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264B1 -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특수 윤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특수 윤활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264B1
KR102087264B1 KR1020190125385A KR20190125385A KR102087264B1 KR 102087264 B1 KR102087264 B1 KR 102087264B1 KR 1020190125385 A KR1020190125385 A KR 1020190125385A KR 20190125385 A KR20190125385 A KR 20190125385A KR 102087264 B1 KR102087264 B1 KR 102087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uspension damper
measured
oi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브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브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브캠코리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4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c liquids, e.g. ferrofluids
    • H01F1/447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c liquids, e.g. ferrofluids characterised by magnetoviscosity, e.g. magnetorheological, magnetothixotropic, magnetodilatant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은, 조성물 내 자성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그 침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은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적어, 극한 온도 환경에서도 조성물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서스펜션에 처리할 경우, 서스펜션 내의 부품의 변질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특수 윤활유 조성물{AUTOMOBILE SUSPENSION DAMPER COMPOSITION COMPRISING NANOCLAY}
본 명세서에는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특수 윤활유 조성물이 개시된다.
현가장치는, 자동차의 구조장치로서 노면의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승차감) 도로와 타이어의 접지를 적절히 조정하여 구동, 제동시 차량의 핸들링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 두가지 기능은 성질이 상반되는 경향이 있어, 현재까지 개발된 현가장치는 승차감과, 핸들링 안정성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현가장치의 구조를 변경하는 등의 연구가 계속되고 있지만 구조의 변경 자체는 한계에 부딪힌 상황이다. 이에,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윤활유의 개선을 통하여, 현가장치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연구도 계속되고 있지만, 온도 환경에 민감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환경에서 성능 발휘가 제한되거나, 윤활유 내 성분들이 불균일 분포하여, 성능발휘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윤활유 내 성분에 의하여 현가장치 내 부품을 단기간에 마모시켜 현가장치의 성능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윤활유의 성능을 개선하여 현가장치 내 부품의 변성을 최소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현가장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현가장치용 조성물의 제조가 절실한 상황이다.
KR 2008-0079472 A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가장치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자성입자; 분산매체; 및 분산제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입자, 분산매체 및 분산제는 순서대로, 82~85 중량%, 12~15 중량%, 및 2.5~3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분산제는, 점토광물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매체는 40℃에서 측정한 동점도가 36~40mm2/sec인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 오일 및 폴리 알파 올레핀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에스테르 오일과 폴리 알파 올레핀 오일은, 1:1.8~2.3의 비율로 포함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성입자; 분산매체;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을 90~140℃에서 60~70rpm으로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은, 조성물 내 자성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고, 그 침전이 최소화된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조성물은 현가장치 내 부품의 마모 속도를 크게 늦추어, 현가장치의 기능 저하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루브캠코리아의 주관 하에 대한민국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2018년도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융복합 R&D)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연구과제명은 자동차 진동감쇠를 위한 댐퍼용 Nano-clay 입자소재 자성체 분산기술을 이용 감쇠력 특성이 10% 이상 향상된 특수윤활유(MRFs) 기술개발이고(과제고유번호:P0005028), 연구기간은 2018.08.01 ~ 2018.12.31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자성입자; 분산매체; 및 분산제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입자, 분산매체 및 분산제는 순서대로, 82~85 중량%, 12~15 중량%, 및 2.5~3 중량%로 포함되고,상기 분산제는, 점토광물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매체는 40℃에서 측정한 동점도가 36~40mm2/sec인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 오일 및 폴리 알파 올레핀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에스테르 오일과 폴리 알파 올레핀 오일은, 1:1.8~2.3의 비율로 포함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은,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특수 윤활유(Magnetorheological fluids, MRFs) 조성물이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분산매체의 점도는 36~40mm2/sec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6.5~40mm2/sec, 더욱 바람직하게는, 36.5~39 mm2/sec, 더욱 바람직하게는 36.5~38 mm2/sec 일 수 있다. 분산매체의 점도가 36mm2/sec이하인 경우에는 현가장치 내 부품 마모성 개선 효과가 떨어지고, 분산매체의 점도가 40mm2/sec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기유변 유체의 점도가 너무 높아 자기유변 유체의 제어력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점토광물은 벤토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는 점토광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일 구현예에서 평균입경이 0.01~100nm인 점토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가 평균입경이 나노미터 수준인 점토광물일 때, 나노 실리카, 그라파이트, 이산화몰리브덴, 탄소나토튜브, 또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이 일반적으로 분산제로 사용되는 물질들에 비하여, 자성입자의 침전 및 침전 후 경화 현상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입경이란, 각 입자의 직경 중 최장축과 최단축을 제외하고 임의로 측정한 직경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에스테르 오일 및 폴리 알파 올레핀 오일은, 자기유변유체조성물 내에 1:1.8~2.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분산매체로서, 폴리 알파 올레핀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동점은 낮지만 증발률이 높아서, 자기유변유체의 분산매체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에스테르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증발률은 낮지만 유동점이 높아서, 저온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상기 에스테르류 및 폴리알파 올레핀은 1:1.8~2.3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2~2.3,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2.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에스테르 오일과 폴리알파 올레핀 오일이 상기 중량비로 포함될 때, 분산매체의 점도를 하기와 상기와 같은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입자, 분산매체 및 분산제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2~85중량%: 12~15 중량%: 2.5~3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82~84중량%: 13~15 중량%: 2.5~2.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성입자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5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되면,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의 점도 및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분산성 및 유동특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고, 8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자기유변유체의 진동흡수력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 내 입자들의 분산력이 크게 저하되어 침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현가장치의 감쇠 제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자성입자의 평균 입경은 4~6㎛일 수 있다. 자성입자의 평균 입경이 4㎛ 미만인 경우에는, 자성입자가 너무 작아서 진동흡수력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고, 7㎛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성입자의 침적속도가 높아져서 분산력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자성입자는, 철 또는 철 함유 물질, 니켈, 코발트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은, KS M ISO 3675에 의하여 측정된 내구성 시험 후 밀도가 2~4.1g/cm3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내구성 시험 후 조성물의 밀도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서, 실제 현가장치 내 댐퍼에 사용하였을 경우, 현가장치의 성능 저하 또는 변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에 처리하였을 때, 하기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KS R 4019에 의하여 측정된 댐퍼 반력하중이 2600N 이상;
RS R 0004에 의하여 측정된 오일 실 내구성이 1250회 이상;
RS R 0004에 의하여 측정된 피스톤 내구성이 500회 이상;
RS R 0004에 의하여 측정된 스토퍼 내구성이 100회 이상;
KS D 9502에 의하여 측정된 내염성이 480 시간 이상; 및
RS R 0004에 의하여 측정된 저온 감쇠력 변화율이 열충격 후 30% 이내.
또한,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및 마모방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산화방지제는 p,p'-디옥틸디페닐아민(p,p'-dioctyldiphenylamine)일 수 있고, 상기 부식방지제는 N-알킬화 벤조트리아졸(N-alkylated benzotriazole)일 수 있고, 상기 마모방지제는 인산아연염(Zinc alkyldithiophosphate, Zn-DTP)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0.7~1.15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부식방지제는, 0.4~0.6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마모 방지제는 0.4~0.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분산매체의 산폐에 의한 자기유변유체 및 damper의 수명 단축을 개선할 수 있고, 부식 방지제는 사용되는 기계 및 자기유변유체 내의 철 분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모 방지제는, 유체 유동에 의해 발행하는 마찰로 인한 철 분말 사이에서 분산제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비스무스 카복실레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0.7 중량%, 바람직하게는 0.4~0.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현가장치는 반능동 현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자성입자; 분산매체;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을 90~140℃에서 60~70 rpm으로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혼합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140℃일 수 있고, 상기 교반 속도는 64~67rpm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혼합할 때 조성물 내 성분들의 분산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혼합물을 분산하는 단계는, 125℃ 및 65rpm의 조건하에서 교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 이후에 제1혼합물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첨가제를 제1혼합물에 첨가하기 이전에 40~50℃에서 냉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온도가 50℃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 내 첨가물의 석출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냉각 온도는 45℃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평균 입경이 2~3㎛인 철분말 83%, 40℃에서 측정한 동점도가 약 38mm2/sec인 오일류 13중량% (PAO(PAO 6, INEOS), Ester 오일(HATCOL 2938, HATCO), 양자는 2.2대 1의 비율로 혼합함) 및 평균 입경이 약 50nm인 벤토나이트 2.7중량%를 혼합하여, 자동차 반능동 현가장치용 댐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조성물을 자동차용 통형 쇽 업소버에 적용하여 특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시험 규격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성능지표 시험규격
내구성 시험 후 밀도 KS M ISO 3675
댐퍼 반력하중 KS R 4019
오일 실 내구성 RS R 0004
피스톤 내구성 RS R 0004
스토퍼 내구성 RS R 0004
내염성 KS D 9502
[실시예 1] 오일의 함량 비율에 따른 효과 차이 확인
PAO와 ester 오일의 함량비율을 조절하여 함량비율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 차이를 확인하였다. 다른 성분의 조건은 제조예와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그 결과, PAO와 ester 오일의 함량비율이 약 2:1일 경우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1 2.3:1 2.2:1 2:1 1.8:1 1.7:1 1.5:1
내구성 시험 후 밀도(g/cm3) 시험전:3.8시험후:5.1 시험전:3.7
시험후:4.1
시험전:3.5
시험후:3.6
시험전:3.4
시험후:3.5
시험전:3.35
시험후:3.4
시험전:3.33
시험후:2.5
시험전:3.33
시험후:2.4
댐퍼 반력하중 2500N 2800N 2800N 2650N 2600N 2200N 2100N
오일 실 내구성 1230회 1300회 1305회 1298회 1250회 1105회 1101회
피스톤 내구성 477회 518회 560회 520회 513회 472회 461회
스토퍼 내구성 96회 103회 111회 107회 100회 91회 89회
내염성 442시간 482시간 496시간 490시간 480시간 437시간 433시간
*상기 비율은 PAO:Ester의 함량비율을 나타냄
[실시예 2] 최적의 분산제 함량 개발
조성물에 사용되는 분산제의 최적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산제인 벤토나이트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분산제의 함량이 약 2.5~3 중량%일 때, 조성물의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wt% 2.2 wt% 2.4 wt% 2.5 wt% 2.7 wt% 2.9 wt% 3 wt% 3.1 wt% 3.2 wt%
댐퍼 반력하중(N) 2387 2433 2580 2659 2800 2750 2650 2570
오일 실 내구성(회) 1117 1160 1177 1280 1305 1297 1255 1237
피스톤 내구성(회) 477 493 495 530 560 545 521 496
스토퍼 내구성(회) 85 91 97 110 111 109 105 86
[실시예 3] 비스무스 카복실레이트 첨가에 따른 효과 확인
비스무스 카복실레이트를 추가하고 실시예 1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스무스 카복실레이트를 0.3~0.7중량%로 첨가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0.05 wt% 0.1 wt% 0.3 wt% 0.5 wt% 0.7 wt% 0.9 wt% 1 wt% 1.1 wt%
댐퍼 반력하중(N) 2802 2832 2886 2910 2921 2872 2851 2810
오일 실 내구성(회) 1306 1340 1345 1351 1356 1339 1335 1311
피스톤 내구성(회) 560 572 586 592 594 570 570 562
스토퍼 내구성(회) 111 115 117 119 116 113 111 110

Claims (11)

  1.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자성입자; 분산매체; 분산제; 및 비스무스 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입자, 분산매체, 분산제 및 비스무스 카복실레이트는 순서대로, 82~85 중량%, 12~15 중량%, 2.5~3 중량%, 및 0.5~0.7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분산제는, 점토광물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매체는 40℃에서 측정한 동점도가 36~40mm2/sec인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 오일 및 폴리 알파 올레핀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에스테르 오일과 폴리 알파 올레핀 오일은, 1:2.2의 비율로 포함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광물은,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입자의 평균입경은, 2~3㎛인,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입자는, 철 또는 철 함유 물질, 니켈, 코발트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은, KS M ISO 3675에 의하여 측정된 내구성 시험 후 밀도가 2~4.1g/cm3인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에 처리하였을 때, 하기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조성물:
    KS R 4019에 의하여 측정된 댐퍼 반력하중이 2600N 이상;
    RS R 0004에 의하여 측정된 오일 실 내구성이 1250회 이상;
    RS R 0004에 의하여 측정된 피스톤 내구성이 500회 이상;
    RS R 0004에 의하여 측정된 스토퍼 내구성이 100회 이상;
    KS D 9502에 의하여 측정된 내염성이 480 시간 이상; 및
    RS R 0004에 의하여 측정된 저온 감쇠력 변화율이 열충격 후 30% 이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25385A 2018-11-08 2019-10-10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특수 윤활유 조성물 KR102087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36422 2018-11-08
KR1020180136422 2018-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264B1 true KR102087264B1 (ko) 2020-03-10

Family

ID=6980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385A KR102087264B1 (ko) 2018-11-08 2019-10-10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특수 윤활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2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654A (ko) * 2000-05-10 2002-08-09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유변유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79472A (ko) 2007-02-27 2008-09-01 (주)스마트로닉스 자기유변유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2529160A (ja) * 2009-06-01 2012-11-15 ロード コーポレイション 高耐久性磁性流体
KR20170068137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기유변유체 조성물
KR20180085554A (ko)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루브캠코리아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변유체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654A (ko) * 2000-05-10 2002-08-09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유변유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79472A (ko) 2007-02-27 2008-09-01 (주)스마트로닉스 자기유변유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2529160A (ja) * 2009-06-01 2012-11-15 ロード コーポレイション 高耐久性磁性流体
KR20170068137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기유변유체 조성물
KR20180085554A (ko)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루브캠코리아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변유체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1223A1 (en) Magnetorheological flu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019740B2 (ja) 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及び等速ジョイント
EP2176870B1 (en) Non-settling glycol based magnetorheological fluids
EP1318528B1 (en) Stabilization of magnetorheological fluid suspensions using a mixture of organoclays
CN104560307A (zh) 含纳米二硫化钨的抗磨减摩润滑油添加剂
KR101926742B1 (ko)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변유체 조성물
US7731863B2 (en) Magnetorheological fluid with a fluorocarbon thickener
KR102087264B1 (ko)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댐퍼용 특수 윤활유 조성물
EP3424056B1 (en) Additive for magnetorheological fluids
KR101755925B1 (ko) 자기유변유체 조성물
KR102073255B1 (ko) 자기 유변 유체
US20030102455A1 (en) Low-cost MR fluids with powdered iron
KR101953586B1 (ko) 나노 사이즈의 고체 윤활제를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499766B2 (ja) 磁気粘性流体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振動減衰装置
JP6499767B2 (ja) 磁気粘性流体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振動減衰装置
CN105063396A (zh) 一种含纳米粒子和油脂的铝青铜复合滑动轴承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510040B1 (ko) 자기유변유체 조성물
KR100936013B1 (ko)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KR20230023315A (ko) 나노급 고체 윤활제를 포함하는 기어오일 조성물
Singh et al. Friction reduction capabilities of silicate compounds used in an engine lubricant on worn surfaces
JP2012094677A (ja) 磁気粘性流体組成物
CN107384542B (zh) 一种高抗磨减震器油组合物
CN117219391B (zh) 延长使用寿命的磁流变流体及其制备方法和磁流变阻尼器
KR20150065091A (ko) 저마찰 디프렌셜 사이드 오일씰용 고무 조성물
KR20190118859A (ko) 자기 유변 유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