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394B1 -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 - Google Patents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394B1
KR102090394B1 KR1020180105366A KR20180105366A KR102090394B1 KR 102090394 B1 KR102090394 B1 KR 102090394B1 KR 1020180105366 A KR1020180105366 A KR 1020180105366A KR 20180105366 A KR20180105366 A KR 20180105366A KR 102090394 B1 KR102090394 B1 KR 10209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dhesive
polyester composition
composite fiber
co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274A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3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Abstract

본 발명은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에서 열접착성이 우수하고, 열접착 후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 {Polyester composition for thermally adhesive fiber and thermally adhesive composite fiber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에서 열접착성이 우수하고, 열접착 후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라 함은, 분자 내에 에스테르 결합(-COO)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총칭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알키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강도가 높고, 내약품성, 250 내지 255℃ 범위의 융점을 지녀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신장 굴곡에 대하여는 탄성을 지니는 장점이 있어서 신사복지, 셔츠 등의 의류뿐만 아니라 산업용 재료로 용도가 다양하다.
그러나, 상기의 폴리에스테르는 비교적 융점이 높아 일반적으로 섬유 구조체를 경화시킬 때는 포르말린(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이라든가 유기용제를 함유한 접착제, 경질 수지(페놀 수지, 멜라닌 수지, 우레아 수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유기 용제를 함유한 접착제는 원단의 내부까지 침투하지 않아 접착성도 낮고 완성되었을 때의 촉감이 거칠다. 또한, 휘발성이 강하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대부분이며, 유독 가스 배출 등의 환경적인 문제가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는 저온에서의 접착력을 보유하기 위해 다량의 공중합 원료를 투입할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너무 낮아져 강도 저하 및 고온 환경에서 내구성이 떨어져 고온에서의 안정성을 요구하는 분야에 사용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79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저온에서 열접착성이 우수하고, 열접착 후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저온에서 열접착성이 우수하고, 열접착 후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열접착성을 발현할 수 있어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산성분, 및 에틸렌글리콜과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을 포함하는 디올성분이 반응된 에스테르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이 중축합된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산성분은 이소프탈산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고, 상기 디올성분은 2-메틸-1.3-프로판디올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은 상기 디올성분 중 10 ~ 50몰%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은 상기 디올성분 중 28 ~ 42몰%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은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 ~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는 60~73℃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5~0.9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형 또는 쉬스부에 상기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포함되는 쉬스-코어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섬도는 0.3~15 모노데니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연화점은 100~13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우수한 저온에서의 열접착성 및 고온 형태안정성을 발현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포함하는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산성분, 및 에틸렌글리콜과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을 포함하는 디올성분이 반응된 에스테르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이 중축합된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산성분과 디올성분은 1:1 내지 1:2의 몰비율로 중합되어 코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몰비율이 1:1 미만일 경우 중합시 산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부반응이 촉진될 수 있고, 상기 몰비율이 1:2를 초과하는 경우 중합도가 높아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의 중합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스테르화 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일예로 200 내지 260℃에서 150 내지 240분 동안 40 내지 80 rpm의 속도로 교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산성분으로써 테레프탈산 이외에 구비될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은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내열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산성분은 이소프탈산을 실질적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수준의 저온에서의 열접착 특성과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을 겸비하기 위하여 상기 디올성분은 2-메틸-1,3-프로판디올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은 제조되는 코폴리에스테르의 주쇄 사이의 자유공간을 넓힘으로써 결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코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을 낮출 수 있으나, 일정 함량을 초과할 경우 제조되는 코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은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 ~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이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제조되는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성이 목적하는 수준으로 감소하지 않아 열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제조되는 코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가 현저히 감소하여 열접착 후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는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어려울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은 산성분 및 디올성분의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에서 자연 발생하는 디에틸렌글리콜을 불포함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이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은 상기 산성분과 디올성분의 공중합 시 첨가되거나, 상기 산성분과 디올성분의 공중합 후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디올성분에 포함되는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은 2번 탄소 자리에 벌키한 치환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조되는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성을 감소시켜 융점을 낮추고, 주쇄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폴리에스테르의 열접착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상기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은 제조되는 코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2-메틸-1.3-프로판디올 및 디에틸렌글리콜보다 낮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은 상기 디올성분 중 10 ~ 50몰%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이 상기 디올성분 중 10몰%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제조되는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성이 목적하는 수준으로 감소되지 않아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열접착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50몰%를 초과할 경우, 제조되는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이 완전히 파괴되어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어려울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은 상기 디올성분 중 28 ~ 42몰%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되는 코폴리에스테르의 저온에서의 열접착성 및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는 디올성분으로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리전이온도가 낮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온에서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는 60~73℃일 수 있으며, 만일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가 60℃ 미만일 경우, 연신공정이나 운송 중에 섬유 간 융착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를 73℃를 초과하도록 제조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5~0.9일 수 있으며, 만일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가 0.5 미만일 경우, 복합섬유 방사 시 제조되는 복합섬유가 목적하는 형상으로 제조되기 어려울 수 있고, 0.9를 초과할 경우, 복합섬유 방사 시 팩압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방사작업성이 저하되거나 복합섬유로 제조 시 열접착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열접착성 복합섬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저온에서의 열접착성 및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형상은 사이드-바이-사이드 형 또는 쉬스-코어형일 수 있으나, 상기 사이드-바이-사이드 형 또는 쉬스-코어형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열접착성 복합섬유가 가질 수 있는 형상 중 쉬스-코어형에 대하여 설명하나,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가 쉬스-코어형일 경우,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10)는 코어부(11) 및 상기 코어부(11)를 둘러싸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는 쉬스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코어부와 쉬스부는 1:9 ~ 9:1의 면적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11)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섬도는 0.3~15 모노데니어일 수 있으며, 만일 상기 섬도가 0.3 모노데니어 미만일 경우, 복합섬유의 단면이 목적하는 형상으로 제조되지 않거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 모노데니어를 초과할 경우, 원사의 촉감이 거칠어질 수 있다.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복합방사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예로 용융 복합 방사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연화점은 100~130℃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접착 가공이 저온에서도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일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연화점이 100℃ 미만일 경우,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내열성이 너무 낮아 연신공정이나 운송 중에 섬유 간 융착이 발생할 수 있고, 140℃를 초과할 경우 온도가 저온에서의 열접착성이 목적하는 수준으로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포함하기 때문에 저온에서 열접착성이 우수하고, 열접착 후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의 내구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직포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일예로 고분자 수지에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함침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부직포 제조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일예로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레졸(Resol) 및 노볼락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1)
에스테르 반응조에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TPA) 100몰%, 디올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EG) 75몰% 및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BEPD) 25몰%를 투입한 후 250℃, 1140Torr 조건에서 반응시켜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이 때 산성분과 디올성분은 1:1.2의 몰비율로 투입되었다.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5.87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을 투입한 후,축합중합 촉매로 삼산화 안티몬(300ppm), 열안정제로 인산(150ppm)을 투입하여 최종압력 0.5 Torr가 되도록 서서히 감압하면서 285℃까지 승온하여 축중합반응을 수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쉬스부로 하고, 고유점도가 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부가 되도록 쉬스/코어 구금을 이용하여 방사 온도 275℃, 방사속도 1000mpm으로 방사하여 후처리 가공을 통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5)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EG 및 BEPD의 몰비율을 달리하여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1)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에스테르 반응조에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TPA) 100몰%, 디올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EG) 67몰% 및 네오펜틸글리콜(NPG) 33몰%를 반응시켜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5.87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을 투입한 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2)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에스테르 반응조에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TPA) 100몰%, 디올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EG) 67몰%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33몰%를 반응시켜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다만,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에 디에틸렌글리콜을 투입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실험예1)
1) 연화거동 및 유리전이온도 측정
열시차 주사 열량계(DSC)와 열기계분석기(TMA)를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 및 연화점을 측정하였다.
2) 고유점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오르쏘-클로로 페놀(Ortho-Chloro Phenol) 용매에110℃ 온도에서 2.0g/25ml의 농도로 30분간 용융한 후, 25℃에서 30분간 항온하여 캐논(CANON) 점도계가 연결된 자동 점도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고유점도를 측정하였다.
3) 열접착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복합섬유를 가로길이 10cm, 세로길이 10cm로 제직하고 이를 150℃에서 5분 간 열처리하여 복합섬유의 융착 부분을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하여 열접착성을 평가하였다. 열접착성 평가는 10명의 동종업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패널에 의해 관능 검사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관능 검사 결과 시, 8명 이상이 열접착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경우 우수(◎), 6~7명은 양호(○), 5~4명은 보통(△), 4명 미만은 불량(×)으로 구분하였다.
4) 고온에서의 형태안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복합섬유를 가로길이 10cm, 세로길이 10cm로 제직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부직포를 90℃에서 24 및 120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 전 후 부직포의 부피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1로부터 부피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계산식 1]
Figure 112018087852058-pat00001
구분 코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산성분 디올성분 DEG
(중량%)
고유점도 연화점
(℃)
유리전이온도
(℃)
열접착성 부피 변화율(%)
TPA
(몰%)
IPA
(몰%)
EG
(몰%)
BEPD
(몰%)
MPD
(몰%)
NPG
(몰%)
열처리 24시간 열처리 120시간
실시예1 100 0 75 25 0 0 5.87 0.65 120 71 0.4 0.8
실시예2 100 0 70 30 0 0 5.87 0.67 116 69 0.5 1.0
실시예3 100 0 65 35 0 0 5.87 0.66 110 67 0.5 1.1
실시예4 100 0 60 40 0 0 5.87 0.65 104 65 0.6 1.1
실시예5 100 0 40 60 0 0 5.87 0.64 95 59 0.8 1.3
비교예1 100 0 67 0 0 33 5.87 0.68 133 74 1.0 2.8
비교예2 100 0 67 0 33 0 0 0.67 103 69 0.5 1.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BEPD)을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실시예1~5)는 연화점이 120℃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올성분 중 BEPD가 60몰%로 포함된 실시예5는 열접착성은 우수하였으나 유리전이온도가 59℃로 실시예1~4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2~4는 열접착성이 우수하고, 부피변화율이 1% 미만으로 고온에서의 형태 안정성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1은 부피변화율이 낮고 열접착성도 양호한 편이나 연화점이 과도하게 높아 열접착 가공 온도가 현저히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어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비교예1은 고온에서 장시간 방치되었을 때 부피변화율이 실시예1~5보다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고온에서의 형태 안정성이 중요한 분야에 사용되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비교예2는 열접착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부피변화율 또한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복합섬유
11: 코어부
12: 쉬스부

Claims (12)

  1. 테레프탈산으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에틸렌글리콜과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을 포함하되 2-메틸-1,3-프로판디올을 포함하지 않는 디올성분이 반응된 에스테르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이 중축합된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은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는 60~73℃인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은 상기 디올성분 중 10 ~ 50몰%로 포함되는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은 상기 디올성분 중 28 ~ 42몰%로 포함되는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5~0.9인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형 또는 쉬스부에 상기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포함되는 쉬스-코어형인 열접착성 복합섬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섬도는 0.3~15 모노데니어인 열접착성 복합섬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연화점은 100~130℃인 열접착성 복합섬유.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
KR1020180105366A 2018-09-04 2018-09-04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 KR10209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66A KR102090394B1 (ko) 2018-09-04 2018-09-04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66A KR102090394B1 (ko) 2018-09-04 2018-09-04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74A KR20200027274A (ko) 2020-03-12
KR102090394B1 true KR102090394B1 (ko) 2020-03-17

Family

ID=6980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366A KR102090394B1 (ko) 2018-09-04 2018-09-04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574B1 (ko) * 2020-07-20 2022-05-1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바인더 섬유용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인더 섬유
TWI803790B (zh) * 2020-11-24 2023-06-01 遠東新世紀股份有限公司 鞘芯型熱黏合纖維及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2397A (en) * 1990-09-28 1993-10-12 Chisso Corporation Modified polyester resin and hot-melt-adhesive conjugate fibers using the same
KR100737977B1 (ko) 2006-03-20 2007-07-13 주식회사 새 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25495A (ko) * 2006-09-18 2008-03-21 주식회사 효성 별형 심초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포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74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9347A (ko)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102061805B1 (ko)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구현된 열접착성 복합섬유및 부직포
KR102090394B1 (ko)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
US20180291533A1 (en) Low melting point conjugate fiber
CN112424257B (zh) 用于热熔接纤维的聚酯组合物及包括其的热熔接复合纤维
KR102309604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
KR101425996B1 (ko) 난연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EP4043622A1 (en) Thermal bonding fiber, and fiber assembly for automotiv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omprising same
EP3279178B1 (en) Compound for preparing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using same
KR101870909B1 (ko)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TWI743592B (zh) 用於經黏合強度增強的黏合劑的聚酯樹脂和使用之的聚酯纖維
KR102144065B1 (ko) 공정성이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1425999B1 (ko) 난연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KR102148956B1 (ko) 공정성이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1551633B1 (ko)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제조 방법
KR102219081B1 (ko) 열접착성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섬유집합체
KR101766903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3898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그 제조방법
KR102509121B1 (ko) 열접착성 섬유,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KR102642537B1 (ko) 중금속 비용출 트리코트 여과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3474A (ko) 내열성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중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
KR20180062606A (ko)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독섬유 및 이를 이용한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KR102003891B1 (ko) 유연성이 향상된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함유하는 원단
KR102276231B1 (ko) 심색성이 우수한 단독방사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단독방사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2183242B1 (ko) 생분해성 난연 열접착 복합 바인더 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