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728B1 - 상부커버와 전면커버 및 열배출 패드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상부커버와 전면커버 및 열배출 패드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728B1
KR102086728B1 KR1020190079661A KR20190079661A KR102086728B1 KR 102086728 B1 KR102086728 B1 KR 102086728B1 KR 1020190079661 A KR1020190079661 A KR 1020190079661A KR 20190079661 A KR20190079661 A KR 20190079661A KR 102086728 B1 KR102086728 B1 KR 10208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cover
air conditioner
conditioner outdoor
auxiliar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훈
박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딤
주식회사 내몸애척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98020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867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딤, 주식회사 내몸애척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딤
Priority to KR102019007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24F1/58Separate protective covers for outdoor units, e.g. solar guards, snow shields or camoufl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기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설치시 실외기의 냉방 효과를 유도하고, 실외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 및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바, 에어컨 실외기의 상부 전체를 덮는 기본커버(110)와, 상기 기본커버의 저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본커버와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실외기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확장커버(130,130')와, 상기 기본커버와 상기 확장커버를 회전 결합하는 힌지축(150)과, 상기 기본커버의 양단과 상기 확장커버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부커버와 전면커버 및 열배출 패드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THE ASSEMBLY COMPLISING THE COVER OF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부 등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설치시 햇빛 차단에 의한 냉방효과 및 실외기 과열로 인한 화재예방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에 냉기를 공급하여 실내 공간의 온도를 체온에 적합하도록 유지하는 것으로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되어 각각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실내기는 저온 냉매가 통과할 때 증발되어 열 교환을 통해 실내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실외기는 열 교환된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한 후 응축기를 통해 냉매 온도를 상온 고압의 액 냉매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온 고압의 액 냉매로 형성할 때 송풍 팬이 작동하여 대기의 공기와 열교환 되어 열풍이 실외기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실외기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부(옥상, 베란다, 벽면 등)에 설치되는데,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됨으로 여름철 강한 햇빛 등으로 실외기의 발열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화재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외기 외측에 통상 실외기 커버를 장착하여 실외기의 과열 발생을 억제하였는데, 종래에는 실외기 커버는 구조상 실외기에 탈부착시 작업이 번거롭고,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1a는, 종래의 실외기 커버를 실외기에 탈부착시키는 기술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실외기 커버(30)를 주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실외기(10)에 부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실외기 커버 구조에 있어서는, 실외기(10)의 외측에 양면 테이프를 설치하여 실외기 커버(30)를 탈부착시키는 데 따른 불편이 있고, 실외기 커버(30) 제거 후에는 양면 테이프 부착부위(21,23)에서 끈끈이가 발생하여 이 부위에서의 실외기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이를 제거하기도 어려워 실외기의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종래기술의 실외기 커버의 경우, 어느 정도 단열 효과를 갖는 커버가 실외기에 밀착됨으로써, 오히려 실외기에서 발생한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냉방효과가 떨어지고 에어컨 가동에 따르는 전력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외기 커버의 햇빛 차단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실외기의 내부 구조는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 일측에 (도 1b에서는 좌측에) 열기를 방출하는 팬이 있고, 타측에는 (도 1b에서는 우측에는) 통칭 실외기 엔진이라고 불리우는 압축기와 같은 직접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들이 내장되어 있다.
이 부분은 인체의 심장에 해당하는 핵심 부분으로, 실외기 엔진의 과열은 냉방 효과가 직결되므로, 더욱 문제가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이러한 점에 대한 고려 없이 단순히 실외기 상부만을 가리는 정도에 불과하여, 실외기 커버의 냉방 효율 향상 효과가 미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실외기 커버를 실외기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실외기 커버 설치시 실외기의 냉방 효과를 유도하고, 실외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실외기 엔진 부분의 햇빛 차단을 위한 확장커버 부분을 추가하며, 더욱 커버의 햇빛 차단은 물론 실외기 내부의 열을 방출하여 실외기 효율을 향상시킨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목적도 갖는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는, 에어컨 실외기 외측에 설치되어 실외기의 과열발생을 억제하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100); 및 상기 에어컨 실외기 커버와 상기 에어컨 실외기 사이에 삽입되는 폼 형태의 보조부재(200,200',200"); 를 포함하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로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 커버는, 에어컨 실외기의 상부 전체를 덮는 기본커버(110)와, 상기 기본커버의 저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본커버와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실외기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확장커버(130,130')와, 상기 기본커버와 상기 확장커버를 회전 결합하는 힌지축(150)과, 상기 기본커버의 양단과 상기 확장커버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확장커버의 회전시 상기 확장커버의 일정부위가 실외기의 과열부인 엔진부 전면을 덮는 위치에 오도록 설정되며, 상기 기본커버와 상기 확장커버는 다중층 구조의 단열재로 구성되며, 상기 기본커버와 상기 확장커버의 다중층 구조는, 적어도 4중층 구조로서 이루어지되, 맨 바깥의 제1 상부층(104)과 제1 하부층(101)은 복사열 차단을 위한 알루미늄 필름층이고, 사이의 내부층(102, 103)은 난연성의 폴리에틸렌(PE) 가교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부재는 다중층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부재는 다중층 구조는, 맨 바깥의 제2 상부층(203)과 제2 하부층(201)은 상부면과 저부면 상에 각각 홈이 형성된 홈층으로 형성되고, 사이에는 EVA(Ethylene-Vinyl Acetate) 폼층(202)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기본커버(110)와 상기 에어컨 실외기 상면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보조부재(200,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부재는, 폼으로 이루어지는 제1 폼 형성부로서의 제1 연장부와 제1 연장부 사이의 제1 공간부가 상호 교대로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보조부재의 제1 폼 형성부의 표면에는 홈(2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확장커버(130')와 상기 에어컨 실외기 전면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보조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부재는, 연장부(210')와 연장부 사이의 공간부(230,230')는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부재는, 폼으로 이루어지는 폼 형성부(210")와 폼 형성부를 가로지르는 공간부(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간부(230")는 사선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확장커버(130')에 부착되어 있으며, 폼 형성부의 표면에는 홈(2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에 따르면, 실외기 커버를 기본커버와 확장커버의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설치시 확장커버를 회전시켜 확장커버가 실외기의 과열부분인 엔진이 위치한 부위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실외기 상부 부위 뿐만 아니라 이 부위에서의 그늘막이 형성되게 하여 햇빛 노출에 따른 열 발생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기 커버에 연결된 끈을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실외기에 결착하는 고리 연결방식을 취함으로 실외기 커버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실외기 커버 제거시에도 외관이 좋으며, 실외기 커버의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기의 상부면 상에 별도의 폼 형태의 보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실외기 상부면과 실외기 커버의 기본커버와의 사이에 형성된 뜨거운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외기에서의 냉방효과 유도를 통해 실외기의 화재예방 및 에어컨 사용에 따른 전기료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목적 및 효과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b는 일반적인 실외기의 내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를 실외기에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기능상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 설치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 및 보조부재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 조립체 중 보조부재의 다른 변형예.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온도 차이에 관한 시험성적서.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소비전력량 절감에 관한 시험성적서.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를 실외기에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기능상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 설치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 및 보조부재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 조립체 중 보조부재의 다른 변형예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온도 차이에 관한 시험성적서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소비전력량 절감에 관한 시험성적서이다.
(제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커버 및 조립체에 대하여 도 2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커버(100)는 실외기(400)의 외측에 설치되어 햇빛 등에 의해 실외기(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줄여 과열발생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에어컨 실외기 커버(100)는, 에어컨 실외기의 상부 전체를 덮는 기본커버(100)와, 상기 기본커버(100)의 저부의 일 위치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기본커버(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실외기(400)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확장커버(130)와, 상기 기본커버(110)와 상기 확장커버(130)를 회전 결합하는 힌지축(150)과, 상기 기본커버(110)의 양단과 상기 확장커버(130)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끈(111,113;131)과, 상기 각 연결끈(111,113;131)에 연결된 걸림고리(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본커버(110)는 실외기(400)의 상부면 전체를 덮고도 일정 길이가 남을 만큼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기본커버(110) 설치시 실외기의 측면부도 일정 부분을 덮어 그늘막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태양광으로부터의 열이 차단되도록 함과 동시에 양단의 연결끈(111,113)을 이용하여 실외기(400)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확장커버(130)는, 상기 기본커버(110)와 힌지축(150)에서 결합되며 힌지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확장커버(130)는 회전에 의해 실외기(40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나왔을 경우, 돌출되어 나온 일정 부위가 실외기(400)의 과열부분인 엔진이 위치한 부위, 대체로 팬이 위치하지 않는 부위 (도 1b에서는 우측 부위) 의 전면을 덮는 위치에 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축(15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커버(110)와 확장커버(130)의 일측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외기 커버(100)를 구성하는 기본커버(110)와 확장커버(130)는, 가벼우면서도 유연하고 열차단이 잘 이루어지는 단열재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외기 커버(100)는, 고분자 재료인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가교화 반응에 의해 제조되게 한다. 아울러, 다중구조, 예컨대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은 4중층 구조의 단열재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4중층 구조는 상부층(104)과 하부층(101)은 복사열 차단을 위한 알루미늄 필름층, 그 사이의 두 층(102, 103)은 난연성의 폴리에틸렌(PE) 가교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재질로 형성된 본 발명의 실외기 커버(100)는 밀도가 낮아 가볍고 유연함으로 운반 및 취급이 간편하고 시공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구조의 실외기 커버(100)는 수분이나 습기가 침투할 수 없는 구조적인 특성과 재질을 갖게 되어, 기존의 흡수성 단열재와 달리 오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성능저하가 없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실외기 커버(100)를 4중층 구조로 형성할 경우, 외부 환경에서 발생되는 눈, 비, 각종 먼지 등으로부터 실외기(400)의 부식과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외기 커버(100)와 실외기(400)의 상부면 사이에 폼 형태의 보조부재(200)를 개재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폼 형태의 보조부재(200)는,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3중층 구조의 보조부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층(203)과 하부층(201)은 상부면과 저부면 상에 각각 홈이 형성된 홈층으로 형성되고, 그 가운데에는 EVA(Ethylene-Vinyl Acetate) 폼층(202)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층(203)과 하부층(201)의 상부면과 저부면 상에 각각 형성된 홈(211)은 없어도 되지만, 있는 경우 공기층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보조부재(200)가 실외기 표면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부 공기 순환에도 일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폼 형태의 보조부재(200)는, 실외기(400)와 직접 맞닿아 있으므로, 단순히 기본커버(110)와 확장커버(130)만으로 실외기의 열과 외부 직사광선의 열을 감당하는 것보다, 보조부재(200)의 설치로 실외기(400)의 방열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즉, 제1 실시예의 보조부재(200)는,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례로 핑거(finge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보조부재(200)의 연장부(210)와 연장부 사이의 공간부(230)가 교대로 형성되면서, 상기 공간부(230) 만큼 실외기 커버(100)와 실외기가 이격되면서, 실외기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와 외기가 상기 공간부(230)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외기 커버 조립체(300)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도면에서는 편의상 실외기 커버(100)에 연결된 일부 연결끈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 형태의 보조부재(200)를 실외기(400)의 상부면에 올려 놓는다. 그 다음 그 상부에 실외기 커버(100)를 올려 놓는다. 이때 실외기 커버(100) 상에 형성된 힌지축(150)이 팬이 위치한 측면측, 도시된 도면(도 3의 (b) 참조)에서 우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 연결끈을 고정하기 전 단계에서, 기본커버(110)의 저부에 위치한 확장커버(130)를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확장시킨다. 다음,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커버(130)가 팬의 측면부, 즉 실외기에서 주로 과열이 발생되는 부위(이하 '실외기 엔진부'라 함) 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실외기 커버는 전체적으로 'ㄱ' 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커버(110)와 확장커버(130)에 각각 연결된 연결끈(111,113;131)을 실외기상의 소정위치에 걸어 고정시킨다. 상기 걸림고리(140)는 연결끈 (111,113;131) 상에 기 달려 있는 상태이므로 걸림고리(140)를 실외기(40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턱(450) 등을 이용하여 걸기만 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연결끈(111,113;131)은 고무재의 탄력성이 있는 끈으로서 걸림고리(140)를 걸 수 있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연결끈(111,113;131)과 걸림고리(140)를 이용하여 실외기 커버(100)를 실외기(400)에 고정시키므로 실외기 커버(100)의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실외기 커버(100) 중 확장커버(130)의 회전에 의한 확장 기능으로 실외기의 엔진부상에 그늘막이 형성되므로 실외기(400)의 햇빛에 노출되는 부분을 확실히 줄일 수 있게 되고, 실외기의 관리가 보다 편리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기능상의 특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 설치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설치시 기본커버(110)의 상부면에서 햇빛의 반사가 이루어지고, 폼 형태의 보조부재(200)의 설치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의 유입(큰 화살표 방향) 내지 공기의 순환으로 기본커버(110)의 저부로 갇혀 있던 뜨거운 열(도시된 점선 부분의 내부)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설치 시, 실험에 의해 여러가지 효과를 실제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 사용에 따른 전기요금이 실외기 커버 미설치 시의 경우에 비해 27.9% 가 절감됨을 알 수 있으며, 열 차단 효과에 있어서도 약 16℃의 열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1)
특히,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온도 차이에 관한 '한국 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이다.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의 '기역자형 에어컨 실외기 보호커버 세트'를 설치한 상태와 보호커버 없는 실외기의 상태를 4곳(CH1~CH4)에서 각각 측정하였는바, 실외기 보호커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위치인 상부 판넬 중앙(CH2)의 위치에서 미부착시에는 최고온도가 무려 46.7℃였으나, 부착시에는 37.3℃로 떨어졌으며, 상기 위치(CH2)에서 미부착시에는 외기(CH4)의 표준편차(6.2) 보다 높은 표준편차(9.2)를 보이지만, 부착시에는 외기(CH4)의 표준편차(4.7) 보다 낮은 표준편차(4.4)를 보이는바, 실외기를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실외기의 온도를 안정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상기 실험은, 실외기 보호 커버의 부착 전, 후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데이터로거를 사용하여 2일 동안 10분 간격으로 3 측점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고, 외기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3가지 측점 중 한 개의 측점과 동일한 높이에서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며, 이후 측정된 데이터에 대하여 그 분포에 대한 분산과 표준편차를 각각 구하여 비교한 것이다. 분산(편차 제곱의 평균)은 다음 <수학식1>과 같으며, 표준편차는 분산의 제곱근으로 구하였다.
Figure 112019067952744-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9067952744-pat00002
= 측정된 데이터, μ=평균, N=측정 데이터 수.
아울러,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평균값이 유사한 지점에서의 온도 분포를 확인하여 본 결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실외기 커버 세트를 부착하지 않을 시에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팬(fan)의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아 내부의 열이 응축되고 있으나, 부착시에는 팬(fan)의 움직임이 활발하여 내부의 열이 응축되지 않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2)
한편,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커버의 소비전력량 절감에 관한 '한국 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이다.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외기 보호커버 부착 후 소비전력 감소율은, 부착 전에 비해 18.13%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는바, 충분히 의미있는 수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로, 본 실험예는, 여름철 최대부하시간을 예상하여 한낮의 환경하에서 에어컨 설정온도를 23℃로 설정하고 총 6시간 동안 사용 전력량을 측정하였으며, 평균전력은 측정시작시간으로부터 한시간 동안 수집된 전압, 전류의 평균을 통하여 계산된 결과이다.
실외기 보호커버 부착 후, 소비전력량 감소율은 다음 <수학식2>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19067952744-pat00003
여기서, D: 소비전력량 감소율(%), a: 실외기 보호커버 미 부착시 소비전력량, b: 실외기 보호커버 부착시 소비전력량.
즉,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커버 및 조립체의 설치를 통해, 에어컨 사용에 따른 전기세를 감소하고, 실외기의 과열발생을 방지하며, 이에 의해 실외기 화재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냉방효과를 도모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컨 실외기 커버 및 조립체는 에어컨 실외기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설치시 햇빛 차단에 의한 냉방효과 및 실외기 과열로 인한 화재예방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1 변형예)
이제,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를 도 7의 상반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조부재의 형상의 변형예의 경우, 도 7의 실외기 커버(100)에 부착되는 제1 보조부재(200')와 같이 양쪽에 (도 7에서는 상하방향으로) 모두, 연장부(210')와 공간부(230')를 각각 교대로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풍향이 일정치 않은 경우에 바람직하며, 특히 확장커버(130')에 부착되는 경우 더욱 바람직하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홈층(도 6의 201, 203 참조)에 형성되는 홈(211)과 마찬가지로, 제1 변형예의 연장부(210')에도 홈층에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변형예)
다른 한편, 확장커버(130')에 부착되는 제2 보조부재(200")의 경우에는, 공간부(230")가 상호 사선으로 교차하면서 일측(각각 좌측 및 우측)에서 타측(각각 우측 및 좌측)으로 폼 형성부(210")를 관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제2 변형예의 경우, 도 7의 하반부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수직방향으로 거치되는 확장커버(130')에 더욱 잘 어울리는바, 공간부(230")가 폼 형성부(210")를 관통하므로 외기의 순환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다만, 본 제2 변형예의 경우에는 폼 형성부(210")가 섬(island) 형상이므로 확장커버(130')와 일체로 (즉, 비탈착식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제1 실시예의 홈층(도 6의 201, 203 참조)에 형성되는 홈(211)와 마찬가지로, 제2 변형예의 연폼 형성부(210")에도 홈층에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종래기술)
10 : 실외기 20 : 양면테이프 부착부
21, 23 : 테이프 부착부위 30 : 실외기 커버
(본 발명)
100 : 실외기 커버
110 : 기본커버 111,113 : 연결끈
130,130' : 확장커버 131 : 연결끈
140 : 걸림고리 150 : 힌지축
200,200',200" : 보조부재(폼형태)
210,210' : 연장부 230,230' : 공간부
210" : 폼 형성부 230" : 공간부
211 : 홈 300,300' : 실외기 커버 조립체
400 : 실외기

Claims (9)

  1. 에어컨 실외기 외측에 설치되어 실외기의 과열발생을 억제하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100); 및
    상기 에어컨 실외기 커버와 상기 에어컨 실외기 사이에 삽입되는 폼 형태의 보조부재(200,200',200");
    를 포함하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로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 커버는,
    에어컨 실외기의 상부 전체를 덮는 기본커버(110)와,
    상기 기본커버의 저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본커버와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실외기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확장커버(130,130')와,
    상기 기본커버와 상기 확장커버를 회전 결합하는 힌지축(150)과,
    상기 기본커버의 양단과 상기 확장커버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확장커버의 회전시 상기 확장커버의 일정부위가 실외기의 과열부인 엔진부 전면을 덮는 위치에 오도록 설정되며,
    상기 기본커버와 상기 확장커버는 다중층 구조의 단열재로 구성되며,
    상기 기본커버와 상기 확장커버의 다중층 구조는, 적어도 4중층 구조로서 이루어지되, 맨 바깥의 제1 상부층(104)과 제1 하부층(101)은 복사열 차단을 위한 알루미늄 필름층이고, 사이의 내부층(102, 103)은 난연성의 폴리에틸렌(PE) 가교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부재는 다중층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부재는 다중층 구조는, 맨 바깥의 제2 상부층(203)과 제2 하부층(201)은 상부면과 저부면 상에 각각 홈이 형성된 홈층으로 형성되고, 사이에는 EVA(Ethylene-Vinyl Acetate) 폼층(202)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기본커버(110)와 상기 에어컨 실외기 상면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보조부재(200,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부재는, 폼으로 이루어지는 제1 폼 형성부로서의 제1 연장부와 제1 연장부 사이의 제1 공간부가 상호 교대로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보조부재의 제1 폼 형성부의 표면에는 홈(2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확장커버(130')와 상기 에어컨 실외기 전면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보조부재(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부재는, 제1 연장부(210')와 제1 연장부 사이의 제1 공간부(230,230')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부재는, 폼으로 이루어지는 제2 폼 형성부(210")와 제2 폼 형성부를 가로지르는 제2 공간부(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공간부(230")는 사선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확장커버(130')에 부착되어 있으며, 제2 폼 형성부의 표면에는 홈(2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KR1020190079661A 2019-07-02 2019-07-02 상부커버와 전면커버 및 열배출 패드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KR10208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661A KR102086728B1 (ko) 2019-07-02 2019-07-02 상부커버와 전면커버 및 열배출 패드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661A KR102086728B1 (ko) 2019-07-02 2019-07-02 상부커버와 전면커버 및 열배출 패드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575A Division KR20200116400A (ko) 2019-04-01 2019-12-02 상부커버와 전면커버 및 열배출 패드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에어컨 실외기 커버 및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728B1 true KR102086728B1 (ko) 2020-03-09

Family

ID=6980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661A KR102086728B1 (ko) 2019-07-02 2019-07-02 상부커버와 전면커버 및 열배출 패드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7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9984A (ja) * 2012-05-30 2013-12-12 Kyoraku Techno Kk エアコン室外機用日除けカバー
JP2014115032A (ja) * 2012-12-11 2014-06-26 Sharp Corp 空気調和機および加熱ユニット
EP2767768A1 (en) * 2013-02-18 2014-08-20 Franco Palmucci Cover for outdoor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9984A (ja) * 2012-05-30 2013-12-12 Kyoraku Techno Kk エアコン室外機用日除けカバー
JP2014115032A (ja) * 2012-12-11 2014-06-26 Sharp Corp 空気調和機および加熱ユニット
EP2767768A1 (en) * 2013-02-18 2014-08-20 Franco Palmucci Cover for outdoor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86003U (zh) 一种配电箱
KR102086728B1 (ko) 상부커버와 전면커버 및 열배출 패드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에어컨 실외기 커버 조립체
KR101991235B1 (ko) 에어컨 실외기용 보호덮개
KR100905803B1 (ko)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CN205747229U (zh) 一种空调外机的机壳
KR20200116400A (ko) 상부커버와 전면커버 및 열배출 패드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에어컨 실외기 커버 및 조립체
CN108879347A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机电设备用保护装置
KR101586109B1 (ko) 하이브리드 윈도우 시스템
KR200494930Y1 (ko) 에어컨 실외기 커버
JP6186631B1 (ja) 箱型電気設備の遮熱構造
JP5455981B2 (ja) 換気機能を備えた横葺屋根装置
WO2020105870A1 (ko) 에어컨 실외기 덮개
CN213927998U (zh) 一种窗框边外保温结构
CN212897240U (zh) 一种绿色建筑的遮阳结构
KR102198275B1 (ko) 실외기 덮개
CN208238064U (zh) 电器盒和空调室外机
CN111383823A (zh) 一种变压器防护罩及其安装方法
CN217269739U (zh) 一种遮阳窗
CN110863766A (zh) 一种蓄能式辐射窗帘
JP7130282B1 (ja) 全遮熱外装構造
CN220869185U (zh) 一种窗户遮阳结构
CN210768547U (zh) 一种保温门窗
JPH0328694Y2 (ko)
CN220711025U (zh) 一种防尘电缆桥架
CN218820696U (zh) 一种节能中央空调外机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80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616

Effective date: 20210819