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288B1 - 반사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반사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288B1
KR102089288B1 KR1020170016655A KR20170016655A KR102089288B1 KR 102089288 B1 KR102089288 B1 KR 102089288B1 KR 1020170016655 A KR1020170016655 A KR 1020170016655A KR 20170016655 A KR20170016655 A KR 20170016655A KR 102089288 B1 KR102089288 B1 KR 102089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meter
support device
present
support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452A (ko
Inventor
박철순
손정민
서민규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70016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288B1/ko
Priority to PCT/KR2017/013475 priority patent/WO2018147534A1/ko
Priority to US15/860,959 priority patent/US10571093B2/en
Publication of KR2018009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comprising means for aligning the optical axis
    • G02B7/1827Motorised alignment
    • G02B7/1828Motorised alignment using magnetic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본 발명의 반사계 지지장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켜 렌즈로 유입시키는 반사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로서, 상기 반사계의 반사면을 지지하는 경사면부; 상기 반사계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경사면부의 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벽부; 상기 가이드벽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개구부; 및 상기 반사계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개구부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면이 상기 반사계의 측면과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사계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OPTICAL REFLECTOR}
본 발명은 반사계를 지지하는 구조 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종재질의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구조적 개선을 이용하여 반사계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반사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사용자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모바일 단말)에는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이 통합적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오토포커스(AF, Auto Focus),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등의 기능이 구현된 카메라 모듈을 들 수 있으며 근래에는 인증이나 보안 등을 위한 음성 인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기능 등도 휴대 단말에 탑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초점 거리를 다양하게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 렌즈 그룹이 집합되어 있는 줌렌즈의 장착도 시도되고 있다.
한편, CCD(Charged-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는 피사체의 빛을 렌즈 측으로 직접 유입시키는 방법 또는 광학적 또는 구조적 설계에 따라 빛(lightn)의 경로를 변경(반사, 굴절 등)시켜 렌즈로 유입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한다.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방법으로는 렌즈 전단에 반사계(프리즘, 미러 등)를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반사계를 이용하는 경우 빛의 경로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기는 하나 주로 유리(glass) 재질로 이루어지는 반사계의 물리적 특성상 작은 충격에도 크랙(crack)이 발생하여 파손되기 쉽고, 광학적 정렬의 이탈 내지 불량이 발생하여 카메라의 성능 저하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반사계는 휴대 단말(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줌렌즈 액추에이터에서 빛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설치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반사계를 물리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섬세하고 복잡한 구조가 적용되기 어렵고 이러한 이유로 반사계는 외부 충격 등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은 사용자에 의하여 빈번한 사용이 이루어지므로 앞서 상술된 문제점은 더욱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반사계와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지는 지지부재를 활용한 간단한 구조적 적용만으로 반사계가 정위치에서 이탈하거나 깨지는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로 해결할 수 있는 반사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사계 지지장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켜 렌즈로 유입시키는 반사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로서, 상기 반사계의 반사면을 지지하는 경사면부; 상기 반사계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경사면부의 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벽부; 상기 가이드벽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개구부; 및 상기 반사계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개구부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면이 상기 반사계의 측면과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벽부와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 고무, 러버, 금속 재질 중 하나의 재질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벽부는 상기 반사계의 양측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경사면부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개구부는 상기 가이드벽부에 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계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반사계 지지장치는 상기 경사면부가 구비된 방향과 다른 방향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볼을 지지하는 홈부레일; 및 외부 코일의 전자기력이 전달되는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홈부레일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반사계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가 반사계의 측면에서 반사계를 지지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만으로 충격, 충돌, 낙하 등의 외부 환경에 더욱 강인한 내구성을 가지며 광학적 성능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는 반사계 지지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하고 경량화된 구조만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어 스마트폰 등과 같이 소형화된 휴대 단말에 더욱 적합할 수 있으며 특히, 반사계를 이동시켜 OIS를 구현하는 액추에이터에 최적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가 적용된 액추에이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와 관련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의 후면부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사계 지지장치(이하 ‘지지장치’라 지칭한다)(도 2의 100)가 적용된 액추에이터(10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1000)는 하나의 축 또는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반사계를 이동시켜 OIS를 구현하는 구동장치(300)와 이 구동장치(300)와 연결되고 줌렌즈 등이 탑재되며 AF 또는/및 OIS를 구현하는 렌즈구동모듈(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도 2의 100)는 독립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이 액추에이터(100)의 일 구성인 구동장치(300)를 구성하는 내부 구조체 또는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300)는 광축(Z축)과 수직하는 두 방향(X축 및 Y축)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OIS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300)가 두 축(X축 및 Y축) 모두의 방향으로 OIS를 구동하는 경우 렌즈구동모듈(200)은 AF 구동만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구동장치(300)가 두 축 중 하나의 축 방향(X축 또는 Y축)으로 OIS를 구동하는 경우, 렌즈구동모듈(200)은 나머지 하나의 축 방향(Y축 또는 X축)으로 OIS를 구동하거나 또는 이러한 OIS 구동과 함께 AF 구동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210)는 단일의 렌즈는 물론, 복수 개의 렌즈 내지 렌즈군 또는 프리즘, 미러 등과 같은 광학 부재가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줌렌즈일 수 있다. 렌즈(210)가 줌렌즈 또는 줌렌즈 배럴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직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가 적용되는 액추에이터(1000)는 피사체 등의 광(light)이 바로 렌즈(210)로 유입되지 않고 구동장치(300)에 포함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100)에 설치되는 반사계(도 2의 400)를 통하여 빛의 경로가 변경(굴절, 반사 등)된 후 렌즈(210)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외계에서 들어오는 빛의 경로가 Z1이며, 이 빛(Z1)이 반사계(400)에 의하여 굴절 내지 반사되어 렌즈(210)로 들어가는 빛의 경로가 Z이다. 이하 설명에서 Z를 광축 내지 광축 방향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렌즈(210) 아래쪽으로는 빛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CCD, CMOS 등과 같은 촬상소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정 대역의 빛 신호를 차단하거나 투과시키는 필터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300)에는 렌즈 장착 공간(10)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공간(10)에는 렌즈(210)와는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렌즈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렌즈 장착 공간(10)이 없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 및 본 발명의 지지장치(10)의 관련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독립된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300) 내부의 부품, 구조체 내지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동장치(300)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100), 개방구(305)가 구비되는 케이스(310), 반사계(400), 베이스프레임(330), 마그네트(340), 볼(350) 및 코일(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Z1경로의 광(light)이 케이스(310)의 개방구(305)를 통하여 유입되면 본 발명의 반사계(400)는 유입된 광의 경로를 광축 방향(Z)으로 변경(굴절 내지 반사 등)시켜 광을 렌즈(210) 측으로 유입시킨다.
이 반사계(400)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외계에서 유입되는 빛을 광축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미러 또는 프리즘은 광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glass)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구동장치(300)는 반사계(400)에 의하여 빛의 경로를 굴절시켜 렌즈(210) 측으로 빛이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렌즈(210) 자체를 휴대 단말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어 휴대 단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아 휴대 단말의 소형화 내지 슬림화 등에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100)에 설치되는 반사계(400)는 도 2에 도시된 예를 기준으로 지지장치(100)에서 빛이 유입되는 개방구(305) 방향 즉, Y축 방향 전면을 향하는 방향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10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IS 구동을 위하여 베이스프레임(330)을 기준으로 이동 또는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OIS 구동을 위하여 지지장치(100)가 회전 이동하는 실시예를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OIS구동은 손떨림에 의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렌즈를 역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서는 렌즈를 역이동시키는 방식과는 달리 반사계(400)를 역이동시키는 방식으로 OIS가 구동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에는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마그네트(3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마그네트(340)는 OIS구동을 위한 마그네트(magnet)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 효율성을 높이고 빛 경로가 방해되지 않도록 반사계(400)가 설치되지 않는 방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마그네트(340)는 OIS코일(160)으로부터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며 이 구동력에 의하며 마그네트(340)가 설치된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가 베이스프레임(330)을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와 베이스프레임(330) 사이에는 볼(350)이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는 이 볼(350)과 점접촉(point contact)을 이루는 상태로 이동(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볼(350)은 지지장치(100)와 베이스프레임(330)이 일정 간격(볼의 직경에 대응) 이격되도록 하며 점접촉에 의하여 최소화된 마찰력으로 지지장치(100)의 이동이 더욱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장치(100)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지지장치(100)의 회전 이동이 효과적으로 가이딩되도록 볼(35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열을 지어 이루어지는 볼 그룹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개의 볼(350)로 이루어지는 볼 그룹은 지지장치(100)의 가운데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두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요크(380)는 OIS코일(360)의 전자기력을 집중시키며 지지장치(100)에 구비된 마그네트(340)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인력에 의하여 마그네트(340) 즉, 마그네트(340)가 구비된 지지장치(100)는 요크(380)가 구비된 방향(도 2기준 Y축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지지장치(100)가 볼(350)가 점접촉된 상태를 지속하게 된다. 또한, 요크(380)는 OIS코일(360)에 전원 인가가 중단되면 지지장치(100)를 원래의 기준 위치로 복원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회로기판(FPCB)(370)에는 앞서 설명된 OIS코일(160)이 탑재되며,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마그네트(340)(마그네트가 구비된 지지장치(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센서(390)가 구비될 수 있다. 홀센서(390)의 위치 감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센싱용 마그네트(345)가 지지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홀센서(390)는 구동제어부와 통합된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동제어부는 홀센서(390)의 신호에 대응되는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OIS코일(360)에 인가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수행한다.
회로기판(370)의 단부(15)는 OIS코일(360)로의 전원 공급, 구동 제어,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커넥터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와의 효과적인 인터페이싱을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는 광(light)의 경로를 변경시켜 광을 렌즈(도 1의 210)로 유입시키는 반사계(400)를 지지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는 몸체부(105), 경사면부(110), 가이드벽부(120), 가이드개구부(121) 및 지지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장치(100)의 경사면부(110)는 몸체부(105)에서 외계의 빛이 유입되는 방향에 형성되며 반사계(400)의 반사면(410)을 지지한다.
반사계(400)의 반사면(410)은 빛이 반사되거나 굴절되는 광학적 특성이 집중되는 면이므로 굴절률 변화 등 광학적 특성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장치(100)의 경사면부(110)와 반사계(400)의 반사면(410)이 물리적으로 닿는 부분은 반사면(410)의 외주부분으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장치(100)의 가이드벽부(120)는 상기 반사계(400)의 측면(42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경사면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반사계를 지지하는 구조체의 좌우측 벽부에 반사계의 측면 전체를 본딩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키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으나, 이 방법의 경우 접합력이 약화되어 반사계가 이탈되거나 또는 외부 충격이 반사계로 쉽게 전달되어 반사계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반사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적 변경을 통하여 상술된 문제가 발생되는 빈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지지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벽부(120)에 가이드개구부(121)를 형성하고, 반사계(400)의 측면(420)이 내측면과 본딩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재(130)가 이 가이드개구부(121)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접합력 내지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130)는 가이드벽부(120), 반사계(40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지지장치(100)의 몸체부(105), 가이드벽부(120) 등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130)는 플라스틱 재질과 다른 재질로서 반사계(400)와의 접착력이 더 우수한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130)로 고무, 러버 등과 같은 재질이나 강성이 약한 플라스틱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나, 이러한 재질은 미세한 조각 등의 탈리로 분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반사계(400), 렌즈(210) 또는 이미지 센서(CMOS 등) 등의 광학적 특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반사계(400)와 결합력을 높이고, 분진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130)는 서스(sus)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지지부재(130)의 물성적 특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지부재(130)는 플라스틱, 고무, 러버, 금속 재질 중 둘 이상의 재질이 혼합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30)가 물리적으로 대접하는 부위 마다 지지부재(130)의 재질을 다르게 하는 방법, 예를 들어 반사계(400)와 대접하는 내측면은 금속재질로, 가이드벽부(120)와 대접하는 부위는 가이드벽부(120)와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하는 방법 등을 적용하여 고정력을 높이고 반사계(4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동시에 향상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형태에 따라서 가이드개구부(121)가 형성된 가이드벽부(120)는 경사면부(110)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반사계(400)의 좌우측이 동시에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개구부(121)가 형성된 가이드벽부(120)가 양측에 모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되는 반사계(400)가 유격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재(130)의 형상은 가이드개구부(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합력이 더욱 우수한 이종의 재질 사이의 결합력을 이용하여 반사계(400)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반사계(400)를 지지하는 물리적 구조의 변화를 통해 외부 충격 등을 흡수 내지 분산시켜 반사계(400) 자체에 외부 충격 등이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반사계(400)와 고정결합되는 영역을 더욱 넓힘은 물론, 반사계(400)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부재(130)는 반사계(400)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반사계(400) 측면은 이등변삼각형의 단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지지부재(130) 또한, 이와 대응한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지지부재(130)의 단면적 또한, 최대한 반사계(400) 측면의 면적과 대응되도록 하되, 다른 구성과의 유기적 결합 관계를 위하여 반사계(400)의 측면 너비보다 조금 작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100)의 가이드개구부(121)는 실시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비 개수 또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도 가능한 넓은 영역에서 반사계(400)의 측면이 지지되도록 지지부재(130)와 가이드개구부(12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계(400)의 외주 부분에서 크랙 등이 시작되므로 이를 구조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복수 개로 구현되는 지지부재(130)와 가이드개구부(121)는 그들이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이 반사계(400)의 측면 형상(예를 들어, 이등변 삼각형)과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한 반사계(400)의 측면 외주 부분이 지지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 중의 하나일 뿐이므로, 앞서 기술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면 도 4에 예시된 형태와는 다른 형태로 가이드개구부(121)와 지지부재(130)의 형상 또는/및 구비 개수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1200)의 후면부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홈부레일(140)은 경사면부(110)의 반대 방향 즉, Y축을 기준으로 경사면부(110)의 반대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홈부레일(140)은 도 5를 기준으로 상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홈부레일(140)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가 베이스프레임(330)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딩하는 구성으로서, 이 홈부레일(140)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와 베이스프레임(330) 사이에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볼(350)을 가이딩하며 지지한다.
상기 홈부레일(140)과 상응하는 형상의 구조의 홈부레일이 베이스프레임(330)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볼(350)은 이 베이스프레임(330)의 홈부레일과 지지장치(100)의 홈부레일(14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는 볼(350)과 점접촉한 상태로 홈부레일(140)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베이스프레임(330)을 기준으로 이동한다.
렌즈 측으로 유입되는 빛의 경로(Z)를 반사계(400)를 통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 보정이 효과적으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홈부레일(140)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나아가 적정한 크기의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는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장치(100)가 회전이동하게 되면 외계의 빛이 반사계(400)에 의하여 반사되는 각도가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각도 변화에 의하여 렌즈 측을 기준으로 특정 축 방향(도 5의 실시예의 경우 Y축)의 보정 이동(손떨림 보정)이 구현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지지장치(100)의 회전 이동은 OIS코일(도 2의 360)과 마그네트(340) 사이의 전자기력으로 구현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지지장치(100) 후면에는 이 마그네트(340)가 장착되는 마그네트장착공간(350)이 형성될 수 있다.
홀 센서의 센싱을 위한 센싱용 마그네트(345)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경우 마그네트장착공간(350) 아래에 센싱마그네트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반사계 지지장치
105 : 몸체부 110 : 경사면부
120 : 가이드벽부 121 : 가이드개구부
130 : 지지부재 140 : 홈부레일
150 : 마그네트장착공간 160 : 센싱마그네트 장착공간
210 : 렌즈 340 : 마그네트
350 : 볼 360 : OIS코일
370 : 회로기판 380 : 요크

Claims (8)

  1. 광의 경로를 변경시켜 렌즈로 유입시키는 반사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로서,
    외부 코일의 전자기력이 전달되는 마그네트가 장착되는 마그네트 장착공간;
    상기 반사계의 반사면을 지지하는 경사면부;
    상기 반사계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경사면부의 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벽부;
    상기 가이드벽부에 천공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개구부; 및
    상기 반사계 및 가이드벽부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공된 가이드개구부에 삽입되며 내측면이 상기 반사계의 측면과 고정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계의 측면은 상기 지지부재, 가이드벽부 및 반사계의 서로 다른 재질에 의한 결합력으로 지지부재의 내측면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벽부는 상기 반사계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경사면부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계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계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개구부는,
    상기 가이드벽부에 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계 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개구부는,
    상기 반사계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계 지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가 구비된 방향과 다른 방향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볼을 지지하는 홈부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계 지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레일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계 지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벽부와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 고무, 러버 중 하나의 재질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계 지지장치.
KR1020170016655A 2017-02-07 2017-02-07 반사계 지지장치 KR102089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55A KR102089288B1 (ko) 2017-02-07 2017-02-07 반사계 지지장치
PCT/KR2017/013475 WO2018147534A1 (ko) 2017-02-07 2017-11-24 반사계 지지장치
US15/860,959 US10571093B2 (en) 2017-02-07 2018-01-03 Apparatus for supporting optical ref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55A KR102089288B1 (ko) 2017-02-07 2017-02-07 반사계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52A KR20180091452A (ko) 2018-08-16
KR102089288B1 true KR102089288B1 (ko) 2020-04-23

Family

ID=6303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655A KR102089288B1 (ko) 2017-02-07 2017-02-07 반사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71093B2 (ko)
KR (1) KR102089288B1 (ko)
WO (1) WO2018147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1090A (zh) 2016-05-10 2023-08-29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系统
CN108449540B (zh) * 2018-06-15 2020-07-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和电子装置
KR102090625B1 (ko) * 2019-11-11 2020-03-18 자화전자(주) 자동초점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I738514B (zh) 2020-09-16 2021-09-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使用反射元件的相機模組及電子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8550A1 (en) 2001-08-22 2003-03-13 Olympus Optical Co., Ltd. Optical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360Y2 (ja) * 1992-12-15 1999-05-3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ビームスプリッタ装置
DE19533030A1 (de) * 1995-09-07 1997-03-13 Teves Gmbh Alfred Lösbare Wischarm-Wischblattverbindung an einem Fahrzeugscheibenwischer
JPH09310U (ja) * 1996-11-11 1997-05-27 ソニー株式会社 分光プリズムブロック
JP2007041121A (ja) * 2005-08-01 2007-02-15 Sony Corp プリズム保持構造及びレンズ鏡筒
JP2013057764A (ja) * 2011-09-07 2013-03-28 Olympus Imaging Corp 保持枠、光学素子保持ユニット、レンズ鏡筒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13167818A (ja) * 2012-02-16 2013-08-29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EP2860556A1 (en) 2013-10-08 2015-04-15 Optotune AG Tunable Lens Device
EP3006975A3 (en) * 2014-10-08 2016-05-25 Optotune AG Device for tilting an optical element, particularly a mirror
EP3758356B1 (en) * 2016-05-30 2021-10-20 Corephotonics Ltd. Actu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8550A1 (en) 2001-08-22 2003-03-13 Olympus Optical Co., Ltd. Optical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71093B2 (en) 2020-02-25
WO2018147534A1 (ko) 2018-08-16
KR20180091452A (ko) 2018-08-16
US20180224088A1 (en)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942B1 (ko) 다축 구조의 ois용 반사계 구동장치
KR102090625B1 (ko) 자동초점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23363B1 (ko) 줌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CN115145016B (zh) 光学元件驱动机构
US11719997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KR102089288B1 (ko) 반사계 지지장치
US10725313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ing device having shake-correcting function and auto-focusing function
US10261337B2 (en) Apparatus for driving optical-reflector
KR101751132B1 (ko) 카메라 모듈
KR101862228B1 (ko) Ois를 위한 반사계 구동장치
KR102585027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46385B1 (ko) Ois를 위한 이미지센서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30634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012421A (ko) 모듈 결합형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102334584B1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50006785A (ko) 카메라 모듈
KR102423685B1 (ko) 렌즈 구동장치
KR20180009969A (ko) 슬라이딩셔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CN114114595B (zh) 一种镜头模组、摄像模组及终端
KR101511065B1 (ko)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US20220229310A1 (en) Actuator for reflector
KR101945710B1 (ko) Ois를 위한 반사계 구동장치
KR102418242B1 (ko) 반사계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30209165A1 (en) Camera module
CN114651210B (zh) 相机致动器和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