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782A - 손가락의 움직임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손가락의 움직임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782A
KR20190092782A KR1020180011930A KR20180011930A KR20190092782A KR 20190092782 A KR20190092782 A KR 20190092782A KR 1020180011930 A KR1020180011930 A KR 1020180011930A KR 20180011930 A KR20180011930 A KR 20180011930A KR 20190092782 A KR20190092782 A KR 20190092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sensor unit
recognizing
hand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유석
Original Assignee
(주)유즈브레인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즈브레인넷 filed Critical (주)유즈브레인넷
Priority to KR102018001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2782A/ko
Publication of KR20190092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Abstract

글러브형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모션 인식장치는 손가락 모양 및/또는 손 모양과, 공간상에서의 손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며, 손가락 끝부분의 접촉 여부를 인식하고 기설정된 특정 사용자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션인식 장치는 각 손가락 관절 부분에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을 배치하고, 관절 굽힘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값의 변화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손가락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가락의 움직임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Glove-type Motion Recognizing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Motion of Fingers and Hands on the Space and Recogniz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웨어러블(Wearable) 모션 인식장치로서,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기초로 손가락 동작 및/또는 손동작을 인식함과 동시에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함으로써 그 인식된 동작들의 조합을 사용자 제어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간 상에서의 기계나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모션인식 기술은 센서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최근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파생 기술이나 상품들을 만들어왔다.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기술에는 (1) 사용자 외부에 설치된 센서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방법과, (2) 사용자에 부착되거나 착용한 웨어러블(Wearable) 형태의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 중에서 사용자의 운동이나 이동성에 제약이 없는 웨어러블 형태의 모션인식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웨어러블 형태의 모션인식은 그 활용 범위가 무궁무진하다. 가까운 예로는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을 구현한 시뮬레이터와 같은 장비에서부터 전자장치나 기계장치의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제어기 같은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 문을 개폐하고 오디오를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자는 문이나 오디오 장치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 공간 상의 간단한 동작으로 처리할 수 있다.
최근에는 좀 더 정밀한 분야에 웨어러블 모션인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모션 인식은 초박형, 초경량 정밀 센서의 발달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분야로서, 새로운 센서들의 개발은 웨어러블 모션인식 장치를 더욱 실감나고 현실감 있게 할 것이다.
[관련선행기술]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2741호 (발명의 명칭: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이 발명은 신체 영역의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신체 움직임 결정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기초로 손가락 동작 및/또는 손동작을 인식함과 동시에 공간 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함으로써 그 인식된 동작들의 조합을 사용자 제어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션 인식과정에서 손가락 끝에 접촉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인식 장치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로서, 글러브 형상의 본체와, 제1 센서부, 제2 센서부, 제3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손가락 관절 부분에 장착된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손가락 관절 부분의 굽힘 정도를 인식하고, 제2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공간상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제3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손가락 끝부분에 장착된 복수 개의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손가락 끝부분에 접촉하는 압력을 인식한다.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의 출력 패턴을 기초로 손의 모양(제1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제2 센서부의 출력을 기초로 공간상에서의 손동작(제2 동작)을 인식하며, 상기 제3 센서부의 출력을 기초로 손가락 끝부분의 접촉 여부(제3 동작)를 인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중 선택된 복수 개 동작의 조합이 기설정된 패턴으로 연결된 경우에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인식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3 동작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인식된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의 모션 인식 방법은, 본체에 제1 센서부, 제2 센서부 및 제3 센서부가 장착된 상기 장치를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손가락 관절 부분에 각각 마련된 상기 제1 센서부의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이 상기 본체의 손가락 관절 부분의 굽힘 정도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센서부가 상기 본체의 공간상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센서부의 복수 개의 압력센서가 상기 본체의 손가락 끝부분의 접촉에 의한 압력을 인식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제1 센서부의 출력 패턴을 기초로 손의 모양(제1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제2 센서부의 출력을 기초로 공간상에서의 손동작(제2 동작)을 인식하며, 상기 제3 센서부의 출력을 기초로 손가락 끝부분의 접촉 여부(제3 동작)를 인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중 선택된 복수 개 동작의 조합이 기설정된 패턴으로 연결된 경우에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션 인식장치는 글러브 형태로써 사용자가 손에 착용하고 손가락을 움직일 경우에, 그 손가락 마디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개별 손가락 동작 및/또는 개별 손가락 동작이 결합된 전체 손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손의 공간상에서의 움직임도 인식함에 따라, 본 발명의 모션 인식장치는 손가락의 움직임과 손의 공간상의 움직임의 조합을 기등록해 둔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션 인식장치는 모션 인식과정에서 손가락 끝에 접촉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손동작 인식과 연결하여 별도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100)는 사용자가 손에 착용하는 글러브형으로서, 착용자의 개별 손가락의 동작과 개별 손가락의 동작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동작이 결합된 전체 손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모션인식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100)는 글러브형 본체(110)와 회로부(13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사용자가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장갑 형태로서, 본체(110)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회로부(130)에 포함된 각종 센서(101, 103, 207)가 장착된다.
본체(110)는 도 1의 (a)와 (b)에 도시된 것처럼 글러브 형태이다. 본체(110)의 각 손가락 부분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완전히 밀착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제1 센서부(205)가 손가락 마디의 꺾임에 따른 텐션(Tension)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는 되어야 한다.
본체(110)는 사용자의 손을 전면적으로 보호하거나 수용하기 위한 완전한 형태의 장갑일 필요는 없고, 오히려 사용자의 손에 제1 센서부(205), 제2 센서부(207) 및 제3 센서부(209)를 배치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로부(130)는 전원부(20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203), 제1 센서부(205), 제2 센서부(207), 제3 센서부(209) 및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전원부(201)는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여 모션인식 장치(100)의 동작 전력을 공급한다.
무선통신 인터페이스(203)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sss LAN), 지그비(Zigbee)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 인터페이스(203)는 제어부(210)가 모션 인식한 사용자의 개별 손가락의 동작 및/또는 손 전체의 동작에 대응되는 코드 또는 제어명령을 외부장치(미도시)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센서부(205)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을 포함하여 손가락 관절 각각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제1 센서부(205)는 본체(110)의 손가락 부분에 장착되며, 그 중에서도 손가락의 등 부분에 장착된다. 사용자가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100)를 손에 착용하면 제1 센서부(205)가 사용자의 각 손가락의 등을 따라 위치하게 된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센서 내부의 도전성 패턴이 장력(Tension)을 받으면 저항이 커지고 인력(Compression)을 받으면 저항이 작아짐으로써, 형태적 변형에 따라 저항 값이 바뀌는 소자이다.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 각각은 손가락 관절의 굽힘 정도를 인식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은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또는 탄소나노튜브(CNT:Carbon NanoTube)와 같은 신축성이 우수한 도전성 재료를 신축성 있는 기판(Stretchable PCB)에 코팅하여 만들 수 있다. 예컨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5026호 (발명의 명칭: 반도체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힘 또는 압력 센서 어레이, 힘 또는 압력센서 어레이의 제조방법 및 힘 또는 압력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힘 또는 압력 측정방법)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서처럼, 손가락 관절 부분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의 각 스트레인 게이지는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 관절의 굽히거나 편 정도에 따른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션인식장치(100)가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모양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손가락 관절 부분마다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을 장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모션인식장치(100)의 제1 센서부(205)가 몇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을 구비할 것인지 여부는 설계사항이며, 인식 대상이 되는 손가락의 개수 또는 손가락 관절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사람의 손의 관절부위는 통상 14개이므로, 모션인식장치(100)가 손가락의 모든 관절의 움직임을 인식하도록 설계된 경우라면 1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을 구비해야 하고,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마다 2개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할 경우에 모션인식장치(100) 하나에는 훨씬 많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해야 한다. 엄지손가락에는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이 장착된다.
제1 센서부(205)의 복수 개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은 개별 채널로 제어부(210)와 연결된다. 손가락의 각 관절마다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의 출력(저항 값)은 각각 개별 채널로 제어부(210)가 읽어가기 때문에, 제어부(210)는 어느 손가락의 어떤 관절의 굽힘이 발생했는지 인식할 수 있다. 도 1의 제1 센서부(205)는 14개의 채널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이 구성된 예이다.
제2 센서부(207)는 모션인식 장치(100)의 공간 상의 움직임(제2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로서, 결국 모션인식 장치(100)를 착용한 손의 공간상의 자세와 움직임을 인식한다. 제2 센서부(207)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하나의 모듈로 구비한 관성측정센서(IMU: Inertial Measurement Unit)가 바람직하다. 제1 센서부(205)와 달리, 제2 센서부(207)는 모션인식 장치(100)의 공간 상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이므로, 모션인식 장치(100) 내에서의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 제2 센서부(207)는 본체(110) 내의 어디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사용자가 모션인식 장치(100)를 착용할 때에도, 제1 센서부(205)가 손가락의 관절 부분에 위치하도록 착용해는 것으로 충분하고, 제2 센서부(207)의 위치를 고려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는 각도 측정의 기본이 되는 센서로서 3축(X, Y, Z축) 이상에서의 선형 가속도 값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이로 센서도 적어도 3 축 이상에서의 회전 각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센서부(209)는 각 손가락의 끝 부분에 장착되어 손가락 터치 압력을 측정하는 복수 개의 압력 센서(또는 힘 센서)(103)를 구비한다. 제3 센서부(209)에는 초박형 고감도 압력 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10)는 제3 센서부(209)를 이용하여 각 손가락의 접촉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에는 모든 손가락의 접촉을 인식할 수 있도록 모두 5개 채널의 압력 센서(103)를 구비한 제3 센서부(209)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처럼, 본 발명의 모션인식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공(10)을 엄지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으로 파지하면, 관련된 손가락 관절들의 굽힘동작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해당 부분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의 저항값이 변한다. 이때, 손가락 관절마다 굽힘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예컨대 도 3에서는 중지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c)의 출력이 엄지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a, 101b)보다 크게 변한다. 마찬가지로, 공(10)에 접촉한 두 개의 압력센서(103a, 103b)의 출력이 변한다.
만약에, 사용자가 모션인식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을 움직이게 되면 본체(110)의 공간상의 자세가 바뀌거나 움직임이 발생한다. 제2 센서부(207)는 그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모션인식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별히, 제어부(210)는 제1 동작인식부(211), 제2 동작인식부(213), 접촉인식부(215) 및 제어명령처리부(217)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 모양과 손목의 동작에 기반한 사용자 제어명령을 인식한다.
제1 동작인식부(211)는 제1 센서부(205)의 복수 개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의 출력을 기초로 손가락의 모양 또는 손의 모양(제1 동작)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14개 채널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의 저항 값이 변하더라도, 각 채널 별로 굽힘의 인식 정도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제1 동작인식부(211)는 제1 센서부(205)의 복수 개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101)의 출력을 기초로 기등록된 특정 손모양 또는 손가락(굽힘) 모양을 인식할 수 있다.
제1 동작인식부(211)는 기등록된 복수 개의 제1 동작 중 하나가 인식되면 그 정보(제1 코드)를 제어명령처리부(217)에게 제공한다.
제2 동작인식부(213)는 제2 센서부(207)의 출력을 기초로 공간상에서의 손의 동작(제2 동작)을 인식한다. 제1 동작인식부(211)와 마찬가지로, 제2 동작인식부(213)도 제2 센서부(207)의 출력이 변경되면 해당 출력을 기등록된 복수 개의 코드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모션인식 장치(100)를 착용하고 입력하는 제2 동작을 인식하여, 제2 동작에 대응되는 제2 코드를 추출한다. 제2 동작인식부(213)는 제2 센서부(207)의 출력으로 확인한 제2 코드를 제어명령처리부(217)에게 제공한다.
사용자가 손을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제1 센서부(205)와 제2 센서부(207)의 출력은 상시로 변경될 것이다. 그렇더라도, 제1 코드와 제2 코드로 등록된 동작(또는 형태)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제1 동작인식부(211)와 제2 동작인식부(213)가 제1 센서부(205)와 제2 센서부(207)의 출력 변화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처리부(217)에게 제공하는 제1 코드와 제2 코드는 계속 변경되지 않는다.
접촉인식부(215)는 제3 센서부(209) 각 채널의 출력을 기초로 각 손가락 끝부분이 터치(제3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검출함으로써 어느 손가락이 터치 중인지를 인식하고, 그 압력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검출하여 접촉으로 인식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접촉인식부(215)는 접촉으로 인식될 크기의 압력이 감지된 손가락과 그때의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이하 제3 코드)를 제어명령처리부(217)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명령처리부(217)는 기본적으로 제1 동작인식부(211)가 인식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작(즉, 제1 코드)과, 제2 동작인식부(213)가 인식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동작(즉, 제2 코드), 그리고 접촉인식부(215)가 인식한 제3 동작을 개별적으로 접수하여 처리한다. 인식된 제1 동작 내지 제3 동작이 개별적으로 기등록된 하나의 제어명령에 대응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명령처리부(217)는 제1 동작인식부(211)가 인식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작(즉, 제1 코드)과 제2 동작인식부(213)가 인식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동작(즉, 제2 코드)이 기설정된 패턴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인식한다. 다시 말해, (제1 동작) → (제2 동작)의 조합을 제어명령으로 인식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부가적으로 제어명령처리부(217)는 접촉인식부(215)가 인식한 제3 동작이 제1 동작 및/또는 제2 동작과 결합되는 경우에 한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1 동작) → (제3 동작) → (제2 동작)의 조합 또는 (제1 동작) → (제2 동작) → (제3 동작)의 조합을 제어명령으로 인식한다.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을 결합하여 제어명령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일상적인 동작과 제어명령을 위한 동작을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제어명령에는 시작동작과 종결동작을 포함하며, 시작동작은 제1 동작 및 제2 동작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으로 구성되고, 종결동작은 제1 동작, 제2 동작 또는 제3 동작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으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연결동작을 시작동작과 종결동작 사이에 삽입할 수도 있으며, 연결동작도 제1 동작, 제2 동작 또는 제3 동작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먼저 (a)와 같이 팔을 세우고 공(10)을 파지한 상태에서 (b)와 같은 동작으로 팔을 아래로 90°각도로 회전하고, 다시 (c)와 같이 공(10)을 내려 놓는 동작을 하는 일련의 연속 모션을 제어명령으로 등록했다고 가정하자. 제1 동작인식부(211)가 (a)와 (c)의 손 모양을 인식하고 제2 동작인식부(213)가 (b)의 자세 변화를 인식하여 제어명령처리부(217)에게 그 인식 여부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인식부(215)는 (a)와 (b)에서는 '접촉'을 인식하였다가 (c)에서 '접촉 해제'를 인식하게 된다.
제어명령처리부(217)는 [(a) 동작] → [(a) 동작 상태에서 (b) 동작] → [(c) 동작]이 연속으로 인식되는 순간 기등록한 제어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시작동작은 제1 동작에 해당하는 (a) 동작이 되고, 종결동작도 제1 동작에 해당하는 (c) 동작이 되며, 연결동작은 제1 동작에 해당하는 (a) 동작과 제2 동작에 해당하는 (b) 동작의 결합된 것이다.
손동작 이벤트 인식방법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션인식 장치(100)의 모션 인식방법에 기반한 손동작 이벤트 인식방법을 설명한다.
<시작 동작, 연결 동작 및 종결 동작의 입력: S501, S503, S505>
우선, 모션인식 장치(100)는 복수 개의 제어명령을 모션으로 기동록해 둔 상태이다. 사용자가 모션인식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원이 온(On)되어 동작을 개시하는 동안은 제1 동작인식부(211)는 제1 센서부(205)를 통해 제1 동작을 상시 인식하고 대응하는 제1 코드가 있으면 제어명령처리부(217)에게 제공하고, 제2 동작인식부(213)도 제2 센서부(207)를 통해 제2 동작을 상시 인식하고 대응하는 제2 코드가 있으면 제어명령처리부(217)에게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접촉인식부(215)도 제3 센서부(209)를 통해 손가락 끝부분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인식하여 제3 코드를 생성하여 제어명령처리부(217)에게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3 코드는 손가락 위치와 압력의 크기 정보 등이 포함된다.
<제어명령 인식: S507>
제어명령처리부(217)는 S501 내지 S505 단계를 통해 제1 동작인식부(211), 제2 동작인식부(213) 및 접촉인식부(215)가 연속적으로 인식하여 제공하는 일련의 제1 코드, 제2 코드 및/또는 제3 코드의 조합과 연결이 기등록된 특정 제어명령의 (시작동작과 종결동작) 또는 (시작동작, 연결동작 및 종결동작)으로 완성되는 경우에, 해당 제어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명령처리부(217)는 제어명령이 인식되면, 해당 제어명령을 무선통신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 또는 티브이(TV), 컴퓨터, 또는 자동차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3)

  1. 사용자 손에 착용하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로서,
    글러브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손가락 관절 부분에 장착된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손가락 관절 부분의 굽힘 정도를 인식하는 제1 센서부;
    상기 본체의 공간상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제2 센서부;
    상기 본체의 손가락 끝부분에 장착된 복수 개의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손가락 끝부분에 접촉하는 압력을 인식하는 제3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의 출력 패턴을 기초로 손의 모양(제1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제2 센서부의 출력을 기초로 공간상에서의 손동작(제2 동작)을 인식하며, 상기 제3 센서부의 출력을 기초로 손가락 끝부분의 접촉 여부(제3 동작)를 인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중 선택된 복수 개 동작의 조합이 기설정된 패턴으로 연결된 경우에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동작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인식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3.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의 모션 인식 방법에 있어서,
    본체에 제1 센서부, 제2 센서부 및 제3 센서부가 장착된 상기 장치를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손가락 관절 부분에 각각 마련된 상기 제1 센서부의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모듈이 상기 본체의 손가락 관절 부분의 굽힘 정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부가 상기 본체의 공간상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3 센서부의 복수 개의 압력센서가 상기 본체의 손가락 끝부분의 접촉에 의한 압력을 인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제1 센서부의 출력 패턴을 기초로 손의 모양(제1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제2 센서부의 출력을 기초로 공간상에서의 손동작(제2 동작)을 인식하며, 상기 제3 센서부의 출력을 기초로 손가락 끝부분의 접촉 여부(제3 동작)를 인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중 선택된 복수 개 동작의 조합이 기설정된 패턴으로 연결된 경우에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의 모션 인식 방법.
KR1020180011930A 2018-01-31 2018-01-31 손가락의 움직임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90092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30A KR20190092782A (ko) 2018-01-31 2018-01-31 손가락의 움직임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30A KR20190092782A (ko) 2018-01-31 2018-01-31 손가락의 움직임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782A true KR20190092782A (ko) 2019-08-08

Family

ID=6761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930A KR20190092782A (ko) 2018-01-31 2018-01-31 손가락의 움직임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278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0982A (zh) * 2019-10-29 2020-0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增强现实系统、基于增强现实的控制方法以及装置
KR20210035669A (ko) * 2019-09-24 2021-04-0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상현실 기반 주행형 농업기계의 안전교육을 위한 손 동작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8038A (ko) * 2020-01-03 2021-07-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키보드
KR20210101015A (ko) * 2020-02-07 2021-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로봇을 이용한 반려동물 운동훈련 방법
KR102403887B1 (ko) * 2020-11-26 2022-05-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87146A (ko) * 2020-12-17 2022-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 차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7153A (ko) * 2020-12-17 2022-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난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1906A (ko) * 2021-02-03 2022-08-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토리 기반 교육용 게임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669A (ko) * 2019-09-24 2021-04-0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상현실 기반 주행형 농업기계의 안전교육을 위한 손 동작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10720982A (zh) * 2019-10-29 2020-0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增强现实系统、基于增强现实的控制方法以及装置
KR20210088038A (ko) * 2020-01-03 2021-07-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키보드
KR20210101015A (ko) * 2020-02-07 2021-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로봇을 이용한 반려동물 운동훈련 방법
KR102403887B1 (ko) * 2020-11-26 2022-05-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87146A (ko) * 2020-12-17 2022-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 차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7153A (ko) * 2020-12-17 2022-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난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1906A (ko) * 2021-02-03 2022-08-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토리 기반 교육용 게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2782A (ko) 손가락의 움직임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US9483123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in wearable electromyography devices
US9367139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in wearable electromyography devices
JP2019023941A (ja) ジェスチャに基づいて制御するための筋活動センサ信号と慣性センサ信号とを結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365419A2 (en) Wearable data input device
KR101313106B1 (ko) 손가락 착용형 매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손가락 동작 인식 방법
KR20190092777A (ko)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618301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CN111752393A (zh) 一种穿戴式智能手套
CN104267813A (zh) 腕带和手环类产品采用十种手势实现输入或选择的方法
JP2010108500A (ja) 着用型コンピューティング環境基盤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その方法
WO2004114107A1 (en) Human-assistive wearable audio-visual inter-communication apparatus.
US20170090555A1 (en) Wearable device
RU179301U1 (ru) Перчатка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Pan et al. State-of-the-art in data gloves: a review of hardware, algorithms, and applications
Guo et al. Design and manufacture of data glove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and gesture recognition based on flexible sensors
KR20110137587A (ko) 공간 입출력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RU267064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рчатки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варианты)
KR101819158B1 (ko) 힘줄에 의한 압력 센서의 연속적인 출력 값에 따른 로봇 관절의 동작 제어 시스템
Wagner et al. Smart glove with fully integrated textile sensors and wireless sensor frontend for the tactile internet
JP6887021B2 (ja) 手指の関節間着用型の指輪タイプのユーザ操作センシング装置
KR101499348B1 (ko) 손목 밴드형 기기 제어장치
KR20170091959A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글러브
KR102604259B1 (ko) 정전용량식 장갑형 입력장치
CN212084102U (zh) 穿戴式智能手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