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367B1 -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 Google Patents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367B1
KR102089367B1 KR1020180120206A KR20180120206A KR102089367B1 KR 102089367 B1 KR102089367 B1 KR 102089367B1 KR 1020180120206 A KR1020180120206 A KR 1020180120206A KR 20180120206 A KR20180120206 A KR 20180120206A KR 102089367 B1 KR102089367 B1 KR 10208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ct
plate
flexible displa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혁
김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옵틱스
Priority to KR1020180120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2Devices for holding articles during cleaning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미도시)의 진공 흡입을 위한 진공흡입부(100); 진공흡입부(100)에 대하여 연소물 등을 흡입하는 경로와 작업대(W)의 진공 클린닝의 경로를 가변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밸브구동부(200); 밸브구동부(200)에 대하여 진공압을 인가하기 위한 집진부(300);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지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Cleaning unit for cutting table of the OLED flexible display film}
본 발명은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에 대하여 레이저 커팅시 발생하는 연소물과 이물질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커팅 작업대의 클린 상태를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클린 작업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작업대의 충격을 보호하고 안정적인 클린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OLED 필름 소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OLED 디스플레이 필름 소재는 레이저 커팅 기술을 이용하여 셀단위로 생산된다. 이러한 절단 공정에 있어서, 작업 테이블에 원장으로 이루어진 OLED 필름을 안착시킨 후에 레이저 빔을 원장의 OLED 필름에 조사시켜 셀 단위로 OLED 필름을 셀 단위로 나누고 있다. 이 때 레이저 빔의 고온에 의하여 절단 과정에서 발생되는 필름 연소물과 이물질이 발생되며 이러한 연소물과 이물질이 작업 테이블에 고착되어 절단 공정에 대하여 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절단 공정에서 발생되어 고착된 연소물과 이물질은 작업 테이블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연소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작업 테이블을 분리한 후에 특수 화학 약품처리와 세정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고착된 연소물과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작업 테이블의 클린닝을 자주 실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작업 테이블의 전면적인 분해 과정과 세정 과정을 거쳐야 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현격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진공 흡입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클린 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작업 테이블은 원장 OLED 필름을 수용할 만큼의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연소물과 이물질의 진공 흡입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넓은 면적에 대하여 진공 흡입을 위한 작업시에 넓은 면적과 길이에 따른 원할한 기밀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진공흡입 장치의 승하강 운동시에 비대칭 모멘트가 발생되어 정비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에서 절단공정시에 가공에 필요한 클린닝 공정과 절단공정에 따른 연소물과 이물질의 진공 흡입 제거 공정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진공 관로와 진공 펌핑장비를 클린닝 공정과 진공 흡입 제거 공정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고 있다. 따라서 클린닝 공정과 진공 흡입 제거 공정의 개별적 장비의 구비 및 운용에 따른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개별적으로 클린닝 공정과 진공 흡입 제거 공정을 통합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통합 운용에 따라 발생되는 진공 흡입력의 손실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OLED 필름의 절단 공단을 위한 작업대에서 최대한 넓은 면적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연소물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린닝 동작과 진공 흡입 제거 동작에 따른 승하강 동작시에 오류 동작을 방지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클린닝과 진공 흡입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있어서 클린닝 공정과 진공 흡입 제거 공정을 통합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통합 운용에 따라 발생되는 진공 흡입력의 손실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효율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미도시)의 진공 흡입을 위한 진공흡입부(100); 진공흡입부(100)에 대하여 연소물 등을 흡입하는 경로와 작업대(W)의 진공 클린닝의 경로를 가변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밸브구동부(200); 밸브구동부(200)에 대하여 진공압을 인가하기 위한 집진부(300);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지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이 제공된다.
여기서, 진공흡입부(100)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작업대(W)의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결합되기 위한 브라켓(110),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피스톤(122)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실린더(120), 승하강 실린더(120)의 피스톤(122)에 결합되어 승하강 운동하는 플레이트(130), 및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결합되며 밸브구동부(200)로부터의 제1 덕트(D1)에 연결되어 진공흡입과 진공 클린닝을 위한 흡입부(15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탄성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탄성 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부(150)는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탄성 가이드부(140)를 매개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은 그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작업대(W)의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의 하측부의 중앙에는 승하강 실린더(120)가 고정 결합되며, 하측부의 양측단에는 플레이트(130)의 승하강시 가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딩 가이드(160)의 베어링 하우징은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이드(160)의 가이드축의 일단은 플레이트(13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흡입부(100)의 승하강 실린더(120)는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피스톤(122)을 구비하며, 피스톤(122)의 단부는 플레이트(13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흡입부(100)의 플레이트(130)는 승하강 실린더(120)의 피스톤(122)에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이드(160)의 가이드축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가이드부(140)는 플레이트(130)를 기점으로 플레이트(130)의 상부에서 플레이트(130)의 하측으로 제1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탄성부(142),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흡입부(150)와 플레이트(130) 사이에 상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탄성부(144), 및 제1 탄성부(142)와 제2 탄성부(144)를 관통하여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가이드 운동하기 위한 가이드축(146)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가이드부(140)의 가이드축(146)의 일단부는 흡입부(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흡입부(150)와 플레이트(130) 사이에 상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탄성부(142)는 생략된 상태에서 제2 탄성부(144)만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흡입부(100)의 하부에는 종방향을 따라 '장공의 홈'으로 이루어진 흡입구(152)와, 흡입부(150)와 연통되는 덕트결합부(15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의 상부 양측에는 대칭적으로 한 쌍의 모멘트 조절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모멘트 조절부(170)는 브라켓(110)의 상부에서 브라켓(110)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 가변되어 고정될 수 있는 중량부재(17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멘트 조절부(170)는 중량부재(172)가 브라켓(110) 상에서 좌우 가변되어 고정될 수 있는 리니어 모터(미도시)를 내재하며, 브라켓(110)이나 흡입부(150)의 기울기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하며, 제어부는 브라켓(110)이 흡입부(150)의 기울기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모멘트 조절부(170)의 중량부재(172)를 가변시켜 긴밀하게 흡입부(150)의 흡입부(150)가 작업대(W)에 균일한 폭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이나 본체에 결합되어 밸브구동부(200)의 밸브 절환동작시에 흡입부(150)의 흡입구(152)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연소물과 이물질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받침부(18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딩 받침부(180)는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82), 고정 플레이트(182)에 결합되어 흡입부(150)의 흡입부(150)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부(184), 및 이동부(184)에 결합되어 흡입부(150)의 흡입부(150)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플레이트(18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의 집진을 위한 밸브구동부(200)의 밸브 구동시에는 슬라이딩 받침부(180)의 이동 플레이트(186)가 이동부(184)에 의하여 흡입부(150)의 흡입구(15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의 집진 작업의 종료후 작업대(W) 공간의 클린닝을 위한 밸브구동부(200)의 밸브 구동시에는 슬라이딩 받침부(180)의 이동 플레이트(186)가 이동부(184)에 의하여 흡입부(150)의 흡입구(15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구동부(200)는 진공흡입부(100)의 흡입부(150)로 연결되는 제1 덕트(D1)에 연결되기 위한 제1 덕트연결구(210), 작업대(W)의 작업공간에 대하여 클린닝을 제공하기 위한 덕트인 제2 덕트(D2)에 연결되기 위한 제2 덕트연결구(220), 집진부(300)에 연결되는 제3 덕터(D3)에 연결되기 위한 제3 덕트연결구(230), 제1 내지 제3 덕트연결구(210, 220, 230)가 구비된 하우징(240), 하우징(240)에 결합되어 정역회전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구동부(250), 및 회전구동부(250)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1 덕트(D1)와 제2 덕트(D2)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하기 위한 밸브(26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구동부(200)의 하우징(240)의 일측에는 진공흡입부(100)의 흡입부(150)로 연결되는 제1 덕트(D1)에 연결되기 위한 제1 덕트연결구(210)와 작업대(W)의 작업공간에 대하여 클린닝을 제공하기 위한 덕트인 제2 덕트(D2)에 연결되기 위한 제2 덕트연결구(220)가 병렬로 구비되며, 타측에는 집진부(300)에 연결되는 제3 덕터(D3)에 연결되기 위한 제3 덕트연결구(230)가 구비되며, 회전구동부(250)의 회전축(252)은 하우징(240)의 내부로 연장되어 밸브(260)를 정역회전시켜 제1 덕트(D1)와 제2 덕트(D2)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260)는 회전축(146)을 기점으로 하여 직각 또는 둔각의 각도를 이루는 막음판으로 이루어진 제1 밸브(262)와 제2 밸브(26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OLED 필름의 절단 공단을 위한 작업대에서 최대한 넓은 면적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연소물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클린닝 동작과 진공 흡입 제거 동작에 따른 승하강 동작시에 오류 동작을 방지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클린닝과 진공 흡입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클린닝 공정과 진공 흡입 제거 공정을 통합하여 운용할 수 있게 하여 효율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있어서 클린닝 유닛의 진공흡입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있어서 클린닝 유닛의 진공흡입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의 밸브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클린닝 동작 과정시의 밸브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집진 동작 과정시의 밸브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있어서 클린닝 유닛의 진공흡입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있어서 클린닝 유닛의 진공흡입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의 밸브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클린닝 동작 과정시의 밸브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집진 동작 과정시의 밸브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의하면,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미도시)의 진공 흡입을 위한 진공흡입부(100), 진공흡입부(100)에 대하여 연소물 등을 흡입하는 경로와 작업대(W)의 진공 클린닝의 경로를 가변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밸브구동부(200), 밸브구동부(200)에 대하여 진공압을 인가하기 위한 집진부(300),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진공흡입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작업대(W)의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결합되기 위한 브라켓(110),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피스톤(122)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실린더(120), 승하강 실린더(120)의 피스톤(122)에 결합되어 승하강 운동하는 플레이트(130),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탄성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탄성 가이드부(140), 및 탄성 가이드부(140)에 대하여 결합되며 밸브구동부(200)로부터의 제1 덕트(D1)에 연결되어 진공흡입과 진공 클린닝을 위한 흡입부(150)로 이루어진다.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은 단면이 'L'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작업대(W)의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결합된다.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의 하측부의 중앙에는 승하강 실린더(120)가 고정 결합되며, 하측부의 양측단에는 플레이트(130)의 승하강시 가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160)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가이드(160)의 베어링 하우징은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이드(160)의 가이드축의 일단은 플레이트(130)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진공흡입부(100)의 승하강 실린더(120)는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피스톤(122)을 구비하며, 피스톤(122)의 단부는 플레이트(130)에 결합된다. 이 때, 승하강 실린더(120)는 공압에 의하여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져도 좋다.
진공흡입부(100)의 플레이트(130)는 승하강 실린더(120)의 피스톤(122)에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이드(160)의 가이드축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이 때, 승하강 실린더(120)의 승하강 구동시 승하강의 유격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길이, 즉 작업대(W)의 폭이나 필름(F)의 폭에 대응하는 넓은 길이로 인하여 승하강 실린더(120)를 중심으로 발생되는 모멘트의 불균형에 따른 승하강 동작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 가이드부(140)가 슬라이딩 가이드(160)의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된다.
각각의 탄성 가이드부(140)는 플레이트(130)를 기점으로 플레이트(130)의 상부에서 플레이트(130)의 하측으로 제1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탄성부(142),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흡입부(150)와 플레이트(130) 사이에 상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탄성부(144), 및 제1 탄성부(142)와 제2 탄성부(144)를 관통하여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가이드 운동하기 위한 가이드축(146)으로 이루어진다.
탄성 가이드부(140)의 가이드축(146)의 일단부는 흡입부(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흡입부(150)와 플레이트(130) 사이에 상대적인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의하면, 진공흡입 동작의 구동을 위하여 승하강 실린더(120)의 승하강 동작시에 상대적으로 긴 흡입부(150)의 승하강시 승하강 실린더(120)를 중심으로 발생되는 비대칭적인 모멘트로 인하여 끼임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선택적으로 제1 탄성부(142)와 제2 탄성부(144)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142)는 생략된 상태에서 제2 탄성부(144)만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흡입부(150)의 자중과 흡입부(150)와 플레이트(130) 사이에 상대적인 탄성력에 의하여 비대칭 모멘트에 따른 끼임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진공흡입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종방향을 따라 '장공의 홈'으로 이루어진 흡입구(152)와, 흡입부(150)와 연통되는 덕트결합부(154)로 이루어진다. 진공흡입부(100)의 덕트결합부(154)에는 제1 덕트(D1)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한편,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의 상부 양측에는 대칭적으로 한 쌍의 모멘트 조절부(170)를 더 구비한다.
각각의 모멘트 조절부(170)는 브라켓(110)의 상부에서 브라켓(110)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 가변되어 고정될 수 있는 중량부재(17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의하면, 진공흡입부(100)의 흡입부(150)는 그 하부가 종방향을 따라 '장공의 홈'으로 이루어진 흡입구(152)를 구비하여 작업대(W)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동시에 연소물과 이물질에 대하여 집진 기능을 수행하여 집진 시간을 단축하며, 그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의 생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대적으로 넓은 길이를 가진 흡입부(150)의 승하강 동작시 발생되는 비대칭의 모멘트에 따른 동작 불량을 탄성 가이드부(140)와 슬라이딩 가이드(160)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멘트 조절부(170)의 조절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긴 흡입부(150)의 비대칭적인 모멘트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부(150)의 흡입구(152)가 작업대(W)에 긴밀하여 균형적으로 양측에서 접하여 균일한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모멘트 조절부(170)는 중량부재(172)가 브라켓(110) 상에서 좌우 가변되어 고정될 수 있는 리니어 모터(미도시)를 내재하며, 이 때, 브라켓(110)이나 흡입부(150)의 기울기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브라켓(110)이 흡입부(150)의 기울기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모멘트 조절부(170)의 중량부재(172)를 가변시켜 보다 긴밀하게 흡입부(150)의 흡입부(150)가 작업대(W)에 균일한 폭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밸브구동부(200)의 밸브 절환동작시에 흡입부(150)의 흡입구(152)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연소물과 이물질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받침부(180)를 더 구비한다.
슬라이딩 받침부(180)는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82), 고정 플레이트(182)에 결합되어 흡입부(150)의 흡입부(150)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부(184), 및 이동부(184)에 결합되어 흡입부(150)의 흡입부(150)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플레이트(18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의하면,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의 집진을 위한 밸브구동부(200)의 밸브 구동시에는 슬라이딩 받침부(180)의 이동 플레이트(186)가 이동부(184)에 의하여 흡입부(150)의 흡입구(15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의 집진 작업의 종료후 작업대(W) 공간의 클린닝을 위한 밸브구동부(200)의 밸브 구동시에는 슬라이딩 받침부(180)의 이동 플레이트(186)가 이동부(184)에 의하여 흡입부(150)의 흡입구(15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밸브구동부(200)의 밸브 절환동작시에 발생되는 흡입부(150)의 흡입구(152)로부터 낙하되는 연소물과 이물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구동부(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입부(100)의 흡입부(150)로 연결되는 제1 덕트(D1)에 연결되기 위한 제1 덕트연결구(210), 작업대(W)의 작업공간에 대하여 클린닝을 제공하기 위한 덕트인 제2 덕트(D2)에 연결되기 위한 제2 덕트연결구(220), 집진부(300)에 연결되는 제3 덕터(D3)에 연결되기 위한 제3 덕트연결구(230), 제1 내지 제3 덕트연결구(210, 220, 230)가 구비된 하우징(240), 하우징(240)에 결합되어 정역회전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구동부(250), 및 회전구동부(250)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1 덕트(D1)와 제2 덕트(D2)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하기 위한 밸브(260)로 이루어진다.
밸브구동부(200)의 하우징(240)의 일측에는 진공흡입부(100)의 흡입부(150)로 연결되는 제1 덕트(D1)에 연결되기 위한 제1 덕트연결구(210)와 작업대(W)의 작업공간에 대하여 클린닝을 제공하기 위한 덕트인 제2 덕트(D2)에 연결되기 위한 제2 덕트연결구(220)가 병렬로 구비되며, 타측에는 집진부(300)에 연결되는 제3 덕터(D3)에 연결되기 위한 제3 덕트연결구(230)가 구비된다.
밸브구동부(200)의 회전구동부(250)는 하우징(240)의 상부에 구비되어 밸브(260)에 대하여 정역회전의 구동력을 제공한다. 회전구동부(250)의 회전축(252)은 하우징(240)의 내부로 연장되어 밸브(260)를 정역회전시켜 제1 덕트(D1)와 제2 덕트(D2)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한다.
밸브(26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46)을 기점으로 하여 직각 또는 둔각, 바람직하게는 135°의 각도를 이루는 막음판으로 이루어진 제1 밸브(262)와 제2 밸브(264)로 이루어진다. 밸브구동부(200)의 회전구동부(250)의 정회전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D1)의 유로가 차단되며 제2 덕트(D2)의 유로가 개방되어 작업대(W)의 작업공간에 대한 클린닝 공정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밸브구동부(200)의 회전구동부(250)의 역회전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D1)의 유로가 개방되며 제2 덕트(D2)의 유로가 차단되어 작업대(W)의 연소물과 이물질 제거를 위한 흡입부(150)에 대한 진공압이 가해져 연소물과 이물질의 제거흡입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에 의하면, 밸브구동부(200)의 밸브(26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또는 둔각, 바람직하게는 135°의 각도를 이루는 막음판으로 이루어진 제1 밸브(262)와 제2 밸브(264)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일의 집진부(300)를 이용한 제3 덕터(D3)로 진공 유로를 형성할 때, 진공압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효율적인 진공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D1: 제1 덕트
D2: 제2 덕트
D3: 제3 덕트
F: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
W: 작업대
100: 진공흡입부
110: 브라켓
120: 승하강 실린더
122: 피스톤
130: 플레이트
140: 탄성 가이드부
142: 제1 탄성부
144: 제2 탄성부
146: 가이드축
150: 흡입부
152: 흡입구
154: 덕트결합부
160: 슬라이딩 가이드
170: 모멘트 조절부
172: 중량부재
180: 슬라이딩 받침부
182: 고정 플레이트
184: 이동부
186: 이동 플레이트
200: 밸브구동부
210: 제1 덕트연결구
220: 제2 덕트연결구
230: 제3 덕트연결구
240: 하우징
250: 회전구동부
252: 회전축
260: 밸브
262: 제1 밸브
264: 제2 밸브
300: 집진부

Claims (22)

  1. 삭제
  2.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미도시)의 진공 흡입을 위한 진공흡입부(100);
    진공흡입부(100)에 대하여 연소물 등을 흡입하는 경로와 작업대(W)의 진공 클린닝의 경로를 가변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밸브구동부(200);
    밸브구동부(200)에 대하여 진공압을 인가하기 위한 집진부(300);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진공흡입부(100)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작업대(W)의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결합되기 위한 브라켓(110),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피스톤(122)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실린더(120), 승하강 실린더(120)의 피스톤(122)에 결합되어 승하강 운동하는 플레이트(130), 및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결합되며 밸브구동부(200)로부터의 제1 덕트(D1)에 연결되어 진공흡입과 진공 클린닝을 위한 흡입부(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탄성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탄성 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흡입부(150)는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탄성 가이드부(140)를 매개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은 그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작업대(W)의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6.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의 하측부의 중앙에는 승하강 실린더(120)가 고정 결합되며, 하측부의 양측단에는 플레이트(130)의 승하강시 가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가이드(160)의 베어링 하우징은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이드(160)의 가이드축의 일단은 플레이트(13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8. 제2항에 있어서, 진공흡입부(100)의 승하강 실린더(120)는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피스톤(122)을 구비하며, 피스톤(122)의 단부는 플레이트(1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진공흡입부(100)의 플레이트(130)는 승하강 실린더(120)의 피스톤(122)에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이드(160)의 가이드축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탄성 가이드부(140)는 플레이트(130)를 기점으로 플레이트(130)의 상부에서 플레이트(130)의 하측으로 제1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탄성부(142),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흡입부(150)와 플레이트(130) 사이에 상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탄성부(144), 및 제1 탄성부(142)와 제2 탄성부(144)를 관통하여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가이드 운동하기 위한 가이드축(14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탄성 가이드부(140)의 가이드축(146)의 일단부는 흡입부(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흡입부(150)와 플레이트(130) 사이에 상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탄성부(142)는 생략된 상태에서 제2 탄성부(144)만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13. 삭제
  14.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공흡입부(100)의 하부에는 종방향을 따라 '장공의 홈'으로 이루어진 흡입구(152)와, 흡입부(150)와 연통되는 덕트결합부(154)로 이루어지며,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의 상부 양측에는 대칭적으로 한 쌍의 모멘트 조절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멘트 조절부(170)는 브라켓(110)의 상부에서 브라켓(110)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 가변되어 고정될 수 있는 중량부재(1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모멘트 조절부(170)는 중량부재(172)가 브라켓(110) 상에서 좌우 가변되어 고정될 수 있는 리니어 모터(미도시)를 내재하며, 브라켓(110)이나 흡입부(150)의 기울기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하며,
    제어부는 브라켓(110)이 흡입부(150)의 기울기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모멘트 조절부(170)의 중량부재(172)를 가변시켜 긴밀하게 흡입부(150)의 흡입부(150)가 작업대(W)에 균일한 폭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17. 삭제
  18.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공흡입부(100)의 브라켓(110)이나 본체에 결합되어 밸브구동부(200)의 밸브 절환동작시에 흡입부(150)의 흡입구(152)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연소물과 이물질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받침부(180)를 더 구비하며,
    슬라이딩 받침부(180)는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82), 고정 플레이트(182)에 결합되어 흡입부(150)의 흡입부(150)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부(184), 및 이동부(184)에 결합되어 흡입부(150)의 흡입부(150)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플레이트(18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의 집진을 위한 밸브구동부(200)의 밸브 구동시에는 슬라이딩 받침부(180)의 이동 플레이트(186)가 이동부(184)에 의하여 흡입부(150)의 흡입구(15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의 집진 작업의 종료후 작업대(W) 공간의 클린닝을 위한 밸브구동부(200)의 밸브 구동시에는 슬라이딩 받침부(180)의 이동 플레이트(186)가 이동부(184)에 의하여 흡입부(150)의 흡입구(15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20.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구동부(200)는 진공흡입부(100)의 흡입부(150)로 연결되는 제1 덕트(D1)에 연결되기 위한 제1 덕트연결구(210), 작업대(W)의 작업공간에 대하여 클린닝을 제공하기 위한 덕트인 제2 덕트(D2)에 연결되기 위한 제2 덕트연결구(220), 집진부(300)에 연결되는 제3 덕터(D3)에 연결되기 위한 제3 덕트연결구(230), 제1 내지 제3 덕트연결구(210, 220, 230)가 구비된 하우징(240), 하우징(240)에 결합되어 정역회전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구동부(250), 및 회전구동부(250)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1 덕트(D1)와 제2 덕트(D2)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하기 위한 밸브(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밸브구동부(200)의 하우징(240)의 일측에는 진공흡입부(100)의 흡입부(150)로 연결되는 제1 덕트(D1)에 연결되기 위한 제1 덕트연결구(210)와 작업대(W)의 작업공간에 대하여 클린닝을 제공하기 위한 덕트인 제2 덕트(D2)에 연결되기 위한 제2 덕트연결구(220)가 병렬로 구비되며, 타측에는 집진부(300)에 연결되는 제3 덕터(D3)에 연결되기 위한 제3 덕트연결구(230)가 구비되며,
    회전구동부(250)의 회전축(252)은 하우징(240)의 내부로 연장되어 밸브(260)를 정역회전시켜 제1 덕트(D1)와 제2 덕트(D2)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22. 제20항에 있어서, 밸브(260)는 회전축(146)을 기점으로 하여 직각 또는 둔각의 각도를 이루는 막음판으로 이루어진 제1 밸브(262)와 제2 밸브(26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KR1020180120206A 2018-10-10 2018-10-10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KR10208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206A KR102089367B1 (ko) 2018-10-10 2018-10-10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206A KR102089367B1 (ko) 2018-10-10 2018-10-10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367B1 true KR102089367B1 (ko) 2020-03-16

Family

ID=6994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206A KR102089367B1 (ko) 2018-10-10 2018-10-10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3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3648A (ja) * 2012-09-21 2014-04-10 Toppan Printing Co Ltd 密封型異物除去装置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基板異物除去方法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基板
KR20180002958A (ko) * 2016-06-29 2018-01-09 주식회사 필옵틱스 레이저 가공용 파티클 석션 장치
KR20180024381A (ko) * 2016-08-30 2018-03-08 세메스 주식회사 분진 집진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3648A (ja) * 2012-09-21 2014-04-10 Toppan Printing Co Ltd 密封型異物除去装置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基板異物除去方法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基板
KR20180002958A (ko) * 2016-06-29 2018-01-09 주식회사 필옵틱스 레이저 가공용 파티클 석션 장치
KR20180024381A (ko) * 2016-08-30 2018-03-08 세메스 주식회사 분진 집진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60606U (zh) 一种用于液压缸的打磨装置
EP1961358A2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CN111604921B (zh) 一种对硅晶片具有运输并除尘功能的机器人抓取设备
WO2014180320A1 (zh) 清扫机器人和地面处理装置
JP2012056033A (ja) ロボットアーム装置
KR102229528B1 (ko) 분진 흡입장치가 구비된 판재 절단기
US1552553A (en) Pneumatic dust collecting and conveying apparatus
KR102089367B1 (ko)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
US20170182450A1 (en) Filter exchange device, control method of filter exchange device, and gas turbine equipment
JP2006150538A (ja) 把持型搬送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るロボット、円盤状物加工設備及び円盤状物搬送方法。
CN208895710U (zh) 一种加工中心的下料机
JP2700621B2 (ja) ロボット
KR20120088286A (ko)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핸드를 갖는 기판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5630810U (zh) 裁切机及其吸料台
KR102578251B1 (ko)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CN106212327A (zh) 珍珠贝自动切割取珠装置
CN211249366U (zh) 一种刀具机械抓手
KR102280194B1 (ko) 로봇 청소기
CN220766833U (zh) 一种玻璃掰边台
CN212386772U (zh) 一种用于湿巾装箱的纸箱输送装置
CN216402039U (zh) 一种机械键盘芯片加工用快速打包装置
CN217647542U (zh) 一种手持式冲击电钻的防尘装置
CN212399169U (zh) 一种机械金属材料加工用除锈装置
CN213645257U (zh) 一种双槽桥式吸砂机用撇渣装置
CN219353811U (zh) 尘盒组件、清洁设备及清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