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013B1 -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013B1
KR100936013B1 KR1020090071540A KR20090071540A KR100936013B1 KR 100936013 B1 KR100936013 B1 KR 100936013B1 KR 1020090071540 A KR1020090071540 A KR 1020090071540A KR 20090071540 A KR20090071540 A KR 20090071540A KR 100936013 B1 KR100936013 B1 KR 100936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articles
graphite
viscous fluid
magnetic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기
백대성
Original Assignee
알엠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엠에스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알엠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09007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10M171/001Electrorheological fluids; smart 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02Carbon;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04Metals;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4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c liquids, e.g. ferrofluids
    • H01F1/44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c liquids, e.g. ferrofluids the magnetic component being a metal or alloy, e.g. F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4Detergent property or dispersant proper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점성이 변하는 유체인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자성입자가 충분한 분산안정성을 갖도록 계면활성제를 자성입자에 코팅하는 방법을 택하였는데, 계면활성제를 코팅하는 제조공정이 난해하고, 또한 제품의 가격이 고가이다. 따라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지 않고도 자성입자가 충분한 분산안정성을 가지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MR유체를 제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MR유체로서, 자성입자를 계면활성제로 코팅하는 대신에 토상흑연, 인상흑연, 인조흑연, 또는 카본블랙 분말로 표면처리 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본 발명의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토상흑연, 인상흑연, 인조흑연, 또는 카본블랙으로 표면 처리된 자성입자와 요변제 및 분산매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표면처리된 자성입자의 표면은 소수성을 띄고 있으며, 따라서 자성입자의 표면에 별도로 코팅이 어려운 계면활성제를 흡착시키지 않고도 소수성 분산매와 균일한 분산계의 형성이 가능하며, 요변제나, 분산매의 선택이 자유롭고, 생산 공정시간이 단축되고,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자기가변, 점성, 유체, 전단응력, 자기장, 점도, 댐퍼

Description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Magneto-Rheological Damping Fluid Composite}
본 발명은 소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점성이 변하는 유체인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계의 방진은 방진 대상인 기계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 가진력이 구조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주변 진동이 보호대상의 기계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진동 차단을 위하여 구성된 계(시스템)를 방진시스템이러고 하는데, 방진시스템은 방진대상 물체인 질량(M, Mass)을 스프링(K, Spring, 여기서 스프링이란 통상의 금속스프링뿐만 아니라 변형에 의하여 위치에너지가 축적되는 모든 종류의 탄성체를 의미한다.)과 질량이 진동할 때 가지는 운동에너지를 열로 소산시켜 흡수하는 댐퍼(C, Damper)로 지지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질량, 스프링, 그리고 댐퍼를 진동의 3요소라고 한다. 방진시스템의 성능인 방진 효율은 상기 질량, 스프링의 스프링상수, 그리고 댐퍼의 댐핑계수에 따라 정해진다.
방진시스템은 질량과 스프링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댐퍼를 함께 사용하 면, 스프링만을 사용했을 때에 비하여 과도진동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일시적인 진동이 빨리 소멸되고, 공진영역에서 진동의 증폭이 크지않아 유리하다. 그러나 계속적인 가진력에 의한 정상진동의 경우, 스프링만을 사용했을 때보다 방진효율이 다소 낮다.
상기 방진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댐퍼로는 여러 가지 형식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댐퍼로는 기체 또는 액체 작동유인 유체가 충진되어 있는 밀폐된 실린더에 작은 구멍인 오리피스가 형성된 피스톤을 구비하여, 진동에 의하여 피스톤이 운동을 하면 유체가 오리피스를 고속으로 흐르면서 유체의 점성에 의하여 마찰열이 발생하고, 진동체의 운동에너지가 열로 소산되는 구조의 유체댐퍼가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댐퍼는 피스톤의 운동속도에 비례하는(비례상수를 "댐핑계수"라 함) 힘을 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동체인 질량에 가한다.
상기와 같이 액체 작동유를 사용하는 유체댐퍼에서 작동유의 점도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으면 그에 따라 댐퍼의 댐핑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목적으로 주변의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점도가 변하는 유체인 자기가변 점성유체 (Magneto-Rheological Damping Fluid, 이하 "MR유체"라 칭함.)가 개발되었고, 이를 이용한 댐퍼인 자기가변댐퍼(Magneto-Rheological Damper, 통상 "MR댐퍼"로 약칭된다. 본 명세서에서도 "MR댐퍼"라 칭한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MR댐퍼는 상용품(미국 LOAD사, 모델번호 : RD-1005-3 등)으로 시판되고 있는데, 실린더, 오리피스가 있는 피스톤, 그리고 피스톤에 감긴 코일로 구성되고, 실린더의 내부에는 자기가변 점성유체가 충진된다.
MR댐퍼의 내부에 충진되는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주변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유체의 점도가 변하는데, 코일에 전기가 흘러 자기장이 형성되면 유체의 점도가 증가하여 유체가 일정 정도의 전단응력을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유체가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큰 저항력을 유발하여 댐핑계수가 큰 댐퍼가 되고, 전기가 흐르지 않으면 유체의 점성이 낮아 댐핑계수가 작은 댐퍼가 된다. 즉 MR댐퍼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댐핑계수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댐퍼이다.
최근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중요 무기 체계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은 물론, 자동차의 반능동제어방식의 현가장치(Semi-Active Suspension System)에도 적용되고 있다. 또한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베어링, 실링재, 센터링 장치, 스피커, 클러치, 브레이크, 댐퍼, 완충장치, 엔진마운트, 승강기용 부재, 건축물 제진 장치 등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MR댐에 사용되는 MR유체는 분산매인 베이스오일(Base Oil)에 분산작용을 하는 계면활성제를 코팅한 자성입자를 혼입하여 제조한 현탁액(Slurry)이다.
자성입자는 자장에 감응하여 전단응력을 발생시키는 물질인데, 주로 자기장에서 자화가 잘 되는 입자 크기가 마이크론 단위인 금속 분말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자성입자는 밀도가 높아 베이스오일에서 침강되므로, 이를 베이스 오일에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계면 활성제 코팅을 한다. 그리고 코팅의 전처리 과정으로 금속 표면과 계면활성제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금속 표면을 전처리하여 사용한다.
계면활성제는 그 함량과 작용기의 종류에 따라 금속 표면과의 결합력 차이가 생기고 베이스오일과의 친화력이 달라지므로 적절한 종류의 것을 선택하여, MR유체가 사용중 산화되지 않도록 하고, 저온 및 고온에서 그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MR유체는 비작동 상태(정지상태)에 있어서도 자성입자의 침강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어야 한다. 통상 MR유체를 구성하는 자성입자의 진비중은 분산매의 진비중에 비해서 현저하게 크기 때문에 자성입자의 침강을 방지하여, 장기간 정체시 안정된 분산성을 유지시키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MR유체 중의 자성입자의 침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점도의 분산매를 이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점도의 분산매를 이용하는 것은 MR유체 자체의 점도 상승에 귀결되어 장치에 주입하는 조작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자력의 인가 시와 비인가 시에 있어서 점도 변화율이 작게 되어, 점도의 변화 범위가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
자성입자의 침강을 방지하는 별도의 방책으로서 MR유체 중에 요변제를 배합하는 방법이 있다. 요변제를 사용할 경우 이것에 의해, 자기점성유체 중에 요변제의 수소 결합력과 van der waals력에 기인하는 물리 망목 구조가 형성되어 정지 상태에 있어서 유체의 겉보기 점도가 상승하여 자성입자의 침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자기점성유체에 역학적 자극이 가해질 경우에는 요변제에 의한 물리적 망목 구조는 파괴되어 유체는 저점도 유체로서의 거동을 보이고, 요변제에 의한 물리적 망목 구조의 형성과 파괴는 가역적이기 때문에, 다시 MR유체를 정체시키면 겉보기 점도는 상승하여 입자의 침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요변제가 분산매 중에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자성입자가 1차적으로 분산매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2차적으로 요변제가 균일하게 분산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자성입자의 표면과 소수성 분산매와는 충분한 친화성을 가져야 하며, 분산매와 자성입자, 그리고 요변제 역시 충분한 친화력을 가지지 않으면, 자기가변점성유체는 분산매와 자성입자와의 비중 차이에 의해 자성입자의 침강이 일어나거나, MR유체의 급격한 점도 상승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MR유체가 충분한 분산안정성과 요변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코팅되는 계면활성제의 친수기가 자성입자의 표면으로 향하고 그 바깥쪽으로 소수기가 향하도록 자성입자의 표면은 계면활성제의 단분자 흡착층만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계면활성제 흡착반응 시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적절한 반응 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는 공정조건이 부여되어야 하고, 배향된 계면활성제와 분산매가 충분한 친화력을 가질 수 있는 계열로 선택되어야 하며, 첨가되는 요변제는 계면활성제와 분산매가 갖는 친화력을 저해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MR유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아주 어렵다. 따라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MR유체는 상기와 같은 제조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아주 고가이다.
상기와 같이 현재의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자성입자가 충분한 분산안정성을 갖도록 계면활성제를 자성입자에 코팅하는 것이 어려워 제조가 난해하고, 또한 제품의 가격이 고가이다.
따라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지 않고도 자성입자가 충분한 분산안정성을 가지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자기가변 점성유체를 제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자기가변 점성유체로서, 자성입자를 계면활성제로 코팅하는 대신에 토상흑연, 인상흑연, 인조흑연 또는 카본블랙인으로 표면처리 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본 발명의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토상흑연, 인상흑연, 인조흑연또는 카본블랙으로 표면 처리된 자성입자와 요변제 및 분산매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표면처리된 자성입자의 표면은 소수성을 띄고 있으며, 따라서 자성입자의 표면에 별도로 코팅이 어려운 계면활성제를 흡착시키지 않고도 소수성 분산매와 균일한 분산계의 형성이 가능하며, 요변제나, 분산매의 선택이 자유롭고, 생산 공정시간이 단축되고, 저 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처리된 자성입자는 자성입자를 화학적 반응으로부터 보호하므로 별도의 산화 방지제나 방청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자기가변 점성유체에 첨가하는 산화방지제와 방청제 등은 자기가변 점성유체 고유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을 첨가한 후 변하는 유체특성을 별도로 조절해야하는 요인이 되므로 가능한 한 첨가 하지 않는 것이 자기가변점성유체를 장기간 사용한 후에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종래의 자기가변 점성유체와 동일한 특성과 효과를 보이고, 최소의 구성 성분으로 최대의 분산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비교적 큰 전단 응력을 요구하는 클러치, 브레이크, 뎀퍼, 완충장치, 엔진 마운트, 승강기용 부재, 건축물 제진 장치 등의 장치에 사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자성입자에 평균 입경이 1.5~10 마이크로미터의 분말상태인 토상흑연, 인상흑연, 인조흑연 또는 카본블랙인 탄소입자로 표면처리하여, 요변제와 함께 베이스오일인 분산매에 분산시킨 현탁액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처리되는 토상흑연, 인상흑연, 인조흑연 또는 카본블랙의 함유량은 자성입자 100 질량%중에 0.05-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입자로는 자성을 갖는 입자라면 어느 것이나 이용될 수 있는데, 환원철 입자, 카보닐철 입자, 니켈 입자, 코발트입자 등의 철계 금속입자가 사용될 수 있 다. 그리고 상기 철계 금속에 몰리브덴, 크롬, 텅스텐, 망간, 동 등을 첨가한 다영한 종류의 철계 합금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자성입자는 그 크기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입경이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인 미세 자성입자와 입경이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인 굵은 자성입자가 있다.
일반적으로 미세 자성입자는 진공실링용, 방열용, 스피커 등의 전단응력과 무관하거나 아주 미세한 전단응력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자성유체에 사용되며, 자성입자의 표면에 적절한 계면활성제 처리를 하여 분산매에 분산을 시키면, 2차적으로 발생하는 자성입자의 침강은 우려하지 않아도 될 정도이다.
본 발명의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주로 일정 이상의 전단응력을 요구하는 장치인 클러치, 브레이크, 댐퍼, 완충장치, 엔진 마운트, 승강기용 부재, 건축물 제진 장치 등 운동제어용 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입경이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인 굵은 자성입자를 사용하는 곳에 적용된다.
자성입자의 입경은 1 내지 20마이크로미터가 바람직하다. 자성 입자의 입경이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인가되는 자장에 따른 전단응력의 발생이 너무 작아 운동제어용 장치에 사용할 수가 없다. 그리고 자성입자의 입경이 20 마이크로미터를 넘으면 자장이 인가된 영역에서 자기가변 점성유체가 순간적으로 고형화되어 제어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아 자성입자의 응집과 침전이 쉽게 일어난다.
자기가변 점성유체에 있어서 자성입자의 함유량은 사용되는 장치에서 요구 되는 전단력과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자기가변 점성유체 100 질량%에 40~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처리제는 토상흑연, 인상흑연, 인조흑연, 또는 카본블랙이 사용된다. 천연 흑연은 지질학적으로 고온 고압 하에서 생성되는데, 구조의 단순성 및 유연성 때문에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이다. 흑연은 산화환경에서는 600℃에서 서서히 산화되면서 분해되며, 비산화환경에서는 3,650℃ 까지 견디고, 특히 열충격에 강하다. 천연흑연은 대체로 퇴적암 내의 유기물 또는 석탄 같은 것들이 접촉변성작용, 광역변성작용, 변성교대작용, 등의 변성작용으로 생성되는데, 온도와 압력의 증가에 따라 비정질 흑연(amorphous graphite)이 중간 단계를 거쳐서 400℃ 이상에서는 완전히 결정화된 흑연으로 된다. 천연흑연은 인상(flake)흑연, 고결정질(high crystalline)흑연, 미정질(microcrystalline or cryptocrystalline, amorphous)흑연 등 세 가지로 구분한다.
상기 자성입자를 표면 처리에 사용되는 흑연들은 그 자체로 소수성을 띠고 있으므로 상기 흑연 또는 카본블랙으로 표면처리된 자성입자는 별도의 계면활성제 처리 없이 소수성 분산매에 쉽게 분산된다.
자성입자의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흑연들은 자기가변 점성유체의 사용 용도에 따라 그 종류와 평균 입경이 다르나, 본 발명에서 평균 입경이 1.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인 토상흑연, 인상흑연 또는 인조흑연을 사용한다. 흑연의 평균입경이 10마이크로미터를 넘는 경우는 표면처리 효율이 떨어지므로 흑연들의 평균입경은 10마이크로미터 이하가 바람직하다.
자성입자의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흑연의 사용량은 자성입자 100 질량%에 대해 0.05 내지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표면처리되는 흑연의 사용량이 0.05 질량% 미만일 경우에는 자성입자의 표면이 흑연으로 충분히 처리되지 않아 자성입자의 표면을 충분히 소수성으로 전환시키지 못해 자기가변 점성유체에 사용되는 소수성 분산매와 충분한 친화력을 가질 수 없어 자성입자의 중력 침강이 유발되어 분산 안정성이 떨어진다.
자성입자의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카본불랙의 경우 평균 입경 10 내지 100 나노미터의 것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카본블랙은 입경이 10 내지 30 나노미터인 하드카본를랙과 입경이 50 내지 100나노미터인 소프트카본블랙으로 구분되는데, 둘 다 본 발명의 자성입자의 표면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분산매로는 비극성 분산매를 사용하는데, 소수성으로 처리된 자성입자를 충분히 분산 시킬 수 있는 분산매라면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으나, 석유계 탄화수소로부터 얻어지는 광물유, 실리콘유, 불소유 등과 파라핀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요변제는 통상의 자기가변 점성유체와 동일하게 변성폴리아크릴산 에멀젼, 우레탄변성 폴리아크릴 에멀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요변제로는 산노프코 우레탄변성 폴리아크릴계 SN-THICKENER 660T이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자기가변 점성유체에 사용되는 자성입자의 표면처리 방법은 일정 입경의 자성입자 1000g당 흑연 5g의 비율로 계량하여 볼포트로 전처리를 한다.(볼 포트의 용적은 자성입자 1000g을 사용할 경우 1리터가 적당하다.) 표면처리에 사용 되는 메디아는 직경 2mm의 알루미나 볼을 사용하며, 볼의 충진량은 부피비로 포트의 50%까지 충진한다. 그 후 포트에 상기 비율로 계량된 자성입자와 흑연을 투입하고, 노르말핵산을 부피비로 포트의 60%가 되도록 투입한다.
상기 재료가 충진된 볼포트를 볼밀에서 상기 자성입자의 분쇄가 일어나지 않도록 저속(40rpm 정도가 적당하다.)으로 충분한 시간 동안(10시간이 적당하다.) 동안 밀링하여 표면처리를 행한다. 표면 처리 후 포트 내 슬러리에서 메쉬를 이용하여 볼을 제거하고 80 내지 100℃ 사이의 Hot Plate에서 노르말핵산을 1차 건조하고 건조기에서 2차 건조하여 표면처리된 카보닐철을 얻는다.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분산매에 요변제를 투입하여 일정 회전속도(400rpm이 적당하다.)의 호모제나이져로 충분한 시간 동안 혼합하여 요변성을 갖는 유체를 제조하고, 여기에 상기와 같이 제조된 표면처리된 자성입자를 투입하여 일정 회전속도(850rpm이 적당하다.)의 어트리션밀로 충분한 시간(10시간 이상) 혼련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 3종의 실시예인 본 발명의 자기가변 점성 유체와 다음 2종의 종래의 자기가변 점성유체를 조성하여 비교시험을 하였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조성비로 전량이 1100g이 되도록 자기가변 점성유체의 구성 재료를 계량하고, 분산매인 파라핀 오일(미창석유화학 FOMI 100) 254.54g과 요변제(산노프코 변성폴리아크릴산 에멸젼 SN-THICKENER 640) 44g을 계량하여 호모제나 이져에 의해 400 rpm이상으로 30분간 혼합하여 요변성을 갖는 유체를 제조하고, 이 유체에 토상흑연으로 표면처리된 카보닐철 자성입자 797.9g을 투입하여 회전속도 850rpm의 어트리션밀로 10시간 혼련하여 자기가변 점성유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자성입자의 표면처리에 하드카본블랙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자성입자의 표면처리에 소프트카본블랙을 사용하고, 요변제로 우레탄변성 폴리아크릴계 에멀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낸 조성비로 전량이 1100g이 되도록 자기가변 점성유체의 구성 재료를 계량하고, 분산매인 파라핀 오일(미창석유화학 FOMI 100) 249.04g과 요변제(우레탄변성 폴리아크릴계 에멸젼 SN-THICKENER 660T) 44g과 산화방지제(CHEMTURA사 아민계 산화방지제 Naugalube 680) 5.5g을 계량하여 150℃로 2시간 가열, 교반하여 요변성을 갖는 유체를 제조하고, 이 유체에 계면활성제인 올레인산으로 코팅처리된 카보닐철 자성입자 797.9g을 투입하여 회전속도 850rpm의 어트리션밀로 24시간 혼련하여 자기가변 점성유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계면활성제로 리롤레익산을 사용한 것과 요변제로 산노프코 변성폴리아크릴산 에멸젼 SN-THICKENER 64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 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자기가변 점성유체 실시예 3종과 종래의 자기가변 점성유체 2종에 대하여 침강 안정성과 점도를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재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분산매 (wt%) 23.14 23.14 23.14 22.64 22.64
표면처리제 (wt%) 토상흑연 0.36
하드카본블랙 0.36
소프트카본블랙 0.36
계면활성제 (wt%) 올레인산 0.36
리롤레익산 0.36
요변제 (wt%) 변성폴리아크릴산 4.0 4.0 4.0
우레탄변성 폴리아크릴계 4.0 4.0
산화방지제 아민계 - - - 0.5 0.5
자성입자 (wt%) 카보닐철분 72.5 72.5 72.5 72.5 72.5
침강안정성 (vol %) 3일간 정치 1.5 2 2 7 20
1개월간 정치 5 6 10 18 45
점도 (Pas) 전단속도 1 ( (1/s)3 rpm 5326 5350 5315 5309 5341
전단속도 20 (1/s)75 rpm 516 508 504 511 506
상기 비교 시험결과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요변성 유체 제조시간을 2시간에서 30분으로 그리고 자성입자 혼련 시간을 24시간에서 10시간으로 단축시켜 전체 제조 시간을 약 2/5로 단축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분산 안전성은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점도를 나타내는 항목에는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점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침강 안정성은 아주 우수하고, 제조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가변 점성유체는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여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제어하는 능동 또는 반능동 제어기능을 갖는 클러치, 브레이크, 완충장치, 엔진 마운트와 승강기용 부재, 건축물의 제진 장치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Claims (5)

  1. 입경 1 내지 20마이크로미터의 분말상태인 철계 금속 또는 철계 합금인 자성입자의 표면을, 일정 입경의 흑연 또는 카본블랙으로 코팅하고, 상기와 같이 흑연 또는 카본블랙으로 코팅된 자성입자를 요변제와 함께 비극성 분산매인 베이스오일에 분산시킨 현탁액인,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입자의 표면에 코팅되는 흑연은 입경이 1.5 내지 10마이크로미터인 토상흑연, 인상흑연 또는 인조흑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입자의 표면에 코팅되는 카본블랙은 입경이 10 내지 100 나노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입자의 표면에 코팅되는 흑연 또는 카본블랙은, 자성입자 100 질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질량%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KR1020090071540A 2009-08-04 2009-08-04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KR10093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540A KR100936013B1 (ko) 2009-08-04 2009-08-04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540A KR100936013B1 (ko) 2009-08-04 2009-08-04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013B1 true KR100936013B1 (ko) 2010-01-11

Family

ID=4180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540A KR100936013B1 (ko) 2009-08-04 2009-08-04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2876B2 (en) * 2018-08-24 2024-04-30 David Lussey Composite materia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6219A (ja) 1998-09-11 2000-03-28 Futaba Corp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皮膜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皮膜を形成された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
JP2005035810A (ja) 2003-07-15 2005-02-10 Mikuni Color Ltd 0次元又は1次元炭素構造体の分散液
JP2007063107A (ja) * 2005-09-02 2007-03-15 Hokkaido Univ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6219A (ja) 1998-09-11 2000-03-28 Futaba Corp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皮膜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皮膜を形成された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
JP2005035810A (ja) 2003-07-15 2005-02-10 Mikuni Color Ltd 0次元又は1次元炭素構造体の分散液
JP2007063107A (ja) * 2005-09-02 2007-03-15 Hokkaido Univ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2876B2 (en) * 2018-08-24 2024-04-30 David Lussey Composite materi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htiani et al. A review on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preparation and stabilization
US5900184A (en) Method and magnetorheological fluid formulations for increasing the output of a magnetorheological fluid device
Zhang et al. Study on magnetorheological shear thickening fluid
EP0801403B1 (en) Magnetorheological fluids
US20110121223A1 (en) Magnetorheological flu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40339029A1 (en) Magnetic functional fluid, damper and clutch using magnetic functional fluid
Shetty et al. Rheological Properties of a Honge Oil-based Magnetorheological Fluid used as Carrier Liquid.
Kariganaur et al. Effect of temperature on sedimentation stability and flow characteristics of magnetorheological fluids with damper as the performance analyser
Roupec et al. Influence of clay-based additive on sedimentation stability of magnetorheological fluid
CN109243749A (zh) 一种稳定快速响应高屈服强度双峰磁流变液及其制备方法
CA2547582C (en) Metallurgical powder compositions and articles and methods utilizing the same
Carlson et al. Magnetorheological fluids
EP1423859A1 (en) Magnetorheological fluids with an additive package
KR100936013B1 (ko)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KR101926742B1 (ko)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변유체 조성물
Raju et al. Developments in vibration control of structures and structural components with magnetorheological fluids
Ghasemi et al. Simultaneous effect of magnetic nanoparticles additive and noble metal coating on carbonyl iron-based magnetorheological fluid
Ashour et al. Manufacturing and characterization of magnetorheological fluids
US20020130305A1 (en) MR fluids containing magnetic stainless steel
Katiyar et al. Role of fibrillation on the magnetorheological and viscoelastic effects in Fe, Ni, and Co nanocolloids
EP1283531A2 (en) Magnetorheological fluids with a molybdenum-amine complex
KR101602315B1 (ko) 판 형상의 철 입자들을 포함하는 자기유변유체
CN117219391B (zh) 延长使用寿命的磁流变流体及其制备方法和磁流变阻尼器
US8361341B2 (en) Magnetorheological compositions including nonmagnetic material
KR20220003901A (ko) 항복 강도가 향상된 자기가변 점성유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