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367B1 -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367B1
KR102090367B1 KR1020170119515A KR20170119515A KR102090367B1 KR 102090367 B1 KR102090367 B1 KR 102090367B1 KR 1020170119515 A KR1020170119515 A KR 1020170119515A KR 20170119515 A KR20170119515 A KR 20170119515A KR 102090367 B1 KR102090367 B1 KR 102090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member
motion sensor
finger
motion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735A (ko
Inventor
김우태
Original Assignee
김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태 filed Critical 김우태
Priority to KR102017011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3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41D19/0027Measuring instruments, e.g. watch, thermome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을 제공한다.
그 장갑은, 착용자의 손바닥, 손등 및 정권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와 연통하며 각각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부(12;13;14;15;16)를 구비하는 본체(10); 착용자의 손등 및 정권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몸체부(11)의 외부에 부착된 몸체 보호부(21)와,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몸체 보호부(21)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각각의 손가락부(12;13;14;15;16)에 부착되는 손가락 보호부(22;23;24;25;26)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하우징(27)을 일체로 구비하는 보호부재(20); 상기 보호부재(20)에 내장되며, 상기 정권부 및 손등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모션센서부(31)와, 각각의 손가락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모션센서부(32;33;34;35;36)를 일체로 구비하는 모션센서부재(30); 및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모션센서부재(3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션센서부재(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모션센서부재(30)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어유닛(4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Gloves for Virtual Reality and Agumented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 등의 발전으로 인해 가상형실(Virtual Reality) 및 증강현실(Agumented Reality) 기술이 발전하고 있느며 일상생활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 같은 가상현실 및/또는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인식 장치와, 실제 사물과 가상의 대상물을 동시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모션인식장치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모션에 대한 기능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 등 다양한 기기가 필요하다. 여기서 모션인식 장치의 예로는 신발, 장갑, 옷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여 모션을 지휘 내지 인식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장갑이 있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용 장갑의 하나의 종래예가 한국 특허 제10-1738870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제10-1738870호에 공지된 증강현실용 모션 인식장갑은, 장갑의 각 손가락부에 구비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손가락모션 감지센서와, 장갑의 손등부에 구비되어 손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손등모션 감지센서와, 손가락모션 감지센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센서이동유닛과, 장갑의 손등부 또는 손목부에 구비되고 손가락모션 감지센서 및 손등모션 감지센서와 배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감지된 움직임을 분석 및 외부로 전송하는 메인회로부와, 메인회로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장갑의 손목부에 구비되는 배터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갑은, 착용자의 손 크기 및 관절위치에 따라 손가락모션 감지센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하게 모션을 감지 및 분석할 수 있고, IMU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손가락 및 손등의 광범위한 움직임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장갑의 손목부에 배터리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착용자가 배선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을 제거하였고, 손등부와 손목부 사이에 공간확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종래예로서 한국 특허 제10-0907103호에 장갑 기반 휴먼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 특허 제10-0907103호의 장갑은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굽힘 센서가 장갑의 안쪽 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굽힘 센서는 장갑의 손가락 말단 마디에 위치되며 그 장갑의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부착되는 말단 굽힘센서와, 장갑의 손바닥 방향으로 위치하며 하단은 장갑의 상기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부착되며 상단은 손가락에 부착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말단 굽힘 센서의 위쪽을 덮도록 배치되는 내측 굽힘 센서를 포함하며; 내측 굽힘센서의 상단을 장갑의 손가락과 연결시켜 손가락이 펴지는 경우 내측 굽힘 센서의 상단이 장갑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링크가 구비되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적 특징에 의해 가상 공간에서 가상 객체와 가상 손이 접촉을 할 때 실제 공간에서의 실제 손의 위치가 정확하게 반영되는 효과가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을 포함한 종래의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용 장갑은 다소의 문제점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체험하고자 손을 움직이는 경우 주변의 시설물 또는 장애물에 접촉하거나 충돌하는 경우 장갑에 구비된 다양한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주변 시설물 또는 장애물에 심하게 충돌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심각한 상해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손상 또는 고장의 우려 때문에 장갑의 세척이 불가하며, 장갑 자체 뿐 아니라 부품들의 유지, 관리 및 보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각각의 부품을 장갑에 설치하거나 탑재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KR1020020088290A
KR100907103B
KR101525226B
KR101626375B
KR101738870B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에 설치된 부품들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뿐 아니라 착용자의 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부품의 손상 및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며, 그 부품들의 유지, 관리 및 보수가 용이하며, 제조가 용이하고 부품의 설치 및 탑재가 용이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에 있어서, 착용자의 손바닥, 손등 및 정권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연통하며 각각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본체; 착용자의 손등 및 정권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몸체부의 외부에 부착된 몸체 보호부와,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몸체 보호부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각각의 손가락부에 부착되는 손가락 보호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하우징을 일체로 구비하는 보호부재; 상기 보호부재에 내장되며, 상기 정권부 및 손등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모션센서부와, 각각의 손가락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모션 센서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모션센서부재; 및 상기 보호부재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모션센서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션센서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모션센서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재의 하우징에는 상기 제어유닛의 고정 및 해제를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유닛의 해제를 위한 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션센서부재의 각각의 모션센서부에는 각각의 정권부, 손등, 손가락의 실제적인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모션센서들이 일체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션센서부재의 종단에는 각각의 모션센서부의 모션센서들이 연결되는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보호부재의 하우징의 내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어유닛에는 상기 모션센서부재의 단자부에 해제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재는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터수지,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보나이트수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열경화성 재료로 형성된 제1보호부재; 및 상기 제1보호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모션센서부재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1보호부재의 저면에 구비되며,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테레프탈산폴리에틸렌 중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믐 제2보호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보호부재 및 제2보호부재는 몰드 또는 주형에서 동시적으로 가열 및 경화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제1보호부재의 저표면적은 상기 제2보호부재의 저표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보호부재의 주변이 상기 제2보호부재의 주변을 완전 포위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외표면에 일체로 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보호부재 및 제2보호부재는 굴곡방향 역방향으로의 접힘에는 저항하며, 굴곡방향 순방향으로의 접힘에는 순응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용 장갑에 의하면, 장갑의 본체에 보호부재가 구비되고 그 보호부재 내부에 부품이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손과 부품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부품들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며, 장갑 자체의 세탁 및 보수가 용이하고, 부품을 보호부재에 일체화 하여 본체에 일체화 함으로써 제조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Ⅲ-Ⅲ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선Ⅵ-Ⅵ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의 제어유닛의 착탈방식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도면중 도4 내지 7에 있어서, 보호용 장갑의 본체에 제1보호부재 와 제2보호부재가 각각 분리되어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적으로는 이들 모두가 일체로 이루어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은 기본적으로 본체(10)를 구비한다. 그 본체(10)는 용도에 따라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직물,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는 기본적으로 손의 형태에 상응하게 몸체부(11)와, 그 몸체부(11)와 연통하는 손가락부(12;13;14;15;16)로 형성된다. 그 몸체부(11)는 손바닥, 손등 및 정권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손가락부(12;13;14;15;16)는 5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그 본체(10)에는 착용자의 손등, 손가락 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20)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 보호부재(20)는 실제적으로 착용자의 손의 해당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본체(10)의 몸체부(11)를 보호하기 위한 몸체 보호부(21)와, 그 몸체 보호부(21)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손가락부(12;13;14;15;16)에 삽입되는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손가락 보호부(22;23;24;25;26)와, 몸체 보호부(21)에 연결되며 후술되는 제어유닛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하우징(27)을 일체로 구비한다.
그 하우징(27)에는 후술되는 제어유닛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됨은 물론 용이한 제거를 위해 탄성을 갖는 고정돌기(271)가 형성되며, 또한 제어유닛의 용이한 제거를 위해 사용자의 손끝이 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홈(27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보호부재(20)는 실제적으로 착용자의 손의 보호성이 우수하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보호부재(20)는 액상 또는 미립자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원하는 형상의 보호부재(20)를 제공하기 위한 몰드 또는 주형에서 가열되어 경화됨으로써 그 형상 또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 보호부재(20)의 내부에는 모션센서부재(30)가 일체로 내장된다. 그 모션센서부재(30)는 장갑 착용자에 의해 실행된 모션을 감지하여 콘트롤러 또는 다른 수단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션센서부재(30)는 정권부, 손등 등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모션센서부(31)와, 각각의 손가락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모션센서부(32;33;34;35;36)를 일체로 구비한다. 물론 각각의 모션센서부(31;32;33;34;35;36)에는 각각의 정권부, 손등, 손가락 등의 실제적인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또는 다수의 모션센서(s)들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모션센서부재(30)의 종단에는 각각의 모션센서부(31;32;33;34;35;36)의 모션센서(s)들이 연결되는 단자부(3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자부(37)는 보호부재(20)의 하우징(27)의 내부로 노출되어 후술되는 제어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의 상부, 즉 착용자의 손등의 상부 또는 손목부가 삽입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보호부재(20)의 하우징에는 모션센서부재(3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함은 물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유닛(40)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제어유닛(40)은 내부에 다양한 부품을 내장할 수 있도록 박스형 또는 돔형으로 형성되며, 내장된 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방진 및 방수기능을 갖도록 합성수지 및 금속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어유닛(40)의 내부에는 모션센서부재(30)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중앙공급장치로 제공하기 콘트롤러(42)가 내장되어 있다. 그 콘트롤러(42)는 예컨대 기판 또는 모듈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그 콘트롤러(42)는 와이파이 기능, 햅틱기능,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모션 감지 및 제어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유닛(40)의 내부에는 콘트롤러(42)에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모션센서부재(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4)가 내장된다. 배터리(44) 또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40)에는 콘트롤러(42) 및 배터리(44)를 모션센서부재(3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모션센서부재(30)의 단자부(37)에 전기적으로 해제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4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유닛(40)의 외부를 형성하는 몸체는 개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콘트롤러, 배터리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들을 교체, 수리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호부재(20) 및 제어유닛(40)은 접착제에 의해 본체(10)에 일체로 부착 또는 접착되거나, 가열압착방식으로 본체(10)의 해당부분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에 의하면, 본체(10)의 손가락부, 정권부 및 손등에 일체적으로 구비된 보호부재(20)에 의해 착용자의 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모션센서부재(30)가 보호부재(20)에 내장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보호되며, 콘트롤러(32) 및 배터리(34) 또한 제어유닛(40)내에서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장갑의 장기간 사용후 장갑을 세척하는 경우에도 보호부재(20)에 의해 모션센서부재(30)가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고장이나 손상이 초래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형실용 보호장갑에 따르면, 장갑 착용자의 손의 보호성 및 착용성을 향상시키도록 2개의 보호부재로 형성된다. 즉, 보호부재(20)는 제1보호부재(210) 와 제2보호부재(2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보호부재(210)는 실제적으로 착용자의 손의 해당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그 주변이 본체(10)에 일체로 부착되며, 실제적으로 착용자의 손의 보호성이 우수하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열경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보호부재(210)의 열경화성 재료로는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터수지,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보나이트수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재료가 액상 또는 미립자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몰드 또는 주형에서 가열되어 경화됨으로써 그 형상 또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제1보호부재(210)는 제1실시예의 보호부재(20)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되는바, 즉 실제적으로 착용자의 손의 해당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본체(10)의 몸체부(11)를 보호하기 위한 몸체 보호부(211)와, 그 몸체 보호부(211)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손가락부(12;13;14;15;16)에 삽입되는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손가락 보호부(212;213;214;215;216)와, 몸체 보호부(211)에 연결되며 제어유닛(4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하우징(217)을 일체로 구비한다.
그 하우징(217)에는 후술되는 제어유닛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됨은 물론 용이한 제거를 위해 탄성을 갖는 고정돌기(2171)가 형성되며, 또한 제어유닛의 용이한 제거를 위해 사용자의 손끝이 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홈(217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보호부재(220)는 제1보호부재(210)의 저면에 구비되어 본체(10)에 일체로 부착되며, 제1보호부재(210)와 열화학적 특성이 상호 대응되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보호부재(220)의 열가소성 재료로는 안정적으로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우수하고 반발탄성력의 우수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테레프탈산폴리에틸렌 중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액상 또는 미립자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몰드 또는 주형에서 제1보호부재(210)와 동시적으로 가열되어 경화됨으로써 소정의 형상 또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2보호부재(220)의 사이즈 또는 크기는 제1보호부재(210)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보호부재(210)의 표면적, 즉 본체(10)의 표면에 부착되는 면적이 제2보호부재(220)의 표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은 물론 제2보호부재(220)를 에워싸거나 포위하도록 설정되어, 제1보호부재(210)의 주변이 제2보호부재(220)의 주변을 완전 포위한 상태로 본체(10)의 소정의 외표면에 일체를 이루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열화학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이 대응하거나 상이한 제1보호부재(210)가 제2보호부재(220)를 일체로 포위 또는 포함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일체형 보호부재가 본체(10)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이다.
물론, 제2보호부재(220)는 제1보호부재(210)에 대응하거나 상응하게 형성되는 바, 즉 제2보호부재(220)는 제1보호부재(210)의 몸체보호부(211)에 상응하는 몸체보호부(221)와, 그 몸체 보호부(221)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제1보호부재(210)의 각각의 손가락보호부(212;213;214;215;216)에 상응하는 손가락보호부((222;223;224;225;226)와, 제1보호부재(210)의 하우징(217)의 저면의 평면형상과 상응하는 하우징부(227)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1보호부재(210) 및 제2보호부재(220)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된 일체형 보호부재는 그 형상이 착용자의 손의 특정 부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0)의 외표면에 일체를 이룸으로써, 착용자의 손의 해당부분의 동작을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을분 아니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보호부재(210) 및 제2보호부재(220) 사이에는 전술된 모션센서부재(30)가 일체로 내장되어 장갑 착용자에 의해 실행된 모션을 감지하여 제어유닛(40) 또는 다른 수단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모션센서부재(30)는 각각의 손가락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모션센서부(31,32,33,34,35,36)를 구비하고, 각각의 모션센서부(31,32,33,34,35,36)에는 각각의 손가락의 정권, 마디 및 이들 사이의 부분들의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또는 다수의 모션센서(s)들이 일체로 구비되며, 각각의 모션센서부(31,32,33,34,35,36)의 상단부에는 각각의 모션센서(s)들이 연결되는 단자부(37)가 구비되고, 이 단자부(36)는 제어유닛(40)의 커넥터(4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모션센서부재(40)는 제1보호부재(210)와 제2보호부재(220)를 하나의 몰드 또는 주형에서 일체화하는 중에 그 보호부재(210,220)들 사이에 배치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제1보호부재(210) 및 제2보호부재(220)의 저면과 본체(10)의 해당부분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본체(10)에 일체로 부착 또는 접착되거나, 가열압착방식에 의해 본체(10)의 해당부분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학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이 상호 보합 또는 대응인 제1보호부재(210)와 제2보호부재(220)가 일체를 이루어 본체(10)에 일체를 이루고, 모션센서부재(30)가 제1보호부재(210)와 제2보호부재(220)사이에 내장됨으로써, 열경화성 재료인 제1보호부재(210)는 경질성을 유지하여 내충격성 및 보호성이 향상되며, 열가소성재료인 제2보호부재(220)는 연질성을 유지하여 착용자에게 편안한 접촉성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즉, 보호성에 있어서 일체화된 제1 및 제2 보호부재(210,220)로 이루어진 보호부재(20)의 외부로부터 본체(10) 또는 착용자의 손을 향한 외압 또는 외력에 대해서는 저항성이 커 착용자의 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후 손을 굽히는 등의 운동을 하는 경우 보호부재(20(210,22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유연성이 확보되어 편안하고 우수한 운동 자유도를 지님으로써 착용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보호부재(210)가 제2보호부재(220)를 포위하는 방식으로 본체(10)의 해당 외표면에 일체로 접착되고, 특히 제1보호부재(210)의 주변이 경질이며 변형성이 적은 제2보호부재(220)를 포위한 상태로 본체(10)에 부착됨으로써 보호부재(20) 전체의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되어 제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모션센서부재(30)가 제1보호부재(210) 및 제2보호부재(220) 사이에 일체로 내장됨으로써, 착용자의 손이 주변의 장애물에 충돌되거나 장갑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보호부재(20(210,220))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호되어 단락 또는 고장이 초래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에 의하면, 제1보호부재 및 제2보호부재가 일체를 이루어 제공되어 본체에 부착함으로써 접착성 및 일체성이 향상되고, 제2보호부재의 열가소성으로 인한 성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완전 제조후에는 제1보호부재의 경질 및 강성에 의해 보호성이 향상되며, 제2보호부재의 연질성에 의해 착용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더욱이, 일체형 보호부재의 굴곡방향 역방향으로의 접힘 저항성이 강하여 착용자의 손을 향하는 외부충격의 저항성 및 분산성이 향상되는 반면, 일체형 보호부재의 굴곡방향 순방향으로의 접힘 저항성은 상대적으로 약하여 착용자의 손의 운동성 및 편의성이 보장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용 장갑에 의하면 제1보호부재 및 제2보호부재에 의한 본체의 일체적 형성에 의해 보호성, 접착성, 착용성, 제조성 등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이다.
특히, 모션센서부재가 제1보호부재와 제2보호부재 사사이에 일체로 내장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손상 또는 고장이 발생되지 않는 현저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예 및 변형예를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본체 20: 보호부재
30: 모션센서부재 40: 제어유닛
210: 제1보호부재 220: 제2보호부재

Claims (7)

  1.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에 있어서,
    착용자의 손바닥, 손등 및 정권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와 연통하며 각각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부(12;13;14;15;16)를 구비하는 본체(10);
    착용자의 손등 및 정권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몸체부(11)의 외부에 부착된 몸체 보호부(21)와,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몸체 보호부(21)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각각의 손가락부(12;13;14;15;16)에 부착되는 손가락 보호부(22;23;24;25;26)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하우징(27)을 일체로 구비하는 보호부재(20);
    상기 보호부재(20)에 내장되며, 상기 정권부 및 손등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모션센서부(31)와, 각각의 손가락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모션센서부(32;33;34;35;36)를 일체로 구비하는 모션센서부재(30); 및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모션센서부재(3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션센서부재(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모션센서부재(30)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어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모션센서부재(30)의 각각의 모션센서부(31;32;33;34;35;36)에는 각각의 정권부, 손등, 손가락의 실제적인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모션센서(s)들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모션센서부재(30)의 종단에는 각각의 모션센서부(31;32;33;34;35;36)의 모션센서(s)들이 연결되는 단자부(37)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부(37)는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우징(27)의 내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어유닛(40)에는 상기 모션센서부재(30)의 단자부(37)에 해제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4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우징(27)에는 상기 제어유닛(40)의 고정 및 해제를 위한 고정돌기(271)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유닛(40)의 해제를 위한 삽입홈(27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20)는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터수지,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보나이트수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열경화성 재료로 형성된 제1보호부재(210); 및
    상기 제1보호부재(210)와의 사이에 상기 모션센서부재(30)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1보호부재(210)저면에 구비되며,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테레프탈산폴리에틸렌 중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는 제2보호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부재(210) 및 제2보호부재(220)는 몰드 또는 주형에서 동시적으로 가열 및 경화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제1보호부재(210)의 저표면적은 상기 제2보호부재(220)의 저표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보호부재(210)의 주변이 상기 제2보호부재(220)의 주변을 완전 포위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외표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7. 제 5항에 있어서,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보호부재(210) 및 제2보호부재(220)는 굴곡방향 역방향으로의 접힘에는 저항하며, 굴곡방향 순방향으로의 접힘에는 순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KR1020170119515A 2017-09-18 2017-09-18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KR10209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15A KR102090367B1 (ko) 2017-09-18 2017-09-18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15A KR102090367B1 (ko) 2017-09-18 2017-09-18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35A KR20190031735A (ko) 2019-03-27
KR102090367B1 true KR102090367B1 (ko) 2020-03-17

Family

ID=6590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515A KR102090367B1 (ko) 2017-09-18 2017-09-18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8999U1 (ru) * 2020-03-18 2020-08-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КС" Перчатка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543B1 (ko) * 2019-09-24 2021-12-03 대한민국 가상현실 기반 주행형 농업기계의 안전교육을 위한 손 동작 추적 시스템 및 방법
WO2022126323A1 (en) * 2020-12-14 2022-06-23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producing a smart glove, apparatus, sensor patch and smart glove
KR20230066988A (ko) *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102599042B1 (ko) * 2022-01-19 2023-11-08 박한국 Xr 컨트롤러 글러브
KR20240060257A (ko) 2022-10-28 2024-05-08 주식회사 더블엠소셜컴퍼니 근감각 햅틱 디바이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226B1 (ko) * 2014-12-12 2015-06-04 영풍전자(주) 증강현실용 모션인식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290A (ko) 2001-05-21 2002-11-27 (주)애드임팩트 가상현실용 장갑을 이용한 수화 자동번역장치
KR100907103B1 (ko) 2007-09-06 2009-07-09 광주과학기술원 장갑 기반 휴먼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KR101681731B1 (ko) * 2014-10-10 2016-12-12 김우태 장갑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갑
KR101626375B1 (ko) 2015-06-30 2016-06-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물체를 감지하는 장갑형 촉각전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38870B1 (ko) 2016-12-12 2017-05-23 주식회사 디플즈 Vr글러브 기반 게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진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226B1 (ko) * 2014-12-12 2015-06-04 영풍전자(주) 증강현실용 모션인식 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8999U1 (ru) * 2020-03-18 2020-08-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КС" Перчатка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35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367B1 (ko)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용 장갑
US11042233B2 (en) Finger-mounted device with fabric
US10433984B2 (en) Add-on capacitive touchscreen aid
EP3248581B1 (en) Hand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US8803844B1 (en) Capacitive finger puppet for use on touchscreen devices
EP3101589B1 (en)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device
JP7535842B2 (ja) センサ装置及び方法
KR101499436B1 (ko) 장갑
US10496181B2 (en) Gesture input device
KR20170134346A (ko) 정전식 압력 감지용 다층 구조체
CN210605634U (zh) 用于虚拟现实的手部动作感知装置及其手套组件
US10466782B2 (en) Article of clothing with a glove and an electric operational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clothing with a glove and an electric operational element
WO2010141574A2 (en) Hand covering with conductive portion
US20120266357A1 (en) Reinforcing element for a glove, and glove, in particular a goalkeeper's glove having such a reinforcing element
US20170157488A1 (en) Wearable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impact sensors
AU2016100277A4 (en) Gloves
US20130021292A1 (en) Garment with Touch-Sensitive Features
KR20160001932A (ko) 손가락 운동 측정 장치
KR20190010219A (ko) 체온측정장치
JP6504531B2 (ja) 保護用手袋の製造方法
KR20160001933A (ko) 손가락 운동 측정 장치용 착용유닛
KR101853706B1 (ko)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KR101181973B1 (ko) 정전식 감응기구 조작이 가능한 장갑
KR102316536B1 (ko) 로봇 의수 및 그 작동 방법
CN111770817B (zh) 防音设备、机器人装置、机器人装置的控制方法和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