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936B1 -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936B1
KR102087936B1 KR1020130022116A KR20130022116A KR102087936B1 KR 102087936 B1 KR102087936 B1 KR 102087936B1 KR 1020130022116 A KR1020130022116 A KR 1020130022116A KR 20130022116 A KR20130022116 A KR 20130022116A KR 102087936 B1 KR102087936 B1 KR 10208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signal
caution
optical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7916A (en
Inventor
이광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936B1/en
Publication of KR2014010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9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9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의 VLC를 이용한 보행자 보호 장치는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가시광통신 방식으로 주의 신호를 발생하여 보행자로 접근하는 접근 차량으로 전송하여, 접근 차량이 주의 신호에 따라 주의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광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using the VL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generates a caution signal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in response to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destrian and a detection unit, and transmits a caution signal to an approaching vehicle approaching the pedestrian. It includes an optical signal generator for taking a precautionary measure according to the attention signal.

Description

가시광통신 방식을 이용한 보행자 보호 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Pedestrian protection device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실시예는 가시광통신 방식을 이용한 보행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보행자는 교통 신호등에 의존하여 횡단보도나 철도 건널목을 건너가지만, 횡단보도를 지나가는 자동차나 철도 건널목을 지나가는 기차로부터 보행자는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Pedestrians rely on traffic lights to cross pedestrian crossings or railroad crossings, but pedestrians are always at risk from cars passing through pedestrian crossings or trains passing through railroad crossings.

특히, 우천시 또는 짙은 안개 등의 악천후에서는 자동차나 기차 같은 차량의 운행자는 멀리까지 시야가 확보할 수 없어, 보행자와 차량이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보행자가 노약자나 임산부나 어린이일 경우, 이러한 보행자와 차량 간의 충돌 가능성은 보다 높아지게 되어, 보행자의 보호가 요망된다.In particular, in bad weather such as rainy weather or heavy fog, a driver of a vehicle such as a car or a train cannot secure a far field of view,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a pedestrian and a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pedestrian is an elderly person, a pregnant woman, or a child, the possibility of such collision between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becomes higher, and protection of the pedestrian is desired.

실시예는 횡단보도나 철도 건널목 등을 지나가는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가시광통신 방식을 이용한 보행자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protect pedestrians from vehicles passing through pedestrian crossings or railroad crossings.

실시예의 VLC를 이용한 보행자 보호 장치는,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가시광통신 방식으로 주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보행자로 접근하는 접근 차량으로 전송하여, 상기 접근 차량이 상기 주의 신호에 따라 주의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광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Pedestrian protection device using the VLC of th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pedestrians; And in response to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generating a caution signal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ting the caution signal to an approaching vehicle approaching the pedestrian, so that the approach vehicle takes caution according to the caution signal. Contains wealth.

다른 실시예의 VLC를 이용한 보행자 보호 장치는,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가시광통신 방식으로 광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주의 신호를 수신하는 광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주의 신호에 따라 주의 조치를 취하는 주의 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신호 수신부 및 상기 주의 조치부는 상기 보행자로 접근하는 접근 차량에 포함된다.In another embodiment,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pedestrian using a VLC may include: an optical signal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caution signal generated by an optical signal generator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destrian; And a caution measure that takes cau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caution signal, wherein the optical signal receiver and the caution measure are included in the approach vehicle approaching the pedestrian.

상기 광신호 발생부는 상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주의 신호를 가시광신호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조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된 주의 신호를 가시광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signal generation unit modulates the attention signal as a visible light signal in response to the detected result; And a light emitting unit converting the modulated attention signal into a visible ligh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attention signal.

상기 광신호 수신부는 상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기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signal receiving unit receives the visible light signal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the electrical signal.

상기 주의 조치부는 상기 복조된 주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접근 차량이 주의할 것을 알리는 주의 음성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성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ution measurer may include a voice generator that generates and outputs a caution voice informing that the approach vehicle is to be cautioned according to the demodulated caution signal.

상기 광신호 수신부와 상기 음성 생성부는 상기 접근 차량의 차량용 블랙 박스에 내장될 수 있다.The optical signal receiver and the voice generator may be embedded in a vehicle black box of the approach vehicle.

상기 주의 조치부는 상기 복조된 주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접근 차량의 추가 가속을 제한하거나, 상기 접근 차량의 최고 속도를 제한하거나, 상기 접근 차량을 감속시킬 수 있다.The attention measurer may limit further acceleration of the approach vehicle, limit the maximum speed of the approach vehicle, or slow down the approach vehicle according to the demodulated caution signal.

상기 감지부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장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은 상기 보행자에 의해 소지되는 자기장 감지부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And a signal detecto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edestrian according to a result of sensing the chang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wherein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or may be changed by a magnetic field detector held by the pedestrian.

상기 자기장 감지부는 상기 보행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거나, 상기 보행자의 목걸이에 부착되거나 상기 보행자의 지팡이에 부착될 수 있다.The magnetic field detector may be attached to a portable terminal carried by the pedestrian, attached to a necklace of the pedestrian, or attached to a walking stick of the pedestrian.

상기 전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신호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기둥 모양의 받침대에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and the signal detecting unit may be disposed on a columnar pedestal.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보행자의 측부에서 다중의 빔을 생성하도록 서로 마주보며 배열된 센서 어레이; 및 상기 빔의 파괴 패턴을 인지하고, 인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includes an array of sensors facing each other to generate multiple beams on the side of the pedestrian;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a breaking pattern of the beam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edestrian is present according to the recognized result.

상기 센서 어레이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 쌍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적외선 센서 쌍 각각은 상기 보행자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서 상기 다중의 빔을 형성한다.The sensor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 pair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 pairs forms the multiple beams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edestrian.

상기 센서 어레이는 기둥 모양의 받침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or array may be disposed on a columnar pedestal.

상기 센서 어레이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의 파괴 패턴을 인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보행자가 어린이인가를 감별할 수 있다.The sensor array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and the controller may discriminate whether the pedestrian is a child according to a result of recognizing a breakdown pattern of the beam.

상기 감지부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배치되거나 철도 건널목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신호 발생부는 상기 횡단보도 또는 상기 철도 건널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신호 발생부는 상기 횡단보도에 인접한 연석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b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crosswalk or at both sides of the railroad crossing.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may be disposed at the crosswalk or the railroad crossing.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may be disposed on a curb adjacent to the crosswalk.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통신 방식을 이용한 보행자 보호 장치는 횡단보도나 철도 건널목을 건너고자하는 보행자가 감지될 때 가시광통신 방식으로 주의 신호를 발생하여 접근 차량으로 전송해 주기 때문에, 안개나 그 밖의 사유로 인해 차량 주행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태에서 또는 어린이나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주의가 요망되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나 철도 건널목을 건너고자 할 때 차량과 보행자 간의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us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generates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a warning signal to the approaching vehicle when a pedestrian wanting to cross a pedestrian crossing or a railroad crossing is detec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s between vehicles and pedestrians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of the vehicle driving or when a pedestrian who needs attention such as a child, an elderly person or a disabled person wants to cross a crosswalk or a railroad crossing.

도 1은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보호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감지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예시된 자기장 감지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에 따라 자기장 감지부가 보행자에게 소지되는 형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예시된 제어부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에 의한 광신호 발생부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에 의한 광신호 수신부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주의 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보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ens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3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illustrated in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is carried by a pedestri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6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ttention measurer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보호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보행자 보호 장치는 감지부(110) 및 적어도 하나의 광신호 발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may include a detector 110 and at least on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감지부(110)는 보행자(1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광신호 발생부(120)로 출력한다.The detector 110 detects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10 and outputs the detected result to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감지부(110)의 일 실시예(11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mbodiment 110A of the sensing unit 110 illustrated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감지부(110A)는 전자기장 발생부(112) 및 신호 검출부(1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etector 110A includes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or 112 and a signal detector 114.

전자기장 발생부(112)는 전자기장을 발생한다. 이를 위해 전자기장 발생부(112)는 코일을 이용할 수 있다. 코일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양을 가질 수도 있지만,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112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To this end,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112 may use a coil. The coil may have a shape as illustrated in FIG. 2,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신호 검출부(114)는 받침대(116-1, 116-2) 사이에서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에 따라 보행자(10)의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The signal detector 114 detects a change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between the pedestals 116-1 and 116-2, and determines whether the pedestrian 10 is present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전자기장 발생부(112)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은 자기장 감지부(310)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자기장 감지부(310)는 전자기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 감지부(310)가 강자성(ferromagnetic) 재료로 구현될 경우, 전자기장 발생부(112)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이 변화하는 정도는 자기장 감지부(310)의 자성 재료의 자기 특성에 의존한다.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or 112 may be changed by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chang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 example, when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the degree of chang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or 112 depends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gnetic material of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do.

즉, 자기장 감지부(310)를 소지한 보행자(10)가 횡단보도(320)를 건너기 위해 받침대(116-1, 116-2) 사이에 들어올 때, 자기장 감지부(310)에 의해 받침대(116-1, 116-2) 사이의 자기장은 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pedestrian 10 carrying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enters between the pedestals 116-1 and 116-2 to cross the crosswalk 320, the pedestal 116 is moved by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The magnetic field between -1 and 116-2) changes.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예시된 자기장 감지부(31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illustrated in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자기장 감지부(310)는 스트립(strip) 형태의 연성(ductile)을 갖는 연성 부재(312) 및 자기 소자(magnetizable element)(3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may include a flexible member 312 having a ductile in a strip form and a magnetizable element 314.

연성 부재(312)는 MaNbOcXdYeZf의 조성식을 갖는 비정질(amorphous)의 강자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철(iron) 및 코발트(cobalt) 중 적어도 하나이고, N은 니켈이고, O는 크롬(chromium) 및 몰리브덴(molybdenum) 중 적어도 하나이고, X는 보론(boron)과 인(phosphorous) 중 적어도 하나이고, Y는 실리콘이고, Z는 카본일 수 있다. "a" 내지 "f"는 원자 %를 나타낸다. "a"는 35 % 내지 85 %이고, "b"는 0 내지 45 %이고, "c"는 0 내지 7 %이고, "d"는 5 % 내지 22 %이고, "e"는 0 내지 15 %이고, "f"는 0 내지 2 %이고, d+e+f는 5 % 내지 25 %일 수 있다.The flexible member 312 may include an amorphous ferromagnetic metal having a compositional formula of M a N b O c X d Y e Z f . Where M is at least one of iron and cobalt, N is nickel, O is at least one of chromium and molybdenum, and X is boron and phosphorous At least one of, Y may be silicon, Z may be carbon. "a" to "f" represent the atom%. "a" is 35% to 85%, "b" is 0 to 45%, "c" is 0 to 7%, "d" is 5% to 22% and "e" is 0 to 15% And “f” may be 0-2% and d + e + f may be 5% -25%.

자기 소자(314)는 연성 부재(312)의 보자력(coercivity)보다 더 높은 보자력을 갖는 강자성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The magnetic element 314 may be implemented with a ferromagnetic material having a higher coercivity than the coercivity of the flexible member 312.

연성 부재(312)를 점 용접(spot weld)하거나 열처리하여 자기 소자(314)의 성질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성 부재(312)와 자기 소자(314)는 일체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성 부재(312)의 냉각율(cooling rate)을 선택적으로 변화시켜, 연성 부재(312)와 자기 소자(314)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The flexible member 312 may be spot welded or heat treated to have the properties of the magnetic element 314. In addition, the flexible member 312 and the magnetic element 314 may be integrated. To this end, the cooling rate of the flexible member 312 may be selectively changed to integrate the flexible member 312 and the magnetic element 314.

또한, 보행자(10)는 자기장 감지부(310)를 다양한 방법으로 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 감지부(310)는 보행자(10)가 소지한 물품에 접착제(미도시) 등에 의해 탈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rian 10 may carry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may have a form that can be detached by an adhesive (not shown) to an article carried by the pedestrian 10.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에 따라 자기장 감지부(310)가 보행자(10)에게 소지되는 형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is carried by the pedestria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감지부(310)는 보행자(10)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340)의 전면 또는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A,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340 carried by the pedestrian 10.

또는,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감지부(310)는 보행자(10)의 목걸이(350)에 부착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10)가 어린이이거나 장애인일 경우,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감지부(310)가 목걸이(350)에 의해 보행자(10)에게 소지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4B,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may have a form attached to the necklace 350 of the pedestrian 10. For example, when the pedestrian 10 is a child or a disabled person, as illustrated in FIG. 4B,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may be carried by the pedestrian 10 by the necklace 350.

또는,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감지부(310)는 보행자(10)의 지팡이(36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10)가 지팡이(360)를 이용하는 노인이거나 환자일 경우, 자기장 감지부(310)가 지팡이(360)를 통해 보행자(10)에 소지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4C,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may be attached to the cane 360 of the pedestrian 10. For example, when the pedestrian 10 is an elderly person or a patient using the cane 360, the magnetic field detector 310 may be carried by the pedestrian 10 through the cane 360.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장 발생부(112) 및 신호 검출부(114) 중 적어도 하나는 기둥 모양의 받침대(116-1, 116-2)에 배치될 수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As illustrated in FIG. 2, at least on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112 and the signal detecting unit 114 may be disposed on the pillar-shaped pedestals 116-1 and 116-2, bu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

도 5는 도 1에 예시된 감지부(110)의 다른 실시예(11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110B of the sensing unit 110 illustrated in FIG. 1.

도 5를 참조하면, 감지부(110B)는 센서 어레이(sensor array)(113-1 ~ 113-4, 115-1 ~ 115-4) 및 제어부(11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detector 110B includes a sensor array 113-1 to 113-4 and 115-1 to 115-4, and a controller 111.

센서 어레이(113-1 ~ 113-4, 115-1 ~ 115-4)는 보행자(10A, 10B)의 양측에서 다중의 빔(117)을 생성하도록 서로 마주보며 배열될 수 있다. 센서 어레이(113-1 ~ 113-4, 115-1 ~ 115-4)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2개의 적외선 센서(113-1, 115-1)는 서로 쌍을 이루며, 2개의 적외선 센서(113-2, 115-2)는 서로 쌍을 이루며, 2개의 적외선 센서(113-3, 115-3)는 서로 쌍을 이루며, 2개의 적외선 센서(113-4, 115-4)는 서로 쌍을 이룰 수 있다. 도 5의 경우 8개의 적외선 센서가 예시되어 있지만,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8개보다 적거나 많은 적외선 센서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nsor arrays 113-1 to 113-4 and 115-1 to 115-4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o generate multiple beams 117 at both sides of the pedestrians 10A and 10B. The sensor arrays 113-1 to 113-4 and 115-1 to 115-4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 pairs. That is, the two infrared sensors 113-1 and 115-1 are paired with each other, the two infrared sensors 113-2 and 115-2 are paired with each other, and the two infrared sensors 113-3 and 115 are paired with each other. -3) may be paired with each other, and the two infrared sensors 113-4 and 115-4 may be paired with each other. Although eight infrared sensors are illustrated in FIG. 5,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fewer or more than eight infrared sensors may be disposed.

도 2 또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6-1, 116-2)는 보행자(10, 10A, 10B)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or 5, the pedestals 116-1 and 116-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both sides of the pedestrians 10, 10A, and 10B.

센서 어레이(113-1 ~ 113-4, 115-1 ~ 115-4)는 기둥 모양의 받침대(116-1, 116-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는 센서 어레이(113-1 ~ 113-4, 115-1 ~ 115-4)가 받침대(116-1, 116-2)에 배치된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적외선 센서(113-1 ~ 113-4)는 보행자(10A, 10B)의 일측의 받침대(116-1)에 배치되고, 복수의 적외선 센서(115-1 ~ 115-4)는 타측의 받침대(116-2)에 배치되어, 다중의 빔(117)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nsor arrays 113-1 to 113-4 and 115-1 to 115-4 may be disposed on the pillar-shaped pedestals 116-1 and 116-2, and embodiments may be arranged in the sensor arrays 113-1 to 113. -4, 115-1 to 115-4 are not limited to the form in which the pedestals 116-1 and 116-2 are arrange | positioned.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113-1 to 113-4 are disposed on the pedestal 116-1 on one side of the pedestrians 10A and 10B, and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115-1 to 115-4 are on the other side of the pedestal. Disposed at 116-2, to form multiple beams 117.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1, 115-1)는 서로 빛이나 전자파 또는 입자등을 주고 받고, 다른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2, 115-2)는 서로 빛이나 전자파 또는 입자등을 주고 받고, 또 다른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3, 115-3)는 서로 빛이나 전자파 또는 입자등을 주고 받고, 또 다른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4, 115-4)는 서로 빛이나 전자파 또는 입자등을 주고 받을 수 있다.The pair of infrared sensors 113-1 and 115-1 exchange light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s with each other, and the pair of infrared sensors 113-2 and 115-2 transmit light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s with each other. Another pair of infrared sensors 113-3 and 115-3 exchange light,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s with each other, and another pair of infrared sensors 113-4 and 115-4 light each other. You can send and receive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s.

제어부(111)는 센서 어레이(113-1 ~ 113-4, 115-1 ~ 115-4)에서 생성된 빔(117)이 보행자(10A, 10B)에 의해 파괴되는 '파괴 패턴'을 인지하고, 인지된 '파괴 패턴'에 따라 보행자(10A, 10B)의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The controller 111 recognizes a 'break pattern' in which the beams 117 generated by the sensor arrays 113-1 to 113-4 and 115-1 to 115-4 are destroyed by the pedestrians 10A and 10B.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10A, 10B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cognized 'destruction pattern'.

이하, '파괴 패턴'을 이용한 보행자(10A, 10B)의 존재 여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destrians 10A and 10B using the 'destruction patter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예시된 제어부(111)의 블럭도를 나타낸다.6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111 illustrated in FIG.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11)는 인터페이스부(111-1), 프로세서(111-2) 및 저장부(11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111 includes an interface unit 111-1, a processor 111-2, and a storage unit 111-3.

인터페이스부(111-1)는 센서 어레이의 복수의 적외선 센서(113-1 ~ 113-4, 115-1 ~ 115-4) 각각과 입력단자 IN1 및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연결된다.The interface unit 111-1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113-1 to 113-4 and 115-1 to 115-4 of the sensor array through an input terminal IN1 and an output terminal OUT1.

프로세서(111-2)는 서로 쌍을 이루는 적외선 센서(113-1 ~ 113-4, 115-1 ~ 115-4)가 빔(117)을 받았는가의 여부를 인터페이스부(111-1)를 통해 체크하고, 체크된 결과에 따라 파괴 패턴을 생성한다. 또한, 각 적외선 센서(113-1 ~ 113-4, 115-1 ~ 115-4)는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1-2)는 인터페이스부(111-1)를 통해 적외선 센서(113-1 ~ 113-4, 115-1 ~ 115-4)로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1-2 determines whether the infrared sensors 113-1 to 113-4 and 115-1 to 115-4 that are paired with each other receive the beam 117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1-1. Check and generate a destruc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checked result. In addition, each of the infrared sensors 113-1 to 113-4 and 115-1 to 115-4 may be driven by a driving signal, and the processor 111-2 may be an infrared sensor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1-1. The driving signal can be output to (113-1 to 113-4, 115-1 to 115-4).

예를 들어, 보행자(10A)가 성인이고, 보행자(10B)가 어린이라고 가정한다. 서로 쌍을 이루는 적외선 센서(113-1 ~ 113-4, 115-1 ~ 115-4) 중 적어도 하나는 보행자(10A)에 의해 가로막혀 빛이나 전자파 또는 입자 등을 주고 받을 수 없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빔의 파괴될 경우, 프로세서(111-2)는 인터페이스부(111-1)를 통해 이를 인지하여, 빔이 파괴된 패턴을 저장부(111-3)에 미러 저장된 파괴 패턴과 비교한다. 비교된 결과를 통해, 프로세서(111-2)는 보행자(10A)의 존재 여부를 인지하고, 인지된 결과를 출력단자 OUT2를 통해 광신호 발생부(120A, 120B)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11-3)는 보행자(10A, 10B)가 존재할 때 파괴될 수 있는 빔의 파괴 패턴을 미리 저장해 둔다.For example, assume that pedestrian 10A is an adult and pedestrian 10B is a child. At least one of the paired infrared sensors 113-1 to 113-4 and 115-1 to 115-4 may be blocked by the pedestrian 10A and may not transmit or receive light,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s. When the beam is destroyed in this manner, the processor 111-2 recognizes this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1-1, and compares the broken pattern of the beam with the destroyed pattern mirrored in the storage unit 111-3. Through the comparison result, the processor 111-2 recognizes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10A and outputs the recognized result to the optical signal generators 120A and 120B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2. To this end, the storage 111-3 prestores a beam breaking pattern that may be destroyed when the pedestrians 10A and 10B are present.

또한, 제어부(111)는 빔(117)의 파괴 패턴을 인지한 결과에 따라, 보행자가 어린이(10B)인가를 감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센서 어레이(113-1 ~ 113-4, 115-1 ~ 115-4)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1 may discriminate whether the pedestrian is the child 10B according to a result of recognizing the breakdown pattern of the beam 117. To this end, the sensor arrays 113-1 to 113-4 and 115-1 to 115-4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as illustrated in FIG. 5.

도 5에 예시된 바와 달리 보행자(10A)가 존재하지 않고 보행자(10B)만이 존재할 때, 받침대(116-1, 116-2)의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1, 115-1)와 다른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2, 115-2)에 의해 생성된 빔(117)은 파괴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1, 115-1)는 빛이나 전자파 또는 입자 등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고, 다른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2, 115-2)는 빛이나 전자파 또는 입자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반면에, 받침대(116-1, 116-2)의 하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3, 115-3) 및 다른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4, 115-4)에 의해 생성된 빔은 파괴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3, 115-3)는 빛이나 전자파 또는 입자 등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없고, 다른 한 쌍의 적외선 센서(113-4, 115-2)도 빛이나 전자파 또는 입자 등을 주고 받을 수 없다.Unlike illustrated in FIG. 5, when there is no pedestrian 10A and only pedestrian 10B, a pair of infrared sensors 113-1 and 115-disposed above the pedestals 116-1 and 116-2. The beam 117 generated by the pair of infrared sensors 113-2 and 115-2 different from 1) is not destroyed. Accordingly, the pair of infrared sensors 113-1 and 115-1 may exchange light,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s with each other, and the pair of infrared sensors 113-2 and 115-2 may emit light, electromagnetic waves, or the like. You can send and receive particles. On the other hand, by the pair of infrared sensors 113-3 and 115-3 and the other pair of infrared sensors 113-4 and 115-4 which are disposed under the pedestals 116-1 and 116-2. The generated beam is destroyed. Therefore, the pair of infrared sensors 113-3 and 115-3 cannot exchange light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s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pair of infrared sensors 113-4 and 115-2 may also use light or electromagnetic waves. You cannot send or receive particles.

제어부(111)는 이러한 빔의 파괴 패턴을 통해 보행자(10B)가 어린이임을 감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1 may discriminate that the pedestrian 10B is a child through the beam breaking pattern.

또한, 도 2 또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0A, 110B)는 횡단보도(320) 또는 철도 건널목(미도시)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 or FIG. 5, the sensing units 110A and 110B may b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pedestrian crossing 320 or the railroad crossing (not shown).

한편, 광신호 발생부(120)는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가시광통신(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 방식으로 주의 신호를 발생하여 접근 차량(200)으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in response to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110,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generates a caution signal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method and transmits it to the approach vehicle 200.

여기서, 접근 차량(200)이란, 보행자(10)를 향해 접근하는 자동차 또는 기차 등을 의미하며, 주의해서 운행하지 않을 경우 보행자(10, 10A, 10B)와 추돌 가능성이 있는 차량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approach vehicle 200 may mean a car or a train approaching the pedestrian 10, and may be defined as a vehicle that may collide with the pedestrians 10, 10A, and 10B if the vehicle is not operated carefully. .

여기서, 가시 광 통신 방식이란, 가시광선(400~700nm)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하며, 빛이나 표시 기기 등에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의 가시광선을 눈에 보이지 않는 속도로 점멸시켜 정보를 보내는 기술이다.Here,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means a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visible light (400 to 700 nm), and the visible light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used for light or a display device is visible. It is a technology of sending information by blinking at a speed that does not.

도 7은 실시예에 의한 광신호 발생부(120)의 블럭도를 나타낸다.7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VCL 방식으로 주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광신호 발생부(120)는 변조부(122) 및 발광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the attention signal in the VCL method,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may include a modulator 122 and a light emitter 124.

변조부(122)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감지부(110)로부터 받은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주의 신호를 가시광신호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조하고, 변조된 주의 신호를 발광부(124)로 출력한다. 변조부(122)는 주의 신호라는 메시지를 담은 데이터를 가시광신호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변조방식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인 반송 주파수에 실어서 변조하여 발광부(124)로 전달한다. 변조부(122)는 OOK(On Off Keying), PWM(Pulse Width Modulation),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ASK(Amplitude Shift Keying), M-PSK(M-ary Phase Shift Keying), M-QAM(M-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의 변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변조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The modulator 122 modulates the attention signal as a visible light signal in response to the detected result received from the sensor 110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2, and outputs the modulated attention signal to the light emitter 124. . The modulator 122 carries a modulated signal on a carrier frequency, which is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the data including the message of the attention signal as a visible light signal to the light emitter 124. The modulator 122 includes OOK (On Off Keying), PWM (Pulse Width Modulation), PPM (Pulse Position Modulation), 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ASK (Amplitude Shift Keying), M-PSK (M-ary Phase Shift) Data may be modulated according to any one of modulation methods such as keying) and M-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M-QAM).

발광부(124)는 변조부(122)에서 변조된 주의 신호를 가시광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가시광 신호를 접근 차량(20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발광부(124)는 전술한 동작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블루(blue)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red) LED 칩, 그린(green)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white)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light emitter 124 converts the attention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or 122 into a visible light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visible light signal to the approach vehicle 200.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124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chip (LED chip) for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light emitting diode chip is composed of a blue LED chip or ultraviolet LED chip or red It may be configured as a package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of (red) LED chip, green LED chip, blue LED chip, yellow green LED chip, and white LED chip are combined.

그리고, 화이트 LED는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 물질(phosphor)을 결합하거나, 블루 LED 상에 레드 인광 물질과 그린 인광 물질을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 물질, 레드 인광 물질 및 그린 인광 물질을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hite LED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 yellow phosphor on a blue LED, or simultaneously using a red phosphor and a green phosphor on a blue LED, and a yellow phosphor, a red phosphor, It may be implemented by using green phosphor at the same time.

전술한 바와 같이, 광신호 발생부(120)는 주의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광부(124)에 의해 무선으로 접근 차량(200)으로 전송한다. 즉, 광신호 발생부(120)는 발광부(124)에서 발광되는 광의 세기와 점멸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주의 신호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wirelessly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the attention signal to the approach vehicle 200 by the light emitter 124. That is,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may wirelessly transmit the data of the attention signal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124 and the flashing cycle.

발광부(124)에서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는 특정 접근 차량(200)이 아니라 불특정 접근 차량(200)으로 전송된다. 그러므로, 광신호 발생부(120)에서 주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시광 통신은 양방향 통신이 아니라 일방향 통신일 수 있다.The visible ligh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124 is transmitted to the non-specific approach vehicle 200, not the specific approach vehicle 200. Therefore,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ed to generate the attention signal in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may be one-way communication, not two-way communication.

실시예에 의하면, 광신호 발생부(120)는 가시광 신호를 보행자(10)로 접근하는 접근 차량(200)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방출하면 된다. 소정 거리의 최소값은 접근 차량(200)의 주행 속도별 제동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차량의 제동 거리는 주행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통상적으로 일반도로의 경우에도 주행 속도는 한 시간당 20 ㎞ 내지 80 ㎞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제동 거리 즉, 소정 거리의 최소값이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거리의 최소값이 접근 차량(200)의 제동거리에 해당할 경우, 주의 신호를 수신한 접근 차량(200)은 보행자(10)와의 추돌을 피하기 위해 주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may emit a visible light signa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approach vehicle 200 approaching the pedestrian 10. The minimum value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correspond to a braking distance for each traveling speed of the approach vehicle 200. The braking distance of the vehicle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traveling speed. In general, even in the case of a general road, the driving speed is 20 km to 80 km per hour, so the braking distance, that is, the minimum value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this. For example, when the minimum value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corresponds to the braking distance of the approaching vehicle 200, the approaching vehicle 200 receiving the attention signal may take a caution to avoid collision with the pedestrian 10.

또한, 도 2 또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신호 발생부(120A)는 횡단보도(320)에 인접한 연석(330)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광신호 발생부(120B)는 횡단보도(320) 또는 철도 건널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광신호 발생부(120A)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2 or 5,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A may be disposed on the curb 330 adjacent to the crosswalk 320. Alternatively,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B may be disposed at the crosswalk 320 or the railroad crossing. In addition, a plurality of optical signal generators 120A may be disposed.

한편,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보호 장치는 광신호 수신부(210) 및 주의 조치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ignal receiver 210 and the attention measurer 220.

광신호 수신부(210)는 광신호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주의 신호를 수신한다.The optical signal receiver 210 receives the attention signal generated by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도 8은 실시예에 의한 광신호 수신부(210)의 블럭도를 나타낸다.8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signal receive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만일, 광신호 발생부(120)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경우, 광신호 수신부(210)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212) 및 복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is implemented as illustrated in FIG. 7, the optical signal receiver 210 may include a light receiver 212 and a demodulator 214 as illustrated in FIG. 8. .

수광부(212)는 발광부(124)로부터 전송된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부(214)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수광부(212)는 반도체 다이오드의 하나로서, 수신되는 광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발생함으로써 광 신호 검출에 주로 사용되는 가시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등과 같은 광전 변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The light receiver 212 receives the visible ligh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124, converts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demodulator 214. To this end, the light receiving unit 212 is one of the semiconductor diodes, and generates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ptical signal, thereby converting a visible light signal mainly used for detecting the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a photo diode. It may be implemented as an element.

복조부(214)는 수광부(212)로부터 받은 전기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결과를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주의 조치부(220)로 출력한다. 복조부(214)는 변조부(122)에서 사용한 변조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한다. 예컨대, 복조부(214)는 OOK, PWM, PPM, PAM, ASK, M-PSK, M-QAM 등의 복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복조 방식에 따라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214 demodulates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er 212 and outputs the demodulated result to the attention measurer 220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3. The demodulator 214 demodulates using the same method as the modulation method used in the modulator 122. For example, the demodulator 214 may perform demodul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demodulation schemes such as OOK, PWM, PPM, PAM, ASK, M-PSK, and M-QAM.

이때, 전술한 광신호 발생부(120)와 접근 차량(200) 간의 상대적 속도는 광신호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속도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광신호 수신부(210)에 의해 관측되는 도플러 주파수 이동은 무시할만하다.At this time, since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and the approach vehicle 200 is much smaller than the speed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the Doppler frequency observed by the optical signal receiver 210 The move is negligible.

주의 조치부(220)는 광신호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주의 신호에 따라 접근 차량(200)의 주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 caution measurer 220 may take caution measures of the approach vehicle 200 according to the cau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ptical signal receiver 210.

예를 들어, 주의 조치부(220)는 복조부(214)에서 복조된 주의 신호에 따라, 접근 차량(200)의 추가 가속을 제한하거나, 접근 차량(200)의 최고 속도를 제한하거나, 접근 차량(200)의 운행자가 수동으로 제어 가능한 속도까지 접근 차량(200)을 감속시키거나, 이들을 복합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attention measurer 220 may limit further acceleration of the approach vehicle 200, limit the maximum speed of the approach vehicle 200, or approach the approach vehicle according to the attention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214. An operator of 200 may decelerate the approaching vehicle 200 to a speed that can be manually controlled, or perform a combination of these automatically.

이를 위해, 주의 조치부(220)는 접근 차량(200)의 연료 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연료계를 제어하거나 동력 계통이나 차량 전자 계통을 제어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attention measurer 220 may control a fuel system including a fuel injector (not shown) of the approach vehicle 200, or control a power system or a vehicle electronic system.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주의 조치부(22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ttention measurer 220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을 참조하면, 주의 조치부(220)는 음성 생성부(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생성부(220A)는 광신호 수신부(210)의 복조부(214)에서 복조된 주의 신호에 따라 주의 음성을 생성하고, 생성된 주의 음성을 접근 차량(200)의 운행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의 음성은 "전방에 보행자 있으므로 주의 운행을 하기 바랍니다" 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attention measurer 220 may include a voice generator 220A. The voice generator 220A may generate a caution voice according to the caution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214 of the optical signal receiver 210 and output the generated caution voice to the driver of the approach vehicle 200. For example, the voice of the attention may be, "Please be careful driving because it is a pedestrian in front."

따라서, 접근 차량(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주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한편, 주의 음성을 들은 접근 차량(200)의 운전자는 주의 조치를 추가하여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주의 음성을 들은 접근 차량(200)의 운전자는 접근 차량(200)이 자동으로 왜 주의 조치를 취하였는지를 인지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approach vehicle 200 may automatically take cau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driver of the approach vehicle 200 that has heard the caution voice may add the caution. In addition, the driver of the approaching vehicle 200 that has heard the attention voice may recognize why the approaching vehicle 200 automatically took the cautionary action.

여기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신호 수신부(210) 및 주의 조치부(220)는 보행자(10)로 접근하는 접근 차량(200)에 포함될 수 있지만,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Her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optical signal receiver 210 and the attention measurer 220 may be included in the approach vehicle 200 approaching the pedestrian 10, bu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광신호 수신부(210)와 음성 생성부(220A)는 접근 차량(200)의 차량용 블랙 박스(23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용 블랙 박스란 차량 충돌 사고의 전후 상황을 기록하여 신속한 사고 후처리 및 과학적인 사고 해석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기이다.In addition, the optical signal receiver 210 and the voice generator 220A may be embedded in the vehicle black box 230 of the approach vehicle 200. Here, the vehicle black box is a device for recording the before and after situation of the vehicle crash accident to help in the rapid post-processing and scientific accident analysis.

전술한 바와 같이, 광신호 발생부(120)로부터 주의 신호가 발생될 때 접근 차량(200)은 주의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주의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악천후나 어린이나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환자 같은 보행자(10)가 횡단보도(320)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 보행자와의 추돌 사고가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tten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the approach vehicle 200 may receive the attention signal and automatically take caution, such as bad weather, children, the elderly, the disabled or the patient. When the pedestrian 10 crosses the crosswalk 320 or the railroad crossing, a collision accident with the pedestrian may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0은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보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에서, 접근 차량(200A, 200B)은 도 1의 접근 차량(200)에 해당한다. 도 2 또는 도 5에 예시된 하나의 받침대(116-1)의 역할은 횡단보도용 신호등(400)의 기둥(410, 430)이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받침대(116-2)의 역할은 도로 주행용 신호등(500)의 기둥(510)과 별도의 기둥(440)이 수행할 수 있다. 즉, 기둥(410, 510)은 도 2 또는 도 5에 예시된 받침대(116-1, 116-2)에 각각 해당할 수 있고, 기둥(430, 440)은 도 2 또는 도 5에 예시된 받침대(116-1, 116-2)에 각각 해당할 수 있다.In FIG. 10, the approach vehicles 200A and 200B correspond to the approach vehicle 200 of FIG. 1. The role of one pedestal 116-1 illustrated in FIG. 2 or 5 is performed by the pillars 410 and 430 of the traffic light 400 for pedestrian crossing, and the role of the other pedestal 116-2 is a road. The pillar 510 of the traveling traffic light 500 and a separate pillar 440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pillars 410 and 510 may correspond to the pedestals 116-1 and 116-2 illustrated in FIG. 2 or 5, respectively, and the pillars 430 and 440 are the pedestals illustrated in FIG. 2 or 5. It may correspond to (116-1, 116-2), respectively.

광신호 발생부(120A)는 연석에 배치되고, 2대의 접근 차량(200A, 200B)이 보행자(10)가 있는 횡단보도(320)로 접근하고 있다. 만일, 보행자(10)가 횡단보도(320)를 건너기 위해 기둥(410, 510) 사이로 들어오면 기둥(410, 510)에 배치된 감지부(110A, 110B)가 보행자(1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광신호 발생부(120A)는 가시광통신 방식으로 주의 신호를 접근 차량(200A, 200B)으로 전송한다.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A is disposed in the curb, and two access vehicles 200A and 200B approach the crosswalk 320 where the pedestrian 10 is located. If the pedestrian 10 enters between the pillars 410 and 510 to cross the crosswalk 320, the sensing units 110A and 110B disposed on the pillars 410 and 510 detect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10.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A transmits an attention signal to the approaching vehicles 200A and 200B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로 주행용 신호등(520)은 LED 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로 주행용 차량을 위한 교통 신호를 제공하는 고유한 역할뿐만 아니라 광신호 발생부(120A)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road driving signal light 520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chip, and may serve as an optical signal generator 120A as well as a unique role of providing a traffic signal for a road driving vehicle. have.

주의 신호가 가시광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면, 접근 차량(200A, 200B)에 내장된 광신호 수신부(210)는 주의 신호를 수신하고, 주의 조치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주의 조치를 자동으로 취할 수 있다.When the caution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the optical signal receiver 210 built in the approach vehicles 200A and 200B receives the caution signal, and the caution measure unit 220 automatically takes the caution measures as described above. Can be.

따라서, 접근 차량(200A, 200B)의 운행자가 도로 주행용 신호등(500)을 보지 못한 경우에, 횡단보도(320)로 접근 차량(200A, 200B)로 진입하기 이전에 자동으로 주의 조치를 취함으로써, 접근 차량(200A, 200B)과 보행자(10)간의 충돌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river of the approach vehicle 200A, 200B does not see the road traffic light 500, by taking caution automatically before entering the crosswalk 320 into the approach vehicle 200A, 200B. The collision between the approaching vehicles 200A and 200B and the pedestrian 10 may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안개나 그 밖의 사유로 인해 도로 주행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태에서도 접근 차량(200A, 200B)의 운전자는 전방에 보행자(10)가 있음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보호 장치는 접근 차량(200, 200A, 200B)으로부터 보행자(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접근 차량(200, 200A, 200B)의 입장에서도 사고 유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r of the approaching vehicles 200A and 200B may recognize in advance that there is a pedestrian 10 in front of the vehicle even in a state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road vision due to fog or other reasons. Therefore,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protect the pedestrian 10 from the approaching vehicles 200, 200A, and 200B, and may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even in the position of the approaching vehicles 200, 200A, 200B. I can help you.

도 10의 경우 횡단보도(320)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보행자 보호 장치는 철도 건널목(미도시)에서도 보행자를 기차(미도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의 도로 및 접근 차량은 철로 및 기차에 각각 대응한다.In the case of FIG. 10, the crosswalk 32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aforementioned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may protect a pedestrian from a train (not shown) even at a railroad crossing (not shown). In this case, the road and the approach vehicle of FIG. 10 correspond to the railway and the train, respectively.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which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not be exemplifi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any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differences relating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hav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10A, 10B: 보행자 110, 110A, 110B: 감지부
111: 제어부 111-1: 인터페이스부
111-2: 프로세서 111-3: 저장부
113-1 ~ 113-4, 115-1 ~ 115-4: 센서 어레이
112: 전자기장 발생부 114: 신호 검출부
116-1, 116-2: 받침대 117: 빔
120, 120A, 120B: 광신호 발생부 122: 변조부
124: 발광부 200, 200A, 200B: 접근 차량
210: 광신호 수신부 212: 수광부
214: 복조부 220: 주의 조치부
220A: 음성 생성부 230: 차량용 블랙박스
310: 자기장 감지부 312: 연성부재
314: 자기소자 320: 횡단보도
330: 연석 340: 휴대용 단말기
350: 목걸이 360: 지팡이
400: 횡단보도용 신호등 410, 430, 440, 510: 기둥
500: 도로 주행용 신호등
10, 10A, 10B: Pedestrian 110, 110A, 110B: Detector
111: control unit 111-1: interface unit
111-2: Processor 111-3: Storage
113-1 to 113-4, 115-1 to 115-4: Sensor array
112: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or 114: signal detector
116-1, 116-2: pedestal 117: beam
120, 120A, 120B: optical signal generator 122: modulator
124: light emitting unit 200, 200A, 200B: approach vehicle
210: optical signal receiver 212: light receiver
214: demodulation unit 220: attention measures unit
220A: voice generator 230: a vehicle black box
310: magnetic field detection unit 312: flexible member
314: magnetic element 320: pedestrian crossing
330: curb 340: portable terminal
350: necklace 360: wand
400: pedestrian crossing traffic lights 410, 430, 440, 510: columns
500: traffic lights

Claims (22)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가시광통신 방식으로 주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보행자로 접근하는 접근 차량으로 전송하여, 상기 접근 차량이 상기 주의 신호에 따라 주의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광신호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장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은 상기 보행자에 의해 소지되는 자기장 감지부에 의해 변화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pedestrians; And
In response to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 optical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aution signal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ting the caution signal to the approaching vehicle approaching the pedestrian so that the approaching vehicle takes caution according to the caution signal. Including,
The sensing unit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And a signal detecto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edestrian according to a result of sensing the chang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is changed by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carried by the pedestrian.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가시광통신 방식으로 광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주의 신호를 수신하는 광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주의 신호에 따라 주의 조치를 취하는 주의 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신호 수신부 및 상기 주의 조치부는 상기 보행자로 접근하는 접근 차량에 포함되고,
상기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장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은 상기 보행자에 의해 소지되는 자기장 감지부에 의해 변화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
An optical signal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caution signal generated by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destrian; And
A caution measure unit for taking cau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caution signal,
The optical signal receiver and the attention measurer are included in an approach vehicle approaching the pedestria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And a signal detecto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edestrian according to a result of sensing the chang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is changed by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carried by the pedestrian.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발생부는
상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주의 신호를 가시광신호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조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된 주의 신호를 가시광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of claim 1 or 2, wherein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attention signal as a visible light signal in response to the detected result; And
And a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modulated attention signal into a visible light signal and transmit the converted attention signa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수신부는
상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기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
The optical signal receiver of claim 3, wherein the optical signal receiver
A light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the visible light signal and converts the visible light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And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including a demodulation unit for demodulating the electrical signal.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 조치부는
상기 복조된 주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접근 차량이 주의할 것을 알리는 주의 음성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성 생성부를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cautionary measures
And a voice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aution voice informing that the approaching vehicle is to be warned according to the demodulated caution signa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수신부와 상기 음성 생성부는 상기 접근 차량의 차량용 블랙 박스에 내장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optical signal receiver and the voice generator are embedded in a vehicle black box of the approach vehicl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 조치부는
상기 복조된 주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접근 차량의 추가 가속을 제한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cautionary measures
And, in response to the demodulated caution signal, limit further acceleration of the approach vehicl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 조치부는
상기 복조된 주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접근 차량의 최고 속도를 제한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cautionary measures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limiting a maximum speed of the approach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demodulated caution signa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 조치부는
상기 복조된 주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접근 차량을 감속시키는 보행자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cautionary measures
And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decelerating the approach vehicle according to the demodulated caution signal.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감지부는 상기 보행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field detector is attached to a portable terminal of the pedestria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감지부는 상기 보행자의 목걸이에 부착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field detection unit is attached to the collar of the pedestria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감지부는 상기 보행자의 지팡이에 부착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field detection unit is attached to a walking stick of the pedestria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신호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기둥 모양의 받침대에 배치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or and the signal detector is disposed in a columnar pedest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배치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nsing unit is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crosswal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철도 건널목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신호 발생부는 상기 철도 건널목에 배치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ailroad crossing,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is disposed in the railroad crossing protection device.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발생부는 상기 횡단보도에 배치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of claim 19, wherein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is disposed at the crosswalk.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발생부는 상기 횡단보도에 인접한 연석에 배치되는 보행자 보호 장치.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of claim 19, wherein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is disposed at a curb adjacent to the crosswalk.
KR1020130022116A 2013-02-28 2013-02-28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20879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116A KR102087936B1 (en) 2013-02-28 2013-02-28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116A KR102087936B1 (en) 2013-02-28 2013-02-28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916A KR20140107916A (en) 2014-09-05
KR102087936B1 true KR102087936B1 (en) 2020-03-11

Family

ID=5175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116A KR102087936B1 (en) 2013-02-28 2013-02-28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9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04B1 (en) * 2021-07-23 2024-03-07 한국자동차연구원 Crosswalk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dication around crosswal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0604A (en) * 2005-09-30 2009-03-12 有限会社アイネットコンサルティング Alarm device that identifies and detects human intrus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871A (en) * 1993-11-02 1995-06-15 전성원 Two-stage automatic deceleration device when approaching crosswalk and its control method
JPH08212475A (en) * 1995-02-02 1996-08-20 Sogo Keibi Hosho Co Ltd Monitor system
KR100260157B1 (en) * 1996-11-22 2000-08-01 정몽규 Walker protection device
KR20010077177A (en) * 2000-02-01 2001-08-17 이동우 Electromagnetic field intrusion detection device based on phased-array antenna and method therefo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0604A (en) * 2005-09-30 2009-03-12 有限会社アイネットコンサルティング Alarm device that identifies and detects human intru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916A (en)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7391B1 (en) Supplemental automotive traffic safety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87701A1 (en) Traffic communication system
CA2201068C (en) Wireless railroad grade crossing warning system
US20140277897A1 (en) System for Automatic Driving and For Warning of Areas of Reduced Speed for Vehicles
KR101750008B1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for signal violation and overspeed
CN104015723B (en) A kind of intelligent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platform
KR101256041B1 (en) Road safety system at the pedestrian crossing of school zone
KR101446048B1 (en) Intelligent Type of Apparatus for Guarding Crosswalk Pedestrian and Guard System with the Same
JP2015009599A (en) Running control device and runn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20170139811A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and system of the same
KR101871842B1 (en) Road Incident Notification System
ES2299081T3 (en) INTERACTIVE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IN PARTICULAR BETWEEN AUTOMOBILE VEHICLES AND ITS USE PROCEDURE.
KR102087936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20170139800A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for signal violation and overspeed, and system of the same
KR20170139807A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and system of the same
CN105741584A (en) Lattice type multifunctional traffic signal lamp
GB2386730A (en) Roadside safety system
CN202219756U (en) Driving safety warning system
Rakul et al. Implementation of vehicle mishap averting system using arduino microcontroller
WO20161620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edestrian crossing
Beguni et al.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Crosswalk Assistance System
MXPA00002072A (en) Train derailment detector.
KR201401079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vehicles from being collided
CN216527562U (en) Pedestrian crossing warning auxiliary device
KR102296315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eviation of personal mobility device, and method of preventing deviation of personal mobility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