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290B1 -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290B1
KR102087290B1 KR1020130121065A KR20130121065A KR102087290B1 KR 102087290 B1 KR102087290 B1 KR 102087290B1 KR 1020130121065 A KR1020130121065 A KR 1020130121065A KR 20130121065 A KR20130121065 A KR 20130121065A KR 102087290 B1 KR102087290 B1 KR 10208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motional
information
emotion
emotion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886A (ko
Inventor
주성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2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특정 컨텐츠 또는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값을 분석하고, 분석된 감정 값을 컨텐츠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알 수 있는 감성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성 컨텐츠를 지도와 매핑하여 위치 기반으로 제공하는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 {Method for operating emotional contents service thereof,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컨텐츠 혹은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의 감정 값을 분석하고, 분석된 감정 값을 해당 컨텐츠와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이 결합된 감성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성 컨텐츠를 지도와 매핑하여 제공하는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시청 기능, MP3(MPEG Audio Layer-3)와 같은 음악 재생 기능, 사진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는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감정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생각과 감정들은 일시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기록하는 것이 용이치 않다. 따라서 종래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면서 가지는 생각과 감정들에 대한 기록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0600537호, 2006년 07월 06일 등록 (명칭: 타게팅 컨텐츠 및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특정 컨텐츠 또는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값을 분석하고, 분석된 감정 값을 컨텐츠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알 수 있는 감성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성 컨텐츠를 지도와 매핑하여 위치 기반으로 제공하는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감정이 결합된 감성 컨텐츠를 위치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기억을 보조하거나 타 사용자들과의 감정 공유를 지원할 수 있는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신체의 적어도 일부 변화에 해당하는 바이오 정보를 수집하는 바이오 정보 수집부; 바이오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바이오 정보를 사용자의 감정 값으로 변환하고, 감정 값을 지정된 특정 컨텐츠 또는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와 결합하여 감성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성 컨텐츠를 특정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관리하는 제어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상기 감성 컨텐츠를 매핑하여 출력하는 표시부; 지도 데이터 및 상기 감성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위치 정보를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가 입력부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된 특정 위치 정보를 감성 컨텐츠와 매핑하거나,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가 위치 측정부로부터 출력된 위치 정보를 감성 컨텐츠와 매핑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저장부는 바이오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값들을 포함하는 감정 테이블을 더 저장하고, 제어부가 수집되는 바이오 정보를 상기 감정 테이블을 기반으로 감정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일정 시간 단위로 바이오 정보를 수집하여 하나 이상의 감정 값들을 수집하고, 이를 시간별로 연결한 시간별 감정 값들을 컨텐츠와 결합하거나,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한 바이오 정보들을 변환한 하나 이상의 감정 값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지배적 감정 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지배적 감정 정보를 컨텐츠와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지배적 감정 정보의 산출 시,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한 감정 값들에 시간별 가중치를 더 부여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바이오 정보 수집부는 심박 측정 센서, 뇌파 측정 센서, 혈압 측정 센서, 체온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신체의 적어도 일부 변화에 해당하는 바이오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값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컨텐츠 및 각 감성 컨텐츠의 감정 값을 획득한 위치 정보 또는 지정된 위치 정보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서비스 통신부; 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감성 컨텐츠를 수신하면, 특정 감성 컨텐츠를 상기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매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사용자, 위치,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의 적어도 일부 변화에 해당하는 바이오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바이오 정보를 사용자의 감정 값으로 변환하여 지정된 특정 컨텐츠 또는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연결하여 감성 컨텐츠를 생성하고, 감성 컨텐츠 및 특정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각각 매핑된 특정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도 상에 매핑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감성 컨텐츠 운용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신체의 적어도 일부 변화에 해당하는 바이오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값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컨텐츠 및 각 감성 컨텐츠의 감정 값을 획득한 위치 정보 또는 지정된 위치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각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특정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매핑하여 특정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은, 지도 상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 중 특정 단말기에서 선택된 감성 컨텐츠를 특정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의 적어도 일부 변화에 해당하는 바이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바이오 정보를 사용자의 감정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감정 값을 지정된 특정 컨텐츠 또는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와 결합하여 감성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감성 컨텐츠를 특정 위치 정보와 매핑하는 단계; 특정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감성 컨텐츠를 지도 상에 매핑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일정 시간 단위로 하나 이상의 바이오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감성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 정보로부터 변환된 하나 이상의 감정 값을 시간별로 연결한 시간별 감정 값을 컨텐츠와 결합하거나,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 정보로부터 변환된 하나 이상의 감정 값의 평균 값을 기반으로 산출된 지배적 감정 값을 컨텐츠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은, 생성된 감성 컨텐츠 및 매핑된 특정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가 매핑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구성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성 컨텐츠 운용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감성 컨텐츠 운용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정 컨텐츠 혹은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중에 나타나는 사용자의 일시적인 감정을 수집하고 이를 해당 컨텐츠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감성이 표현된 감성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생성된 감성 컨텐츠를 지정된 혹은 검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매핑하여 나타냄으로써, 사용자의 기억을 보조하거나 타 사용자들과의 감정을 보다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감성 컨텐츠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상기 감성 컨텐츠에 대한 감정이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매핑하여 관리함으로써, 감성 컨텐츠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성 컨텐츠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성 컨텐츠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성 컨텐츠 운용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성 컨텐츠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성 컨텐츠 운용 시스템(1000)은 다수의 단말기(100, 101, 102), 통신망(300),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감성 컨텐츠 운용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 101, 102)가 생성한 감성 컨텐츠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업로드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감성 컨텐츠 운용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 101, 102)들이 업로드한 감성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감성 컨텐츠 운용 시스템(1000)은 특정 단말기(100)가 업로드한 감성 컨텐츠를 다른 단말기들(101, 10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 101, 102)가 업로드한 감성 컨텐츠들을 지도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감성 컨텐츠들을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감성 컨텐츠들을 단말기별, 위치 별로, 감성별로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 101, 102)는 특정 컨텐츠 혹은 재생중인 컨텐츠와 관련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감정 정보를 해당 컨텐츠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감성이 표현된 감성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 101, 102)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접속하여, 생성한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아울러,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 101, 102)는 감성 컨텐츠와 함께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 101, 102)는 수신된 감성 컨텐츠에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감성 컨텐츠와 지도 정보(157)의 위치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감성 컨텐츠 검색을 요청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지도 상에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감성 컨텐츠를 배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감성 컨텐츠는 소정의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기(100, 101, 102)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가 매핑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도 있다. 아울러, 단말기(100, 101, 102)는 지도 상에 배치된 감성 컨텐츠 중 특정 감성 컨텐츠를 선택하는 이벤트 발생 시, 해당 감성 컨텐츠의 상세보기(혹은 재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아이템의 상세 보기 화면은 감성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표시 영역 또는 컨텐츠의 재생 영역을 포함하며, 감정 값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단말기(100, 101, 102)와 서비스 제공 장치(200) 간의 통신 채널, 단말기(100, 101, 102) 간의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통신망(300)은 단말기(100, 101, 102)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기지국을 포함하며, 각 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호 전환을 위한 코어 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망(300)은 단말기(100, 101, 102)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기기인 경우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300)은 본 발명의 감성 컨텐츠 송수신을 위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지원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0)은 본 발명의 감성 컨텐츠 전송을 위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 채널, 채팅 서비스 채널, 이메일 서비스 채널 등의 데이터 서비스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컨텐츠 운용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단말기(100, 101, 102) 및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구성 및 작용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성 컨텐츠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단말기(100)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다른 단말기(101, 102)도 하기에서 설명하는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 카메라부(180), 위치 측정부(19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단말기(100)는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를 기반으로 수집되는 바이오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감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산출된 감정 값을 이용하여 다양한 감성 컨텐츠의 생성 및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산출된 감정 값을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151)와 결합하여 감성 컨텐츠(155)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정 값과 결합되는 컨텐츠(151)는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위치 측정부(190)를 통해서 측정된 감정 값 산출 시점의 위치 정보 또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감성 컨텐츠(155)와 매핑할 수 있다. 이렇게 매핑된 위치 정보는 추후 감성 컨텐츠(155)의 출력 시, 지도 기반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이용된다. 또한 단말기(100)는 생성된 감성 컨텐츠(155)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통하여 타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통신부(110)은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통신부(110)은 통신망(300)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부(110)은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100)의 감성 컨텐츠(155)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통신부(110)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 공유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 형태로 설계되는 경우 통신부(110)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통신부(110)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감성 컨텐츠(155)를 타 단말기에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타 단말기가 생성한 감성 컨텐츠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거치지 않고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은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일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신부(110)은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은 인터넷 통신망 통신 모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통신부(110)은 특정 통신 방식이나 전송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장치(200) 간의 통신 채널, 단말기(100)와 타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입력부(120)은 단말기(100)의 기능 조작을 위한 구성으로서,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20)은 단말기(100) 기능 지원에 따라 음성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 화상 통화 요청을 위한 화상 통화키,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종료 등을 요청하는 종료키,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키 및 방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감성 컨텐츠를 지원과 관련된 감성 모드 진입과 관련한 입력 신호, 바이오 정보 수집 제어와 관련한 입력 신호, 감성 컨텐츠(155)의 생성 허락과 저장과 관련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감성 컨텐츠(155)의 공유와 관련한 입력 신호, 감성 컨텐츠(155) 검색과 관련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고, 해당 기능 지원을 위한 명령어 셋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 운용과 관련한 다양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부(130)은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통신부(110)가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등을 지원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신호 수집을 지원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부(130)는 감성 모드 상태임을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의 출력, 감성 모드 상태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감성 모드 상태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수집, 현재 위치 또는 지정된 특정 위치에 대한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 감성 컨텐츠(155) 생성 및 저장을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의 접속 및 감성 컨텐츠 검색과 관련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감성 컨텐츠(155) 업로드 관련 안내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또는 단말기(100) 지원여부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40)는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40)는 감성 컨텐츠 생성과 관련한 화면, 감성 컨텐츠 검색과 관련한 화면, 감성 컨텐츠 업로드 관련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생성과 관련한 화면은 컨텐츠 재생 또는 검색 영역, 위치 관련 지도 정보 영역, 분석된 감정 값 표시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검색 관련 화면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감성 컨텐츠(155)를 검색하는 화면 및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감성 컨텐츠 검색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화면들에 대한 예시를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의 전체 면적 이상 또는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시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다양한 화면 정보 및 키 맵 등을 확인하고 터치 패널을 운용하여 감성 모드 운용과 관련한 터치 이벤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 다양한 표시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과 관련한 다양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150)는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음원 재생 기능이나, 비디오 재생 기능, 전자 도서 열람 기능, 서버 검색 기능 등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상술한 기능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50)는 컨텐츠(151), 감정 테이블(153), 감성 컨텐츠(155) 및 지도 정보(157)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151)는 단말기(100)에서 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151)는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컨텐츠는 음악 컨텐츠, 녹음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나 영화 컨텐츠, 방송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컨텐츠는 문서 컨텐츠, 문자 컨텐츠, 이메일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컨텐츠는 사진 컨텐츠, 그림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151)는 저장부(150)에 저장되고, 검색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151)는 재생 요청 발생 시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151)는 방송 컨텐츠와 같이 서비스 장치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와 같이 실시간 수신되는 또는 수집된 컨텐츠는 감성 모드 운용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감정 테이블(153)은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에 의해 수집된 바이오 정보를 분석하는 기준 값이다. 예컨대 바이오 정보가 심박수 정보인 경우 감정 테이블(153)은 심박수의 크기에 따른 감정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바이오 정보가 뇌파 정보인 경우 감정 테이블(153)은 뇌파의 패턴 형태에 따른 감정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바이오 정보가 체온 정보인 경우 감정 테이블(153)은 체온의 크기에 따른 감정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바이오 정보가 혈압 정보인 경우 감정 테이블(153)은 혈압의 크기에 따른 감정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정 테이블(153)은 사람의 인체와 관련하여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들 예컨대, 심박수, 뇌파, 체온, 혈압, 혈류량, 근육의 경직도의 변화, 동공의 변화, 얼굴 근육의 변화 등 다양한 변화 정보들에 대응되는 감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감정 테이블(153)은 복합적인 바이오 정보 요소들에 대한 감정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감정 테이블(153)은 특정 크기의 심박수와 특정 패턴의 뇌파, 특정 크기의 체온에 대응되는 감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감정 테이블(153)이 포함하는 감정 값은 다양한 바이오 정보들에 대한 통계치와 사람들의 평균치에 대응되는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사용자별로 학습에 따라 보정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바이오 정보들의 조합과 적절한 통계적 계산 값을 기반으로 감정 테이블(153)이 포함하는 감정 값은 예를 들면, 슬픔, 기쁨, 분노, 사랑, 설레임, 지루함, 졸림, 웃김 등 다양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155)는 컨텐츠(151)에 특정 감정 값이 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감성 모드가 수행되어 바이오 정보가 수집되면, 제어부(160)은 수집된 바이오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음악 컨텐츠에 감정 값들의 변화 중 적어도 일부 값을 조합하여 감성 컨텐츠(155)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전에 단순한 음악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151)는 상기 컨텐츠(151)와 관련하여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사용자의 감정 변화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감성 컨텐츠(155)로 변화될 수 있다. 감성 컨텐츠(155)에는 사용자의 감정 변화 중 적어도 일부 및 감정 값들의 전체 평균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음악이나 영화 등은 부분적으로는 슬프거나 기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슬픈 음악이나 영화일 수 있다. 감성 컨텐츠(155)는 이러한 컨텐츠(151)들에 대한 각 부분별 슬픔이나 기쁨 등의 감정 값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컨텐츠(151) 전체에 대한 평균 값 예컨대 전체적으로 슬프거나 웃긴 감정에 대응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155)는 위치 정보와 매핑되어 관리될 수 있다. 감성 컨텐츠(155)에 매핑된 위치 정보는 감성 컨텐츠(155)가 생성된 시점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는 감성 컨텐츠(155)에 매핑된 위치 정보는 입력부(120)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한 특정 위치 정보일 수 있다. 감성 컨텐츠(155)에 매핑된 위치 정보는 감성 컨텐츠(155)를 지도 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즉, 감성 컨텐츠(155) 검색이 요청되면 지도 상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감성 컨텐츠(155)가 매핑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아이콘이나 아이템이 출력될 수 있다.
지도 정보(157)는 상기 감성 컨텐츠(155)를 출력하기 위한 지도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일정 지역이나, 행정 구역 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정보(157)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컨텐츠(155)가 배치된 위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지도 정보(157)는 감성 컨텐츠(155) 생성이 요청되면 표시부(140)에 표시될 수 있다. 지도 정보(157)에서 지정된 위치 또는 현 위치 값은 감성 컨텐츠(155) 생성 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감성 컨텐츠(155)가 생성되면 지도 정보(157)의 특정 위치에 매핑될 수 있다. 지도 정보(157) 검색이 요청된 후, 감성 컨텐츠(155) 검색이 요청되면 표시부(140)에 지도 정보(157)만이 표시되다가 제어 따라 감성 컨텐츠(155)들에 대응되는 아이콘이나 아이템들이 지도의 특정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지도 정보(157)는 증강 현실 관련 3차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컨텐츠 운용 기능이 증강 현실 기반으로 제공되도록 설계되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증강 현실 관련 지도 정보를 운용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증강 현실 기능 지원 서비스 장치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증강 현실 관련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주변 정보들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는 상태에서 감정 값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수집된 감정 값을 증강 현실의 특정 상황에 매핑하여 감성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단말기(100)는 카메라부(180)를 활성화하여 증강 현실 기능 지원 및 감성 컨텐츠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은 바이오 정보 수집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은 예컨대, 심박 측정 센서(171), 뇌파 측정 센서(173), 혈압 측정 센서(175), 체온 측정 센서(17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은 습도 측정 센서, 조도 측정 센서, 압력 측정 센서, 진동 측정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심박 측정 센서(171)는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심박 측정 센서(171)는 심장의 펌프 운동에 대응하여 인체에 발생하는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심박 측정 센서(171)는 조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고, 손가락 등의 혈관 혈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심박 측정 센서(171)는 특정 혈관의 진동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심박 측정 센서(171)는 혈관이 위치한 영역의 피부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심박 측정 센서(171)는 인체의 특정 근육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심박 측정 센서(171)는 심박 측정의 용이성 및 간편성 지원을 위하여 심장 박동 발생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심박 측정 센서(171)는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심박 운동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인체의 특정 혈관 변화를 감지할 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심박 측정 센서(171)가 수집한 센서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뇌파 측정 센서(173)는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뇌파 측정 센서(173)는 센서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뇌 부근에 배치되는 케이스를 가지고 뇌파 수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뇌파 측정 센서(173)는 머리 부근에 두르거나, 붙이거나 걸치거나, 삽입하는 등의 착용 가능한(wearabl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뇌파 측정 센서(173)는 헤드셋이나 이어폰 중의 헤드에 장착되거나 오디오 액세서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헤드셋이나 이어폰 헤드가 사용자의 귓속에 장착되면, 뇌파 측정 센서(173)는 귀 주변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뇌파 측정 센서(173)는 측정한 뇌파를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혈압 측정 센서(175)는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혈압 측정 센서(175)의 케이스 중 적어도 일부는 혈압 측정이 가능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혈압 측정 센서(175)는 시계나 팔찌, 목걸이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혈압 측정 센서(175)는 감성 모드 진입 시 활성화되어, 실시간 수집되는 혈압을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혈압 측정 센서(175)는 감성 모드 기능 종료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체온 측정 센서(177)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체온 측정 센서(177)는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체온 측정 센서(177)는 단말기(100)의 일정 형태 배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면 해당 신체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체온 측정 센서(177)가 수집한 체온 정보는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체온 측정 센서(177)는 단말기(100)의 주변 온도 정보 측정도 수행할 수 있다. 주변 온도 정보는 체온 정보와 함께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이 심박 측정 센서(171), 뇌파 측정 센서(173), 혈압 측정 센서(175), 체온 측정 센서(177)를 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부(180)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촬상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부(180)는 단말기(100)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얼굴 등의 피사체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80)는 단말기(100)의 타측 위치에 배치되어 단말기(10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 등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부(180)가 감성 모드에서 운용되는 경우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영상을 수집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추가로 카메라부(180)는 주변 조도 측정을 지원하는 조도 센서로 활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부(180)는 감성 모드에서 일정 주기로 조도 값을 측정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위치 측정부(190)는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90)는 예컨대 GPS 모듈일 수 있다. 위치 측정부(190)는 감성 모드에서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90)는 감성 컨텐츠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현재 위치 정보는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은 본 발명의 감성 컨텐츠 운용과 관련한 신호의 전송과 처리, 데이터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 위치 정보 처리 모듈(165) 및 공유 지원 모듈(167)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은 단말기(100)의 바이오 정보 수집을 제어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은 감성 모드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에 포함된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및 카메라부(180) 등을 설계 방식에 대응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은 설계 형태에 따라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가 심박 측정 센서(171)만을 포함하는 경우, 심박 측정 센서(171)의 전원 공급 및 초기화를 제어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은 특정 감성 컨텐츠(155)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바이오 정보 수집과 관련한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은 카메라부(180)를 이용하여 사용자 신체 중 적어도 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카메라부(180)를 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카메라부(180)를 이용하여 손이나 손가락 또는 단말기(100)를 파지하는 손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은 얼굴 피사체 영상 또는 손 관련 영상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촬영될 수 있으며, 피사체의 윤곽이나 피부 형태 변화, 주름 변화, 미세 근육 변화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정보는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판별하는 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정 테이블(153)은 상술한 변화에 대한 참조 데이터들 및 참조 데이터에 매핑된 감정 값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은 센서들을 일정 시점에 일시적으로 운용하고, 일정 시점에서의 바이오 정보만을 수집할 수 있다. 또는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센서들을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운용하고, 일정 기간 동안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주기로 바이오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은 단말기(100)에서 운용 중인 컨텐츠(151)가 일시적인 컨텐츠 예컨대, 사진이나 문서 등과 같은 컨텐츠이면 해당 컨텐츠가 수집되거나 감성 컨텐츠 생성이 요청되는 일정 시점의 바이오 정보만을 수집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단말기(100)에서 운용 중인 컨텐츠(151)가 연속적인 컨텐츠 예컨대, 일정 재생 시간을 가지는 음악이나 동영상인 경우 일정 구간의 바이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수집된 바이오 정보와 저장부(150)에 저장된 감정 테이블(153)을 이용하여 감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일정 시점에 수집된 적어도 한 종류의 바이오 정보를 감정 테이블(153)과 비교하여 "슬픔"에 해당하는 감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적어도 한 종류의 바이오 정보들을 감정 테이블(153)과 비교하여 "기쁨", "놀람", "슬픔", "분노" 등에 대한 감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각 감정 값들에 대한 가중치를 시간크기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가중치가 적용된 감정 값들의 평균을 계산하여 어떠한 감정 값이 지배적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지배적 감정 값과 시간별 감정 값을 각각 구분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는 산출된 감정 값을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 및 위치 정보 처리 모듈(165)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은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가 제공하는 감정 값들을 기반으로 감성 컨텐츠(155)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은 현재 표시부(140)에 출력 중인 특정 컨텐츠 또는 현재 재생 중인 특정 컨텐츠와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가 제공한 감정 값을 연결하여 감성 컨텐츠(155)를 생성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은 컨텐츠(151)가 연속 재생의 특징이 있는 경우 하나 이상의 감정 값들을 컨텐츠(151)에 연결하여 감성 컨텐츠(155)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는 전달된 감정 값을 컨텐츠(151) 재생 시점별로 연결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는 감성 컨텐츠(155)가 생성되면 이를 자동 저장하거나, 사용자 입력 제어에 대응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은 위치 정보 처리모듈(162)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생성한 감성 컨텐츠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은 감성 컨텐츠(155) 검색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은 감성 컨텐츠(155) 검색을 위한 메뉴 항목이나 아이콘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은 특정 하드웨어 물리키를 감성 컨텐츠(155) 검색의 핫키로 할당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은 감성 컨텐츠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감성 컨텐츠(155)를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은 감성 컨텐츠(155)의 컨텐츠 정보와 감정 값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감성 컨텐츠(155)의 삭제 및 수정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처리 모듈(165)은 감성 모드 진입 상태에서 바이오 정보 처리 모듈(161)로부터 감정 값을 전달 받으면, 위치 측정부(190)를 활성화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처리 모듈(165)는 위치 측정부(190)가 수집한 위치 정보를 상기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는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컨텐츠를 전달된 감정 값과 결합하여 생성한 감성 컨텐츠(155)를 위치 정보와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처리 모듈(165)는 입력부(120)를 통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위치 정보 처리 모듈(165)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지도 정보(157)를 호출하여 표시부(14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지도 정보(157)에서 선택된 위치 정보를 감성 컨텐츠 생성 모듈(163)로 제공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은 생성된 감성 컨텐츠(155)의 공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는 감성 컨텐츠 공유와 관련한 메뉴 항목이나 아이콘을 표시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지원 모듈(167)는 특정 기능 수행이 진행되면, 자동으로 공유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공유 기능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은 공유 기능 요청이 발생하면, 통신부(110)을 활성화하고 감성 컨텐츠(155) 공유 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공유 지원 모듈(167)는 통신부(110)을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감성 컨텐츠(155) 공유 관련 페이지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특정 감성 컨텐츠(155) 및 매핑된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 지원 모듈(167)은 타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는 사용자 입력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감성 컨텐츠(155)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감성 컨텐츠 목록을 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은 타 단말기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감성 컨텐츠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신측면에서 공유 지원 모듈(167)는 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감성 컨텐츠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감성 컨텐츠를 요청하는 신호를 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은 타 단말기 허용여부에 따라 감성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은 감성 컨텐츠 수신 시, 저장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지도 정보(157)에 매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지원 모듈(167)는 단말기(100)가 생성한 감성 컨텐츠와 타 단말기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한 감성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통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들을 관리하면서 이를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 101, 102)로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저장부(210)와, 서비스 통신부(220)와, 서비스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저장부(210)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 101, 102)로부터 업로드된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된 지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저장부(210)는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들을 사용자, 위치,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통신부(220)는 단말기(100) 및 타 단말기들(101, 102)과의 통신 채널 형성 및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서비스 통신부(220)는 단말기(100) 및 타 단말기들(101, 102)의 감성 컨텐츠의 업로드를 위한 통신 채널을 지원할 수 있다. 서비스 통신부(220)는 단말기(100) 및 타 단말기들(101, 102)의 감성 컨텐츠 다운로드를 지원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230)는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을 위한 제어 구성으로서, 서비스 제공 장치(200) 운용과 관련한 신호의 처리와 전달 및 데이터 처리와 저장 및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어부(230)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 101, 102)의 감성 컨텐츠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관련 데이터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성 컨텐츠는 상기 감정 값이 획득된 위치 정보 또는 지정된 특정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한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단말기에 의한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은 단말기(100)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단말기(101, 102)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에 의한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은 동작 401에서 제어부(160)가 기능 대기 또는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제어부(160)의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부(140)로 출력하거나 재생 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음악 컨텐츠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방송 컨텐츠나 비디오 컨텐츠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카메라부(180) 운용을 제어하여 피사체 영상 수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은 웹 기반 주변 검색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 대기 또는 운용 중에서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동작 403에서 제어부(160)는 해당 입력 신호가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 신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아니면, 제어부(160)은 동작 405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와 관련한 해당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음악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수신 기능, 웹 접속 및 서핑 기능, 이미지 촬영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슬립 상태 유지나 잠금 화면 처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동작 403에서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으면, 제어부(160)는 동작 407로 분기하여 바이오 정보 수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은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 및 카메라부(180)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바이오 정보 수집부(170) 및 카메라부(180)를 통해서 사용자 신체 변화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409에서 제어부(160)는 감정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감정 테이블(153)을 이용하여 현재 수집된 바이오 정보가 어떠한 감정 값을 가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160)는 현재 수집된 바이오 정보에 대한 감정 값이 없는 경우, 감정 테이블(153) 갱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은 감정 테이블(153) 갱신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도시생략)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411에서, 제어부(160)은 분석된 감정 값 및 특정 컨텐츠를 조합하여 감성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컨텐츠는 입력부(120)를 통해서 지정된 컨텐츠 혹은 현재 재생 또는 출력 중인 컨텐츠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413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감성 컨텐츠를 특정 위치 정보와 매핑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은 감성 컨텐츠(155) 생성 시 위치 정보 포함이 요청되거나 디폴트로 설정되면 위치 측정부(190)를 활성화하여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지도 정보(157)를 출력하고, 상기 지도 정보(157)를 기반으로 선택된 특정 위치 정보를 감성 컨텐츠(155)와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415 에서, 제어부(160)는 매핑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155)를 지도 상에 매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된 감성 컨텐츠의 공유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특정 감성 컨텐츠(155) 생성 시 해당 위치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타 단말기 사용자들의 감성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지원하는 동작에서 제어부(160)는 타 단말기 사용자들의 감성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위치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검색어로 이용하여 관련된 타 감성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60)은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감성 컨텐츠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151)에 대한 또는 특정 위치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감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감성 컨텐츠들이 연결된 지도 정보(157)는 증강 현실 기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동작 417에서 제어부(160)은 기능 종료와 관련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0)은 기능 종료와 관련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의 기능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은 기능 종료와 관련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으면, 동작 403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동작 501에서 기능 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 대기는, 단말기(100, 101, 102)로부터의 요청 대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503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단말기 접속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단말기 접속 요청이 없으면 동작 501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의 재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부호 100, 101, 102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동작 503에서 단말기 접속이 발생하면, 동작 505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감성 컨텐츠 검색을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감성 컨텐츠 검색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동작 507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저장된 감성 컨텐츠 목록을 해당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성 컨텐츠 목록은, 각 감성 컨텐츠에 매핑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매핑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다수의 감성 컨텐츠가 매핑된 지도를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다수의 감성 컨텐츠 및 매핑된 위치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여, 단말기가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다수의 감성 컨텐츠를 매핑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동작 509에서 단말기 요청에 따라서 선택된 특정 감성 컨텐츠를 해당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동작 505에서 감성 컨텐츠 검색 요청이 아닌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동작 511에서 감성 컨텐츠 업로드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동작 511에서 감성 컨텐츠 업로드 요청이 발생하면, 동작 513에서 단말기로부터 감성 컨텐츠 및 매핑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감성 컨텐츠를 단말기, 사용자, 위치, 감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은 감성 모드 진입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면 601에서와 같은 감성 모드 진입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감성 모드 진입 화면은 지도 영역(41) 및 메뉴 영역(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지도 정보(157)를 호출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영역(41)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어부(160)는 위치 측정부(190)를 활성화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지도 정보(157) 중에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영역이 지도 영역(41)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도 영역(41)은 현재 위치를 지시하는 지점 아이템(42)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은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 또는 이전 검색된 최종 위치 등을 기준으로 지도 영역(41)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전 검색 위치나 지정 위치가 지점 아이템(42)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은 감성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감성 모드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영역(10)을 출력할 수 있다. 메뉴 영역(10)은 감성 컨텐츠(155) 생성 또는 검색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뉴 영역(10)은 사진 촬영과 관련된 카메라 항목, 저장부(150)에 저장된 저장 컨텐츠와 관련된 저장 컨텐츠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메뉴 영역(10)은 방송 수신 컨텐츠 항목, 음악 컨텐츠 항목, 갤러리 컨텐츠 항목, 이북 컨텐츠 항목 등 다양한 컨텐츠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영역(10)은 스크롤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스크롤 이벤트가 발생하면 표시되지 않은 다른 항목들이 메뉴 영역(10)에 출력될 수 있다.
화면 601의 메뉴 영역(10)에서 카메라 항목이 선택되면, 표시부(140)은 화면 603에서와 같이 감성 모드 수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감성 모드 수행 화면은 지도 영역(41) 및 제1 컨텐츠 영역(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영역(41)은 화면 601에서 설명한 지도 영역(41)과 동일한 영역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컨텐츠 영역(30)은 메뉴 영역(10)에서 선택된 항목과 관련한 화면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제어부(160)는 카메라부(180)를 활성화하고, 카메라부(180)가 수집한 프리뷰 화면을 제1 컨텐츠 영역(3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은 사진 촬영을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리뷰 영상 특정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은 영상 수집 과정에서 사용자 신체와 관련한 적어도 일부 바이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60)은 수집된 바이오 정보와 감정 테이블(153)을 이용하여 감정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감정 분석이 완료되면, 표시부(140)은 수집된 영상 컨텐츠와 분석된 감정 값(20)을 제1 컨텐츠 영역(30)에 출력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수집을 위하여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특정 센서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파지된 손의 신체 변화에 대응하는 바이오 정보를 수집하거나, 카메라부(180) 중 영상 촬영 이외의 센서가 사용자의 얼굴 피사체를 촬영하여 감정 분석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은 사진 컨텐츠 수집 및 감정 분석이 완료되면, 수집된 사진 컨텐츠에 분석된 감정 값을 결합하여 감성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화면 603에서, 감성 컨텐츠가 생성되면, 표시부(140)은 화면 605에서와 같이 감성 컨텐츠 적용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은 현재 위치 정보 또는 지도 영역(41) 상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적용 화면은 지도 영역(41) 및 제2 컨텐츠 영역(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감성 컨텐츠 아이템(43)을 지도 영역(41)의 특정 위치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 아이템(43)은 감성 컨텐츠 관련 아이템으로서, 사진 컨텐츠의 썸네일이 될 수 있다. 또한 감성 컨텐츠 아이템(43)은 시간 정보와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텐츠 영역(50)은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컨텐츠 예컨대 음악 컨텐츠 재생과 관련한 화면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은 감성 컨텐츠가 생성되면, 해당 감성 컨텐츠의 감정 값과 관련된 특정 컨텐츠들을 자동으로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은 감정 값과 관련한 특정 컨텐츠 재생을 확인하는 팝업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151)들은 감정 값과 관련된 연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음악 컨텐츠들 중 슬픔이나 사랑 기쁨 등과 관련한 컨텐츠들은 연관 정보로서 "슬픔", "사랑", "기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컨텐츠 영역(50)은 복수의 컨텐츠들이 감성 컨텐츠로 포함된 상태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컨텐츠 영역(50)은 사진 컨텐츠 관련 화면 요소와 음악 컨텐츠 관련 화면 요소가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는 제1 컨텐츠 영역(30)에서와 같이 사진 컨텐츠 관련 화면 요소가 출력되다가 터치 이벤트 등이 발생하면 제2 컨텐츠 영역(50)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오디오 처리부(130)은 음악 컨텐츠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화면 601의 메뉴 영역(10)에서 저장 컨텐츠 항목이 선택되면, 표시부(140)은 화면 607에서와 같이 지도 영역(41) 및 상세 메뉴 영역(60)을 출력할 수 있다. 지도 영역(41)은 화면 601 에서의 지도 영역(41)과 동일한 영역일 수 있다. 상세 메뉴 영역(60)은 특정 메뉴 항목에 서브 항목들이 포함된 경우, 해당 서브 항목들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영역일 수 있다. 상세 메뉴 영역(60)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컨텐츠들 예컨대 음악 컨텐츠로서 "Lonely night"및 이미지 컨텐츠로서 "야경"을 선택하고, 지도 영역(41)에서 특정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은 복수의 컨텐츠들과 지도 영역(41)에서의 위치 값을 포함하는 감성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부(140)은 화면 605에서와 같이 음악 컨텐츠 재생과 관련한 제2 컨텐츠 영역(50)과 감성 컨텐츠 아이템(43)이 배치된 지도 영역(41)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면들은 감성 컨텐츠 생성 관련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감성 컨텐츠 검색 관련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은 감성 모드 검색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401 화면에서와 같이 감성 컨텐츠 관련 항목들 및 지도 영역(41)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40)은 특정 위치에 매핑된 감성 컨텐츠가 존재하면 해당 감성 컨텐츠와 관련한 감성 컨텐츠 아이템(43)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은 카메라 관련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감성 컨텐츠와 관련한 감성 컨텐츠 아이템(43)이 배치된 화면 605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온 입력(on input) 데이터를 동작시키고 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또한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장치는 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들의 비휘발성 메모리, 자기 디스크들, 예를 들어 내부 하드 디스크들 또는 착탈식 디스크들, 자기-광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성 컨텐츠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컨텐츠 혹은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중에 나타나는 사용자의 일시적인 감정을 수집하고 이를 해당 컨텐츠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감성이 표현된 감성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생성된 감성 컨텐츠를 지정된 혹은 검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매핑하여 나타냄으로써, 사용자의 기억을 보조하거나 타 사용자들과의 감정을 보다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감성 컨텐츠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상기 감성 컨텐츠에 대한 감정이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매핑하여 관리함으로써, 감성 컨텐츠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다양한 컨텐츠 이용을 지원할 있으며, 컨텐츠 산업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보다 양질의 컨텐츠 재생산과 유통을 지원할 수 있다.
100, 101, 102: 단말기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오디오 처리부
140: 표시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170: 바이오 정보 수집부
180: 카메라부 190: 위치 측정부
200: 서비스 제공 장치 300 : 통신망
1000: 감성 컨텐츠 운용 시스템

Claims (19)

  1. 신체의 적어도 일부 변화에 해당하는 바이오 정보를 수집하는 바이오 정보 수집부;
    상기 바이오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바이오 정보를 사용자의 감정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감정 값을 지정된 특정 컨텐츠 또는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와 결합하여 감성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감성 컨텐츠를 특정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관리하는 제어부;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상기 감성 컨텐츠를 매핑하여 출력하는 표시부;
    지도 데이터 및 상기 감성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한 바이오 정보들을 변환한 하나 이상의 감정 값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지배적 감정 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지배적 감정 정보를 컨텐츠와 결합하되, 상기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한 감정 값들에 시간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그 평균값을 기반으로 상기 지배적 감정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위치 정보를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된 특정 위치 정보를 상기 감성 컨텐츠와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측정부로부터 출력된 위치 정보를 상기 감성 컨텐츠와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일정 시간 단위로 바이오 정보를 수집하여 하나 이상의 감정 값들을 수집하고, 이를 시간별로 연결한 시간별 감정 값들을 컨텐츠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신체의 적어도 일부 변화에 해당하는 바이오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값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컨텐츠 및 각 감성 컨텐츠의 감정 값을 획득한 위치 정보 또는 지정된 위치 정보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서비스 통신부;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감성 컨텐츠를 수신하면, 특정 감성 컨텐츠를 상기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매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성 컨텐츠는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한 바이오 정보들을 변환한 하나 이상의 감정값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지배적 감정 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지배적 감정 정보를 컨텐츠와 결합하되, 상기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한 감정 값들에 시간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그 평균값을 기반으로 상기 지배적 감정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신체의 적어도 일부 변화에 해당하는 바이오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값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컨텐츠 및 각 감성 컨텐츠의 감정 값을 획득한 위치 정보 또는 지정된 위치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각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특정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매핑하여 상기 특정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성 컨텐츠는
    컨텐츠가 재싱되는 동안,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한 바이오 정보들을 변환한 하나 이상의 감정 값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지배적 감정 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지배적 감정 정보를 컨텐츠와 결합하되, 상기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한 감정 값들에 시간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그 평균값을 기반으로 상기 지배적 감정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상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 중 상기 특정 단말기에서 선택된 감성 컨텐츠를 상기 특정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14. 신체의 적어도 일부 변화에 해당하는 바이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바이오 정보를 사용자의 감정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감정 값을 지정된 특정 컨텐츠 또는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와 결합하여 감성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감성 컨텐츠를 특정 위치 정보와 매핑하는 단계;
    상기 특정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를 지도 상에 매핑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성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한 바이오 정보들을 변환한 하나 이상의 감정 값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지배적 감정 값을 산출하되, 상기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한 감정 값들에 시간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그 평균값을 기반으로 상기 지배적 감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지배적 감정 정보를 컨텐츠와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21065A 2013-10-11 2013-10-11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 KR10208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65A KR102087290B1 (ko) 2013-10-11 2013-10-11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65A KR102087290B1 (ko) 2013-10-11 2013-10-11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886A KR20150042886A (ko) 2015-04-22
KR102087290B1 true KR102087290B1 (ko) 2020-04-14

Family

ID=5303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065A KR102087290B1 (ko) 2013-10-11 2013-10-11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3519B2 (en) 2017-02-20 2022-08-1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433501B1 (ko) * 2017-05-04 2022-08-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지리정보와 생체신호를 활용한 감성 지도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734B1 (ko) * 2006-12-31 2013-01-2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위치기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537B1 (ko) 2003-12-29 2006-07-13 전자부품연구원 타게팅 컨텐츠 및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28371B1 (ko) * 2006-10-27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FR2938672A1 (fr) * 2008-11-19 2010-05-21 Alcatel Lucent Procede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de donnees representatives de sentiments ressentis par des personnes dans des lieux localisables, et serveur associe
KR101121523B1 (ko) * 2009-02-13 2012-02-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감정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734B1 (ko) * 2006-12-31 2013-01-2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위치기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886A (ko)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2599A1 (en)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Projector
CN105573573B (zh) 基于图像管理用户信息的设备和方法
CN109167950B (zh) 视频录制方法、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1018154A1 (zh) 信息表示方法及装置
JP6574937B2 (ja) 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CN114205324B (zh) 消息显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07707828B (zh) 一种视频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9729372B (zh) 直播间切换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KR102384311B1 (ko) 이미지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CN110163066B (zh) 多媒体数据推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261481B (zh) 互动视频的创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490010B (zh) 基于直播视频的互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019929A (zh) 网页内容的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70012979A (ko) 영상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9981885A (zh) 一种电子设备在来电时呈现视频的方法和电子设备
US11297225B2 (en) Video producing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1836069A (zh) 虚拟礼物赠送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1339938A (zh) 信息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371824A (zh) 一种音频处理方法、系统及相关装置
EP3526775A1 (en)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projector
CN114302160A (zh) 信息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CN110493635A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终端
CN113609358A (zh) 内容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087290B1 (ko)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
CN112131473B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