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631B1 -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 - Google Patents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631B1
KR102087631B1 KR1020180030477A KR20180030477A KR102087631B1 KR 102087631 B1 KR102087631 B1 KR 102087631B1 KR 1020180030477 A KR1020180030477 A KR 1020180030477A KR 20180030477 A KR20180030477 A KR 20180030477A KR 102087631 B1 KR102087631 B1 KR 102087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nector
flow path
bearing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868A (ko
Inventor
이전한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이쿨
이전한
이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쿨, 이전한, 이상봉 filed Critical (주)이쿨
Priority to KR102018003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63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61Arrangements of joints with one another and with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라,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1 및 제2 포트, 및 내측 둘레에 형성되되 제1 및 제2 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을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하우징유닛의 내측 일단부에 설치된 제1 롤링 베어링과 하우징유닛의 내측 타단부에 설치된 제2 롤링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회전관 베어링 및 연결구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유닛; 각각 일단에 개구를 형성하며 내부로 형성된 제1 및 제2 유로, 및 외측 둘레에 제1 및 제2 유로의 타측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연통구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의 내륜이 외측 둘레에 장착되게 하우징유닛 내에 삽입되며 제1 및 제2 연통구가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과 각각 연통되는 회전관유닛; 및 제1 및 제2 유로의 개구 측 각각에 연결구 베어링을 개재시켜 결합되되 회전관유닛의 회전평면과 경사진 회전평면에서 스윙 회전가능한 스윙 연결구들을 포함하는 회전 연결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조인트가 제안된다. 또한, 그를 포함하는 공조기기가 제안된다.

Description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ROTATABLE JOINT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경사진 회전평면을 가져 2방향 회전가능한 회전 조인트, 그를 이용한 공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유체가 흐르는 통로이다. 배관은 냉/난방 공조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기, 장치 또는 시스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배관을 구비한 다양한 기기, 장치 또는 시스템 중에서 분리 이동이나 재설치가 요구되는 경우 배관이 내부에 고정되지 않아 또는 재설치 위치에 따라 배관이 꼬인 구조가 되거나 배관 꼬임에 따라 이동위치의 자유로운 선정이나 재설치가 쉽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2열 배관으로 연결되어 분리 후 재결합을 통해 재설치되는 경우 배관의 꼬임에 따라 재설치가 곤란해지거나 원하는 자유로운 위치에 설치가 곤란해지거나 또는 분리 이동 시 원하는 자유로운 위치로의 배치가 곤란할 수 있다.
종래에는 2열 배관이 기기,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되지 않은 경우 이동에 따른 재배치나 분리 후 재설치 시 배관의 꼬임 가능성 등에 따른 배치위치 내지 재설치의 제약을 일정 정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7202호(2011. 5. 31.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열 배관 상에 설치되는 조인트로서 서로 경사진 회전평면을 가져 2방향 회전이 가능한 회전 조인트 및 그를 포함하는 공조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1 및 제2 포트, 및 내측 둘레에 형성되되 제1 및 제2 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을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하우징유닛의 내측 일단부에 설치된 제1 롤링 베어링과 하우징유닛의 내측 타단부에 설치된 제2 롤링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회전관 베어링 및 연결구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유닛; 각각 일단에 개구를 형성하며 내부로 형성된 제1 및 제2 유로, 및 외측 둘레에 제1 및 제2 유로의 타측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연통구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의 내륜이 외측 둘레에 장착되게 하우징유닛 내에 삽입되며 제1 및 제2 연통구가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과 각각 연통되는 회전관유닛; 및 제1 및 제2 유로의 개구 측 각각에 연결구 베어링을 개재시켜 결합되되 회전관유닛의 회전평면과 경사진 회전평면에서 스윙 회전가능한 스윙 연결구들을 포함하는 회전 연결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조인트가 제안된다.
이때, 회전 연결구유닛은 스윙 연결구들이 일체로 스윙 회전하도록 스윙 연결구들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윙 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회전관유닛은: 제1 및 제2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내부유로, 및 제1 및 제2 연통구를 구비하며, 하우징유닛 내에 삽입되며 외측 둘레에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의 내륜이 장착되는 회전관 몸체; 및 회전관 몸체의 일단과 체결되되, 제1 및 제2 내부유로와 각각 일측이 연통되고 각각의 타측에 제1 및 제2 내부유로의 방향과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결 개구가 구비되어 단면상 'L'형의 상하대칭구조를 이루며 제1 및 제2 유로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연결유로를 구비한 플랜지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연결구 베어링은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연결개구 외측둘레와 스윙 연결구들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고, 스윙 연결구들 각각의 일단은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연결 개구 측 각각에 결합된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스윙 연결구들의 타단 포트는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연결 개구의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각 스윙 연결구의 유로는 단면상 '┓'형 또는 '┛'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회전관 몸체의 외측 둘레에는 제1 환형 유로홈과 마주하는 제1 환형 둘레홈 및 제2 환형 유로홈과 마주하는 제2 환형 둘레홈이 형성되고, 제1 환형 둘레홈의 일측에 제1 연통구가 그리고 제2 환형 둘레홈의 일측에 제2 연통구가 형성되고, 하우징유닛은 내측 둘레에서 제1 롤링 베어링이 안착되는 전방 안착부와 제1 환형 유로홈 사이, 제1 환형 유로홈과 제2 환형 유로홈 사이, 그리고 제2 환형 유로홈과 제2 롤링 베어링이 안착되는 후방 안착부 사이에 형성된 링홈들 및 링홈들 각각에 장착되어 회전관 몸체 외측과의 사이에서 각 구간별로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는 하우징 패킹링들을 더 구비하고, 연결구 베어링은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연결개구 외측둘레 각각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 롤링 베어링들로 이루어지고, 회전 연결구유닛은 스윙 연결구들 각각의 제3 및 제4 롤링 베어링과의 연결부위 사이의 내측에 형성된 링홈들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연결 개구 각각의 외측 둘레와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패킹링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회전관 몸체는 일단에 플랜지유닛과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체결 반대면이 제1 롤링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돌기부를 구비하고 타단에 체결홈을 구비하고, 체결돌기부와 플랜지유닛의 체결면 상에 기밀 유지를 위한 플랜지 가스켓이 구비되고, 베어링유닛은 회전관 몸체의 타단부 둘레에 설치되며 제2 롤링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베어링 커버을 더 포함하고, 회전관유닛은 체결홈에 체결되어 베어링 커버를 지지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하우징유닛은, 제1 및 제2 포트 및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몸체 및 하우징 몸체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의 둘레에 고정 설치되며 하우징 몸체를 고정체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하우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회전 조인트는 제1 및 제2 포트 각각에 체결되며 각각 배관과 연결되는 제1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커넥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커넥터유닛은 스윙 연결구들의 포트 각각에 체결되며 각각 배관과 연결되는 제2 커넥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1 열교환기를 구비한 제1 몸체와 제2 열교환기를 구비한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몸체 사이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2개 배관이 연결된 공조기기에 있어서, 배관 상에 전술한 발명의 모습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회전 조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공조기기는 이동형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2열 배관 상에 설치되는 조인트로서 서로 경사진 회전평면을 가져 2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열 배관을 갖는 기기 내지 장치 등의 이동에 따른 재배치나 분리 후 재설치 시 배관의 꼬임 가능성 등에 따른 배치위치 내지 재설치의 제약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및 변형 예들에 포함되는 구성 내지 다양한 구성들의 특징으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의 이해 범위 내에서 다양한 특징적 효과가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회전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인트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형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의 관계에서 연결 내지 결합 등의 결합관계 등을 형성하는 경우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적인' 결합관계 등의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관계됨으로써 매개체에 의한 결합관계 등의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에', '위에', '하부에', '아래에' 등의 '접촉'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는 용어들이 포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게다가, '일단'과 '타단', '일측'과 '타측'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들은 서로 다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고, '전방'과 '후방'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기준이 되는 요소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비록 단수로 표현된 구성일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들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의 단어 및 그들로부터 파생된 용어의 기재는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조합 내지 결합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며, 나아가, '구비하다', '구성되다' 등의 의미를 갖는 단어 및 그들로부터 파생된 용어의 기재도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조합 내지 결합에 의하여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이 자신의 특징, 기능 및/또는 성질이 상실되지 않는 경우라면 그러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내지 결합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축소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회전 조인트]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회전 조인트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이때, 각 도면에 개시된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회전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인트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1에서는 회전 조인트의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31a, 32a)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의 단면형상이 도시되고 있고, 도 2에서는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31a, 32a)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의 절단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회전 조인트는 2개의 배관 상에 설치되며 2개 배관의 결합부위가 서로 경사진 회전평면상에서, 예컨대 서로 수직한 회전평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하여 플렉시블한 배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회전 조인트는 하우징유닛(10), 베어링유닛(30), 회전관유닛(50) 및 회전 연결구유닛(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관유닛(50)의 회전평면과 회전 연결구유닛(70)의 회전평면은 서로 경사진 방향이고, 예컨대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회전 조인트는 커넥터유닛(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유닛(10)은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1 및 제2 포트(11a, 11b), 및 내측 둘레에 형성되되 제1 및 제2 포트(11a, 11b)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12a, 12b)을 구비한다. 베어링유닛(30)은 회전관 베어링(30a) 및 연결구 베어링(30b)을 포함하고, 회전관 베어링(30a)은 하우징유닛(10)의 내측 일단부에 설치된 제1 롤링 베어링(31a) 및 하우징유닛(10)의 내측 타단부에 설치된 제2 롤링 베어링(32a)으로 이루어진다. 연결구 베어링(30b)은 후술되는 스윙 연결구들(71)의 회전을 도모한다. 회전관유닛(50)은 일단에 각각 개구를 형성하며 내부로 형성된 제1 및 제2 유로(51, 52), 및 외측 둘레에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타측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연통구(53a, 53b)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31a, 32a)의 내륜(31)이 외측 둘레에 장착되게 하우징유닛(10) 내에 삽입되며 제1 및 제2 연통구(53a, 53b)가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12a, 12b)과 각각 연통된다. 그리고 회전 연결구유닛(70)은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개구 측에 각각 연결구 베어링(30b)을 개재시켜 결합되되 회전관유닛(70)의 회전평면과 경사진 회전평면에서 스윙 회전가능한 스윙 연결구들(71)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하우징유닛(10), 베어링유닛(30), 회전관유닛(50) 및 회전 연결구유닛(70)의 구성들을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계속하여 커넥터유닛(9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하우징유닛(10)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우징유닛(10)은 제1 및 제2 포트(11a, 11b) 및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12a, 12b)을 구비한다. 예컨대, 하우징유닛(10)은 하우징 몸체(10a)를 구비하고, 하우징 몸체(10a)에 제1 및 제2 포트(11a, 11b) 및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12a, 12b)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유닛(10),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 내부로 후술되는 회전관유닛(50)이 삽입된다.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의 내부는 관통되게 형성되어 회전관유닛(5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유닛(10),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 내측에는 후술되는 회전관 베어링(30a)이 설치된다. 회전관 베어링(30a)과 회전관유닛(50)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포트(11a, 11b)는 하우징유닛(10)의 외측 둘레에,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다. 예컨대, 제1 포트(11a)가 형성된 둘레 일측과 제2 포트(11b)가 형성된 둘레 타측은 서로 대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포트(11a, 11b)에는 각각 후술되는 제1 커넥터(91)가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커넥터(91) 없이 배관이 제1 및 제2 포트(11a, 11b)에 각각 바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제1 커넥터(91)를 통해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12a, 12b)은 하우징유닛(10)의 내측 둘레에,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12a, 12b)은 각각 제1 및 제2 포트(11a, 11b)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포트(11a)와 제1 환형 유로홈(12a)에 의한 유로와 제2 포트(11b)와 제2 환형 유로홈(12b)에 의한 유로가 독립된다.
예컨대, 제1 포트(11a)와 제1 환형 유로홈(12a)에 의한 유로와 제2 포트(11b)와 제2 환형 유로홈(12b)에 의한 유로는 하우징 패킹링들(15)에 의해 독립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하우징유닛(10),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는 내측 둘레에 형성된 링홈들(14) 및 링홈들(14) 각각에 장착되는 하우징 패킹링들(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유닛(10),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의 내측 둘레에는 후술되는 제1 롤링 베어링(31a)이 안착되는 전방 안착부(13a)와 제2 롤링 베어링(32a)이 안착되는 후방 안착부(13b)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안착부(13a)와 후방 안착부(13b)는 각각 하우징 몸체(10a)의 양단에서 내측에 단턱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유닛(10),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의 내측 둘레에서 링홈들(14)은 전방 안착부(13a)와 제1 환형 유로홈(12a) 사이, 제1 환형 유로홈(12a)과 제2 환형 유로홈(12b) 사이, 그리고 제2 환형 유로홈(12b)과 후방 안착부(13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링홈들(14)이 전방 안착부(13a)와 제1 환형 유로홈(12a) 사이, 제1 환형 유로홈(12a)과 제2 환형 유로홈(12b) 사이, 그리고 제2 환형 유로홈(12b)과 후방 안착부(13b) 사이에 각각 1쌍씩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패킹링들(15)은 링홈들(14) 각각에 장착되어 후술되는 회전관유닛(50) 외측, 예컨대 회전관 몸체(50a) 외측과의 사이에서 각 구간별로 유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 패킹링들(15)은 수지재질일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하우징유닛(10)은 하우징 몸체(10a)와 하우징 브라켓(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몸체(10a)는 제1 및 제2 포트(11a, 11b) 및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12a, 12b)을 구비한다. 하우징 브라켓(10b)은 하우징 몸체(10a)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의 둘레에 고정 설치된다. 하우징 브라켓(10b)은 하우징 몸체(10a)를 고정체(도시되지 않음), 예컨대 후술되는 분리 가능한 공조기기의 경우 제1 또는 제2 몸체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4에서 하우징 브라켓(10b)은 하우징 몸체(10a)의 일단부(도 1 내지 3에서 회전관 몸체(50a)와 플랜지유닛(50b)의 결합 방향 측) 또는 하우징 몸체(10a)의 전방부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예컨대, 하우징 브라켓(10b)은 하우징 몸체(10a)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와 고정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지지부는 하우징 몸체(10a)가 삽입되는 부위이고 고정부는 외측으로 넓게 돌출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고정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의 일단면과 후술되는 제1 롤링 베어링(31a)의 일단면과 하우징 브라켓(10b)의 고정부 일단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베어링유닛(30)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베어링유닛(30)은 회전관 베어링(30a) 및 연결구 베어링(30b)을 포함한다. 회전관 베어링(30a)은 하우징유닛(10)과 회전관유닛(50), 예컨대 회전관 몸체(50a) 사이에 개재되고, 연결구 베어링(30b)은 회전관유닛(50)의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개구 외측둘레, 예컨대 플랜지유닛(50b)의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의 연결개구 외측둘레와 회전 연결구유닛(70)의 스윙 연결구(71)의 내측면 사이에 각각 개재된다.
먼저, 회전관 베어링(30a)은 제1 롤링 베어링(31a) 및 제2 롤링 베어링(32a)을 포함한다. 제1 롤링 베어링(31a)은 하우징유닛(10),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의 내측 일단부(내측 전방부, 플랜지유닛(50b)와의 결합 측), 예컨대 전방 안착부(13a)에 설치되고, 제2 롤링 베어링(32a)은 하우징유닛(10),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의 내측 타단부(내측 후방부, 베어링 커버(33) 체결 측), 예컨대 후방 안착부(13b)에 설치된다. 예컨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31a, 32a)이 안착되는 전방 및 후방 안착부(13a, 13b)는 하우징유닛(10),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의 양단부의 초입에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방 및 후방 안착부(13a, 13b)는 각각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31a, 32a)의 외륜(32)과 접하고 내륜(31)과는 접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후술되는 회전관유닛(50), 예컨대 회전관 몸체(50a)의 외측 둘레가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31a, 32a)의 내륜(31)과 접하게 설치되어, 회전관유닛(50), 예컨대 회전관 몸체(50a)이 고정된 하우징유닛(10),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롤링 베어링(31a) 및 제2 롤링 베어링(32a)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또는 제1 롤링 베어링(31a)의 직경은 제2 롤링 베어링(32a)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 롤링 베어링(31a)의 내륜 직경이 제2 롤링 베어링(32a)의 내륜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롤링 베어링(31a)은 후술되는 회전관 몸체(50a)의 체결돌기부(57)(즉, 플랜지유닛(50b)과의 체결부위)의 체결 반대면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나의 예에서, 연결구 베어링(30b)은 플랜지유닛(50b)의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의 연결개구 외측둘레와 스윙 연결구들(71)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고, 스윙 연결구들(71)의 회전을 도모한다. 예컨대, 연결구 베어링(30b)은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31a, 32a)과 마찬가지로 내륜과 외륜 사이에 볼베어링 등이 삽입된 롤링 베어링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연결구 베어링(30b)은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의 연결개구 외측둘레 각각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 롤링 베어링들(31b, 3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연결유로(51b)의 연결개구(스윙 연결구(71)와 결합되는 부위) 외측둘레에 제3 및 제4 롤링 베어링(31b, 32b)이 설치되고, 제2 연결유로(52b)의 연결개구(스윙 연결구(71)와 결합되는 부위) 외측둘레에도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롤링 베어링(31b, 32b)이 설치된다. 이때, 제3 및 제4 롤링 베어링(31b, 32b) 사이의 구간에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연결구 패킹링들(7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베어링유닛(30)은 베어링 커버(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베어링 커버(33)는 회전관 몸체(50a)의 타단부(후방부) 둘레에 설치되며 제2 롤링 베어링(32a)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후술되는 회전관 몸체(50a)의 체결구(50c)가 베어링 커버(33)를 지지함으로써 베어링 커버(33)에 의해 제2 롤링 베어링(32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베어링 커버(33)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가 돌출되어 제2 롤링 베어링(32a)의 외륜(32)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회전관유닛(50)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회전관유닛(5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회전관유닛(50)은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31a, 32a)의 내륜(31)이 외측 둘레에 장착되게 하우징유닛(10) 내에,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 내에 삽입된다. 이때, 회전관유닛(50)은 제1 및 제2 유로(51, 52) 및 제1 및 제2 연통구(53a, 53b)를 구비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회전관유닛(50)은 회전관 몸체(50a)와 플랜지유닛(50b)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일부와 제1 및 제2 연통구(53a, 53b)는 회전관 몸체(50a)에 구비되고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나머지 일부는 플랜지유닛(50b)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유로(51, 52)는 서로 독립된다.
제1 및 제2 유로(51, 52)는 회전관유닛(50)의 일단에 개구를 형성하고 회전관유닛(50)의 내부로 형성된다. 예컨대, 회전관유닛(50)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는 플랜지유닛(50b)의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의 연결 개구일 수 있다. 회전관유닛(50)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 예컨대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의 연결 개구에는 각각 후술되는 스윙 연결구(71)가 체결된다.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로(51)는 회전관 몸체(50a)의 제1 내부유로(51a)와 플랜지유닛(50b)의 제1 연결유로(51b)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유로(52)는 회전관 몸체(50a)의 제2 내부유로(52a)와 플랜지유닛(50b)의 제1 연결유로(52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통구(53a, 53b)는 회전관유닛(50)의 외측 둘레에, 예컨대 회전관 몸체(50a)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타측과 각각 연통된다. 이때, 제1 및 제2 연통구(53a, 53b)는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12a, 12b)과 각각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제1 유로(51), 제1 연통구(53a), 제1 환형 유로홈(12a) 및 제1 포트(11a)에 의한 유로와 제2 유로(52), 제2 연통구(53b), 제2 환형 유로홈(12b) 및 제2 포트(11b)에 의한 유로가 독립된다.
예컨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회전관유닛(50)은 회전관 몸체(50a) 및 플랜지유닛(50b)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회전관 몸체(50a)는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는 제1 및 제2 내부유로(51a, 52a), 및 제1 및 제2 연통구(53a, 53b)를 구비한다. 회전관 몸체(50a)는 하우징유닛(10) 내에,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 내에 삽입되며 외측 둘레에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31a, 32a)의 내륜(31)이 장착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내부유로(51a, 52a)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회전관 몸체(50a)의 외측 둘레에는 제1 환형 둘레홈(55a) 및 제2 환형 둘레홈(55b)이 형성된다. 제1 환형 둘레홈(55a)은 제1 환형 유로홈(12a)과 마주하고, 제2 환형 둘레홈(55b)은 제2 환형 유로홈(12b)과 마주한다. 제1 환형 둘레홈(55a)의 일측에 제1 연통구(53a)가 형성되고, 제2 환형 둘레홈(55b)의 일측에 제2 연통구(53b)가 형성된다.
또 하나의 예에서, 회전관 몸체(50a)는 일단, 예컨대 전방부에 체결돌기부(57)를 구비한다. 체결돌기부(57)는 플랜지유닛(50b)과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체결돌기부(57)의 체결 반대면은 제1 롤링 베어링(31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체결돌기부(57)의 체결 반대면은 제1 롤링 베어링(31a)의 내륜(31)의 측부(전방측 측부)를 지지하고 제1 롤링 베어링(31a)의 외륜(32)의 측부와는 이격되어, 제1 롤링 베어링(31a)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체결돌기부(57)의 체결 반대면은 제1 롤링 베어링(31a)의 외륜(32)의 측부(전방측 측부)와는 간극을 두고 이격되고, 제1 롤링 베어링(31a)의 내륜(31)의 측부(전방측 측부)에만 접촉된다. 게다가, 체결돌기부(57)와 플랜지유닛(50b)의 체결면 상에 기밀 유지를 위한 플랜지 가스켓(59b)이 구비된다.
게다가, 회전관 몸체(50a)는 타단, 예컨대 후방부에 체결홈(58)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체결홈(58)에는 체결구(50c)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회전관 몸체(50a)는 제1 롤링 베어링(31a)의 내륜(31)과 체결되는 부위의 외경이 제2 롤링 베어링(32a)의 내륜과 체결되는 부위의 외경보다 클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회전관유닛(50)은 회전관 몸체(50a) 및 플랜지유닛(50b) 외에 체결구(5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50c)는 회전관 몸체(50a)의 체결홈(58)에 체결되어, 제2 롤링 베어링(32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베어링 커버(33)를 지지한다. 체결구(50c)가 베어링 커버(33)를 지지함에 따라 베어링 커버(33)가 제2 롤링 베어링(32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회전관 몸체(50a)의 후방측 둘레에 홈이 형성되고, 후방측 둘레 홈에 예컨대 스냅링(59c)이 장착되어 스냅링(59c) 외측(후방측)의 베어링 커버(33)의 내측 부위가 체결구(50c)의 지지에 따라 제2 롤링 베어링(32a)의 내륜(31)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2 롤링 베어링(32a)에 의한 회전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유닛(50b)은 회전관 몸체(50a)의 일단과 체결된다. 플랜지유닛(50b)은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는 각각 일측이 제1 및 제2 내부유로(51a, 52a)와 연통된다.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 각각의 타측에는 제1 및 제2 내부유로(51a, 52a)의 방향과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결 개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는 단면상 'L'형의 상하대칭구조를 이룬다. 단면상 'L'형의 상하대칭구조는 상부측, 예컨대 도 1 내지 3에서 제2 연결유로(52b)는 'L'자형을 이루어고 하부측, 예컨대 제1 연결유로는 'L'자형이 상하로 대칭된 형상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는 단면상 'L'형상이 상하로 대칭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의 연결 개구에는 각각 후술되는 스윙 연결구들(71)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플랜지유닛(50b)이 회전관 몸체(50a)의 일단(전방부)와 체결됨에 따라, 베어링 유닛에 의해 하우징유닛(10), 예컨대 하우징 몸체(10a)의 내에서 회전관 몸체(50a)가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플랜지유닛(50b)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 연결구유닛(70)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회전 연결구유닛(70)을 살펴본다. 회전 연결구유닛(70)은 스윙 연결구들(71)를 포함한다. 이때, 스윙 연결구들(71) 각각은 회전관유닛(50)의 회전평면과 경사진 회전평면에서 스윙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조인트에 의한 2개 배관의 결합부위가 회전관유닛(50)의 회전평면과 회전 연결구유닛(70)의 회전평면 간의 서로 경사진 회전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하여 플렉시블한 배관 연결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스윙 연결구들(71)가 스윙 회전하는 회전평면과 회전관유닛(50)의 회전평면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이때, 스윙 연결구들(71)은 각각 일단이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개구 측에 스윙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스윙 연결구들(71)과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개구 외측둘레 사이에 연결구 베어링(30b)이 개재되며 스윙 연결구들(71)이 제1 및 제2 유로(51, 52)의 개구 측에 결합된다. 예컨대, 스윙 연결구들(71) 각각의 일단은 플랜지유닛(50b)의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 각각의 연결 개구 측에 스윙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개재된 연결구 베어링(30b)에 의해 스윙 연결구들(71)이 스윙 회전하게 된다.
하나의 예에서, 스윙 연결구들(71)의 타단 포트는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의 연결 개구 각각의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각 스윙 연결구(71)의 유로는 단면상 '┓'형 또는 '┛'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3에서 상부측 스윙 연결구(71)의 유로는 단면상 '┓'형을 이루어고 하부측 스윙 연결구(71)의 유로는 단면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3에서, 스윙 연결구들(71)의 단면상 '┓'형 및 '┛'형 유로 각각의 일측(후방측)은 단면상 'L'형의 상하대칭구조를 이루는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에 연결되고 단면상 '┓'형 및 '┛'형 유로 각각의 타측(전방측, 즉, 제2 커넥터(92)와 연결 측)에는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의 연결 개구 각각의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포트가 구비된다. 이때, 스윙 연결구들(71)가 스윙 회전하는 회전평면과 회전관유닛(50)의 회전평면은 서로 수직이 된다.
예컨대,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회전 연결구유닛(70)은 스윙 고정구(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윙 고정구(72)는 스윙 연결구들(71)가 일체로 스윙 회전하도록 스윙 연결구들(71) 사이를 고정시킨다.
예컨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회전 연결구유닛(70)은 연결구 패킹링들(7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스윙 연결구들(71)의 플랜지유닛(50b)과의 체결부위 각각의 내측에, 예컨대 제3 및 제4 롤링 베어링(31b, 32b)과의 연결부위 사이의 내측에 링홈들이 형성되고, 연결구 패킹링들(73)은 링홈들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 연결유로(51b, 52b)의 연결 개구 각각의 외측 둘레와 유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유닛(90)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회전 조인트는 커넥터유닛(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유닛(90)은 제1 커넥터들(9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커넥터들(91)은 각각 제1 및 제2 포트(11a, 11b)에 체결되며 배관과 연결된다. 예컨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포트(11a, 11b)에 체결되는 2개의 제1 커넥터(91) 각각은 단면상 '┗'형 단면 유로를 구비하되, 단면상 하측에 위치되는 경우 '┗'형상으로 단면상 상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하 대칭된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커넥터(91) 각각과 제1 및 제2 포트(11a, 11b)의 내측 사이에 밀폐링이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커넥터유닛(90)은 제2 커넥터들(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들(92)은 각각 스윙 연결구(71)의 타단 포트에 체결되며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커넥터(92) 각각과 스윙 연결구(71)의 타단 포트의 내측 사이에 밀폐링이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공조기기]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른 공조기기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공조기기는 제1 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제1 몸체(도시되지 않음)와 제2 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제2 몸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몸체 사이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2개 배관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배관 상에 전술한 발명의 모습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회전 조인트가 구비된다. 제1 및 제2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2개의 배관으로 연결된 공조기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구체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분리형 밸브도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몸체가 분리 및 결합되는 공조기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회전 조인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조하여 이해하기로 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공조기기는 이동형 기기일 수 있다. 이때, 이동형 기기는 제1 몸체(도시되지 않음)와 제2 몸체(도시되지 않음)를 고정시키기 않고, 예컨대 바퀴 등을 설치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 예들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이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전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 실시 예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하우징유닛 10a: 하우징 몸체
10b: 하우징 브라켓 11a: 제1 포트
11b: 제2 포트 12a: 제1 환형 유로홈
12b: 제2 환형 유로홈 13a, 13b: 안착부
15: 하우징 패킹링 30: 베어링유닛
30a: 회전관 베어링 30b: 연결구 베어링
31a: 제1 롤링 베어링 32a: 제2 롤링 베어링
31b: 제3 롤링 베어링 32b: 제4 롤링 베어링
33: 베어링 커버 50: 회전관유닛
50a: 회전관 몸체 50b: 플랜지유닛
50c: 체결구 51: 제1 유로
51a: 제1 내부유로 51b: 제1 연결유로
52: 제2 유로 52a: 제2 내부유로
52b: 제2 연결유로 53a: 제1 연통구
53b: 제2 연통구 55a: 제1 환형 둘레홈
55b: 제2 환형 둘레홈 57: 체결돌기부
58: 체결홈 70: 회전 연결구유닛
71: 스윙 연결구 72: 스윙 고정구
73: 연결구 패킹링 90: 커넥터유닛
91: 제1 커넥터 92: 제2 커넥터

Claims (10)

  1.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1 및 제2 포트, 및 내측 둘레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을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하우징유닛의 내측 일단부에 설치된 제1 롤링 베어링과 상기 하우징유닛의 내측 타단부에 설치된 제2 롤링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회전관 베어링 및 연결구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유닛;
    각각 일단에 개구를 형성하며 내부로 형성된 제1 및 제2 유로, 및 외측 둘레에 상기 제1 및 제2 유로의 타측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연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의 내륜이 외측 둘레에 장착되게 상기 하우징유닛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통구가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과 각각 연통되는 회전관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로의 개구 측 각각에 상기 연결구 베어링을 개재시켜 결합되되 상기 회전관유닛의 회전평면과 경사진 회전평면에서 스윙 회전가능한 스윙 연결구들을 포함하는 회전 연결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연결구유닛은 상기 스윙 연결구들이 일체로 스윙 회전하도록 상기 스윙 연결구들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윙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인트.
  2. 청구항 1에서,
    상기 회전관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내부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연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유닛 내에 삽입되며 외측 둘레에 상기 제1 및 제2 롤링 베어링의 내륜이 장착되는 회전관 몸체; 및
    상기 회전관 몸체의 일단과 체결되되, 상기 제1 및 제2 내부유로와 각각 일측이 연통되고 각각의 타측에 상기 제1 및 제2 내부유로의 방향과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결 개구가 구비되어 단면상 'L'형의 상하대칭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1 및 제2 유로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연결유로를 구비한 플랜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 베어링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연결개구 외측둘레와 상기 스윙 연결구들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윙 연결구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연결 개구 측 각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인트.
  3. 청구항 2에서,
    상기 스윙 연결구들의 타단 포트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연결 개구의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각 스윙 연결구의 유로는 단면상 '┓'형 또는 '┛'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인트.
  4. 청구항 2에서,
    상기 회전관 몸체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제1 환형 유로홈과 마주하는 제1 환형 둘레홈 및 상기 제2 환형 유로홈과 마주하는 제2 환형 둘레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환형 둘레홈의 일측에 상기 제1 연통구가 그리고 상기 제2 환형 둘레홈의 일측에 상기 제2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유닛은 내측 둘레에서 상기 제1 롤링 베어링이 안착되는 전방 안착부와 상기 제1 환형 유로홈 사이, 상기 제1 환형 유로홈과 상기 제2 환형 유로홈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환형 유로홈과 상기 제2 롤링 베어링이 안착되는 후방 안착부 사이에 형성된 링홈들 및 상기 링홈들 각각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관 몸체 외측과의 사이에서 각 구간별로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는 하우징 패킹링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 베어링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연결개구 외측둘레 각각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 롤링 베어링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연결구유닛은 상기 스윙 연결구들 각각의 상기 제3 및 제4 롤링 베어링과의 연결부위 사이의 내측에 형성된 링홈들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연결 개구 각각의 외측 둘레와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패킹링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인트.
  5. 청구항 2에서,
    상기 회전관 몸체는 일단에 상기 플랜지유닛과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체결 반대면이 상기 제1 롤링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돌기부를 구비하고 타단에 체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돌기부와 상기 플랜지유닛의 체결면 상에 기밀 유지를 위한 플랜지 가스켓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유닛은 상기 회전관 몸체의 타단부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롤링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베어링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관유닛은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베어링 커버를 지지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인트.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포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유로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의 둘레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를 고정체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하우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인트.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포트 각각에 체결되며 각각 배관과 연결되는 제1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커넥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인트.
  8. 청구항 7에서,
    상기 커넥터유닛은 상기 스윙 연결구들의 포트 각각에 체결되며 각각 배관과 연결되는 제2 커넥터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인트.
  9. 제1 열교환기를 구비한 제1 몸체와 제2 열교환기를 구비한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사이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2개 배관이 연결된 공조기기에 있어서,
    상기 배관 상에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회전 조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
  10. 청구항 9에서,
    상기 공조기기는 이동형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
KR1020180030477A 2018-03-15 2018-03-15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 KR10208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77A KR102087631B1 (ko) 2018-03-15 2018-03-15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77A KR102087631B1 (ko) 2018-03-15 2018-03-15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68A KR20190108868A (ko) 2019-09-25
KR102087631B1 true KR102087631B1 (ko) 2020-03-11

Family

ID=6806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77A KR102087631B1 (ko) 2018-03-15 2018-03-15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6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9408A (ja) * 2010-02-18 2011-09-01 Abc Coupling Kogyo Co Ltd 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ベルエルボ
KR101671266B1 (ko) * 2016-04-12 2016-11-02 주식회사 서원로보테크 무접점 통신방식을 이용한 로터리 조인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018819A (en) 2008-10-02 2010-05-16 Pfizer Rotary supply joint, rotary timing valve and product hand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9408A (ja) * 2010-02-18 2011-09-01 Abc Coupling Kogyo Co Ltd 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ベルエルボ
KR101671266B1 (ko) * 2016-04-12 2016-11-02 주식회사 서원로보테크 무접점 통신방식을 이용한 로터리 조인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68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3991T3 (es) Accesorio de momento cero
US9291273B2 (en) Butterfly valve assembly
US10883618B2 (en) Valve coupling having centering support projections
US4997007A (en) Shower diverter valve
JP2014111987A5 (ko)
CN104806779A (zh) 流体阀组件和用于流体阀组件的密封套筒
US9464724B2 (en) Check valve flapper
EP2971924B1 (en) Mechanical pipe fitting
US20140209828A1 (en) Flow characterizing device and ball valve with such a flow characterizing device
KR102087631B1 (ko)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
US20210207748A1 (en) Rotating snap connection assembly
CA2728853A1 (en) Rotatable flange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16687A1 (en) Sealed joining device
CA2935844A1 (en) Membrane style excess flow valve
CN212430093U (zh) 接头与具有该接头的加工设备
CN219933318U (zh) 插接头、接头组件、热管理系统及车辆
CN215111190U (zh) 一种软管连接结构和软管快拆结构
EP1847739A2 (en) Improved ball valve and valve seat
EP3770478B1 (en) Valve guide with integral assembly support
CN110725966A (zh) 一种阀座组件及具有该阀座组件的球阀
CN220249202U (zh) 水管组件
CN218719001U (zh) 分体式阀体、多通阀和热管理系统
JP2002115790A (ja) ワンタッチ継手の接続部構造
KR101542503B1 (ko) 구형 버터 플라이 밸브
CN220980630U (zh) 一种回转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