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733B1 -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733B1
KR102086733B1 KR1020180083775A KR20180083775A KR102086733B1 KR 102086733 B1 KR102086733 B1 KR 102086733B1 KR 1020180083775 A KR1020180083775 A KR 1020180083775A KR 20180083775 A KR20180083775 A KR 20180083775A KR 102086733 B1 KR102086733 B1 KR 102086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art
augmented reality
image
pattern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423A (ko
Inventor
김세헌
Original Assignee
(주)아이로보테크
김세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로보테크, 김세헌 filed Critical (주)아이로보테크
Priority to KR102018008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7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 A44C15/008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on the n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장식 부위와 네일 아트 패턴을 증강 현실 방식으로 결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은 3D 형상 모델을 생성하는 3D 스캔 데이터 생성 모듈(11); 생성된 3D 형상 모델로부터 네일 아트가 적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3D 네일 아트 패턴을 생성하는 네일 아트 패턴 생성 모듈(12); 3D 형상 모델과 네일 아트 패턴을 다양한 방향 또는 각도에 따른 3D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모델/패턴 정합 모듈(13); 및 결합된 3D 이미지를 증강 현실 스크린에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 모듈(1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An Apparatus for Creating an Augmented Reality of a Nail Art Imag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장식 부위와 네일 아트 패턴을 증강 현실 방식으로 결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손톱 또는 발톱을 미적으로 표현하는 네일 아트는 손톱 또는 발톱과 같은 네일 장식 행위를 말하고, 다양한 종류의 장식 수단이 네일 아트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네일 아트는 예를 들어 손톱 또는 발톱에 그림을 그리거나, 비즈 또는 보석을 부착시키거나 또는 스티커 형상으로 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네일 아트는 인조 손톱 또는 인조 발톱의 형상을 손톱 또는 발톱에 덧붙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네일 아트와 관련된 다양한 공지 기술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18649호는 반경화 상태를 유지하는 젤 네일 스티커를 이용하여 손톱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07060호는 가상 네일아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네일아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손톱, 발톱 또는 신체의 일부의 장식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네일 아트가 만들어지고, 하나의 부위에 대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네일 아트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네일 아트를 적용하기 전 미리 네일 아트가 된 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네일 아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네일 아트의 적용 전 미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18649호((주)글루가, 2017년02월20일 공개)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07060호((주)코나드, 2013년01월18일 공개) 가상 네일아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네일아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네일 아트 패턴의 적용된 상태를 여러 각도 또는 동적 상황에서 3D 이미지 형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은 3D 형상 모델을 생성하는 3D 스캔 데이터 생성 모듈; 생성된 3D 형상 모델로부터 네일 아트가 적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3D 네일 아트 패턴을 생성하는 네일 아트 패턴 생성 모듈; 3D 형상 모델과 네일 아트 패턴을 다양한 방향 또는 각도에 따른 3D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모델/패턴 정합 모듈; 및 결합된 3D 이미지를 증강 현실 스크린에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델/패턴 정합 모듈은 구매자의 동작에 따른 3D 형상 모델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방향 정보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네일 아트의 적용 부위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3D 스캔 데이터로부터 적용 부위에 대한 3D 형상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3D 형상 모델에 적용되는 네일 아트 패턴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네일 아트 패턴으로부터 적용되는 3D 네일 아트 패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구매자의 위치 및 방향을 추적하는 단계; 추적에 따라 아트 패턴 모델의 좌표 및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형상 모델 및 아트 패턴 모델의 이미지를 정합시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는 구매자가 구매 전 미리 다양한 종류의 네일 아트가 적용된 상태를 3D 이미지 형태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는 다양한 각도 또는 움직임 상태에서 네일 아트가 적용된 상태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네일 아트 무인 자동판매기에 적용되어 구매자가 취향에 따른 네일 아트의 선택 및 구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생성 장치에서 3D 형상 모델과 3D 네일 아트 패턴이 결합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생성 장치에서 네일 아트 적용 이미지가 증강 현실 이미지로 표시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생성 장치가 적용된 무인 자동 판매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의 생성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는 3D 형상 모델을 생성하는 3D 스캔 데이터 생성 모듈(11); 생성된 3D 형상 모델로부터 네일 아트가 적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3D 네일 아트 패턴을 생성하는 네일 아트 패턴 생성 모듈(12); 3D 형상 모델과 네일 아트 패턴을 다양한 방향 또는 각도에 따른 3D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모델/패턴 정합 모듈(13); 및 결합된 3D 이미지를 증강 현실 스크린에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 모듈(14)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네일 아트는 손톱, 발톱 또는 인체의 일부를 장식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 가능 물품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비즈, 인조 보석 또는 이와 유사한 장식물을 포함한다. 또한 네일 아트는 스티커, 라벨, 인조 손톱 또는 인조 발톱과 같은 장식 물품을 포함하고, 이와 함께 손톱, 발톱 또는 인체의 일부의 장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트 형성 도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네일 아트는 손톱, 발톱 또는 인체의 일부의 장식을 위하여 구매자에게 제공 가능한 다양한 물품, 도구 또는 이와 관련된 다양한 물품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3D 스캔 데이터 생성 모듈(11)은 손톱, 발톱 또는 신체의 일부와 같은 네일 아트 적용 부위에 대한 3D 형상 모델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3D 스캔 데이터 생성 모듈(11)은 예를 들어 손톱을 포함하는 손가락 끝 부분 형상에 대한 3D 형상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3D 스캔 데이터 생성 모듈(11)은 예를 들어 레이저 스캐너, 카메라 또는 이와 유사한 광학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스캐너 또는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거리 정보 또는 영상 정보의 처리를 위한 3D 이미지 생성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아트 패턴 적용 부위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가 획득되면 이에 기초하여 3D 형상 모델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3D 스캔 데이터 또는 3D 형상 모델이 네일 아트 패턴 생성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다.
네일 아트 패턴 생성 모듈(12)은 3D 형상 모델에 적합한 3D 네일 아트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네일 아트 데이터베이스에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네일 아트가 저장이 될 수 있고, 구매자의 선택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일 아트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네일 아트가 선택이 되면, 네일 아트 패턴 생성 모듈(12)에 의하여 3D 형상 모델에 적합한 3D 네일 아트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3D 네일 아트 패턴은 각각의 3D 형상 모델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네일 아트가 되고, 하나의 3D 형상 모델에 대하여 다수 개의 네일 아트 패턴이 만들어질 수 있고, 하나의 네일 아트로부터 다수 개의 네일 아트 패턴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3D 형상 모델에 대하여 네일 아트 패턴이 생성되면, 관련 데이터가 모델/패턴 정합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다.
모델/패턴 정합 모듈(13)은 3D 형상 모델과 3D 네일 아트 패턴을 서로 결합시켜 네일 아트 적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3D 네일 아트 패턴이 3D 형상 모델에 결합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위 환경에 따라 또는 3D 형상 모델의 움직임에 따라 결합 형상의 변화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D 형상 모델과 3D 네일 아트 패턴이 결합된 3D 정합 모델이 생성되면 관련 데이터가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 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 모듈(14)은 모델/패턴 정합 모듈(13)에 의하여 만들어진 3D 정합 형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매자는 다양한 자세 또는 환경에서 적용된 네일 아트를 관찰하는 것을 원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방향 또는 위치에서 적용된 네일 아트 패턴 이미지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 모듈(14)은 다양한 방향, 위치 또는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3D 정합 형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매자의 위치 또는 네일 아트 적용 부위의 위치 또는 방향이 탐지될 수 있고,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 모듈(14)은 탐지 방향에 따른 3D 정합 형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한다. 그리고 증강 현실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에 3D 정합 형상이 표시되고, 이에 의하여 구매자는 다양한 자세 또는 환경에서 네일 아트 패턴 적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생성 장치에서 3D 형상 모델과 3D 네일 아트 패턴이 결합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D 스캔 데이터 생성 모듈(11)은 스캐너 유닛(21) 및 영상 획득 유닛(22)을 포함할 수 있고, 스캐너 유닛(21)은 적어도 하나의 스캐너(211, 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캐너(211, 212)는 예를 들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레이저 스캐너가 될 수 있고, 영상 획득 유닛(22)은 방향 조절 또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캐너(211, 212)의 이동에 의하여 기준 위치부터 적용 신체 부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거리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 유닛(22)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거리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의하여 3D 스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3D 스캔 데이터가 3D 스캔 모델 유닛(23)으로 전송될 수 있다. 3D 스캔 모델 유닛(23)은 3D 스캔 데이터로 손톱, 발톱 또는 신체 일부의 형상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3D 스캔 데이터 및 생성된 3D 형상 모델이 3D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될 수 있다. 만약 구매자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 및 3D 형상 모델이 3D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되어 있다면, 적용 부위에 대한 스캔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3D 스캔 모델 유닛(23)은 구매자를 확인할 수 있고, 스캔 과정이 진행되기 전 미리 3D 데이터베이스(231)에서 구매자의 3D 스캔 데이터 및 3D 형상 모델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3D 형상 모델이 생성되면 그에 적합한 네일 아트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네일 아트 데이터베이스(24)에 다양한 형태의 네일 아트가 저장되고, 예를 들어 각각의 손톱, 발톱 또는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네일 아트가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네일 아트는 표준 형상으로 저장이 되고, 3D 스캔 모델 유닛(23)은 3D 형상 모델이 만들어지면 네일 아트 데이터베이스(24)를 검색하여 3D 형상 모델에 적합한 네일 아트를 탐색할 수 있다. 탐색된 네일 아트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 가능한 표시 수단을 통하여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매자는 기본 형상으로 제공되는 네일 아트에 다양한 색상 또는 장식을 부여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네일 아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의 3D 형상 모델이 제시되고, 구매자는 각각의 손톱에 적합한 네일 아트 패턴을 선택하거나, 가공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과정이 패턴 형성 유닛(25)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패턴 형성 유닛(25)에 의하여 네일 아트 패턴이 생성되면 패턴/형상 정합 유닛(26)에 의하여 네일 아트 패턴과 3D 형상 모델의 정합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네일 아트 패턴과 3D 형상 모델의 정합 위치의 결정은 서로 다른 위치 또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결합이 되는 기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네일 아트 패턴과 3D 형상 모델은 독립적으로 저장이 되고, 3D 형상 모델은 다양한 위치에 있거나, 다양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로 다른 방향 또는 위치의 3D 형상 모델에 대하여 네일 아트 패턴은 정합 과정에서 결정된 결합 기준 위치에 기초하여 3D 형상 모델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기준이 패턴/형상 정합 유닛(26)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3D 형상 모델과 네일 아트 패턴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합이 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생성 장치에서 네일 아트 적용 이미지가 증강 현실 이미지로 표시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델/패턴 정합 모듈은 구매자(CS)의 동작에 따른 3D 형상 모델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방향 정보 생성 모듈(35)을 포함한다.
3D 형상 모델에 적어도 하나의 네일 아트 패턴이 정합이 되면 증강 현실 스크린(33)을 통하여 구매자(CS)는 다양한 네일 아트 적용 3D 모델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CS)의 다양한 자세에 따른 또는 다양한 환경에 따른 네일 아트 적용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스크린(33)은 하프 미러(half mirror) 구조가 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스크린(33)은 이미지 형성 층(331); 이미지 형성 층(331)의 앞쪽에 배치된 하프 미러 층(333); 및 이미지 형성 층(331)과 하프 미러 층(333) 사이에 배치된 투과 조절 층(3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증강 현실 스크린(33)의 구조에서 구매자(CS)는 하프 미러 층(333)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고, 구매자(CS)의 다양한 모습이 하프 미러 층(333)에 표시될 수 있다. 구매자(CS)의 모습이 추적 모듈(34)에 의하여 추적이 될 수 있고, 네일 아트 패턴이 적용되는 3D 형상 모델 부분이 추적 모듈(34)에 의하여 추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적 모듈(34)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추적 모듈(34)에 의하여 3D 형상 모델 부분의 좌표, 방향 또는 이동 상황이 추적될 수 있다. 그리고 추적 정보가 위치/방향 정보 생성 모듈(35)로 전송될 수 있다.
표시 패턴 생성 모듈(31)은 이미지 형성 층(331)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다수 개의 화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수 개의 엘이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네일 아트 패턴 모듈(32)은 구매자(CS)의 선택에 따른 3D 형상 모델에 적용되는 네일 아트 패턴을 저장하고, 구매자(CS)의 선택에 따라 저장된 네일 아트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 패턴 생성 모듈(3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치/방향 정보 생성 모듈(35)은 구매자(CS)의 3D 형상 모델의 좌표, 방향 및 이동 정보를 표시 패턴 생성 모듈(31)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 패턴 생성 모듈(31)은 네일 아트 패턴 모듈(32)과 위치/방향 정보 생성 모듈(35)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표시가 되어야 하는 3D 네일 아트 패턴을 형성하여 이미지 형성 층(33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형성 층(331)에 의하여 구매자(CS)의 좌표 및 방향에 따른 네일 아트 패턴의 이미지가 형성되고, 이에 해당하는 광이 투과 조절 층(332)을 경유하여 하프 미러 층(333)에 표시될 수 있다. 투과 조절 층(332)은 네일 아트 패턴 이미지를 위한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 광이 하프 미러 층(333)으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증강 현실 스크린(33)에 의하여 하프 미러 층(333)의 앞쪽에 위치하는 구매자(CS)의 다양한 자세에 따른 네일 아트 적용 형상이 구매자(CS)에게 표시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스크린(33)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생성 장치가 적용된 무인 자동판매기(4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인 자동판매기(40)는 독립된 무인 자판기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다수인의 접근이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무인 자동판매기(40)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설치 프레임(F); 설치 프레임(F)의 위쪽 부분에 결합된 증강 현실 스크린(33); 증강 현실 스크린(33)의 아래쪽에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정보 표시 및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42); 및 손 또는 발이 투입이 되어 발 또는 손이 스캔이 되면서 이와 함께 네일 아트의 대상이 되는 손톱 또는 발톱의 3D 스캔 데이터가 획득되는 1, 2 스캔 유닛(43, 44)을 포함한다. 증강 현실 스크린(33)을 통하여 네일 아트의 대상이 되는 손톱, 발톱 또는 신체 일부에 네일 아트가 부가된 증강 현실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스크린(33)은 예를 들어 하프 미러 또는 이와 유사한 영상 표시가 가능한 임의의 표시 장치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스크린(33)에 증강 현실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으면 거울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증강 현실 이미지의 표시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스크린(33)의 일부는 증강 현실 이미지의 표시를 위하여 사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증강 현실 스크린(33)은 적어도 일부가 증강 현실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이 될 수 있고, 증강 현실 이미지는 서로 다른 각도의 이미지, 손 또는 발의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 또는 다양한 환경에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증강 현실 스크린(33)은 미리 형성된 환경 상황에 네일 아트가 부가된 손톱 또는 발톱이 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구매자는 접속 승인 유닛(AC)을 통하여 자동판매기(40)에 접근하여 3D 스캔, 네일 아트 패턴의 증강 현실 적용 또는 결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42)을 통하여 다양한 사항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42)은 구매자에게 네일 아트의 구입 과정에 대한 정보, 스캔 절차에 대한 정보, 다양한 네일 아트 패턴의 제공, 구매자의 선택을 위한 입력, 결제 과정에 대한 정보와 처리 결과 또는 이와 유사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네일 아트의 구매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터치스크린(42)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스크린(33)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42)은 증강 현실 스크린(33)의 아래쪽 끝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예를 들어 30 내지 60도의 각도 또는 구매자가 선 자세에서 터치 방식으로 입력이 용이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42)의 아래쪽에 한쪽 쏜 또는 양쪽 손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1 스캔 유닛(4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 프레임(F)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무인 자동판매기(40)가 지면 또는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베이스(B)에 발의 투입되어 스캔이 되도록 하는 2 스캔 유닛(44)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신체의 일부가 스캔이 될 수 있는 신체 스캔 유닛이 설치 프레임(F)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깨, 손등 또는 허벅지와 같은 인체 일부의 스캔을 위한 스캔 유닛이 설치 프레임(F)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1, 2 스캔 유닛(43, 44)은 3D 스캔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레이저 스캐너 또는 카메라와 같은 영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3D 스캔 데이터의 획득을 위하여 손이 투입되면 접촉 탐지 유닛(431)에 손의 위치가 탐지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42)에 손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2 스캔 유닛(44)에 마찬가지로 접촉 탐지 수단이 설치되고, 스캔 과정에서 발의 위치가 터치스크린(42)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42)에 스캔 과정이 표시되고, 스캔 절차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트 네일 패턴의 선택 과정에서 손 또는 발이 1, 2 스캔 유닛(43, 44)에 투입되고, 그리고 투입된 상태에서 다양한 네일 아트 패턴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2 스캔 유닛(43, 44)에 손 또는 발이 투입되어 스캔이 되면 터치스크린(33)에 손의 3D 형상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손이 투입된 과정에서 터치스크린(42)의 손 형상의 주위에 네일 아트 패턴의 제시될 수 있다. 구매자는 각각의 손톱에 대한 네일 아트 패턴을 터치스크린(42)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강 현실 스크린(33)에 네일 아트 패턴이 부가된 손톱이 표시될 수 있다. 손, 발 또는 인체의 일부에 대한 스캔 또는 네일 아트 패턴의 부가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인 자동판매기(40)는 구매자에 의한 네일 아트의 선택, 네일 아트의 표시, 네일 아트의 결정, 네일 아트의 구매, 결제 및 네일 아트의 제공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무인 자동 판매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하여 카드 결제 수단(461)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의한 전자 결제 수단(462)이 자동판매기(40)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교통 카드 결제 수단 또는 이와 유사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결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폐 또는 동전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투입 수단(463a, 463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네일 아트가 결합된 손톱 또는 발톱 형상의 인쇄를 위한 프린팅 수단(PR)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네일 아트의 제공을 위한 제품 공급 수단(45)이 무인 자동판매기(40)에 형성될 수 있다.
무인 자동판매기(40)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이 배치되어 관리 서버 또는 구매자의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버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한 다양한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무인 자동판매기(40)는 다양한 네일 아트의 공급에 적합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네일 아트의 구매에 따른 편의를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자동판매기(40)는 3D 데이터베이스(231)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1, 2 스캔 유닛(43, 44)에 의하여 획득된 3D 스캔 데이터 또는 3D 형상 모델이 3D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접속 승인 유닛(AC)에 의하여 접근 권한을 획득한 구매자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 및 3D 형상 모델이 3D 데이터베이스(231)로부터 무인 자동판매기(40)로 전송될 수 있다.
무인 자동판매기(40)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의 생성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방법은 네일 아트의 적용 부위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P51); 3D 스캔 데이터로부터 적용 부위에 대한 3D 형상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P52); 3D 형상 모델에 적용되는 네일 아트 패턴을 선택하는 단계(P53); 선택된 네일 아트 패턴으로부터 적용되는 3D 네일 아트 패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P54); 구매자의 위치 및 방향을 추적하는 단계(P55): 추적에 따라 아트 패턴 모델의 좌표 및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P56); 및 형상 모델 및 아트 패턴 모델의 이미지를 정합시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P57)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레이저 스캐너 및 카메라에 의하여 3D 스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고, 3D 스캔 데이터는 손톱, 발톱 또는 신체 일부와 같이 네일 아트가 적용되는 인체 부위를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P51). 이와 같이 3D 스캔 데이터가 획득되면 이에 기초하여 3D 형상 모델이 만들어질 수 있다(P52). 3D 형상 모델은 네일 아트가 적용되는 부위가 되고 다양한 방향에 따른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3D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3D 형상 모델에 기초하여 네일 아트가 탐색되고, 탐색된 네일 아트로부터 네일 아트 패턴이 선택될 수 있다(P53). 선택된 네일 아트 패턴은 3D 패턴 모델로 만들어지고(P54), 3D 패턴 모델은 3D 형상 모델에서 적용 부위에 부착될 수 있는 이미지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용 가능한 3D 패턴 모델이 만들어지면(P54), 구매자에 의하여 네일 아트 적용 상태가 확인될 수 있고, 구매자는 증강 현실 스크린을 통하여 네일 아트가 적용된 인체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스크린에 3D 패턴 모델을 표시하기 위하여 구매자의 위치 및 방향이 추적될 수 있다(P55). 또한 증강현실 스크린의 구조에 따라 구매자의 다양한 자세에 따른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대안으로 하프 미리 구조의 증강 현실 스크린에 3D 패턴 모델을 표시하기 위하여 구매자의 좌표, 방향 또는 이동 상태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P55). 그리고 구매자에 대한 추적 정보에 따라 패턴 모델의 좌표 및 방향이 결정되고 이에 의하여 패턴 모델의 표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P56). 그리고 증강 현실 스크린에 3D 형상 모델과 패턴 모델이 정합이 되어 표시되고, 구매자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이 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는 구매자가 구매 전 미리 다양한 종류의 네일 아트가 적용된 상태를 3D 이미지 형태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는 다양한 각도 또는 움직임 상태에서 네일 아트가 적용된 상태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네일 아트 무인 자동판매기에 적용되어 구매자가 취향에 따른 네일 아트의 선택 및 구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3D 스캔 데이터 생성 모듈 12: 네일 아트 패턴 생성 모듈
13: 모델/패턴 정합 모듈 14: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 모듈
21: 스캐너 유닛 22: 영상 획득 유닛
23: 3D 스캔 모델 유닛 24: 네일 아트 데이터베이스
25: 패턴 형성 유닛 26: 패턴/형상 정합 유닛
31: 표시 패턴 생성 모듈 32: 네일 아트 패턴 모듈
33: 증강 현실 스크린 34: 추적 모듈
35: 위치/방향 정보 생성 모듈 40: 무인 자동판매기
42: 터치스크린 43, 44: 1, 2 스캔 유닛
45: 제품 공급 수단 211, 212: 스캐너
231: 3D 데이터베이스 331: 이미지 형성 층
332: 투과 조절 층 333: 하프 미러 층
431: 접촉 탐지 유닛 461: 카드 결제 수단
462: 전자 결제 수단 463a, 463b: 투입 수단
AC: 접속 승인 유닛 B: 고정 베이스
CS: 구매자 F: 설치 프레임
PR: 프린팅 수단

Claims (3)

  1. 네일 아트 적용 부위를 위한 3D 형상 모델을 생성하는 3D 스캔 데이터 생성 모듈(11);
    생성된 3D 형상 모델로부터 네일 아트가 적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3D 네일 아트 패턴을 생성하는 네일 아트 패턴 생성 모듈(12);
    3D 형상 모델과 네일 아트 패턴을 다양한 방향 또는 각도에 따른 3D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모델/패턴 정합 모듈(13); 및
    결합된 3D 이미지를 증강 현실 스크린에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 모듈(14)을 포함하고,
    모델/패턴 정합 모듈(13)은 구매자(CS)의 동작에 따른 3D 형상 모델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방향 정보 생성 모듈(35)을 포함하고,
    증강 현실 스크린은 구매자(CS)의 좌표 및 방향에 따른 네일 아트 패턴의 이미지가 형성되는 이미지 형성 층(331), 이미지 형성 층(331)의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구매자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하프 미러층(333) 및 이미지 형성 층(331)과 하프 미러 층(333) 사이에 배치된 투과 조절 층(332)으로 이루어지는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2. 삭제
  3.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방법에 있어서,
    네일 아트의 적용 부위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3D 스캔 데이터로부터 적용 부위에 대한 3D 형상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3D 형상 모델에 적용되는 네일 아트 패턴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네일 아트 패턴으로부터 적용되는 3D 네일 아트 패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구매자의 위치 및 방향을 추적하는 단계;
    추적에 따라 아트 패턴 모델의 좌표 및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형상 모델 및 아트 패턴 모델의 이미지를 정합시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가 표시되는 증강 현실 스크린은 구매자(CS)의 좌표 및 방향에 따른 네일 아트 패턴의 이미지가 형성되는 이미지 형성 층(331), 이미지 형성 층(331)의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구매자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하프 미러층(333) 및 이미지 형성 층(331)과 하프 미러 층(333) 사이에 배치된 투과 조절 층(332)으로 이루어지는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방법.
KR1020180083775A 2018-07-19 2018-07-19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208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75A KR102086733B1 (ko) 2018-07-19 2018-07-19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75A KR102086733B1 (ko) 2018-07-19 2018-07-19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23A KR20200009423A (ko) 2020-01-30
KR102086733B1 true KR102086733B1 (ko) 2020-03-09

Family

ID=6932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775A KR102086733B1 (ko) 2018-07-19 2018-07-19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4959A1 (ko) * 2020-06-29 2022-01-06 주식회사 엘에스테크 손톱 미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톱 미용 방법
KR102562886B1 (ko) * 2023-04-05 2023-08-03 엠봇 주식회사 네일스티커 자동판매-셀프시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710A (ko) * 2010-07-20 2012-02-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얼굴 인식 기반의 가상 체험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242764B1 (ko) * 2011-06-10 2013-03-13 주식회사 넥서스칩스 입체 3d 영상과 gpu를 이용한 입체 증강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284192B1 (ko) 2011-06-28 2013-07-09 (주)코나드 가상 네일아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네일아트 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1797203B1 (ko) 2015-08-10 2017-11-15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23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73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t least one image captured by a scene camera of a vehicle
US10437347B2 (en) Integrated gestural interaction and multi-user collaboration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10573091B2 (en) Systems and methods to create a virtual object or avatar
US20050131776A1 (en) Virtual shopper device
US20190122085A1 (en) Inconspicuous tag for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9779512B2 (en) Automatic generation of virtual materials from real-world materials
CN105556508B (zh) 虚拟镜子的装置、系统和方法
Pachoulakis et al. Augmented reality platforms for virtual fitting rooms
CN109598798B (zh) 虚拟物拟合方法及虚拟物拟合服务系统
D'Apuzzo 3D body scanning technology for fashion and apparel industry
ES2272346T3 (es) Sistema y metodo para visualizar el aspecto personal.
US20140063056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ly fitting wearable items
CN107533727A (zh) 全息交互式零售系统
CN106127552B (zh) 一种虚拟场景显示方法、装置及系统
CN113610612B (zh) 一种3d虚拟试衣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1720016B1 (ko) 미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특징점 기반 의상 피팅 시스템 및 방법
WO2019222541A1 (en) Smart platform counter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2086733B1 (ko) 증강 현실 네일 아트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2119A (ko) 가상 착용 장치
CN108805648A (zh) 虚拟现实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30031996A (ko) 자동화된 쇼핑 어시스턴트를 사용하는 개인화된 쇼핑을 위한 시스템, 플랫폼 및 방법
KR102137604B1 (ko) 증강 현실 이미지 제공 방식의 네일 아트 자동 판매 시스템
KR20210065423A (ko) 증강현실 기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가상 피팅시스템
KR102506352B1 (ko) 전자상거래를 위한 3d 인체 측정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트윈 아바타 제공 시스템
KR20200009182A (ko) 증강 현실 구조의 네일 아트 자동 판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