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706B1 -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706B1
KR101853706B1 KR1020160161979A KR20160161979A KR101853706B1 KR 101853706 B1 KR101853706 B1 KR 101853706B1 KR 1020160161979 A KR1020160161979 A KR 1020160161979A KR 20160161979 A KR20160161979 A KR 20160161979A KR 101853706 B1 KR101853706 B1 KR 10185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inger
unit
ring band
resist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주)슈팅스
장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슈팅스, 장원석 filed Critical (주)슈팅스
Priority to KR102016016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706B1/ko
Priority to PCT/KR2017/013242 priority patent/WO2018101667A2/ko
Priority to JP2019548843A priority patent/JP6887021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해 손가락을 움직일 때 그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하는 기술로서, 손가락 마디와 마디 사이에 반지 타입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손가락을 움직이면 그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가 사용자 조작을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식별하고 그 식별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 밴드부의 움직임을 기초로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도록 하고 모션 센서부의 움직임을 기초로 방향키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저사양의 메인 콘트롤부를 통해서도 사용자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을 정확하게 센싱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finger ring type sensing device having the middle between finger node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해 손가락을 움직일 때 그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손가락 마디와 마디 사이에 반지 타입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손가락을 움직이면 그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가 사용자 조작을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식별하고 그 식별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디바이스에 대해 조작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예: 터치패드, 조이스틱, 마우스)가 필요하다. 그리고, 디바이스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로는 마우스, 조이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마우스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마우스에 손을 올려놓고 조작함에 따른 입력신호가 디바이스에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외상, 뇌손상에 의한 장애 등의 이유로 팔을 움직이기 어려운 환자나 근력이 떨어진 노인은 팔을 움직이는 동작이 불편하기 때문에 기존 마우스와 같은 장치를 조작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반지 형태로 끼워서 사용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가 다수 개시되었지만, 사용자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을 제대로 센싱하는 기술에 한계가 있거나 몸이 불편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그 사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몸이 불편한 사용자의 사용성이 양호하고 그러한 사용자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을 제대로 센싱할 수 있는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팔다리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을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지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 사이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으로부터 사용자 조작을 센싱하기 위한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로서,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신축성 재질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링 밴드부; 링 밴드부의 팽창 및 수축시 링 밴드부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전기저항선의 길이가 변형되면서 상이한 저항값을 나타내도록 링 밴드부에 장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부;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저항값을 분석하여 링 밴드부의 테두리 방향에 대한 수축 및 팽창에 따른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는 메인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메인 콘트롤부는 모션 센서부가 생성한 모션 데이터를 기초로 방향키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콘트롤부는 스트레인 게이지부가 나타내는 저항값을 분석한 결과 그 분석한 저항값이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저항값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모션 데이터와 무관하게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메인 콘트롤부는 스트레인 게이지부가 나타내는 저항값을 분석한 결과 그 분석한 저항값이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저항값의 임계치 미만인 경우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방향키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션 센서부는 메인 콘트롤부가 탑재되는 제어보드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링 밴드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끝을 향하는 제어보드의 선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모션 센서부는 제어보드의 상면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트레인 게이지부는 제어보드와 대향하는 링 밴드부에 설치되거나 사용자가 링 밴드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중지를 향하는 링 밴드부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팔다리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에 대해서도 그 사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링 밴드부의 움직임을 기초로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도록 하고 모션 센서부의 움직임을 기초로 방향키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저사양의 메인 콘트롤부를 통해서도 사용자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을 정확하게 센싱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를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 사이에 착용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예시도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예시도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에서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배치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배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배치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를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 사이에 착용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반지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 사이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으로부터 사용자 조작을 센싱하기 위한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로서, 링 밴드부(100), 스트레인 게이지부(200), 메인 콘트롤부(310), 모션 센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링 밴드부(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신축성 재질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링 밴드부(100)는 다양한 사용자 손가락의 두께에 두루 적용될 수 있도록 외력에 대해 수축과 팽창이 자유로운 텐션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인 게이지부(200)는 링 밴드부(100)에 장착되며 링 밴드부(100)의 팽창 및 수축시 이와 연동하여 링 밴드부(100)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전기저항선의 길이가 변형되면서 상이한 저항값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메인 콘트롤부(310)는 스트레인 게이지부(200)의 저항값을 분석하여 링 밴드부(100)의 테두리 방향에 대한 수축 및 팽창에 따른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메인 콘트롤부(310)는 스트레인 게이지부(200)가 나타내는 저항값을 분석한 결과 그 분석한 저항값이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저항값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모션 데이터와 무관하게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 콘트롤부(310)는 스트레인 게이지부(200)가 나타내는 저항값을 분석한 결과 그 분석한 저항값이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저항값의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만 모션 센서부(320)로부터의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방향키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을 움직이며 링 밴드부(100)가 움직이면서 스트레인 게이지부(200)가 변화하는 저항값을 나타낼 때, 이와 동시에 모션 센서부(320)도 그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메인 콘트롤부(310)는 스트레인 게이지부(200)의 저항값에 따른 프로세싱을 우선하여 처리하고, 스트레인 게이지부(200)가 감지한 저항값이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저항값의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만 모션 센서부(320)가 생성한 모션 데이터를 기초로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몸이 불편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섬세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모션 센서부(320)는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모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메인 콘트롤부(310)는 모션 센서부(320)가 생성한 모션 데이터를 기초로 방향키 사용자 조작을 식별한다.
그리고, 모션 센서부(320)는 [도 1], [도 7],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 타입의 센서, 즉 센서봉을 하나이상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센서봉은 링 밴드부(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 끝을 향하는 제어보드(300)의 선단부에서 [도 1], [도 7], [도 8], [도 9]에서와 같이 제어보드(300)의 상면에 대해 연직 상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예시도 1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예시도 2이다.
먼저, [도 2]는 링 밴드부(100)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링 밴드부(100)가 테두리 방향을 따라 팽창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링 밴드부(100)에 장착된 스트레인 게이지부(200)도 링 밴드부(100)의 테두리 방향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을 구부리면 그 손가락 직경이 커짐에 따라 손가락에 끼워진 링 밴드부(100)의 직경도 늘어난 경우이다.
이때, 스트레인 게이지부(200)의 저항선(210)도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늘어나면서 저항선(210) 자체의 저항값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 콘트롤부(310)는 저항선(210)의 양단에 구비된 터미널(220)과 통전되도록 연결되어 그 저항선(210)의 증가하는 저항값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은 링 밴드부(100)의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링 밴드부(100)가 테두리 방향을 따라 수축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링 밴드부(100)에 장착된 스트레인 게이지부(200)도 링 밴드부(100)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감소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을 펼치면 그 손가락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손가락에 끼워진 링 밴드부(100)의 직경도 줄어든 경우이다.
이때, 스트레인 게이지부(200)의 저항선(210)도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되면서 저항선(210) 자체의 저항값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 콘트롤부(310)는 저항선(210)의 양단에 구비된 터미널(220)과 통전되도록 연결되어 그 저항선(210)의 감소하는 저항값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스트레인 게이지부(200)의 저항선(210)이 자신의 길이방향이 링 밴드부(100)의 테두리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메인 콘트롤부(310)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직경이 증감하는 링 밴드부(100)로부터 스트레인 게이지부(200)의 미세한 저항값 변화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모션 센서부(320)는 메인 콘트롤부(310)가 탑재되는 제어보드(300)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링 밴드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끝을 향하는 제어보드(300)의 선단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몸이 불편한 사용자가 손가락을 조금 움직이는 경우에도 이를 섬세하게 감지할 필요하게 있다.
이를 위해, 손바닥에 가장 인접하는 손가락의 관절 부분을 손가락의 회전 기준점(S)으로 보면, 그 회전 기준점(S)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제어보드(300)의 선단부에 모션 센서부(320)를 배치함으로써 회전 기준점(S) 대비 작은 각도의 움직임에도 모션 센서부(320)는 큰 폭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모션 센서부(320)는 그 움직임을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모션 센서부(320)는 제어보드(300)의 상면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모션 센서부(320)가 [도 4]에서와 같이 세워져 배치됨에 따라, 회전 기준점(S) 대비 손가락이 아주 작은 각도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모션 센서부(320)는 더욱 큰 폭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모션 센서부(320)는 그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하좌우로 움직이면 메인 콘트롤부(310)는 스트레인 게이지부(200)가 나타내는 저항값을 분석한 결과 그 분석한 저항값이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저항값의 임계치 미만으로 식별하게 되고 결국 모션 센서부(320)가 생성한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방향키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에서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의 마디를 하방향으로 꺾는 소위 '마우스 클릭' 동작을 수행하면 메인 콘트롤부(310)는 스트레인 게이지부(200)가 나타내는 저항값을 분석한 결과 그 분석한 저항값이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저항값의 임계치를 초과함을 식별하게 된다.
이 경우 메인 콘트롤부(310)는 모션 센서부(320)가 생성한 모션 데이터와 무관하게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으로 식별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배치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배치상태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스트레인 게이지부(200)는 사용자가 링 밴드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중지를 향하는 링 밴드부(100)의 측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이 불편한 사용자가 손가락에 본 발명에 따른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부(200)가 손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7]은 사용자의 왼손 엄지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한 왼손잡이용을 나타내고, [도 8]은 사용자의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한 오른잡이용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배치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트레인 게이지부(200)는 제어보드(300)와 대향하는 링 밴드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링 밴드부(10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때 가장 많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부분이 제어보드(300)와 대향하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소정 범위 움직일 때 링 밴드부(100)가 상대적으로 많이 팽창되거나 수축된다면 그만큼 몸이 불편한 사용자가 손가락을 조금 움직여도 그 움직에 따른 사용자 조작을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게 된다.
100 : 링 밴드부
200 : 스트레인 게이지부
210 : 저항선
220 : 터미널
300 : 제어보드
310 : 메인 콘트롤부
320 : 모션 센서부
330 : 배터리
S : 회전 기준점

Claims (7)

  1. 반지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 사이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으로부터 사용자 조작을 센싱하기 위한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로서,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신축성 재질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링 밴드부(100);
    상기 링 밴드부의 팽창 및 수축시 상기 링 밴드부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전기저항선의 길이가 변형되면서 상이한 저항값을 나타내도록 상기 링 밴드부에 장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부(200);
    상기 링 밴드부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링 밴드부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자신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링 밴드부의 폭보다 2배 이상 크게 형성되어 상기 링 밴드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끝을 향해 자신의 전방부분이 상기 링 밴드부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어보드(300);
    상기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감지에 따라 방향키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부로서, 상기 링 밴드부가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끝을 향하는 상기 제어보드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어보드의 상면에 대해 연직 상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하나이상의 센서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부(320);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저항값을 분석하여 상기 링 밴드부의 테두리 방향에 대한 수축 및 팽창에 따른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고, 상기 메인 콘트롤부(310)는 상기 모션 센서부가 생성한 모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방향키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는 메인 콘트롤부(3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부(310)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가 나타내는 저항값을 분석한 결과 그 분석한 저항값이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저항값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마우스 클릭 사용자 조작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콘트롤부(310)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가 나타내는 저항값을 분석한 결과 그 분석한 저항값이 미리 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저항값의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방향키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200)는 상기 제어보드와 대향하는 상기 링 밴드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링 밴드부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중지를 향하는 상기 링 밴드부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KR1020160161979A 2016-11-30 2016-11-30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KR10185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79A KR101853706B1 (ko) 2016-11-30 2016-11-30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PCT/KR2017/013242 WO2018101667A2 (ko) 2016-11-30 2017-11-21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JP2019548843A JP6887021B2 (ja) 2016-11-30 2017-11-21 手指の関節間着用型の指輪タイプのユーザ操作センシン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79A KR101853706B1 (ko) 2016-11-30 2016-11-30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706B1 true KR101853706B1 (ko) 2018-05-02

Family

ID=6218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979A KR101853706B1 (ko) 2016-11-30 2016-11-30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87021B2 (ko)
KR (1) KR101853706B1 (ko)
WO (1) WO20181016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510B1 (ko) 2020-04-30 2021-01-27 (주)콕스스페이스 모션 신호와 마우스 신호를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JPWO2023286316A1 (ko) * 2021-07-14 2023-01-19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00B1 (ko) * 2001-07-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의 관절 각도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643711B1 (ko) * 2015-06-12 2016-07-28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설정 및 실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503B1 (ko) * 2002-12-31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형정보입력장치 구성 방법, 재구성 방법, 착용인식방법 및그 장치
JP2008203911A (ja) * 2007-02-16 2008-09-04 Lenovo Singapore Pte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
CN101868770B (zh) * 2007-11-19 2013-09-11 诺基亚公司 输入设备
US8457556B2 (en) * 2009-08-18 2013-06-04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global positioning for a wireless computer mouse
JP5809452B2 (ja) * 2011-06-15 2015-11-10 株式会社 資生堂 動作検出センサ
KR20140016122A (ko) * 2012-06-22 2014-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가락 착용형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1600276B1 (ko) * 2014-07-31 2016-03-07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CN108885500A (zh) * 2016-04-07 2018-11-23 国立研究开发法人科学技术振兴机构 触觉信息转换装置、触觉信息转换方法、及触觉信息转换程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00B1 (ko) * 2001-07-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의 관절 각도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643711B1 (ko) * 2015-06-12 2016-07-28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설정 및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7021B2 (ja) 2021-06-16
JP2019536189A (ja) 2019-12-12
WO2018101667A2 (ko) 2018-06-07
WO2018101667A3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4780B2 (en) Finger-mounted device with sensors and haptics
US9483123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in wearable electromyography devices
CN107918485B (zh) 手势侦测系统及方法
EP2365419A2 (en) Wearable data input device
US10496181B2 (en) Gesture input device
JP2010108500A (ja) 着用型コンピューティング環境基盤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90092782A (ko) 손가락의 움직임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EP2916210B1 (en) Finger-worn device for providing user input
KR20150021798A (ko) 생체신호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생체신호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JP700059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853706B1 (ko)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Yoon et al. MultiSoft: Soft sensor enabling real-time multimodal sensing with contact localization and deformation classification
KR20190092777A (ko)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00074461A (ko) 동작 감지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3차원 마우스 장치 및 방법
JP2012101284A (ja) 人の動作における意図推定装置
KR102081981B1 (ko) 손가락 운동 측정 장치
US11633847B2 (en) Sensing and control systems
KR20100134983A (ko) 장애인의 손 부위의 동작을 위한 입는 로봇
JP2008276664A (ja) 検出装置
KR102238722B1 (ko) 손가락 운동 측정 장치용 착용유닛
EP3782775A1 (en) Motion detecting device
KR102225769B1 (ko) 손가락 단위 단방향 움직임을 갖는 햅틱 컨트롤러의 가상 물체 파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04532B1 (ko) 글러브형 모션 인식 시스템
WO2020039507A1 (ja) コントローラ装置
KR102452909B1 (ko) 웨어러블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