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931B1 -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 Google Patents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931B1
KR102088931B1 KR1020190144162A KR20190144162A KR102088931B1 KR 102088931 B1 KR102088931 B1 KR 102088931B1 KR 1020190144162 A KR1020190144162 A KR 1020190144162A KR 20190144162 A KR20190144162 A KR 20190144162A KR 102088931 B1 KR102088931 B1 KR 102088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ne terminal
suction
crossbar
pow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 H01H71/68Power reset mechanisms actuated by electromag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구동신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되,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며 후단부가 상기 부하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되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가동스위칭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상기 전원입력부 및 상기 가동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되 과전류 발생시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으로 흡인 회전되어 리드와이어로의 선택적인 전원 인가를 제어하며, 선택적인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가 상기 경사단턱과 이격되도록 상기 트립부를 연동 후퇴시키는 흡인회전장치를 포함하는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line-terminal instant rotate typ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회로 내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선로의 개폐조작을 신속하게 전환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과전류가 발생시 자동으로 전류가 단락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열팽창율이 다른 두 금속판을 붙여 놓고 과전류로 인한 열이 가해질 경우 열팽창율이 작은 쪽으로 휘는 특성을 이용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통상 회로에 전류가 공급되면 저항이 발생하여 상기 바이메탈이 가열되고, 일정한 기준 이상의 과다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지면서 인접하여 닿아있는 트립부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단자가 입력터미널로부터 이격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상기 바이메탈이 변형되는 시간이 발생됨으로 인해 전류를 즉각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류가 차단되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지연됨에 따라 차단기 내부의 구성부품뿐만 아니라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과전류가 발생시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 트립바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영상변류기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변류기 방식의 차단기는 상기 영상변류기, 솔레노이드부,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이 복잡하고 고가의 부품을 포함하므로 차단기 자체의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부품이 상기 차단기의 내부에 조밀하게 설치되므로 제조난이도가 상승하며, 각 부품간이 과도하게 인접하여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14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되,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며 후단부가 상기 부하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되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가동스위칭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상기 전원입력부 및 상기 가동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되 과전류 발생시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으로 흡인 회전되어 리드와이어로의 선택적인 전원 인가를 제어하며, 선택적인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가 상기 경사단턱과 이격되도록 상기 트립부를 연동 후퇴시키는 흡인회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흡인회전장치는 상기 전원입력부 및 상기 가동스위칭부 사이에 연결되되 복수개의 절곡면부를 갖도록 구비되는 자성체 재질의 라인터미널부와, 상기 라인터미널부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과전류 발생시 상기 라인터미널부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으로 흡인 회전되어 상기 라인터미널부에 통전 연결되는 자성체 재질의 흡인회전날개부와, 상기 흡인회전날개부의 회전축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드와이어로의 선택적인 전원 인가를 매개하는 자성체 재질의 토션스프링과, 일측에 상기 토션스프링을 지지함과 동시에 통전 연결되도록 통전지지나사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리드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라인터미널부 및 상기 흡인회전날개부로부터 절연되도록 이격 배치된 자성체 재질의 리드와이어접속부와, 상기 리드와이어와 전선 연결되고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가 상기 경사단턱과 이격되기 위해 상기 트립부를 연동 후퇴시키도록 상기 트립부에 걸림 연결된 플런저가 구비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과전류 발생시 전원입력부 및 가동스위칭부 사이에 연결된 라인터미널부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흡인회전날개부가 순간적으로 흡인 회전되어 라인터미널부에 접촉되면 전류가 신속하게 차단되므로 종래의 저항열을 통해 휘어지는 바이메탈보다 전류 차단속도가 빠른 차단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흡인회전날개부의 각 접속돌기의 차단방향측 단부 모서리에서 라인터미널부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가 각 접속돌기의 차단반대방향측 단부 모서리에서 라인터미널부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 흡인회전날개부가 차단방향으로 정확하게 흡인 회전되므로 작동정밀성 및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흡인회전날개부가 라인터미널부에 접촉되면 흡인회전날개부에 통전 연결된 리드와이어를 통해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플런저가 수축됨과 동시에 이에 걸림 연결된 트립부가 신속하게 후퇴되어 전류 흐름이 즉각적으로 차단되므로 전류 차단속도가 현저히 증가되며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상기 트립부에 걸림 연결되어 흡인회전날개부의 흡인 회전시 트립부가 연동 후퇴되면서 그의 전면에 지지된 래치부의 구속이 물리적으로 해제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전류가 차단되므로 영상변류기 등의 고가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의 커버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서 하우징부를 제외한 구성부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서 흡인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서 흡인회전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서 흡인회전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서 흡인회전날개부가 차단방향으로 회전되는 원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의 커버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서 하우징부를 제외한 구성부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서 흡인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서 흡인회전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서 흡인회전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에서 흡인회전날개부가 차단방향으로 회전되는 원리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와 차단기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800)는 하우징부(810), 가동스위칭부(820), 크로스바(830), 트립부(840), 래치부(50), 핸들부(60) 및 흡인회전장치(87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810)는 상기 차단기(800)의 상기 흡인회전장치(870)를 포함하는 각 구성부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절연성 및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부(810)의 내부에는 각 구성부품이 설치 및 조립되도록 구획격벽, 설치홈 또는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810)의 전측에는 전원측에 접속되는 전원입력부(811)가 구비되며 후측에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부하출력부(8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흡인회전장치(870)의 라인터미널부(871)는 전도성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전원입력부(8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상부에는 고정접점부(8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동스위칭부(820)는 상기 전원입력부(811)에 연결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와 상기 부하출력부(812)의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스위칭부(820)는 제1판부(821)와 제2판부(82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판부(821)는 전단부가 상기 고정접점부(813)와 인접하되 후방으로 연장된 제1자화대면부(8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자화대면부(823)는 구리 등의 복수개의 얇은 금속판이 중첩된 상태에서 어느 일측이 상호 접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자화대면부(823)의 전단부에는 상기 고정접점부(813)와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되는 가동접점부(82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판부(821)는 상기 제1자화대면부(823) 및 그의 전단측에 구비된 상기 가동접점부(8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자화대면부(823)는 상기 가동접점부(825)가 상기 고정접점부(813)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판부(822)는 후단부가 상기 제1판부(821)의 후단부에 접촉 연결되되 상기 제1판부(821)와 교차되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전단부에 제2자화대면부(82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자화대면부(823)의 후단부와 상기 제2자화대면부(824)의 후단부는 중첩되되 조정나사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810)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2판부(822)는 상기 제1자화대면부(823)와 마찬가지로 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전선(815)을 통해 상기 부하출력부(8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판부(821)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고정접점부(813)와 상기 가동접점부(825)가 접촉되며, 상기 전원입력부(811), 상기 제1판부(821), 상기 제2판부(822), 상기 전선(815) 및 상기 부하출력부(812)를 거쳐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화대면부(823)와 상기 제2자화대면부(824)는 전도성을 가지면서도 전류를 통해 자화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자화대면부(824)는 자화되면서도 전면 및 후면이 각각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바이메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과전류를 통항 전류 저항열로 인해 상기 제2판부(822)의 온도가 상승되면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후면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크로스바(830)는 상기 제1판부(821)의 전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830)는 상기 제1판부(821)의 전단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판부(821)의 전단부가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8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판부(821)의 전단부가 가압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자화대면부(823)의 전단부가 가압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크로스바(830)는 상측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상세히, 정상 상태에서 상기 탄성수단의 탄발력보다 상기 크로스바(830)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830)가 하향 가압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경유부(831)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기 제1판부(821)의 전단부가 구부러지면서 하향 가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동접점부(825)가 상기 고정접점부(813)와 접점 연결된다. 이때, 과전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핸들부(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크로스바(830)를 가압하는 힘이 상실되면 상기 탄성수단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크로스바(830)가 상향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판부(821)를 가압하던 가압력이 상실되므로 상기 제1자화대면부(823)가 탄발복원력을 통해 펴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825)가 상기 고정접점부(813)와 이격된다.
한편, 상기 트립부(840)는 상기 제2자화대면부(824)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회동단부(840a)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트립부(840)의 전면부에는 경사단턱(841)이 전향 돌설된다. 또한, 상기 트립부(840)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솔레노이드(890)의 플런저(891)가 걸림 연결되도록 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는 전단부(50a)가 상기 크로스바(830)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며 후단부(50b)가 상기 트립부(840)의 전면부와 마주보는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는 상기 경사단턱(841)과 접촉 또는 이와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하우징부(810)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50)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61)가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회동방향이라 함은 상기 가동접점부(825)와 상기 고정접점부(813)가 접촉되도록 동작되는 접속방향과 상기 가동접점부(825)와 상기 고정접점부(813)가 이격되도록 동작되는 차단방향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접속방향을 전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설명 및 도시하고 차단방향을 후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61)는 상기 래치부(50)의 중앙측에 형성된 승강연결부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래치부(50)가 연동 이동되되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841)의 경사진 상면에 면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841)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단부(50a)가 하향 회동되면서 래치가압부(832)에 접촉 및 상기 크로스바(830)를 가압하며, 상기 고정접점부(813)와 상기 가동접점부(825)가 접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흡인회전장치(870)는 상기 전원입력부(811) 및 상기 가동스위칭부(820) 사이에 배치되되 과전류 발생시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k1)으로 흡인 회전되어 리드와이어(875)로의 선택적인 전원 인가를 제어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인회전장치(870)는 선택적인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830)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경사단턱(841)과 이격되도록 상기 트립부(840)를 연동 후퇴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인회전장치(870)는 라인터미널부(871), 흡인회전날개부(872), 토션스프링(873), 리드와이어접속부(874), 리드와이어(875) 및 솔레노이드(89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라인터미널부(871),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 회전축(872e), 상기 토션스프링(873),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 상기 리드와이어(875)는 각각 자성체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성체 재질이라 함은 순철 또는 주철과 같이 강자성체인 철(Fe)성분이 다량 함유된 금속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라인터미널부(871)는 상기 전원입력부(811) 및 상기 가동스위칭부(820)의 제1판부(82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복수개의 절곡면부를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라인터미널부(871)는 일측이 상기 전원입력부(811)에 접촉 연결되며 상측이 상기 제1판부(821)와 선택적으로 접촉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절곡면부는 일측이 상기 전원입력부(811)에 접촉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면부와, 상기 하부면부의 타측으로부터 일체로 절곡지게 상향 연장되는 수직면부와, 상기 수직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전원입력부(811)측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지게 연장되는 상부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면부의 상면에 상기 고정접점부(81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라인터미널부(871)는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의 상하부 및 후측을 감싸도록 'ㄷ'자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의 전측 및 폭방향 양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인회전장치(870)는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각 절곡면부에 대면 배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안착 배치되는 절연 재질의 터미널케이스부(876)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는 상부가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상부면부에 대면 배치되며, 하부가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하부면부에 대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하부면부 폭방향 양측에는 결합홈부(871a)가 폭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부(871a)와 상기 수직면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일측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홈부(871a)에 삽입되도록 결합돌기(876d)가 하향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876d)가 상기 결합홈부(871a)에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타면이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수직면부에 면접촉되어 형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가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내측에는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배치되어 힌지 연결되며, 일측면에 후술되는 통전지지나사(874a)가 내측으로 관통 삽입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폭방향 양면에는 후술되는 회전축(872e)이 힌지 연결되도록 한쌍의 관통홀(876a,876b)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876a,876b)에서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관통홀(876a,876b)에서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하단 사이의 거리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홀(876a,876b)은 제1관통홀(876b) 및 제2관통홀(876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홀(876b)은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가 배치된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폭방향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876a)는 그에 대응되는 폭방향 타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1관통홀(876b)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 아닌, 상기 제1관통홀(876b)측 테두리의 원주방향 일측이 반경방향 중심을 향하여 연장 돌설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관통홀(876b)의 중심을 기준으로 0~270°에 대응되는 영역은 관통 형성되며, 270~360°에 대응되는 영역은 관통되지 않고 상기 제1관통홀(876b)측 테두리의 원주방향 일측이 반경방향 중심을 향하여 연장 돌설되어 차폐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872e) 일단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876b)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반원형 단면 형상의 회전제한돌기(872f)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제한돌기(872f)가 상기 제1관통홀(876b)에 삽입되어 상기 제1관통홀(876b)에 관통 형성된 영역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돌기(872f)의 최대 회동 각도가 상기 제1관통홀(876b)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에는 통전지지나사(874a)가 내측으로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제1관통홀(876b)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폭방향 일면에 상기 나사삽입홀(876c)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전지지나사(874a)는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삽입홀(876c)에 나사 체결되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전지지나사(874a)의 헤드가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에 걸림되어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폭방향 일면 외측에 배치되며, 체결단부가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내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는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내측에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는 과전류 발생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k1)으로 흡인 회전되어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통전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단방향(k1)이라 함은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라인터미널(871)의 대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과전류 발생시 흡인 자력이 발생되는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대향면측으로 흡인 회전되어 통전 접촉되기 위해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는 양단이 상기 제1관통홀(876b) 및 상기 제2관통홀(876a)에 회전되도록 삽입되는 상기 회전축(872e)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872e)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872e)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의 축삽입홀(872d)이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에는 반경방향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접속돌기(872a,872b,872c)가 복수개소, 바람직하게는 3개소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는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와 이격 배치되되, 과전류 발생시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 중 어느 하나는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k1)으로 흡인 회전되어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접속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는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의 반경방향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180°의 사이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제1접속돌기(872a) 및 제2접속돌기(87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는 상기 제1접속돌기(872a) 및 상기 제2접속돌기(872b)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90°의 사이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하나의 제3접속돌기(87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돌기(872a) 및 상기 제3접속돌기(872c)는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상부를 향하도록 각각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제1접속돌기(872a)가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상부면부 전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3접속돌기(872c)가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상부면부 후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과전류 발생시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접속돌기(872a)가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k1)으로 흡인 회전되어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상부면부의 하부에 형성된 통전접촉부(871b)에 접속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전류의 흐름에 의해 상기 라인터미널부(871)가 자화되더라도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는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흡인 회전되어 접촉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는 정상허용전류 범위를 초과한 과전류 상태에서는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형성되는 흡인 자력에 의해 반드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흡인 회전되어 통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는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와의 이격간격이 기산출된 간격값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기산출된 간격값이라 함은 기설정된 정상허용전류 범위 및 차단이 요구되는 차단전류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기(800)가 정상 구동되도록 상기 흡인 자력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간격 범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차단전류가 작은 값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이격간격은 좁게 형성되며 차단전류가 큰 값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이격간격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는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라인터미널(871)의 대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과전류 발생시 흡인 자력이 발생되는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대향면측으로 흡인 회전되어 통전 접촉되는 차단방향(k1)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차단방향(k1)은 상기 라인터미널(871)의 대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기 제1접속돌기(872a)가 상기 라인터미널(871)에 접촉되어 통전되기 위해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세히, 도 9를 참조하면, 각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의 차단방향(k1)측 단부 모서리(m)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의 차단반대방향(k2)측 단부 모서리(n)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의 차단방향(k1)측 단부 모서리(m)가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의 차단반대방향(k2)측 단부 모서리(n)보다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대향면에 더 가깝게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가 상기 회전축(872e)를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각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의 회전된 위치에 관계없이 차단방향(k1)측 단부 모서리(m)가 차단반대방향(k2)측 단부 모서리(n)보다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대향면에 더 가깝게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의 차단방향(k1)측 단부 모서리(m)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의 차단반대방향(k2)측 단부 모서리(n)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수평 및 수직 방향 벡터값의 합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과전류 발생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서 발생하는 흡인 자력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되므로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흡인 자력의 합산값이 작용하는 차단방향(k1)으로 항상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기(800)가 과전류 발생시 명확하게 차단 작동되도록 하여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상부면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하부면부 사이의 거리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876a,876b)에서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상단 사이의 거리가 상기 관통홀(876a,876b)에서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하단 사이의 거리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하부면부보다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상부면부 측으로 더욱 편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과전류 발생시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k1)으로 더욱 신속하게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873)은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연결된 상기 회전축(872e)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리드와이어(875)로의 선택적인 전원 인가를 매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토션스프링(873)의 몸체는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가 배치된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폭방향 일면측에 배치된 상기 회전축(872e)의 일측에 배치 및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873)의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일단부(873a)는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접속돌기(872a)의 전면부에 걸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토션스프링(873)의 타단부(873b)는 상기 통전지지나사(874a)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되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차단방향(k1)으로 회전되면 상기 토션스프링(873)의 타단부(873b)가 상기 통전지지나사(874a)에 접촉 및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토션스프링(873)의 일단부(873a)가 연동 가압되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에 차단반대방향(k2)으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873)은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흡인 자력에 의해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기설정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과전류 발생시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접속돌기(872a)가 상기 회전축(872e)을 중심으로 차단방향(k1)으로 회전되어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전류 발생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 상기 회전축(872e), 상기 토션스프링(873), 상기 통전지지나사(874a),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 상기 리드와이어(875) 및 상기 솔레노이드(890)가 순차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873)은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과, 상기 차단기(800)의 전류 차단을 위한 통전을 매개하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는 일측이 상기 토션스프링(873)에 통전 연결되되, 타측에 상기 리드와이어(875)가 전선 연결되며, 상기 라인터미널부(871) 및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로부터 절연되도록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는 상기 라인터미널부(871) 및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로부터 절연되도록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의 폭방향 일면 외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의 일측에는 상기 통전지지나사(874a)의 체결단부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나사삽입홀(876c)에 정렬 배치되는 정렬홀부(874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는 일측에 상기 토션스프링(873)의 타단부(873b)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션스프링(873)과의 통전 연결을 매개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통전지지나사(874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전지지나사(874a)가 상기 나사삽입홀(876c)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가 상기 터미널케이스부(876)에 고정되며, 전류 흐름을 위한 통전 연결을 매개함과 동시에 상기 토션스프링(873)에 지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의 타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890)에 전선 연결을 위한 상기 리드와이어(875)의 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리드와이어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와이어(875)는 일단이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솔레노이드(890)의 회로부(892)에 전선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890)는 상기 리드와이어(875)를 통해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890)에는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930)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경사단턱(841)과 이격되기 위해 상기 트립부(840)를 연동 후퇴시키도록 상기 트립부(840)의 걸림홈부에 걸림 연결되는 플런저(89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890)는 상기 흡인회전장치(870)에 전류 흐름이 발생되지 않는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890)의 플런저(891)가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솔레노이드(890)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890)는 과전류 발생시 상기 플런저(891)가 상기 솔레노이드(890)의 내부로 수축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891)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단턱은 상기 트립부(840)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립부(840)의 걸림홈부에 걸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입력부(811)를 통해 전류가 유입되면 상기 라인터미널부(871), 상기 제1판부(821) 및 상기 제2판부(822)로 전류가 흐르면서 자화된다. 이때, 과전류가 유입되면 상기 라인터미널부(871)가 유입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주변에 금속을 흡인하는 흡인 자력이 고조된다. 여기서,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자성체로 구비됨에 따라 흡인 자력에 의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상기 회전축(872e)를 중심으로 차단방향(k1)으로 흡인 회전됨에 따라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과전류 발생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 상기 회전축(872e), 상기 토션스프링(873), 상기 통전지지나사(874a),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 상기 리드와이어(875) 및 상기 솔레노이드(890)가 순차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890)는 과전류 발생시 상기 리드와이어(875)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890)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891)가 과전류 발생시 상기 솔레노이드(890)의 내측으로 수축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플런저(891)에 걸림 연결된 상기 트립부(840)가 순간적으로 후퇴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841)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래치부(50)를 가압 지지하던 구속력이 상실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크로스바(830)에 가해지던 가압력이 제거되며, 상기 제1자화대면부(823)가 탄발 복원되어 펼쳐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825)와 상기 고정접점부(813)가 이격될 수 있다.
이때, 과전류 발생됨에 따라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흡인 자력을 통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와의 간격이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차단방향(k1)으로 흡인 회전된다. 따라서, 과전류 발생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 및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상호 신속하게 통전되면서 이와 연동된 상기 트립부(840)를 신속하게 연동 후퇴시키므로 전류가 일시에 차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는 상기 고정접점부(813)와 상기 가동접점부(825)가 상호 이격되어 전류 흐름이 차단되면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흡인 자력이 상실됨에 따라 상기 토션스프링(87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 배치 위치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인회전장치(870)의 초기 배치 위치라 함은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접속돌기(872a,872b,872c)가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와 이격 배치된 위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하우징부(810)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되, 상기 래치부(50)를 가압 지지하던 구속력이 상실되면 일측에 구비된 복귀수단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차단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복귀수단은 토션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60)의 하단부에 힌지 연결된 상기 가압부재(61)가 상향 이동되며,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크로스바(830) 및 상기 트립부(84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전류가 다시 접속되도록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되되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841)측으로 이동 및 그의 상면에 다시 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압부재(61)의 가압력이 계속 전달되면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래치가압부(832)에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가 접촉 및 하측으로의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1판부(821)가 하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가동접점부(825)와 상기 고정접점부(813)가 다시 접촉되도록 조작된다.
또한, 상기 회동단부(840a)측에도 상기 트립부(840)의 회전각도를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84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후측방향으로 회동된 후 즉각적으로 상기 복귀수단을 통해 위치가 복귀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800)는 과전류 발생시 상기 전원입력부(811) 및 상기 가동스위칭부(820) 사이에 연결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라인터미널(871)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상기 회전축(872e)을 중심으로 순간적으로 차단방향(k1)으로 흡인 회전되어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통전됨에 따라 상기 리드와이어(875)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를 통해, 상기 리드와이어(87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솔레노이드(890)의 플런저(891)가 동작되므로 종래의 저항열을 통해 휘어지는 바이메탈보다 전류 차단속도가 빠른 차단기(800)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의 각 접속돌기(872a,872b,872c)의 차단방향(k1)측 단부 모서리(m)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가 각 접속돌기(872a,872b,872c)의 차단반대방향(k2)측 단부 모서리(n)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k1)으로 정확하게 흡인 회전되므로 작동정밀성 및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가 상기 라인터미널부(871)에 통전되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에 연결된 상기 토션스프링(873) 및 상기 리드와이어접속부(8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와이어(875)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890)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890)의 플런저(891)가 수축되며 이에 걸림 연결된 상기 트립부(840)가 신속하게 후퇴되어 전류 흐름이 즉각적으로 차단되므로 전류 차단속도가 현저히 증가되며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솔레노이드(890)의 플런저(891)가 상기 트립부(840)에 걸림 연결되어 상기 흡인회전날개부(872)의 흡인 회전시 상기 트립부(840)가 연동 후퇴되면서 그의 전면에 지지된 상기 래치부(50)의 구속이 물리적으로 해제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전류가 차단된다. 따라서, 영상변류기 등의 고가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비용 절감 및 제품의 컴팩트화를 통한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810: 하우징부 820: 가동스위칭부
830: 크로스바 840: 트립부
50: 래치부 60: 핸들부
870: 흡인회전장치 871: 라인터미널부
872: 흡인회전날개부 872e: 회전축
873: 토션스프링 874: 리드와이어접속부
875: 리드와이어 876: 터미널케이스부
890: 솔레노이드 891: 플런저
800: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Claims (5)

  1.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되,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며 후단부가 상기 부하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되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가동스위칭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상기 전원입력부 및 상기 가동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되, 과전류 발생시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으로 흡인 회전되어 리드와이어로의 선택적인 전원 인가를 제어하며, 선택적인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가 상기 경사단턱과 이격되도록 상기 트립부를 연동 후퇴시키는 흡인회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흡인회전장치는
    상기 전원입력부 및 상기 가동스위칭부 사이에 연결되되 복수개의 절곡면부를 갖도록 구비되는 자성체 재질의 라인터미널부와,
    상기 라인터미널부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과전류 발생시 상기 라인터미널부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으로 흡인 회전되어 상기 라인터미널부에 통전 연결되는 자성체 재질의 흡인회전날개부와,
    상기 흡인회전날개부의 회전축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드와이어로의 선택적인 전원 인가를 매개하는 자성체 재질의 토션스프링과,
    일측에 상기 토션스프링을 지지함과 동시에 통전 연결되도록 통전지지나사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리드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라인터미널부 및 상기 흡인회전날개부로부터 절연되도록 이격 배치된 자성체 재질의 리드와이어접속부와,
    상기 리드와이어와 전선 연결되고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가 상기 경사단턱과 이격되기 위해 상기 트립부를 연동 후퇴시키도록 상기 트립부에 걸림 연결된 플런저가 구비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회전날개부에는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접속돌기가 복수개소 연장 돌설되되,
    각 상기 접속돌기가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라인터미널의 대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과전류 발생시 흡인 자력이 발생되는 상기 라인터미널부의 대향면측으로 흡인 회전되어 통전 접촉되는 차단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각 상기 접속돌기의 차단방향측 단부 모서리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각 상기 접속돌기의 차단반대방향측 단부 모서리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돌기는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접속돌기 중 어느 하나는 과전류 발생시 상기 라인터미널부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차단방향으로 흡인 회전되어 상기 라인터미널부에 통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돌기는 상기 흡인회전날개부의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180°의 사이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제1접속돌기 및 제2접속돌기와, 상기 제1접속돌기 및 상기 제2접속돌기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90°의 사이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하나의 제3접속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돌기 및 상기 제3접속돌기는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라인터미널부의 상부를 향하도록 각각 경사지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KR1020190144162A 2019-11-12 2019-11-12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KR10208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62A KR102088931B1 (ko) 2019-11-12 2019-11-12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62A KR102088931B1 (ko) 2019-11-12 2019-11-12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931B1 true KR102088931B1 (ko) 2020-03-13

Family

ID=6993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162A KR102088931B1 (ko) 2019-11-12 2019-11-12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9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KR101857239B1 (ko) * 2018-01-25 2018-05-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단기
KR101856717B1 (ko) * 2016-11-30 2018-05-1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순시 트립 장치 및 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KR101856717B1 (ko) * 2016-11-30 2018-05-1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순시 트립 장치 및 차단기
KR101857239B1 (ko) * 2018-01-25 2018-05-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928B1 (ko) 순시콘텍형 차단기
KR102088936B1 (ko)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CA2835632C (en) Mechanical flexible thermal trip unit for miniature circuit breakers
KR20060123512A (ko)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장치
KR102124797B1 (ko)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US20100134221A1 (en) Add-on trip module for multi-pole circuit breaker
KR102088931B1 (ko) 라인터미널 순시회동형 차단기
KR101463043B1 (ko) 회로차단기의 슬라이드형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KR102088389B1 (ko) 크로스바 순시트립형 차단기
KR102088939B1 (ko) 스프링 순시흡인형 차단기
KR102088935B1 (ko) 원추형스프링 순시콘텍형 차단기
KR102081698B1 (ko) 배선용 차단기
JP7335355B2 (ja) サージ保護デバイスおよびモジュール式サージ保護システム
KR102124799B1 (ko) 열팽창 스프링형 온도감지 차단기
CZ20032391A3 (cs) Zdvihací svorka
KR102088932B1 (ko) 순시 탄성흡인형 차단기
KR102088398B1 (ko) 트립핀 회전형 차단기
KR102135904B1 (ko) 핸들부 인서트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088930B1 (ko) 옥스트립바 순시트립형 차단기
KR102088926B1 (ko) 흡인회전형 차단기
KR102135899B1 (ko) 트립부 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1346707B1 (ko) 누전차단장치
KR102124796B1 (ko) 평판형 온도감지 차단기
CN102214537B (zh) 断路器
KR102287486B1 (ko) 회로기판을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