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304B1 -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0304B1 KR102090304B1 KR1020190133850A KR20190133850A KR102090304B1 KR 102090304 B1 KR102090304 B1 KR 102090304B1 KR 1020190133850 A KR1020190133850 A KR 1020190133850A KR 20190133850 A KR20190133850 A KR 20190133850A KR 102090304 B1 KR102090304 B1 KR 1020903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slab
- self
- pour
- formwor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PC 슬래브 제조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강재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상기 타설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관통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량블럭을 상기 타설공간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타설공간에 자기충전콘크리트(self-compacting concrete)를 부어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강재 조립체와 상기 경량블럭들을 감싸도록 하되,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에 차오르는 것을 통해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경량블럭의 하부에 남은 공간 없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부어진 자기충전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상기 경량블럭의 상부와 하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경량블럭들 사이로 연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판 및 하판과 일체화되는 세로리브블 포함하는 PC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충전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존 2회 타설되던 할로우 코어 PC 슬래브 제조공정을 1회 타설 공정으로 축약함으로써, 제작 공정은 물론 그에 따른 생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타설 시, 경량블럭의 관통공을 통해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차오르는 것을 확인하여 타설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자기충전콘크리트가 남은 공간 없이 채워지도록 함은 물론, PC 슬래브를 일체화시켜 제작할 수 있어 슬래브의 균질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충전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존 2회 타설되던 할로우 코어 PC 슬래브 제조공정을 1회 타설 공정으로 축약함으로써, 제작 공정은 물론 그에 따른 생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타설 시, 경량블럭의 관통공을 통해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차오르는 것을 확인하여 타설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자기충전콘크리트가 남은 공간 없이 채워지도록 함은 물론, PC 슬래브를 일체화시켜 제작할 수 있어 슬래브의 균질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2회 타설로 제작되던 PC 슬래브 제조 공정을 1회 타설만으로 제조할 수 있는 간소화된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과, 공장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는 방법인 Precast Concrete Slab(PC 슬래브) 공법과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Slab(PSC 슬래브) 공법 등이 있다.
PC 슬래브 공법은 고품질·고강도 콘크리트(Fck = 40Mpa)를 사용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Precast Concrete) 부재에 선응력(Prestress)을 도입하여 슬래브의 장기처짐과 균열억제에 뛰어난 슬래브로, 현재 공장, 대형매장, 물류창고 및 경기장 등에 확대 적용되고 있고 점점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중, 리브 플러스 PC 슬래브 시스템은 현장 여건에 맞는 최적화된 단면 설계가 가능하다. 접합부의 연속성 및 일체성 확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EPS 매입을 통한 슬래브 자중 감소로 장스팬 구현이 가능하며, 바닥 두께 감소로 층고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PC 슬래브는 더블티 슬래브, 멀티리브드 슬래브, 할로우 코어 슬래브, 리브드 플러스 슬래브 등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이 중 할로우 코어 슬래브는 멀티 리브드 슬래브나 더블티 슬래브의 단열 및 차음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발포 폴리스?렌을 이용하여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및 차음성능을 보강할 수 있는 슬래브이다.
다만, 이러한 PC 슬래브는 PC 슬래브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하판과 리브를 2회 타설로 각각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그에 따른 제작 공정과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 할로우 코어 PC 합성 슬래브의 콘크리트 2회 타설 제조 공정을 1회 타설로 간소화할 수 있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C 슬래브 제조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강재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상기 타설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관통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량블럭을 상기 타설공간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타설공간에 자기충전콘크리트(self-compacting concrete)를 부어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강재 조립체와 상기 경량블럭들을 감싸도록 하되,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에 차오르는 것을 통해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경량블럭의 하부에 남은 공간 없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부어진 자기충전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상기 경량블럭의 상부와 하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경량블럭들 사이로 연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판 및 하판과 일체화되는 세로리브블 포함하는 PC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자기충전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존 2회 타설되던 할로우 코어 PC 슬래브 제조공정을 1회 타설 공정으로 축약함으로써, 제작 공정은 물론 그에 따른 생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둘째, 타설 시, 경량블럭의 관통공을 통해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차오르는 것을 확인하여 타설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자기충전콘크리트가 남은 공간 없이 채워지도록 함은 물론, PC 슬래브를 일체화시켜 제작할 수 있어 슬래브의 균질성을 보장할 수 있다.
셋째, PC 슬래브들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기존 별도의 포켓부의 구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그에 따른 제작 공정의 간소화는 물론 슬래브의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 합성 슬래브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PC 합성 슬래브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PC 합성 슬래브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PC 합성 슬래브 내 배근 구조를 나타내는 측방향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5는 도 1의 PC 합성 슬래브들 간의 폭방향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할로우 코어 PC 합성 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경량블럭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 합성 슬래브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 합성 슬래브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PC 합성 슬래브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PC 합성 슬래브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PC 합성 슬래브 내 배근 구조를 나타내는 측방향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5는 도 1의 PC 합성 슬래브들 간의 폭방향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할로우 코어 PC 합성 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경량블럭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 합성 슬래브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 합성 슬래브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 합성 슬래브의 전체 구조가 나타나 있고, 도 2 및 3에는 PC 합성 슬래브의 내부 구조가 나타나 있으며, 도 4에는 PC 합성 슬래브 내 배근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 합성 슬래브(100)는, 하판(110), 리브(120), 경량블럭(130), 상판(140) 및 강재 조립체(150)을 포함한다.
하판(110)은 자기충전콘크리트(Self-Compacting Concrete)의 타설에 의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밑면으로, 상부에는 후술될 리브(120) 및 경량블럭(130)이 형성되며, 하면은 평평한 구조로 형성된다.
리브(120)는 자기충전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상기 하판(110)의 상부로부터 연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하판(110)과 각각 일체화됨으로써, 하판(110)과 후술될 상판(140)의 연결 구조 및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세로리브(121)와 가로리브(122)를 포함한다. 세로리브(121)은 상기 하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하판(11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또는 특정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된다. 또한 가로리브(122)는 상기 하판(1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세로리브(121)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세로리브(121)와는 다르게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하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거나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로 형성될 때에는 일정 또는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경량블럭(130)은 상기 하판(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을 통해 PC 슬래브(100) 내 중공을 형성하거나 경량화시키는 것으로, 자기충전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 배치되어 경량블럭(13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세로리브(121)와 가로리브(122)의 구조가 함께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경량블럭(130)의 형상은 하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길이방향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더 큰 사다리꼴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세로리브(121) 및 가로리브(122)의 형상 및 구조를 달리 하기 위함이 아니라 타설되는 자기충전콘크리트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되, 유입되는 자기충전콘크리트가 경량블럭(130)의 비스듬한 상부를 가압하여 유입되는 자기충전콘크리트에 의해 경량블럭(130)이 부양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한편, 경량블럭(130)에는 경량블럭(130)의 상하면을 잇는 관통공(131)이 형성되어 관통공(131)에 차오르는 자기충전콘크리트를 확인함으로써, 1회 타설되는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사각지대 내 남은 공간 없이 충전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관통공(131)이 형성된 경량블럭(130)이 거푸집(CT)의 타설공간에 설치되어 자기충전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자기충전콘크리트가 관통공(131)에 차오르게 되며, 경량블럭(130)의 하부를 완전히 채워야만 차오를 수 있으므로, 관통공(131) 내 차오르는 자기충전콘크리트의 높이를 통해 타설되는 PC 슬래브(100)의 균질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기충전콘크리트가 관통공(131) 내부에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리브(120)들과 별도로 슬래브(100)의 상판(140)과 하판(110)을 연결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관통공(131)은 경량블럭(130)의 폭방향 중심을 따라 설치되되, 경량블럭(130)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인 경우,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경량블럭(130)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후술될 도 7에서, 자기충전콘크리트의 타설과정은 후술될 도 8의 PC 합성 슬래브(100)의 제조방법에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판(140)은 자기충전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윗면으로, 세로리브(121)들 및 가로리브(122)들과 각각 일체화됨으로써 경량블럭(130)들을 아래에 두고 복수 개의 리브(120)들을 연결한다. 상판(140)의 하부에는 리브(120)들이 형성되고, 상면은 평평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강재 조립체(150)은 슬래브(100) 내 전단력을 보강하고, PC 슬래브(100)와 현장 타설되는 콘크리트 부착면 사이에 상호거동에 의한 수평방향 변형을 경감하기 위해 PC 슬래브(100)와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접촉면이 거칠게 형성되도록 PC 슬래브(100) 내 매설되는 철근들로, 와이어 메쉬(151), 프리스트레스 강연선(152), 단부 이형근(153), 중앙 이형근(154) 및 슬래브 연결근(155)을 포함한다.
와이어 메쉬(151)는 슬래브(100)의 골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판(110) 내 복수 개의 강선들이 하판(110)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게 엮인 상태로 매설되어 고유동의 자기충전콘크리트와 결합됨으로써 하판(110)을 비롯한 PC 슬래브(100)의 강성을 보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메쉬(151)가 하판(110)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각 리브(120)들 또는 상판(140)에도 매설되어 PC 슬래브(1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리스트레스 강연선(152)은 상기 하판(110)에 프리스트레스를 형성하기 위해 매설되는 것으로, 상기 하판(110) 내 리브(12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자기충전콘크리트에 결합됨으로써, PC 슬래브(100)의 부족한 인장력을 보강한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스 강연선(152) 역시 추가적으로 각 리브(120)들과 상판(140)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부 이형근(153)과 중앙 이형근(154)은 PC 슬래브(100)의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세로리브(121) 및 가로리브(122) 내 매설되며, N형 타입의 동일한 구조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굴절되되, 리브(120)의 양단부로부터 중단부를 향해 상향 경사를 갖도록 하여 리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매설된다. 구체적으로, 단부 이형근(153)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 리브(120)의 중단부를 제외한 양단부에 각각 매설되며, 중앙 이형근(154)은 한 쌍의 단부 이형근(153) 사이에 매설되어 PC 슬래브(100)의 전단력을 리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한다. 이때, 양단부와 중단부에 형성되는 전단력의 차이를 고려하여 중앙 이형근(154)의 상향 경사가 단부 이형근(153)의 상향 경사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구조물을 생략하여 PC 슬래브(100)의 자중을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부 이형근(153)의 복수 회 굴절 구조가 중앙 이형근(154)의 복수 회 굴절 구조보다 밀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부 이형근(153)과 중앙 이형근(154)은 PC 슬래브(100)의 전단력을 보강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측 굴절 부분이 상판(140)으로부터 돌출되게 매설되어 상술한 현장에서 토핑되는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을 거칠게 형성하여, PC 슬래브(100)와 현장 타설되는 콘크리트 부착면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거동에 의한 수평방향의 변형을 경감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N형 타입의 이형 철근을 사용하여 전단력 보강과 상호거동에 의한 수평방향 변형을 억제하였으나, 익히 널리 알려진 Lattice 타입의 이형 철근 등이 본 발명의 N형 타입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슬래브 연결근(155)은 세로리브(121)의 양단부에 각각 매설되어 세로리브(12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PC 슬래브(100)들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슬래브 연결근(155)의 중단부는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절곡된 일단은 세로리브(121)의 양단부에 매설되고 타단, 즉 자유단인 끝단은 타설공간의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판(140)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됨으로써, PC 슬래브(100)들을 길이방향을 연결함은 물론, 상술한 이형 철근들과 같이 상판(140)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PC 슬래브(100)와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접촉면에 일어나는 상호거동에 의한 수평방향의 변형을 억제한다. 아울러, 슬래브 연결근(155)은 PC 슬래브(100)들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때, PC 슬래브(100) 간의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강연선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는, PC 슬래브들 간의 폭방향 결합 구조를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 슬래브(100)는 PC 슬래브(100)들 간의 폭방향 결합을 위해, 거푸집(CT)의 상단부(UP) 폭보다 하단부(LP)의 폭을 더 크게 형성하고, 중단부(MP)의 폭은 상단부(UP)의 폭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에, 자기충전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조된 PC 슬래브(100)는 상판(140)의 폭방향 양단부가 세로리브(121)들 중 최측단에 형성된 세로리브(121)들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판(110)의 폭방향 양단부가 상판(140)의 폭방향 양단부보다 돌출되되, 상단부 간의 간격보다는 작게 양생됨으로써, 상부가 개방된 단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단부 간의 간격보다 중단부 간의 간격이 더 크게 형성되어 길이방향 단면으로 살펴보면,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용 자기충전콘크리트가 부어져 양생됨으로써, PC 슬래브(100)들은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PC 슬래브(100)들의 폭방향 연결 구조의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한 연결용 배근(미도시)이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할로우 코어 PC 합성 슬래브을 제작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경량블럭들에 대한 설명을 도 6 및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량블럭(230, 330)은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크게 형성되되, 도 6(a)과 같이, 경량블럭(230) 상부의 형상이 라운드 형상, 도 6(b)와 같이, 경량블럭(330) 상부의 형상이 삼각, 오각 또는 팔각 형태의 다각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자기충전콘크리트가 타설공간에 부어질 때, 부어지는 모르타르가 경량블럭(230, 330)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여 경량블럭(130)이 비중에 의해 과도하게 부양되는 것을 억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량블럭(430, 530)은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되, 도 6(c)와 같이, 경량블럭(430) 하부의 형상이 라운드 형상, 도 6(d)와 같이 경량블럭(530) 하부의 형상이 삼각, 오각 또는 팔각 형태의 다각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자기충전콘크리트가 타설공간에 부어질 때, 자기충전콘크리트가 경량블럭(430, 530)의 하부에 원활하게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도 6(a) 내지 도 6(d)의 구성들은 함께 구성되어 도 7(a)과 같이 경량블럭(630) 상하부 전체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이거나, 도 7(b)와 같이 경량블럭(730) 상하부 전체 단면이 다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부는 원형이고 하부는 다각 형상 또는 상부가 다각 형상이고 하부가 원형인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도 7(c)와 같이 상술한 도 6(a) 내지 도 6(d), 7(a) 및 7(b)의 경량블럭(830) 상부에 내부로 인입되 단턱(831)을 각각 포함하여 부어지는 모르타르의 하중이 경량블럭(130)의 중심을 지향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PC 합성 슬래브의 제조방법을 도 8 내지 10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PC 합성 슬래브(100)를 제조(S1000)하기 위해, 도 8(a)와 같이, 우선적으로 슬래브(100) 제조를 위한 거푸집(CT)을 설치한다.(S1100) 이때, 설치되는 거푸집(CT)은 상단부(UP)의 폭보다 하단부(LP)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며, 중단부(MP)의 폭은 상단부(UP)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S1110)
거푸집(CT)이 설치되면, PC 슬래브(100)의 전단력을 보강함은 물론, 토핑되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면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거동에 의한 수평방향의 변형을 경감하기 위해, 도 8(b)와 같이, 타설공간 내에 강재 조립체(150)를 배치한다.(S1200) 하판(110)이 형성되는 위치에 타설공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엮인 와이어 메쉬(151)를 배치하고,(S1210) 하판(110) 내 세로리브(121)이 형성되는 부분에 타설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프리스트레스 강연선(152)을 배치하며,(S1220) N형 타입의 동일한 구조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굴절되는 한 쌍의 단부 이형근(153)을 타설공간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세로리브(121)가 형성되는 부분에 N형 구조가 중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갖도록 배치하고,(S1230) 한 쌍의 단부 이형근(153) 사이에 N형 타입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굴절되며 단부 이형근(153)의 상향 경사보다 낮은 각도의 상향 경사를 갖는 중앙 이형근(154)을 배치하며,(S1240) 중단부가 절곡된 구조의 슬래브 연결근(155)을 타설공간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세로리브(121)이 형성되는 부분에 배치하되, 절곡된 끝단이 타설공간의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한다.(S1250)
강재 조립체(150)가 설치되면, 도 8(c)와 같이, 거푸집(CT)의 타설공간에 타설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경량블럭(130)을 타설공간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한다.(S1200) 또한, 경량블럭(130)들을 타설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다.(S1210) 이때, 설치되는 경량블럭(130)의 구조는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더 큰 형태로 길이방향 단면이 사다리꼴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S1220) 나아가, 경량블럭(130)에 관통공(131)을 타공하여 경량블럭(130)의 상하면을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1230)
여기서, 경량블럭(130)의 배치 과정은 경량블럭(130)을 와이어 매쉬(151), 프리스트레스 강연선(152), 단부 이형근(153), 중앙 이형근(154), 슬래브 연결근(155)을 포함하는 강재 조립체(150)에 결합시켜 배치하거나, 거푸집(CT)에 설치되어 타설공간 내 진입된 앵커 바(미도시)를 통해 경량블럭(130)을 타설공간 내 부양된 구조로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거푸집(CT)의 타설공간에 강재 조립체(150)와 경량블럭(130)이 설치되면, 도 9(d)와 같이, 타설공간에 자기충전콘크리트를 부어 자기충전콘크리트가 경량블럭(130)들의 하부로 유입되어 경량블럭(130)들의 외면을 각각 둘러싸도록 한다.(S1400) 이때, 관통공(131)에 차오르는 자기충전콘크리트의 높이를 통해 타설공간에 부어지는 자기충전콘크리트가 경량블럭(130)의 하부로 남은 공간 없이 사각지대까지 유입되는 것을 확인한다.(S1410)
자기충전콘크리트가 타설공간에 부어지면, 도 9(e)와 같이, 부어진 자기충전콘크리트를 PC 합성 슬래브(100)로 양생한다.(S1500) 이때, 형성되는 PC 합성 슬래브(100)의 형상 및 구조는 경량블럭(1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판(140)과 하판(110)이 형성되고, 경량블럭(130)들 사이로 상판(140)과 하판(110)을 연직하게 연결하여 일체화되는 세로리브(121) 및 가로리브(122)가 형성되며, 상판(140)의 폭이 하판(1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되, 최외측단에 노출되는 세로리브(121)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세로리브(121) 사이로 경량블럭(130)이 채워진 중공 부분은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더 큰 길이방향 단면이 사다리꼴 구조로 형성되고, 상판(140)의 상부로 단부 이형근(153)과 중앙 이형근(154)을 포함하는 이형 철근이 노출되며,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슬래브 연결근(155)이 돌출 및 절곡되어 상판(140)보다 더욱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PC 합성 슬래브(100)이 양생되면, 도 9(f)와 같이, 거푸집(CT)을 제거한다.(S160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PC 합성 슬래브
110 : 하판 120 : 리브
121 : 세로리브 122 : 가로리브
130 : 경량블럭 131 : 관통공
140 : 상판 150 : 강재 조립체
151 : 와이어 메쉬 152 : 프리스트레스 강연선
153 : 단부 이형근 154 : 중앙 이형근
155 : 슬래브 연결근
CT : 거푸집 UP : 상단부
MP : 중단부 LP : 하단부
230, 330, 430, 530, 630, 730 및 830 : 경량블럭
831 : 단턱
110 : 하판 120 : 리브
121 : 세로리브 122 : 가로리브
130 : 경량블럭 131 : 관통공
140 : 상판 150 : 강재 조립체
151 : 와이어 메쉬 152 : 프리스트레스 강연선
153 : 단부 이형근 154 : 중앙 이형근
155 : 슬래브 연결근
CT : 거푸집 UP : 상단부
MP : 중단부 LP : 하단부
230, 330, 430, 530, 630, 730 및 830 : 경량블럭
831 : 단턱
Claims (11)
- PC 슬래브 제조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강재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상기 타설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관통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량블럭을 상기 타설공간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타설공간에 자기충전콘크리트(self-compacting concrete)를 부어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강재 조립체와 상기 경량블럭들을 감싸도록 하되,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에 차오르는 것을 통해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경량블럭의 하부에 남은 공간 없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부어진 자기충전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상기 경량블럭의 상부와 하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경량블럭들 사이로 연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판 및 하판과 일체화되는 세로리브블 포함하는 PC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강재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타설공간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상기 세로리브가 형성되는 부분에 N형 타입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구조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굴절되는 한 쌍의 단부 이형근을 상기 타설공간의 중단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설치하되, 상기 N형 타입의 경사가 상기 타설공간의 중단 방향으로 상향의 경사를 갖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PC 슬래브 제조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강재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상기 타설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관통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량블럭을 상기 타설공간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타설공간에 자기충전콘크리트(self-compacting concrete)를 부어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강재 조립체와 상기 경량블럭들을 감싸도록 하되,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에 차오르는 것을 통해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가 상기 경량블럭의 하부에 남은 공간 없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부어진 자기충전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상기 경량블럭의 상부와 하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경량블럭들 사이로 연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판 및 하판과 일체화되는 세로리브블 포함하는 PC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강재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타설공간의 길이방향 중단부의 상기 세로리브가 형성되는 부분에 N형 타입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구조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굴절되는 한 쌍의 중앙 이형근을 상기 타설공간의 중단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설치하되, 상기 N형 타입의 경사가 상기 타설공간의 중단 방향으로 상향의 경사를 갖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경량블럭을 상기 타설공간에 복수 개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경량블럭을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더 큰, 단면이 사다리꼴 구조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경량블럭을 상기 타설공간에 복수 개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타설공간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량블럭들을 상기 타설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나누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충전콘크리트를 양생하여 PC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경량블럭들 사이로 상기 세로리브들을 상기 타설공간의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제조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단부의 폭보다 하단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중단부의 폭보다 상단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설된 자기충전콘크리트를 양생하여 PC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 양단부가 최측단에 형성된 세로리브보다 돌출되며, 상기 하판의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상판의 폭방향 양단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강재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타설공간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엮인 구조의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강재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타설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리스트레스 강연선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강재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는,
절곡된 구조의 슬래브 연결근을 상기 타설공간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상기 세로리브가 형성되는 부분에 설치하되, 절곡된 끝단이 상기 타설공간의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연결근은,
철근 또는 강연선인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850A KR102090304B1 (ko) | 2019-10-25 | 2019-10-25 |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850A KR102090304B1 (ko) | 2019-10-25 | 2019-10-25 |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0304B1 true KR102090304B1 (ko) | 2020-05-26 |
Family
ID=7091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3850A KR102090304B1 (ko) | 2019-10-25 | 2019-10-25 |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030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56515B2 (ja) * | 1995-01-25 | 1999-10-04 | 大成建設株式会社 | パネルゾーン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 |
KR101175525B1 (ko) * | 2012-03-06 | 2012-08-21 | 주식회사 가야 | Pc 슬래브의 제조 방법과 시공 방법 및 구조 |
KR101732254B1 (ko) * | 2015-05-13 | 2017-05-04 | (주)지승컨설턴트 | 내화 경량체 블럭을 갖는 복합형 풍도슬래브 패널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
KR20170069315A (ko) | 2015-12-10 | 2017-06-21 |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 경량블록 일체형 리브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
-
2019
- 2019-10-25 KR KR1020190133850A patent/KR102090304B1/ko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56515B2 (ja) * | 1995-01-25 | 1999-10-04 | 大成建設株式会社 | パネルゾーン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 |
KR101175525B1 (ko) * | 2012-03-06 | 2012-08-21 | 주식회사 가야 | Pc 슬래브의 제조 방법과 시공 방법 및 구조 |
KR101732254B1 (ko) * | 2015-05-13 | 2017-05-04 | (주)지승컨설턴트 | 내화 경량체 블럭을 갖는 복합형 풍도슬래브 패널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
KR20170069315A (ko) | 2015-12-10 | 2017-06-21 |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 경량블록 일체형 리브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2270B1 (ko) |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70635B1 (ko) | 비용절감형 중공pc 바닥판넬 | |
KR20090050520A (ko) |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85487B1 (ko) | 비모듈 대응성 및 수평 전단 성능 향상을 위한 중공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20100121866A (ko) |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 |
KR101765334B1 (ko) |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 |
KR100812132B1 (ko) |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 |
KR100694805B1 (ko) | 다공성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분절형 다공성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시공방법 | |
KR101994089B1 (ko) | 인발전단메쉬부재가 구성되며 넓은 폭을 갖는 현장 타설용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 |
KR101181160B1 (ko) | 프리스트레싱을 원활히 하기 위한 긴장 및 정착 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 |
KR102090304B1 (ko) |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 |
KR102267643B1 (ko) |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1854160B1 (ko) |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 |
KR102235873B1 (ko) |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및 이를 포함하는 교각 구조물의 시공 방법 | |
KR102092393B1 (ko) | Pc 합성 슬래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c 합성 슬래브 | |
KR100583671B1 (ko) |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0984247B1 (ko) | 상부플랜지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 |
KR101970873B1 (ko) | 토핑콘크리트층을 갖는 강합성 중공 슬래브 | |
KR102327700B1 (ko) | 거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지점부 연속화 시공방법 | |
KR102247070B1 (ko) | 중공 슬래브의 설치 구조 | |
KR102203149B1 (ko) | 비부착 구간과 컷팅포켓을 활용한 프리텐션 방식의 연속지간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 |
KR101304335B1 (ko) | 절곡성형부재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슬래브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023175B1 (ko) | 프리플렉스 합성보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분 프리플렉스 연속합성보 | |
KR100619233B1 (ko) | 포스트-텐션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그리고 이를이용하여 시공된 건축물 및 시공방법 | |
CN216428794U (zh) | 一种装配式多腔复合混凝土框架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