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893B1 -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893B1
KR102089893B1 KR1020190071566A KR20190071566A KR102089893B1 KR 102089893 B1 KR102089893 B1 KR 102089893B1 KR 1020190071566 A KR1020190071566 A KR 1020190071566A KR 20190071566 A KR20190071566 A KR 20190071566A KR 102089893 B1 KR102089893 B1 KR 102089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eans
puff
air
l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규
현주희
Original Assignee
이대규
현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규, 현주희 filed Critical 이대규
Priority to KR102019007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893B1/ko
Priority to EP20827434.0A priority patent/EP3984406A4/en
Priority to US17/596,739 priority patent/US20220312931A1/en
Priority to JP2021575256A priority patent/JP7373593B2/ja
Priority to PCT/KR2020/007668 priority patent/WO2020256356A1/ko
Priority to CN202010546824.4A priority patent/CN112089174B/zh
Priority to TW109120130A priority patent/TWI746011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프를 내장하는 화장품용기의 내부용기부(1000a)(1000b)(1000c)(1000d)(1000e)(20000)에는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저장부(600a)(600b)(600c)(600d)(600e)(600f)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 공기저장부(600a)(600b)(600c)(600d)(600e)(600f)의 공기는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퍼프 수용부(18)에 놓이는 퍼프(P)의 밑면과 접촉하고 이에 따라 상기 퍼프(P)는 쉽게 건조를 이룬다.

Description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Cosmetic container having an application means placed therein where air storage is formed}
본 발명은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공기저장부가 형성되어 내장된 퍼프와 같은 도포수단이 상기 공기저장부의 공기와 접촉하여 건조가 쉽게 이루어져 뽀송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화장품용기는 쿠션,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류 등의 화장품의 내용물을 내장한 용기를 말하는데, 이러한 화장품용기는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피부에 바르는 도포수단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 도포수단은 퍼프(puff)가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서 이외 원형이나 사각 등의 스폰지 등이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쿠션,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류 등의 화장품의 내용물을 피부에 바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퍼프를 내장한 화장품용기(100)의 구조의 일예를 보인다. 상기 화장품용기(100)는 내부용기부(10)와 외부용기부(20)를 가지는데, 내부용기부(10)는 쿠련이나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류 등의 화장품의 내용물(4)을 내장하는 것이고, 외부용기부(20)는 이러한 내부용기부(10)가 설치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부(10)는 내부에 화장품의 내용물(4)이 보관되는 용기부(15)와 상기 용기부(15)를 덮는 뚜껑을 가진다.
상기 뚜껑은 퍼프(P)가 수용되는 퍼프 수용부(18)가 그 상부에 형성되어 퍼프수용겸용뚜껑(12)을 이룬다.
상기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상부의 바닥면(124)의 주변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5)의 내부가 퍼프 수용부(18)를 이루게 되어 이곳에 퍼프(P)가 수용된다.
상기 외부용기부(20)는 내부용기설치부(25)를 가져 이곳(25)에 상기 내부용기부(10)가 설치된다.
본 도면에서 예시로 드는 종래 화장품용기(100)에서 상기 내부용기설치부(25)는 납작한 원통의 형상을 하고 넓은 관통공(258)이 형성되어 이곳 관통공(258)에 상기 내부용기부(20)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있는데, 외부용기부(20)에 내부용기부(10)가 설치되는 구조는 여러 대안들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부(20)는 상기 내부용기설치부(25)에 결합된 외부뚜껑(22)을 가지며, 통상적으로 이것은 상기 내부용기부(10)의 퍼프수용겸용뚜껑(12)을 바로 덮고 있으며 상기 외부뚜껑(22)의 안쪽 면에는 거울(223)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퍼프를 내장한 화장품용기(100)는 내부용기부(10)에 퍼프수용겸용뚜껑(12)을 가지고 이러한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상부에 퍼프 수용부(18)가 제공되어 이곳에 퍼프(P)가 놓여 내장되는데, 이 퍼프(P)와 같은 도포수단에 공기가 유통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서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즉 퍼프(P)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등의 화장품(4)을 얼굴에 바르는 과정에서 화장품(4) 또는 얼굴이 가지는 수분이나 유분이 퍼프(P)에 스며들게 되는데, 이것이 스며든 채로 퍼프(P)는 화장품용기(100)에 내장되고 이렇게 화장품용기(100)에 내장된 퍼프(P)는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상부의 바닥면(124)에 놓여 보관되어 공기와 접촉될 기회가 차단되며, 이에 따라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다보니, 사용자는 퍼프(P)를 때때로 세척하고 말린 후 다시 화장품용기(100)에 내장하여 사용하거나 젖은 퍼프(P)를 버리고 새것을 화장품용기(100)에 내장하여 사용하거나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퍼프와 같은 도포수단을 내장한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도포수단을 쉽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청되는데,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공기저장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공기저장부의 공기가 퍼프 등의 도포수단과 접촉하도록 하여 퍼프 등의 도포수단이 쉽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퍼프 등과 같은 도포수단을 내장한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공기저장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퍼프 등의 도포수단이 쉽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1) 내부에 화장품의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뚜껑으로서 도포수단이 수용되는 도포수단 수용부가 그 상부에 형성된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을 가지는 내부용기부와;
(a2) 상기 내부용기부가 설치되는 내부용기설치부와 상기 내부용기설치부를 덮는 외부뚜껑을 가지는 외부용기부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b) 상기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에는 상기 도포수단이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도포수단과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면을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이 형성되고,
(c)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에 수용된 도포수단과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상기 도포수단의 밑면과 접촉하는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저장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도포수단 수용겸용뚜껑의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로서, 상기 도포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위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는 횡방향의 공기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수직방향의 공기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에서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수직방향의 공기관통공과 연통되는 하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공간부는 공기가 저장되는 하부공기저장부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이격수단은 도포수단 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수평돌출부는 돌출간이고,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수평돌출부는 판형상의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b1)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의 도포수단 수용부의 내부에서 도포수단 수용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접촉망으로서,
(b2) 상기 접촉망의 상면에 상기 도포수단이 놓이고,
(b3)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에서 상기 접촉망의 하부가 상기 공기저장부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a1) 내부에 화장품의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뚜껑으로서 도포수단이 수용되는 도포수단 수용부가 그 상부에 형성된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을 가지는 내부용기부와;
(a2) 상기 내부용기부가 설치되는 내부용기설치부와 상기 내부용기설치부를 덮는 외부뚜껑을 가지는 외부용기부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b)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가지고,
(c) 상기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의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면에 놓여,
(d)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의 상부에 상기 도포수단이 놓이고 이렇게 놓인 상기 도포수단과 상기 평판부의 상면 사이의 공간은 상기 도포수단의 밑면과 접촉하는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저장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수단이 내장되는 화장품 용기의 공기저장부의 형성수단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는 횡방향의 공기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돌출부는 수직방향의 공기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전술한 돌출부는 3개에서 15개 사이의 숫자의 것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퍼프 등의 화장품 내용물의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내부용기부의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의 도포수단 수용부에 도포수단의 밑면과 접촉하여 이의 건조를 촉진하는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저장부가 형성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퍼프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퍼프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에서 내부용기부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퍼프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에서 내부용기부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퍼프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에서 내부용기부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퍼프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에서 내부용기부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퍼프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에서 내부용기부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실시예에 따라 공기저장부 형성수단이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아래 실시예들에서 쿠션,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류 등의 화장품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화장품용기에서 이들 내용물을 얼굴 등의 피부에 바르기 위한 도포수단으로 퍼프(P)를 보이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도포수단은 퍼프(P)가 대표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얇은 평판의 형태로 만들어진 스폰지(sponge) 등과 같은 것 등도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내부용기부에서 퍼프와 같은 도포수단을 수용하는 뚜껑인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과 관련되어 있으며, 아래 실시예들에서는 퍼프수용겸용뚜껑과 관련되어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12)의 바닥판(401)(402)은 막혀 있어 도포수단 수용부(18)와 용기부(15)는 상기 바닥판(401)(402)에 의하여 상호간에 막혀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용기부(15)로부터 막혀 상기 용기부(15)의 화장품 내용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도포수단 수용부(18)에 대하여, 이곳에서 도포수단(P)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저장부(600a)(600c)(600d)(600e)(600f)를 형성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들의 경우, 퍼프수용겸용뚜껑(12)에서 용기부(15)로부터 바닥판(401)에 의하여 막혀진 퍼프 수용부(18)에 퍼프(P)가 놓일 때 이것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저장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은 퍼프수용겸용뚜껑(12)을 가지는 내부용기부를 도시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퍼프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에서 내부용기부(1000a)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바닥판(401)은 막혀 있어 퍼프 수용부(18)와 용기부(15)는 상기 바닥판(401)에 의하여 상호간에 막혀 있다.
또한,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퍼프수용부(18)에서 그 바닥면(124)에는 다수개의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80)가 본 발명에 따른 퍼프(P)와 퍼프 수용부(18)의 바닥면(124)을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퍼프 수용부(18)에서 퍼프(P)는 상기 돌출부(80)의 위에 놓이며, 상기 퍼프(P)와 상기 퍼프 수용부(18)의 바닥면(124)사이의 이격공간(600a)은 공기저장부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용기(100)의 외부뚜껑(22)을 열고 퍼프(P)를 집어들면, 상기 퍼프 수용부(18)에 공기가 충진되고, 이후 파운데이션 용기(100)에 퍼프(P)를 수용하고 외부뚜껑을 닫으면 돌출부(80)의 위에 놓인 퍼프(P)는 하부의 공기저장부(600a)의 공기와 접촉되어 건조가 촉진되어진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80)는 횡방향의 공기관통공(8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80)의 횡방향의 공기관통공(84)을 통하여 공기저장부(600a)의 공기의 유통이 촉진된다.
나아가서, 상기 돌출부(80)는 수직방향의 공기관통공(8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돌출부(80)의 위에 놓인 상기 퍼프(P)의 밑면부분도 공기와 접촉하게 된다.
즉 공기저장부(600a)의 공기가 횡방향의 공기관통공(84)과 수직방향의 공기관통공(87)을 통하여 돌출부(80)의 위에 놓인 상기 퍼프(P)의 밑면부분과도 접촉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내부용기부(1000b)에서 상기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퍼프 수용부(18)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80)의 수직방향의 공기관통공(87)과 연통되는 하부공간부(600b)가 형성된다.
이 경우 하부공간부(600b)의 바닥판(402)에 의하여 상기 퍼프 수용부(18)와 상기 용기부(15)는 상호간에 막혀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부공간부(600b)는 하부공기저장부를 이루게 되며, 퍼프를 내장한 화장품 용기는 하부공기저장부(600b)로 인하여 첫 번째 실시예의 것 보다 많은 공기를 충진 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도 6 그리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퍼프를 내장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내부용기부(1000c)를 보인다.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바닥판(401)은 막혀 있어 퍼프 수용부(18)와 용기부(15)는 상기 바닥판(401)에 의하여 상호간에 막혀 있다.
이번 측면에 따를 경우, 이격수단으로 퍼프 수용부(18)의 내측면(125)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가 제공되는데, 도 5와 도 6은 이격수단으로 수평돌출간(71)이 제공된 것이고, 도 7과 도 8은 이격수단으로 수평지지판(73)이 제공된 것이다.
상기 수평지지판(73)은 판형상의 것인데, 수직관통공(738)이 형성되어 수평지지판(73)과 접하는 퍼프(P)의 밑면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들 수평돌출간(71) 또는 수평지지판(73)의 상부에 퍼프(P)가 놓이고 상기 퍼프(P)와 퍼프 수용부(18)의 바닥면(124)사이의 이격공간은 공기저장부(600c)(600d)를 이루게 되어 상기 공기저장부(600c)(600d)의 공기는 퍼프(P)의 밑면과 접촉하여 퍼프(P)의 건조를 촉진시킨다.
수평지지판(73)의 경우 그 관통공(738)을 통하여 수평지지판(73)에 놓이는 퍼프(P)의 밑면부분도 공기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퍼프를 내장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내부용기부(1000e)를 보인다. 이 경우도,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바닥판(401)은 막혀 있어 퍼프 수용부(18)와 용기부(15)는 상기 바닥판(401)에 의하여 상호간에 막혀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내부용기부(1000e)의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퍼프 수용부(18)의 내부에서 퍼프 수용부(18)를 가로질러 접촉망(400)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것이 퍼프(P)와 퍼프 수용부(18)의 바닥면(124)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이루게 된다.
삭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퍼프 수용부(18)는 상기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상부의 바닥면(124)의 주위에서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125)에 의하여 그 내부에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연장부(125)의 내면에 상기 접촉망(400)이 부착되어 설치되고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망(400)의 상면에 상기 퍼프(P)가 놓이고, 상기 퍼프수용부(18)에서 상기 접촉망(400)의 하부는 공기저장부(600e)를 형성하게 된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실시예에 따라 공기저장부 형성수단(1400)이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 경우도,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바닥판(401)은 막혀 있어 퍼프 수용부(18)와 용기부(15)는 상기 바닥판(401)에 의하여 상호간에 막혀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공기저장부 형성수단(1400)이 화장품용기와는 별도로 제공되어, 사용자는 이것을 화장품용기의 내부용기부(2000)의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퍼프 수용부(18)의 바닥면(124)에 놓아 화장품용기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공기저장부 형성수단(1400)은 평판부(824)와 상기 평판부(82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80)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80)의 상부에 퍼프(P)가 놓이며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80)에 의하여 퍼프(P)와 공기저장부(1400)의 평판부(824)사이의 이격공간은 공기저장부(600f)를 형성하게 된다.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부(80)는 횡방향의 공기관통공(8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수직방향의 공기관통공(8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여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화장품 용기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이, 별도로 제공되는 공기저장부 형성수단(1400)을 배치함으로써 화장품 용기에 내장되는 퍼프(P)의 건조를 쉽게 이룰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공기저장부 형성수단(1400)은 실리콘을 재질로 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첫 번째, 두 번째 및 여섯 번째 실시예에서 퍼프수용겸용뚜껑(12)의 퍼프 수용부(18)의 바닥면(124)에 설치되는 돌출부(80)는 퍼프(P)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크기와 숫자면 족하며, 이 한도에서 그 크기와 숫자가 적은 것이 공기저장부(600a)(600f)의 공기와 접촉하는 퍼프(P)의 밑면의 넓이를 넓힐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상기 돌출부(80)의 숫자는 3개에서 15개 정도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돌출부(8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는데, 상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줄어드는 예를 들어 원뿔의 형상으로서 그 상부는 뭉툭하거나 평면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퍼프 등의 화장품 내용물의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내부용기부의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의 도포수단 수용부에 도포수단의 밑면과 접촉하여 이의 건조를 촉진하는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저장부가 형성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100: 화장품용기
P: 퍼프
10: 내부용기부
12: 퍼프수용겸용뚜껑
15: 용기부
18: 퍼프 수용부
124: 퍼프수용겸용뚜껑의 상부의 바닥면
125: 연장부
20: 외부용기부
22: 외부뚜껑
25: 내부용기설치부
1000a, 1000b, 1000c, 1000d, 1000e, 2000: 내부용기부
80: 돌출부
84: 횡방향의 공기관통공
87: 수직방향의 공기관통공
600a, 600c, 600d, 600e, 600f: 공기저장부
600b: 하부공간부
400: 접촉망
71: 수평돌출간
73: 수평지지판
738: 관통공
1400: 공기저장부형성수단
824: 평판

Claims (14)

  1. (a1) 내부에 화장품의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뚜껑으로서 도포수단이 수용되는 도포수단 수용부가 그 상부에 형성된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을 가지는 내부용기부와; 여기서 상기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의 바닥판은 막혀 있어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와 상기 용기부는 상기 바닥판에 의하여 상호간에 막혀있으며,
    (a2) 상기 내부용기부가 설치되는 내부용기설치부와 상기 내부용기설치부를 덮는 외부뚜껑을 가지는 외부용기부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b) 상기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에는 상기 도포수단이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도포수단과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면을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이 형성되고,
    (c)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에 수용된 도포수단과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상기 도포수단의 밑면과 접촉하는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저장부를 이루며,
    (b1)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의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로서, 상기 도포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위에 놓이고,
    (b2) 상기 돌출부는 횡방향의 공기관통공과 수직방향의 공기관통공이 형성되고,
    (d) 상기 도포수단수용겸용뚜껑에서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수직방향의 공기관통공과 연통되는 하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공간부는 공기가 저장되는 하부공기저장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3개에서 15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 용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71566A 2019-06-17 2019-06-17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KR102089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566A KR102089893B1 (ko) 2019-06-17 2019-06-17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EP20827434.0A EP3984406A4 (en) 2019-06-17 2020-06-12 COSMETIC CONTAINER WITH EMBEDDED APPLICATION DEVICE WITH AIR STORAGE SPACE
US17/596,739 US20220312931A1 (en) 2019-06-17 2020-06-12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pplication means having air storage space is embedded
JP2021575256A JP7373593B2 (ja) 2019-06-17 2020-06-12 空気貯蔵空間が形成された塗布手段が組み込まれた化粧品容器
PCT/KR2020/007668 WO2020256356A1 (ko) 2019-06-17 2020-06-12 공기저장공간이 형성된 도포수단이 내장된 화장품용기
CN202010546824.4A CN112089174B (zh) 2019-06-17 2020-06-16 形成有空气储存空间且内置涂抹工具的化妆品容器
TW109120130A TWI746011B (zh) 2019-06-17 2020-06-16 形成有空氣儲存空間且內置塗抹工具的化妝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566A KR102089893B1 (ko) 2019-06-17 2019-06-17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822A Division KR102191998B1 (ko) 2019-10-01 2019-10-01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893B1 true KR102089893B1 (ko) 2020-03-16

Family

ID=6994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566A KR102089893B1 (ko) 2019-06-17 2019-06-17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8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873U (ko) * 1998-11-27 2000-06-26 서경배 페이스 파우더 용기내의 망사체
JP2015205131A (ja) * 2014-04-23 2015-11-19 紀伊産業株式会社 化粧料容器
KR101697242B1 (ko) * 2016-10-04 2017-02-02 주식회사 스킨드림 화장용 퍼프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873U (ko) * 1998-11-27 2000-06-26 서경배 페이스 파우더 용기내의 망사체
JP2015205131A (ja) * 2014-04-23 2015-11-19 紀伊産業株式会社 化粧料容器
KR101697242B1 (ko) * 2016-10-04 2017-02-02 주식회사 스킨드림 화장용 퍼프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935B2 (en) One-touch compact case having refillable structure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JP5695761B2 (ja) 化粧用パウダー容器
KR200490400Y1 (ko) 화장품 용기
KR101851985B1 (ko) 화장품 컴팩트용 리필용기
WO2010008941A3 (en) Sifter dish insert for cosmetic package
KR101968597B1 (ko) 겔상화장료와 고형화장료가 담긴 콤팩트용기
KR102089893B1 (ko)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KR102191998B1 (ko)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JP5558913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200144048A (ko) 공기저장부가 형성된 도포수단을 내장하는 화장품용기
KR20160011611A (ko) 화장품 용기
EP3984406A1 (en)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pplication means having air storage space is embedded
KR102165714B1 (ko) 공기저장공간이 형성된 도포수단이 내장된 화장품용기
KR200468101Y1 (ko) 도포브러쉬 수납형 듀얼 화장품용기
KR200489937Y1 (ko) 화장용 함침재 리필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000010873U (ko) 페이스 파우더 용기내의 망사체
KR20150116580A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 케이스
CN207855274U (zh) 一种防尘粉扑
JPH0642566Y2 (ja) 化粧用コンパクト
KR200294037Y1 (ko) 파우더 용기구조
KR101842794B1 (ko) 화장품 용기
JP3226765U6 (ja) 化粧品容器
KR102316219B1 (ko) 3차원 메쉬용 화장품 용기
KR20200106335A (ko) 도포브러쉬 수납형 듀얼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