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678B1 -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678B1
KR102090678B1 KR1020190128132A KR20190128132A KR102090678B1 KR 102090678 B1 KR102090678 B1 KR 102090678B1 KR 1020190128132 A KR1020190128132 A KR 1020190128132A KR 20190128132 A KR20190128132 A KR 20190128132A KR 102090678 B1 KR102090678 B1 KR 10209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curity
assembly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수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수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수건설
Priority to KR102019012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8Window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창틀 프레임 구조체를 개량하여, 창틀 프레임 구조체의 내측에 창문 프레임을 좌우 진퇴구조로 시공하는 창문부을 형성하고 외측에는 방범창 조립체를 정형화되게 수납 및 고정하는 방범창 조립부를 형성하여서, 창문 프레임과 방범창 조립체의 정형화된 조립상태를 형성한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Sliding window system with improved prevention window structure}
본 발명은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창틀 프레임 구조체를 개량하여, 창틀 프레임 구조체의 내측에 창문 프레임을 좌우 진퇴구조로 시공하는 창문부을 형성하고 외측에는 방범창 조립체를 정형화되게 수납 및 고정하는 방범창 조립부를 형성하여서, 창문 프레임과 방범창 조립체의 정형화된 조립상태를 형성한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에는 채광 또는 환기를 위해 창과 같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창에는 창호가 설치되는데, 상기 창호는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기능 및 풍수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시설이다.
상기 창호의 일반적인 구조는 미서기창으로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개구부인 창에 창틀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에는 창을 개폐하도록 투명,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창이 장착된 창문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의 설치를 위한 창틀은 주로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한 쌍의 나란한 수평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나란한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창호의 경우, 상기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낙상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창호는 상기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된 공간을 통해 사람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창을 차단해주는 시설물이 없어 위험에 대한 지각능력이 발달하지 못한 유아 또는 어린이가 개방된 공간을 통해 건축물 외부로 낙하하여 낙상사고 발생하고 심할 경우 사망사고까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성인의 경우에도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교도소 또는 구치소 등 특수한 시설에서는 상기 창호를 통해 수감자가 탈출하거나 창호를 통해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위하여, 창문의 외부에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시설로 아파트의 발코니에 난간을 설치하고, 학교 교실의 창문 외부에 어린이 및 학생들의 추락사고 방지를 위하여 원통형 금속파이프로 된 봉를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창문의 외부에 별도로 안전봉 또는 철격자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창문도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어 전술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창호의 외측에는 방범 철격자가 구비되고, 내부 창문은 고정된 상태에서도 환기 및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고 제 1536971호에서는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이 평행하게 이격되어 수평틀프레임 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틀프레임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향과 상향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수평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설치된 수평틀프레임 몸체의 하단면과 하부에 설치된 수평틀프레임 몸체의 상단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철격자 삽입공이 구비된 수평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평틀프레임의 양측단에 연결되도록 수직틀프레임 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틀프레임 몸체의 수직방향으로 전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수직틀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수평틀프레임 상하 수평 가이드 돌기 중 후방에 위치된 상하 수평 가이드 돌기 사이에 설치되어 좌우로 이송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딩창짝과; 상기 슬라이딩창짝의 전방에 위치된 수평틀프레임의 상하 수평 가이드 돌기 사이에 설치되어 좌우로 이송되도록 구비된 미서기창짝과; 상기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수평틀프레임의 철격자 삽입공에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부에 내부가 관통되도록 나사공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에 설치된 수평틀프레임의 수평틀프레임 몸체 후면에 철격자 삽입공과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볼트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볼트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철격자의 하부에 구비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철격자 고정볼트가 구비된 다수의 철격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격자 일체형 미서기창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서기창에 철격자를 일체로 형성하면, 종래 외부에 별도의 방범창을 배치함에 따른 외관의 훼손과, 침입자가 방범창을 미서기창에서 분리함에 따른 방범 안정성이 저해되는 현상이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미서기창은 미서기창을 구성하는 수평틀프레임을 천공하고, 상기 천공된 부위에 철격자를 관통되게 삽입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수평틀 프레임 자체의 물리적인 훼손이 야기되므로, 미서기창 자체의 내구성 저하와 외관의 훼손이 야기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틀 프레임, 및 수평틀 프레임을 관통한 철격자의 단부는 벽면에 노출된 관계로, 철격자, 및 수평틀 프레임에서 생성 및 잔류된 응결수나 오수가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면으로 유입되어서, 벽면의 부식이나 오염을 야기하게 되는 한계성을 갖는다.
KR 10-1218254 B1 KR 10-1328602 B1 KR 10-1536971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창틀 프레임을 개량하여, 창틀 프레임의 내측에 창문 프레임을 좌우 진퇴구조로 시공하는 창문 설치부를 형성하고 외측에는 방범창 조립체를 정형화되게 수납 및 고정하는 방범창 조립부를 형성하여서, 창문 프레임 조립체와 방범창 조립체의 정형화된 조립상태를 형성함으로써,
향상된 도난 방지성의 확보와 함께 결로 등에 의해 생성된 응결수의 안정적인 배수를 통해 생성된 응결수가 벽면으로 침투하여 건축물의 손상이나 오염을 야기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은,
상하 이격된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와,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의 양편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진 창틀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에 분리하여 제작된 독립 조립체로 구성되어, 조립을 통해 창틀 프레임 구조체의 실외측에 배치되는 방범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는, 적어도 상하 마주하는 수평 프레임 부재의 실내측에 좌우 길이방향의 진퇴레일을 갖는 창문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 마주하는 수평 프레임 부재의 실외측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되어, 내경부가 개방된 고정슬롯을 갖는 방범틀 조립부가 형성된 사각의 중공 프레임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에 형성된 방범틀 조립부에 조립되는 방범틀 조립체는, 적어도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의 실외측에 형성된 방범틀 조립부의 고정슬롯 내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슬롯 내에 수납하여 내외측이 지지되며, 설정간격으로 이격된 조립공들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평 지지바와; 상기 각 조립공을 통해 단부를 수평 지지바에 상하 관통되게 고정하여 수평 지지바들 사이에 설정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방범봉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독립 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방범틀 조립부의 고정슬롯은, 외측벽과 내측벽이 이음벽에 의해 연결되어 내경부가 개방된 단면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방범틀 조립체에 형성된 고정슬롯에 삽입되는 각 수평 지지바는 외측벽과 내측벽이 이음벽에 의해 연결되어 외경부가 개방된 단면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방범틀 조립부의 고정슬롯 내에 삽입된 방범틀 조립체의 지지바는, 양측벽이 고정슬롯의 양측벽에 중첩되게 삽입되어, 고정슬롯과 지지바 사이에는 외부와 차폐된 중공의 차폐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음벽에 형성된 조립공을 통해 지지바를 관통한 방범봉의 단부는, 방범틀 조립부와 지지바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와 차폐된 차폐공간부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폐공간부의 내벽을 형성하는 지지바의 이음벽에는 각 조립공과 연통하는 고정공들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보강지지편이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방범봉들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중공체로 구성되어, 상기 조립공과 고정공을 관통하여 적층된 지지바와 보강지지편을 관통한 방범봉들의 단부들은 보강지지편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보강 지지편은, 상기 방범틀 조립체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바의 단면과 동일하게 외경부가 개방된 단면구조로 제작되고, 상기 수평 지지바의 양측벽 하단에는 보강 지지편의 양측 하단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창틀 프레임 구조체의 실외측 내경에, 고정슬롯이 형성된 방범틀 조립부를 형성하고, 상기 방범틀 조립부에 방범틀 조립체를 견착하여서, 창틀 프레임 구조체의 실외측에 복수의 방범봉들이 배치된 방범틀 조립체가 정형화되게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방범틀 조립체를 형성하면 향상된 방범 안정성이 확보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범봉 조립체의 형성에 따른 창틀 프레임 구조체의 물리적인 훼손이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방범틀 조립체와, 상기 방범틀 조립체를 환형 지지하여 고정하는 방범틀 조립체 사이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건축물의 벽면과 차폐된 차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방범틀 조립체를 통해 벽면에 응결수나 오수가 유입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외형 구성도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에 있어, 창틀 프레임 구조체에 마련된 방범틀 조립부와, 방범틀 조립체의 세부 구성 및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에 있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범틀 조립체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외형 구성도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에 있어, 창틀 프레임 구조체에 마련된 방범틀 조립부와, 방범틀 조립체의 세부 구성 및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에 있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범틀 조립체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1)은,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와;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에 좌우 진퇴구조로 배치되어, 좌우 진퇴를 통해 개구부의 개폐여부 및 개방량을 설정하는 창문 프레임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은 상하 이격된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101)와,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101)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부재(102)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각의 프레임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 부재(101)와 수직 프레임 부재(102)는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 부재(101, 102)를 압출 성형을 통해 내측과 외측으로 분할하여 제작하고, 이들 분할하여 제작된 창틀 프레임 부재(101, 102)를 아존 등의 단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단열 연결층(103)를 통해 이음하여서 단열 연결층(103)에 의해 향상된 단열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프레임 부재(101, 102)의 외측면에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배치된 앵커볼트(105)의 단부에 형성된 견착편(105a)을 길이방향으로 진입하여, 개구부에 정형화되게 고정되는 견착레일(10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는 개구부의 내벽에 형성된 앵커볼트(105)의 단부에 형성된 견착편(105a)을 견착레일(104)에 견착하여 건축물의 개구부에 정형화되게 고정 시공된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101)에는 진퇴레일(111)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창문 설치부(1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창문 프레임 구조체(200)들은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의 실내측에 형성된 창문 설치부(110)의 각 진퇴레일(111)에 좌우 진퇴구조로 설치되어서, 진퇴레일(111)을 따라 좌우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의 개폐여부 및 개방량을 설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미서기 창호 시스템(1)을 구현함에 있어,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의 외측에 독특한 방범창 구조를 마련하여서, 외부인이 개구부에 시공된 미서기 창호 시스템(1)을 통해 실내에 무단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범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창 구조는, 실내측 내벽에 창문 설치부(110)가 형성된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의 실외측 내벽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개방된 고정슬롯(121)을 갖는 방범틀 조립부(120)와; 상기 방범틀 조립부(120)를 형성하는 고정슬롯(121)에 삽입하여 조립되는 방범틀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범창 구조는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 자체에 천공 등에 의한 물리적인 훼손없이,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에 방범틀 조립체(300)를 정형화되게 조립하여 고정하는 방범틀 조립부(1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방범틀 조립부(120)에 분리 구성된 방범틀 조립체(300)를 조립을 통해 정형화되게 고정하여, 천공이나 용접 등에 의한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 자체의 물리적인 훼손없이 방범창 구조의 간편한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범틀 조립체(300)는 적어도 이격된 한 쌍의 지지바(310, 320) 사이에, 복수의 방범봉(330)들이 설정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조립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이격된 한 쌍의 수평 지지바(310)와; 상기 수평 지지바(310)의 단부에 각각 직립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지지바(320)가 조립된 사각의 환형 조립체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수평 지지바(310)에는 설정간격으로 이격된 조립공(311)들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평 지지바(310)에는 단부를 조립공(311)을 통해 수평 지지바(310)에 상하 관통하여 직립시킨 방범봉(330)들이 설정 간격으로 이격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6에서는, 수평 지지바(310)와 수직 지지바(320) 사이에 방범봉(330)들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배치하고, 이들 방범봉(330)들의 교차지점에 수평 조립공(351)과 수직 조립공(352)이 형성된 교차 브라켓(350)을 각각 배치하여서, 이들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진입된 방범봉(330)들을 교차 브라켓(350)에 의해 상호 지지되어서,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의 실외측 내벽에 일체로 형성된 방범틀 조립부(120)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101)의 실외측 내벽과, 이와 직립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부재(102)의 실외측 내벽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수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방범틀 조립체(300)는 한 쌍의 수평 지지바(310)와 한 쌍의 수직 지지바(320)를 포함하는 사변이, 사각의 환형 수납구조로 이루어진 방범틀 조립부(120)의 고정슬롯(121) 내에 삽입되어서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의 실외측 내벽에 형성된 방범틀 조립부(120)는 "∪"형 단면구조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져 내경부가 개방된 고정슬롯(121)을 갖고, 상기 방범틀 조립체(300)의 각 지지바(310, 320)는 외경부가 개방된 "∩"형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는 창문 설치부(110)와 방범틀 조립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압출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별도 용접이나 절곡 과정없이 실외측에 고정슬롯(121)으로 이루어진 방범틀 조립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방범틀 조립부(120)의 고정슬롯(121) 내에 삽입된 방범틀 조립체(300)의 각 지지바(310, 320)들은 양측벽을 방범틀 조립부(300)를 구성하는 고정슬롯(121)의 양측벽에 중첩한 형태로 삽입되어서, 고정슬롯(121)과 지지바(310, 320) 사이에는 중공의 차폐공간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범틀 조립부(300)들을 구성하는 각 방범봉(330)들의 단부(331)는 상기 조립공(311)을 통해 지지바(310)를 직립되게 관통하여서, 방범틀 조립부(120)의 고정슬롯(121)과 지지바(310) 사이에 형성된 차폐공간부(122) 내에 수납된 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상기 방범틀 조립부(300)를 구성하는 각 지지바(310, 320)들과, 상기 지지바(310)를 관통하여 조립된 각 방범봉(330)의 단부(331)들은, 방범틀 조립부(120)를 구성하는 고정슬롯(121) 내에 견착 수납되어서, 건축물의 개구부와 차폐된 상태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차폐공간부(122) 내에 생성된 응결수, 그리고 방범틀 조립부(300)의 방범봉(330)을 따라 하부로 흘려내려 차폐공간부(122) 내로 유입된 우수 등의 오염수는, 차폐공간부(122)에 의해 건축물의 개구부와 차폐된 상태로, 상기 차폐공간부(122) 내에 생성 내지 유입된 응결수나 오수가 건축물의 개구부로 유입되어 건축물의 개구부를 오염하거나 손상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범틀 조립체(300)의 수평 지지바(310)는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수평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바들을 형성하는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은 그 특성상 취성이 높고 인장강도가 약한 관계로, 외부 침입자가 방범봉을 강하게 당기게 되면 상기 방범봉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수평 지지바의 물리적인 손상이 야기되어 방범 안전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알루미늄보다 상대적으로 인장강도가 높고,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된 방범봉과의 용접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보강 지지편(340)을 수평 지지편(310)의 내벽에 적층되게 배치하여, 상기 보강 지지편(340)을 통해 수평 지지바(31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용접에 의해 방범봉(330)의 단부(331)가 수평 지지바(310)에 정형화되게 융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 지지편(340)은, 상기 방범틀 조립체(300)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바(3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의 단면구조로 제작되고, 상기 "∩"형의 단면구조로 제작된 수평 지지바(310)의 양측벽 하단에는 보강 지지편(340)의 양측 하단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 가이드(310a-b, 310b-b)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 지지편(340)은 지지 가이드(310a-b, 310b-b)를 따라 방범틀 조립체(300)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바(310)의 내벽에 적층하여 배치되고, 이때 상기 보강 지지편(340)에 형성된 고정공(341)들과 수평 지지바(310)에 형성된 조립공(311)은 상하 연통되어서, 이들 연통하는 고정공(341)과 조립공(311)을 통해 방범봉(330)의 단부(331)는 수평 지지바(310)에 정형화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341)과 조립공(311)을 관통한 방범봉(330)의 단부(331)는, 수평 지지바(310)의 내벽에 적층된 보강 지지편(340)에 용접을 통해 융착하여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수평 지지바(310)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7에서는, 상기 적층된 수평 지지바(310)와 보강 지지편(340)을 관통한 방범봉(330)의 단부(331)를 확관부재(P)를 통해 확관하여, 방범봉(330)의 단부(331)가 적층된 수평 지지바(310)와 보강 지지편(340)에 이탈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b와 같이 상기 차폐공간부(122)에 외부와 연통하는 배수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차폐공간부(122) 내에 유입 내지 생성된 응결수나 오수 등이 신속히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응결수나 오수에 의한 차폐공간부(122)를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와 방범틀 조립체(300)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폐공간부(122)를 형성하며 외부에 노출되는 방범틀 조립부(120)의 고정슬롯(121)의 외측벽(121a)에 차폐공간부(122)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121a-a)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슬롯(121) 내에 수납되는 방범틀 조립체(300)의 수평 지지바(310)의 양측벽(310a, 310b)의 하단에, 하나 이상의 간극돌기(310a-a, 310b-a)들을 형성하여서 고정슬롯(121)의 바닥면과 수평 지지바(310) 양측벽 하단 사이에 설정간격의 배수로(122a)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폐공간부(122) 내에 유입 내지 생성된 응결수나 오수 등은, 간극돌기(310a-a, 310b-a)에 의해 형성된 배수로(122a)와 상기 배수로(122a)와 연통하는 배수공(121a-a)를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고, 결과적으로 응결수나 오수 등에 의한 차폐공간부(122)의 오염이 예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 시스템(1)의 제조과정은, 도 2와 같이 최초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101)를 상하 이격되게 배치한 다음,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101)의 일측에 수직 프레임 부재(102)를 조립하여서, 실내측에 창문 설치부(110)가 형성되고 실외측에 방범틀 조립부(120)가 형성되어진 타측이 개방된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를 예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 이격된 한 쌍의 수평 지지바(310) 사이에 방범봉(330)들을 직립되게 배치하고, 상기 수평 지지바(310)에 적층하여 배치된 보강 지지편(340)과 상기 수평 지지바(310)와 보강 지지편(340)을 관통한 방범봉(330)의 단부를 용접을 통해 고정하여서, 상하 이격된 수평 지지바(310) 사이에 방범봉(330)들이 배치된 방범틀 조립체(300)를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방범틀 조립체(300)의 양측에 수직 지지바(320)를 배치하여서, 사각의 방범틀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개방된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의 방범틀 조립부(120) 타측으로 상기 방범틀 조립체(300)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진입하여서, 상기 방범틀 조립부(320)의 고정슬롯(121)에 방범틀 조립체(300)가 3면이 지지된 상태로 예비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방범틀 조립체(300)의 예비 조립이 완료되면, 수직 프레임 부재(102)를 개방된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의 타측에 조립을 통해 고정하여서, 창틀 프레임 구조체(100)의 실외측에, 별도 제작된 방범틀 조립체(300)가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방범틀 조립체(300)를 환형 견착하여 조립한 창틀 프레임 구조체(1)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배치된 다음, 창문 설치부(110)에 창틀 프레임 조립체(200)의 설치를 통해 개폐기능과 방범기능을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1)을 형성한다.
1. 미서기 창호 시스템
100. 창틀 프레임 구조체 101. 수평 프레임 부재
102. 수직 프레임 부재 103. 단열 연결층
104. 견착레일 105. 앵커볼트
105a. 견착편
110. 창문 설치부 111. 진퇴레일
120. 방범틀 조립부 121. 고정슬롯
121a. 외측벽 121a-a. 배수공
121b. 내측벽 121c. 이음벽
122. 차폐공간부 122a. 배수로
200. 창문 프레임 조립체
300. 방범틀 조립체 310. 수평 지지바
310a. 외측벽 310a-a. 간극돌기
310a-b. 지지 가이드
310b. 내측벽 310b-a. 간극돌기
310b-b. 지지 가이드
310c. 이음벽 311. 조립공
320. 수직 지지바
330. 방범봉 331. 단부
340. 보강 지지편 341. 고정공
350. 교차 브라켓 351. 수평 조립공
352. 수직 조립공

Claims (3)

  1. 상하 이격된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와,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의 양편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진 창틀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에 분리하여 제작된 독립 조립체로 구성되어, 조립을 통해 창틀 프레임 구조체의 실외측에 배치되는 방범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는, 적어도 상하 마주하는 수평 프레임 부재의 실내측에 좌우 길이방향의 진퇴레일을 갖는 창문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 마주하는 수평 프레임 부재의 실외측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되어, 내경부가 개방된 고정슬롯을 갖는 방범틀 조립부가 형성된 사각의 중공 프레임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에 형성된 방범틀 조립부에 조립되는 방범틀 조립체는, 적어도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창틀 프레임 구조체의 실외측에 형성된 방범틀 조립부의 고정슬롯 내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슬롯 내에 수납하여 내외측이 지지되며, 설정간격으로 이격된 조립공들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평 지지바와; 상기 각 조립공을 통해 단부를 수평 지지바에 상하 관통되게 고정하여 수평 지지바들 사이에 설정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방범봉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독립 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방범틀 조립부의 고정슬롯은, 외측벽과 내측벽이 이음벽에 의해 연결되어 내경부가 개방된 단면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방범틀 조립체에 형성된 고정슬롯에 삽입되는 각 수평 지지바는 외측벽과 내측벽이 이음벽에 의해 연결되어 외경부가 개방된 단면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방범틀 조립부의 고정슬롯 내에 삽입된 방범틀 조립체의 지지바는, 양측벽이 고정슬롯의 양측벽에 중첩되게 삽입되어, 고정슬롯과 지지바 사이에는 외부와 차폐된 중공의 차폐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음벽에 형성된 조립공을 통해 지지바를 관통한 방범봉의 단부는, 방범틀 조립부와 지지바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와 차폐된 차폐공간부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폐공간부의 내벽을 형성하는 지지바의 이음벽에는 각 조립공과 연통하는 고정공들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보강지지편이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방범봉들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중공체로 구성되어, 상기 조립공과 고정공을 관통하여 적층된 지지바와 보강지지편을 관통한 방범봉들의 단부들은 보강지지편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보강 지지편은, 상기 방범틀 조립체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바의 단면과 동일하게 외경부가 개방된 단면구조로 제작되고, 상기 수평 지지바의 양측벽 하단에는 보강 지지편의 양측 하단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128132A 2019-10-16 2019-10-16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KR10209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32A KR102090678B1 (ko) 2019-10-16 2019-10-16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32A KR102090678B1 (ko) 2019-10-16 2019-10-16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678B1 true KR102090678B1 (ko) 2020-03-18

Family

ID=6999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132A KR102090678B1 (ko) 2019-10-16 2019-10-16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6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707Y1 (ko) * 2006-09-29 2006-12-26 (주)관동건업 방범창
KR20090005421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대형 조립 분해식 방범 및 방호창
KR101218254B1 (ko) 2012-09-10 2013-01-03 양승규 추락 방지장치가 형성된 창문
KR101328602B1 (ko) 2013-05-23 2013-11-13 전병섭 안전난간봉이 설치된 복합이중창
KR101536971B1 (ko) 2014-11-04 2015-07-15 문수용 철격자 일체형 미서기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707Y1 (ko) * 2006-09-29 2006-12-26 (주)관동건업 방범창
KR20090005421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대형 조립 분해식 방범 및 방호창
KR101218254B1 (ko) 2012-09-10 2013-01-03 양승규 추락 방지장치가 형성된 창문
KR101328602B1 (ko) 2013-05-23 2013-11-13 전병섭 안전난간봉이 설치된 복합이중창
KR101536971B1 (ko) 2014-11-04 2015-07-15 문수용 철격자 일체형 미서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1018B2 (en) Impact window assembly for overhead door
JP4613776B2 (ja) 建物
KR102090678B1 (ko) 개량된 방범창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KR100646611B1 (ko) 건축물의 창문안전장치
KR200385577Y1 (ko) 방범창
KR101328602B1 (ko) 안전난간봉이 설치된 복합이중창
KR200425125Y1 (ko)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KR20150011928A (ko) 구조물용 슬라이딩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US20140252293A1 (en) Gate system
KR101536971B1 (ko) 철격자 일체형 미서기창
KR100638805B1 (ko) 건축물의 안전사고 방지용 창호구조
KR102184880B1 (ko) 창틀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안전난간의 결합구조
KR100704264B1 (ko) 착탈식 몰딩구조 및 우수한 단열 및 방음구조를 갖는 창호
RU2685738C1 (ru) Система око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детей
JP2018104927A (ja) 戸体
KR102558130B1 (ko) 창호 일체형 유리난간
KR102489479B1 (ko) 일체형 안전망 난간대
KR101583536B1 (ko)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KR100767970B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의 시공 방법
CN217113464U (zh) 一种房建工程的建筑围护结构
KR100577587B1 (ko)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베란다 창문의 구조
EP3768932B1 (en) Child window safety system
US4532734A (en) Window intrusion barrier
KR200224382Y1 (ko) 방범창살이 구비된 창호
KR870004116Y1 (ko) 조립식 방범 철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