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373B1 - 백연 저감 냉각탑 - Google Patents

백연 저감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373B1
KR102088373B1 KR1020160119279A KR20160119279A KR102088373B1 KR 102088373 B1 KR102088373 B1 KR 102088373B1 KR 1020160119279 A KR1020160119279 A KR 1020160119279A KR 20160119279 A KR20160119279 A KR 20160119279A KR 102088373 B1 KR102088373 B1 KR 10208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using
cooling
water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559A (ko
Inventor
박상순
정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6011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공기 유입구 및 상부에 형성되어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상부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공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통과하여 상부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충진재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로 처리수를 분사하는 처리수 분사부와, 상기 처리수 분사부의 상부에서 상기 처리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처리수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상기 처리수 분사부의 상부로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수 분사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상기 처리수와 외부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방전부 및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방전부를 통과한 상기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백연 저감 냉각탑{Cooling Tower Abating Plume}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설비, 평판 표시 장치 제조 설비 또는 일반 산업 제조 설비를 사용하는 제조 공장, 공장 건물 또는 일반 사무실 건물의 냉난방 장비에서 사용되며, 처리수를 냉각할 때 발생되는 백연을 저감할 수 있는 백연 저감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탑은 반도체 공정 장비와 같이 냉각수가 사용되는 장비가 설치된 건축물의 옥외에 설치되어, 장비에서 냉각수로 사용되어 고온 상태인 처리수를 냉각하는 장치이다. 상기 냉각탑은 냉난방 장비를 가동하는 사무실 건물의 옥상에도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냉각탑은 측벽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유입되어 상부로 흐르는 저온의 외부 공기와 상부에서 분사되어 하부로 흐르는 고온의 처리수가 접촉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처리수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냉각탑은겨울철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가동하는 경우에 배출되는 공기의 이슬점 하강과 수증기 응축에 의하여 백연이 발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각탑의 하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고온의 처리수와 접촉하면서 과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온도가 올라간 포화 공기 상태에서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포화 공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기 공기와 접촉하면서 이슬점이 하강하고 수증기 응축 현상이 일어나서 백연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백연은 물이 주성분인 처리수의 응축에 의하여 발생되므로 무해하지만, 외관상 보기에 해로운 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혼합된 것으로 인식되어 민원의 발생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처리수의 냉각 과정에서 백연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백연 저감 냉각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공기 유입구 및 상부에 형성되어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상부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공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통과하여 상부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충진재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로 처리수를 분사하는 처리수 분사부와, 상기 처리수 분사부의 상부에서 상기 처리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처리수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상기 처리수 분사부 상부로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수 분사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상기 처리수와 외부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방전부 및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방전부를 통과한 상기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처리수 분사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냉각수관 유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분사부는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며 처리수 분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냉각수를 하부에 형성되는 분사홀을 통하여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냉각수 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수 분사관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수 분사관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관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형성되는 처리수관 유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처리수관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처리수관과, 입구에 상기 처리수관과 연결되고 출구에 상기 냉각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집수되는 처리수를 처리수관을 통하여 유입하여 상기 냉각수관으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 및 상기 처리수관 또는 냉각수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정 냉각수를 이용하여 처리수를 냉각하는 냉각 유닛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하부가 밀폐되어 형성되어 상기 처리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처리수와 상기 냉각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집수조에 집수되는 상기 처리수 및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처리수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측이 상기 처리수 유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처리수 분사부에 연결되어 처리수를 공급하는 처리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수판 및 상기 집수판의 사이에서 복수 개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봉 및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방전판을 구비하는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판과 상기 방전극의 방전판 사이에서 방전이 진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수판 및 상기 집수판의 사이에서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봉 및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방전판을 구비하는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판과 상기 방전극의 방전판 사이에서 방전이 진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집진 통로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집수판 및 상기 집수판의 집진 통로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지지봉 및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방전판을 구비하는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판과 방전판의 방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진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통로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삼각통 형상, 사각통 형상, 원통 형상 또는 육각통 형상이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처리수 분사부와 상기 방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2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전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3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의 상기 집수판은 200 ∼ 1,000mm의 수직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방전판은 5 ∼ 100mm의 수직 거리로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집수판과 상기 방전판의 돌기는 50 ∼ 200mm의 수평 거리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 장치는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공기 유입구 및 상부에 형성되어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상부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공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통과하여 상부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충진재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로 처리수를 분사하는 처리수 분사부와, 상기 처리수 분사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처리수 분사부의 상부로 상승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방전에 의하여 상기 처리수와 외부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방전부 및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방전부를 통과한 상기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관과 상기 냉각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관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 및 상기 냉각수관이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관에서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관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관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가로 냉각관 및 상기 가로 냉각관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로 냉각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세로 냉각관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공급관 및 상기 냉각수 배출관은 각각 상기 세로 냉각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각수 공급관이 관통하는 냉각수 공급관 관통구 및 상기 냉각수 배출관이 관통하는 냉각수 배출관 관통구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수판 및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판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수판의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판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진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생성되는 포화 수증기를 일차로 냉각수로 냉각시켜 미스트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추가로 포화 수증기의 미스트를 대전시켜 제거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배출 공기의 백연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냉각수 분사부와 방전부 사이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포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고 미스트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하며, 특히 겨울에 상대적으로 온도와 습도가 매우 낮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포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미스트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증가시켜 미스트의 제거 효율 및 백연 발생 저감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의 상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하우징의 내부에서 배출 공기를 외부 공기와 혼합시켜 배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가 외부 공기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백연의 농도와 높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백연을 감소시킴으로써 해로운 물질 유출 우려에 의한 민원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포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를 회수함으로써 처리수를 재사용하고, 운영 비용을 저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저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전부의 상세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에 따른 저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4에 대응되는 저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4에 대응되는 저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도 1에 대응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에 따른 저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저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전부의 상세 수직단면도이다.도 4는 도 3의 B-B에 따른 저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처리수 분사부(130)와 냉각수 분사부(150)와 방전부(160) 및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처리수 공급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처리수 분사부(130)에서 공급되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처리수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생성되는 포화 수증기에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냉각수를 분사한다. 따라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포화 수증기 내의 미스트의 크기를 증가시켜 방전부(160)로 통과시키고, 포화 수증기내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하여 미스트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미스트는 방전부(160)에서 대전을 통하여 극성이 배열되면서 충돌되어 크기가 증가된다. 또한, 상기 미스트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와 접촉되면서 온도가 낮아지면서 응축되어 크기가 증가된다. 여기서 상기 미스트는 처리수와 외부 공기가 접촉하여 발생되는 수증기 내의 수분 입자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냉각수 분사부(150)와 방전부(160) 사이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포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고 미스트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한다.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특히 겨울에 상대적으로 온도와 습도가 매우 낮은 외부 공기가 냉각수 분사부(150)와 방전부(160) 사이에서 유입되어 포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미스트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160)는 냉각수에 의하여 입자 크기가 증가된 미스트를 대전시켜 집수하므로보다 효율적으로 미스트를 포집하여 제거하게 된다. 상기 포화 수증기 내부에 포함되는 입자 크기가 작은 미스트는 방전부(160)에서 포집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응축되면서 크기가 증가하여 백연으로 재생될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미스트는 겨울과 같이 외부 공기가 낮을수록 응축되어 백연으로 재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냉각수 분사부(150)는 포화 수증기의 미스트 크기를 증가시키고, 방전부(160)는 미스트를 효율적으로 포집함으로써 포화 수증기 내의 미스트를 감소시키며, 온도가 낮은 외부 공기와 접촉하더라도 백연이 다시 발생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배출부(17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될 때 백연의 발생을 저감시킨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포화 수증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와 접촉할 때 이슬점이 하강하고 수증기 응축이 발생하여 백연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화 수증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백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과포화된 수증기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포화 수증기의 습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포화 수증기의 습도를 감소시켜 백연 발생을 저감시킨다.
상기 하우징(110)은 제 1 공기 유입구(111)와 상부 공기 배출구(114)와 처리수 배출구(115)와 처리수 유입구(116) 및 냉각수관 유입구(117)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제 2 공기 유입구(112)와 제 3 공기 유입구(113) 및 처리수관 유입구(118)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일반적인 냉각탑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 사각통 형상 또는 육각통 형상과 같은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는 하단이 밀폐되어 처리수 분사부(130)에서 분사되는 처리수와 냉각수 분사부(15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조(119)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기 유입구(111)는 충진재부(1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충진재부(12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 공기 유입구(111)는 처리수 분사부(130)에서 분사되는 처리수의 냉각에 필요한 양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데 필요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공기 유입구(111)는 원 또는 사각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 또는 사각 형상이 띠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기 유입구(112)는 냉각수 분사부(150)와 방전부(160) 사이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포화 수증기와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공기 유입구(112)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포화 수증기와 혼합되면서 포화 수증기의 온도와 습도를 낮추게 된다. 상기 제 2 공기 유입구(112)는 포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고 습도를 저감시키는데 충분한 양의 공기가 유입되는데 필요한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방전부(160)에 의하여 백연 발생이 충분히 감소되는 경우에,제 2 공기 유입구(112)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2 공기 유입구(112)는 원 또는 사각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 또는 사각 형상이 띠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공기 유입구(113)는 방전부(160)와 배출부(170) 사이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방전부(160)를 통과한 배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 3 공기 유입구(113)는 원 또는 사각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 또는 사각 형상이 띠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공기 유입구(113)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방전부(160)를 통과한 배출 공기와 혼합되면서 하우징(110)외부에서 배출 공기와 접촉하는 외부 공기에 미스트가 흡수되는 시간을 짧게 하여 백연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배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는 유입되는 외부 공기로 하우징(110) 내부에서 흡수되므로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외부 공기에 미스트가 흡수되는 정도를 감소시켜 백연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160)가 완전히 포집하지 못하는 100nm 정도의 작은 미스트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외부 공기와 접촉하면서 외부 공기에 흡수되므로, 하우징(110) 외부에서 미스트와 외부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되는 백연의 농도와 발생높이를 낮추게 된다.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114)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배출부(17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114)는 방전부(160)를 통과한 배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114)는 배출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 배출구(115)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집수된처리수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서 하우징(110)의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 배출구(115)는 공정 설비에 연결된 처리수배출 배관(115a)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처리수 배출구(115)는 집수조(119)에 집수된처리수가 처리수배출 배관(115a)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처리수 유입구(116)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집수된처리수 및 냉각수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 유입구(116)에는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는 처리수 공급관(140)이 결합되며, 공정 설비에 연결된 처리수 유입 배관(116a)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처리수 유입구(116)는 공정 설비에서 사용된 처리수가 처리수 유입 배관(116a)을 통하여 처리수 공급관(14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처리수 유입구(116)는 처리수 공급관(140)이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처리수 분사부(130)가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처리수 분사부(130)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관 유입구(117)는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처리수 분사부(13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관 유입구(117)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냉각수 분사부(150)의 냉각수관(153)이 관통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처리수관 유입구(118)는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처리수가 집수되는집수조의 측면 또는 하면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관 유입구(118)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냉각수 분사부(150)의 처리수관(154)이 관통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충진재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제 1 공기 유입구(11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충진재부(120)는 하우징(110)의 수평 단면적에 대응되는 수평 면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구비하는 충진재(미도시)가 충진되어 형성된다. 상기 충진재부(120)는 일반적인 냉각탑에 사용되는 충진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부(120)는 제 1 공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통과하여 상부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충진재부(120)는 처리수 분사부(130)에서 분사되는 처리수가 외부 공기와 접촉되면서 냉각되도록 한다. 즉, 상기 충진재부(120)는 하부에서 상승하는 외부 공기가 상부로 통과되며, 상부에서 분사되는 처리수가 하부로 통과되도록 한다.
상기 처리수 분사부(130)는 처리수 분사관(131) 및 분사 노즐(13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 분사부(130)는 공정 설비에서 사용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처리수를 충진재부(120)의 상부로 분사한다. 상기 처리수 분사부(130)는 일반적인 냉각탑에서 사용되는 분사 노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수 분사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충진재부(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충진재부(120)의 상부로 처리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 분사관(131)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며, 충진재부(120) 상부에서 방사 형태 또는 격자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 분사관(131)의 일 단부는 처리수 유입구(116)를 통하여 처리수 유입 배관(116a)과 연결된다. 상기 처리수 분사관(131)은 처리수 유입 배관(116a)을 통하여 처리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분사 노즐(132)은 처리수 분사관(131)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다. 상기 분사 노즐(132)은 처리수 분사관(131)으로부터 공급되는 처리수를 충진재부(120)의 상부로 분사한다.
상기 처리수 공급관(14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일측이 처리수 유입구(116)에 연결되고, 타측이 처리수 분사부(130)의 처리수 분사관(13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처리수 공급관(140)은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후에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충진재부(120)를 통과하여 처리수 분사관(131)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처리수 공급관(140)은 하우징(110) 내부에서 집수조(119)에 집수된 처리수에 잠긴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처리수 공급관(140)의 내부로 흐르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처리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집수조(119)의 처리수와 열 교환이 진행되면서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처리수 공급관(140)의 처리수는 충진재부(12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처리수 공급관(140)은 온도가 낮아진 처리수를 처리수 분사관(131)으로 공급하게 되어 생성되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게 되며, 궁극적으로 백연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리수 공급관(140)은 처리수 분사부(130)가 처리수 유입 배관(116a)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처리수 유입구(116)가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처리수 유입 배관(116a)이 처리수 분사부(130)의 처리수 분사관(131)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 처리수 공급관(140)은 생략된다.
상기 냉각수 분사부(150)는 냉각수 분사관(151) 및 냉각수관(15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분사부(150)는 처리수관(154)과 순환 펌프(155) 및 냉각 유닛(156)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분사부(150)는 처리수 분사부(130)에서 분사되는 처리수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처리수 분사부(130)의 상부에서 분사하여 포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화 수증기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미스트가 서로 응축되면서 입자 크기가 증가되어 방전부(160)에서 효율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수 분사부(15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는 하우징(110) 하부의 집수조(119)에 집수된다.
상기 냉각수 분사관(151)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며, 처리수 분사부 (1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냉각수 분사관(151)은 냉각수관 유입구(117)가 형성되는 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분사관(151)은 복수 개의 파이프가 연장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분사관(151)은 방사 형태 또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분사관(151)의 일 단부는 냉각수관 유입구(117)를 관통하는 냉각수관(153)과 연결된다. 상기 냉각수 분사관(151)은 냉각수관(153)을 통하여 냉각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냉각수 분사관(151)은 하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분사홀(152)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분사홀(152)은 공급되는 냉각수를 하부 방향 즉, 처리수 분사부(130) 방향으로 분사한다. 상기 분사홀(152)은 냉각수 분사관(151)의 하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관(153)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냉각수관 유입구(117)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일측이 냉각수 분사관(151)과 연결된다. 상기 냉각수관(153)은 냉각수 분사관(151)으로 냉각수를 공급한다. 상기 냉각수관(153)은 타측이 순환 펌프(155)에 연결되며 순환 펌프(155)로부터 공급되어 냉각 유닛(157)에 의하여 냉각되는 냉각수를 공급받아 냉각수 분사관(151)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관(153)은 냉각수를 별도의 냉각수 공급수단(미도시)로부터 공급받아 냉각수 분사관(151)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수관(153)은 냉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냉각 유닛(157)의 내부를 지나는 부분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수관(154)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며, 일측이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처리수관 유입구(118)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연장되고, 타측이 순환 펌프(155)에 연결된다. 상기 처리수관(154)은 순환 펌프(155)의 작동에 의하여 일측으로 유입되는 집수조(119)의 처리수를 순환 펌프(155)로 공급한다.
상기 순환 펌프(155)는 물을 공급하는 일반적인 펌프로 형성된다. 상기 순환 펌프(155)는 입구에 처리수관(154)이 연결되며, 출구에 냉각수관(153)이 연결된다. 상기 순환 펌프(155)는 처리수관(154)을 통하여 집수조(119)의 처리수를 유입하여 냉각수관(153)으로 공급한다.
상기 냉각 유닛(156)은 공정 냉각수(process cooling water)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열교환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냉각 유닛(156)은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서 공정 냉각수가 유입되고, 타측에서 공정 냉각수가 유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 유닛(156)은 냉각수관(153)이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 유닛(156)은 냉각수관(153)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공정 냉각수를 이용하여 순환 펌프(155)로부터 공급되어 냉각수관(153)의 내부를 흐르는 처리수를 냉각시켜 냉각수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냉각 유닛(156)은 처리수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 유닛(156)은 처리수관(154)의 내부를 흐르는 처리수를 냉각시켜 냉각수가 되도록 한다.
상기 방전부(160)는 집수판(161)과 방전극(16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16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처리수 분사부(130)와 배출부(17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160)는 집수판(161)과 방전극(162) 사이에서 발생되는 코로나 방전(또는 저온 플라즈마 방전)에 의하여 포화 수증기 내에 혼합되어 있는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한다.
상기 방전부(160)는 냉각탑으로 유입되는 처리수의 양, 포화 수증기의 발생 양, 포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의 양에 따라 필요한 높이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부(160)는 높이 및 전체 폭에 따라 방전 공간과 미스트의 포집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포집 효율이 증가된다. 다만, 상기 방전부(160)는 냉각탑의 설치 공간 의 제한, 하우징 내부에서의 방전부(160) 설치 공간의 제한에 따라 적정한 높이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전부(16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에 물 또는 수증기를 방전부(160)의 하부로 분사하는 별도의 분사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사수단은 물 또는 수증기를 포화 수증기에 분사하여 포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미스트는 물 또는 수증기와 결합하여 크기가 커지면서 방전부(160)에 유입되기 전에 하부로 떨어지게 되며, 포화 수증기의 미스트 양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160)는 미스트의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수단에 의하여 분사되는 물 또는 수증기는 처리수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상태에서 분사되므로 처리수와 접촉하여 추가적인 포화 수증기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 집수판(161)은 폭과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복수 개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161)은 포화 수증기의 흐름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집수판(161)은 별도의 지지부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복수 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집수판(161)은 집수판(161) 사이의 공간이 처리수 분사부(130)의 상부와 공간적으로 직접 연결되며, 처리수 분사부(130)를 통과한 포화 수증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포화 수증기는 처리수 분사부(130)를 통과하여 집수판(161)과 집수판(161)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집수판(161)은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가 대전되어 표면에 포집되도록 한다.
상기 집수판(161)은 대전되어 이동하는 미스트를 포집하는데 필요한 수직 높이(L)로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160)를 통과하는 수증기의 흐름 속도가 클 때 또는 분사되는 처리수의 온도가 높아 미스트의 이동 속도가 클 때는 집수판(161)의 수직 높이(L)를 증가시켜 미스트의 포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 높이(L)는 200 ∼ 1,000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높이(L)가 너무 크면, 미스트의 포집 효율이 증가되지만, 전류가 높아져서 소모 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높이(L)이 너무 작으면 대전된 미스트가 집수판(161)에 포집되지 못하고 방전부(160) 상부로 흘러갈 수 있다.
상기 집수판(161)은 전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제어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극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161)은 바람직하게는 하스텔로이(hastelloy),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FRP)과 카본이 혼합된 CFRP로 이루어지며, 부식에 대한 내구성이 증가된다. 한편, 상기 집수판(161)은 백연 저감 냉각탑(100)의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전극(162)은 지지봉(163)과 방전판(16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162)은 집수판(161) 사이의 공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162)은 별도의 지지부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복수 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전극(162)은 전체적으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어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극(162)은 집수판(161)과 함께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지지봉(163)은 원기둥, 사각형 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과 같은 봉 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63)은 집수판(161) 사이의 공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63)은 별도의 지지부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복수 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봉(163)은 전체적으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어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전판(164)은 판상 또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165)과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166)를 포함한다. 상기 방전판(164)은 결합홀(165)에 지지봉(163)이 삽입되어 지지봉(163)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방전판(164)은 복수 개가 수평 방향을 따라 지지봉(163)에 일정한 수직 거리(D)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된다. 상기 방전판(164)의 수직 거리(D)는 방전시 집수판(161)과 방전판(164)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선의 밀집 정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160)는 미스트가 집수판(161)과 방전판(164) 사이로 유입될 때, 수직 거리(D)에 따라 방전 발생 정도가 조절되어 미스트를 효과적으로 포집한다. 상기 방전판(164)은 5 ∼ 100mm의 수직 거리(D)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10 ∼ 20mm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거리(D)가 너무 작으면, 전기력선의 과도한 밀집으로 동일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스파크 발생 빈도가 너무 높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거리(D)가 너무 크면, 미스트의 이온화율과 전자 발생 정도가 낮아져 미스트의 대전률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미스트의 포집 효율이 낮아진다.
상기 방전판(164)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하스텔로이(hastelloy),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66)는 방전판(164)의 외측면으로돌출되어 형성되며, 단부가 날카로운 형상이 되도록 삼각형상 또는 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66)는 방전판(164)의 외측면에 규칙적인 형상과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160)는 집수판(161)과 돌기(166)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균일하게 진행되어 보다 많은 미스트를 포집할 수 있다. 상기 돌기(166)는 단부가 집수판(161)과 수평 거리(d)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평 거리(d)는 집수판(161)과 방전극(162) 사이에 인가되는 방전 전압을 결정한다. 상기 수평 거리(d)는 바람직하게는 50 ∼ 200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거리(d)가 너무 작으면 방전 전압이 작아야 하므로 방전이 충분하지 않아 포집 효율이 낮아진다. 또한, 상기 수평 거리(d)가 너무 크면 방전 전압이 너무 높아지며, 대전된 미스트의 이동 거리가 길어져 포집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거리(d)는 인가되는 방전 전압에 비례하게 된다. 상기 수평 거리(d)에 따른 방전 전압은 20 ∼ 50kV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 거리(d)가 증가하게 되면, 집수판(161)과 방전극(162) 사이에 인가되는 방전 전압도 증가된다. 또한, 상기 수평 거리(d)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의 양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상기 방전 전압이 너무 낮게 되면 방전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전 전압이 너무 높게 되면 코로나 방전이 진행되지 않으며, 스파크 방전이 발생되어 불꽃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돌기(166)는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핀의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방전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집수판(161)과 방전판(164)은 면 대 핀의 비 평등 전계 방식에 의하여 방전이 진행되므로 낮은 방전 전압으로 보다 효율적인 코로나 방전이 진행되어 미스트를 효과적으로 대전시켜 집진한다.
한편, 상기 방전판(164)은 지지봉(161)에 용접되어 고정되거나, 방전판 (164)사이에 별도의 고정 가이드(미도시)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가이드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봉(161)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방전판(164) 사이를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방전판(164)은 지지봉(16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전판(164)은 지지봉(163)의 표면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70)는 모터(171)와 냉각팬(17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17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상부 공기 배출구(114)에 결합되어 방전부(160)를 통과한 배출 공기를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부(170)는 일반적인 냉각탑에 사용되는 배출부(17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171)는 냉각탑에 사용되는 모터로 사용되며, 별도의 지지부재(171a)에 의하여 상부 공기 배출구(114)에 결합된다.
상기 냉각팬(172)은 회전축에 의하여 모터(171)에 연결되며, 모터(171)에 의하여 회전한다. 상기 냉각팬(172)은 배출 공기를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상부 공기 배출구(114)에 결합되어 있는 배출부(170)의 모터(171) 및 냉각팬(172)이 작동되고, 하우징(110) 외부의 외부 공기가 제 1 공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하우징(110) 하부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외부 공기는 상승하면서, 충진재부(120)를 통과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처리수 공급관(140)은 처리수 유입구(116)에 연결되는 공정 설비의 처리수 유입 배관(116a)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처리수를 공급받아 처리수 분사부(130)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처리수 공급관(140)은 집수조(119)와 충진재부(120)를 통과하면서 일차로 처리수를 냉각하게 된다. 상기 처리수는 처리수 분사부(130)의 처리수 분사관(131)과 분사 노즐(132)을 통하여 흐르면서 충진재부(120)의 상부로 분사된다. 상기 처리수는 하부로 낙하되면서 하부에서 상승하는 외부 공기와 접촉한다. 상기 처리수는 충진재부(120)의 상부와 내부 및 하부에서 지속적으로 외부 공기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는 처리수와 접촉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이슬점이 상승하고 습도가 상승하여 포화 수증기로 된다. 상기 냉각수 분사부(150)의 냉각수 분사관(151)은 냉각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화 수증기에 분사하여 포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어 포화 수증기 내의 미스트를 응축시켜 입자 크기를 증가시킨다. 이때, 상기 냉각수관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순환 펌프에 의하여 집수조로부터 처리수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처리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160)는 냉각수에 의하여 입자 크기가 증가된 미스트를 대전시켜 집수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미스트를 포집하여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공기 유입구(112)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포화 수증기와 혼합되면서 포화 수증기의 온도와 상대 습도를 낮추게 된다. 상기 포화 수증기는 상승하면서 방전부(160)의 집수판(161) 사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방전부(160)는 집수판(161)과 방전극(162) 사이에 인가되는 방전 전압에 의하여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킨다. 상기 포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는 인가되는 방전 전압에 의하여 극성을 가지면서 대전되고, 서로 다른 극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입자 크기가 증가된다. 상기 미스트는 입자 크기가 커지면서 집수판(161) 또는 방전극(162)에 포집되어하부로 흐르게 되며,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집수조(119)에 집수된다. 상기 포화 수증기는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진 상태로 방전부(160) 상부로 상승하면서 배출 공기로 된다. 상기 제 3 공기 유입구(113)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방전부(160)를 통과한 배출 공기와 혼합되면서 하우징(110) 외부에서 배출 공기와 접촉하는 외부 공기에 미스트가 흡수되는 시간을 짧게 하여 백연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배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는 유입되는 외부 공기로 하우징(110) 내부에서 흡수되므로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외부 공기에 미스트가 흡수되는 정도를 감소시켜 백연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상기 배출 공기는 배출부(170)에 의하여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 공기는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되므로 백연 발생이 저감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4에 대응되는 저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처리수 분사부(130)와 방전부(260) 및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은 처리수 공급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260)를 제외한 부분은 도 1 및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10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한 전체 구조를 도시하지 않고 방전부(260)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260)는 도 1 및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100)의 방전부(16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전부(260)는 집수판(161)과 방전극(26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262)은 지지봉(263)과 방전판(26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262)은 집수판(161) 사이의 공간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262)은 별도의 지지부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복수 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전극(262)은 방전판(264)이 집수판(161)의 표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263)은 집수판(161) 사이의 공간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방전판(264)은 판상 또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265)과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266)를 포함한다. 상기 방전판(264)은 결합홀(265)에 지지봉(263)이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지지봉(263)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방전판(264)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돌기(266)가 형성되는 외측면이하부 방향 또는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판(264)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에, 포집된 미스트는 방전판(264)의 경사진 표면을 보다 용이하게 흐르면서 입자 크기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집된 미스트는 돌기(266) 방향으로 흐르면서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포집된 미스트는 지지봉(263) 방향으로 흐르게 되며, 지지봉(263)에 미스트가 통과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경우에, 홀을 관통하여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방전판(264)은 복수 개가 수직 방향을 따라 지지봉(263)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방전판(264)은 지지봉(263)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2에 따른 방전부(160)의 방전판(164)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4에 대응되는 저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처리수 분사부(130)와 방전부(360) 및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은 처리수 공급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360)를 제외한 부분은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3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360)는 도 4 및 도 5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26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전부(360)는 집수판(361)과 방전극(26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36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집진 통로(361a)가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361)은 집진 통로(361a)의 수평 단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집수판(361)은 내부가 중공인 사각통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판(361)은 수평 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판(361)은 집수 통로(361a)가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판(361)은 중심 축이 수직이 되도록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복수 개가 서로 접하여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361)은 전체 수평 면적이 하우징 내부의 수평 면적과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판(361)은 내부 공간이 충진재부(120)의 상부 공간과 직접 연결되어 포화 수증기가 집수판(36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포화 수증기의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전극(262)은 지지봉(263)과 방전판(26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263)은 집수판(361)의 집진 통로(361a)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방전판(264)은 결합홀(265)과 돌기(26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262)은 집수판(361)의 내부 공간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방전극(262)은 방전판(264)이 집수판(361)의 표면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360)는 집수판(361)과 방전극(262)의 돌기(266)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간격을 이루게 되므로, 집수판(361)과 돌기(266)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균일하게 진행된다. 상기 방전부(360)는 더 많은 미스트를 포집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처리수 분사부(130)와 방전부(460) 및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은 처리수 공급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460)를 제외한 부분은 도 6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4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460)는 도 6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26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전부(460)는 집수판(461)과 방전극(26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460)는 집수판(461)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따른 방전부(36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집수판(46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집진 통로(461a)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461)은 집진 통로(461a)의 수평 단면 형상이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집수판(461)은 집수 통로(461a)가 육각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460)는 수평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벌집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판(461)은 수평 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을 이루며, 6 개의 삼각형상이 서로 하나의 꼭지점을 맞대어 육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판(461)은 집수 통로(461a)가 삼각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전부의 전체 형상이 사각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집수판 사이의 빈 영역(a)은 별도의 부재로 차폐되어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도 1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처리수 분사부(130)와 방전부(560) 및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은처리수 공급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560)를 제외한 부분은 도 6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5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560)는 도 6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26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전부(560)는 집수판(561)과 방전극(26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560)는 집수판(561)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6에따른 방전부(36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집수판(56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집진 통로(561a)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561)은 집진 통로(561a)의 수평 단면 형상이 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방전부의 전체 형상이 사각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집수판 사이의 빈 영역(a, b)은 별도의 부재(미도시)로 차폐되어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도 1에 대응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에 따른 저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200)은, 도 1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210)과 충진재부(120)와 처리수 분사부(130)와 열교환부(250)와 방전부(160) 및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200)은 처리수 공급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200)은 도 1의 냉각수 분사부(150) 대신에 열교환부(250)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210)의 일부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200)의 열교환부(250) 및 하우징(210)과의 결합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200)는 도 1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100)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열교환부(250)는 냉각관(251)과 냉각수 공급관(254) 및 냉각수 배출관(255)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부(250)는 별도의 냉각수 공급 장치(미도시)에 연결되며, 냉각수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냉각수 공급관(254)과 냉각관(251) 및 냉각수 배출관(255)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250)는 처리수 분사부(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처리수 분사부(13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승하는 포화 수증기를 냉각시켜 포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화 수증기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미스트가 서로 응축되면서 입자 크기가 증가되어 방전부(160)에서 효율적으로 포집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각관(251)은 가로 냉각관(252) 및 새로 냉각관(253)을 포함하며, 평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하우징(210)의 내부 수평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로 냉각관(252) 및 세로 냉각관(253)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관(251)은 전체 평면 형상이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수평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 평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 냉각관(254)과 세로 냉각관(255)은 도 10에서와 같이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가로와 세로는 도 10을 기준으로 정한다. 또한, 일측은 도 10의 우측을 타측은 도 10에서 좌측을 의미한다. 또한, 전측은 냉각수 공급관(254)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측은 냉각수 배출관(255)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가로 냉각관(252)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즉,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 수개의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로 냉각관(252)은 내부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냉각수가 흐르게 한다.
상기 세로 냉각관(253)은 가로 냉각관(252)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로 냉각관(25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세로 냉각관(253)은 각 가로 냉각관(252)의 일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며, 또한, 각 가로 냉각관(252)의 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냉각수 공급관(254)은 일측에 위치하는 세로 냉각관(253)과 연결되며, 세로 냉각관(253)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상기 냉각수 공급관(254)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에 치우쳐서 세로 냉각관(253)과 연결되며, 다만, 후측에 치우치거나 중앙 영역에 위치하여 세로 냉각관(253)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배출관(255)은 타측에 위치하는 세로 냉각관(253)과 연결되며, 세로 냉각관(253)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냉각수 공급 장치로 배출한다. 상기 냉각수 배출관(255)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측에 치우쳐서 세로 냉각관(253)과 연결되며, 다만, 전측에 치우치거나 중앙 영역에 위치하여 세로 냉각관(253)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은 냉각수 공급관(254)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냉각수 공급관 관통구(217a) 및 냉각수 배출관(255)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냉각수 배출관 관통구(217a)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공급관 관통구(217a) 및 냉각수 배출관 관통구(217b)는 바람직하게는 열교환부(250)와 동일한 높이에서 하우징(2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처리수 분사부(130)와 방전부(660) 및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은 처리수 공급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660)를 제외한 부분은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6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660)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100)의 방전부(16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전부(660)는 집수판(161)과 방전극(66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662)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집수판(16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662)은 별도의 지지부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복수 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전극(662)은 서로 이웃하여 대향하는 두 개의 집수판(161) 사이의 공간에서 집수판(161)과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전극(662)은 양면이 대향하는 집수판(161)의 표면과 동일 거리로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방전부(66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집수판(161)과 방전극(662)에 의하여 방전이 진행되므로 보다 넓은 면적에서 방전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660)는 미스트의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100, 200: 백연 저감 냉각탑
110: 하우징 120: 충진재부
130: 처리수 분사부 140: 처리수 공급관
150: 냉각수 분사부
160, 260, 360, 460, 560, 660: 방전부
170: 배출부
250: 열교환부

Claims (16)

  1.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공기 유입구 및 상부에 형성되어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상부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공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통과하여 상부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충진재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로 공정 설비에서 사용된 처리수를 분사하는 처리수 분사부와,
    상기 처리수 분사부의 상부에서 상기 처리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처리수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상기 처리수 분사부 상부로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수 분사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방전에 의하여 상기 처리수와 외부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방전부 및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방전부를 통과한 상기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하부가 밀폐되어 형성되어 상기 처리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처리수와 상기 냉각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집수조에 집수되는 상기 처리수 및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처리수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측이 상기 처리수 유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처리수 분사부에 연결되어 처리수를 공급하는 처리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처리수 분사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냉각수관 유입구와,
    하부에 형성되는 처리수관 유입구와,
    상기 냉각수 분사부와 상기 방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2 공기 유입구 및
    상기 방전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3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분사부는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가 방사 형태 또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처리수 분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냉각수를 하부에 형성되는 분사홀을 통하여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관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냉각수관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수 분사관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수 분사관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관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처리수관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처리수관과,
    입구에 상기 처리수관이 연결되고 출구에 상기 냉각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집수되는 처리수를 상기 처리수관을 통하여 유입하여 상기 냉각수관으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 및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에서 공정 냉각수가 유입되고 타측에서 공정 냉각수가유출되며, 상기 처리수관 또는 냉각수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공정 냉각수를 이용하여 처리수를 냉각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수판 및
    상기 집수판의 사이에서 복수 개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봉 및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방전판을 구비하는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판과 상기 방전극의 방전판 사이에서 방전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수판 및
    상기 집수판의 사이에서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봉 및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방전판을 구비하는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판과 상기 방전극의 방전판 사이에서 방전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집진 통로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집수판 및
    상기 집수판의 집진 통로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지지봉 및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방전판을 구비하는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판과 방전판의 방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통로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삼각통 형상, 사각통 형상, 원통 형상 또는 육각통 형상이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수판 및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판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수판의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판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60119279A 2013-10-24 2016-09-19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88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6880 2013-10-24
KR1020130126880 2013-10-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128A Division KR20150047409A (ko) 2013-10-24 2014-02-14 백연 저감 냉각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559A KR20160113559A (ko) 2016-09-30
KR102088373B1 true KR102088373B1 (ko) 2020-03-13

Family

ID=533864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128A KR20150047409A (ko) 2013-10-24 2014-02-14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160119279A KR102088373B1 (ko) 2013-10-24 2016-09-19 백연 저감 냉각탑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128A KR20150047409A (ko) 2013-10-24 2014-02-14 백연 저감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474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89A (ko) * 2017-01-03 2018-07-11 주식회사 파이닉스알엔디 비산방지형 폐수냉각장치
KR102053365B1 (ko) * 2019-03-25 2019-12-06 주식회사 누리플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 구조체
KR102128205B1 (ko) 2019-10-31 2020-06-29 (주)와이엠테크 냉각탑 백연 저감 방법 및 백연저감용 댐퍼형 나노필터와 응축기 복합장치를 장착한 냉각탑
KR102218024B1 (ko) 2020-06-09 2021-02-19 (주)와이엠테크 백연저감 성능 평가에 기반한 자동 제어가 가능한 백연저감형 냉각탑
CN113251822B (zh) * 2021-05-12 2022-06-10 江西方舟流体科技有限公司 一种用冷却塔用除雾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989A (ja) * 1994-08-09 1996-02-20 Shin Nippon Reiki Kk 白煙防止装置を備えた冷却塔
KR101197283B1 (ko) * 2010-10-29 2012-11-05 정순우 백연 발생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각탑
KR101239841B1 (ko) * 2011-02-09 2013-03-11 현테크이엔지 주식회사 일체형 백연 및 악취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409A (ko) 2015-05-04
KR20160113559A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373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1349114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88371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EP2781868A2 (en) Plume-reducing cooling tower
US11541400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apparatus and cooling tower having same
KR101420508B1 (ko) 이온화 습식 전기집진장치
TWI651122B (zh) 一種用於煙氣淨化的電除霧器
KR101064242B1 (ko) 공기를 이용하는 절연 고정장치가 구비된 전기집진장치
KR101852163B1 (ko) 정전분무 시스템과 전기집진기가 결합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604288B1 (ko) 플래시 탱크용 백연 저감 장치
KR101785421B1 (ko) 백연 제거 장치
US2021037031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species from a gas stream
RU2511824C2 (ru) Градирня
KR102162809B1 (ko) 냉각탑용 집진 장치
KR102230763B1 (ko) 집진 모듈을 갖는 냉각탑
KR100818638B1 (ko) 습식전기이오나이져
KR101866397B1 (ko) 공정 폐가스 처리용 제습기
KR20130024589A (ko) 전기집진 장치 및 그 방법
CN109432972B (zh) 一种预荷电脱硫装置
KR102521340B1 (ko) 냉각탑의 혼합부 구조
KR102521339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521341B1 (ko) 수증기 포집 용수 절감 냉각탑
KR102327163B1 (ko) 전기집진식 유증기 응축 회수장치
KR101556624B1 (ko) 전기 집진장치의 방전극 모듈 및 이를 적용한 습식 전기 집진장치
KR102154993B1 (ko)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