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649B1 - 이동로봇과 이동로봇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로봇과 이동로봇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0649B1 KR102090649B1 KR1020180024834A KR20180024834A KR102090649B1 KR 102090649 B1 KR102090649 B1 KR 102090649B1 KR 1020180024834 A KR1020180024834 A KR 1020180024834A KR 20180024834 A KR20180024834 A KR 20180024834A KR 102090649 B1 KR102090649 B1 KR 1020906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undary
- driving
- mobile robot
- wire
- adjac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56—Interaction with payloads or external entities
- G05D1/661—Docking at a base s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01D34/008—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for automated or remotely controlled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6—Proximity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4—Tracking a line or surface by means of senso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docking at a fixed facility, e.g. base station or loading bay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5D1/026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using buried wir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3—Means capturing signals occurring naturally from the environment, e.g. ambient optical, acoustic, gravitational or magnetic signal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7—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using signals provided by artificial sources external to the vehicle, e.g. navigation beac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48—Performing a task within a working area or space, e.g.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주행 영역 및 제2 주행 영역의 일부가 서로 인접한 인접 경계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접 경계 신호를 감지하는 경계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인접 경계 신호를 바탕으로 인접 경계 라인을 정의하고,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을 따라 주행하는 호밍 주행을 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로봇의 충전대로 최단 경로로 땅을 훼손하지 않고 복귀하는 이동로봇 및 이동로봇 시스템에 에 관한 것이다.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 중에서 자력으로 주행이 가능한 것을 이동 로봇이라고 한다. 가정의 야외 환경에서 사용되는 이동 로봇의 대표적인 예는 잔디 깎기 로봇이다.
실내를 자율 주행하는 이동 로봇의 경우 벽이나 가구 등에 의해 이동 가능 영역이 제한되나, 실외를 자율 주행하는 이동 로봇의 경우 이동 가능한 영역을 사전에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상기 잔디 깎기 로봇이 잔디가 심어진 영역을 주행하도록 이동 가능한 영역을 제한해 필요성이 있다.
종래 기술(한국공개특허공보제2015-0125508호)에서는, 잔디 깎기 로봇이 이동할 영역을 설정하기 와이어를 매설하고, 잔디 깎기 로봇은 와이어에 의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센싱(sensing)하여 와이어에 의해 설정된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잔디 깍기 로봇이 충전대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경계가 되는 와이어를 따라 계속적으로 주행하다가 충전대의 위치를 찾아서 충전하게 된다.
종래 기술처럼 잔디 깍기 로봇이 충전대의 위치를 잡기 위해 경계가 되는 와이어를 따라 주행하게 되면, 잔디 깍기 로봇의 주행거리가 길어지고, 잔기 깍기 로봇의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잔디 깍기 로봇은 충전대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경로를 따라 복귀하므로, 잔기 깍기 로봇의 복귀 경로를 따라 땅이 파이게 되고, 파인 땅은 잔디 깍기 로봇의 운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별도로 충전대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를 잔디 까기 로봇에 설치하는 경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이동 로봇이 충전대로 복귀 할 때, 이동 경로를 줄이는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동 로봇이 충전대로 복귀할 때, 경계를 따라 동일한 경로로 복귀하여서 발생하는 땅 파임을 줄이는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충전대의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동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별도의 추가적인 센서를 부착하지 않고 주행 경로의 경계를 인식하는 센서를 공용하는 이동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은 제1 주행 영역과 제2 주행 영역의 일부가 서로 인접한 인접 경계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접 경계 신호를 따라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 경계 신호를 따라 주행하면서도, 랜덤한 주행 경로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수평방향의 자기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제1 주행 영역 및 제2 주행 영역의 일부가 서로 인접한 인접 경계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접 경계 신호를 감지하는 경계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인접 경계 신호를 바탕으로 인접 경계 라인을 정의하고,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을 따라 주행하는 호밍 주행을 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호밍 신호 수신 시에, 상기 호밍 주행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을 중심축으로 설정된 호밍 주행 영역 내에서 랜덤 횟수만큼 주행 방향을 전환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과 랜덤 횟수만큼 교차되는 호밍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접 경계 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접 경계 라인과 평행한 제1 호밍 경계라인 및 제2 호밍 경계라인을 정의하고,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바디가 상기 제1 및 제2 호밍 경계라인에서 주행 방향을 전환하고, 상기 인접 경계 라인과 교차되는 주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바디가 상기 제1 주행 영역 내부 및 상기 제2 주행 영역의 내부를 교대로 출입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경계 신호 감지부는 자기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 신호 감지부는 상기 인접 경계 신호와 상기 제1 주행 영역 및 상기 제2 주행 영역의 경계 신호를 자기장의 세기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상기 경계 신호 감지부는 상기 인접 경계 신호와 상기 제1 주행 영역 및 상기 제2 주행 영역의 경계 신호를 자기장 분포의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신호 수신 시에 상기 인접 경계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바디가 상기 제1 주행 영역의 경계 신호 또는 상기 제2 주행 영역의 경계 신호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경계 신호 감지부는 도킹 기기에서 발생하는 도킹 위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도킹 위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바디가 도킹 주행을 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경계 신호 감지부는 상기 도킹 신호와, 상기 인접 경계 신호를 자기장의 방향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다른 예의 본 발명은 제1 주행 영역과 제2 주행 영역을 정의하는 제1 경계 와이어 및 제2 경계 와이어; 및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상기 제1 주행 영역과 상기 제2 주행 영역이 서로 인접한 인접 경계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접 경계 신호를 감지하는 경계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인접 경계 신호를 바탕으로 인접 경계 라인을 정의하고,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을 따라 주행하는 호밍 주행을 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 경계 영역은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의 일 부분과 상기 제2 경계 와이어의 일 부분이 일정 거리 이내로 위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 인접 경계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와 제2 경계 와이어는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인접 경계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와 제2 경계 와이어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접 경계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와 상기 제2 경계 와이어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로봇이 도킹되어 충전되는 도킹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접 경계 영역의 일단은 상기 도킹 기기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잇다.
상기 도킹 기기는 전원과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단자와, 제2 와이어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제2 경계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제1 와이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제2 경계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2 와이어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과 랜덤 횟수만큼 교차되는 호밍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킹 기기는, 상기 경계 와이어들과 교차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킹 위치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이동 로봇이 충전대의 위치를 정확하고 손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이동 로봇이 충전대로 복귀하는 경로가 경계를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동 로봇의 구동 시간을 늘릴 수 있고, 이동 로봇의 반복적인 이동에 의해 땅이 패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대를 위치를 인식하는 것과, 주행 영역의 경계를 인식하는 것과, 인접 경계 영역을 인식하는 것을 모두 자기장 신호를 통해 하나의 센서를 통해 인식하고, 그 방향 차이 또는 분포 차이 또는 세기 차이에 의해 충전대의 위치와 경계를 식별하고, 호밍 경로를 인지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존재하고, 제어부의 제어 부담을 줄이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킹 기기의 내부에 도전성 와이어를 배치하는 단순한 구성의 추가이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경계를 구성하는 경계 와이어를 공용으로 상용할 수 있고, 경계 와이어와 하나의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적으로 연장되는 도킹 지지부의 내부에 전도성 와이어가 배치되므로, 전도성 와이어를 배치하기 위해 별도로 도킹기기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100)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로봇(100)의 정면을 바라본 입면도 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로봇(100)의 우측면을 바라본 입면도 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로봇(100)의 하측면을 바라본 입면도 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로봇(100)을 도킹(docking)시키는 도킹 기기(200)를 도 시한 사시도 이다.
도 6은 도 5의 도킹 기기(200)를 정면을 바라본 입면도 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와이어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와이어를 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이동 로봇(100)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이동 로봇 시스템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호밍 주행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이동 로봇 시스템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고, 호밍 주행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로봇(100)의 정면을 바라본 입면도 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로봇(100)의 우측면을 바라본 입면도 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로봇(100)의 하측면을 바라본 입면도 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로봇(100)을 도킹(docking)시키는 도킹 기기(200)를 도 시한 사시도 이다.
도 6은 도 5의 도킹 기기(200)를 정면을 바라본 입면도 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와이어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와이어를 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이동 로봇(100)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이동 로봇 시스템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호밍 주행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이동 로봇 시스템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고, 호밍 주행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 구성요소 없이 제2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동 로봇 중 잔디 깎기 로봇(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이동 로봇(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1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동 로봇(100)은 주행면에 대해 바디(110)를 이동시키는 주행부(120)을 포함한다. 이동 로봇(100)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13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후술할 구동 모터 모듈(123)이 고정되는 프레임(111)을 포함한다. 프레임(111)에 후술할 블레이드 모터(132)가 고정된다. 프레임(111)은 후술할 배터리를 지지한다. 프레임(111)은 그 밖에도 다른 여러 부품들을 지지하는 뼈대 구조를 제공한다. 프레임(111)은 보조 휠(125)및 구동 휠(121)에 의해 지지된다.
바디(110)는 블레이드(131)의 양측방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블레이드(131)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측방 차단부(111a)를 포함한다. 측방 차단부(111a)는 프레임(111)에 고정된다. 측방 차단부(111a)는 프레임(111)의 다른 부분의 하측면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측방 차단부(111a)는 구동 휠(121)과 보조 휠(125)의 사이 공간의 상측부를 커버하며 배치된다.
한 쌍의 측방 차단부(111a-1, 111a-2)가 블레이드(131)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배치된다. 측방 차단부(111a)는 블레이드(13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측방 차단부(111a)의 전방면(111af)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전방면(111af)은 측방 차단부(111a)의 하측면에서 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상측으로 꺾이는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전방면(111af)의 형상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10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측방 차단부(111a)는 소정 기준 이하의 하부 장애물을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바디(110)는 블레이드(131)의 전방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블레이드(131)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전방 차단부(111b)를 포함한다. 전방 차단부(111b)는 프레임(111)에 고정된다. 전방 차단부(111b)는 한 쌍의 보조 휠(125(L), 125(R))의 사이 공간의 상측부의 일부를 커버하며 배치된다.
전방 차단부(111b)는 프레임(111)의 다른 부분의 하측면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리브(111ba)를 포함한다. 돌출 리브(111b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 리브(111ba)의 상단부는 프레임(111)에 고정되고, 돌출 리브(111ba)의 하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한다.
복수의 돌출 리브(111ba)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 리브(111ba)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하는 2개의 돌출 리브(111ba)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돌출 리브(111ba)의 전방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돌출 리브(111ba)의 전방면은 돌출 리브(111ba)의 하측면에서 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상측으로 꺾이는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돌출 리브(111ba)의 전방면의 형상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10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돌출 리브(111ba)는 소정 기준 이하의 하부 장애물을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전방 차단부(111b)는 강성을 보조하는 보조 리브(111bb)를 포함한다. 인접하는 2개의 돌출 리브(111ba)의 상단부의 사이에, 전방 차단부(111b)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 리브(111bb)가 배치된다. 보조 리브(111bb)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격자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1)에는 보조 휠(12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스터(미도 시)가 배치된다. 캐스터는 프레임(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캐스터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캐스터는 프레임(111)의 하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보조 휠(125)에 대응하는 한 쌍의 캐스터가 구비된다.
바디(110)는 프레임(111)을 상측에서 덮어주는 케이스(112)를 포함한다. 케이스(112)는 이동 로봇(100)의 상측면 및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한다.
바디(110)는 케이스(112)를 프레임(111)에 고정시키는 케이스연결부(미도 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의 상단에 케이스(112)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는 프레임(111)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는 프레임(1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만 유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는 소정 범위 내에서만 유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는 케이스(112)와 일체로 유동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112)는 프레임(111)에 대해 유동이 가능하다.
바디(110)는 전방부에 배치되는 범퍼(112b)를 포함한다. 범퍼(112b)는 외부의 장애물과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범퍼(112b) 정면부에는, 후측으로 함몰되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범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범퍼 홈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 리브(111ba)의 하단이 보조 리브(111bb)의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범퍼(112b)는 전방면 및 좌우 측면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범퍼(112b)의 전방면 및 측면은 라운드지게 연결된다.
바디(110)는 범퍼(112b)의 외표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범퍼 보조부(112c)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 보조부(112c)는 범퍼(112b)에 결합된다. 범퍼 보조부(112c)는 범퍼(112b)의 전방면의 하부 및 좌우 측면의 하부를 감싸준다. 범퍼 보조부(112c)는 범퍼(112b)의 전방면 및 좌우 측면의 하반부를 덮어줄 수 있다.
범퍼 보조부(112c)의 전단면은 범퍼(112b)의 전단면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범퍼 보조부(112c)는 범퍼(112b)의 표면에서 돌출된 표면을 형성한다.
범퍼 보조부(112c)는 고무 등 충격 흡수에 유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범퍼 보조부(112c)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1)에는, 범퍼(112b)가 고정되는 유동 고정부(미도 시)가 구비될 수 있다. 유동 고정부는 프레임(11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동 고정부의 상단부에 범퍼(112b)가 고정될 수 있다.
범퍼(112b)는 프레임(111)에 대해 소정 범위 내 유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범퍼(112b)는 유동 고정부에 고정되어 유동 고정부와 일체로 유동할 수 있다.
유동 고정부는 프레임(111)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동 고정부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유동 고정부가 프레임(111)에 대해 소정 범위 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범퍼(112b)는 프레임(111)에 대해 유동 고정부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바디(110)는 손잡이(113)를 포함한다. 손잡이(113)는 케이스(112)의 후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110)는 배터리를 인출입하기 위한 배터리 투입부(114)를 포함한다. 배터리 투입부(114)는 프레임(111)의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투입부(114)는 프레임(111)의 후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110)는 이동 로봇(100)의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15)를 포함한다. 전원 스위치(115)는 프레임(111)의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110)는 블레이드(131)의 중앙부의 하측을 가려주는 블레이드 보호부(116)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보호부(116)는 블레이드(131)의 원심 방향 부분의 날이 노출되되 블레이드(131)의 중앙부가 가려지도록 구비된다.
바디(110)는 높이 조절부(156)및 높이 표시부(157)가 배치된 부분을 개폐시키는 제1 개폐부(117)를 포함한다. 제1 개폐부(117)는 케이스(112)에 힌지(hinge) 결합되어, 열림 동작 및 닫힘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 개폐부(117)는 케이스(112)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제1 개폐부(117)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닫힘 상태에서 높이 조절부(156)및 높이 표시부(157)의 상측을 덮어준다.
바디(110)는 디스플레이 모듈(165)및 입력부(164)가 배치된 부분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부(118)를 포함한다. 제2 개폐부(118)는 케이스(112)에 힌지 결합되어, 열림 동작 및 닫힘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 개폐부(118)는 케이스(112)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제2 개폐부(118)는 제1 개폐부(117)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 개폐부(118)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닫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65) 및 입력부(164)를 덮어준다.
제2 개폐부(118)의 열림 가능 각도 는 제1 개폐부(117)의 열림 가능 각도 에 비해 작도록, 기설정된다. 이를 통해, 제2 개폐부(118)의 열림 상태에서도 , 사용자가 제1 개폐부(117)를 쉽게 열게 해주고, 사용자가 쉽게 높이 조절부(156)를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제2 개폐부(118)의 열림 상태에서도 , 사용자가 높이 표시부(157)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제1 개폐부(117)의 열림 가능 각도 는 닫힘 상태를 기준으로 약 80 내지 90도 정도 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폐부(118)의 열림 가능 각도 는 닫힘 상태를 기준으로 약 45 내지 60도 정도 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개폐부(117)는 전단부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열림 동작하고, 제2 개폐부(118)는 전단부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열림 동작한다. 이를 통해, 잔디 깎기 로봇(10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도 안전한 지역인 잔디 깎기 로봇(100)의 후방에서, 사용자가 제1 개폐부(117)및 제2 개폐부(118)를 여닫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제1 개폐부(117)의 열림 동작과 제2 개폐부(118)의 열림 동작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1 개폐부(117)의 전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개폐부(117)가 케이스(112)에 대해 회전 동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개폐부(118)의 전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개폐부(118)가 케이스(112)에 대해 회전 동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바디(110)는, 제1 구동 모터(123(L))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모터 하우징(119a)과, 제2 구동 모터(123(R))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모터 하우징(119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 하우징(119a)은 프레임(111)의 좌측에 고정되고, 제2모터 하우징(119b)은 프레임의 우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모터 하우징(119a)의 우단이 프레임(111)에 고정된다. 제2모터 하우징(119b)의 좌단이 프레임(111)에 고정된다.
제1모터 하우징(119a)은 전체적으로 좌우로 높이를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2모터 하우징(119b)은 전체적으로 좌우로 높이를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주행부(120)는 구동 모터 모듈(12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휠(121)을 포함한다. 주행부(120)는 , 구동 모터 모듈(12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휠(121)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휠(121)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좌우에 구비되는 제1휠(121(L))및 제2휠(121(R))을 포함한다. 제1휠(121(L))는 좌측에 배치되고, 제2휠(121(R))는 우측에 배치된다. 제1휠(121(L))및 제2휠(121(R))은 좌우로 이격 배치된다. 제1휠(121(L))및 제2휠(121(R))은 바디(110)의 후측 하방부에 배치된다.
제1휠(121(L))및 제2휠(121(R))은 바디(110)가 지면에 대해 회전 운동 및 전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휠(121(L))과 제2휠(121(R))이 같은 회전 속도 로 회전할 때, 바디(110)는 지면에 대해 전진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휠(121(L))의 회전 속도 가 제2휠(121(R))의 회전 속도 보다 빠르거나 제1휠(121(L))의 회전 방향 및 제2휠(121(R))의 회전 방향이 서로 다를 때, 바디(110)는 지면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제1휠(121(L))및 제2휠(121(R))은 보조 휠(12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휠(121(L))의 중심부에 제1 구동 모터(123(L))의 축이 고정될 수 있고, 제2휠(121(R))의 중심부에 제2 구동 모터(123(R))의 축이 고정될 수 있다.
구동 휠(121)은 지면과 접촉하는 휠 외주부(121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휠 외주부(121b)는 타이어일 수 있다. 휠 외주부(121b)에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 휠(121)은 휠 외주부(121b)를 고정시키고 모터(123)의 동력을 전달받는 휠 프레임(미도 시)을 포함할 수 있다. 휠 프레임의 중앙부에 모터(123)의 축이 고정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휠 외주부(121b)는 휠 프레임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된다.
구동 휠(121)은 휠 프레임의 외측 표면을 덮어주는 휠 커버(121a)를 포함한다. 휠 커버(121a)는 휠 프레임을 기준으로 모터(123)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휠 커버(121a)는 휠 외주부(121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주행부(12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모듈(123)을 포함한다. 구동 휠(12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모듈(123)을 포함한다. 구동 모터 모듈(123)은, 제1휠(121(L))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모터(123(L))와, 제2휠(121(R))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 모터(123(R))를 포함한다. 제1 구동 모터(123(L))와 제2 구동 모터(123(R))는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모터(123(L))는 제2 구동 모터(123(R))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모터(123(L))및 제2 구동 모터(123(R))는 바디(110)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모터(123(L))및 제2 구동 모터(123(R))는 바디(11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모터(123(L))는 제1휠(121(L))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2 구동 모터(123(R))는 제2휠(121(R))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모터(123(L))및 제2 구동 모터(123(R))는 바디(110)에 고정된다.
제1 구동 모터(123(L))는 제1모터 하우징(119a)의 내부에 배치되어, 좌측으로 모터축이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구동 모터(123(R))는 제2모터 하우징(119b)의 내부에 배치되어, 우측으로 모터축이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휠(121(L))및 제2휠(121(R))이 각각 제1 구동 모터(123(L))의 회전축 및 제2 구동 모터(123(R))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나, 제1휠(121(L))및 제2휠(121(R))에 샤프트 등의 부품이 연결될 수도 있고, 기어나 체인 등에 의해 모터(123(L), 123(R))의 회전력이 휠(121a, 120b)에 전달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주행부(120)는, 구동 휠(121)과 함께 바디(110)를 지지하는 보조 휠(125)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휠(125)은 블레이드(13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휠(125)은 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휠로서, 바디(110)를 지면에 대해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휠(125)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캐스터는 수직한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좌측에 배치된 제1보조 휠(125(L))과 우측에 배치된 제2보조 휠(125(R))이 구비될 수 있다.
작업부(130)는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작업부(130)는 바디(110)에 배치된다.
일 예로, 작업부(130)는 청소나 잔디 깎기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작업부(130)는 물건의 운반이나 물건 찾기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작업부(130)는 주변의 외부 침입자나 위험 상황 등을 감지하는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부(130)가 잔디 깎기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작업부(130)의 작업의 종류는 여러 가지 예시가 있을 수 있으며, 본 설명의 예시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작업부(130)는 잔디를 깎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블레이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부(130)는 블레이드(131)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블레이드 모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31)는 구동 휠(121)과 보조 휠(125)의 사이에 배치된다. 블레이드(131)는 바디(110)의 하측부에 배치된다. 블레이드(131)는 바디(110)의 하측에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블레이드(1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잔디를 깎는다.
블레이드 모터(132)는 제1휠(121(L))및 제2휠(121(R))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모터(132)는 바디(110)의 내부 공간 내에서 중앙부의 하측에 배치된다.
블레이드 모터(132)는 보조 휠(125)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모터(132)는 바디(110)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축의 회전력은 기어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31)에 전달된다.
이동 로봇(100)은 구동 모터 모듈(12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 시)를 포함한다. 배터리는 제1 구동 모터(123(L))에 전원을 제공한다. 배터리는 제2 구동 모터(123(R))에 전원을 제공한다. 배터리는 블레이드 모터(13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제어부(190), 방위각 센서(176)및 출력부(165)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는 바디(110)의 내부 공간 내에서 후측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지면에 대한 블레이드(131)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비되어, 잔디의 깎는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사용자가 블레이드(131)의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156)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부(156)는 회전 가능한 다이얼을 포함하여, 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블레이드(131)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블레이드(131)의 높이의 수준을 표시해주는 높이 표시부(157)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부(156)의 조작에 따라 블레이드(131)의 높이가 변경되면, 높이 표시부(157)가 표시하는 높이 수준도 같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높이 표시부(157)에는 현재의 블레이드(131)높이 상태로 이동 로봇(100)이 잔디 깎기를 수행한 후 예상되는 잔디의 높이 값이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도킹 기기(200)에 도킹 시, 도킹 기기(200)와 연결되는 도킹 삽입부(158)를 포함한다. 도킹 삽입부(158)는 도킹 기기(200)의 도킹 연결부(210)가 삽입되도록 함몰되게 구비된다. 도킹 삽입부(158)는 바디(110)의 정면부에 배치된다. 도킹 삽입부(158)와 도킹 연결부(210)의 연결에 의해, 이동 로봇(100)이 충전 시 정확한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도킹 삽입부(158)가 도킹 연결부(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할 충전 단자(211)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충전 대응 단자(159)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대응 단자(159)는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충전 대응 단자(159a, 159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충전 대응 단자(159a, 159b)는 도킹 삽입부(158)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도킹 삽입부(158)와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를 개폐 가능하게 덮어주는 단자 커버(미도 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의 주행 시, 단자 커버는 도킹 삽입부(158)와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를 가려줄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이 도킹 기기(200)와 연결 시, 단자 커버가 열려 도킹 삽입부(158)와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가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도킹 기기(200)는 바닥에 배치되는 도킹 베이스(230)와, 도킹 베이스(230)의 전방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도킹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도킹 베이스(230)는 수평방향과 나란한 면을 정의한다. 도킹 베이스(230)는 이동 로봇(100)이 안착될 수 있는 판 형상이다. 도킹 지지부(220)는 도킹 베이스(230)에서 수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동 로봇(100)의 충전시, 도킹 삽입부(158)에 삽입되는 도킹 연결부(210)를 포함한다. 도킹 연결부(210)는 도킹 지지부(220)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킹 연결부(210)는 상하 방향의 두께가 좌우 방향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킹 연결부(210)의 좌우 방향 폭은 후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에서 바라볼 때, 도킹 연결부(21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이다. 도킹 연결부(210)는 좌우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킹 연결부(210)의 후방부는 자유단을 형성하고, 도킹 연결부(210)의 전방부는 도킹 지지부(220)에 고정된다. 도킹 연결부(210)의 후방부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킹 연결부(210)가 도킹 삽입부(158)에 완전히 삽입되면, 이동 로봇(100)의 도킹 기기(200)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킹 기기(200)는 이동 로봇(100)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단자(211)를 포함한다. 충전 단자(211)와 이동 로봇(100)의 충전 대응 단자(159)가 접촉하여, 도킹 기기(200)로부터 이동 로봇(100)으로 충전을 위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충전 단자(211)는 후측을 바라보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충전 대응 단자(159)는 전방을 바라보는 접촉 대응면을 포함한다. 충전 단자(211)의 접촉면과 충전 대응 단자(159)의 접촉 대응면이 접촉함으로써, 도킹 기기(200)의 전원이 이동 로봇(100) 연결된다.
충전 단자(211)는 +극 및 -극을 형성하는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충전 단자(211)(211a)는 제1충전 대응 단자(159a)와 접촉하게 구비되고, 제2충전 단자(211)(211b)는 제2충전 대응 단자(159b)에 접촉하게 구비된다.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는 도킹 연결부(21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는 도킹 연결부(210)의 좌우에 배치될 수 있다.
도킹 베이스(230)는 이동 로봇(100)의 구동 휠(121)및 보조 휠(125)이 올라서는 휠 가드(232)를 포함한다. 휠 가드(232)는 , 제1보조 휠(125)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휠 가드(232a)와, 제2보조 휠(125)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휠 가드(232b)를 포함한다. 제1휠 가드(232a)와 제2휠 가드(232b)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볼록한 중앙 베이스(231)가 배치된다. 도킹 베이스(230)는 제1휠(121(L))및 제2휠(121(R))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 방지부(234)를 포함한다. 슬립 방지부(234)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로봇(100)의 주행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기 위한 경계 와이어(290)가 구현될 수 있다. 경계 와이어(290)는 소정의 경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경계 신호를 감지하여, 경계 와이어(290)에 의해 설정된 주행 영역의 경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 와이어(290)를 따라 소정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경계 와이어(290) 주변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발생된 자기장이 경계 신호다. 경계 와이어(290)에 소정의 변화 패턴을 가진 교류가 흐르도록 하여, 경계 와이어(290) 주변에 발생된 자기장이 소정의 변화 패턴을 가지며 변화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자기장을 감지하는 경계 신호 감지부(177)를 이용하여, 경계 와이어(290)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계 와이어(290)에 의해 설정된 경계 내의 주행 영역에서만 주행을 할 수 있다.
경계 와이어(290)는 기준 와이어(270)와 구별되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계 와이어(290)는 수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함은 수학적 의미의 완전한 평행과 일정한 수준의 오차를 포함하는 공학적 의미에서 평행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와이어(290)에 소정의 전류를 보내주는 역할을 도킹 기기(200)가 할 수 있다. 도킹 기기(200)는 경계 와이어(290)와 연결되는 와이어 단자(250)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와이어(290)의 양단이 각각 제1 와이어 단자(250a) 및 제2 와이어 단자(250b)에 연결될 수 있다. 경계 와이어(290)와 와이어 단자(250)의 연결을 통해, 도킹 기기(200)의 전원이 경계 와이어(29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경계 와이어(290)가 제1 주행 영역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1 경계 와이어(291)와 제2 주행 영역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2 경계 와이어(29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체 영역은 램던함 호밍 주행 경로를 위해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경계 와이어(291)의 일단과 상기 제2 경계 와이어(292)의 일단은 상기 제1 와이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경계 와이어(291)의 타단과 상기 제2 경계 와이어(292)의 타단은 상기 제2 와이어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와이어 단자(250)는 도킹 기기(200)의 전방(F)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와이어 단자(250)는 도킹 연결부(210)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단자(250)는 도킹 지지부(2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와이어 단자(250a) 및 제2 와이어 단자(250b)는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킹 기기(200)는 와이어 단자(250)를 개폐 가능하게 덮어주는 와이어 단자 개폐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단자 개폐부(240)는 도킹 지지부(220)의 전방(F)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단자 개폐부(240)는 도킹 지지부(22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동작을 통해 개폐 동작을 하도록 기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로봇(100)에게 도킹 기기(200)의 위치를 인식시키기 위한 기준 와이어(270)가 구현될 수 있다. 기준 와이어(270)는 소정의 도킹 위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도킹 위치 신호를 감지하여, 기준 와이어(270)에 의해 도킹 기기(200)의 위치를 인식하고, 복귀 명령 또는 충전이 필요 할 때, 인식된 도킹 기기(200)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기기(200)의 위치는 이동 로봇(100)의 주행의 기준점이 될 수도 있다.
기준 와이어(270)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도전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기준 와이어(270)는 후술하는 도킹 기기(200)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와이어(270)를 따라 소정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기준 와이어(270) 주변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발생된 자기장이 도킹 위치 신호다. 기준 와이어(270)에 소정의 변화 패턴을 가진 교류가 흐르도록 하여, 기준 와이어(270) 주변에 발생된 자기장이 소정의 변화 패턴을 가지며 변화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자기장을 감지하는 경계 신호 감지부(177)를 이용하여, 기준 와이어(270)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준 와이어(270)에 의해 설정된 도킹 기기(200)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기준 와이어(270)는 경계 와이어(290)와 구별된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와이어(270)는 수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와이어(270)는 수평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준 와이어(270)는 도킹 기기(200)에 설치될 수 있다. 기준 와이어(270)는 도킹 기기(200)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준 와이어(270)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준 와이어(270)를 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준 와이어(270)는 도킹 지지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준 와이어(270)는 수평 방향이 자기장 신호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기준 와이어(27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기준 와이어(270)가 도킹 베이스(230)에 배치되면, 도킹 베이스(230)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 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기준 와이어(270)는 적어도 수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분(27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부분(271)은 상하 방향(UD)과 실질적으로 평형하게 배치될 수 있다.
기준 와이어(270)의 수직 부분(271)에서 입력되는 전기의 방향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진행되거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수직 부분(271)은 도킹 기기(200)의 주변 영역 전체에서 일정 이상의 도킹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 부분(271)은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1 수직 부분(271a)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수직 부분(271b)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수직 부분(271)은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 중 어느 하나 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수직 부분(271a)은 도킹 지지부(220)의 우측 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수직 부분(271b)은 도킹 지지부(220)의 좌측 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이 도킹 지지부(220)의 양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면, 기준 와이어(270)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하는 영역이 도킹 기기(200) 주변으로 최대한 확장되게 된다.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의 전류의 진행 방향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직 부분(271a)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기가 흐르는 경우, 제2 수직 부분(271b)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다.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의 전기장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은 여러 개의 와이어의 집합체일 수 있고,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이 일정한 배치를 가질 수도 있다. 물론,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은 단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제1 수직 부분(271a)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 열을 이루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 수직 부분(271b)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 열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이 도킹 지지부(220)의 좌우 방향 양단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배치되게 되면, 복수 개의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 사이에 충전 단자(211), 도킹 연결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 사이에 충전 단자(211), 도킹 연결부(210)가 배치되면, 충전 단자(211)와 도킹 연결부(210)의 구성을 바꾸지 않고, 기준 와이어(270)를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복수 개의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전원에서 전기를 공급 받을 수 있다. 기준 와이어(270)에 소정의 전류를 보내주는 역할을 도킹 기기(200)가 할 수 있다. 도킹 기기(200)는 기준 와이어(270)와 연결되는 와이어 단자(2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와이어(270)의 양단이 각각 제1 와이어 단자(250a) 및 제2 와이어 단자(250b)에 연결될 수 있다. 기준 와이어(270)와 와이어 단자(250)의 연결을 통해, 도킹 기기(200)의 전원이 기준 와이어(27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수직 부분(271a)의 양단이 각각 제1 와이어 단자(250a) 및 제2 와이어 단자(250b)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 수직 부분(271b)의 양단이 각각 제1 와이어 단자(250a) 및 제2 와이어 단자(250b)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예에 따른 기준 와이어(270)는 수평 부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와이어(270)는 제1 수직 부분(271a)과 제2 수직 부분(271b)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전원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이동 로봇(100)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한편, 도 13을 참고하면, 이동 로봇(100)은 사용자의 각종 지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4)는 버튼, 다이얼, 터치형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4)는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미도 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12)의 상측부에 다수의 버튼이 배치된다.
이동 로봇(100)은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출력해주는 출력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65)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65)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 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65)은 상측 방향으로 화상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65)은 케이스(112)의 상측부에 배치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165)은 액정 표시(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 디스플레이 모듈(165)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66)를 포함한다. 저장부(166)는 이동 로봇(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6)는 입력부(164)로부터 입력되거나 통신부(167)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6)는 이동 로봇(100)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외부의 기기(단말기 등), 서버, 공유기 등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67)는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 Wi-Fi, Zigbee, Z-wave,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로 무선 통신하게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는 통신하고자 하는 다른 장치 또는 서버의 통신 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이동 로봇(100)의 상태나 이동 로봇(100)외부의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부(170)를 포함한다. 센싱부(170)는 , 원격 신호 감지부(171), 장애물 감지부(172), 레인 감지부(173), 케이스 유동 센서(174), 범퍼 센서(175), 방위각 센서(176), 경계 신호 감지부(177), GPS 감지부(178) 및 낭떠러지 감지부(17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신호 감지부(171)는 외부의 원격 신호를 수신한다.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원격 신호가 송신되면, 원격 신호 감지부(171)가 원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신호는 적외선 신호일 수 있다. 원격 신호 감지부(17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19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복수의 원격 신호 감지부(171)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원격 신호 감지부(171)는, 바디(110)의 전방부에 배치된 제1원격 신호 감지부(171a)와, 바디(110)의 후방부에 배치된 제2원격 신호 감지부(1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원격 신호 감지부(171a)는 전방으로부터 송신되는 원격 신호를 수신한다. 제2원격 신호 감지부(171b)는 후방으로부터 송신되는 원격 신호를 수신한다.
장애물 감지부(172)는 이동 로봇(100)의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한다. 장애물 감지부(172)는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장애물 감지부(172a, 172b, 172c)가 구비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부(172)는 바디(110)의 전방면에 배치된다. 장애물 감지부(172)는 프레임(111)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장애물 감지부(172)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지자기 센서, PSD(Position Sensitive Device)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인 감지부(173)는 이동 로봇(100)이 놓여진 환경에서 비가 올 경우, 비(rain)를 감지한다. 레인 감지부(173)는 케이스(112)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유동 센서(174)는 케이스 연결부의 유동을 감지한다. 프레임(111)에 대해 케이스(112)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 케이스연결부가 상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케이스 유동 센서(174)가 케이스(112)의 들어올려짐을 감지하게 된다. 케이스 유동 센서(174)가 케이스(112)의 들어올려짐을 감지하면, 제어부(190)는 블레이드(131)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케이스(112)를 들어올리거나 상당한 크기의 하부 장애물이 케이스(112)를 들어올리는 상황 발생시, 케이스 유동 센서(174)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범퍼 센서(175)는 유동 고정부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 고정부의 하부의 일측에 자석을 배치하고, 프레임(111)에 자석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유동 고정부가 회전시 센서가 자석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유동 고정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범퍼 센서(175)가 구현될 수 있다. 범퍼(112b)가 외부의 장애물에 충돌하면, 범퍼(112b)와 일체로 유동 고정부가 회전한다. 범퍼 센서(175)가 유동 고정부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범퍼(112b)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20)는 주행면(S)의 경사에 대한 기울기 정보를 획득하는 기울기 정보 획득부(180)를 포함한다. 기울기 정보 획득부(180)는 바디(110)의 기울기를 감지함으로써, 바디(110)가 올려진 주행면(S)의 경사에 대한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 정보 획득부(180)는 자이로 센싱 모듈(176a)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정보 획득부(180)는 자이로 센싱 모듈(176a)의 감지 신호를 기울기 정보로 변환하는 처리 모듈(미도 시)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은 제어부(190)의 일부로서,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울기 정보 획득부(180)는 자기장 센싱 모듈(176c)를 포함하여, 지구의 자기장에 대한 감지 정보를 근거로 하여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잇다.
자이로 센싱 모듈(176a)는 바디(30)의 수평면에 대한 회전 각속도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싱 모듈(176a)는 수평면에 평행하고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속도 를 감지할 수 있다. 처리 모듈을 통해 X축에 대한 회전 각속도 (롤)와 Y축에 대한 회전 각속도 (피치)를 합성하여, 수평면에 대한 회전 각속도 를 산출할 수 있다. 처리 모듈을 통해 회전 각속도 를 적분하여, 기울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모듈(176a)는 정해진 기준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기울기 정보 획득부(180)는 기준 방향을 근거로 하여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방위각 센서(AHRS)(176)는 자이로(gyro) 센싱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방위각 센서(176)은 가속도 센싱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위각 센서(176)는 자기장 센싱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위각 센서(176)는 자이로(Gyro) 센싱을 수행하는 자이로 센싱 모듈(176a)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모듈(176a)은 바디(110)의 수평의 회전 속도 를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모듈(176a)은 바디(110)의 수평면에 대한 기울임 속도 를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모듈(176a)는 서로 직교하는 공간 좌표계의 3개의 축에 대한 자이로(Gyro) 센싱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모듈(176a)에서 수집된 정보는 롤(Roll), 피치(Pitch) 및 요(Yaw) 정보일 수 있다. 처리 모듈은, 롤링(roll), 피칭(pitch), 요(yaw) 각속도 를 적분하여 청소기(1, 1')의 방향각의 산출이 가능하다.
방위각 센서(176)는 가속도 센싱을 수행하는 가속도 센싱 모듈(176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싱 모듈(176b)는 서로 직교하는 공간 좌표계의 3개의 축에 대한 가속도 센싱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소정의 처리 모듈이 가속도 를 적분함으로써 속도 를 산출하고, 속도 를 적분함으로써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방위각 센서(176)는 자기장 센싱을 수행하는 자기장 센싱 모듈(176c)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센싱 모듈(176c)은 서로 직교하는 공간 좌표계의 3개의 축에 대한 자기장 센싱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자기장 센싱 모듈(176c)은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경계 와이어(290)의 경계 신호 또는/및 기준 와이어(270)의 도킹 위치 신호를 감지한다. 또한,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제1 주행 영역(A1) 및 제2 주행 영역(A2)의 일부가 서로 인접한 인접 경계 영역(295)에서 발생하는 인접 경계 신호를 감지한다.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바디(110)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로봇(100)의 주된 주행 방향인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주행 영역의 경계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범퍼(112b)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경계 신호 감지부(177a) 및 제2 경계 신호 감지부(17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계 신호 감지부(177a) 및 제2 경계 신호 감지부(177b)는 바디(110)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자기장 센서를 포함한다.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코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적어도 수평 방향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공간상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경계 신호 감지부(177a)는 제2 경계 신호 감지부(177b)와 직교되는 방향의 자기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경계 신호 감지부(177a) 및 제2 경계 신호 감지부(177b)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의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자기장 신호 값을 조합하여서, 공간상 서로 직교하는 3개 축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공간상 서로 직교하는 3개 축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하게 되면, 3개 축에 대한 합 벡터 값으로 자기장의 방향을 결정하고, 이러한 자기장의 방향이 수평 방향에 가까우면 도킹 위치 신호 인식하고, 수직 방향에 가까우면 경계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인접 경계 신호와 제1 주행 영역(A1) 및 제2 주행 영역(A2)의 경계 신호를 자기장의 세기 차이로 구별하고, 인접 경계 신호와 도킹 위치 신호를 자기장의 방향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주행 영역(A1)의 제1 경계 와이어(291)와 제2 주행 영역(A2)의 제2 경계 와이어(292)가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중첩되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각 제1 경계 와이어(291) 및 제2 경계 와이어(29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보다 큰 세기를 가지는 자기장이 발생되게 되고, 자기장의 세기 차이로 각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인접 경계 신호와 제1 주행 영역(A1) 및 제2 주행 영역(A2)의 경계 신호를 자기장 분포의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주행 영역(A1)의 제1 경계 와이어(291) 및 제2 주행 영역(A2)의 제2 경계 와이어(292)의 일부가 서로 일정한 걸리 이내에 배치되면 같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평면 좌표 상의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복수 개의 피크를 가지는 것을 감지하여 인접 경계 신호로 인지할 수 있다.
GPS 감지부(178)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GPS 감지부(178)는 PCB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낭떠러지 감지부(179)는 주행면에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낭떠러지 감지부(179)는 바디(11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이동 로봇(100)의 전방에 낭떠러지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70)은 제1 개폐부(117) 및 제2 개폐부(118) 중 적어도 하나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미도 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감지부는 케이스(1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센싱부(170)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입력부(164)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구동 모터(123(L))및 제2 구동 모터(123(R))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블레이드 모터(1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출력부(165)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 보드(미도 시)를 포함한다. 메인 보드는 PCB를 의미한다.
제어부(190)는 이동 로봇(100)의 자율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입력부(164)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주행부(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센싱부(17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주행부(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경계 신호 감지부(177)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경계 신호 감지부(177)에서 도킹 위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도킹 위치 신호가 감지된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도킹 위치 신호에 의해 결정된 기준점으로 복귀 명령이 입력되면, 이동 로봇(100)을 기준점으로 주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경계 신호 감지부(177)에서 경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경계 신호가 감지된 위치를 주행 영역의 경계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주행 영역의 경계 내에서 이동 로봇(100)을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경계 신호 감지부(177)에서 인접 경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인접 경계 신호가 감지된 위치를 인접 경계 영역(295)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인접 경계 영역(295)을 따라 이동 로봇(100)을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인접 경계 신호를 바탕으로 인접 경계 라인(296)을 정의하고, 바디가 인접 경계 라인(296)을 따라 주행하는 호밍 주행을 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호밍 주행과, 인접 경계 라인(296)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100)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 로봇(100) 시스템은 제1 주행 영역(A1)과 제2 주행 영역(A2)을 정의하는 제1 경계 와이어(291) 및 제2 경계 와이어(292); 주행 영역 내부를 주행하는 이동 로봇(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로봇(100) 시스템은 이동 로봇(100)이 도킹되어 충전되는 도킹 기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영역의 경계를 정의하는 경계 와이어(290)가 2개가 배치되어서, 전체 주행 영역을 제1 주행 영역(A1)과 제2 주행 영역(A2)으로 구분된다. 제1 주행 영역(A1)과 제2 주행 영역(A2)은 도킹 기기(200)와 함께 수평면 상에서 닫힌 영역의 정의한다.
인접 경계 영역(295)은 제1 경계 와이어(291)의 일 부분과 제2 경계 와이어(292)의 일 부분이 일정 거리 이내로 위치되는 영역 또는 제1 경계 와이어(291)의 일 부분과 제2 경계 와이어(292)의 일 부분이 일정 거리 이내로 위치되는 영역에서 외부로 일정 영역 확장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경계 와이어(291) 중 제2 경계 와이어(292)와 일정 거리 이내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1 인접 부분(291b)으로 정의되고, 제1 인접 부분(291b)을 제외한 부분을 제1 이격 부분(291a)을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계 와이어(292) 중 제2 경계 와이어(292)와 일정 거리 이내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2 인접 부분(292b)으로 정의되고, 제2 인접 부분(292b)을 제외한 부분을 제2 이격 부분(292a)을 정의될 수 있다.
제1 경계 와이어(291)의 제1 이격 부분(291a)과 제2 경계 와이어(292)의 제2 이격 부분(292a)에 의해 전체 주행 영역이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주행 영역(A1)과 제2 주행 영역(A2)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제1 인접 부분(291b)과 제2 인접 부분(292b)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한이 없으나, 0m 내지 2m가 바람직하다.
물론, 인접 경계 영역(295) 내에서 제1 경계 와이어(291)와 제2 경계 와이어(292)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접 부분(291b)과 제2 인접 부분(292b)은 서로 일부 또는 전부가 중첩될 수 있다.
인접 경계 영역(295) 내에서 제1 경계 와이어(291)와 제2 경계 와이어(29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접 부분(291b)과 제2 인접 부분(292b)은 직선 형태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인접 부분(291b)과 제2 인접 부분(292b)의 이격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인접 경계 영역(295)의 일단은 도킹 기기(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 경계 영역(295)은 전체 주행 영역에서 도킹 기기(200)와 마주 보고 도킹 기기(200)와 최단 거리로 이격된 경계의 일 지점에서 도킹 기기(200)를 연결한 임의의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인접 부분(291b)의 일단은 도킹 기기(200)와 연결되고, 제1 인접 부분(291b)의 타단은 제1 이격 부분(291a)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1 이격 부분(291a)의 타단은 도킹 기기(200)와 연결된다. 제2 인접 부분(292b)의 일단은 도킹 기기(200)와 연결되고, 제2 인접 부분(292b)의 타단은 제2 이격 부분(292a)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 이격 부분(292a)의 타단은 도킹 기기(200)와 연결된다.
제어부(190)는 이동 로봇(100)이 작업을 위한 작업 주행 시에는 인접 경계 영역(295)에 상관 없이 제1 주행 영역(A1)과 제2 주행 영역(A2)을 이동할 수 있게 주행부를 제어한다.
이하, 이동 로봇(100)의 인접 경계 영역(295)에서 호밍 주행에 대해 상술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이동 로봇(100) 시스템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100)의 호밍 주행 경로(HR)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인접 경계 신호를 바탕으로 인접 경계 라인(296)을 정의하고, 바디가 인접 경계 라인(296)을 따라 주행하는 호밍 주행을 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경계 신호 감지부(177)에서 입력된 인접 경계 신호인 자기장의 분포를 통해 이동 로봇(100)이 주행할 기준 선이 되는 인접 경계 라인(296)을 정의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이동 로봇(100)이 인접 경계 신호를 따라 주행한다 함은 이동 로봇(100)이 인접 경계 라인(296)을 따라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1 주행 영역(A1)의 제1 경계 와이어(291)와 제2 주행 영역(A2)의 제2 경계 와이어(292)가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중첩되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각 제1 경계 와이어(291) 및 제2 경계 와이어(29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보다 큰 세기를 가지는 자기장이 발생되게 되므로, 자기장의 세기 차이로 각 신호를 구별하게 된다. 이 때, 인접 경계 라인(296)은 기설정된 자기장의 세기 보다 큰 자기장의 세기 값을 가지는 자기장의 피크를 연결한 가상의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인접 경계라인은 제1 경계 와이어(291)와 제2 경계 와이어(292)가 중첩되는 경우, 제1 경계 와이어(291)가 인접 경계 라인(296)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주행 영역(A1)의 제1 경계 와이어(291)와 제2 주행 영역(A2)의 제2 경계 와이어(292)가 서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중첩되지 않고 배치되는 경우, 각 제1 경계 와이어(291) 및 제2 경계 와이어(29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분포가 2개 이상의 피크를 가지므로, 자기장 분포의 피크의 개수로 경계 신호와 인접 경계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
이 때, 인접 경계 라인(296)은 자기장 분포에서 복수의 피크들 사이의 중심점들을 서로 연결한 가상의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인접 경계라인은 제1 이격 부분(291a)과 제2 이격 부분(292a)의 중심점 들을 연결한 선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호밍 주행은 이동 로봇(100)이 도킹 기기(200)로 복귀 하는 주행을 의미한다. 제어부(190)는 호밍 신호 수신 시에, 호밍 주행을 실행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90)는 이동 로봇(100)의 배터리가 기 설정된 정도 이하인 경우, 호밍 주행을 실시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이 인접 경계 영역(295)에서 호밍 주행 시에 인접 경계 라인(296)을 따라 반복적으로 주행하는 경우, 반복 주행에 의해 땅이 파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동 로봇(100)은 인접 경계 영역(295)에서 인접 경계 라인(296)을 따라 주행하면서 랜덤한 주행 경로로 주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호밍 주행 시에, 바디가 인접 경계 라인(296)을 중심축으로 설정된 호밍 주행 영역 내에서 랜덤 횟수만큼 주행 방향을 전환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호밍 주행 영역은 인접 경계 라인(296)을 중심축으로 하는 닫힌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호밍 주행 영역은 인접 경계 라인(296)을 사이에 두고 인접 경계 라인(296)과 평행한 제1 호밍 경계라인(295a) 및 제2 호밍 경계라인(295b)이 정의되고 제1 호밍 경계라인(295a)과 제2 호밍 경계라인(295b)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이 호밍 주행 영역 내에서 랜덤 한 횟수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전체적으로 인접 경계 라인(296)을 따라 제1 이격 부분(291a) 및 제2 이격 부분(292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호밍 주행 시에 지면이 손상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이동 로봇(100)이 호밍 주행 영역 내에서 랜덤한 횟수로 방향을 전환하면, 이동 로봇(100)의 호밍 경로 중 어느 하나가 너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로봇(100)은 호밍 주행 시에 인접 경계 영역(295) 내에서 지그 재그 방식으로 주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호밍 주행 시에, 바디가 인접 경계 라인(296)과 랜덤 횟수만큼 교차되는 호밍 주행 경로(HR)를 따라 주행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호밍 주행 시에, 바디가 제1 및 제2 호밍 경계라인(295b)에서 주행 방향을 전환하고, 인접 경계 라인(296)과 교차되는 주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90)는 호밍 주행 시 마다, 제1 및 제2 호밍 경계라인(295b)에서 주행 방향을 전환하하는 횟수를 랜덤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호밍 주행 시에, 바디가 제1 주행 영역(A1) 내부 및 제2 주행 영역(A2)의 내부를 교대로 출입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호밍 신호 수신 시에 인접 경계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바디가 제1 주행 영역(A1)의 경계 신호 또는 제2 주행 영역(A2)의 경계 신호를 따라 주행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하고, 제어부(190)는 호밍 주행 시에 도킹 위치 신호가 감지되면, 바디가 도킹 주행을 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로봇(100)은 인접 경계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또는 우선적으로 가변 거리에서 경계 신호를 감지하여 제1 경계 와이어(291)의 제1 이격 부분(291a) 또는 제2 경계 와이어(292)의 제2 이격 부분(292a)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이동 로봇(100)은 제1 경계 와이어(291)의 제1 이격 부분(291a) 또는 제2 경계 와이어(292)의 제2 이격 부분(292a)을 따라 주행하다가 인접 경계 신호를 감지하면 인접 경계 신호를 따라 주행하고, 도킹 위치 신호가 감지되면, 바디가 도킹 주행을 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킹 주행은 이동 로봇(100)이 도킹 기기(200)와 도킹하기 위한 주행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1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100)의 제어방법은 먼저 경계 신호를 감지한다. 이동 로봇(100)은 사용자의 호밍 명령, 이동 로봇(100)의 배터리 부족을 감지하는 경우, 호밍 주행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호밍 주행 모드에서,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경계 신호를 감지한다 (S10). 이동 로봇(100)은 경계 신호가 감지되면 경계 신호를 따라 주행한다(S20). 이동 로봇(100)은 경계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인접 경계 신호 또는 도킹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후,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인접 경계 신호를 감지한다(S30). 이동 로봇(100)은 인접 경계 신호가 감지되면 인접 경계 신호를 따라 주행한다(S40).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로봇(100)은 인접 경계 신호를 따라 주행하면서 랜덤한 경로로 주행할 수 있다.
이후, 경계 신호 감지부(177)는 도킹 위치 신호를 감지한다. 이동 로봇(100)은 도킹 위치 신호가 감지되면 도킹주행 한다(S20).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경계 신호 감지, 인접 경계 신호 감지 및 도킹 위치 신호 감지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로봇(100)은 순서에 상관 없이 도킹 기기(200)에 도킹되면 호밍 주행 모드는 종료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100)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이동 로봇(100) 시스템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고, 호밍 주행 경로(HR)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도 9의 실시예와 인접 경계 영역(295) 내에서 제1 경계 와이어(291)와 제2 경계 와이어(292)는 서로 교차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9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경계 와이어(291)의 제1 인접 부분(291b)과 제2 경계 와이어(292)의 제2 인접 부분(292b)이 서로 교차되어서, 제1 주행 영역(A1)의 일부와 제2 주행 영역(A2)의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100: 이동 로봇 110: 바디
120: 주행부 130: 작업부
170: 센싱부 180: 기울기 정보 획득부
190: 제어부 200: 도킹 기기
270: 기준 와이어 290: 경계 와이어
120: 주행부 130: 작업부
170: 센싱부 180: 기울기 정보 획득부
190: 제어부 200: 도킹 기기
270: 기준 와이어 290: 경계 와이어
Claims (20)
-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제1 주행 영역 및 제2 주행 영역의 일부가 서로 인접한 인접 경계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접 경계 신호를 감지하는 경계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인접 경계 신호를 바탕으로 인접 경계 라인을 정의하고,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을 따라 주행하는 호밍 주행을 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신호 감지부는 도킹 기기에서 발생하는 도킹 위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도킹 위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바디가 도킹 주행을 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이동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밍 신호 수신 시에, 상기 호밍 주행을 실행하는 이동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을 중심축으로 설정된 호밍 주행 영역 내에서 랜덤 횟수만큼 주행 방향을 전환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이동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과 랜덤 횟수만큼 교차되는 호밍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이동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접 경계 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접 경계 라인과 평행한 제1 호밍 경계라인 및 제2 호밍 경계라인을 정의하고,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바디가 상기 제1 및 제2 호밍 경계라인에서 주행 방향을 전환하고, 상기 인접 경계 라인과 교차되는 주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이동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바디가 상기 제1 주행 영역 내부 및 상기 제2 주행 영역의 내부를 교대로 출입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이동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신호 감지부는 자기장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신호 감지부는 상기 인접 경계 신호와 상기 제1 주행 영역 및 상기 제2 주행 영역의 경계 신호를 자기장의 세기 차이로 구별하는 이동 로봇.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신호 감지부는 상기 인접 경계 신호와 상기 제1 주행 영역 및 상기 제2 주행 영역의 경계 신호를 자기장 분포의 차이로 구별하는 이동 로봇.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신호 수신 시에 상기 인접 경계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바디가 상기 제1 주행 영역의 경계 신호 또는 상기 제2 주행 영역의 경계 신호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이동 로봇.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신호 감지부는 상기 도킹 위치 신호와, 상기 인접 경계 신호를 자기장의 방향 차이로 구별하는 이동 로봇. - 제1 주행 영역과 제2 주행 영역을 정의하는 제1 경계 와이어 및 제2 경계 와이어; 및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상기 제1 주행 영역과 상기 제2 주행 영역이 서로 인접한 인접 경계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접 경계 신호를 감지하는 경계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인접 경계 신호를 바탕으로 인접 경계 라인을 정의하고,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을 따라 주행하는 호밍 주행을 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 경계 영역은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의 일 부분과 상기 제2 경계 와이어의 일 부분이 일정 거리 이내로 위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이동 로봇이 도킹되어 충전되는 도킹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접 경계 영역의 일단은 상기 도킹 기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도킹 기기는,
상기 경계 와이어들과 교차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킹 위치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경계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와 제2 경계 와이어는 서로 교차되는 이동 로봇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경계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와 제2 경계 와이어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이동 로봇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경계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와 상기 제2 경계 와이어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이동 로봇 시스템. - 삭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기기는,
전원과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단자와, 제2 와이어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제2 경계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제1 와이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경계 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제2 경계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2 와이어 단자에 연결되는 이동 로봇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주행 시에, 상기 바디가 상기 인접 경계 라인과 랜덤 횟수만큼 교차되는 호밍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834A KR102090649B1 (ko) | 2018-02-28 | 2018-02-28 | 이동로봇과 이동로봇 시스템 |
AU2019201384A AU2019201384B2 (en) | 2018-02-28 | 2019-02-27 | Moving robot and moving robot system |
US16/288,903 US11921513B2 (en) | 2018-02-28 | 2019-02-28 | Moving robot and moving robot system |
EP19159954.7A EP3533311B1 (en) | 2018-02-28 | 2019-02-28 | Moving robo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834A KR102090649B1 (ko) | 2018-02-28 | 2018-02-28 | 이동로봇과 이동로봇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9632A KR20190109632A (ko) | 2019-09-26 |
KR102090649B1 true KR102090649B1 (ko) | 2020-03-18 |
Family
ID=6563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4834A KR102090649B1 (ko) | 2018-02-28 | 2018-02-28 | 이동로봇과 이동로봇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921513B2 (ko) |
EP (1) | EP3533311B1 (ko) |
KR (1) | KR102090649B1 (ko) |
AU (1) | AU2019201384B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91627B2 (en) * | 2016-11-08 | 2020-03-17 | Frederick Energy Products, Llc | Managing vehicle movement in aisles by use of magnetic vectors |
US20210294348A1 (en) * | 2018-08-08 | 2021-09-23 | Positec Power Tools (Suzhou) Co., Ltd. | Self-moving device, automatic work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EP3837408B1 (en) | 2018-08-14 | 2023-10-04 | Zodiac Pool Care Europe | Autonomous cleaning systems for swimming pools |
CN110495821B (zh) * | 2019-09-05 | 2023-11-28 |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清洁机器人及其控制方法 |
KR20210039869A (ko) | 2019-10-02 | 2021-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
KR102302473B1 (ko) * | 2019-10-10 | 2021-09-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로봇의 충전대 및 이동 로봇 시스템 |
KR102197219B1 (ko) | 2019-10-22 | 2020-12-31 | 임장길 | 로봇 전원 인가 시스템 |
DE102019131662A1 (de) * | 2019-11-22 | 2021-05-27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 Basisstation für ein Bodenbearbeitungsgerät, Antriebsrad für ein Bodenbearbeitungsgerät sowie System aus einer Basisstation und einem Bodenbearbeitungsgerät |
SE543950C2 (en) * | 2019-12-04 | 2021-10-05 | Husqvarna Ab | Robotic work tool being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at least two offset settings |
CN113504775A (zh) * | 2020-03-23 | 2021-10-15 |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 自动工作系统、自移动设备及其充电过程控制方法 |
CN113446971B (zh) * | 2020-03-25 | 2023-08-08 |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 空间识别方法,电子装置和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3703431A (zh) * | 2020-05-09 | 2021-11-26 | 苏州科瓴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 自移动设备与充电站对接方法、装置、自移动设备及可读存储介质 |
EP3909411B1 (en) * | 2020-05-14 | 2024-07-31 | Globe (Jiangsu) Co., Ltd. | Mower with a sealed casing and a functional module for maintaining pressure balance or detecting a sealing state of the casing |
SE544439C2 (en) * | 2020-07-06 | 2022-05-31 | Husqvarna Ab | Marking of features for a robotic lawnmower |
JP7476035B2 (ja) * | 2020-08-28 | 2024-04-30 | 株式会社やまびこ | 作業ロボット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
WO2022076213A1 (en) * | 2020-10-05 | 2022-04-14 | Mtd Products Inc | Sensor system and a sensing method for an autonomous device |
SE545080C2 (en) * | 2021-04-30 | 2023-03-21 | Husqvarna Ab |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robotic work tool |
US11720098B1 (en) * | 2021-05-27 | 2023-08-08 | Amazon Technologies, Inc. | Safety override system for a lifted autonomous mobile device |
EP4307517A4 (en) * | 2021-07-28 | 2024-08-14 | Zhejiang Sunseeker Ind Co Ltd | ROBOT GUIDANCE DEVICE AND COURSE SETTING METHOD, ROBOT SYSTEM AND DOCKING GUIDANCE METHOD THEREFOR |
US20240298577A1 (en) * | 2023-03-08 | 2024-09-12 | Brian F. Smith | Docking Unit For A Lawn Mower Blade Sharpening And Task Robo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31832A (ja) * | 2002-06-07 | 2005-10-20 |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 電子式誘導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511254C2 (sv) | 1998-01-08 | 1999-09-06 | Electrolux Ab | Elektroniskt söksystem för arbetsredskap |
EP2073088B1 (en) * | 2004-02-03 | 2011-06-15 | F. Robotics Aquisitions Ltd. | Robot docking station and robot for use therewith |
CN102811604B (zh) | 2010-03-17 | 2016-03-30 | 胡斯华纳有限公司 | 用于将机器人园林工具引导至预定位置的方法和系统 |
DE102011003064A1 (de) * | 2010-12-29 | 2012-07-05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zur Bearbeitung einer Fläche mittels eines Roboter-Fahrzeugs |
JP5836151B2 (ja) * | 2012-02-10 | 2015-12-2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無人走行作業車用エリアワイヤの配置構造およびその制御装置 |
US9072219B2 (en) * | 2013-06-20 | 2015-07-07 | Deere & Company | Robotic mower navigation system |
KR101659031B1 (ko) | 2014-04-30 | 2016-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잔디 깎기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
US9375842B2 (en) | 2014-05-15 | 2016-06-28 | Irobot Corporation | Autonomous mobile robot confinement system |
US9420741B2 (en) * | 2014-12-15 | 2016-08-23 | Irobot Corporation | Robot lawnmower mapping |
US9538702B2 (en) * | 2014-12-22 | 2017-01-10 | Irobot Corporation | Robotic mowing of separated lawn areas |
US20180135325A1 (en) * | 2017-01-17 | 2018-05-17 | Aquatron Robotic Technology Ltd. | Method and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robotic pool cleaner |
US10383499B2 (en) * | 2017-08-31 | 2019-08-20 | Irobot Corporation | Wet robot docking station |
-
2018
- 2018-02-28 KR KR1020180024834A patent/KR10209064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2-27 AU AU2019201384A patent/AU2019201384B2/en active Active
- 2019-02-28 EP EP19159954.7A patent/EP3533311B1/en active Active
- 2019-02-28 US US16/288,903 patent/US1192151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31832A (ja) * | 2002-06-07 | 2005-10-20 |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 電子式誘導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9632A (ko) | 2019-09-26 |
AU2019201384A1 (en) | 2019-09-12 |
US20190265718A1 (en) | 2019-08-29 |
US11921513B2 (en) | 2024-03-05 |
EP3533311A1 (en) | 2019-09-04 |
AU2019201384B2 (en) | 2020-09-10 |
EP3533311B1 (en) | 2020-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0649B1 (ko) | 이동로봇과 이동로봇 시스템 | |
KR102272676B1 (ko) | 이동 로봇과 이동 로봇 시스템 | |
KR102106100B1 (ko) | 이동 로봇 | |
KR102489617B1 (ko) | 이동 로봇과 이동 로봇 시스템 | |
KR102306030B1 (ko) | 이동로봇과 이동로봇의 제어방법 | |
KR20210084392A (ko) | 이동로봇과 이동로봇의 제어방법 | |
KR102489615B1 (ko) | 이동로봇과 이동로봇 시스템 | |
KR20220050667A (ko) |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 |
KR102489618B1 (ko) | 이동 로봇과 이동 로봇 시스템 | |
KR102489616B1 (ko) | 이동 로봇과 이동 로봇 시스템 | |
KR20190109609A (ko) | 이동로봇과 도킹기기 이들을 포함하는 이동로봇 시스템 | |
KR102317722B1 (ko) | 이동로봇 | |
KR20220025602A (ko) |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 |
KR20220025606A (ko) |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 |
KR20220025605A (ko) |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20220025603A (ko) |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