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263B1 -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263B1
KR102088263B1 KR1020190046539A KR20190046539A KR102088263B1 KR 102088263 B1 KR102088263 B1 KR 102088263B1 KR 1020190046539 A KR1020190046539 A KR 1020190046539A KR 20190046539 A KR20190046539 A KR 20190046539A KR 102088263 B1 KR102088263 B1 KR 10208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sensor
sensor switch
unit
coil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철홍
신재욱
김병호
이정진
최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노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노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노펙스
Priority to KR102019004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모듈은 포스 센서 스위치,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선택부 및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의 전류량 변화를 검출하는 전류량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는 베이스부 상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터치 압력에 따라 가변되어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량을 변화시키거나 상기 코일부의 노출된 상부와 접촉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선택부는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코일부가 상기 전류량검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포스 센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코일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가 적용된 기기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원 인가 스위치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FORCE SENSOR SWITCH MODULE}
본 발명은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포스 센서 스위치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기유도 방식 포스 센서는 압력에 의해 가변되는 코일의 인덕턴스(inductance)의 변화를 감지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코일에 고주파 교류 전압을 인가하면 코일의 인덕턴스에 반비례하는 AC 전류가 흐른다. 이때, 금속과 같은 투자율(permeability) 높은 물체가 코일에 접근하면 코일의 전체 인덕턴스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흐르는 전류가 감소한다. 이러한 전류의 변화를 기초로 물체의 접근을 검출할 수 있다.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의 용량형 포스 센서와 달리 자기유도 방식 포스 센서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코일의 인덕턴스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자기유도 방식 포스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형화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적용되는 소자를 소형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그러나, 소자를 소형화에는 일정한 한계가 존재하고, 그 대안으로 다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소자의 개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력 센서로 기능함과 동시에 적용된 기기의 on/off 스위치로 기능할 수 있는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은 포스 센서 스위치(100),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선택부(200) 및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100)의 전류량 변화를 검출하는 전류량검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는 베이스부(110), 상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코일부(120), 상기 코일부(12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터치 압력에 따라 가변되어 상기 코일부(120)에 흐르는 전류량을 변화시키거나 상기 코일부(120)의 노출된 상부와 접촉하는 가압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선택부(200)는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코일부(120)가 상기 전류량검출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포스 센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코일부(120) 및 상기 가압부(140)가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가 적용된 기기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원 인가 스위치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드 선택은 상기 기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켜져 있는 상태인지 여부 또는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기가 꺼진(off) 상태이면, 상기 모드 선택부(200)는 상기 코일부(120) 및 상기 가압부(140)가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가 적용된 기기의 전원부에 연결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코일부(120)가 터치 압력에 따라 가변된 상기 가압부(140)와 접촉되면 상기 기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기가 켜진(on) 상태이면, 상기 모드 선택부(200)는 상기 코일부(120)가 상기 전류량검출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전류량검출부(300)가 상기 전류량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40)은 복원력을 갖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은 상기 가압부(140)가 터치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어 상기 전류량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일 때, 사용자에게 상기 가압부(140)가 상기 코일부(120)에 접근한 상태임을 알리는 동작범위지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에 의하면 전류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가변제어 가능한 센서로 기능함과 동시에 on/off 스위치로도 기능할 수 있어 적용될 기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다기능 소자로서 상황에 맞춰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가압부가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on/off 스위치와 포스 센서 기능을 동시에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의 동작 설명을 위한 예시적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회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 시스템에서, 몇몇 경우에서의 요소는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를 가져서 표현된 요소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요소는 상이한 구현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거나 기술된 시스템 중 몇몇 또는 전부와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제1 요소로 지칭되는지 및 어느 것이 제2 요소로 불리는지는 임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전달' 또는 '제공'한다 함은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물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스 센서 스위치(100)는 베이스부(110), 코일부(120), 가압부(140), 및 접촉부(14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100)의 전류량 신호 출력을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으로서, FPCB, PCB 및 사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코일부(120)는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설정되며 고주파 자계를 발생시킨다. 코일부(120)는 그 상부가 베이스부(110)의 상부로 노출되어 형성된다. 코일부(120)는 병렬 또는 직렬 연결된 복수의 코일이 적층되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가압부(140)는 베이스부(110)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가압부(140)는 금속과 같은 투자율(permeability)이 높고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부(140)는 도 1과 같이 돔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돔 형상의 가압부(140)를 예시하여 설명하나 가압부(14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례로 “┏━┓” 형상과 같이 가압부(140)는 사용자의 가압에 변형되어 코일의 인덕턴스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량에 기반한 출력값(출력신호)은 볼륨, 밝기, 채널 변경 등의 연속적인 가변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접촉부(145)는 사용자의 터치 압력 작용시 가압부(140)의 상부 중앙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서 접촉부(145)와 가압부(140)를 서로 구별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서 접촉부(145)와 가압부(140)는 물리적으로 구별되지 않는 가압부(140)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접촉부(145)는 가압부(140)의 일부 영역을 지칭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접촉부(1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영역일 수 있다. 또 이후 설명될 실시예에서 코일부(12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압부(140)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가압부(140)의 일부, 즉 접촉부(145)가 코일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100)는 on/off 제어 스위치로 기능할 수 있는데, 이는 이후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가압부(140)를 덮는 덮개부, 코일부(120) 및 가압부(140)와 이후 설명할 모드 선택부(2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on/off 스위치와 포스 센서 기능을 동시에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의 동작 설명을 위한 예시적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100)의 코일부(120)와 가압부(140)는 각각 모드 선택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드 선택부(200)는 포스 센서 스위치(100)가 on/off 스위치(스위치 모드)로 기능하도록 할 것인지, 포스 센서(포스 센서 모드)로 기능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실시의 일례에서, 기능할 모드(스위치 모드 또는 포스 센서 모드)의 결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가 구비된 기기의 전원 on/off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모드 선택부(200)는 코일부(120)와 가압부(140)를 전류량검출부(300) 또는 기기 전원부(400)와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포스 센서 스위치(100)를 각각 포스 센서 모드 또는 스위치 모드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류량검출부(300)는 기기가 켜진(on) 상태일 때, 코일부(1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변화하는 전류량 값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전류량 값과 그 변화에 기반하여 기기 제어를 위한 가변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가변 제어 신호는 기기의 음량, 밝기 조절 등을 위한 신호이거나 온도, 습도 조절을 위한 신호일 수 있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어 해당 기기에 필요한 연속적인 가변제어 신호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한 전류량의 변화가 일정 값을 초과할 경우(실시예에 따라서 전류량이 일정 값 이하로 감소하거나 또는 전류량이 일정 값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전류량검출부(300)는 기기 off 신호로 인식하여 모드 선택부(200)로 off 제어 신호를 전달 할 수 있다.
기기 전원부(400)는 기기가 꺼짐(off) 상태일 때 코일부(120) 또는 가압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때 가압부(140) 또는 코일부(120)는 Vcc(+)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접촉부(145)를 눌러 접촉부(145)와 코일부(120)가 접촉되도록 하면 결과적으로 코일부(120)와 가압부(140)가 단락되어 전원(Vcc+)이 기기 전원부(400)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의 Touch IC, MCU(Micro Controller Unit)은 각각 도 3의 전류량검출부(300) 및 기기 전원부(400)의 구체적인 예일 뿐, 도 3의 전류량검출부(300) 및 기기 전원부(400)가 Touch IC, MCU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Touch IC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전류량의 변화를 기반으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자들로 구성된 회로, 모듈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MCU 또한 적용되는 기기에 따라 다양한 CPU, 프로세서, 제어기(controller)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박스 안의 모드 선택부(200)의 회로 구성 또한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표시한 예시적인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100)는 시스템의 on/off 스위치 및 가변 제어를 위한 압력 센서로 동시에 기능할 수 있는바,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기계, 기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휴대전화, 자동차 등의 기기에 사용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스위치 모드로 동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포스 센서 스위치(100)가 적용된 기기가 off 상황일 때를 예시한 것으로 모드 선택부(200)에 의해 코일부(120)가 MCU 전원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Vcc(+)는 가압부(140)에 연결된다. 이때, 전원 입력단자에 가압부(140)가 연결되고 코일부(120)에 Vcc(+)가 연결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사용자가 접촉부(145)에 압력을 가하여 접촉부(145)와 코일부(120)가 접촉되도록 하면 MCU 전원 입력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기기가 on 상태로 변경된다. 즉, 이때의 포스 센서 스위치(100)는 스위치 모드로 기능하여 기기의 on/off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기기가 켜짐(on) 상태로 전환되면 모드 선택부(200)에 의해 코일부(120)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Touch IC로 연결되고 포스 센서 스위치(100)는 포스 센서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화하는 전류량 값을 Touch IC가 검출하여 전류량 값을 기반으로 가변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는 기기에 적용되어 on/off 스위칭과 가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다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휴대전화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는 하나의 소자로서 휴대전화의 on/off 제어, 휴대전화의 밝기 조절, 음량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전자기기의 on/off 제어는 물론 자동차의 시동 스위치로 기능함과 동시에 차랑내 온도/습도 조절을 위한 공조장치 제어, 사이드 미러 조정, 창문의 열림 정도 조정 등 가변적 연속제어가 필요한 모든 부분에 대하여 적용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의 예시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의 접촉부(145)를 눌러 접촉부(145)와 코일부(120)간 간격이 줄어들면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량의 변화가 생기고, 검출된 전류량의 변화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Touch IC는 기기 off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기기를 off 시킬 수 있다. 이때 모드 선택부(200)는 코일부(120) 및 가압부(140)의 Touch IC와의 연결을 도 4의 예시와 같이 전환하여 이후 스위치 모드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는 스위치 모드 또는 포스 센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포스 센서 모드로 동작할 때 가압부(140)는 접촉부(145)와 코일(120)가 비접촉되는 범위 내에서 변형되도록 가압되어야 하고, 스위치 모드로 동작할 때 가압부(140)는 접촉부(145)와 코일부(120)가 접촉되도록 가압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류량의 변화를 주는 동작 범위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 편의와 사용자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동작 모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은 사용자가 접촉부(145)와 코일부(120)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류량의 변화를 주는 동작범위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는 동작범위지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의 일례에서 동작범위지시부(160)는 코일부(120) 주위에 배치되어 가압부(140)가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코일부(120)에 접근할 때, 접촉되기 전에 가압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살짝 걸리는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작범위지시부(160)는 코일부(120) 주변을 둘러싼, 상부가 개방된 격벽 형태, 베이스부(110)에 돌출된 돌기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격벽의 높이나 돌기의 높이는 코일부(120)의 돌출된 상부의 높이보다 높게 하여 가압에 의하여 가압부(140)가 코일부(120)에 접근할 때, 코일부(120)에 닿기 전에 동작범위지시부(160)에 의해 사용자가 가압부(140)가 코일부(120)에 상당히 접근한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8 또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120) 주변에 동작범위지시부(160)로서 탄성부재를 두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가압부(140)가 코일부(120)에 접근할 때, 탄성부재에 먼저 닿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가압부(140)가 코일부(120)에 상당히 접근한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하고, 계속 가압하면 가압부(140)가 코일부(120)에 접촉된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작범위지시부(160)는 진동, 소리 등을 통해 가압부(140)가 코일부(120)에 상당히 근접한 상태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동작범위지시부(160)는 진동 또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소자(가령, 스피커, 진동모터)를 포함한 모듈일 수 있다. 해당 모듈은 전류량검출부(300)가 전류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변화하였음을 인식하였을 때 생성하여 전달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 또는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따른 포스 센서 스위치에 의하면 전류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가변제어 가능한 센서로 기능함과 동시에 on/off 스위치로도 기능할 수 있어 적용될 기기의 소형화 할 수 있다. 다기능 소자로서 상황에 맞춰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포스 센서 스위치(100);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선택부(200); 및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100)의 전류량 변화를 검출하는 전류량검출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는,
    베이스부(110);
    상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코일부(120);
    상기 코일부(12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터치 압력에 따라 가변되어 상기 코일부(120)에 흐르는 전류량을 변화시키거나 상기 코일부(120)의 노출된 상부와 접촉하는 가압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200)는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코일부(120)가 상기 전류량검출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포스 센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코일부(120) 및 상기 가압부(140)가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가 적용된 기기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원 인가 스위치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은 상기 기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켜져 있는 상태인지 여부 또는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포스 센서 스위치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꺼진(off) 상태이면, 상기 모드 선택부(200)는 상기 코일부(120) 및 상기 가압부(140)가 상기 포스 센서 스위치가 적용된 기기의 전원부에 연결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코일부(120)가 터치 압력에 따라 가변된 상기 가압부(140)와 접촉되면 상기 기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포스 센서 스위치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켜진(on) 상태이면, 상기 모드 선택부(200)는 상기 코일부(120)가 상기 전류량검출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전류량검출부(300)가 상기 전류량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포스 센서 스위치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40)은 복원력을 갖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 것인, 포스 센서 스위치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40)가 터치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어 상기 전류량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일 때, 사용자에게 상기 가압부(140)가 상기 코일부(120)에 접근한 상태임을 알리는 동작범위지시부(160)를 더 포함하는, 포스 센서 스위치모듈.
KR1020190046539A 2019-04-22 2019-04-22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 KR10208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39A KR102088263B1 (ko) 2019-04-22 2019-04-22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39A KR102088263B1 (ko) 2019-04-22 2019-04-22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263B1 true KR102088263B1 (ko) 2020-03-12

Family

ID=6980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539A KR102088263B1 (ko) 2019-04-22 2019-04-22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9416A1 (en) * 2022-01-24 2023-07-27 Sateco Ag An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a button/switch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38B1 (ko) * 2012-10-18 2013-11-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도전성 고무를 이용한 포터블 기기의 멀티 스위치, 압력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40951A (ko) * 2012-05-18 2013-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돔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JP2014123430A (ja) * 2012-06-12 2014-07-03 Fujikura Ltd 入力装置
JP2016530635A (ja) * 2013-08-23 2016-09-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遠隔制御デバイス
KR20190023171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시노펙스 가변 제어용 포스 센서 스위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951A (ko) * 2012-05-18 2013-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돔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JP2014123430A (ja) * 2012-06-12 2014-07-03 Fujikura Ltd 入力装置
KR101326238B1 (ko) * 2012-10-18 2013-11-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도전성 고무를 이용한 포터블 기기의 멀티 스위치, 압력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530635A (ja) * 2013-08-23 2016-09-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遠隔制御デバイス
KR20190023171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시노펙스 가변 제어용 포스 센서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9416A1 (en) * 2022-01-24 2023-07-27 Sateco Ag An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a button/switch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0757B1 (ko)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292570B (zh) 具有设计为电容式传感器的稳定膜的远程控制器
US1106148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pen input device with multiple input butt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10128724A (ko)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KR20120125278A (ko) 조작 장치
KR102088263B1 (ko)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
JP2004013507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入力装置
JP2007173068A (ja) スイッチ装置
JP2013206296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CN100399371C (zh) 遥控发送机及使用它的发送接收装置
WO2012169138A1 (ja) 入力装置
JP6170254B2 (ja) 電子機器
US8319670B2 (en) Input arrangement
KR102110406B1 (ko) 포스 센서 스위치 모듈
US8385849B2 (en) Standby mode switch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ame
JP2008059912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KR102667305B1 (ko) 광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08206974B (zh) 耳机控制器
JP2008078022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JP2007173167A (ja) 静電検出機能付スイッチ装置
CN210324154U (zh) 触控装置和电子设备
US11863141B2 (en) Audio equipment including rotary operation unit, operation detecting section, power supplying section, and monitoring section
US20220121340A1 (en) Touch sens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119879A (ko) 입력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210112076A (ko) 자기유도 방식의 포스 센서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