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570B1 -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 - Google Patents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570B1
KR102087570B1 KR1020190068637A KR20190068637A KR102087570B1 KR 102087570 B1 KR102087570 B1 KR 102087570B1 KR 1020190068637 A KR1020190068637 A KR 1020190068637A KR 20190068637 A KR20190068637 A KR 20190068637A KR 102087570 B1 KR102087570 B1 KR 10208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interlocking
modul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세영
Original Assignee
양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세영 filed Critical 양세영
Priority to KR102019006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로서, 모터 단자함에 결합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통공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통공과 대응되도록 기판에 장착된 공지의 모터 조작용 스위치를 포함하며, 케이스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다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다리은 제1 지지체(1121), 제2 지지체(1122), 제3 지지체(1123) 및 내지 제4 지지체(1124)를 포함하는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조작스위치들을 킷트(kit)화하여 모터 단자함에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자체적인 소음 저감 및 외부의 충격을 감소시켜 설치와 사후 관리가 안정적인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조작스위치들을 킷트(kit)화하여 모터 단자함에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자체적인 소음 저감 및 외부의 충격을 감소시켜 설치와 사후 관리가 안정적인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에 관한 것이다.
모터 단자함은 여닫힘식으로 결합된 도어(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선용 차단기와 과전류 계전기, 마그네틱 컨텍터 등이 하나의 셋트가 되어 설치되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스위치의 단자와 단자사이가 멀어져 결선이 곤란한 단점을 가져 이를 해결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컨트롤 박스가 가지는 역할을 감안하면 가장 중요한 기술저 과제는 외부의 충격에서 안전하게 컨트롤 박스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운용 상의 소음을 억제하여 안정적이고 쾌적한 취급을 가능케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만족시킬 수 있는 모터 단?마용 컨트록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100705호
본 발명은 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조작스위치들을 킷트(kit)화하여 모터 단자함에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자체적인 소음 저감 및 외부의 충격을 감소시켜 설치와 사후 관리가 안정적인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로서, 모터 단자함에 결합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통공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통공과 대응되도록 기판에 장착된 공지의 모터 조작용 스위치를 포함하며,케이스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다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다리은 제1 지지체(1121), 제2 지지체(1122), 제3 지지체(1123) 및 내지 제4 지지체(1124)를 포함하는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조작스위치들을 킷트(kit)화하여 모터 단자함에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자체적인 소음 저감 및 외부의 충격을 감소시켜 설치와 사후 관리가 안정적인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보이기 위한 참고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의 내부 전선연결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의 사용상태 참고도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본 발명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10')는 상기 모터 단자함에 결합되는 기판(200')과, 상기 기판에 나사(101')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통공(110')을 구비하는 함체형상의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의 통공과 대응되도록 기판에 장 착된 공지의 모터 조작용 스위치(1',2',3')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접속단자(121')를 구비하는 터미널블록(120')과, 상기 덮개의 조작스위치의 단자로 부터 인출된 전선(130')이 터미널블록의 접속단자(121') 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케이스(100')와 기판(200')은 내식성과 내화성이 좋은 스테인레스스틸을 재질로 하였으며, 상기 기판에는 지지대(300')가 형성되어 각기 높낮이가 다른 모터조작용 스위치, 즉 배선용 차단기(1')와 과전류 계전기(2'), 마그네틱 컨텍터(3')들이 케이스 통공(110')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하여, 모터조작용 스위치들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모터조작용 스위치를 통공을 통해 케이스 외부로 노출시키는 이유는 각 모터조작용 스위치의 동작상태 확인 및 추가접점 인출, 조작 등에 필요하기 때문이다.본 발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스위치(1',2',3')들의 단자 연결을 전선(130')으로 할 수도 있지만, 단락 및 누전방지, 전력소모의 감소 등을 위해 단자 점퍼(14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자점퍼(140')는 은도금되어있으며, 이로인해 접촉저항이 감소되어 전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결선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단자와 단자사이의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조작스위치들의 배치도 매우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차단기 상태단자접점이 있을 시에는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두개의 터미널블럭(120')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터미널블럭(120')의 설치위치는 케이스 어느 곳이라도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4는 도 1에 따른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들과 유사한 내용은 생략하고 기술적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다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다리은 제1 지지체(210), 제2 지지체(220), 제3 지지체(230) 및 내지 제4 지지체(2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다리 중 적어도 상기 제1 지지체(210)에는 수직방향 상에 고정모듈이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감쇄시키며, 상기 고정모듈은, 하방의 결속되는 중공형 통형상체인 제1 고정부(310)와, 상방에 결속되는 중공형 통형상체인 제2 고정부(320)와, 상기 제2 고정부(320) 상방에 결속되는 중공형 통형상체인 제3 고정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부(310)는, 상기 제2 고정부(320)와 연동되는 제1 연동모듈(3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연동모듈(311)을 통해 상기 제2 고정부(320)를 상기 제1 고정부(320)측으로 당겨 당김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2 고정부(320)는, 상기 제3 고정부(330)와 연동되는 제2 연동모듈(32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연동모듈(321)을 통해 상기 제3 고정부(330)를 상기 제2 고정부(320) 측으로 당겨 당김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3 고정부(33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체(2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3 결속부(330L)을 통해 상기 제1 지지체(210)에 대한 고정력이 조절된다.
상기 제2 고정부(32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체(2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2 결속부(320L)를 통해 상기 제1 지지체(210)에 대한 고정력이 조절되며, 상기 제1 고정부(31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체(2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1 결속부(310L)를 통해 상기 제1 지지체(210)에 대한 고정력이 조절된다.
상기 제1 고정부(310)와 상기 제2 고정부(320)는 상호간에 당김힘이 발생되도록 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부(310)와 상기 제2 고정부(320) 상호간의 연동력을 보강하기 위한 제1 보강모듈(41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보강모듈(410)은, 상기 제1 고정부(310)에 결속되는 제1 구동부(411)와, 상기 제1 구동부(411)로부터 진퇴유동되며 상기 제2 고정부(320)에 결속되는 제1 유동체(4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체(412)는 종단면 기준 형상이 원형으로서, 상기 제1 구동부(411)에서 회전 방식으로 전후 유동되어, 상기 제2 고정부(320)에 대한 당김힘을 추가로 가한다.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에는 상기 지지다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을 수평방향 상에서 가압하여 상호간을 연동 고정시키는 제1 연동고정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연동고정모듈은, 상기 제1 지지체(210), 상기 제2 지지체(220), 상기 제3 지지체(230) 및 상기 제4 지지체(240)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소정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중앙구동부(511)와, 상기 제1 지지체(210)와 상기 제2 지지체(220) 사이에 위치도록 상기 중앙구동부(511)와 연동되는 제1 연동고정부(512)와 상기 제2 지지체(220)와 상기 제3 지지체(230) 사이에 위치도록 상기 중앙구동부(511)와 연동되는 제2 연동고정부(512)와, 상기 제3 지지체(230)와 상기 제4 지지체(240) 사이에 위치도록 상기 중앙구동부(511)와 연동되는 제3 연동고정부(514)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지지체(240)와 상기 제1 지지체(210) 사이에 위치도록 상기 중앙구동부(511)와 연동되는 제4 연동고정부(5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동고정부(512)는, 상기 제2 지지체(220)측을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연동고정부(512) 상기 제3 지지체(230)측을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3 연동고정부(514) 상기 제4 지지체(240)측을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4 연동고정부(515) 상기 제1 지지체(210)측을 가압하도록 유동된다. 상기 중앙구동부(511)는, 상기 제1 지지체(210) 내지 상기 제4 지지체(240) 각각에 직접 연동되는 접촉구조물(5112)과, 상기 접촉구조물(5112)을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체(51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연동고정모듈은, 상기 회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지지체(210) 내지 상기 제4 지지체(240)를 연동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다리 외측에는 내부측으로 상기 지지다리을 둘러싸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을 연동 고정시키는 제2 연동고정모듈(600)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연동고정모듈(600)은, 상기 지지다리을 둘러싸는 중공형 구동체(610)와, 상기 중공형 구동체(610) 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 출몰하여 상기 제2 지지체(220)를 상기 제1 연동고정부(512)와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내장가압체(620)와, 상기 중공형 구동체(610) 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 출몰하여 상기 제3 지지체(230)를 상기 제2 연동고정부(512)와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내장가압체(630)와, 상기 중공형 구동체(610) 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 출몰하여 상기 제4 지지체(240)를 상기 제3 연동고정부(514)와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 내장가압체(640)와, 상기 중공형 구동체(610) 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 출몰하여 상기 제1 지지체(210)를 상기 제4 연동고정부(515)와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4 내장가압체(65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동고정모듈(600)은, 상기 지지다리의 상방과 하반 강에 다수로 구비되되, 상단에 위치되는 제2-1 연동고정모듈(600a)과, 중단에 위치되는 제2-2 연동고정모듈(600b)과, 하단에 위치되는 제2-3 연동고정모듈(600c)로 구비되며, 상기 제2-1 연동고정모듈(600a)은 상기제 2-2 연동고정모듈(600b)과 제1 수직위치 조절모듈(710)을 통해 상호간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2-2 연동고정모듈(600b)은 상기제 2-3 연동고정모듈(600c)과 제2 수직위치 조절모듈(720)을 통해 상호간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수직위치조절모듈(710)의 하부에는 제1 틸트모듈(T1)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수직위치조절모듈(710)의 일정범위로의 회동을 가능하게하며, 상기 제2 수직위치조절모듈(720)의 하부에는 제2 틸트모듈(T2)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수직위치조절모듈(720)의 일정범위로의 회동을 가능하게한다.
상기 제2-3 연동고정모듈(600c)을 결속 고정시키거나 설정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취급모듈(830)과, 상기 제2-2 연동고정모듈(600b)을 결속 고정시키거나 설정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취급모듈(820)과, 상기 제2-1 연동고정모듈(600a)을 결속 고정시키거나 설정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취급모듈(8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취급모듈(810)은, 외부로부터 연동되어 위치이동을 시키기 위한 제1 브릿지부(811)와, 상기 제1 브릿지부(811)에 구비되는 제1 위치가변부(812)와, 상기 제1 위치가변부(812)에 구비되어 상기 제2-1 연동고정모듈(600a)을 적어도 일부를 파지하기 위한 제1 접촉부(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취급모듈(820)은, 외부로부터 연동되어 위치이동을 시키기 위한 제2 브릿지부(821)와, 상기 제2 브릿지부(821)에 구비되는 제2 위치가변부(822)와, 상기 제2 위치가변부(822)에 구비되어 상기 제2-2 연동고정모듈(600b)을 적어도 일부를 파지하기 위한 제2 접촉부(823)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취급모듈(830)은, 외부로부터 연동되어 위치이동을 시키기 위한 제3 브릿지부(831)와, 상기 제3 브릿지부(831)에 구비되는 제3 위치가변부(832)와, 상기 제3 위치가변부(832)에 구비되어 상기 제2-3 연동고정모듈(600c)을 적어도 일부를 파지하기 위한 제3 접촉부(83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케이스
101’: 나사
110’: 통공
120’: 터미널 블록

Claims (6)

  1. 모터 단자함에 결합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나사에 의해 합되어지며 통공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통공과 대응되도록 기판에 장착된 공지의 모터 조작용 스위치를 포함하며, 케이스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다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다리는 제1 지지체(210), 제2 지지체(220), 제3 지지체(230) 및 내지 제4 지지체(240)를 포함하는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 중 적어도 상기 제1 지지체(210)에는 수직방향 상에 고정모듈이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감쇄시키며,
    상기 고정모듈은, 하방의 결속되는 중공형 통형상체인 제1 고정부(310)와, 상방에 결속되는 중공형 통형상체인 제2 고정부(320)와, 상기 제1 고정부(310)와 상기 제2 고정부(320)사이에 결속되는 중공형 통형상체인 제3 고정부(33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부(310)는,
    상기 제2 고정부(320)와 연동되는 제1 연동모듈(3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연동모듈(311)을 통해 상기 제2 고정부(320)를 상기 제1 고정부(320)측으로 당겨 당김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고정부(320)는,
    상기 제3 고정부(330)와 연동되는 제2 연동모듈(32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연동모듈(321)을 통해 상기 제3 고정부(330)를 상기 제2 고정부(320) 측으로 당겨 당김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3 고정부(33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체(2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3 결속부(330L)을 통해 상기 제1 지지체(210)에 대한 고정력이 조절되는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
    상기 제2 고정부(32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체(2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2 결속부(320L)를 통해 상기 제1 지지체(210)에 대한 고정력이 조절되며,
    상기 제1 고정부(31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체(2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1 결속부(310L)를 통해 상기 제1 지지체(210)에 대한 고정력이 조절되는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
    상기 제1 고정부(310)와 상기 제2 고정부(320)는 상호간에 당김힘이 발생되도록 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부(310)와 상기 제2 고정부(320) 상호간의 연동력을 보강하기 위한 제1 보강모듈(41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보강모듈(410)은,
    상기 제1 고정부(310)에 결속되는 제1 구동부(411)와,
    상기 제1 구동부(411)로부터 진퇴유동되며 상기 제2 고정부(320)에 결속되는 제1 유동체(4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체(412)는 종단면 기준 형상이 원형으로서, 상기 제1 구동부(411)에서 회전 방식으로 전후 유동되어, 상기 제2 고정부(320)에 대한 당김힘을 추가로 가하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에는 상기 지지다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을 수평방향 상에서 가압하여 상호간을 연동 고정시키는 제1 연동고정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연동고정모듈은,
    상기 제1 지지체(210), 상기 제2 지지체(220), 상기 제3 지지체(230) 및 상기 제4 지지체(240)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소정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중앙구동부(511)와,
    상기 제1 지지체(210)와 상기 제2 지지체(220) 사이에 위치도록 상기 중앙구동부(511)와 연동되는 제1 연동고정부(512)와
    상기 제2 지지체(220)와 상기 제3 지지체(230) 사이에 위치도록 상기 중앙구동부(511)와 연동되는 제2 연동고정부(512)와,
    상기 제3 지지체(230)와 상기 제4 지지체(240) 사이에 위치도록 상기 중앙구동부(511)와 연동되는 제3 연동고정부(514)와
    상기 제4 지지체(240)와 상기 제1 지지체(210) 사이에 위치도록 상기 중앙구동부(511)와 연동되는 제4 연동고정부(5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동고정부(512)는, 상기 제2 지지체(220)측을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연동고정부(512) 상기 제3 지지체(230)측을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3 연동고정부(514) 상기 제4 지지체(240)측을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4 연동고정부(515) 상기 제1 지지체(210)측을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지지다리 외측에는 내부측으로 상기 지지다리을 둘러싸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을 연동 고정시키는 제2 연동고정모듈(600)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연동고정모듈(600)은,
    상기 지지다리을 둘러싸는 중공형 구동체(610)와,
    상기 중공형 구동체(610) 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 출몰하여 상기 제2 지지체(220)를 상기 제1 연동고정부(512)와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내장가압체(620)와,
    상기 중공형 구동체(610) 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 출몰하여 상기 제3 지지체(230)를 상기 제2 연동고정부(512)와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내장가압체(630)와,
    상기 중공형 구동체(610) 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 출몰하여 상기 제4 지지체(240)를 상기 제3 연동고정부(514)와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 내장가압체(640)와,
    상기 중공형 구동체(610) 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동 출몰하여 상기 제1 지지체(210)를 상기 제4 연동고정부(515)와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4 내장가압체(65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동고정모듈(600)은,
    상기 지지다리의 상방과 하반 강에 다수로 구비되되,
    상단에 위치되는 제2-1 연동고정모듈(600a)과,
    중단에 위치되는 제2-2 연동고정모듈(600b)과,
    하단에 위치되는 제2-3 연동고정모듈(600c)로 구비되는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8637A 2019-06-11 2019-06-11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 KR10208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37A KR102087570B1 (ko) 2019-06-11 2019-06-11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37A KR102087570B1 (ko) 2019-06-11 2019-06-11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570B1 true KR102087570B1 (ko) 2020-05-04

Family

ID=7073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637A KR102087570B1 (ko) 2019-06-11 2019-06-11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039B1 (ko) 2020-11-05 2021-09-02 류근원 내진성능이 향상된 컨트롤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705A (ko) 2003-05-23 2004-12-02 오병석 모터 단자함용 컨트롤박스
KR20150060079A (ko) * 2013-11-25 2015-06-03 (주)써포텍 흙막이 구조체
KR101640439B1 (ko) * 2015-09-24 2016-07-19 주식회사 에너솔라 상시 하중 보호기능을 갖는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834128B1 (ko) * 2017-09-05 2018-04-13 이근배 가공용 클린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705A (ko) 2003-05-23 2004-12-02 오병석 모터 단자함용 컨트롤박스
KR20150060079A (ko) * 2013-11-25 2015-06-03 (주)써포텍 흙막이 구조체
KR101640439B1 (ko) * 2015-09-24 2016-07-19 주식회사 에너솔라 상시 하중 보호기능을 갖는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834128B1 (ko) * 2017-09-05 2018-04-13 이근배 가공용 클린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039B1 (ko) 2020-11-05 2021-09-02 류근원 내진성능이 향상된 컨트롤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8587B2 (en) Arrangement of a stepping switch on a control transformer
KR102087570B1 (ko) 모터 단자함 컨트롤박스
CN86100367B (zh) 隔离开关
WO2013179925A1 (ja) スイッチギヤおよびスイッチギヤの組立方法
US20140307366A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DE502005008848D1 (de) Hochspannungsleistungsschalter und schalteranordnung
KR101466977B1 (ko) 가스 절연개폐장치용 스위치
KR101369370B1 (ko) 서로에 대하여 계조된 다수의 영역들을 구비하는 전자기 스위칭 장치
US20050016962A1 (en) Switch mechanism
JP200530420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6781514B2 (ja) ガス遮断器、及びガス絶縁開閉装置用遮断器
KR100500409B1 (ko) 전력기용 보호장치
JP4870649B2 (ja) 配電盤
KR101821920B1 (ko) 다극 전력 접촉기
KR100843457B1 (ko) 철재 분전반의 부스바 절연장치 및 구조
KR100493612B1 (ko) 진공스위치 유닛 및 스위치 기어
US4006440A (en) Terminal structure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
US4234864A (en) Transformer with offset side wall-mounted on-load tap changer
KR200398420Y1 (ko) 진공차단기의 튤립접촉자
WO2003049185A3 (de) Halbleiterbauelementanordnung mit verminderter oszillationsneigung
KR102257753B1 (ko) 컴팩트형 배전선로용 개폐기 및 그 설치구조
JP2007236074A (ja) スイッチギヤ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6340411A (ja) 分電盤
KR20090064427A (ko) 스위칭 장치를 확장하기 위한 보조 접촉 블록
JP4693164B2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