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582B1 -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582B1
KR102090582B1 KR1020190099480A KR20190099480A KR102090582B1 KR 102090582 B1 KR102090582 B1 KR 102090582B1 KR 1020190099480 A KR1020190099480 A KR 1020190099480A KR 20190099480 A KR20190099480 A KR 20190099480A KR 102090582 B1 KR102090582 B1 KR 10209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mensional
display device
printed circuit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615A (ko
Inventor
김대일
박경배
황성재
조용흠
김찬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넵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넵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넵시스
Priority to KR102019009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5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3차원적으로 형성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서블 기판, 발광하는 화소를 포함하는 OLED 층, OLED 층과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OLED 층의 화소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TFT 층, 기판과 TFT 층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도전성 물질이 수용되는 제1의 3차원 비아, 기판에 매립되며, 외부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하는 인쇄회로, 기판에 매립되며 제1신호를 인쇄회로로부터 전달받아 제2신호로 변환하는 구동부 및 제1의 3차원 비아의 상부에 배치되되 OLED 층의 가장자리에 매립되며 제1의 3차원 비아를 통해 구동부로부터 전달받은 제2신호를 TFT 층으로 전달하는 상부배선을 포함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with 3-dimensional V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판에 3차원적으로 형성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인 유기발광(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하며 응답속도가 빨라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 유기발광 소자들을 형성하여 유기발광 소자들이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 소자는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제품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글라스 기판이 아닌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등을 기판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영역 외곽의 베젤(Bezel)이 차지하는 면적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하는데 하나의 장애물이 되고 있다.
베젤 영역을 최소화하려는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그 결과로서 특허공개 제2017-0060215호(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특허공개 제2017-0060215호는 여전히 플렉서블 기판을 벤딩(bending)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는 벤딩 부분이 남아있어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대화를 달성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특허공개 제2017-0060215호는 상부배선과 하부배선을 연결하는 비아를 플렉서블 기판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는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부, 인쇄회로 등의 위치를 제한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형화, 최적화 등을 구현하는데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베젤을 더 줄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대화를 도모하고,
둘째, 구동부, 인쇄회로 등의 배치에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은 집광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기판에 3차원 비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레이저 발진기가 극초단파 펄스 레이저빔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단계, 광학계가 극초단파 펄스 레이저빔을 집광하여 스팟 또는 라인 형태의 집광 레이저빔을 형성하는 단계, 스캐너가 집광 레이저빔을 기판에 조사하여 기판에 3차원 관로를 형성하는 단계, 3차원 관로에 도전물질을 충진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에서, 집광 레이저빔은 다수의 초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에서, 3차원 관로는 길이방향 형상이 수직, 사선, 곡선, 절곡, 차등폭, 분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에서, 3차원 관로는 단면 형상이 원, 타원, 사각, 절곡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에서, 3차원 관로는 수평 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비아는 기판 상면과 연통하고 기판 하면과는 선택적으로 연통하되, 사선, 곡선, 절곡, 차등폭, 분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의 하면으로 노출되는 3차원 비아의 하측 노출부와 접속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배선, 구동부, 인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배선은 기판의 하면으로 노출되는 3차원 비아의 하측 노출부와 기판의 하부에서 접속할 수 있다. 구동부는 기판의 하부에서 하부배선과 접속할 수 있다. 인쇄회로는 기판의 하부에서 구동부와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배선, 구동부, 인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비아의 하측은 기판 하면에 노출될 수 있다. 하부배선은 기판의 하면에 노출되게 함몰되어 3차원 비아의 하측 노출부와 접속할 수 있다. 구동부는 기판의 하면에 노출되게 함몰되어 하부배선과 접속할 수 있다. 인쇄회로는 기판의 하면에 노출되게 함몰되어 구동부에 접속할 수 있다. 인쇄회로는 기판의 하면에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배선, 구동부, 인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비아의 하측은 기판에 내장될 수 있다. 하부배선은 기판에 내장되어 3차원 비아의 하측과 접속할 수 있다. 구동부는 기판에 내장되어 하부배선에 접속할 수 있다. 인쇄회로는 기판에 내장되어 구동부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배선, 구동부, 인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비아의 하측은 기판에 내장될 수 있다. 하부배선은 기판에 내장되어 3차원 비아의 하측과 접속할 수 있다. 구동부는 기판의 하부에 노출되게 함몰되어 하부배선에 접속할 수 있다. 제2의 3차원 비아는 기판에 내장되어 구동부에 접속할 수 있다. 인쇄회로는 기판에 내장되어 구동부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차원 비아는 기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의 둘레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차원 비아는 레이저빔을 스팟, 라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로 집광한 집광 레이저빔을 기판에 조사하여 형성한 3차원 관로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판에 내장되는 인쇄회로는 레이저빔을 스팟, 라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로 집광한 집광 레이저빔을 기판에 조사하여 형성한 3차원 관로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벤딩 부분을 없애고 기판을 상하 관통하는 3차원 비아를 형성하여 상부배선과 하부배선을 접속함으로써 베젤을 추가적으로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3차원 비아를 사선, 곡선, 절곡, 차등폭, 분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어,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부, 인쇄회로 등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자 배치 등의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판 내에 다양한 형태로 3차원 관로를 형성할 수 있어, 구동부, 인쇄회로 등을 기판에 내장할 수도 있고, 특히 인쇄회로는 기판에 직접 인쇄하여 구성할 수도 있어, 소자 집적화 등을 추가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관로를 형성하는 레이저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관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비아의 길이방향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비아의 폭방향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비아를 관통홀 주위에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관로를 형성하는 레이저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관로 형성용 레이저빔 장치는 기판(100)을 지지하는 지지대(200), 기판(100)에 스팟 또는 라인 형태의 집광 레이저빔(B)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판(10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 있고, 플라스틱의 경우는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elene terep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ether sulfo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100)은 레이저빔(B)이 내부까지 투과할 수 있는 빛 투과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므로 투명 비금속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투명 비금속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가 대표적이다.
지지대(200)는 기판(100)을 지지하여 고정하거나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대(200)는 기판(100)을 지지 고정하는 고정 지그 등을 구비하거나 이송을 위해 이송 플레이트, 레일, 모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300)는 기판(100)에 스팟 또는 라인 형태의 집광 레이저빔(B)을 기판(100)에 조사하여 기판(100) 내부에 3차원 관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레이저 발진기(310), 빔 정형기(320), 릴레이 광학계(330), 스캐너(340), 집광 렌즈(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레이저 발진기(310)는 레이저빔을 생성하여 출사할 수 있다. 레이저빔은 적외선 파장대의 DPSS(Diode Pumped Solid State)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DPSS 레이저는 1,064nm의 파장을 가질 수 있으며, 주파수 범위는 100kHz 이하가 적합할 수 있다. 레이저 발진기(310)는 정밀 가공을 위해서 펨토초(10-15s) 범위의 극초단파 펄스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빔 정형기(320)는 입사하는 레이저빔(B)을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으로, 예를들어 빔 직경을 일정한 배율로 확대하는 빔 익스팬더(beam expander)일 수 있다. 빔 정형기(320)는 빔 단면의 광강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광학소자, 빔 단면을 원형으로 만드는 광학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릴레이 광학계(330)는 입사하는 레이저빔을 스캐너(340)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다수의 반사형 광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340)는 입사되는 레이저빔(B)을 기판(100)의 예정된 3차원 관로의 형성 지점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 즉 스캐닝할 수 있다. 스캐너(340)는 레이저빔(B)의 초점을 3차원, 즉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집광 렌즈(350)는 스캐너(340)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빔(B)을 기판(100)의 예정된 3차원 관로의 형성 지점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레이저빔(B)을 집광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빔 정형기(320)를 제어하여 레이저빔(B)의 스팟 직경 또는 라인 길이, 에너지 분포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스캐너(340)를 제어하여 레이저빔(B) 초점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집광 렌즈(350)를 제어하여 레이저빔(B)의 스팟 직경, 라인 길이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레이저빔(B)의 스팟 직경, 라인 길이, 이동속도, 에너지 등을 제어하여 기판(100)에 형성되는 3차원 관로의 형태,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비아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점을 갖는 레이저빔(B)은 초점 위치의 영역에서 기판(100)을 국소적으로 빠르게 가열하여 중공(빈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빔(B)의 초점은 기판(100)에서 3차원 경로, 예를들어 수직, 수평, 사선(비스듬히), 곡선, 절곡, 분기 등 다양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기판(100) 내에 3차원 관로(VH)를 형성할 수 있다..
3차원 관로(VH)는 기판(100)의 일측 표면에서 타측 표면까지 이어지는 형태, 기판(100)의 일측 표면에는 노출되지만 타측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는 형태, 또는 기판(100) 내부에만 형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부(300)는 레이저빔(B)의 집광 형태, 즉 초점의 형태를 스팟(spot), 라인(line)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스팟 형태의 초점을 갖는 레이저빔(B)은 기판(100) 내에 실린더 형태의 3차원 관로(VH)를 형성할 수 있고, 라인 형태의 초점을 갖는 레이저빔(B)은 기판(100) 내에 사각 내지 장공 형태의 3차원 관로(VH)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300)는 극초단파 펄스 레이저빔을 다수의 초점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수 초점의 레이저빔(B)은 한번에 다수의 3차원 관로(VH)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3차원 관로(VH)에는 도전물질을 충진하여 3차원 비아를 형성할 수 있다. 3차원 비아는 기판(100)의 상하 소자, 또는 내부 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비아의 길이방향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비아(T)는 레이저 조사부(300)의 3차원 스캐닝에 따라 다양한 길이방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3차원 비아(T)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각 형태로 꺾어진 절곡 형상, 하부, 상부, 중앙의 폭이 다른 차등폭 형상, 비스듬히 기울어진 사선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3차원 비아(T)는 부드럽게 휘어진 곡선, 즉 굴곡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비아(T)는 다수의 3차원 비아(T)가 기판(100)의 일측면 또는 내부에서 분기되거나 합쳐지는 형태일 수 있고, 기판(100)의 일측면에 노출되게 함몰시켜 구성하는 경우 일부를 배선으로 기능하게 할 수 있고, 기판(100)에 내장시키는 경우에도 일부를 배선으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비아의 폭방향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비아(T)는 단면 형상을 원, 타원, 사각, 절곡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3차원 비아(T)는 기판(100)의 하부로 개방되는 부분의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기판(100) 내부의 3차원 비아(T)의 단면 형상은 기판(100) 하면에서 확인되는 원, 타원, 사각, 절곡 등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비아를 관통홀 주위에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하는 영역, 즉 관통홀(TH)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휴대폰의 경우, 카메라 영역, 마이크 영역 등이 그 예이다. 이 경우, 3차원 비아(T)는 관통홀(TH)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통홀(TH) 주위에서도 기판(100)의 상하로 신호를 원활하게 전달함으로써, 관통홀(TH) 주위를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활용하기가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TFT 층(110), 상부배선(120), OLED 층(130), 제1 절연층(140), 구동부(150), 3차원 비아(T)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한 투명 비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100)은 상하를 관통하고 상면 및 하면에서 노출되는 3차원 비아(T)를 구비할 수 있다. 3차원 비아(T)는 사선, 곡선, 절곡, 차등폭, 분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꺾어진 형태, 즉 절곡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3차원 비아(T)는 상부가 상부배선(120)에 접속되고 하부는 구동부(150)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3차원 비아(T)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극초단파 펄스 레이저빔을 스팟, 라인 등의 초점을 갖는 집광 레이저빔을 기판(100)에 조사하여 3차원 관로( VH)를 형성하고, 그 속에 도전성 물질을 물리적 기상 증착, 화학적 기상 증착, 전기화학적 증착 등의 방법으로 채워 구성할 수 있다.
TFT 층(110)는 박막트랜지스터를 갖는 층으로서, 디스플레이 픽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픽셀들은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입력 신호들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부배선(120)은 기판(100)의 하부에서 3차원 비아(T)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신호를 TFT 층(110) 등에 전달하는 것으로, 다수를 구비할 수 있다..
OLED 층(130)은 화소들이 TFT 층(110)의 TFT(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TFT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하면서 데이터를 가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40)은 OLED 층(130)에 적층되어 OLED 층(130)을 보호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화면신호 등을 TFT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TFT 층(11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기판(100)의 하부면에 배치할 수 있다..
도 6의 제1 실시예는 구동부(150)가 3차원 비아(T)에 직접 접속되게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3차원 비아(T)는 통상 비아와 구동부 사이에 삽입되는 하부배선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6의 제1 실시예에서 하부배선(160), 인쇄회로(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부배선(160)은 기판(100)의 하부에서 3차원 비아(T)의 하측 노출부와 접속할 수 있다. 하부배선(160)은 구동부(150)의 구동신호를 3차원 비아(T)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기판(100)의 하부에서 일측이 하부배선(160)과 접속하고 타측이 인쇄회로(170)에 접속할 수 있다..
인쇄회로(170)는 기판(100)의 하부에서 구동부(150)에 접속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화면신호 등을 구동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인쇄회로(170)는 폴리이미드 등을 재질로 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FPCB)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배선(160), 구동부(150), 인쇄회로(170)를 기판(100)의 하면에 함몰되게 구성하고 있다..
제3 실시예에서, 하부배선(160)과 인쇄회로(170)는 기판(100)의 하면을 배선 형태로 식각하고 그 속에 도전성 물질을 채워넣은, 즉 기판(100)에 인쇄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기판(100)에 인쇄된 하부배선(160)과 인쇄회로(170)를 보호하기 위해, 기판(100)의 하면에 제2 절연층(180)을 추가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2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1,2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배선(160), 구동부(150), 인쇄회로(170)를 기판(100)에 내장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3차원 비아(T)를 상부배선(120)과 구동부(150)를 연결하는 제1의 3차원 비아(T1)와 인쇄회로(170)를 외부와 연결하는 제2의 3차원 비아(T2)로 분리 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하부배선(160), 구동부(150), 인쇄회로(170)는 극초단파 펄스 레이저빔을 스팟, 라인 형태로 집광한 집광 레이저빔을 기판(100)에 조사하여 형성한 3차원 관로(VH)에 형성하고, 그 속에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배선(160)과 인쇄회로(170)는 기판(100)의 3차원 관로(VH)에 도전성 물질을 채워넣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3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1~3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배선(160)과 인쇄회로(170)를 기판(100)에 내장하고, 구동부(150)는 기판(100)의 하면에 노출되게 함몰시켜 구성하고 있다.
제5 실시예에서는, 3차원 비아(T)를 상부배선(120)과 구동부(150)를 연결하는 제1의 3차원 비아(T11), 구동부(150)와 인쇄회로(170)를 연결하는 제2의 3차원 비아(T12), 그리고 인쇄회로(170)를 외부와 연결하는 제3의 3차원 비아(T13)로 분리 구성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하부배선(160), 인쇄회로(170)는 기판(100)에 3차원 관로(VH)에 형성하여 그 속에 도전성 물질을 채워넣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4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1~4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경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기판 110 : TFT 층
120 : 상부배선 130 : OLED 층
140 : 제1 절연층 150 : 구동부
160 : 하부배선 170 : 인쇄회로
180 : 제2 절연층 200 : 지지대
300 : 레이저 조사부 310 : 레이저 발진기
320 : 빔 정형기 330 : 릴레이 광학계
340 : 스캐너 350 : 집광 렌즈
B : 레이저빔 T,T1,T2,T11,T12,T13 : 3차원 비아
TH : 관통홀 VH : 3차원 관로

Claims (11)

  1. 플렉서블 기판;
    발광하는 화소를 포함하며,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OLED 층;
    상기 OLED 층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OLED 층의 화소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TFT 층;
    상기 기판과 상기 TFT 층 각각의 가장자리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도전성 물질이 수용되는 제1의 3차원 비아;
    상기 기판에 매립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하는 인쇄회로;
    상기 기판에 매립되되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신호를 상기 인쇄회로로부터 전달받아 제2신호로 변환하는 구동부; 및
    상기 OLED 층의 제2면의 가장자리에 매립되어 상기 제2면과 하나의 면을 형성하되 상기 OLED 층의 제1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OLED 층의 제1 및 제2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OLED 층의 측단면과 하나의 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의 3차원 비아를 통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2신호를 상기 TFT 층으로 전달하는 상부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TFT 층과 접촉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반대측에 위치한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노출면은 상기 기판의 제2면과 하나의 면을 형성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LED 층의 제2면은 상기 TFT 층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선은 상기 OLED 층의 내측을 향하는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면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배선의 타측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OLED 층의 측단면과 하나의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인쇄회로를 연결하는 제2의 3차원 비아; 및
    상기 인쇄회로를 외부와 연결하는 제3의 3차원 비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기판의 제1면 및 제2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3차원 비아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3의 3차원 비아는 상기 기판의 제2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는 가요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인쇄회로(F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3차원 비아는
    상기 기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의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3차원 비아는
    레이저빔을 스팟, 라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로 집광한 집광 레이저빔을 상기 기판에 조사하여 형성한 3차원 관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는
    레이저빔을 스팟, 라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로 집광한 집광 레이저빔을 상기 기판에 조사하여 형성한 3차원 관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99480A 2019-08-14 2019-08-14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90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80A KR102090582B1 (ko) 2019-08-14 2019-08-14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80A KR102090582B1 (ko) 2019-08-14 2019-08-14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060A Division KR102013323B1 (ko) 2018-05-03 2018-05-03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615A KR20190127615A (ko) 2019-11-13
KR102090582B1 true KR102090582B1 (ko) 2020-03-19

Family

ID=6853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480A KR102090582B1 (ko) 2019-08-14 2019-08-14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8168A (zh) * 2021-03-25 2021-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柔性显示屏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892B1 (ko) * 2016-08-19 2023-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615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323B1 (ko)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303038B2 (en) Beam steering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45541C (zh) 激光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US87294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ser machining relatively narrow and relatively wide structures
KR102090582B1 (ko) 3차원 비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460585B2 (en) Method of forming an optical diffusion module
CN111190164B (zh) 一种扫描装置及扫描方法
CN101432648A (zh) 包括光电子构件和光波导的印刷电路板元件
CN108363127B (zh) 一种表面等离激元双焦点透镜
KR102629386B1 (ko) 플라스틱 필름의 레이저 가공 방법 및 플라스틱 필름
US1064197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broadcast transmission in a circuit board
CN100530056C (zh) 具有环绕像素阵列的光学导航系统
CN103781586A (zh) 具有复数个激光器和一组合偏转设备的标记仪器
CN104416289B (zh) 对高分辨率数字编码激光扫描器的优化以进行精细特征标记
CN102165562B (zh) 半导体制造装置
JP6487603B2 (ja) 光送受信機と光反射器との位置合わせを行う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20160001402A1 (en) Patterning conductive films using variable focal plane to control feature size
CN107544064A (zh) 用于自动车辆激光雷达的折射波束操纵设备
CN104283099A (zh) 执行激光晶化的方法
US20220355417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1336884B2 (en) Camera module having image sensor and three-dimensional sensor
KR101789185B1 (ko) 레이저 빔의 경사각을 이용한 레이저 가공방법
TW2011163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off-axis focal spot distortion
JP2020526764A (ja) 立体角を状況に応じて走査するためのlidar装置
US10350710B2 (en) Laser irradiat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