(132a)를 포함하고, 하부에서는 외측으로 굴곡진 볼록부(132b)를 포함하여 거치공(111a)에 안착 시 탈락이 용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bent portion 132 may be formed while forming a whole bend to prevent the mounting means 13 from falling out of the mounting hole 111a. For ease of insertion, the bent portion 132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portion 132 includes a concave portion 132a curved inward at the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mooth portion 131, and a convex portion 132b curved outward at the lower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stable support by preventing the drop-off when seated in the mounting hole (111a), including.

상기 오목부(132a)는 상기 평활부(131)로부터 연장되고, 거치수단의 비교적 상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굴곡된 부분을 지칭하고, 상기 볼록부(132b)는 상기 오목부(132a)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부분을 지칭한다. 거치수단의 굴곡부(132)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함에 따라 오목부(132a)와 볼록부(132b)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거치공(111a)에 거치될 시 평활부(131)는 오목부(132a)로부터 충분한 돌출길이를 갖게 되고, 굴곡진 부분들로 인해 거치공(111a)에서 쉽게 탈거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ncave portion 132a extends from the smooth portion 131 and refers to a portion that is concavely curved inward from the top of the mounting means, and the convex portion 132b is downward from the concave portion 132a. It refers to a portion that is convexly curved outward while being extended. The bent portion 132 of the moun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132a and a convex portion 132b as it progres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smoothing portion 131 is a concave portion (131) when mounted in the above-described mounting hole 111a. It may have a sufficient protruding length from 132a), and may not be easily removed from the through hole 111a due to the curved portions.

상기 중앙부(133)는 상기 거치수단(13)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거치수단(13)이 거치공(111a)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부(133)는 양측 굴곡부(132)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거치수단(13)이 거치공(111a)에 삽입되어 안착될 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entral portion 13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unting means 13 so that the mounting means 13 can be seated in the mounting hole (111a).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ortion 133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between the two bent portions 132 so that the mounting means 13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11a to move left and right when seated. Can be prevented.

상기 스토퍼(134)는 상기 거치수단(13)의 삽입 정도를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34)는 일측 굴곡부(132)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거치수단(13)의 삽입 시 지지부재(11)와 접촉함으로써 거치수단(13)이 과도하게 삽입되어 정착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topper 134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mounting means 13. The stopper 134 is formed to extend substantially downward from the one side bent portion 132 to prevent the mounting means 13 from being excessively inserted and settled by contacting the support member 11 when the mounting means 13 is inserted.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거치수단(13)이 거치공(111a) 내로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일측 평활부(131)가 먼저 삽입되고, 이후 굴곡부(132)의 삽입을 위해 거치수단(13)을 상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굴곡부(132)를 삽입시키고 난 후에는 스토퍼(134)에 의해 더이상의 삽입이 제한되고, 거치수단(13)은 중력에 의해 중앙부(133)가 거치공(111a)에 걸쳐지면서 정착된다. 이에 따라 거치수단(13)이 삽입-회전-삽입의 방법으로 거치되고, 양측 평활부(131) 상에 거치부재(12)가 거치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거치수단(13)이 거치된 상태에서는 좌우 변위가 제한되며 거치수단(13)의 회전이 어려우므로 안정적인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whe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ounting means 13 into the mounting hole 111a is described, one smoothing part 131 is first inserted, and then mounting means 13 for insertion of the bent part 132. Will rotate upward. After inserting the bent portion 132, further insertion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134, and the mounting means 13 is settled while the center portion 133 is extended over the mounting hole 111a by gravity. Accordingly, the mounting means 13 is mounted by a method of insertion-rotation-insertion, and the mounting members 12 are mounted on both side smooth portions 131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th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means 13 is mounted, left and right displacements are limited, and rotation of the mounting means 13 is difficult, so that a stable coupling force can be provided.

이와 같이 상기 거치수단(13)이 일측에서 지지부재의 거치공(111a) 내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돌출되고 고정됨으로써, 도 12의 (c)와 같이 지지부재(11)를 기준으로 양측에 평활부(131)가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거치부재(12)를 양측의 평활부(131) 상에 거치할 수 있는 바 손쉽게 지지부재(11)의 양쪽으로 거치부재(12)의 거치 또는 연결이 가능하며, 나아가 모빌랙의 수평적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means 13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11a of the support member from one side and protrud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smoothing portions on both sides based on the support member 11 as shown in FIG. 12 (c) ( 131) will exist. Accordingly, the mounting member 12 can be mounted on the smoothing portions 131 on both sides, so that the mounting member 12 can be easily mounted or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11, and furthermore, the mobile rack can be horizontally mounted. It can be extended.

다시 도 5 및 6을 참고하면, 상기 측면패널(14,15)은 상기 프레임부(11)의 측방에서 구비되고, 모빌랙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측면패널(14,15)은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재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결속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패널(14)은 모빌랙의 외관을 구성하는 바 측면을 폐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구동부(2)가 구비되는 측의 측면패널(15)은 구동부(2)가 구비되지 않는 측의 측면패널(14)과는 달리 핸들부(5)나 잠금부(23)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5 and 6, the side panels 14 and 15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rame portion 11 and may be provided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rack. The side panels 14 and 15 are preferably fastened by a support member and a fastening means to be bound, and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The side panel 14 may be provided to obstruct the side surfaces of the bar forming the exterior of the mobile rack, but the side panel 15 on the side provided with the driving unit 2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provided with the driving unit 2 Unlike the side panel 14 on the side that does not have a predetermined opening so that the handle portion 5 or the locking portion 23 can protrude outward.

상기 후면패널(16)은 모빌랙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16)은 바람직하게는 모빌랙 내 수용공간의 후면을 폐색하도록 함으로써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된 물건들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절곡부(114)와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됨으로써, 외력으로 인한 비틀림힘을 지지할 수 있다.The rear panel 16 may be provided to close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mobile rac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panel 16 may be provided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support the rear of the stored objects by preferably clos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mobile rack. In addition, by being fastened through the rear bending portion 114 and the fastening means of the support member,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torsional force due to external force.

나아가 상기 프레임부는 지지패널(18)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패널(18)은 제1지지패널(181)과 제2지지패널(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 및 구동부(2)가 결합지지되는 지지패널(18)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패널(18)은 상기 측면패널(14,15)과는 독립적으로 지지부재(11)에 결합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패널(18)은 후술하는 구동부(2)의 각 구성을 실질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구동부(2)의 각 구성은 지지패널(18)에 결합지지되어 상황에 따라 관리자가 측면패널(15)을 개방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8)은 지지부재(11)에 양단이 결합지지되는 제1지지패널(181)과 상기 제1지지패널(18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결합지지되는 제2지지패널(182)을 포함하며, 후술하는 구동부(2)의 각 구성은 제1지지패널(181) 및 제2지지패널(182)에 분할되어 결합지지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ram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nel 18, and the support panel 18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nel 181 and a second support panel 182. 13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anel 18 to which the driving unit 2 and the driving unit 2 are coupled and supp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the support panel 18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1 independently of the side panels 14 and 15. The support panel 18 may substantially support each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2 to be described later, and each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2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anel 18, so that the administrator may side panel 15 according to the situation. Open it and manage it. The support panel 18 includes a first support panel 181, both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1, and a second support panel 182, which is coup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anel 181.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driving unit 2 described later may be divided into the first support panel 181 and the second support panel 182 to form a structure that is coupled and supported.

도 14는 제1체인(210b)을 중심으로 한 동력전달부(21)의 기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텐션조절부(216)가 제2체인(210a)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텐션조절부(219)가 제1체인(210b)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16를 참고하면, 상기 구동부(2)는 후술하는 이동부(3)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부(2)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한 모빌랙의 측면에 위치하여 발생한 구동력을 모빌랙의 하부에 전달시킴으로써 이동부(3)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2)는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동력을 이동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1) 및 상기 동력전달부(21) 내의 동력 전달을 제한할 수 있는 잠금부(23)를 포함한다.14 is a view showing a gear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1 centering on the first chain 210b. 15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tension adjustment unit 2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chain (210a) portion, Figure 16 is a first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adjustment unit 219 is provided in the first chain 210b. 13 to 16, the driving unit 2 is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to the moving unit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driving unit 2 is generally provided on the side of a mobile rack that is easily accessible and operated by a user. By moving the generated driving forc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rack, the moving part 3 can be moved back and forth. The drive unit 2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21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mobile unit, either manually or electrically, and a lock unit 23 capable of limiting power transmission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1.

상기 동력전달부(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가해지는 동력을 이동부(3)로 전달할 수 있다. 동력의 전달을 위해서 복수개의 기어와 체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이격된 기어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 체인(210)과 구동축(211), 잠금기어(212), 주동기어(213), 핸들기어(214), 종동기어(215), 텐션조절부(216,219), 연동기어(217) 및 바퀴기어(218)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1 may transmit power applied manually or electrically to the moving unit 3. For transmission of power, a plurality of gears and chains may be provide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provided with a chain 210 and a drive shaft 211, a lock gear 212, a main gear 213, a handle gear 214, a driven gear 215, tension provided to transmit power between spaced gears Control unit 216,219, may include interlocking gear 217 and wheel gear 218.

도 13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제1체인(210b)은 후술하는 연동기어(217)와 바퀴기어(218) 및 제1텐션조절부(219)를 걸쳐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215) 및 제2구동축(211b)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연동기어(217)로부터의 동력을 이동부(3)와 연결된 바퀴기어(218)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Referring to Figure 13, the first chain (210b) is provided over the interlocking gear 217 and the wheel gear 218 and the first tension control unit 219 to be described later, the driven gear (215) )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211b are provided to transmit power from the interlocking gear 217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driving shaft 211b to the wheel gear 218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3.

상기 제2체인(210a)은 주동기어(213)와 종동기어(215) 및 제2텐션조절부(216)를 걸쳐 구비되며, 제1구동축(211a)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제2구동축(211b)에 연결되어 구비된 종동기어(215)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The second chain 210a is provided over the main gear 213, the driven gear 215, and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part 216, and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e shaft 211a is the second drive shaft 211b. It is provided to be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215 is provided is connected to.

상기 제1체인(210b)과 제2체인(210a)은 모빌랙의 장기간 사용 시 하중에 의해 느슨해져 동력의 전달이 불완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잇어서는, 상기 제1체인(210b)과 제2체인(210a)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오랜기간 사용에도 온전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hain 210b and the second chain 210a may become loose due to a load when the mobile rack is used for a long time, and power transmission may be incomplete.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of the first chain 210b and the second chain 210a is provided so as to be provided to enable full power transmission even for a long period of use.

상기 제1구동축(211a)은 제2지지패널(182)에 결합지지되고,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축(211a)의 상에는 후술하는 잠금부(23)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이 멈추도록 구비된 잠금기어(212)가 형성될 수 있고, 일단에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주동기어(213)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후술하는 핸들부(5)와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연동되도록 구비된 핸들기어(21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shaft 211a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anel 182 and can be rotated by power transmitted manually or electrically. On the first driving shaft 211a, a locking gear 212 provided to selectively stop rotation may be formed by a locking unit 23 to be described later, and at one end, a main gear 213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 handle gear 214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5 to be described later and selectively interlocked.

상기 제2구동축(211b)은 제1지지패널(181)에 결합지지되고, 상기 제1구동축(211a)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이동부(3)까지 전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구동축(211b)의 일단에는 종동기어(215)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동기어(217)가 구비되어 상기 제2체인(210a)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제1체인(210b)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shaft 211b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nel 181 and may be provided to transmit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ing shaft 211a to the moving part 3. A driven gear 215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211b, and an interlocking gear 217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to transmit power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hain 210a to the first chain 210b. .

상기 잠금기어(212)는 제1구동축(211a) 상에 형성되어 핸들기어(214)에 의한 제1구동축(211a)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잠금기어(212)의 상부에 위치하는 후술하는 잠금돌기(233)가 하향이동되어 기어의 이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게 되면 잠금기어(212)는 잠금돌기(233)에 걸려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1구동축(211a) 및 제2구동축(211b)가 회전하지 못하여 이동부(3)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모빌랙의 이동을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후술하는 잠금부(23)와 연동하여 사용된다.The lock gear 212 is formed on the first drive shaft 211a and can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e shaft 211a by the handle gear 214. When the locking projection 233 to be described later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gear 212 is moved downward and at least a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gears, the locking gear 212 is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 233 and cannot be rotated. As a result, the first driving shaft 211a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211b cannot rotate, thereby preventing the moving part 3 from moving forward and backward. Sinc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bile rack as necessary, it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locking portion 2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주동기어(213)는 상기 제1구동축(211a)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1구동축(211a)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주동기어(213)에는 상기 제2체인(210a) 등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종동기어(215)와 연결된다. 이때, 주동기어(213)의 직경에 비해 종동기어(215)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면 주동기어(213)에 연결된 제1구동축(211a)의 회전속도에 비해 종동기어(215)에 연결된 제2구동축(211b)의 회전속도는 줄어드나, 제2구동축(211b)에 가해지는 토크는 증가하므로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main gear 21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driving shaft 211a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shaft 211a. The main gear 213 is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215 us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such as the second chain 210a. At this time, when the diameter of the driven gear 215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gear 213, the second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215 compared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driving shaft 211a connected to the main gear 213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shaft 211b is reduced, but since the torque applied to the second drive shaft 211b is increased, the mobile rack can be easily moved even with a small force.

상기 핸들기어(214)는 상기 제1구동축(211a)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1구동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핸들기어(214)는 후술하는 핸들부(5)와 선택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 핸들부(5)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경우에는 핸들부(5)의 회전을 제1구동축(211a)에 전달하여 결과적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handle gear 214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ing shaft 211a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shaft. The handle gear 214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interlocked with the handle part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handle part 5, rotation of the handle part 5 is performed by the first drive shaft 211a. You can transfer the mobile rack as a result.

상기 종동기어(215)는 상기 제2구동축(211b)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2구동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제2체인(210a)에 의해 전달되는 제1구동축(210a)의 회전을 제2구동축(211b)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The driven gear 215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211b and can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ing shaft, and rotates the first driving shaft 210a transmitted by the second chain 210a. It is provided to transfer to the second drive shaft (211b).

도 13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2텐션조절부(216)는 제2체인(210a)과 연동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모빌랙을 오래 사용하는 경우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이 느슨해져 변형되어 이동시 소음이 발생하거나 동력전달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제2텐션조절부(216)는 바람직하게는 주동기어(213)와 종동기어(215)의 사이에 위치하며, 소정거리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제2체인(210a)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제2텐션조절부(216)는 제2텐션조절기어(216a), 제2이동플레이트(216b), 체결공(216c) 및 체결수단(216d)을 포함할 수 있다.13 and 15, the second tension adjustment unit 216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chain 210a. When the mobile rack is used for a long time, the chain that transmits power becomes loose and deforms, resulting in noise during movement or poor power transmission.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unit 216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main gear 213 and the driven gear 215,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chain 210a.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unit 216 may include a second tension adjusting gear 216a, a second moving plate 216b, a fastening hole 216c and a fastening means 216d.

제2텐션조절기어(216a)는 제2이동플레이트(216b)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텐션조절기어(216a)의 이를 따라 제2체인(210a)이 걸쳐져 주동기어(213) 및 종동기어(215)와 함께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2텐션조절기어(216a)가 주동기어(213)와 종동기어(215) 사이에서 소정거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체인(210a)이 주동기어(213), 종동기어(215) 및 제2텐션조절기어(216a)를 커버하는데 필요한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모빌랙의 사용에 따라 체인이 느슨해지는 경우 제2텐션조절기어(216a)를 이동시켜 체인이 상기 기어들을 커버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체인(210a)이 긴장되어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tension adjusting gear 216a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on the second moving plate 216b. The second chain 210a is passed along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gear 216a to transmit power together with the main gear 213 and the driven gear 215. As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gear 216a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main gear 213 and the driven gear 215, the second chain 210a is the main gear 213, the driven gear 215, and the second tension. The length required to cover the adjusting gear 216a can be changed. When the chain is loosen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rack,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gear 216a may be moved to increase the length required for the chain to cover the gears. Accordingly, the second chain 210a is tensioned to power Delivery can be smooth.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6b)는 후술하는 제2기준플레이트(216e) 상에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금속 플레이트로, 좌우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제2이동플레이트(216b)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텐션조절기어(216a)를 이동시켜 제2체인(210a)을 팽팽하게 또는 느슨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second moving plate 216b is provid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second reference plate 216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preferably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side to side to move the second moving plate ( The second chain 210a may be tightly or loosely adjusted by moving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gear 216a provided to be rotatable on the 216b).

상기 체결공(216c)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6b) 상에 구비되며, 제2이동플레이트(216b)는 바람직하게는 체결수단(216d)을 통해 제2기준플레이트(216e)에 결합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216d)을 수용하는 체결공(216c)은 일방향으로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좌우로의 길이가 체결수단(216d)의 직경보다 소정 범위 길도록 형성되어 제2이동플레이트(216b)를 소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체결수단(216d)을 풀고 제2이동플레이트(216b)를 이동시킨 후 다시 체결수단(216d)을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결수단이 결합된 채로 제2이동플레이트(216b)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The fastening hole 216c is provided on the second moving plate 216b, and the second moving plate 216b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second reference plate 216e through the fastening means 216d. have. The fastening hole 216c accommodating the fastening means 216d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in one direction,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s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means 216d, so that the second moving plate 216b. It may be provid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oosening the fastening means 216d, moving the second moving plate 216b, and then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216d again, the fastening means may b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oving plate 216b may be moved left and right while being coupled.

상기 제2텐션조절부(216)는 제2기준플레이트(216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준플레이트(216e)는 제2이동플레이트(216b)와 체결수단(216d)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텐션조절부(216)의 기저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기준플레이트(216e)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지지패널(181)에 결합지지되어 주동기어(213)와 종동기어(2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tension adjustment unit 216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ference plate 216e. The second reference plate 216e may be coupled through a second moving plate 216b and a fastening means 216d, and may function as a base portion of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portion 216. The second reference plate 216e may be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nel 181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gear 213 and the driven gear 215. You can.

상기 연동기어(217)는 제2구동축(211b)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구동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제2구동축(211b)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바퀴기어(218)에 전달하며, 결과적으로는 이동부(3)에 동력을 전달하여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interlocking gear 217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211b and can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ing shaft, and the wheel gear is driven by rotation of the second driving shaft 211b transmitted from the upper part ( 218), and consequently, the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moving part 3 to move the mobile rack.

상기 바퀴기어(218)는 후술하는 이동부(3)의 바퀴(34)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제1구동축(211a)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이 종국적으로 바퀴기어(218)에 전달됨으로써 바퀴(34)를 회전시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퀴기어(218)는 동력전달부(21)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하다. The wheel gear 218 is provid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wheel 34 of the moving part 3 to be described later.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ing shaft 211a is ultimately transmitted to the wheel gear 218 so that the wheel 34 can be rotated to move the mobile rack. The wheel gear 218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1 to enable stable power transmission.

도 14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텐션조절부(219)는 제1체인(210b)과 연동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모빌랙을 오래 사용하는 경우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이 느슨해져 변형되어 이동시 소음이 발생하거나 동력전달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제1텐션조절부(219)는 바람직하게는 동력전달부(21)의 전후방에 구비된 바퀴기어(218)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소정거리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제1체인(210b)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제1텐션조절부(219a)는 제1텐션조절기어(219a), 제1이동플레이트(219b), 체결공(219c) 및 체결수단(219d)을 포함할 수 있다.14 and 16, the first tension adjusting unit 219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chain 210b. When the mobile rack is used for a long time, the chain that transmits power becomes loose and deforms, resulting in noise during movement or poor power transmission. The first tension adjusting unit 219 may be provided between the wheel gears 218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1, and are provided to be movab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first chain 210b of the first chain 210b is provided. Tension can be adjusted. The first tension adjusting unit 219a may include a first tension adjusting gear 219a, a first moving plate 219b, a fastening hole 219c and a fastening means 219d.

제1텐션조절기어(219a)는 제1이동플레이트(219b)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텐션조절기어(219a)의 이를 따라 제1체인(219a)이 걸쳐져 연동기어(217) 및 바퀴기어(218)와 함께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1텐션조절기어(219a)가 양 바퀴기어의 사이에서 소정거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체인(210b)이 연동기어(217), 바퀴기어(218) 및 제1텐션조절기어(219a)를 커버하는데 필요한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모빌랙의 사용에 따라 체인이 느슨해지는 경우 제1텐션조절기어(219a)를 이동시켜 체인이 상기 기어들을 커버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체인(210b)이 긴장되어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tension adjusting gear 219a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on the first moving plate 219b. The first chain 219a is passed along the first tension adjusting gear 219a to transmit power together with the interlocking gear 217 and the wheel gear 218. As the first tension adjusting gear 219a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both wheel gears, the first chain 210b covers the interlocking gear 217, the wheel gear 218, and the first tension adjusting gear 219a. The length required to do so may vary. When the chain is loosen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rack, the first tension adjusting gear 219a is moved to increase the length required for the chain to cover the gears, and accordingly the first chain 210b is tensioned to power Delivery can be smooth.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19b)는 후술하는 제1기준플레이트(219e) 상에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금속 플레이트로, 좌우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제1이동플레이트(219b)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텐션조절기어(219a)를 이동시켜 제1체인(210b)을 팽팽하게 또는 느슨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plate 219b is provid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first reference plate 219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preferably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first chain 210b may be tightly or loosely adjusted by moving the first tension adjusting gear 219a provided to be rotatable on 219b).

상기 체결공(219c)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19b) 상에 구비되며, 제1이동플레이트(219b)는 바람직하게는 체결수단(219d)을 통해 제1기준플레이트(219e)에 결합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219d)을 수용하는 체결공(219c)은 일방향으로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상하로의 길이가 체결수단(219d)의 직경보다 소정 범위 길도록 형성되어 제1이동플레이트(219b)를 소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체결수단(219d)을 풀고 제1이동플레이트(219b)를 이동시킨 후 다시 체결수단(219d)을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결수단이 결합된 채로 제1이동플레이트(219b)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The fastening hole 219c is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plate 219b, and the first moving plate 219b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first reference plate 219e through the fastening means 219d. have. The fastening hole 219c accommodating the fastening means 219d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in one direction, preferably up and down, is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means 219d so as to open the first moving plate 219b. It may be provid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oosening the fastening means 219d and moving the first moving plate 219b, the fastening means 219d may be fastened again to fix the fastening means. The first moving plate 219b may be moved left and right while being coupled.

상기 제1텐션조절부(219)는 제1기준플레이트(219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준플레이트(219e)는 제1이동플레이트(219b)와 체결수단(219d)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텐션조절부(219)의 기저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기준플레이트(219e)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이동지지프레임(32)에 결합지지되어 양 바퀴기어(21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tension adjusting unit 219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ference plate 219e. The first reference plate 219e may be coupled through a first moving plate 219b and a fastening means 219d, and may function as a base portion of the first tension adjusting unit 219. The first reference plate 219e may be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coupled to a moving support frame 32 to be described later, and positioned between both wheel gears 218.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23)는 선택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21)의 동력 전달, 자세히는 각 기어의 회전을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후술하는 이동부(3)의 바퀴(34)의 회전을 단속하게 됨으로써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막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는 잠금체(231) 및 잠금돌기(23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locking part 23 selectively restricts the power transmiss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21, in detail the rotation of each gear, and consequently the wheel 34 of the moving part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Can be provided to preven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by controlling the rotation. The locking part 23 may include a locking body 231 and a locking protrusion 233.

상기 잠금체(231)는 모빌랙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잠금체(231)를 조작하여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상기 잠금체(231)를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후술하는 잠금돌기(233)를 하향이동시킬 수 있다.The lock body 231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rack so that a user can limi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by manipulating the lock body 231.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ively insert or withdraw the locking body 231 to move the locking projection 233 described later.

상기 잠금돌기(233)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잠금기어(21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잠금돌기(233)는 사용자의 잠금체(231)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향이동되어 잠금기어(212)의 이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The locking projection 233 is provided in a bar shape as a whole to be provided to limit rotation of the locking gear 212. The locking protrusion 233 may be selectively moved downwar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locking body 231 to restrict rotation by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between the locking gear 212.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상기 이동부(3) 내의 바퀴축(33)과 바퀴(34) 및 바퀴기어(218)가 레일부(6) 위를 진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18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3)는 상기 프레임부(1)의 하부에서 프레임부(1)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구동부(2)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바탕으로 이동부(3)가 이동함으로써 조작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3)는 휠축연결프레임(31), 이동지지프레임(32), 바퀴축(33) 및 바퀴(34)를 포함할 수 있다.17 is a view showing a moving part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wheel axle 33 and the wheel 34 and the wheel gear 218 in the moving part 3 It is a figure showing a part 6 going on. Referring to FIGS. 17 and 18, the moving part 3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and moving the frame part 1 at the lower part of the frame part 1, and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driving part 2 is As the moving part 3 moves on the basis, it can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moving part 3 may include a wheel axle connecting frame 31, a moving support frame 32, a wheel axle 33 and a wheel 34.

상기 휠축연결프레임(31)은 모빌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병렬적으로 위치하는 다수개의 바퀴(34)와 바퀴축(33)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휠축연결프레임(31)의 상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그 상부에 거치부재(12)를 거치하고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부의 프레임부(1)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wheel axle connection frame 31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 plurality of wheels 34 and wheel axles 33 positioned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rac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wheel shaft connection frame 31 is formed to be flat, so that it can be provided to facilitate mounting and fastening of the mounting member 12 thereon, from the upper frame portion 1 It can effectively support the transmitted load.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은 레일부(6) 위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바퀴(34)와 바퀴축(33)을 내부에 포함하면서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통상적으로 모빌랙의 전후 이동방향을 따라 모빌랙의 하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바퀴(34)들을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 하나가 내부에 포함하면서 지지할 수 있는 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의 연장방향은 레일부(6)의 연장방향과 같도록 형성되고 이는 모빌랙의 이동방향인 전후방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은 하부에서 바퀴(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과 상면은 폐쇄됨으로써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중앙부분에는 후술하는 저항감지부(411)가 구비되어 모빌랙의 진행에 대한 저항을 감지하고 구동부(2)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movable support frame 32 is a frame that supports while including the wheel 34 and the wheel shaft 33 moving while rotating along the rail part 6. Typically, at least two or more wheels 34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rack along the front-rear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rack can be supported while one of the moving support frames 32 is included therein. ) The extending direction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ail part 6, which may coincide wit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mobile rack. The movable support frame 32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a space is formed inside by opening the lower surface and closing the side and upper surfaces so that the wheels 34 can be inserted from the botto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support frame 32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flat to effectively support the load from the upper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sistance detecting unit 4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mobil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resistance to the progress of the rack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바퀴축(33)은 모빌랙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34)와 바퀴기어(21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바퀴(34)는 모빌랙의 하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면서 레일부(6) 위를 진행하면서 실질적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바퀴축(33)과 바퀴(34)는 상기 연동기어(217)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퀴기어(218)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축(33)은 이동지지프레임(32)의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바퀴기어(218)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wheel axle 33 may be provided to connect at least two or more wheels 34 and wheel gears 218 while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bile rack, and the wheels 34 ) Is provided at least two at the bottom of the mobile rack while moving over the rail portion 6 can substantially move the mobile rack. The wheel shaft 33 and the wheel 34 are provided to rotate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wheel gear 218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interlocking gear 217. 17, the wheel shaft 33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wheel gear 218 while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moving support frame 32.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B부분에서 저항감지부(411)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의 중앙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도 19의 물체감지부(413)가 프레임부(1)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21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4)는 상기 구동부(2)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부(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이동부(3)에 의한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는 상기 프레임부(1) 주위의, 바람직하게는 전후방의 물체 및/또는 물체에 의한 저항을 감지하여 구동부(2)의 운전 및/또는 이동부(3)의 속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는 감지부(41)와 출력부(43)를 포함할 수 있다.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resistance detecting unit 411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able support frame 32 in part B of FIG. FIG. 21 is a view showing that the object detection unit 413 of FIG. 19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frame unit 1. Referring to FIGS. 19 to 21, the control unit 4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 and accordingly, the mobile unit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2 to m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by (3).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 controls the speed of the driving unit 2 and / or the moving unit 3 by sensing the resistance of the object and / or objects around the frame unit 1, preferably in the front and rear. can do. The control unit 4 may include a detection unit 41 and an output unit 43.

상기 감지부(41)는 모빌랙 주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부(1) 주변의 저항 및/또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1)는 모빌랙에 작용하는 저항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저항감지부(411)와 모빌랙 주변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물체감지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41 may be provided to sense resistance and / or objects around the mobile rack, preferably around the frame unit 1. The detection unit 41 may include a resistance detection unit 411 provided to detect resistance acting on the mobile rack and an object detection unit 413 capable of detecting objects around the mobile rack.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저항감지부(411)는 모빌랙의 진행방향에 대한 저항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레일부(6) 위에서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이동하는 모빌랙은 바람직하게는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모빌랙의 이동방향에 물건이나 사람이 존재하여 모빌랙에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불구하고 모빌랙이 계속 움직이게 된다면 구동부(2) 및 이동부(3)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안전상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감지부(411)는 바람직하게는 모빌랙에 대한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속력의 저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항감지부(411)는 회전체(4111), 복수개의 날개(4112), 감지프레임(4113), 발신체(4114) 및 수신체(411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resistance detection unit 411 may be provided to sense resistance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bile rack. The mobile rack moving on the rail part 6 by electric or manual movement is preferably moved back and forth, and objects or people are presen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rack to generate resistance to the mobile rack. In spite of this, if the mobile rack continues to move, problems may arise in the durability of the driving unit 2 and the moving unit 3, and safety problems may also occur. The resistance detection unit 4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provided to detect a decrease in speed caused by resistance to the mobile rack. The resistance detecting unit 411 may include a rotating body 4111, a plurality of wings 4112, a sensing frame 4113, a transmitter 4114, and a receiver 4115.

상기 회전체(4111)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며, 이동지지프레임(32) 내부에 구비된 바퀴(4116)와 바퀴축(4117)으로 연결됨으로써 바퀴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체(4111)는 바퀴와 같은 각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The rotating body 4111 is provid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movable support frame 32, and is connected to the wheel 4116 and the wheel shaft 4117 provided inside the movable support frame 32, thereby interlock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It can rotate. Accordingly, the rotating body 4111 is provided to rotate at an angular speed such as a wheel.

상기 날개(4112)는 상기 회전체(4111)를 중심으로 동일한 중심각을 가지면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날개(4112)는 회전체(4111)로부터 복수개가 방사상 연장됨에 따라 회전체 주변을 모두 폐색시키지 않고 날개(411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남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4112)는 바람직하게는 전자기파를 투과시키지 않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wing 4112 may have a plurality of radial extensions while having the same center angle around the rotating body 4111. The wings 4112 may be provided to leave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wings 4112 without clogging all around the rotating body as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from the rotating body 4111. The wing 4112 may preferabl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electromagnetic waves.

상기 감지프레임(4113)은 후술하는 발신체(4114)와 수신체(4115)를 지지하고, 경우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감지프레임(4113)은 내부에 전자기파를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 회로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감지프레임(4113)의 몸체는 발신체(4114)가 구비된 일단은 상기 회전체(4111) 및 날개(41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수신체(4115)가 구비된 타단은 상기 회전체(4111) 및 날개(4112)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etection frame 4113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transmitter 4114 and the receiver 41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o adjust their positions depending on the case. The sensing frame 4113 may include a circuit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electromagnetic waves therein. In addition, the body of the sensing frame 41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4111) and the wings (4112)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4114, the other end provided with a receiving body (4115) is the rotating body (4111) ) And the wings 4112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상기 발신체(4114)는 상기 회전체(4111) 및 날개(4112)의 일측에서 전자기파를 발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신체(4115)는 상기 회전체(4111) 및 날개(4112)의 타측에서 발신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발신된 전자기파는 상기 날개(4112) 사이의 공간으로 진행하여 수신체(4115)에 수신된다.The transmitter 4114 may be provided to transmit electromagnetic waves at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4111 and the wings 4112, and the receiving body 4115 may include the rotating body 4111 and the wings 4112 It may be provided to receive the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transmitted electromagnetic wave travels to the space between the wings 4112 and is received by the receiver 4115.

모빌랙이 전동식으로 전후방 이동하는 경우, 후술하는 출력부(43)에서는 정해진 속력으로 이동부(3)가 이동하도록 구동부(2)를 운전시킬 수 있다. 이때 하달되는 속력에 따라 바퀴(34)의 각속도가 정해된다. 상기 저항감지부(411)는 상기 수신체(4115)에 수신되는 전자기파의 주기를 통하여 회전체(4111)의 각속도를 계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현재 바퀴(34)의 각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지정된 바퀴의 각속도와 계산된 현재 바퀴의 각속도가 같다면 모빌랙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저항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 볼 수 있고, 지정된 바퀴의 각속도와 계산된 현재 바퀴의 각속도가 다르다면 모빌랙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저항이 존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때 저항감지부(411)는 저항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여 후술하는 출력부(43)에서 구동부(2) 또는 이동부(3)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rack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n electric way, the output unit 43 described later may drive the driving unit 2 so that the moving unit 3 moves at a predetermined speed. At this time, the angular speed of the wheel 34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ed being delivered. The resistance detecting unit 411 may calculate the angular velocity of the rotating body 4111 through the period of the electromagnetic wave received by the receiver 4115, and accordingly the angular velocity of the current wheel 34. If the angular velocity of the designated wheel is the same as the calculated angular velocity of the current wheel,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re is no resistanc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bile rack. It can be said that resistance exists. At this time, the resistance detection unit 411 may detect that a resistance exists and stop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 or the moving unit 3 in the output unit 43 to be described later.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물체감지부(413)는 모빌랙 전후방 또는 주변의 물체 또는 인체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체감지부(413)는 프레임부(1)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구비되어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의 상부에 구비된 물체감지부(413a)는 바람직하게는 광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모빌랙의 전방 또는 후방의 일정 영역에 사람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부(2)의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의 하부에 구비된 물체감지부(413b)는 바람직하게는 압력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모빌렉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기 물체감지부(413b)에 접촉하는 물체를 감지할 시 구동부(2)의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object detection unit 413 may be provided to detect an object or a human body in front of or around a mobile rack. The object detection unit 413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 or rear of the frame unit 1 to detect an object. The object detection unit 413a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unit 1 may preferably be provided with an optical sensor, and when a person or object exists in a certain area in front or rear of the mobile rack, it detects it and drives it. (2) can be stopped. The object detection unit 413b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 may be preferably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and detects an object contacting the object detection unit 413b at the front or rear of the mobile rack. When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 can be stopped.

다시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출력부(43)는 상기 구동부(2)의 운전이나 구동부의 운전으로 인한 이동부(3)의 운동 및/또는 속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43)는 전동식으로 모빌랙을 수동할 시 상기 구동부(2)에 초기 이동속도를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상기 감지부(41)에서 감지한 저항 또는 물체에 따라서 속력을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도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9, the output unit 43 may be provided to control movement and / or speed of the moving unit 3 due to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 or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 The output unit 43 may provide power for the initial moving speed to the driving unit 2 when the mobile rack is manually operated, but may reduce the spee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or object sensed by the sensing unit 41. Alternatively, the driving unit 2 may be controlled to stop.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5)의 정면도이고, 도 23은 상기 핸들부(5)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핸들부(5)의 클러치부(53)가 핸들부 회전에 따라 핸들기어(214)에 걸리는 거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부(5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25를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핸들부(5)는 구동부(2)의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을 통하여 구동부(2)를 운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22 is a front view of the handle part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rear view of the handle part 5. 24 is a view showing the behavior of the clutch portion 53 of the handle portion 5 to be caught by the handle gear 214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FIG. 25 is a clutch portion 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2 to 25, the handle part 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part 2 and may be provided to drive the driving part 2 through rotation.

모빌랙이 수동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가 핸들부(5)를 회전시키면 핸들부(5)는 핸들기어(214)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구동부(2)에 동력을 전달하고, 결과적으로 이동부(3)를 이동시켜 모빌랙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모빌랙이 전동식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핸들기어(214)의 회전과 연동되어 핸들부(5)가 회전한다면 주변의 사람 또는 물체와 충돌하여 안전상 문제를 발생시킬수 있으며, 핸들부(5)가 걸림으로 인해 구동부(2)에 문제가 생기거나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5)는 선택적으로 구동부(2)와 연동되어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5)는 핸들바디(51)와 클러치부(53)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rack is driven manually,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unit 5, the handle unit 5 transmits power to the drive unit 2 by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handle gear 214, and consequently, the mobile unit ( The mobile rack can be moved back and forth by moving 3). However, when the mobile rack is electrically driven, if the handle part 5 rotates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gear 214, it may collide with a nearby person or object and cause a safety problem, and the handle part 5 is jammed.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iving unit 2 has a problem or durability is reduced. Therefore, the handle portion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stability by being provided with or without rotation selectively interlocking with the driving portion 2. The handle part 5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ndle body 51 and a clutch part 53.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핸들바디(51)는 핸들기어(21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기어(214)와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동식으로 운전되는 모빌랙의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서 핸들바디(51)를 조작함으로써 모빌랙을 이동시키는 바 상기 핸들바디(51)는 측면패널(15)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디(51)는 공동부(51a)를 포함하여 제1구동축(211a)를 수용하면서 핸들기어(214)의 회전과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키홀(511)과 손잡이(51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the handle body 51 may be provided to be rotated by selectively interlocking with the handle gear 214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handle gear 214. In the case of a mobile rack operated manually, the user moves the mobile rack by operating the handle body 51 from the outside. The handle body 51 may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of the side panel 15.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body 51 may be provid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gear 214 while accommodating the first driving shaft 211a including the cavity portion 51a, and the keyhole ( 511) and a handle 513.

상기 키홀(511)은 후술하는 걸림차단체(533)와 연결되어 걸림차단체(533)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클러치부(53)와 핸들기어(214)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키홀(511)은 열쇠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열쇠를 회전시킴으로써 걸림차단체(533)를 이동시켜 클러치부(53)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쇠 등을 수용하여 회전함으로써 후술하는 걸림차단체(533)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열쇠를 수용하여 회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에서 걸림차단체(533)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에 대해서도 미칠 수 있다.The key hole 511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or blocked the clutch portion 53 and the handle gear 2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being connected to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described later to advance or reverse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Is provided. The key hole 511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key, and is provided to move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by rotating the key to operate the clutch portion 5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key or the like to rotate or advance the locking group 5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receiving and rotating the key. It may also affect other forms in which the jammed vehicle group 533 can be moved.

상기 손잡이(51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핸들바디(51)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핸들바디(51)의 단부에서 수직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andle 513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and rotate the handle body 51, and preferably may be provided to extend vertically at the end of the handle body 51.

도 23 내지 도 25를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클러치부(53)는 핸들기어(214)로부터 핸들부(5)로 전달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반대로 핸들부(5)로부터 핸들기어(214)로 전달되는 동력 또한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클러치부는 모빌랙이 전동식으로 구동될 때에는 핸들기어(214)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고, 수동식으로 구동될 때에는 상기 핸들바디(51)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부(53)는 걸림체(531), 걸림회전축(532), 걸림차단체(533) 및 연결노드(53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3 to 25, the clutch part 53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block or connect power transmitted from the handle gear 214 to the handle part 5, and vice versa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art 5 to the handle gear 214 may also be provided to selectively block or connec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utch unit may block power transmitted from the handle gear 214 when the mobile rack is driven electrically, and power transmitted from the handle body 51 when driven manually. It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clutch part 53 may include a locking body 531, a locking rotation shaft 532, a locking vehicle group 533, and a connection node 534.

상기 걸림체(531)는 상기 클러치부(53)에 적어도 한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핸들부(5)의 회전에 따라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연동됨으로써 핸들부(5)와 핸들기어(214)의 회전을 연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체는 2개가 후술하는 걸림차단체(533)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핸들부(5)의 거동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도 24를 참고하면, 핸들바디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있는 도 24의 (a)의 경우 상기 걸림체(531)가 정지한 상태로 핸들기어(214)와 연동되지 않지만, 도 24의 (b)의 경우에는 핸들바디가 회전하면서 걸림체(531)는 중력 또는 원심력 등의 힘에 의해 일부가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연동하여 회전되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engaging body 531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clutch portion 53, and option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dle gear 214 is interlocked and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5, thereby being handled. The rotation of the secondary gear 5 and the handle gear 214 may be interlocke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f the locking bodi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around the locking body 5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handle gear 214 is disposed between the handle gears 214. Will be inserted. Referring to FIG. 24, in the case of FIG. 24 (a) where the handle body is not rotating, the engaging body 531 is not interlocked with the handle gear 214 in a stopped state, but in FIG. 24 (b) In this case, while the handle body rotates, the locking body 531 is rotated by interlocking and transmitting power by being partially inserted between the handle gears 214 by a force such as gravity or centrifugal force.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걸림체(531)는 후술하는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걸림체(531)가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각에 따라 도 24의 경우와 같이 걸림체(531)가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어 연동됨으로써 핸들부(5)가 구동부(2)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걸림체(531)는 삽입부(531a), 몸체부(531b), 회전부(531c) 및 돌출부(531d)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the locking body 531 is provided to be rotated around a locking shaft 532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locking body 531 rotates around the locking shaft 532, the locking body 531 is inserted into and interlocked between the handle gears 214 as shown in FIG. 5)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unit (2). The engaging body 531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531a, a body portion 531b, a rotating portion 531c, and a protruding portion 531d.

상기 삽입부(531a)는 걸림체(531)의 일단에 형성되며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531a)는 전체적으로 단부로 갈수록 그 평면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되어 핸들기어의 이 사이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핸들기어의 회전과 연동됨에 따라 핸들부를 핸들기어와 같이 회전시켜 구동부(2)와 핸들부(5)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531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cking body 531 and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handle gears 21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531a may be provided to be easily inserted between teeth of the handle gear by being formed so that its plan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as a whole, and is interlocked with rotation of the handle gear. Accordingly, power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drive unit 2 and the handle unit 5 by rotating the handle unit like a handle gear.

상기 몸체부(531b)는 걸림체(531)의 중단에 전체적으로 걸림체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걸림체(531)가 회전할 때 상기 삽입부(531a)가 충분한 거리를 이동하여 핸들기어의 이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회전축(532)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body portion 531b may be provided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locking body as a whole at the middle of the locking body 531. When the locking body 531 rotates around the locking shaft 532 to be described later, the insertion portion 531a moves a sufficient distance to exte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cking shaft 532 so that i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handle gears. It is preferably formed.

상기 회전부(531c)는 걸림체(531)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후술하는 걸림차단체(533)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531c)는 소정 깊이 함입되도록 굴곡을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회전부(531c)의 굴곡과 후술하는 걸림차단체(533)의 굴곡이 상보적임에 따라 회전 시 마찰 또는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The rotating portion 531c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body 531, and may be form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body 533 described later as it rotates about the locking shaft 532. The rotating portion 531c may have a bend so that a predetermined depth is included, and preferably, the friction or energy loss during rotation is minimized as the bending of the rotating portion 531c and the bend of the locking body 533 described later are complementary. can do.

상기 돌출부(531d)는 상기 회전부(531c)의 일측에서 소정의 굴곡을 형성하며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531c)를 기준으로 할 때 걸림회전축(532)이 구비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31d)는 걸림체(531)가 걸림회전축(532)을 기준으로 회전할 시 걸림차단체(533)와 상호작용하여 걸림체의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걸림차단체(533)가 전진하는 경우에 하향회전이 막혀 걸림체의 회전각을 제한하게 되며, 이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protruding portion 531d may protrude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bend at one side of the rotating portion 531c. Preferably, when it is based on the rotating portion 531c, it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shaft 532 is provided. The protrusion 531d may be provided to interact with the locking body 533 when the locking body 531 rotates relative to the locking shaft 532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ing body. In detail, when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advances, the downward rotation is blocked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ing bod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걸림회전축(532)은 상기 핸들기어(214)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체(531)가 걸림회전축(532)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체(531)는 삽입부(531a)가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어 동력을 연결시킬 수 있다.The engaging rotation shaft 53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handle gear 214, and the engaging body 531 rotates based on the engaging rotation shaft 532. Accordingly, the locking body 5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531a) of the handle gear 214 to connect the power.

상기 걸림차단체(533)는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함으로써 상기 걸림체(531)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차단체(533)가 걸림체(531)의 회전각을 제한함으로써 걸림체의 삽입부(531a)가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핸들부(5)와 핸들기어(214) 사이의 동력 전달을 단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차단체(533)는 상기 키홀(511)과 연결노드(53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외부에서의 조작을 통해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The engaging vehicle group 533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engaging body 531 by selectively advancing or retreating. The locking vehicle body 533 prevents the insertion portion 531a of the locking body from being inserted between the handle gears 214 by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ing body 531, and consequently the handle portion 5 and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handle gears 214 may be cut off.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hrough the key hole 511 and the connection node 534 is provided to move forward or backward through manipulation from the outside.

도 25를 참고하면, 걸림차단체(533)가 후진하는 (a)의 경우, 걸림체(531)는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삽입부(531a)가 핸들기어의 이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구동부와 핸들부가 연동될 수 있다. 걸림차단체(533)가 전진한 (b)의 경우, 걸림체(531)는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회전하려고 하나, 돌출부(531d)가 걸림차단체(533)에 의해 막혀 하향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각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삽입부(531a)가 핸들기어의 이 사이에 삽입될 수 없게 되어 구동부와 핸들부의 연동이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차단체는 상부 굴곡이 상기 걸림체의 회전부(531c)에 형성된 굴곡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하여 회전 시 마찰 또는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in the case of (a) in which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is retracted, the locking body 531 can be rotated around the locking shaft 532, and accordingly, the insertion portion 531a is handled. The driving part and the handle part may be interlocked by being inserted between the teeth of the gear. In the case of (b) in which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is advanced, the locking body 531 tries to rotate around the locking axis 532, but the protrusion 531d is blocked by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so that the downward rotation is prevented. It becomes impossible, and thus the rotation angle is limited. Therefore, the insertion portion 531a cannot be inserted between the teeth of the handle gear, thereby limiting the linkage between the driv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vehicle body may have an upper bend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bending formed in the rotating portion 531c of the locking body, so that friction or energy loss during rotation is minimized. .

상기 연결노드(534)는 상기 걸림차단체(533)와 키홀(511)을 연결하면서, 키홀(511)에서 발생하는 회전운동을 걸림차단체(533)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캠의 역할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키홀(511)을 회전시켜 상기 키홀(511)과 연결된 연결노드(534)의 일단을 전진시키면, 연결노드(534)의 타단에 연결된 걸림차단체(533)도 전진하여 걸림체(531)의 회전각을 제한하게 되고, 키홀(511)을 회전시켜 연결노드(534)의 일단을 후퇴시키면, 연결노드(534)의 타단에 연결된 걸림차단체(533)도 후퇴하여 걸림체(531)의 회전각을 자유롭게 하여 걸림체(531)가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빌랙이 전동식으로 이동하는 경우 키홀(511)을 회전시켜 연결노드(534)와 걸림차단체(533)를 전진시켜 상기 걸림체(531)의 회전각을 제한함으로써 핸들부(5)와 핸들기어(214) 사이의 동력전달을 차단시키고, 수동식으로 이동하는 경우 키홀(511)을 회전시켜 연결노드(534)와 걸림차단체(533)를 후퇴시킴으로써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ng node 534 connects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and the keyhole 511 while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generated in the keyhole 511 into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so as to act as a cam. It may be provided. In more detail, when the keyhole 511 is rotated to advance one end of the connection node 534 connected to the keyhole 511, the locking group 53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node 534 also advances to the locking body. When the rotation angle of 531 is limited, and the keyhole 511 is rotated to retract one end of the connection node 534,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node 534 also retracts and causes the locking body ( By freeing the rotation angle of 531, the locking body 531 is inserted between the handle gears 214 to transmit pow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rack is electrically moved, the keyhole 511 is rotated to advance the connecting node 534 and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to increase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ing body 531. By limiting, the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handle part 5 and the handle gear 214 is blocked, and when manually moving, the keyhole 511 is rotated to retract the connection node 534 and the locking vehicle group 533 to regain power. It may be provided to deliver.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기어 수용체(61)가 레일부(6) 상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레일부(6) 상에 구비된 바퀴기어 수용체(61)에 바퀴기어(218)가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가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한 잠금상태 시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28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레일부(6)는 이동부(3)의 하부에 구비되어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6)는 레일부(6)상을 이동하는 바퀴(34)의 전후방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면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퀴(34)는 레일부(6) 상에서 회전운동을 할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 운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건 등을 꺼내거나 볼 수 없는 잠금상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상기 구동부(2)의 잠금부(23) 및 잠금기어(213)의 조작을 통해 바퀴(34)의 회전운동은 방지할 수 있으나, 외력으로 인하여 바퀴(34)가 레일부(6) 상에서 미끄러짐 운동을 하여 모빌랙이 이동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6)는 바퀴기어 수용체(61)를 포함하여 상기 바퀴(34)의 미끄러짐 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모빌랙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26 is a view showing a wheel gear receptor 6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on the rail part 6, and FIG. 27 is a wheel gear receptor provided on the rail part 6 ( 6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gear 218 is accommodated. FIG. 28 is a view showing that the wheel gear receptor 61 is provided where a plurality of mobile racks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moving parts of the outermost mobile rack. Referring to FIGS. 26 to 28, the rail part 6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part 3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The rail part 6 may move the mobile rack while guiding the front and rear rotational motion of the wheel 34 moving on the rail part 6. However, the wheel 34 is capable of not only rotating motion on the rail part 6 but also sliding motion. In a locked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mobile racks are adjacent to an object accommodated or the like and cannot be taken out or viewed, wheels 34 are generally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part 23 and the locking gear 213 of the driving part 2 )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but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mobile rack from moving due to the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wheel 34 sliding on the rail 6.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portion 6 is provided to limit the sliding motion of the wheel 34 including the wheel gear receptor 61 to improve the security of the mobile rack. have.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는 레일부(6) 상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바퀴기어(218)의 이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퀴기어 수용체(61)는 바퀴기어(218)의 이를 수용하면서, 바퀴(34)가 레일부(6) 상에서 미끄러짐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바퀴기어(218)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바퀴(34)가 일정범위 이상 전후방으로 미끄러져 모빌랙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는 수용부(611) 및 결합부(613)를 포함할 수 있고, 체결수단(615)을 통해 레일부(6)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the wheel gear receptor 61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ail part 6 to be accommodated by the wheel gear 218. The wheel gear receptor 61 accommodates the wheel gear 218 while the wheel 34 is restricted by restrict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wheel gear 218 when the wheel 34 performs a sliding motion on the rail part 6. It is provided to prevent the mobile rack from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over a certain range. The wheel gear receptor 61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611 and a coupling portion 613,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rail portion 6 through fastening means 615.

상기 수용부(611)는 전체적으로 전후방으로 연장된 이동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공(611a)을 포함하여 바퀴기어의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용공(611a)이 수용부(611) 상에 두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개 형성되어 바퀴기어의 이를 수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공은 바퀴기어(218)의 이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바, 바퀴기어(218) 이의 단면보다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611a)이 바퀴기어(218) 이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바퀴기어(218)의 이가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소정거리 미끄러짐 이동을 하게 될 수는 있으나, 이동가능한 길이는 수 mm에 해당하는 바 보안성이 손상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The receiving portion 6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moving plat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as a whole, and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is of the wheel gear including the receiving hole 611a.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receiving holes 611a are formed on the receiving portion 611, but in other embodiments, three or more can be formed, and on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wheel gear. have. The receiving hole is provided to receive the teeth of the wheel gear 218, the size of the wheel gear 218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thereof. Since the receiving hole 611a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wheel gear 218, it may be able to slide a predetermined distance back and forth in a state in which the teeth of the wheel gear 218 are accommodated, but the movable length corresponds to several mm. There is no problem of compromised security.

상기 결합부(613)는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를 레일부(6)의 소정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역시 전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이동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결합부(613)가 수용부(611)보다 전후방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레일부(6)에 결합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결합부(613)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수단(615)를 수용하는 체결공(613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체결공은 그 전후방으로의 길이가 체결수단(615)의 전후방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됨으로써, 바퀴기어 수용체(61)가 소정거리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잇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모빌랙이 사용중에 이동하는 경우, 이동부(3)의 바퀴(34)는 레일부(6) 상에서 회전운동을 하면서 전후방으로 운동하는데, 회전운동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 운동도 같이 발생함에 따라 사용 후 초기 위치로 돌아오면서 후술하는 잠금상태가 될 시 바퀴기어(218)는 이의 위치가 사용 전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바퀴기어(218)의 이가 상기 수용부(611)와 충돌하여 바퀴기어 수용체(61)를 손상시킬 수 있는 바, 바퀴기어 수용체(61)를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퀴기어(218)의 이 수용 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613 is provided to be able to couple the wheel gear receptor 61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ail portion 6, and may also have a shape of a moving plat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ortion 613 is formed longer than the receiving portion 611 in the front and rear to be coupled to the rail portion 6,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 Self-evident The coupling portion 613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on one side and include a fastening hole 613a for receiving the fastening means 615 to be described later, wherein the fastening hole has a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reof. By being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it is possible to guide the wheel gear receptor 61 to be moved back and forth in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mobile rack moves during use, the wheels 34 of the moving part 3 move forward and backward while performing rotational motion on the rail part 6. When returning to the locked st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osition of the wheel gear 218 may be different from before use. In this case, since the teeth of the wheel gear 218 may collide with the receiving portion 611 and damage the wheel gear receptor 61, the wheel gear 218 may be moved by allowing the wheel gear receptor 61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can prevent damage when accommodated.

상기 체결수단(615)은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를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하면서 레일부(6)에 체결되어 바퀴기어 수용체(61)를 레일부(6)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615)은 전후방으로의 길이, 즉 직경이 체결공(613a)의 전후방으로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615)의 직경이 체결공(613a)의 전후방 길이보다 작도록 구비되어 여유공간이 남음으로써 바퀴기어 수용체(61)는 전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바퀴기어(218)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바퀴기어 수용체(61) 손상될 확률이 줄어든다.The fastening means 615 is fastened to the rail portion 6 while penetrating the wheel gear receptor 61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to couple the wheel gear receptor 61 to the rail portion 6. The fastening means 615 may be provided to have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a diameter smaller than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 613a.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means 615 is provided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fastening hole 613a, so that the free space remains, the wheel gear receptor 61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ccordingly the wheel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gear 218, the probability of damage to the wheel gear receptor 61 is reduced.

도 27을 참고하면,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는 바퀴기어 수용체(218)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서, 바퀴기어 수용체(61)의 일면, 즉 상면으로부터 바퀴기어(218)의 중심, 즉 바퀴축(33)까지의 거리가 상기 바퀴기어(218)의 이 끝으로부터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퀴기어(218)의 이가 바퀴기어 수용체(61)에 수용된 후 미끄러짐 운동으로 인해 바퀴기어 수용체(61)를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27, the wheel gear receptor 61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wheel gear receptor 218, the center of the wheel gear 218 from one surface, that is, the top surface of the wheel gear receptor 61, that is, the wheel The distance to the shaft 33 may be provided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is end of the wheel gear 218 to the center. Due to this, after the teeth of the wheel gear 218 are accommodated in the wheel gear receptor 61, it is impossible to escape the wheel gear receptor 61 due to the sliding motion.

도 28을 참고하면, 상기 레일부(6)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모빌랙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건 등을 꺼내거나 볼 수 없는 잠금상태에 있어서,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는 최외곽 모빌랙(R0)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됨으로써 전체 모빌랙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바퀴기어 수용체(61)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는 최외곽 모빌랙(R0)의 바퀴(34)가 미끄러짐 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외곽 모빌랙(R0)의 이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위치하는 모빌랙의 이동도 제한할 수 있는 바 전체적인 모빌랙 시스템의 보안성이 향상된다.Referring to FIG. 28, a plurality of mobile racks are arranged to be movable on the rail part 6, and the plurality of mobile racks are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wheels in a locked state cannot be taken out or viewed. The gear receptor 61 is provided where the moving part of the outermost mobile rack R0 is located, thereby improving the security of the entire mobile rack. When the wheel gear receptor 61 is provided where the moving part of the outermost mobile rack is located, the wheel gear receptor 61 prevents the wheels 34 of the outermost mobile rack R0 from sliding and moves to the outermost corner. As well as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rack R0, it is also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bile rack located therein, thereby improving the security of the entire mobile rack system.

도 29는 도 28의 C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7)가 프레임부의 지지부재(11)와 거치부재(12) 상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0은 상기 전도방지부(7)의 이동보조체(71) 및 결합체(7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및 30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전도방지부(7)는 프레임부(1)와 구동부(2) 및 모빌랙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방지부(7)는 상기 프레임부(1)를 포함하는 모빌랙의 측방 및 상하변위를 제한하여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전도방지부(7)는 지지체(70), 이동보조체(71) 및 결합체(73)를 포함할 수 있다.FIG. 2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28, showing that the fall prevention part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11 and the mounting member 12 of the frame part. , FIG. 30 is a view showing the moving auxiliary body 71 and the coupling body 73 of the fall prevention part 7. Referring to FIGS. 29 and 30, the fall prevention part 7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frame part 1, the driving part 2, and the mobile rack from falling. To this end, the fall prevention part 7 can prevent fall by limiting the lateral and vertical displacements of the mobile rack including the frame part 1. The fall prevention portion 7 may include a support 70, a moving auxiliary body 71 and a coupling body 73.

도 29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체(70)는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70)는 원형의 긴 봉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부(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70)가 프레임부(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은 물론, 프레임부(1)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체(70)는 상기 레일부(6)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모빌랙이 비틀려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70)에는 복수개의 모빌랙이 연결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가이드하기 위해 후술하는 이동보조체(71) 및 결합체(73)가 각각의 모빌랙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체(70)는 1개 이상 구비되어 모빌랙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모빌랙의 좌우 양측에 지지체(70)가 구비되어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지지체(70)가 구비되어 모빌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9, the support 70 may be extende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70 has a circular long rod shape, and may be provide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frame portion 1. As shown in FIG. 29, the support 70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frame part 1, and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frame part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upport 70 is provided to extend parallel to the rail portion 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bile rack from twisting. As illustrated in FIG. 3, a plurality of mobile racks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70 to move back and forth, and a mobile auxiliary body 71 and a coupling body 7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guided to each mobile rack to guide this. It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support 70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bile rack. 3 and 28, preferably, supporters 70 are provid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obile rack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and further support 70 is provided to guide the mobile rack. You may.

도 3 및 29 내지 30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보조체(71)는 프레임부(1)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며 내부에 지지체(70)를 관통수용하여 상기 지지체(70)를 따라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보조체(7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운동을 통해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바, 모빌랙의 측방 또는 상하방 변위를 제한하면서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보조체(71)는 2개의 회전체(71a,71b)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71a,71b)들은 상하로 배열되되 그 사이로 지지체(70)를 관통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하는 결합체(73)에 각각 체결수단(735a,735b)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71a,71b)가 상하로 배열됨에 따라 지지체(70)가 지진 등의 외력에 의해 상하로 흔들리면서 모빌랙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3 and 29 to 30, the movable auxiliary body 71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rame part 1 and accommodates the support 70 therein to penetrate the mobile rack along the support 70. It may be provided to move back and forth. The moving auxiliary body 71 includes at least on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body guides the front and rear movements of the mobile rack through a rotational movement, and guides the front and rear movements while limiting the lateral or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mobile rack. can do.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auxiliary body 71 includes two rotating bodies 71a and 71b, and the rotating bodies 71a and 71b are arranged vertically, with the support 70 therebetween. It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through, it can be fastened to the coupling member 7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fastening means (735a, 735b), respectively. As the rotating bodies 71a and 71b are arranged up and down, the support 7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mobile rack while being shaken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n earthquake.

도 29 및 30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체(73)는 프레임부(1)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보조체(71)를 프레임부(1)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보조체(71)가 프레임부(1)에 연결됨으로써 이동보조체(71)는 프레임부(1)를 포함하는 모빌랙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결합체(73)와 이동보조체(71)가 연결되어 함께 이동함에 따라 지지체(70) 주변을 폐색하면서 지지체를 수용하여 상기 지지체(70)가 이동보조체(71) 및 결합체(7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29 and 30, the coupling body 73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rame part 1 and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movable auxiliary body 71 to the frame part 1. Since the movable auxiliary body 71 is connected to the frame portion 1, the movable auxiliary body 71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with the mobile rack including the frame portion 1. Also, as the coupling body 73 and the moving auxiliary body 71 are connected and move together, the support body 70 is occluded around the support body 70 while receiving the support body so that the supporting body 70 does not fall out of the moving auxiliary body 71 and the coupling body 73. Can be avoided.

상기 결합체(73)는 상기 프레임부(1)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11), 거치부재(12) 및 측면패널(14,15)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 프레임체결부(731)와 이동보조체(71)와 결합하면서 지지체(70)를 수용하여 모빌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지지체안내부(733)를 포함할 수 있고, 각 회전체(71a,71b)와 체결수단(735a,735b)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The coupling body 73 may be fixed to the frame part 1 through a fastening means, and the frame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1, the mounting member 12 and the side panels 14, 15 It may include a support guide portion 733 provided to guide the mobile rack by accommodating the support 70 while engaging with the unit 731 and the mobile auxiliary body 71, each of the rotating body (71a, 71b) And fastening means 735a, 735b.

상기 프레임체결부(731)는 결합체(73) 및 결합체와 연결된 이동보조체(71)를 프레임부(1)와 연결시킴으로써 관통수용된 지지체(70)와 함께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수단을 통해 프레임부(1)와 체결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The frame fastening portion 731 is provided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together with the support 70 accommodated by connecting the coupling body 73 and the moving auxiliary body 71 connected to the coupling body with the frame portion 1. do. Preferably, it can be fixed by being fastened to the frame portion 1 through fastening means.

상기 프레임체결부(731)는 지지부재(11) 및 거치부재(12)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체결부(7311)와 측면패널(14,15)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체결부(7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7311)는 바람직하게는 모빌랙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지지부재(11) 및 거치부재(12)와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고, 제2체결부(7313)는 바람직하게는 모빌랙의 측방에서 상하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측면패널(14,15)과 결합할 수 있다.The frame fastening part 731 is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part 7311 provided to be able to be coupled with a support member 11 and a mounting member 12 and a second fastened with side panels 14 and 15. A fastening portion 7313 may be include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7311 is preferably formed by bending at a right angle from the front and / or rear of the mobile rack, and can be coupl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11 and the mounting member 12 through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The fastening portion 7313 is preferably provid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side of the mobile rack to be coupled to the side panels 14 and 15 through the fastening means.

상기 지지체안내부(7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보조체(71)와 결합하면서 지지체(70)를 수용하여 모빌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지지체안내부(733)가 이동보조체(71)와 결합하고, 이동보조체의 회전체(71a,71b) 사이로 지지체(70)를 관통수용하게 되면서 지지체(70)가 결합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모빌랙의 전후방 운동을 가이드하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guide portion 733 is provided to guide the mobile rack by accommodating the support 70 while engaging with the mobile support 71 as described above. As the support guide portion 733 is coupled to the moving auxiliary body 71, the supporting body 70 is penetrated between the rotating bodies 71a and 71b of the moving auxiliary body, and the supporting body 70 is not moved out of the coupling body, but the mobile rack You can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상기 지지체안내부(733)는 제1체결부(7311)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상측으로 연장되고 절곡되어 이동보조체(71)와 체결수단(735)을 통해 결합되는 제1안내부(7331)와 역시 제2체결부(7313)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이동보조체(71)와 체결수단(735)을 통해 결합되는 제2안내부(73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안내부(7331) 및 제2안내부(7333)가 상하로 구비된 회전체(71a,71b)를 체결하면서 그 내부로 지지체(70)를 수용할 수 있는 바, 지지체(70)는 그 변위가 제한되면서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support guide portion 733 is preferably extended from the first fastening portion 7311 and bent upward, and the first guide portion 7331 is also coupled to the mobile auxiliary body 71 and the fastening means 735. It may include a second guide portion (7333) that is preferably extended upward from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7313) and coupled to the mobile auxiliary body (71) and fastening means (735). As can be seen in FIG. 30, the first guide portion 731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733 can receive the support body 70 therein while fastening the rotating bodies 71a and 71b provided up and down. Bar and support 70 can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while its displacement is limit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면 29 및 30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동보조체와 체결되면서 프레임부(1)와 이동보조체(71)를 연결하고, 지지체(70)를 관통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 권리범위가 미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Figs. 29 and 30, and connects the frame part 1 and the movable auxiliary body 71 while being fastened with the movable auxiliary body, and can accommodate the support 70. If provided so that the scope of rights can be extended.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a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change or modify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disclosed contents, and / or the scope of the art or knowledge in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describe the best condition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additio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other embodiments.

R: 모빌랙 1: 프레임부
2: 구동부 21: 동력전달부
210: 체인 211: 구동축 212: 잠금기어
213: 주동기어 214: 핸들기어 215: 종동기어
216: 제2텐션조절부 217: 연동기어 218: 바퀴기어
219: 제1텐션조절부
23: 잠금부 231: 잠금체 233: 잠금돌기
3: 이동부 31: 휠축연결프레임
32: 이동지지프레임 33: 바퀴축 34: 바퀴
4: 제어부 41: 감지부
413: 물체감지부 43: 출력부
5: 핸들부
6: 레일부 61:바퀴기어 수용체
611: 수용부 613: 결합부
7: 전도방지부
R: Mobile rack 1: Frame
2: driving unit 21: power transmission unit
210: chain 211: drive shaft 212: lock gear
213: main gear 214: handle gear 215: driven gear
216: second tension adjustment unit 217: interlocking gear 218: wheel gear
219: first tension control unit
23: locking portion 231: locking body 233: locking projection
3: moving part 31: wheel axle connection frame
32: moving support frame 33: wheel axle 34: wheel
4: control unit 41: detection unit
413: object detection unit 43: output unit
5: Handle part
6: rail part 61: wheel gear receptor
611: receiving portion 613: engaging portion
7: Fall prevention part

Claims (10)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바퀴를 가지는 이동부와, 상기 바퀴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바퀴기어와 선택적으로 상기 바퀴의 회전을 제한하는 잠금부를 가지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바퀴기어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바퀴기어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바퀴기어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바퀴기어의 이로부터 상기 바퀴기어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도록 구비되되,
상기 바퀴기어의 이를 수용하는 수용공과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은 상기 바퀴기어의 이의 단면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은 그 전후방으로의 길이가 상기 체결수단의 전후방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핸들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핸들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기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걸림차단체와 연결되어 상기 걸림차단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키홀을 가지는 핸들바디와,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 또는 연결하도록 구비된 클러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핸들기어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걸림회전축과 상기 걸림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핸들기어의 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연결시키는 걸림체 및 상기 걸림체와 결합되어 걸림체의 중력 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걸림차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
A frame portion forming the frame of the mobile rack, a rail portion provided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bile rack, a moving portion having a wheel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rail portion, and to transmit power to the wheel It includes a wheel gear provided and a driving portion having a locking portion for selectively restricting rotation of the wheel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portion,
The rail portion includes a wheel gear receptor that can accommodate the wheel gear,
The wheel gear receptor is provided such that the distance from one side to the center of the wheel gear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wheel gear to the center of the wheel gear.
It includes a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teeth of the wheel gear and a fastening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on one side of the wheel gear receptor to receive the fastening means,
The receiving hole is formed to be larger in size than its cross section of the wheel gear, and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such that its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is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fastening means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wheel gear receptor,
The drive unit includes a handle gear that transmits power to the handle unit,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of the handle gear, and is connected to a locking vehicle body, and a handle body having a keyhole provided to advance or reverse the locking vehicle body, and optionally transmitted from the steering gear It includes a clutch portion provided to cut or connect the power to be,
The clutch unit is rotated around the locking shaft and the locking shaft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andle gear to be inserted between the handle gear and the locking body to connect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handle gear and the locking body and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vehicle body coupled to limit rotation of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locking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잠금체와 잠금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체와 잠금돌기는 선택적으로 동력전달부의 기어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The mobile rack of claim 1, wherein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locking body and a locking projection, and the locking body and the locking projection are selectively provided to limit gear rot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잠금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체와 잠금돌기는 상기 잠금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The mobile rack of claim 7,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lock gear, and the lock body and the lock protrusion are provided to limit rotation of the lock gea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돌기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상을 갖고 하향이동하여 상기 잠금기어의 이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The mobile rack of claim 8, wherein the locking projection has a bar shape as a whole and is moved downwards to limit rotation by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between the locking ge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모빌랙이 배열된 경우,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상기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한 잠금상태 시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

According to claim 1, When a plurality of mobile racks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rail portion is arranged,
The wheel gear receptor is a mobile rack with improved secur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mobile racks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where the moving part of the outermost mobile rack is located in an adjacent locked state.

KR1020190066818A 2019-06-05 2019-06-05 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 KR1020915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818A KR102091551B1 (en) 2019-06-05 2019-06-05 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818A KR102091551B1 (en) 2019-06-05 2019-06-05 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551B1 true KR102091551B1 (en) 2020-03-23

Family

ID=6999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818A KR102091551B1 (en) 2019-06-05 2019-06-05 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55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866U (en) * 1997-05-08 1997-08-12 The handle of a mobile rack
KR200318400Y1 (en) * 2003-03-21 2003-06-28 주식회사 갑일오피스 A mobile-rack
JP2006034494A (en) * 2004-07-26 2006-02-09 Okamura Corp Manual system mobile shelf device
KR200439544Y1 (en) 2007-08-09 2008-04-1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Electric mobile rack
KR101239779B1 (en) * 2012-11-28 2013-03-06 주식회사 갑일오피스 Auto stopper device for running roller of mobile rack
KR101622241B1 (en) 2015-11-04 2016-05-19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Shelf supporting system in mobile rack for fall prevention
JP2018165202A (en) * 2017-03-28 2018-10-25 日本ファイリング株式会社 Seismic control device for mobile rack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866U (en) * 1997-05-08 1997-08-12 The handle of a mobile rack
KR200318400Y1 (en) * 2003-03-21 2003-06-28 주식회사 갑일오피스 A mobile-rack
JP2006034494A (en) * 2004-07-26 2006-02-09 Okamura Corp Manual system mobile shelf device
KR200439544Y1 (en) 2007-08-09 2008-04-1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Electric mobile rack
KR101239779B1 (en) * 2012-11-28 2013-03-06 주식회사 갑일오피스 Auto stopper device for running roller of mobile rack
KR101622241B1 (en) 2015-11-04 2016-05-19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Shelf supporting system in mobile rack for fall prevention
JP2018165202A (en) * 2017-03-28 2018-10-25 日本ファイリング株式会社 Seismic control device for mobile 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747B1 (en) Mobile Rack Including a Driving Part Capable of Adjusting the Tension
KR101972785B1 (en) Refrigerator
US20140238803A1 (en) Retractable spinner wheels for a luggage case
US8060983B2 (en) Device for cushioning an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of sliding shutters
CN103080454B (en) Pull-in device
KR20180110373A (en) Refrigerator
KR102144784B1 (en) Flush Handle For Vehicle Door
KR102115897B1 (en) Moblie Rack Including Part to Prevent Falling
EP3258195A2 (en) Refrigerator
KR102115884B1 (en) Mobile Rack with Improved Assembleability and Expandability
KR20100122459A (en) Cupboard unit with extensible pull-out element
AU2013221578B2 (en) Item dispensing apparatus
KR102091551B1 (en) Mobile Rack with Enhanced Security
KR102091553B1 (en) Mobile Rack Including Handle Portion with Improved Stability
KR102115894B1 (en) Mobile Rack with Enhanced Stability when Sensing Resistance
CN105431602A (en) Cabinet gang lock system for electrically lockable slides
CN112212560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EP3764039B1 (en) Refrigerator
EP3258196A2 (en) Refrigerator
CN216406453U (en) Door lock structure and electric appliance
US11447994B2 (en) Drive device for an element to be driven
CN109993911A (en) Container and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001148066A (en) Laundry housing device
US20120146473A1 (en) Friction controlled drawer slide mechanism
EP2871315B1 (en) Supporting device for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