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371B1 - 백연 저감 냉각탑 - Google Patents

백연 저감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371B1
KR102088371B1 KR1020160043478A KR20160043478A KR102088371B1 KR 102088371 B1 KR102088371 B1 KR 102088371B1 KR 1020160043478 A KR1020160043478 A KR 1020160043478A KR 20160043478 A KR20160043478 A KR 20160043478A KR 102088371 B1 KR102088371 B1 KR 10208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llecting plate
collecting
insul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651A (ko
Inventor
박상순
정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6004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2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water or other liquid as the cool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Pretreatment of the gases prior to electrostatic precipi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충진재부와, 분사 노즐부와, 방전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며,상기 방전부는 복수 개의 집수 통로가 평면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수판과, 상기 집수 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집수판과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극과, 상기 집수판의 상부에서 위치하며, 상기 방전극이 상기 집수판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집수판과 방전극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집수판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애자 모듈을 포함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백연 저감 냉각탑{Cooling Tower Abating Plume}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설비, 평판 표시 장치 제조 설비 또는 일반 산업 제조 설비를 사용하는 제조 공장 또는 일반 산업용 공장의 냉각수 공급 장비, 공장 건물 또는 일반 건물의 냉난방 장비에서 사용되며, 냉각수를 냉각할 때 발생되는 백연을 저감할 수 있는 백연 저감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탑은 반도체 공정 장비와 같이 냉각수가 사용되는 장비가 설치된 건축물의 옥외에 설치되어 장비에서 사용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장치이다. 상기 냉각탑은 냉난방 장비를 가동하는 사무실 건물의 옥상에도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냉각탑은 측벽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유입되어 상부로 흐르는 저온의 외부 공기와 상부에서 분사되어 하부로 흐르는 고온의 냉각수가 접촉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각수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냉각탑은 겨울철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가동하는 경우에 배출되는 공기의 이슬점 하강과 수증기 응축에 의하여 백연이 발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각탑의 하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고온의 냉각수와 접촉하면서 과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온도가 올라간 포화 공기 상태에서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포화 공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기 공기와 접촉하면서 이슬점이 하강하고 수증기 응축 현상이 일어나서 백연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백연은 물이 주성분인 냉각수의 응축에 의하여 발생되므로 무해하지만, 외관상 보기에 해로운 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혼합된 것으로 인식되어 민원의 발생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백연 발생을 저감시키며, 백연 저감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백연 저감 냉각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내부가 중공이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하부 공기 유입구 및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상부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 공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통과하여 상부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충진재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분사 노즐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방전에 의하여 상기 냉각수와 외부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방전부 및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방전부를 통과한 상기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전부는 복수 개의 집수 통로가 평면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수판과, 상기 집수 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집수판과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극과, 상기 집수판의 상부에서 위치하며, 상기 방전극이 상기 집수판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집수판과 방전극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집수판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애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하부가 밀폐되어 형성되어 상기 분사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집수조에 집수되는 상기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측이 상기 냉각수 유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분사 노즐부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관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집수 통로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집수판과, 상기 집수판의 집수 통로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지지봉과,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방전판을 구비하는 방전극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 및상기 가로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결합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집수판의 집수 통로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에서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애자 모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수 통로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삼각통 형상, 사각통 형상, 원통 형상 또는 육각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집수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집수판과,상기 집수 통로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지봉과,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방전판을 구비하는 방전극과,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 및상기 가로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결합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집수판의 집수 통로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에서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애자 모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집수 통로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집수판과, 상기 집수판의 집수 통로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지지봉 및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방전판을 구비하는 방전극과,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 및상기 가로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결합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집수판의 집수 통로의 상면에 위치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애자 모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수 통로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삼각통 형상, 사각통 형상, 원통 형상 또는 육각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자 모듈은 상기 고정봉의 하부 및 상기 애자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애자의 하부 및 고정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블록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분사 노즐부와 상기 방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상부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판은 200 ∼ 1,000mm의 수직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방전판은 5 ∼ 100mm의 수직 거리로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집수판과 상기 방전판의 돌기는 50 ∼ 200mm의 수평 거리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수판 및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판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수판의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판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진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생성되는 포화 수증기의 미스트를 대전시켜 제거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배출 공기의 백연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집수판과 방전극의 절연을 위한 애자 모듈이 집수판의 집수 통로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방전부의 부피 및 수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일한 하우징의 공간에서는 백연의 제거를 위한 방전부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백연의 저감 효율을 증가시키고, 유해 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애자 모듈의 애자가 집수판의 집수 통로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방전부의 부피와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백연을 감소시킴으로써 해로운 물질 유출 우려에 의한 민원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은 포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를 회수함으로써 냉각수를 재사용하고, 운영 비용을 저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백연 저감 냉각탑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a의 A-A에 따른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B-B에 따른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3에 대응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3에 대응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3에 대응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1a의 방전부에 대응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백연 저감 냉각탑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a의 A-A에 따른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B-B에 따른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도 1a 내지 도 3을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분사 노즐부(130)와 배출부(150) 및 방전부(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냉각수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분사 노즐부(130)에서 공급되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각수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생성되는 포화 수증기를 방전부(160)로 통과시켜, 포화 수증기내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포화 수증기의 습도를 낮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미스트는 미세한 수분 입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배출부(15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될 때 백연의 발생을 저감시킨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포화 수증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와 접촉할 때 이슬점이 하강하고 수증기 응축이 발생하여 백연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화 수증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백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과포화된 수증기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포화 수증기의 습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포화 수증기의 습도를 감소시켜 백연 발생을 저감시킨다.
상기 하우징(110)은 하부 공기 유입구(111)와 상부 공기 배출구(113)와 냉각수 배출구(114) 및 냉각수 유입구(11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 공기 유입구(112)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일반적인 냉각탑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 사각통 형상 또는 육각통 형상과 같은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는 하단이 밀폐되어분사 노즐부(13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조(116)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기 유입구(111)는 충진재부(1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충진재부(12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 공기 유입구(111)는 분사 노즐부(13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냉각에 필요한 양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데 필요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공기 유입구(111)는 원 또는 사각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 또는 사각 형상이 띠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기 유입구(112)는 분사 노즐부(130)와 방전부(160) 사이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포화 수증기와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공기 유입구(112)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포화 수증기와 혼합되면서 포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고 습도를 낮추게 된다. 상기 상부 공기 유입구(112)는 포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고 습도를 저감시키는데 충분한 양의 공기가 유입되는데 필요한 크기로 형성된다.한편, 상기 방전부(160)에 의하여 백연 발생이 충분히 감소되는 경우에,상부 공기 유입구(112)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113)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배출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113)는 방전부(160)를 통과한 배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113)는 배출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 배출구(114)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집수된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서 하우징(110)의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 배출구(114)는 공정 설비에 연결된 냉각수 배출 배관(114a)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냉각수 배출구(114)는 집수조(116)에 집수된 냉각수가 냉각수 배출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냉각수 유입구(115)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집수된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 유입구(115)에는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수관(140)이 결합되도록 하며, 공정 설비에 연결된 냉각수 유입 배관(115a)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냉각수 유입구(115)는 공정 설비에서 사용된 냉각수가 냉각수 유입 배관을 통하여 냉각수관(14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각수 유입구(115)는 냉각수관(140)이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분사 노즐부(130)가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분사 노즐부(130)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하부 공기 유입구(11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충진재부(120)는 하우징(110)의 수평 단면적에 대응되는 수평 면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구비하는 충진재(미도시)가 충진되어 형성된다. 상기 충진재부(120)는 일반적인 냉각탑에 사용되는 충진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부(120)는 하부 공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통과하여 상부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충진재부(120)는 분사 노즐부(13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외부 공기와 접촉되면서 냉각되도록 한다. 즉, 상기 충진재부(120)는 하부에서 상승하는 외부 공기가 상부로 통과되며, 상부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하부로 통과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 노즐부(130)는 분사관(131) 및 분사 노즐(13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분사 노즐부(130)는 공정 설비에서 사용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각수를 충진재부(120)의 상부로 분사한다. 상기 분사 노즐부(130)는 일반적인 냉각탑에서 사용되는 분사 노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충진재부(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충진재부(120)의 상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사관(131)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며, 충진재부(120) 상부에서 방사 형태 또는 격자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분사관(131)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냉각수관(140)과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된다.
상기 분사 노즐(132)은 분사관(131)의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다. 상기 분사 노즐(132)은 분사관(131)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충진재부(120) 상부로 분사한다.
상기 냉각수관(14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일측이 냉각수 유입구(115)에 연결되고, 타측이 분사 노즐부(130)의 분사관(13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관(140)은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후에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충진재부(120)를 통과하여 분사관(131)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관(140)은 하우징(110) 내부에서 집수조(116)에 집수된 냉각수에 잠긴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관(140)의 내부로 흐르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각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집수조(116)의 냉각수와 열교환이 진행되면서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관(140)의 냉각수는 충진재부(12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게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관(140)은 온도가 낮아진 냉각수를 분사관(131)으로 공급하게 되어 생성되는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게 되며, 궁극적으로 백연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수관(140)은 분사 노즐부(130)에 냉각수 유입 배관(115a)이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수 유입구(115)가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냉각수 유입 배관(115a)이 분사 노즐부(130)의 분사관(131)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 냉각수관(140)은 생략된다.
상기 배출부(150)는 모터(151)와 냉각팬(15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15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상부 공기 배출구(113)에 결합되어 방전부(160)를 통과한 배출 공기를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부(150)는 일반적인 냉각탑에 사용되는 배출부(15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151)는 냉각탑에 사용되는 모터로 사용되며, 별도의 지지부재(151a)에 의하여 상부 공기 배출구(113)에 결합된다.
상기 냉각팬(152)은 회전축에 의하여 모터(151)에 연결되며, 모터(151)에 의하여 회전한다. 상기 냉각팬(152)은 배출 공기를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방전부(160)는 집수판(161)과 방전극(162)과 지지 프레임(167) 및 애자모듈(168)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16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분사 노즐부(130)와 배출부(15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160)는 집수판(161)과 방전극(162) 사이에서 발생되는 코로나 방전(또는 저온 플라즈마 방전)에 의하여 포화 수증기 내에 혼합되어 있는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한다. 상기 방전부(160)는 냉각탑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양, 포화 수증기의 발생 양,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의 양에 따라 필요한 높이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부(160)는 높이 및 전체 폭에 따라 방전 공간과 미스트의 포집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포집 효율이 증가된다. 다만, 상기 방전부(160)는 냉각탑의 설치 공간 의 제한, 하우징(110) 내부에서의 방전부(160) 설치 공간의 제한에 따라 적정한 높이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전부(16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에 물 또는 수증기를 방전부의 하부로 분사하는 별도의 분사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사수단은 물 또는 수증기를 포화 수증기에 분사하여 포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미스트는 물 또는 수증기와 결합하여 크기가 커지면서 방전부(160)에 유입되기 전에 하부로 떨어지게 되며, 포화 수증기의 미스트 양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160)는 미스트의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수단에 의하여 분사되는 물 또는 수증기는 냉각수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상태에서 분사되므로 냉각수와 접촉하여 추가적인 포화 수증기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 집수판(161)과 방전극(162)은 애자 모듈(168)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방전을 진행한다. 상기 애자 모듈(168)은 방전극(162)이 형성되는 위치인 집수판(161)의 내측에 형성되어 방전부(160)의 부피 또는 수평 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동일한 하우징(110)의 공간에서는 백연의 제거를 위한 방전부(160)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백연의 저감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은 애자 모듈(168)이 집수판(161)의 내측에 형성되어, 애자 모듈(168)이 집수 통로(161a)의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해 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집수판(161)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집수 통로(161a)가 평면상으로 배열되며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161)은 집수 통로(161a)의 수평 단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집수판(161)은 집수 통로(161a)가 사각통 형상을 이루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집수 통로(161a)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집수판(161)에 의하여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서로 이웃하는 집수 통로(161a)와 인접하여 형성되며, 집수 통로(161a) 사이에 이격 공간 또는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집수판(161)은 집수 통로(161a)가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판(161)은 중심 축이 수직이 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집수판(161)은 전체 수평 면적이 하우징(110) 내부의 수평 면적과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판(161)은 외측면이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하우징(1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판(161)은 외측면이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이격되면서 별도의 블록(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우징(110)의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집수판(161)은 대전되어 이동하는 미스트를 포집하는데 필요한 수직 높이(L)로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160)를 통과하는 수증기의 흐름 속도가 클때 또는 분사되는 처리수의 온도가 높아 미스트의 이동 속도가 클 때는 집수판(161)의 수직 높이(L)를 증가시켜 미스트의 포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 높이(L)는 200 ∼ 1,000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높이(L)가 너무 크면, 미스트의 포집 효율이 증가되지만, 전류가 높아져서 소모 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높이(L)이 너무 작으면 대전된 미스트가 집수판(161)에 포집되지 못하고 방전부(160)의 상부로 흘러갈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판(161)은 집수판(161) 사이의 공간이 분사 노즐부(130)의 상부와 공간적으로 직접 연결되며, 분사 노즐부(130)를 통과한 포화 수증기가 유입된다.따라서, 상기 포화 수증기는 분사 노즐부(130)를 통과하여 집수판(161)과 집수판(161)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집수판(161)은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가 대전되어 표면에 포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집수판(161)은 집수 통로(161a)가 충진재부(120)의 상부 공간과 연결되어 포화 수증기가 집수판(16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포화 수증기의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집수판(161)은 전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제어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극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161)은 바람직하게는 하스텔로이(hastelloy),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과 카본이 혼합된 CFRP로 이루어지며, 부식에 대한 내구성이 증가된다. 한편, 상기 집수판(161)은 하우징(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의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전극(162)은 지지봉(163)과 방전판(16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162)은 집수판(161)의 집수 통로(161a)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방전극(162)은 전체적으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어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극(162)은 집수판(161)과 함께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지지봉(163)은 원기둥, 사각형 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과 같은 봉 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63)은 집수판(161)의 집수 통로(161a)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63)은 상단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167)에 결합되며,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봉(163)은 전체적으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어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전판(164)은 결합홀(164a)과 돌기(164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판(164)은 판상 또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164a)과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164b)를 포함한다. 상기 방전판(164)은 결합홀(164a)에 지지봉(163)이 삽입되어 지지봉(163)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방전판(164)은 복수 개가 수직 방향을 따라 지지봉(163)에 일정한 수직 거리(D)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된다. 상기 방전판(164)의 수직 거리(D)는 방전시 집수판(161)과 방전판(164)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선의 밀집 정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160)는 미스트가 집수판(161)과 방전판(164) 사이로 유입될 때, 수직 거리(D)에 따라 스파크 발생 정도가 조절되어 미스트를 효과적으로 포집한다. 상기 방전판(164)은 5∼ 100mm의 수직 거리(D)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10 ∼ 20mm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거리(D)가 너무 작으면, 전기력선의 과도한 밀집으로 동일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스파크 발생 빈도가 너무 높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거리(D)가 너무 크면, 미스트의 이온화율과 전자 발생 정도가 낮아져 미스트의 대전률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미스트의 포집 효율이 낮아진다.
상기 방전판(164)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하스텔로이(hastelloy)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S)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164b)는 방전판(164)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단부가 날카로운 형상이 되도록 삼각형상 또는 핀 형상으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64b)는 방전판(164)의 외측면에 규칙적인 형상과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160)는 집수판(161)과 돌기(164b)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균일하게 진행되어 보다 많은 미스트를 포집할 수 있다. 상기 돌기(164b)는 단부가 집수판(161)과 수평 거리(d)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평 거리(d)는 집수판(161)과 방전극(162) 사이에 인가되는 방전 전압을 결정한다. 상기 수평 거리(d)는 50 ∼ 200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거리(d)가 너무 작으면 방전 전압이 작아야 하므로 방전이 충분하지 않아 포집 효율이 낮아진다. 또한, 상기 수평 거리(d)가 너무 크면 방전 전압이 너무 높아지며, 대전된 미스트의 이동 거리가 길어져 포집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거리(d)는 인가되는 방전 전압에 비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수평 거리(d)에 따른 방전 전압은 20 ∼ 50kV로 이루어질 수 있다.상기 수평 거리(d)는 인가되는 방전 전압에 비례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 거리(d)가 증가하게 되면, 집수판(161)과 방전극(162) 사이에 인가되는 방전 전압도 증가된다. 또한, 상기 수평 거리(d)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의 양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상기 방전 전압이 너무 낮게 되면 방전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전 전압이 너무 높게 되면 코로나 방전이 진행되지 않으며, 스파크 방전이 발생되어 불꽃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돌기(164b)는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핀의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방전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집수판(161)과 방전판(164)은 면 대 핀의 비 평등 전계 방식에 의하여 방전이 진행되므로 낮은 방전 전압으로 보다 효율적인 코로나 방전이 진행되어 미스트를 효과적으로 대전시켜 집진한다.
한편, 상기 방전판(164)은 지지봉(161)에 용접되어 고정되거나, 방전판(164) 사이에 별도의 고정 가이드(미도시)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가이드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봉(161)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방전판 사이를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방전판(164)은 지지봉(16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전판(164)은 지지봉(163)의 표면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65)은 가로 프레임(166) 및 세로 프레임(167)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65)은 집수판(161)의 상부에 위치하며, 방전극(162)의 상부와 결합되어 집수판(161)과 이격되도록 방전극(162)을 지지한다. 여기서, 가로 방향은 도 2에서 x 방향을 의미하며, 세로 방향은 y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65)은 집수판(161) 및 하우징(110)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어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은 결합관계가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로 프레임(166)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봉(162)과 타측에 위치하는 지지봉(162) 사이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166)은 복수 개가 세로 방향을 따라 지지봉(162)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166)은 지지봉(162)의 상단과 결합되어 지지봉(162)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가로 프레임(166)은 애자 모듈(168)의 고정봉(164a) 상부와 결합되어 애자 모듈(168)을 지지한다.
상기 세로 프레임(167)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166)과 후측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166) 사이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세로 프레임(167)은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지며, 가로 프레임(166)의 양측에서 각각 가로 프레임(166)의 양측에 결합되어 가로 프레임(166)을 지지한다.
상기 애자 모듈(168)은 고정봉(168a)과 상부 블록(168b)과 애자(168c)와 하부 블록(168d) 및 고정판(168e)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애자 모듈(168)은 집수판(161)의 내측에서 방전극(162)이 형성되어야 하는 위치에 위치하며, 집수판(161)과 방전극(162)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한다. 상기 애자 모듈(168)은 하우징(110)의 모서리 방향에 인접한 방전극(162)의 위치에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165)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애자 모듈(168)은 방전부(160)의 부피와 수평 면적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애자 모듈(168)은 애자(168c)의 일부가 집수판(161)의 집수 통로(161a)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방전부(160)의 높이를 감소시킨다. 상기 애자 모듈(168)은 집수 통로(161a)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조절함으로써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방전부(160)의 높이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애자 모듈(168)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애자(168c)와 집수판(161)의 간격이 좁아서 집수판(161)과 애자(168c) 사이에 전기적으로 쇼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애자(168c)가 위치하는 집수 통로의(161a) 수평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외측으로 집수판(161)이 변형되도록 하거나, 인접한 집수 통로(161a) 4개를 합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형성한 후에 애자(168c)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자 모듈(168)은 애자(168c)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168a)과 상부 블록(168b) 또는 하부 블록(168d)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봉(168a)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지지 프레임(165)의 가로 프레임(166)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봉(168a)은 애자 모듈(168)의 전체 높이를 고려하여 적정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블록(168b)은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고정봉(168a)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 블록(168b)은 애자(168c)의 면적에 따라 애자(168c)의 고정에 필요한 적정한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블록(168b)은 하부가 애자(168c)의 상부에 결합되므로 애자(168c)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블록(168b)는 고정봉(168a)이 애자(168c)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애자(168c)는 전기 절연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반적인 애자로 형성된다. 상기 애자(168c)는 수평 단면적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직경이 집수 통로(161a)의 폭 및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애자(168c)는 집수 통로(161a)의 높이와 방전부(160)의 허용되는 높이를 고려하여 적정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애자(168c)는 상부가 상부 블록(168b) 또는 고정봉(168a)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 블록(168d)은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애자(168c)의 하부에 결합되어 애자(168c)를 지지한다. 상기 하부 블록(168d)은 애자(168c)의 면적에 따라 애자(168c)의 고정에 필요한 적정한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블록(168d)은 상부가 애자(168c)의 하부에 결합되므로 애자(168c)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68e)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폭 또는 길이가 집수 통로(161a)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68e)은 집수판(161)의 집수 통로(161a)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에서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68e)은 하부 블록(168d)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부 블록(168d)과 애자(168c)를 지지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방전부(160)의 결합관계를 보면, 집수판(161)은 하우징(110)의 상부 내측에서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방전극(162)은 지지 프레임(165)에 의하여 지지되며, 집수판(161)의 집수 통로(161a)에 집수판(161)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삽입된다. 상기 애자 모듈(168)은 집수판(161)의 평면을 기준으로 네 모서리 부근 영역에서 집수판(161)의 집수 통로(161a)에 애자(168c)의 일부가 삽입되고, 고정판(168e)이 애자(168c)를 지지하면서 집수판(16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 애자 모듈(168)은 상부가 지지 프레임(165)과 결합되며 지지 프레임(165)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방전극(162)은 애자 모듈(168)에 의하여 집수판(161)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지지된다. 상기 방전부(160)는 애자 모듈(168)이 집수판(161)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부피와 수평 면적이 감소되며, 백연 저감 냉각탑의 전체 부피와 수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100)의 구체적인 작용을 보면,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상부 공기 배출구(113)에 결합되어 있는 배출부(150)의 모터(151) 및 냉각팬(152)이 작동되고, 하우징(110) 외부의 외부 공기가 하부 공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하우징(110) 하부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외부 공기는 상승하면서, 충진재부(120)를 통과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수관(140)은 냉각수 유입구(115)에 연결되는 공정 설비의 냉각수 유입 배관(115a)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각수를 공급받아 분사 노즐부(130)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냉각수관(140)은 집수조(116)와 충진재부(120)를 통과하면서 일차로 냉각수를 냉각하게 된다. 상기 냉각수는 분사 노즐부(130)의 분사관(131)과 분사 노즐(132)을 통하여 흐르면서 충진재부(120)의 상부로 분사된다. 상기 냉각수는 하부로 낙하되면서 하부에서 상승하는 외부 공기와 접촉한다. 상기 냉각수는 충진재부(120)의 상부와 내부 및 하부에서 지속적으로 외부 공기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는 냉각수와 접촉하여 온도가 상승되면서, 이슬점이 상승하고 습도가 상승하여 포화 수증기로 된다. 한편, 상기 상부 공기 유입구(112)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포화 수증기와 혼합되면서 포화 수증기의 온도와 상대 습도를 낮추게 된다. 상기 포화 수증기는 상승하면서 방전부(160)의 집수판(161) 사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방전부(160)는 집수판(161)과 방전극(162) 사이에 인가되는 방전 전압에 의하여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킨다. 상기 포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는 인가되는 방전 전압에 의하여 극성을 가지면서 대전되고, 서로 다른 극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크기가 증가된다. 상기 미스트는 크기가 커지면서 집수판(161) 또는 방전극(162)에 포집되어 하부로 흐르게 되며,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집수조(116)에 집수된다. 상기 포화 수증기는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진 상태로 방전부(160) 상부로 상승하면서 배출 공기로 된다. 상기 배출 공기는 배출부(150)에 의하여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 공기는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되므로 백연 발생이 저감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3에 대응되는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분사 노즐부(130)와 배출부(150) 및 방전부(2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은 냉각수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260)를 제외한 부분은 도 1a내지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10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한 전체 구조를 도시하지 않고 방전부(260)만을 도시하고 방전부(2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260)는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100)의 방전부(16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전부(260)는 집수판(261)과 방전극(162)과 지지 프레임(167) 및 애자 모듈(168)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261)은 폭과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판상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261)은 포화 수증기의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집수판(261)은 별도의 지지부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복수 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판(261)은 전측과 후측 방향으로는 집수 통로(261a)가 서로 연결되며,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는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애자 모듈(168)은집수판(261)의 4 개의 모서리 영역에서 방전극(162)이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애자 모듈(168)은 방전극(162)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설치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3에 대응되는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도 1a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분사 노즐부(130)와 배출부(150) 및 방전부(3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은 냉각수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360)를 제외한 부분은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10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3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360)는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16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전부(360)는 집수판(361)과 방전극(162)과 지지 프레임(167) 및 애자 모듈(168)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360)는 집수판(361)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방전부(16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집수판(36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집수 통로(361a)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361)은 집수 통로(361a)의 수평 단면 형상이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즉, 상기 집수판(361)은 집수 통로(361a)가 육각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360)는 수평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벌집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판(361)은 수평 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을 이루며, 6 개의 삼각형상이 서로 하나의 꼭지점을 맞대어 육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즉, 상기 집수판(361)은 집수 통로(361a)가 삼각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전부(360)의 전체 평면 형상이 사각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집수판 사이의 빈 영역(a)은 별도의 부재로 차폐되어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의 하우징(110)도 수평 평면 형상이 원형, 육각 형상 또는 팔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보다 효율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집수판(361)을 배열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3에 대응되는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도 1a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분사 노즐부(130)와 배출부(150) 및 방전부(4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은 냉각수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460)를 제외한 부분은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4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460)는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16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전부(460)는 집수판(461)과 방전극(162)과 지지 프레임(167) 및 애자 모듈(168)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460)는 집수판(461)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방전부(16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집수판(46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집수 통로(461a)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461)은 집수 통로(461a)의 수평 단면 형상이 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집수 통로(461a)는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방전부(460)의 전체 형상이 사각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집수판(461) 사이의 빈 영역(a, b)은 별도의 부재(미도시)로 차폐되어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의 하우징(110)도 수평 평면 형상이 원형, 육각 형상 또는 팔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보다 효율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집수판(461)을 배열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도 1a의 방전부에 대응되는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도 1a 내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분사 노즐부(130)와 배출부(150) 및 방전부(5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은 냉각수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560)를 제외한 부분은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5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560)는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16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전부(560)는 집수판(161)과 방전극(562)과 지지 프레임(167) 및 애자 모듈(568)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부(460)는 집수판(461)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방전부(16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562)는 지지봉(563)과 방전판(16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563)은 애자 모듈의 위치가 높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지지봉(163)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애자 모듈(568)은 고정봉(168a)과 상부 블록(168b)과 애자(168c)와 하부 블록(168d) 및 고정판(568e)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애자 모듈(568)은 집수판(161)의 상부에서 방전극(162)이 형성되어야 하는 위치에 위치하며, 집수판(161)과 방전극(162)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판(568e)이 집수판(161)의 상면에서 집전 통로(161a)의 상부에 안착되며, 그 상부로 고정봉(168a)과 상부 블록(168b)과 애자(168c)와 하부 블록(168d)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애자 모듈(568)은 집수판(161)의 상부에서 전체가 노출되면서 지지 프레임(167)을 지지한다. 상기 애자 모듈(568)은 집수판(161)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 프레임(167)을 지지하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한 측면이 있다.
한편,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애자 모듈(568)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애자 모듈(568)은 집수판이 원통 형상 또는 육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도 1a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충진재부(120)와 처리수 분사부(130)와 방전부(660) 및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연 저감 냉각탑은 처리수 공급관(1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은 방전부(660)를 제외한 부분은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의 방전부(6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660)는 도 1a 내지 도 3에 따른 백연 저감 냉각탑(100)의 방전부(16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전부(660)는 집수판(161)과 방전극(662)과 지지 프레임(167) 및 애자 모듈(168)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662)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집수판(16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전극(662)은 별도의 지지부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복수 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전극(662)은 서로 이웃하여 대향하는 두 개의 집수판(161) 사이의 공간에서 집수판(161)과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전극(662)은 양면이 대향하는 집수판(161)의 표면과 동일 거리로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한편, 상기 애자 모듈(168)이 위치하는 집수판(161) 사이에는 방전극(662)이 위치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애자 모듈(168)이 위치하는 집수판(161) 사이에는 별도의 부재(미도시)로 밀폐하여 수증기를 포함하는 포화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부(66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집수판(161)과 방전극(662)에 의하여 방전이 진행되므로 보다 넓은 면적에서 방전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전부(660)는 미스트의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100: 백연 저감 냉각탑
110: 하우징 120: 충진재부
130: 분사 노즐부 140: 냉각수관
150: 배출부
160, 260, 360, 460, 560, 660: 방전부

Claims (11)

  1. 내부가 중공이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하부 공기 유입구 및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상부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 공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통과하여 상부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충진재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충진재부의 상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분사 노즐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방전에 의하여 상기 냉각수와 외부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방전부 및
    상기 상부 공기 배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방전부를 통과한 상기 배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전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복수 개의 집수 통로가 평면상으로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수판과,
    상기 집수판의 집수 통로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지지봉과,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방전판을 구비하는 방전극과,
    상기 집수판의 상부에서 위치하여 상기 방전극이 상기 집수판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집수판과 방전극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결합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집수판의 집수 통로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에서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애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 통로는 서로 이웃하는 집수 통로와 인접하여 형성되어 상기 집수통로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분사 노즐부와 상기 방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상부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통로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사각통 형상 또는 육각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 모듈은 상기 고정봉의 하부 및 상기 애자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애자의 하부 및 고정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블록을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43478A 2013-06-21 2016-04-08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88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329 2013-06-21
KR20130071329 2013-06-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137A Division KR20140148287A (ko) 2013-06-21 2014-02-14 백연 저감 냉각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651A KR20160045651A (ko) 2016-04-27
KR102088371B1 true KR102088371B1 (ko) 2020-03-13

Family

ID=5267669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137A KR20140148287A (ko) 2013-06-21 2014-02-14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150090910A KR101613832B1 (ko) 2013-06-21 2015-06-26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160042197A KR101781185B1 (ko) 2013-06-21 2016-04-06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160043478A KR102088371B1 (ko) 2013-06-21 2016-04-08 백연 저감 냉각탑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137A KR20140148287A (ko) 2013-06-21 2014-02-14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150090910A KR101613832B1 (ko) 2013-06-21 2015-06-26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160042197A KR101781185B1 (ko) 2013-06-21 2016-04-06 백연 저감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401482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101B1 (ko) * 2021-08-11 2022-01-06 주식회사 진에너텍 하이브리드 습식 전기 집진장치 및 그가 적용된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633B1 (ko) * 2015-07-06 2017-04-10 (주)에코솔루텍 전기집진기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분차단 애자
KR102230763B1 (ko) * 2019-05-14 2021-03-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집진 모듈을 갖는 냉각탑
CN111947481B (zh) 2019-05-14 2023-03-24 斗山重工业建设有限公司 冷却塔用集尘装置及包含该集尘装置的冷却塔
KR102521340B1 (ko) * 2022-07-11 2023-04-13 이대식 냉각탑의 혼합부 구조
KR102521339B1 (ko) * 2022-07-11 2023-04-13 이대식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521341B1 (ko) * 2022-07-11 2023-04-13 이대식 수증기 포집 용수 절감 냉각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7664A1 (de) * 1984-07-26 1986-02-06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Verdunstungskuehlturm
JPH0849989A (ja) * 1994-08-09 1996-02-20 Shin Nippon Reiki Kk 白煙防止装置を備えた冷却塔
KR101239841B1 (ko) * 2011-02-09 2013-03-11 현테크이엔지 주식회사 일체형 백연 및 악취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101B1 (ko) * 2021-08-11 2022-01-06 주식회사 진에너텍 하이브리드 습식 전기 집진장치 및 그가 적용된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287A (ko) 2014-12-31
KR101613832B1 (ko) 2016-04-20
KR20160045651A (ko) 2016-04-27
KR20160043942A (ko) 2016-04-22
KR20150081420A (ko) 2015-07-14
KR101781185B1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371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1349114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88373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EP2781868A2 (en) Plume-reducing cooling tower
US11541400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apparatus and cooling tower having same
KR101604288B1 (ko) 플래시 탱크용 백연 저감 장치
KR101785421B1 (ko) 백연 제거 장치
TWI651122B (zh) 一種用於煙氣淨化的電除霧器
CN102626672B (zh) 一种改进的导电玻璃钢电除雾器
US2021037031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species from a gas stream
CN202570380U (zh) 一种改进的导电玻璃钢电除雾器
CN205269910U (zh) 湿式电除尘器可调节式烟气导流装置
CN104492604A (zh) 一种湿式水膜电极电凝并器
CN104923405A (zh) 一种湿式静电除尘除雾装置
KR102165516B1 (ko)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셀 구조체 및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전극의 제조 방법
KR102230763B1 (ko) 집진 모듈을 갖는 냉각탑
CN210544266U (zh) 用于恶臭废气处理的双介质阻挡放电装置
KR102521339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521340B1 (ko) 냉각탑의 혼합부 구조
KR102521341B1 (ko) 수증기 포집 용수 절감 냉각탑
CN204866201U (zh) 湿式静电除尘除雾装置
CN203935909U (zh) 一种湿式电除尘器
CN104259001B (zh) 立式方管湿式电除尘器
CN221085969U (zh) 一种沥青烟气处理装置
CN219785142U (zh) 一种新型静电除尘结构及其金属氟化物颗粒捕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